KR100738030B1 - 영상 전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영상 전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030B1
KR100738030B1 KR1020050095076A KR20050095076A KR100738030B1 KR 100738030 B1 KR100738030 B1 KR 100738030B1 KR 1020050095076 A KR1020050095076 A KR 1020050095076A KR 20050095076 A KR20050095076 A KR 20050095076A KR 100738030 B1 KR100738030 B1 KR 100738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sensor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9790A (ko
Inventor
강문순
김달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095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030B1/ko
Publication of KR20070039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에 상응하도록 영상을 보정하여 출력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며, 휴대용 단말기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변위를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 출력 유형을 결정하며, 결정된 영상 출력 유형에 따른 영상 전환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영상 전환 정보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는 영상 보정부; 및 상기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도록 영상 데이터를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센서, 영상 전환

Description

영상 전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having function of conversion of picture}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표시부에 출력되는 영상의 예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 정도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전환하여 출력한 것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출력되는 입체 정보를 가진 캐릭터의 다른 면을 출력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의 위치변화에 상응하도록 영상을 보정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출력되는 입체 정보를 가진 캐릭터의 다른 면을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컨텐 츠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 송수신부
315 : 센서부
325 : 영상 보정부
342 : 저장부
345 : 표시부
350 : 제어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에 상응하도록 영상을 보정하여 출력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휴대용 단말기는 전화통화의 주기능이외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예를 들어, 게임, 방송수신, MP3, 카메라 기능 등)들이 추가 되고 있다. 이로 인해, 점점 작아지던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화면은 그 활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화면은 전송된 영상 또는 문자를 단방향으로만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와 같은 방송 영상은 그 특성상 와이드 화면으로의 출력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 화면이 기계적 조작에 의해 가로 혹은 세로로 변경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변경된 화면에 맞게 전송된 영상 또는 문자를 출력하는 기능이 부가 되었다. 그러나, 이는 현재 출시되어 있는 가로본능 휴대용 단말기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 화면의 기계적 조작을 감지하여 그게 맞게 화면을 출력하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 화면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세로 혹은 가로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가 변경하였을 경우 이에 맞게 영상을 출력하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되는 영상이 입체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맞게 영상의 다른 면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수평 또는 수직으로의 형태 변화에 따라 전송된 영상을 보정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변화된 수평 또는 수직으로의 변화된 형태에 맞게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이 입체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영상의 다른 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외의 본 발명의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변위를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도록 영상 데이터를 전환하거나 출력될 영상 데이터의 범위를 결정하여 이에 상응하도록 출력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며, 휴대용 단말기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변위를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 출력 유형을 결정하며, 결정된 영상 출력 유형에 따른 영상 전환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영상 전환 정보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는 영상 보정부; 및 상기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수평 감지 센서, 수직 감지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중력 센서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컨텐츠 제공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전환 정보는 상기 변위에 따른 상기 표시부의 방향, 가로 길이, 또는 세로 길이에 대응되도록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제어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영상 출력 유형에 따른 정보, 상기 변위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에 매핑되어 있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및 외부 아날로그 소리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 소리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향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3차원 컨텐츠를 제공받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한 축으로의 변위를 감지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출력될 입체 정보의 범위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입체 정보의 범위에 따른 영상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영상 요청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영상 요청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매핑되어 저장된 상기 컨텐츠의 입체 정보의 범위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송수신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출력될 입체 정보의 범위는 상기 측정 데이터와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된 최초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3차원 컨텐츠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3차원 컨텐츠의 입체 정보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한 축으로의 변위를 감지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출력될 입체 정보의 범위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입체 정보의 범위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독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독출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 정도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전환하여 출력한 것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입체 영상의 다른 면을 출력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수평 센서, 수직 감지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0)는 수평 센서, 수직 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300)가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한 변위에 상응하도록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시점에 맞게 출력될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300)가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축으로의 회전에 따른 변위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화면으로 출력되는 영상(예를 들어, 3차원 캐릭터, 3차원으로 표현된 상품 등)이 입체 정보(예를 들어, 깊이(Depth)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300)의 변위에 상응하는 입체 정보의 범위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부터 제공된 영상 데이터를 전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중점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문자 데이터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0)는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38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은 BTS(Base Transceiver Station), BSC(Base Station Controller) 및 PDSN(Packet Data Serving Node)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및 유무선 인터넷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0)는 송수신부(310), 센서부(315), 전처리부(320), 영상 보정부(325), 입력부(330), 음향 출력부(335), 음향 입력부(340), 저장부(342), 표시부(345), 제어부(350)로 구성된다.
송수신부(310)는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38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제어부(350)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310)는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 임의의 무선 컨텐츠 제공 요청 명령을 전송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부터 임의의 무선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어부(35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센서부(315)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축으로의 회전에 따른 변위 등을 감지하여 측정된 데이터(이하에서는 "측정 데이터"라 칭함)를 전처리부(320)로 전달한다. 또한, 센서부(315)는 측정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변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315)는 수평 감지 센서, 수직 감지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자이로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300)의 센서부(315)가 수평 감지 센서, 수직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휴대용 단말기(300)의 센서부(315)는 도 4a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형태에서 도 4b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90˚로 회전된 것을 감지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처리부(32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90˚ 씩 회전된 것을 감지하는 것을 중점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그 이외의 회전각(예를 들어, 15˚, 45˚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300)의 센서부(315)가 지자기 센서, 가속 도 센서 등을 포함하고 있다면, 센서부(315)는 도 5의 (b) 내지 (f)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300)의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축으로의 회전 정도에 따른 변위(즉, 상하좌우로의 움직임(예를 들어, 상하좌우로의 회전에 대한 움직임, 상하좌우로의 위치 이동에 대한 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처리부(32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지자기 센서는 관측지점의 지구 자기장을 측정하며, 예를 들어, 3개의 자기 센서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3축의 자기 자기장의 방향과 세기를 측정하여 A/D 변환부(미도시)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전처리부(32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는 상호 직교하는 3축의 방향(예를 들어, X축, Y축, Z축 방향으로)으로 각각의 가속도 센서(즉, X축 가속도 센서, Y축 가속도 센서, Z축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기 축의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압값으로부터 피치각(Pitch angle) 또는 롤각(Roll angle)과 같은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는 구비된 A/D 변환부(미도시)를 통해 측정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처리부(32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센서부(315)가 휴대용 단말기(300)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수평 감지 센서, 수직 감지 센서,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축으로의 회전 정도에 따른 변위를 감지하기 위한(예를 들어, 상하좌우로의 회전에 대한 움직임, 상하좌우로의 위치 이동에 대한 움직임 등)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한 것을 중점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외의 다른 센서(예를 들어, 각속도 센서, 중력 센서 등)를 구비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처리부(320)로 전달하여 움직임에 상응하도록 영상을 보정하여 액정화면에 출력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전처리부(320)는 센서부(315)로부터 입력된 측정 데이터의 생성 시점에 삽입된 에러 제거, 왜곡 보정 등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제어부(35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전처리부(320)는 센서부(315)로부터 입력된 측정 데이터가 생성 시점에 추가된 에러를 제거하고, 왜곡된 데이터를 정정하여 미리 정해진 크기로 증폭하여 제어부(35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315)가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센서부(315)가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점에 주변에 철(Soft Magnetic), 자석(Hard Magnetic) 등과 같은 자성 물체에 의해 측정 데이터가 왜곡될 수 있다. 따라서, 자성 물체에 의해 왜곡된 에러를 보정하기 위해 전처리부(320)는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에러를 보정하여, 휴대용 단말기(300)의 움직임에 따른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350)로 전달 할 수 있다.
입력부(330)는 사용자로부터 휴대용 단말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기능 선택 명령 등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330)는 복수의 키 버튼(예를 들어, 숫자/문자 키, * 또는 #의 기호 키, 하나 이상의 기능 키(예를 들어, 메뉴키, 통화 키, 확인키,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키 등))으로 구현되거나 터치 스크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335)는 휴대용 단말기(30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또는 컨텐 츠 제공 장치(38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에 상응하여 미리 지정된 음향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음향 출력부(335)는 예를 들어, 야마하 음원칩과 같은 음원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피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음향 입력부(340)는 외부로부터 소리를 입력받아 전기적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단으로 예를 들어, 마이크일 수 있다.
저장부(342)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운용 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설치 프로그램, 컨텐츠,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 등이 저장된다.
표시부(345)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송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저장부(342)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등의 영상 또는 이미지 등을 표시하는 수단이다. 표시부(345)는 예를 들어, 액정화면(LCD : Liquid Crystal Display) 일 수 있다.
도 4a 도 4d에 휴대용 단말기(300)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휴대용 단말기(300)의 회전에 따른 형태 변화에 상응하여 영상을 전환하여 표시부(345)에 출력하는 것이 예시되어 있으며, 도 5의 (a) 내지 (f)에 휴대용 단말기(300)의 움직임의 변화에 상응하여 3차원 영상(예를 들어, 입체 정보를 포함한 캐릭터)의 다른 면(예를 들어, 정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상면, 하면 등)을 출력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도 4a와 도 4d에 보여지는 것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300)가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의 시점에 상응하도록 영상을 전환 하여 표시부(345)에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종래에는 도 1 내지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300)가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표시부(345)에 출력되는 영상이 전환되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300)의 회전에 따라 영상을 전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영화 또는 방송 등의 컨텐츠에 상응하는 영상 또는 문자 컨텐츠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등에 따라 보다 적합한 화면 크기로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어부(35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0)의 송수신부(310), 센서부(315), 전처리부(320), 영상 보정부(325), 입력부(330), 음향 출력부(335), 음향 입력부(340), 저장부(342), 표시부(345)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350)는 센서부(315)에서 생성되어 전처리부(320)를 통해 에러가 제거된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영상 출력 유형을 결정하여 이에 상응하는 영상 전환 정보를 생성하여 영상 보정부(325)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출력되는 영상이 입체 영상인 경우 전처리부(320)로부터 입력된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휴대용 단말기(300)의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한 축으로의 회전 정도에 따른 변위에 따라 출력될 입체 정보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입체 정보의 범위에 따른 영상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송수신부(310)를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영상 보정부(325)를 통해 변환된 영상을 표시부(345)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레지스터 또는 버퍼 등과 같은 저장 매체에 휴대용 단말기(300)의 이전 위치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315)를 통해 입력된 측정 데이터와 휴대용 단말기(300)의 이전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휴대용 단말기(300)의 회전 정도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상응하는 영상 전환 정보 또는 영상 요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출력 유형"은 휴대용 단말기(300)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0)의 형태 변화에 상응하여 표시부(345)의 위치에 상응하는 정보로 정의하기로 한다.
또한, "영상 전환 정보"는 제어부(350)의 영상 출력 유형에 따라 출력될 영상을 보정하기 위한 제어 정보로 정의하기로 한다.
또한, "영상 요청 정보"는 제어부(350)가 전처리부(320)를 통해 입력된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휴대용 단말기(300)의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축으로의 회전 정도에 따른 변위에 상응하여 표시부(345)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입체 정보의 범위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요청 정보로 정의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0)의 표시부(345)의 위치변화에 상응하도록 영상을 보정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입력부(3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컨텐츠 실행 명령을 입력받아, 휴대용 단말기(300)가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380)에 해당 컨텐츠를 제공받아 실행하는 중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현 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300)를 도 4a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들고 있는 상태에서, 도 4b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90˚를 회전하여 휴대용 단말기(300)의 형태가 변경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610에서 센서부(315)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처리부(32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315)가 수평 감지 센서, 수직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수평 감지 센서, 수직 감지 센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측면 또는 좌우 측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휴대용 단말기(300)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정도에 상응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처리부(32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데이터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정도에 따른 회전각에 상응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단계 615에서 전처리부(320)는 센서부(315)로부터 입력된 측정 데이터의 측정(또는 생성) 시점에 추가된 에러(예를 들어, 측정 시점의 데이터 왜곡)를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거하여 제어부(350)로 전달한다. 또한, 전처리부(320)는 에러가 제거된 특정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크기에 상응하도록 증폭하여 제어부(350)로 출력할 수도 있다.
단계 620에서 제어부(350)는 전처리부(320)로부터 입력된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영상 출력 유형을 결정하고, 이에 상응하는 영상 전환 정보를 생성하여 영상 보정부(325)로 전달한다.
여기서, 제어부(350)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바로 이전 움직임 또는 위치 변화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레지스터 또는 버퍼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300)의 표시부(345)를 통해 출력될 영상이 입체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면(예를 들어, 깊이(Depth) 정보를 포함하고 있거나, 혹은 3차원 영상 정보인 경우 등) 영상 전환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보여질 영상의 측면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어부(350)가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여 바로 이전의 움직임 정보와 비교하여 수평 또는 수직으로 변화(예를 들어, 도 4a와 같은 상태에서 도 4b로 휴대용 단말기(300)의 형태가 변화하거나, 또는 도 4b와 같은 상태에서 도 4a로 형태가 변화하였을 경우)하였을 경우에만 영상 전환 정보를 영상 보정부(325)로 전달할 수도 있으며, 움직임 정보에 상응하여 영상 전환 정보를 영상 보정부(325)로 전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단계 625에서 영상 보정부(325)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컨텐츠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제어부(350)로부터 입력된 영상 전환 정보에 상응하도록 영상 정보를 보정하여 출력 영상을 전환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345)를 통해 출력되는 있는 컨텐츠에 상응하는 영상이 도 4a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300)를 도 4b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90˚ 회전하였다고 가정하자. 이때, 제어부(350)는 표시부(345)의 가로, 세로를 변환한다. 즉, 도 4a에서는 410을 가로 축으로 인식하고, 420을 세로 축으로 인식하 였다면, 도 4b의 상태에서는 430을 가로 축으로 인식하고, 440을 세로 축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제어부(350)는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가로 축, 세로 축, 가로 축 길이 정보, 세로 축 길이 정보 등을 이용하여 상응하는 영상 전환 정보를 생성하여 영상 보정부(325)로 전달할 수 있다. 영상 전환 정보를 입력받은 영상 보정부(325)는 출력될 영상을 영상 전환 정보에 상응하도록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의 표시부에 가로 크기가 예를 들어 240B(Byte)이고, 세로 크기가 320B(Byte)라고 가정하자. 이때, 도 4b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300)가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였다면, 제어부(350)는 표시부(345)의 가로 크기를 예를 들어 320B(Byte), 세로 크기를 예를 들어, 240B(Byte)라고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350)는 변화된 표시부(345)의 크기에 상응하도록 영상이 출력되도록 영상 전환 정보를 영상 보정부(325)로 전달하여 출력될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345)의 크기 또는 표시부(345)의 방향에 상응하도록 변환할 수 있다.
단계 630에서 영상 보정부(325)는 단계 625에서 표시부(345)의 크기 또는 방향에 상응하여 보정된 영상 정보를 제어부(350)를 통해 표시부(345)로 출력한다. 도 4a 내지 도 4d에 휴대용 단말기(300)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0)의 변위에 상응하여 표시부(345)에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전환하여 출력한 예가 예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출력되는 입체 정보를 가진 캐릭터의 다른 면을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부터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 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0)가 지자기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측정하여 움직임에 상응하여 입체 정보를 가진 캐릭터의 다른 면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입체 정보는 예를 들어, 깊이(Depth) 정보와 같이 2차원 캐릭터를 입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거나, 캐릭터에 대한 각각의 면(예를 들어, 정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상면, 하면 등)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각각 포함하고 있거나 3차원으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요구에 상응하여 캐릭터의 다양한 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에 최초로 제공되는 캐릭터에 대한 영상 데이터는 정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인 것으로 가정하며, 이후 휴대용 단말기(300)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캐릭터의 다른 면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제공받아 휴대용 단말기(300)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움직임(예를 들어,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축으로의 회전 정도에 따른 움직임)에 상응하여 표시부(345)로 출력될 캐릭터의 입체 정보의 범위를 결정하여 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제공받아 휴대용 단말기(300)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0)는 저장부(342)에 저장되어 있는 캐릭터의 출력될 입체 정보의 범위를 결정하여 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342)로부터 독출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물론, 캐릭터가 3차원으로 저작(Authoring)되어 3차원 좌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300)의 움직임(예를 들어,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한 축으로의 회전 정도에 따른 움직임)의 변위에 따라 캐릭터의 다른 면을 출력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단계 710에서 센서부(315)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움직임(예를 들어, 상, 하, 좌, 우 등으로의 회전에 의한 움직임(예를 들어,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한 축으로의 회전 정도에 따른 움직임))을 감지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처리부(32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315)가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구비하였다고 가정하면, 센서부(315)는 자기 에너지를 감지하여 3축의 자기 에너지를 측정하여 관측 시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처리부(32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300)를 좌측으로 15˚ 정도 회전하였다고 가정하자(예를 들어, 도 5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도 5의 (b)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300)를 좌측으로 15˚ 정도 회전하였다고 가정하자). 센서부(315)는 구비된 센서(예를 들어,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300)의 회전 정도를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는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처리부(320)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715에서 전처리부(320)는 센서부(315)로부터 입력된 측정 데이터에 대해 전처리 과정(예를 들어, 센서부(315)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300)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시점에 주변 환경적 요인(예를 들어, 강한 또는 약한 자성 물체 등)에 의해 추가된 에러 데이터 또는 왜곡 데이터 등)을 수행하여 제어부(350)로 전달한다.
단계 720에서 제어부(350)는 전처리부(320)로부터 전처리 과정을 거친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휴대용 단말기(300)의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한 축으로의 회전 정도에 따른 변위에 상응하여 출력될 입체 정보의 범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입체 정보의 범위에 따른 영상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송수신부(310)를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300)가 도 5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도 5의 (b)와 같이 회전하였다고 가정하자.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의 (a)에서 도 5의 (b)와 같이 회전한 것을 예를 들어, 좌측으로 15˚ 정도 회전한 것이라고 가정하자. 이때, 휴대용 단말기(300)는 측정 데이터와 이전 휴대용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X, Y, Z 축을 기준으로 각각 0, 0, 0의 위치라고 가정하자)와 비교하여 예를 들어, Y축을 기준으로 15˚ 회전하였으므로 휴대용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될 영상 데이터를 캐릭터의 좌측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로 결정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300)의 제어부(350)는 캐릭터의 좌측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요청 정보(이하에서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움직임에 따른 캐릭터의 출력될 입체 정보의 범위에 따른 영상 데이터의 요청 정보를 "영상 요청 정보"라 칭하기로 한다)를 생성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캐릭터가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부터 제공되는 캐릭터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아니고, 저장부(342)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라면, 제어부(350)는 저장부(342)에 저장된 캐릭터의 좌측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표 시부(345)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단계 725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380)는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캐릭터의 입체 정보의 범위(예를 들어, 캐릭터의 다른 면에)에 따른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장치(380)는 캐릭터의 입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입체 정보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이에 상응하는 캐릭터의 입체 정보의 범위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입체 정보 데이터베이스(미도시)로부터 독출하여 휴대용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730에서 휴대용 단말기(300)는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부터 캐릭터의 입체 정보의 범위(예를 들어, 다른 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부(345)를 통해 출력한다.
도 5의 (a) 내지 도 5의 (f)에 휴대용 단말기(300)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캐릭터의 다른 면(예를 들어, 정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상면, 하면 등)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345)를 통해 출력한 예가 예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와 같이 캐릭터의 정면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300)가 좌측으로 회전 또는 이동하였다면, 도 5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의 좌측면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 요청하여 해당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0)는 반시계 방향,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움직임을 감지하여, 휴대용 단말기(300)의 표시부(345)의 방향에 따라 영상을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300)의 ,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한 축으로의 회전 정도에 상응하는 출력될 입체 정보의 범위에 따른 영상 데이터(예를 들어, 다른 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또는 수직(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형태 변화에 따라 영상을 보정하여 출력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상응하여 영상을 보정하여 출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이 입체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별도의 추가적인 키 조작 없이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영상의 다른 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며, 휴대용 단말기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변위를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 출력 유형을 결정하며, 결정된 영상 출력 유형에 따른 영상 전환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영상 전환 정보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는 영상 보정부;
    상기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매핑되어 있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전환 정보는 상기 변위에 따른 상기 표시부의 방향,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에 대응되도록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제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수평 감지 센서, 수직 감지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중력 센서 중 하나 이상인 휴대용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영상 전환 정보에 따라 변환되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영상 출력 유형에 따른 정보 또는 상기 변위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외부 아날로그 소리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 소리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향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컨텐츠 제공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3차원 컨텐츠를 제공받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한 축으로의 변위를 감지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출력될 입체 정보의 범위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입체 정보의 범위에 따른 영상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영상 요청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영상 요청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매핑되어 저장된 상기 컨텐츠의 입체 정보의 범위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송수신부로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될 입체 정보의 범위는 상기 측정 데이터와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된 최초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컨텐츠 제공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3차원 컨텐츠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3차원 컨텐츠의 입체 정보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한 축으로의 변위를 감지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출력될 입체 정보의 범위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입체 정보의 범위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독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독출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50095076A 2005-10-10 2005-10-10 영상 전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738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076A KR100738030B1 (ko) 2005-10-10 2005-10-10 영상 전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076A KR100738030B1 (ko) 2005-10-10 2005-10-10 영상 전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790A KR20070039790A (ko) 2007-04-13
KR100738030B1 true KR100738030B1 (ko) 2007-07-16

Family

ID=3816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076A KR100738030B1 (ko) 2005-10-10 2005-10-10 영상 전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0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1098A (ko) 2011-11-09 2013-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회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터치 시스템
US9146624B2 (en) 2012-02-08 2015-09-29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for managing screen orienta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595096B1 (ko) 2021-07-06 2023-10-27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지능적 가로-세로 영상 변환을 위한 전자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596308B1 (ko) 2021-07-06 2023-10-3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지능적 영상 변환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6515A (ko) * 2003-02-26 200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의 회전 배치 상태에 따라 데이터를 정방향으로표시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070195A (ko) * 2004-12-20 2006-06-2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회전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화면 디스플레이 자동 전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6515A (ko) * 2003-02-26 200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의 회전 배치 상태에 따라 데이터를 정방향으로표시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070195A (ko) * 2004-12-20 2006-06-2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회전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화면 디스플레이 자동 전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790A (ko) 200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34181B (zh) 图像捕获设备、图像显示系统和操作方法
US8581844B2 (en) Switching between a first operational mode and a second operational mode using a natural motion gesture
CN111372126B (zh) 视频播放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0427110B (zh) 一种直播方法、装置以及直播服务器
JP6109413B2 (ja) 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装置、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7707817B (zh) 一种视频拍摄方法及移动终端
CN102754060A (zh) 确定用于显示的信息的方法和装置
KR20120092496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시스템
GB2447979A (en) Cropping and motion detection in a video projection system
CN113365085B (zh) 一种直播视频生成方法及装置
JP6409644B2 (ja) 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100738030B1 (ko) 영상 전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N108734662B (zh) 显示图标的方法和装置
US84934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through motion recognition
CN106445334B (zh) 显示界面的调节方法及调节系统
JP2005284657A (ja) 携帯情報端末
CN109618055A (zh) 一种位置共享方法及移动终端
CN102915189B (zh) 一种显示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110052998A (ko)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6031399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KR20220085834A (ko) 전자 기기 및 포커싱 방법
CN110070617B (zh) 数据同步方法、装置、硬件装置
US20130201157A1 (e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KR20130141104A (ko) 센서를 이용한 3d 영상 보정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WO2018192455A1 (zh) 一种生成字幕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