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6208A - 문자인식 시스템의 필기체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문자인식 시스템의 필기체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6208A
KR20060096208A KR1020050017815A KR20050017815A KR20060096208A KR 20060096208 A KR20060096208 A KR 20060096208A KR 1020050017815 A KR1020050017815 A KR 1020050017815A KR 20050017815 A KR20050017815 A KR 20050017815A KR 20060096208 A KR20060096208 A KR 20060096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handwriting
displaying
strok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연우
임상연
윤종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7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6208A/ko
Priority to CNB2006100009800A priority patent/CN100377054C/zh
Publication of KR20060096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글씨를 붓글씨체로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필기체 입력모드에서 입력패널 상에 필기되는 글씨의 각 획의 길이를 검출하는 제1단계와; 상기 검출 결과를 근거로 문자를 이루는 각 획을 붓글씨 형태로 생성하여 해당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문자인식 시스템의 필기체 표시방법{METHOD FOR DISPLAYING SCRIPT IN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필기체 표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필기체 표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인식 시스템의 필기체 표시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단말기에서 필기체 인식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기체 인식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글씨를 붓글씨체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 문자인식 시스템의 필기체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개인휴대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단말기에서 대부분 필기체 인식 기능을 기본으로 탑재되고 있는데, 영어, 한국어, 이외에 한문 등으로 인식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인식률 및 인식속도가 많이 향상되어 사용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일반적으로, 문자인식 시스템에서 필기체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입력패 널에 쓴 글씨(예: 납)의 문자영상을 추출하는 과정, 획 추출, 잡영제거, 특징추출 등의 전처리과정을 수행한 후 그래핑 매칭, 신경망 등을 이용하여 '납'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문자영상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입력패널에 쓰는 글씨의 모양을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데,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글씨 영상 표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사용자가 입력패널에 글씨를 쓰는 대로 일정한 굵기(예: 2 픽셀)의 라인을 만들어 표시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글씨를 이루는 각 획의 굵기를 일정하게 표시하는 필기체 입력방법은 로마자를 기반으로 하는 언어에 적용하는 경우 별다른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하지만,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등의 동아시아권 문자의 필기체는 마치 붓글씨처럼 각 획의 시작 부분은 가늘게 시작하여 점차 굵어지고 중간 부분에서 일정한 굵기를 유지한 후 끝 부분으로 진행하면서 가늘어지는 특징을 갖는데, 이와 같은 특징을 무시하고 종래와 같이 글씨를 이루는 각 획의 굵기를 일정하게 표시하는 필기체 표시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문자 인식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자 인식 시스템에서 필기체 인식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글씨를 붓글씨체로 디스플레이하는 필기체 표시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문자인식 시스템의 필기체 표시방법은, 필기체 입력모드가 붓글 씨 모드로 설정되면 입력패널 상에 필기되는 글씨의 각 획의 길이를 검출하는 제1단계와; 상기 검출 결과를 근거로 문자를 이루는 각 획을 붓글씨 형태로 생성하여 해당 문자를 상기 입력패널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필기체 표시 과정을 첨부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PDA 등의 단말기상에서 입력패널 및 펜(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문자(예: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등)를 입력할 때, 본 발명에 의한 필기체 표시방법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메뉴 상에서 필기체 입력모드를 붓글씨 모드로 설정한다.(S1)
이후, 사용자는 상기 입력패널 상에서 펜을 이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글자나 문자를 써넣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쓰는 글씨의 각 획(라인)의 길이 또는 입력시간을 검출한다.(S2)
그리고, 상기 검출 결과를 근거로 문자를 이루는 각 획을 붓글씨 형태로 생성하여 해당 문자를 그 입력패널 상에 디스플레이한다.(S3)
예를 들어, 한문(예: 王)을 입력하는 경우 각 획의 시작 부분에서 굵게 시작하여 가운데 부분은 가늘게 하고 마지막 부분은 다시 굵게 하는 방식으로 궁서체의 붓글씨를 생성하여 그 입력패널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또 다른 예로써, 처음에 가늘게 시작하여 점차 굵어지다가 중간 부분에서 일정한 굵기를 유지한 후 끝 부분으로 진행하면서 가늘어지는 방식으로 붓글씨를 생성하여 상기 입력패널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상기 입력패널상에 사용자에 의해 필기되는 글씨가 더 있는지 확인하여 더 있는 것으로 판명되면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더 이상 없는 것으로 판명되면 종료처리한다.(S4)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문자 인식 시스템에서 필기체 인식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글씨를 붓글씨체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문자 인식률이 향상되고, 사용자도 자신이 쓴 글씨를 쉽게 알아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필기체 입력모드에서 입력패널상에 필기되는 글씨의 각 획의 길이를 검출하는 제1단계와; 상기 검출 결과를 근거로 문자를 이루는 각 획을 붓글씨 형태로 생성하여 해당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 시스템의 필기체 표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단계는 필기되는 글씨의 각 획의 입력시간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 시스템의 필기체 표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2단계의 해당 문자는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중 하나의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 시스템의 필기체 표시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중국어는 궁서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 시스템의 필기체 표시방법.
KR1020050017815A 2005-03-03 2005-03-03 문자인식 시스템의 필기체 표시방법 KR20060096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815A KR20060096208A (ko) 2005-03-03 2005-03-03 문자인식 시스템의 필기체 표시방법
CNB2006100009800A CN100377054C (zh) 2005-03-03 2006-01-13 文字识别系统的笔迹显示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815A KR20060096208A (ko) 2005-03-03 2005-03-03 문자인식 시스템의 필기체 표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208A true KR20060096208A (ko) 2006-09-11

Family

ID=36946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815A KR20060096208A (ko) 2005-03-03 2005-03-03 문자인식 시스템의 필기체 표시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096208A (ko)
CN (1) CN100377054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0761A1 (ko) * 2009-07-21 2011-01-27 (주)펜앤프리 필기 패턴에 따른 필기 정보 입력 장치 및 필기 정보 입력 방법
CN102368190A (zh) * 2011-11-15 2012-03-07 张海光 基于矩形点阵的触摸屏文字输入方法
WO2022139456A1 (ko) * 2020-12-22 2022-06-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51724B (zh) * 2008-03-31 2014-03-12 联想(北京)有限公司 在触摸屏上书写文字的方法与装置
CN102122347B (zh) * 2011-03-31 2013-01-09 汉王科技股份有限公司 判别图像中文本颜色极性的方法及装置
KR20130051098A (ko) * 2011-11-09 2013-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회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터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6461A (ja) * 1994-07-25 1996-02-0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筆先各種動作判定処理方法及びモニタ付筆跡情報入力装置
JP2000330980A (ja) * 1999-05-21 2000-11-30 Casio Comput Co Ltd 手書き風文字出力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292384C (zh) * 2001-12-07 2006-12-27 太瀚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可手写输入功能的图像处理系统及其执行方法
CN1409200A (zh) * 2002-09-26 2003-04-09 赵宏俊 快乐汉字处理方法
CN2672747Y (zh) * 2003-11-05 2005-01-19 郭亚临 压感超声波鼠标笔屏幕书写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0761A1 (ko) * 2009-07-21 2011-01-27 (주)펜앤프리 필기 패턴에 따른 필기 정보 입력 장치 및 필기 정보 입력 방법
US8952906B2 (en) 2009-07-21 2015-02-10 Penandfree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wri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writing pattern
CN102368190A (zh) * 2011-11-15 2012-03-07 张海光 基于矩形点阵的触摸屏文字输入方法
WO2022139456A1 (ko) * 2020-12-22 2022-06-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77054C (zh) 2008-03-26
CN1828503A (zh) 200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1851A (en) Method of splitting handwritten input
US75056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tter recognition
CN102449640B (zh) 识别手写单词
US5737443A (en) Method of joining handwritten input
US77784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digital ink query
US8768062B2 (en) Online script independent recognition of handwritten sub-word units and words
US5923793A (en)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with an improved feature of correction to stroke segmentation and method for correction to stroke segmentation for recognition of handwritten character
JPH07200155A (ja) ペン型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非目的結果検出
JPH10510639A (ja) マルチペンストローク文字セット及び手書文書認識システム
KR20090045190A (ko) 수기 기호 인지 방법 및 장치
US90814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US7562314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60096208A (ko) 문자인식 시스템의 필기체 표시방법
EP151305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recognition
US8849034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recognition of a handwritten shape
EP3491580B1 (en) System and method for beautifying superimposed digital ink
US79797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syllables of a phonetic script into a computer
KR20080102057A (ko) 가이드 라인에 의해 문자 인식률을 높인 패턴인식
US6973214B1 (en) Ink display for multi-stroke hand entered characters
KR20050043541A (ko) 다섯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손가락용 터치스크린 및문자입력방법
US7587087B2 (en) On-line handwriting recognition
KR20100027195A (ko) 한글자음 필기인식과 터치인식 조합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20010046822A (ko)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그방법
WO20060195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writing recognition using background pixels
KR20160111146A (ko) 디지털 텍스트 형태의 문자를 디지털 잉크 형태의 문자 이미지로 랜더링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문자 이미지 생성 프로세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