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8030A - 일회용 컵 캐리어 - Google Patents

일회용 컵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8030A
KR20130048030A KR1020110112931A KR20110112931A KR20130048030A KR 20130048030 A KR20130048030 A KR 20130048030A KR 1020110112931 A KR1020110112931 A KR 1020110112931A KR 20110112931 A KR20110112931 A KR 20110112931A KR 20130048030 A KR20130048030 A KR 20130048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arrier
holder support
cup
disposable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0398B1 (ko
Inventor
김재홍
최익승
Original Assignee
김재홍
최익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홍, 최익승 filed Critical 김재홍
Priority to KR1020110112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398B1/ko
Publication of KR20130048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03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432Handles or suspending means
    • B65D2571/00438Holes
    • B65D2571/0045Holes for h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432Handles or suspending means
    • B65D2571/00456Handles or suspending means integral with the wra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555Wrapper opening devices
    • B65D2571/00561Lines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648Elements used to form the wrapper
    • B65D2571/00654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833Other details of wrappers
    • B65D2571/00882Support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컵을 일체로 용이하게 옮길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일회용 컵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컵(2)이 끼워질 수 있도록 링형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홀더(10); 및, 상기 다수의 홀더(10)를 하나로 결속하며 상기 다수의 홀더(10)가 각각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홀더(10)와 연결된 홀더 지지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캐리어를 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컵 캐리어{DISPOSABLE CUP CARRIER}
본 발명은 다수의 컵을 일체로 용이하게 옮길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일회용 컵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페에서 직접 추출한 커피나 차 등의 음료를 일회용 컵에 담아 테이크 아웃(take-out)할 경우, 뜨겁거나 찬 음료가 든 일회용 컵에 음료의 온도가 손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홀더를 끼운다.
그리고, 한 사람이 다수의 음료를 테이크 아웃할 경우,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일회용 컵 캐리어에 다수의 음료를 한번에 담아서 이동한다.
그런데, 컵 캐리어를 이용하여 테이크 아웃할 경우, 컵 캐리어와 함께 홀더가 당연히 제공되며 컵뿐만 아니라 홀더, 컵 캐리어도 일회용이기 때문에, 테이크 아웃 서비스를 위해 제공되는 일회성 용품이 많아 음료의 원가에 부담을 주며 환경오염의 주범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될 수 있다.
또한, 컵 캐리어는 컵을 넣고 빼기 쉽도록 컵이 끼워지는 부분이 컵에 비해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컵이 흔들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될 수 있다.
또한, 일회용 컵은 용량에 따라 크기가 다르게 제작되며 테이크 아웃하는 다수의 음료 용량이 항상 같지는 않기 때문에, 컵 캐리어는 모든 용량의 컵이 모두 홀딩(holding)될 수 있도록 대용량의 컵에 맞춰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컵이 컵 캐리어 안에서 흔들리는 경우 많은 문제점이 지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홀더를 겸할 수 있는 일회용 컵 캐리어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컵(2)이 끼워질 수 있도록 링형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홀더(10); 및, 상기 다수의 홀더(10)를 하나로 결속하며 상기 다수의 홀더(10)가 각각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홀더(10)와 연결된 홀더 지지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캐리어를 제시할 수 있다.
상기 홀더(10)와 홀더 지지부(20)의 연결부분에는 상호 분리 가능토록 절취선(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 지지부(20)는 상기 홀더(10)의 상단의 일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홀더 지지부(20)는 하단이 상기 홀더(10)의 상단의 일부분에 연결되며, 상하 길이가 상기 홀더 지지부(20)의 하단과 상기 홀더(10)에 끼워진 컵(2)의 상단 사이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상기 홀더 지지부(20)는 상기 홀더 지지부(20)의 양쪽에 각각 상기 홀더(10)가 연결될 수 있도록 둘로 접혀진 구조로 이루어지며, 접힘 경계(20b)가 상단을 이루고, 자유단이 하단을 이루어 상기 홀더(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홀더 지지부(20)는 상기 홀더(10)에 끼워진 컵(2)의 상단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홀더(10)에 끼워진 컵(2)의 상부와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컵(2)의 상부 일부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 지지부(20)는 상기 오목하게 절곡 형성된 부분의 상측에 손잡이 홀(20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회용 컵 캐리어는 상하 길이가 상기 홀더 지지부(20) 및 홀더(10)의 상하 길이의 합과 동일하며, 상기 홀더(10)를 이루는 부분(22a)이 상기 컵(2)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홀더(10)를 이루는 부분(22a)과 상기 홀더 지지부(20)를 이루는 부분(22b)의 사이가 일부 절개된 전개도에 의해 형성된 캐리어 형성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회용 컵 캐리어는, 세로변이 상기 홀더 지지부(20) 및 홀더(10)의 상하 길이의 합과 동일하고 가로변이 하나의 컵(2)의 둘레길이보다 짧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홀더(10)를 이루는 부분(22a)이 상기 컵(2)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홀더(10)를 이루는 부분(22a)과 상기 홀더 지지부(20)를 이루는 부분(22b)의 사이가 일부 절개된 전개도에 의해 형성된 제1캐리어 형성부(22); 및 상기 제1캐리어 형성부(22)의 홀더(10) 부분과 함께 상기 링형의 홀더(10)를 이루도록 사각형 전개도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제1캐리어 형성부(22)와 일체로 접합되는 제2캐리어 형성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캐리어 형성부(22)는 복수의 컵(2)이 일렬로 나란히 홀딩될 수 있도록 복수가 단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캐리어 형성부(22)의 상호 홀더(10) 부분 사이가 절개될 수 있다.
상기 제1캐리어 형성부(22)는 한 쌍의 홀더(10)가 상기 홀더 지지부(20)의 양쪽에 각각 구성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제1캐리어 형성부(22)는 한 쌍의 제1캐리어 형성부(22)를 이루는 전개도가 둘로 접혀져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캐리어 형성부(22)는 각 쌍의 홀더(10)가 상호 상기 홀더 지지부(20)의 양쪽에 각각 구성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제1캐리어 형성부(22)를 이루는 전개도가 둘로 접혀져서 이루어지며, 아울러 복수 쌍의 컵(2)이 일렬로 나란히 홀딩될 수 있도록 복수 쌍이 단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캐리어 형성부(22)의 상호 홀더(10) 부분 사이가 절개됨과 아울러 접힘 경계(20b) 및 각 쌍의 홀더 지지부(20) 사이에 각각 분리 가능토록 절취선(20e,20f)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캐리어 형성부(22)는 각 쌍의 홀더(10)가 상호 상기 홀더 지지부(20)의 양쪽에 각각 구성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제1캐리어 형성부(22)를 이루는 전개도가 둘로 접혀져서 이루어지며, 아울러 복수 쌍의 컵(2)이 일렬로 나란히 홀딩될 수 있도록 복수 쌍이 단일체로 형성되며; 각 홀더 지지부(20)의 상부에 손잡이 홀(20c)이 형성됨과 아울러 십자형으로 파지 가능토록 접힘경계(20b)의 각 손잡이 홀(20c) 사이 부분에 파지 홀(20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캐리어 형성부(22)는 컵 접촉면의 반대쪽 면이 골이 진 골판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캐리어 형성부(24)는 컵 접촉면에 골이 지고 컵 접촉면의 반대쪽 면이 평면이도록 골판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홀더(10)와 홀더 지지부(20)는 상호 분리 가능토록 접착제로 상호 접착될 수 있다.
상기 홀더 지지부(20)는 본체부(200) 및, 상기 본체부(200)의 하측에 복수 구성되어 각각 홀
더(10)가 일체로 접합되며 상기 본체부(200)와의 사이에 절취선(30)이 형성된 홀더 결합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홀더가 홀더 지지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테이크 아웃시 별도로 홀더를 제공하지 않아도 되는바 홀더를 겸하는 컵 캐리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컵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홀더와 홀더 지지부 연결 상태 사시도.
도 2는 홀더와 홀더 지지부 분리 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전개도.
도 5는 도 4 전개도를 이용해 컵 캐리어를 제작하는 과정 중간 단계 모식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컵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도 6은 측면도.
도 7은 정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컵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도 8은 홀더와 홀더 지지부 연결 상태 측면도.
도 9는 홀더와 홀더 지지부 분리 상태 측면도.
도 10은 홀더와 홀더 지지부 연결 상태 정면도.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컵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도 11은 캐리어로서 사용 예 사시도.
도 12는 전개도.
도 13은 도 12의 전개도에 의해 입체화된 상태 사시도.
도 14는 컵 홀더 및 받침대로서 사용 예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컵 캐리어는 컵(2)이 끼워질 수 있도록 링형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홀더(10); 및, 다수의 홀더(10)를 하나로 결속하며 다수의 홀더(10)가 각각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홀더(10)와 연결된 홀더 지지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테이크 아웃 등과 같은 경우, 컵 캐리어의 홀더(10)에 컵(2)을 끼워서 음료를 운반하고, 운반 후에는 홀더 지지부(20)로부터 홀더(10)를 분리해서 분리된 홀더(10)에 컵(2)을 끼운 상태 그대로 음료를 즐기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컵 캐리어는 컵 캐리어 역할뿐만 아니라 음료 온도 차단용으로서 단독 홀더(10)의 역할도 겸할 수 있기 때문에, 컵 캐리어와 함께 별도로 홀더(10)가 제공되지 않아도 되는바, 테이크 아웃 서비스를 위해 제공되는 일회성 용품을 줄일 수 있어, 음료 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고, 환경을 덜 오염시킬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테이크 아웃 서비스로 제공되는 일회용 컵(2)은 용량에 따라 크기가 다르지만 정점이 잘린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일회용 컵(2)의 구조에 대응하여 홀더(10) 또한 정점이 잘린 원추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일회용 컵(2)의 용량에 따라 홀더(10)가 일회용 컵(2)에 끼워지는 상하 위치만 달라질 뿐 일회용 컵(2)의 용량에 상관없이 항상 홀더(10)가 일회용 컵(2)에 밀착될 수 있다.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컵 캐리어에 든 일회용 컵(2)은 일회용 컵(2)의 용량에 상관없이 항상 흔들림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홀더(10)와 홀더 지지부(20)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분리 가능토록 연결될 수 있다. 다만, 통상적으로 일회용 컵 캐리어는 종이 재질이 많이 제작되며, 가위 등의 별도의 도구 없이도 홀더(10)와 홀더 지지부(20)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홀더(10)와 홀더 지지부(20)의 연결부분에는 상호 분리 가능토록 절취선(30)이 형성되는 것이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즉, 홀더(10)와 홀더 지지부(20)가 단일체로 제작됨으로써 연결될 수 있고, 절취선(30)을 따라 홀더(10)와 홀더 지지부(20)를 찢어 홀더(10)와 홀더 지지부(2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홀더(10)와 홀더 지지부(20)가 절취선(30)에 의해 상호 분리되는 경우, 홀더 지지부(20)는 홀더(10)와 절취선(30)을 따라 분리되기 쉽도록, 홀더(10)의 상단의 일부분에 연결토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유리할 수 있다.
그리고, 홀더 지지부(20)는 다수의 홀더(10)를 일체로 결속하는 것과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컵 캐리어를 손으로 잡기 쉽게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홀더(10)에 끼워진 컵(2)의 상단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홀더 지지부(20)는 하단이 홀더(10)의 상단의 일부분에 연결되며, 상하 길이가 홀더 지지부(20)의 하단과 홀더(10)에 끼워진 컵(2)의 상단 사이 길이보다 더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홀더 지지부(20)는 홀더(10)에 끼워진 컵(2)의 상부와 대응되는 부분이 컵(2)의 상부 일부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절곡 형성된 오목부(20a)를 포함함으로써 홀더(10) 및 홀더 지지부(20)가 컵(2)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홀더 지지부(20)는 홀더 지지부(20)의 양쪽에 각각 홀더(10)가 연결될 수 있도록, 둘로 접혀진 구조로 이루어지며, 접힘 경계(20b)가 상단을 이루고, 자유단이 하단을 이루어 홀더(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홀더 지지부(20)는 오목부(20a)의 상측에 손잡이 홀(20c)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홀더 지지부(20)의 손잡이 홀(20c)에 손을 끼울 수 있어 손잡이로서 효율적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홀더 지지부(20)가 둘로 접혀진 구조이더라도 홀더 지지부(20)의 손잡이 홀(20c) 아래쪽을 충분히 오목하게 절곡 형성하여 오목부(20a)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홀더 지지부(20)의 손잡이 홀(20c)은 홀더 지지부(20)의 모재로부터 손잡이 홀(20c)을 형성하면서 절개된 부분(20d)이 홀더 지지부(20)의 모재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상측으로 접혀질 수 있다.
위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컵 캐리어는 특히 다음과 같이 제작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컵 캐리어는, 컵(2) 1개마다, 상하 길이가 홀더 지지부(20) 및 홀더(10)의 상하 길이의 합과 동일하며, 홀더(10)를 이루는 부분(22a)이 컵(2)을 감쌀 수 있도록 홀더(10)를 이루는 부분(22a)과 홀더 지지부(20)를 이루는 부분(22b)의 사이가 일부 절개(22c)된 전개도에 의해 형성된 제1캐리어 형성부(22)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홀더(10)와 홀더 지지부(20)를 단일체로 제작할 수 있으며, 제1캐리어 형성부(22)를 이루는 전개도를 접는 작업만으로 간단하게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컵 캐리어가 제작될 수 있다.
특히, 제1캐리어 형성부(22)를 이루는 전개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세로변(D1)이 홀더 지지부(20) 및 홀더(10)의 상하 길이의 합과 동일하고, 가로변(D2)이 하나의 컵(2)의 둘레길이보다 짧은 네각이 모두 90도인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컵 캐리어는 제1캐리어 형성부(22)의 홀더(10)를 이루는 부분(22a)과 함께 링형의 홀더(10)를 이루도록 사각형 전개도에 의해 형성되어 제1캐리어 형성부(22)와 일체로 접합되는 제2캐리어 형성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캐리어 형성부(22) 및 제2캐리어 형성부(24)를 제작시 모재를 사각형으로 균일하게 재단하면 되므로, 제1캐리어 형성부(22), 제2캐리어 형성부(24) 재단 후 사용 불가능한 잔여물이 생기지 않는바, 원가를 낮추는데 매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홀더 지지부(20)의 양쪽 중 어느 한쪽에 복수의 컵(2)이 일렬로 나란히 홀딩될 수 있도록 제1캐리어 형성부(22) 2개를 하나의 전개도에 의해 일렬로 나란히 단일체로 제작하는 것은 물론, 3개 이상의 제1캐리어 형성부(22)도 하나의 전개도에 의해 일렬로 나란히 단일체로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1캐리어 형성부(22)가 일렬로 나란히 구성되는 경우, 홀더 지지부(20)와 홀더(10)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복수의 제1캐리어 형성부(22)의 상호 홀더(10)를 이루는 부분(22a) 사이가 절개(22d)되는 것이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물론, 제1캐리어 형성부(22)는 한 쌍의 홀더(10)가 홀더 지지부(20)의 양쪽에 각각 구성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1캐리어 형성부(22)를 이루는 전개도가 둘로 접혀질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컵 캐리어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만 골판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로써,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홀더 지지부(20)와 홀더(10)는 각각 분리되어 제작된 후, 접착제(10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홀더(10)를 홀더 지지부(20)의 접착부분으로부터 뜯어냄으로써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로써,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홀더 지지부(20)는 본체부(200) 및, 본체부(200)의 하단에 복수 구성되어 각각 홀더(10)가 접착제(10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본체부(200)로부터 절취선(202)을 따라 분리 가능토록 이루어진 홀더 결합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체부(200)와 홀더 결합부(204) 간 절취선(202)을 따라 본체부(200)로부터 홀더 결합부(204)를 찢어냄으로써, 홀더(10)를 홀더 지지부(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컵 캐리어로서, 홀더(10)의 일부 및 홀더 지지부(20)의 전개도에 의해 형성되는 제1캐리어 형성부(22) 및 제1캐리어 형성부(22)와 함께 홀더(10)를 이루는 제2캐리어 형성부(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캐리어 형성부(22)는 접힘 경계(20b)에 한 쌍을 이루는 두 홀더 지지부(22)의 상호 분리가 용이토록 절취선(20e)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캐리어 형성부(22)는 복수 쌍의 컵(2)을 지지토록 이루어진 경우, 접힘 경계(20b) 뿐만 아니라 각 쌍의 홀더 지지부(20) 사이에도 상호 분리 가능토록 절취선(20f)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 지지부(20)를 절취선(20e,20f)을 따라 분리함에 따라, 각각의 홀더 지지부(20)를 컵(2)의 받침대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홀더 지지부(20)를 절취선(20e,20f)을 따라 분리 가능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컵 캐리어를 복수의 캐리어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 캐리어가 복수 쌍의 컵(2)을 지지토록 이루어지는 경우, 각 홀더 지지부(20)의 상부에 손잡이 홀(20c)이 형성됨과 아울러 접힘경계(20b)의 각 손잡이 홀(20c) 사이 부분에 파지 홀(20g)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컵 캐리어는 두 쌍의 컵(2)을 지지토록 이루어진 경우, 접힘경계(20b)의 중앙에 파지 홀(20g)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파지 홀(20g)을 중심으로 4개의 손잡이 홀(20c)를 함께 손으로 움키어 쥐면 파지 홀(20g) 부분이 십자형으로 파지(把持)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컵 캐리어를 용이하게 손으로 잡을 수 있다. 또한, 파지 홀(20g)이 형성되어 있어 각 홀더 지지부(20)를 절취선(20e,20f)을 따라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다.
또한, 제1캐리어 형성부(22)는 홀더(22) 등을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컵 접촉면의 반대쪽 면(22i)에 골이 질 수 있도록 골판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캐리어 형성부(24)는 컵의 미끄럼 방지를 위해 컵 접촉면(24i)에 골이 지고, 브랜드, 디자인 표기 등을 위해 컵 접촉면(24i)의 반대쪽 면(24j), 즉 외측면이 요철부분없이 매끄러운 평면을 이루도록 골판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홀더 지지부(20)와 홀더(22) 사이 및 한 쌍의 홀더 지지부(20) 사이, 각 쌍의 홀더 지지부(20) 사이에는 각 절취선(20e,20f,30)의 끝단 측에 절취가 용이토록 라운드(round) 모서리와 같이 절개 홈(20h)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2; 컵 10; 홀더
20; 홀더 지지부 22; 제1캐리어 형성부
24; 제2캐리어 형성부 30; 절취선

Claims (17)

  1. 컵(2)이 끼워질 수 있도록 링형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홀더(10); 및,
    상기 다수의 홀더(10)를 하나로 결속하며 상기 다수의 홀더(10)가 각각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홀더(10)와 연결된 홀더 지지부(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캐리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10)와 홀더 지지부(20)의 연결부분에는 상호 분리 가능토록 절취선(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캐리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홀더 지지부(20)는 상기 홀더(10)의 상단의 일부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캐리어.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홀더 지지부(20)는 하단이 상기 홀더(10)의 상단의 일부분에 연결되며, 상하 길이가 상기 홀더 지지부(20)의 하단과 상기 홀더(10)에 끼워진 컵(2)의 상단 사이 길이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캐리어.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홀더 지지부(20)는 상기 홀더 지지부(20)의 양쪽에 각각 상기 홀더(10)가 연결될 수 있도록 둘로 접혀진 구조로 이루어지며, 접힘 경계(20b)가 상단을 이루고, 자유단이 하단을 이루어 상기 홀더(10)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일회용 컵 캐리어.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홀더 지지부(20)는 상기 홀더(10)에 끼워진 컵(2)의 상단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홀더(10)에 끼워진 컵(2)의 상부와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컵(2)의 상부 일부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캐리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홀더 지지부(20)는 상기 오목하게 절곡 형성된 부분의 상측에 손잡이 홀(20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캐리어.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컵 캐리어는 상하 길이가 상기 홀더 지지부(20) 및 홀더(10)의 상하 길이의 합과 동일하며, 상기 홀더(10)를 이루는 부분(22a)이 상기 컵(2)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홀더(10)를 이루는 부분(22a)과 상기 홀더 지지부(20)를 이루는 부분(22b)의 사이가 일부 절개된 전개도에 의해 형성된 캐리어 형성부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캐리어.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컵 캐리어는,
    세로변이 상기 홀더 지지부(20) 및 홀더(10)의 상하 길이의 합과 동일하고 가로변이 하나의 컵(2)의 둘레길이보다 짧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홀더(10)를 이루는 부분(22a)이 상기 컵(2)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홀더(10)를 이루는 부분(22a)과 상기 홀더 지지부(20)를 이루는 부분(22b)의 사이가 일부 절개된 전개도에 의해 형성된 제1캐리어 형성부(22); 및
    상기 제1캐리어 형성부(22)의 홀더(10) 부분과 함께 상기 링형의 홀더(10)를 이루도록 사각형 전개도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제1캐리어 형성부(22)와 일체로 접합되는 제2캐리어 형성부(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캐리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캐리어 형성부(22)는 복수의 컵(2)이 일렬로 나란히 홀딩될 수 있도록 복수가 단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캐리어 형성부(22)의 상호 홀더(10) 부분 사이가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캐리어.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캐리어 형성부(22)는 한 쌍의 홀더(10)가 상기 홀더 지지부(20)의 양쪽에 각각 구성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제1캐리어 형성부(22)는 한 쌍의 제1캐리어 형성부(22)를 이루는 전개도가 둘로 접혀져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캐리어.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캐리어 형성부(22)는 각 쌍의 홀더(10)가 상호 상기 홀더 지지부(20)의 양쪽에 각각 구성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제1캐리어 형성부(22)를 이루는 전개도가 둘로 접혀져서 이루어지며, 아울러 복수 쌍의 컵(2)이 일렬로 나란히 홀딩될 수 있도록 복수 쌍이 단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캐리어 형성부(22)의 상호 홀더(10) 부분 사이가 절개됨과 아울러 접힘 경계(20b) 및 각 쌍의 홀더 지지부(20) 사이에 각각 분리 가능토록 절취선(20e,20f)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캐리어.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캐리어 형성부(22)는 각 쌍의 홀더(10)가 상호 상기 홀더 지지부(20)의 양쪽에 각각 구성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제1캐리어 형성부(22)를 이루는 전개도가 둘로 접혀져서 이루어지며, 아울러 복수 쌍의 컵(2)이 일렬로 나란히 홀딩될 수 있도록 복수 쌍이 단일체로 형성되며;
    각 홀더 지지부(20)의 상부에 손잡이 홀(20c)이 형성됨과 아울러 접힘경계(20b)의 각 손잡이 홀(20c) 사이 부분에 파지 홀(20g)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캐리어.
  1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캐리어 형성부(22)는 컵 접촉면의 반대쪽 면이 골이 진 골판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캐리어 형성부(24)는 컵 접촉면에 골이 지고 컵 접촉면의 반대쪽 면이 평면이도록 골판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캐리어.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10)와 홀더 지지부(20)는 상호 분리 가능토록 접착제로 상호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캐리어.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 지지부(20)는 본체부(200) 및, 상기 본체부(200)의 하측에 복수 구성되어 각각 홀더(10)가 일체로 접합되며 상기 본체부(200)와의 사이에 절취선(30)이 형성된 홀더 결합부(2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캐리어.
  1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홀더 지지부(20)는 상기 홀더 지지부(20)의 양쪽에 각각 상기 홀더(10)가 연결될 수 있도록 둘로 접혀진 구조로 이루어지며, 접힘 경계(20b)가 상단을 이루고, 자유단이 하단을 이루어 상기 홀더(10)와 연결되며, 접힘 경계(20b)에 분리 가능토록 절취선(20e)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일회용 컵 캐리어.


KR1020110112931A 2011-11-01 2011-11-01 일회용 컵 캐리어 KR101380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931A KR101380398B1 (ko) 2011-11-01 2011-11-01 일회용 컵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931A KR101380398B1 (ko) 2011-11-01 2011-11-01 일회용 컵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030A true KR20130048030A (ko) 2013-05-09
KR101380398B1 KR101380398B1 (ko) 2014-04-02

Family

ID=48659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931A KR101380398B1 (ko) 2011-11-01 2011-11-01 일회용 컵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3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83562A1 (en) * 2013-12-27 2015-07-02 Smartpak, Llc Beverage carrier with detachable sleev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2223756B1 (ko) 2020-12-21 2021-03-05 김주학 슬리브 겸용 캐리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897B1 (ko) 2016-02-05 2017-01-19 이순복 휴대용 컵 캐리어
KR101996165B1 (ko) * 2018-01-15 2019-07-03 손예은 컵 캐리어 장치
KR102099383B1 (ko) * 2018-03-14 2020-04-09 곽경래 컵 트레이 겸용 홀더
KR20220098509A (ko) 2021-01-04 2022-07-12 강조희 액체를 흡수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컵 홀더 겸 받침 겸 캐리어
KR102291929B1 (ko) 2021-03-09 2021-08-23 우인선 접이식 컵 캐리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7934B2 (ja) 1999-02-17 2009-04-02 日本紙パック株式会社 フランジを有するカップの連結ホルダー
US7604115B2 (en) 2002-08-06 2009-10-20 SJV Food & Beverage Carriers, Inc. Carrier and method
JP2005074087A (ja) 2003-09-02 2005-03-24 Rengo Co Ltd 紙製カップホルダー
KR20080045474A (ko) * 2006-11-20 2008-05-23 조성대 음료를 담은 컵, 병 운반 상자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83562A1 (en) * 2013-12-27 2015-07-02 Smartpak, Llc Beverage carrier with detachable sleev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WO2015100442A1 (en) 2013-12-27 2015-07-02 Smartpak, Llc Beverage carrier with detachable sleev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9327889B2 (en) * 2013-12-27 2016-05-03 Smartpak, Llc Beverage carrier with detachable sleev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160185499A1 (en) * 2013-12-27 2016-06-30 Smartpak, Llc Beverage carrier with detachable sleev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WO2016105604A1 (en) * 2013-12-27 2016-06-30 Smartpak, Llc Beverage carrier with detachable sleev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105849007A (zh) * 2013-12-27 2016-08-10 斯马特派克有限公司 具有能拆下的套筒的饮料运载器以及用于制造饮料运载器的方法
JP2017504529A (ja) * 2013-12-27 2017-02-09 スマートパック,エルエルシー 取り外し可能なスリーブを有する飲料キャリアとその作製方法
EP3087011A4 (en) * 2013-12-27 2017-05-17 Smartpak, LLC Beverage carrier with detachable sleev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9731881B2 (en) * 2013-12-27 2017-08-15 Smartpak, Llc Beverage carrier with detachable sleev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17186095A (ja) * 2013-12-27 2017-10-12 スマートパック,エルエルシー 取り外し可能なスリーブを有する飲料キャリアとその作製方法
RU2668194C2 (ru) * 2013-12-27 2018-09-26 СМАРТПЭК, ЭлЭлСи Перено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питков с отсоединяемыми втулками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2223756B1 (ko) 2020-12-21 2021-03-05 김주학 슬리브 겸용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0398B1 (ko)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398B1 (ko) 일회용 컵 캐리어
US8091702B1 (en) Integrated cup carrier
RU2668194C2 (ru) Перено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питков с отсоединяемыми втулками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EP1274630B1 (en) Configurable cup holder
EP3309092A1 (en) Environmental-friendly paper carrier for takeout cup
KR101589460B1 (ko) 컵 캐리어
KR20140136723A (ko) 음료용기 운반수단
KR101221758B1 (ko) 컵 캐리어
KR20110114967A (ko) 일회용 컵 캐리어
KR102003511B1 (ko)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컵 캐리어
KR101200164B1 (ko) 컵 캐리어
KR20180110563A (ko) 음료용기의 고정이 가능하며 재활용 가능한 테이크 아웃용 음료 홀더
US2672742A (en) Pickup holder for paper cups
KR200258661Y1 (ko) 휴대용 종이컵 홀더
KR20130006864U (ko) 컵홀더
KR20170059263A (ko) 컵 캐리어
KR200476318Y1 (ko) 컵 캐리어
KR200474336Y1 (ko) 음료 용기 캐리어
KR102667178B1 (ko) 컵 및 용기 운반용 트레이
JP3165164U (ja) 飲料カップホルダー
KR200491122Y1 (ko) 사용후 재활용 가능한 테이크 아웃용 음료 홀더
KR20120000746U (ko) 컵운반구
US20140124519A1 (en) Heat insulating cup sleeve
KR20220128819A (ko) 컵 및 용기 운반용 트레이
JP3192852U (ja) 飲料用ボトルの運搬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