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864U - 컵홀더 - Google Patents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864U
KR20130006864U KR2020120004237U KR20120004237U KR20130006864U KR 20130006864 U KR20130006864 U KR 20130006864U KR 2020120004237 U KR2020120004237 U KR 2020120004237U KR 20120004237 U KR20120004237 U KR 20120004237U KR 20130006864 U KR20130006864 U KR 201300068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holder body
support plat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수
Original Assignee
전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수 filed Critical 전상수
Priority to KR2020120004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6864U/ko
Publication of KR201300068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86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3Underlays for glasses or drinking-vessels
    • A47G23/032Underlays for glasses or drinking-vessels made of paper, board, or the like, e.g. beerm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컵의 외면을 둘러감싸는 홀더본체(20)와, 상기 홀더본체(20)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서로 접합되어 상기 컵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본체(20)에는 상기 홀더본체(20)에서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고, 컵받침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받침판(40)이 형성된다. 상기 받침판(40)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홀더본체(20)를 접고, 컵을 컵삽입공(49)에 꽂아 컵홀더 자체를 컵받침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컵홀더{A cup holder}
본 고안은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회용 컵의 냉기와 온기를 차단해주는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커피전문점과 같은 프렌차이즈의 보급으로 일회용 컵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일회용 컵과 함께 종이재질의 컵홀더의 사용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일회용 컵홀더는 주로 골판지와 같은 두꺼운 종이재질이고 원통형상으로서, 컵의 외부 면을 둘러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컵홀더를 컵에 끼우면, 컵 표면으로 전달되는 내용물의 냉기와 온기가 저감된다.
이러한 컵홀더는 중앙에 구멍이 있는 원통형상이지만 사용하기 전에는 납작하게 접힌 상태로 제공되며, 사용할 때 접힌 부분을 눌러주어 원통형상으로 만든 다음 컵을 원통 중앙 구멍에 끼워주면 된다.
하지만, 종래의 컵홀더는 단순히 컵의 측면을 한번 둘러 감싸주는 것이므로, 컵홀더의 외면으로 내용물의 냉기와 온기가 그대로 전달되어 손으로 컵을 들고 있기 어려울 때가 많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컵홀더를 두개 이상 겹쳐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자원 낭비의 원인이 된다.
특히, 내용물에 얼음이 담겨있는 경우 컵 표면에 맺히는 물방울이 흘러내려 책상이나 받쳐둔 물건을 젖게 하는 일이 많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와 컵받침이 일체로 구성된 컵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컵홀더를 변형하여 컵받침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컵의 외면을 둘러감싸는 홀더본체와, 상기 홀더본체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서로 접합되어 상기 컵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본체에는 상기 홀더본체에서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고, 컵받침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받침판이 더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받침판의 테두리를 둘러 형성되는 절개선에 다수개의 연결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연결부가 뜯어져 상기 받침판이 상기 홀더본체에서 분리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홀더본체의 중앙에 중앙접는선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은 상기 중앙접는선과 좌측손잡이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좌측손잡이부와 받침판 사이에 두줄의 좌측접는선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접는선과 우측 손잡이부 사이에 한줄의 우측접는선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받침판은 원형이며 상기 홀더본체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접는선의 좌측에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이 있는 부분이 상면이 되고, 상면의 양쪽에 양측벽이 만들어지도록 상기 홀더본체를 접은 상태에서, 상기 받침판을 분리하여 형성되는 원형의 컵삽입공에 컵을 꽂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부의 중앙에 손잡이구멍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컵홀더에 따르면, 컵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가 있으므로, 컵의 냉온기가 손에 직접 전달되지 않아 손으로 컵을 안전하게 들 수 있다.
또한, 컵홀더에서 분리판을 분리하여 컵받침으로 사용할 수 있어, 컵 표면에 생기는 물기로 인해 테이블과 같은 컵을 받쳐주는 물건이 젖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홀더본체를 접어 컵삽입공이 형성되는 상면과, 상기 상면을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양측벽을 만들 수 있고, 컵삽입공에 컵을 꽂아 컵홀더 자체를 컵받침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편의를 제공한다.
그리고, 종래에 사용되는 컵홀더에서 제조설비와 공정의 큰 변화 없이 손잡이 기능과 컵받침 기능을 추가할 수 있어, 사업성과 경제성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 컵홀더를 보인 전개도.
도 2는 본 고안 컵홀더의 접힌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고안 컵홀더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컵홀더에서 분리된 원판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컵홀더를 변형하여 컵받침으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10)는 컵의 외면을 둘러감싸는 홀더본체(20)와, 상기 홀더본체(20)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서로 접합되어 상기 컵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과 같은 본 고안 컵홀더의 전개도를 보면, 상기 홀더본체(20)는 대략 원호형상이며, 소정의 폭을 가진다. 그리고 홀더본체(20)의 양단부에 손잡이부(30)가 형성된다. 양측 손잡이부(30)의 중앙에는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도록 손잡이구멍(33)이 형성될 수도 있다.
홀더본체(20)와 손잡이부(30)는 골판지와 같은 두꺼운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열전도율이 낮은 합성수지 재질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홀더본체(20)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접는선(50)을 접으면, 상기 손잡이부(30)의 접합면(32)이 서로 겹쳐지며, 접합면(32)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합면(32)을 서로 접착시키면 본 고안 컵홀더가 사용가능한 상태로 완성된다. 컵홀더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와 같이, 본 고안 컵홀더(10)는 전개도 상태의 홀더본체(20)가 중앙접는선(50)을 중심으로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양측 접합면(32)이 서로 접착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도 2와 같이 컵홀더(10)는 납작한 상태로 제공된다. 컵홀더(10)를 사용할 때는 중앙접는선(50)을 눌러주면 된다. 중앙접는선(50)을 눌러주면, 손잡이부(30)를 제외한 홀더본체(20) 부분이 중앙에 구멍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입체적으로 변형된다. 입체적으로 변형된 홀더본체(20)의 중앙 구멍에 컵(80)에 끼워준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홀더본체(20)는 전개도 상에서 원호형상이므로, 원통형상으로 변형되었을 때에는 상단부의 지름이 하단부의 지름보다 큰 값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내용물을 포함하고 있는 컵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힘을 받게 되므로, 컵을 뒤집지 않는 이상 컵홀더가 컵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 홀더본체(20)에는 컵(80)의 밑면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받침판(40)이 분리가능하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홀더본체(20)에 원형의 절개선(45)이 점선으로 형성되는데, 즉, 받침판(40)의 테두리인 원주를 둘러 형성되는 절개선(45)에 상기 홀더본체(20)와 받침판(40)을 연결해주는 다수개의 연결부(47)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판(40)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연결부(47)가 뜯어지면서 상기 받침판(40)이 홀더본체(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받침판(40)이 분리되면, 홀더본체(20)에 컵삽입공(49)이 형성된다.
도 4와 같이, 사용자는 홀더본체(20)에서 분리한 받침판(40)을 컵의 받침으로 사용할 수 있고, 냉음료를 담은 컵의 외면에 생기는 물방울을 받침판(40)이 흡수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상기 받침판(40)에는 컵을 제공하는 매장의 이름이나 광고가 표시될 수도 있다.
도 5에는 본 고안 컵홀더를 변형하여 컵받침으로 사용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전개도를 참고하면, 상기 홀더본체(20)에는 상기 홀더본체(20)에 상면(60), 양측벽(62, 64), 저면(66)이 만들어지도록 상기 받침판(40)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다수개의 접는선(51,53,57)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좌측 손잡이부(30)와 받침판(40) 사이에 좌측접는선(51, 53)이 두줄 형성되고, 상기 중앙접는선(50)과 우측 손잡이부(30) 사이에 우측접는선(57)이 하나 형성된다. 도 5를 보면, 나중에 두 줄의 좌측접는선(51, 53) 사이가 좌측벽(62)이 되며, 상기 중앙접는선(50)과 우측접는선(57) 사이가 우측벽(64)이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40)이 형성되는 부분이 상면(60)이 되고, 상기 우측접는선(57)과 우측손잡이부(30) 사이가 저면(66)이 된다.
상기 접는선(51, 53, 50, 57)들을 모두 접어주면 컵홀더(10)가 도 5와 같은 모습으로 변형된다. 저면(66)을 바닥에 놓고, 상면(60)의 받침판(40)을 분리하면 형성되는 컵삽입공(49)에 컵을 꽂으면 컵홀더(10)가 컵을 지지해주면서 컵의 물기를 받아주는 컵받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컵홀더 20: 홀더본체
30: 손잡이부 32: 접합면
33: 손잡이구멍 40: 받침판
45: 절개선 47: 연결부
49: 컵삽입공 50: 중앙접는선
51, 53: 좌측접는선 57: 우측접는선
60: 상면 62: 좌측벽
64: 우측벽 66: 저면

Claims (6)

  1. 컵의 외면을 둘러감싸는 홀더본체(20)와,
    상기 홀더본체(20)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서로 접합되어 상기 컵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컵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20)에는 상기 홀더본체(20)에서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고, 컵받침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받침판(4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40)의 테두리를 둘러 형성되는 절개선(45)에 다수개의 연결부(47)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40)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연결부(47)가 뜯어져 상기 받침판(40)이 상기 홀더본체(20)에서 분리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20)의 중앙에 중앙접는선(50)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40)은 상기 중앙접는선(50)과 좌측손잡이부(3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좌측손잡이부(30)와 받침판(40) 사이에 두 줄의 좌측접는선(51, 53)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접는선(50)과 우측 손잡이부(30) 사이에 한줄의 우측접는선(57)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40)은 원형이며 상기 홀더본체(20)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접는선(50)의 좌측에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40)이 있는 부분이 상면(60)이 되고, 상면(60)의 양쪽에 양측벽(62, 64)이 만들어지도록 상기 홀더본체(20)를 접은 상태에서, 상기 받침판(40)을 분리하여 형성되는 원형의 컵삽입공(49)에 컵을 꽂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6.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30)의 중앙에 손잡이구멍(33)이 관통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KR2020120004237U 2012-05-21 2012-05-21 컵홀더 KR2013000686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237U KR20130006864U (ko) 2012-05-21 2012-05-21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237U KR20130006864U (ko) 2012-05-21 2012-05-21 컵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864U true KR20130006864U (ko) 2013-11-29

Family

ID=52434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237U KR20130006864U (ko) 2012-05-21 2012-05-21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686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438A (ko) 2017-09-23 2019-04-02 서상준 컵받침과 캐리어 기능이 있는 컵홀더
KR20190073720A (ko) 2017-12-19 2019-06-27 한기용 접이식 컵홀더
KR102039098B1 (ko) 2019-03-14 2019-10-31 김태윤 컵받침을 분리가능하게 한 컵홀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438A (ko) 2017-09-23 2019-04-02 서상준 컵받침과 캐리어 기능이 있는 컵홀더
KR20190073720A (ko) 2017-12-19 2019-06-27 한기용 접이식 컵홀더
KR102039098B1 (ko) 2019-03-14 2019-10-31 김태윤 컵받침을 분리가능하게 한 컵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0353B1 (en) Cup sleeve with handle
KR101380398B1 (ko) 일회용 컵 캐리어
KR20130006864U (ko) 컵홀더
KR20120052215A (ko) 일회용 컵슬리브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36723A (ko) 음료용기 운반수단
KR20130006673U (ko) 일회용 컵슬리브
KR20140028487A (ko) 일회용 컵의 홀더
KR20180116734A (ko)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컵홀더
KR101486190B1 (ko) 절첩식 컵
KR101543513B1 (ko) 식품용 다용도 포장박스
CA2858045C (en) Cup sleeve with handle
KR20110097105A (ko) 홀더가 있는 일회용 컵
KR101719068B1 (ko) 자원절약형 안전 컵홀더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4128396A (ja) 折畳容器
JP3219626U (ja) ジョッキ型をした組立てカップホルダー
JP6288994B2 (ja) 組立式の容器、及び該容器で構成される組立式のゴミ箱
WO2011079427A1 (zh) 置杯架结构
KR102175815B1 (ko)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컵 홀더
KR20120102970A (ko) 컵홀더
JPH0110370Y2 (ko)
KR101821283B1 (ko) 드립 백 임시 보관 겸용 포장 상자
GB2369769A (en) Fold-flat tray
JP6843507B2 (ja) ホルダ
TWM396265U (en) Foldable-type beverage cup holder
TWM499849U (zh) 複合式杯套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