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8487A - 일회용 컵의 홀더 - Google Patents

일회용 컵의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8487A
KR20140028487A KR1020120094883A KR20120094883A KR20140028487A KR 20140028487 A KR20140028487 A KR 20140028487A KR 1020120094883 A KR1020120094883 A KR 1020120094883A KR 20120094883 A KR20120094883 A KR 20120094883A KR 20140028487 A KR20140028487 A KR 20140028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up
holder body
disposable cup
dispos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군영
Original Assignee
두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4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8487A/ko
Publication of KR20140028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7Embossing, i.e. producing impressions formed by locally deep-drawing, e.g. using roll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일회용 컵의 홀더가 개시된다. 개시된 일회용 컵의 홀더는, 내부에 음료를 수용하는 일회용 컵의 외주면을 감싸며 음료와 컵 간의 열 전달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상단이 넓고 하단이 좁은 상하 개방구를 지니며, 상측 개방구를 통해 컵이 내부에 삽입되고, 컵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밀착되도록 그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홀더 본체를 포함하며, 홀더 본체는 단겹의 종이 원단으로 이루어지며, 단열을 위한 엠보싱 돌기가 전면(全面)에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컵의 홀더 {HOLDER FOR DISPOSABLE CUP}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회용 컵의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이컵 또는 투명 플라스틱 컵 등과 같은 일회용 컵의 외주면을 감싸는 일회용 컵의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주스, 물 등의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 종이컵, 투명 플라스틱 컵, 유리컵 등의 다양한 컵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컵이 별도의 손잡이가 없는 종이컵 또는 투명 플라스틱 컵 등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뜨거운 커피나 차가운 주스 등을 컵에 수용하여 음용 할 때에 컵의 내부에 수용된 뜨거운 음료로부터 열이 전달되거나 차가운 음료에게 열을 빼앗기면서, 컵의 외주면이 뜨거워지거나 차가워져 사용자가 컵을 잡고 있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같은 손잡이가 없는 종이컵 또는 투명 플라스틱 컵 등을 주로 사용하는 커피 전문점 등에서는 음료를 고객에게 제공할 때에, 컵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장착하여 음료와 컵 외부 간의 열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단열 컵 홀더를 함께 제공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종래의 단열 컵 홀더(20)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판재(21)의 사이에 역시 종이 재질로 이루어져 반복하여 굽어진 물결 형상을 갖는 굽힘 판재(22)를 구비한 일종의 골판지와 유사한 단열재가 컵(10)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상단과 하단에 개방구(24)를 가진 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종래의 단열 컵 홀더(20)는 한 쌍의 판재(21)와 굽힘 판재(22)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단열 효과가 발생하는 원리로서 음료와 컵 외부 간의 열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의 단열 컵 홀더(20)는 한 쌍의 판재(21)의 사이에 물결 형상의 굽힘 판재(22)를 구비한 골판지로 구성되는 바, 여러 겹의 종이 원단으로 제작됨에 따라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단열 컵 홀더(20)는 음료가 넘치거나 컵(10)의 외주면을 따라 흐를 경우, 음료에 의해 쉽게 젖어 그 내구성이 현저히 약해지고, 이에 따라 단열 기능도 거의 상실하며 그 외관도 매우 불량해지는 문제점도 있다.
특히, 습도가 높은 여름철에 차가운 음료를 수용한 컵에 장착된 경우에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차가운 컵 홀더(20)의 표면에서 액화됨으로써 컵 홀더(20)가 쉽게 젖어버려 이러한 문제점은 더욱 부각된다.
그리고, 종래의 단열 컵 홀더(20)의 외주면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판재(21)의 평평한 표면이 되므로 기본적으로 다소 미끄러울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뜨겁거나 차가워지는 단열 컵 홀더(20)를 강하게 파지하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사용자의 손에서 미끄러져 컵(10)에 수용된 음료가 쏟아지는 경우가 종종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특히, 건조하여 더욱 미끄러지기 쉽고 뜨거운 음료를 자주 마시게 되는 가을철과 겨울철에 이러한 단점은 더욱 두드러지며, 이렇게 미끄러질 것 같은 그립감은 사용자에게 불안감을 야기하기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한 면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0476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종이 원단의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며, 음료나 물에 의해 쉽게 젖지 않아 높은 내구성과 수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끄러지지 않는 향상된 그립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컵의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홀더는, 내부에 음료를 수용하는 일회용 컵의 외주면을 감싸며 음료와 컵 간의 열 전달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상단이 넓고 하단이 좁은 상하 개방구를 지니며, 상측 개방구를 통해 컵이 내부에 삽입되고, 컵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밀착되도록 그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홀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 본체는 단겹의 종이 원단으로 이루어지며, 단열을 위한 엠보싱 돌기가 전면(全面)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회용 컵의 홀더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는 상단과 하단이 원호를 그리며 펼쳐진 종이 원단에서 양단이 원호의 중심을 향해 사선 방향으로 재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회용 컵의 홀더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는 그 양단 부위에 접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회용 컵의 홀더에 있어서, 상기 양단 부위의 접합부는 상기 엠보싱 돌기가 형성되지 않고, 양면 접착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통해 상호 접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회용 컵의 홀더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의 외주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회용 컵의 홀더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는 내주면이 서로 대면한 상태로 접혀질 수 있도록 양단 부위의 일정 구간에 접는선이 상하 방향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회용 컵의 홀더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는 각각의 접는선에 의해 구획된 양측의 제1 구획부와, 이들 제1 구획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구획부들의 내주면과 대면하는 제2 구획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회용 컵의 홀더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에는 일 부분이 절개된 상태로 외측 방향으로 접혀지며, 서로 겹쳐지는 한 쌍의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회용 컵의 홀더에 있어서, 상기 각 제1 구획부에는 일 부분이 절개된 상태로 외측 방향으로 접혀지며, 서로 겹쳐지는 한 쌍의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회용 컵의 홀더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걸이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회용 컵의 홀더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회용 컵의 홀더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의 손잡이부 절개선에는 그 손잡이부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회용 컵의 홀더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획부의 손잡이부 절개선에는 그 손잡이부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회용 컵의 홀더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돌기는 컵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홀더 본체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작아지는 요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회용 컵의 홀더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돌기는 컵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홀더 본체의 둘레 방향으로 진행하는 요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회용 컵의 홀더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는 상단과 하단이 원호를 그리며 펼쳐진 종이 원단에서 양단이 원호의 중심을 향해 사선 방향으로 재단되고, 그 양단 부위에 상호 결합 가능한 제1 및 제2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회용 컵의 홀더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홀더 본체의 일측 단부에 “ㄱ”자 형태로 절개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회용 컵의 홀더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에 대응하여 상기 홀더 본체의 다른 일측 단부에 “ㄴ”자 형태로 절개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회용 컵의 홀더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돌기는 직선형, 파도 형상, 아일랜드 타입의 원형, 반원형, 다각형 및 별 형상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홀더 본체가 단겹의 종이 원단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조 공정이 단순화 되고, 재료비를 줄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홀더 본체의 외주면에 방수 기능을 하는 코팅층을 형성함에 따라, 음료가 넘쳐 컵의 외주면을 따라 흐르거나 공기 중의 수증기가 홀더 본체의 표면에서 액화되는 경우, 음료 또는 물에 의해 홀더 본체가 쉽게 젖지 않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단열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홀더 본체의 수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겹의 종이 원단 전면에 엠보싱 돌기를 형성하므로, 컵 내용물의 보온 보냉 효과(단열 효과)가 뛰어나고, 사용자의 파지에 따른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보다 향상된 그립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홀더 본체의 양단 부위에 접는선을 각각 형성하므로, 작은 부피로 납작하게 접을 수 있기 때문에 보관이 편리하다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홀더 본체에 외측 방향으로 접혀지며 서로 겹쳐지는 손잡이부를 형성하므로, 손잡이부의 걸이홀에 손가락을 끼워 홀더 본체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열 컵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단열 컵 홀더가 컵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홀더를 도시한 전개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홀더가 컵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홀더를 도시한 전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홀더를 도시한 전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홀더를 도시한 전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기술적인 사상 또는 특징 등을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참고용이므로, 실제 제품 사양과 다를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홀더를 도시한 전개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100)는 냉,온 커피, 주스, 물 등의 음료를 수용하는 일회용 종이컵 또는 투명 플라스틱 컵(1)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컵(1)은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폐쇄되며 그 개방 상단에 뚜껑이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상측 개방단에서 하측 폐쇄단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컵의 홀더(100)는 컵(1)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끼워지면서 뜨거운 음료에 의해 사용자의 손에 화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하고, 음료와 컵 간의 열 전달을 차단(단열)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회용 컵의 홀더(100)는 종이 재질의 원단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며, 음료나 물에 의해 쉽게 젖지 않아 높은 내구성과 수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끄러지지 않는 향상된 그립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홀더(100)는 기본적으로, 컵(1)의 외주면을 감싸며 그 외주면에 밀착되는 종이 재질의 홀더 본체(11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홀더 본체(110)는 상단이 넓고 하단이 좁은 상하 개방구(111)를 지니며, 상측의 개방구(111)를 통해 컵(1)이 내부에 삽입되고, 컵(1)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밀착되도록 그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더 본체(110)는 상단과 하단이 원호를 그리며 펼쳐진 종이 원단에서 양단이 원호의 중심을 향해 사선 방향으로 재단되고, 그 재단된 양단 부위가 상호 접착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종이 원단의 양단 부위에는 접합부(121)가 구비되는 바, 이들 접합부(121)는 양면 접착 테이프(125) 혹은 접착제에 의해 상호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홀더 본체(110)는 종이 원단 양단 부위의 접합부(121)가 양면 접착 테이프(125) 또는 접착제를 통해 상호 접착됨으로, 상단과 하단에 개방구(111)가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그 상단과 하단의 개방구(111)는 홀더 본체(1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서로 연통된다.
이 경우, 상기 홀더 본체(110)는 이의 내주면이 서로 대면되도록 납작하게 접었을 때를 기준으로, 그 평면 형상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는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 원형의 지름이 작아지는 컵(1)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따라 홀더 본체(110)의 상단에 형성되는 개방구(111)는 하단에 형성되는 개방구(111) 보다 크게 구비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서로 대면된 내주면을 벌리게 되면, 홀더 본체(110)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게 되므로, 상측 개방구(111)를 통해 컵(1)의 하부를 그 공간으로 삽입 수용 또는 관통 수용하게 되면, 홀더 본체(110)는 내주면이 컵(1)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그 외주면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홀더 본체(110)는 내주면이 서로 대면한 상태로 납작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양단 부위의 일정 구간에 접는선(131)이 상하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홀더 본체(110)는 도 5에서와 같이 각각의 접는선(131)에 의해 구획된 양측의 제1 구획부(141)와, 이들 제1 구획부(141) 사이에 위치하며 제1 구획부들(141)의 내주면과 대면하는 제2 구획부(142)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홀더 본체(110)의 양단 부위에 접는선(131)을 각각 형성하므로, 작은 부피로 납작하게 접을 수 있기 때문에 보관이 편리하다는 잇점이 있다.
이와 같은 홀더 본체(110)는 접는선(131)을 따라 납작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그 접는선(131)을 따라 사용자에 의해 펼쳐짐으로써 상하 측의 개방구(111)를 벌어지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홀더 본체(110)는 단겹의 종이 원단으로 이루어지며, 단열을 위한 엠보싱 돌기(151)가 그 종이 원단의 전면(全面)에 형성 및 분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엠보싱 돌기(151)가 단겹의 종이 원단에 요철 형태로 형성되는 바, 엠보싱 돌기 형상이 형성된 압착 설비로서 종이 원단을 압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 본체(110)의 외주면인 종이 원단의 한 쪽면에는 음료 또는 물에 의해 종이 원단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수 기능을 하는 코팅층(161: 도 4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161)은 불투수성 수지인 폴리에틸렌 혹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불투수성 수지를 녹여서 종이 원단의 한 쪽면에 흡수되도록 열융착시킴으로써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층(161)은 종이컵 등에 널리 사용되는 공지 기술의 코팅 소재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엠보싱 돌기(151)는 컵(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홀더 본체(11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작아지는 요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홀더 본체(110)의 접합부(121)에는 엠보싱 돌기(151)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양면 접착 테이프(125) 또는 접착제에 의한 접합부(121)의 접합력 상실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엠보싱 돌기(151)를 홀더 본체(11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한 이유는 상단과 하단이 원호를 그리고 있기 때문이며, 더 나아가서는 사용자가 홀더 본체(110)의 외주면을 강하게 파지하지 않더라도 그 홀더 본체(110)가 하측으로 미끄러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대안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엠보싱 돌기(151)를 홀더 본체(11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작아지는 요철 형태의 직선 형상으로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선형이 아닌 파도 형상, 아일랜드 타입의 원형, 반원형, 다각형, 별 형상 및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홀더 본체(110)가 단겹의 종이 원단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조 공정이 단순화 되고, 재료비를 줄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홀더 본체(110)의 외주면에 방수 기능을 하는 코팅층(161)을 형성함에 따라, 음료가 넘쳐 컵(1)의 외주면을 따라 흐르거나 공기 중의 수증기가 홀더 본체(110)의 표면에서 액화되는 경우, 음료 또는 물에 의해 홀더 본체(110)가 쉽게 젖지 않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단열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홀더 본체(110)의 수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겹의 종이 원단 전면에 엠보싱 돌기(151)를 형성하므로, 컵(1) 내용물의 보온 보냉 효과(단열 효과)가 뛰어나고, 사용자의 파지에 따른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보다 향상된 그립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홀더 본체(110)의 제1 구획부(141) 각각에는 일 부분이 절개된 상태로 외측 방향으로 접혀지며, 서로 겹쳐지는 한 쌍의 손잡이부(2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부(211)는 홀더 본체(110)를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홀더 본체(110)의 제1 구획부(141)에 귀 형태로 절개되며, 손잡이부(211)의 절개선(221: 이하 도 6 참조)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211)에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걸이홀(21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홀더 본체(110)를 컵(1)의 외주면에 끼운 상태에서 제1 구획부(141)의 각 손잡이부(211)를 외측 방향으로 접어 서로 겹쳐지게 한 후, 그 손잡이부들(211)의 걸이홀(213)에 손가락을 끼워 홀더 본체(110)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홀더 본체(110)를 컵(1)의 외주면에 끼운 상태에서, 손잡이부(211)를 사용하지 않고, 홀더 본체(110) 전체를 파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홀더(100)에 대한 제작 과정 및 사용 상태를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하기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 쪽 면에 코팅층(161)이 형성되고 상단과 하단이 원호를 그리며 펼쳐진 종이 원단을 제공하며, 그 종이 원단의 양단을 원호의 중심을 향해 사선 방향으로 재단한다.
그리고 나서, 종이 원단의 양단 부위에 일정 구간으로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는 접는선(131)을 형성하는 바, 이에 따라 그 종이 원단은 접는선(131)에 의해 구획된 양측의 제1 구획부(141)와, 이들 제1 구획부(141) 사이에 위치하며 제1 구획부들(141)의 내주면과 대면하는 제2 구획부(142)로 구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종이 원단의 전면(全面)에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작아지는 요철 형태의 엠보싱 돌기(151)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하는데, 엠보싱 돌기 형상이 형성된 압착 설비로서 종이 원단을 압착함으로써 상기 엠보싱 돌기(151)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종이 원단의 양측 단부에는 상호 접합되는 접합부(121)를 제공하는 바, 그 접합부(121)에는 엠보싱 돌기(151)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종이 원단의 제1 구획부들(141)에 일 부분 절개된 손잡이부(211)를 형성하는 바, 그 손잡이부(211)에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걸이홀(213)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종이 원단 양측의 접합부(121) 중 어느 하나에 양면 접착 테이프(125) 또는 접착제를 부착 또는 도포한 상태에서 그 양면 테이프(125) 또는 접착제로서 접합부(121)를 접착시키게 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홀더 본체(110)의 제조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 본체(110)는 양단 부위에 접는선(131)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접는선(131)을 따라 납작하게 접혀질 수 있으며, 그 접는선(131)을 따라 펼쳐짐으로써 상하 측의 개방구(111)를 벌어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 본체(110)를 벌리고 상측의 개방구(111)를 통해 컵(1)의 하부를 그 공간으로 삽입 수용하게 되면, 그 홀더 본체(110)는 내주면이 컵(1)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컵(1)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홀더 본체(110)를 컵(1)의 외주면에 끼운 상태에서 제1 구획부(141)의 각 손잡이부(211)를 외측 방향으로 접어 서로 겹쳐지게 한 후, 그 손잡이부들(211)의 걸이홀(213)에 손가락을 끼워 홀더 본체(110)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7에서와 같이, 홀더 본체(110)를 컵(1)의 외주면에 끼운 상태에서, 손잡이부(211)를 사용하지 않고, 홀더 본체(110) 전체를 파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홀더를 도시한 전개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홀더(200)는 전기 실시예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파지홈(311)이 구비된 손잡이부(211)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파지홈(311)은 홀더 본체(110)의 제1 구획부(141)에 손잡이부(211)를 형성하는 절개선(221)에 대응하여 그 손잡이부(211)의 가장자리 부분에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211)에 파지홈(311)을 구성하므로, 그 파지홈(311)을 통해 손잡이부(211)를 쉽게 파지하여 외측 방향으로 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홀더(2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전기 실시예에서와 같으므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홀더를 도시한 전개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홀더(300)는 전기 제1 실시예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손잡이부(211)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홀더 본체(110)의 제1 구획부(141)에 파지홈(411)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파지홈(411)은 홀더 본체(110)의 제1 구획부(141)에서 손잡이부(211)를 형성하는 절개선(221)에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홀더 본체(110)의 제1 구획부(141)에 파지홈(411)을 구성하므로, 그 파지홈(411)을 통해 손잡이부(211)를 쉽게 파지하여 외측 방향으로 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홀더(3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전기 실시예들에서와 같으므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홀더(400)는 전기 실시예들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엠보싱 돌기(551)가 컵(1)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홀더 본체(110)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엠보싱 돌기들(551)은 홀더 본체(110)의 둘레 방향으로 진행하는 요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엠보싱 돌기들(551)은 홀더 본체(110)의 둘레 방향으로 진행하며, 컵(1)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엠보싱 돌기들(551)이 홀더 본체(110)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하므로, 사용자의 파지에 따른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더욱 향상된 그립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홀더(4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전기 실시예들에서와 같으므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홀더를 도시한 전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홀더(500)는 양면 접착 테이프(125)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부(121)를 접착하는 전기 실시예들에서와 달리, 그 접합부(121)가 상호 결합 가능한 홀더 본체(11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홀더 본체(110)의 접합부(121)에 각각 형성되며 상호 결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결합부(611, 6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결합부(611)는 홀더 본체(110)의 일측 단부 접합부(121)에 “ㄱ”자 형태로 절개된 것이며, 제2 결합부(612)는 홀더 본체(110)의 다른 일측 단부 접합부(121)에 “ㄴ”자 형태로 절개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611, 612)가 형성된 홀더 본체(110)의 각 접합부(121)에는 엠보싱 돌기(151: 도면에 일점 쇄선으로 표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접합부(121)를 마주한 상태에서 제1 결합부(611)와 제2 결합부(612)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홀더 본체(110)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양면 접착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합부(125)를 접착하지 않고, 제1 및 제2 결합부(611, 612)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홀더 본체(110)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전체 홀더(500)의 제조 공정이 더욱 단순화되고, 재료비 등의 제조 원가를 더욱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의 홀더(5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전기 실시예들에서와 같으므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컵 110… 홀더 본체
111… 개방구 121… 접합부
125… 양면 접착 테이프 131… 접는선
141… 제1 구획부 142… 제2 구획부
151, 551… 엠보싱 돌기 161… 코팅층
211… 손잡이부 213… 걸이홀
221… 절개선 311, 411… 파지홈
611… 제1 결합부 612… 제2 결합부

Claims (16)

  1. 내부에 음료를 수용하는 일회용 컵의 외주면을 감싸며 음료와 컵 간의 열 전달을 차단하는 일회용 컵의 홀더로서,
    상단이 넓고 하단이 좁은 상하 개방구를 지니며, 상측 개방구를 통해 컵이 내부에 삽입되고, 컵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밀착되도록 그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홀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 본체는 단겹의 종이 원단으로 이루어지며, 단열을 위한 엠보싱 돌기가 전면(全面)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의 홀더.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는,
    상단과 하단이 원호를 그리며 펼쳐진 종이 원단에서 양단이 원호의 중심을 향해 사선 방향으로 재단되고, 그 양단 부위에 접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의 홀더.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 부위의 접합부는 상기 엠보싱 돌기가 형성되지 않고, 양면 접착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통해 상호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의 홀더.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의 외주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의 홀더.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는,
    내주면이 서로 대면한 상태로 접혀질 수 있도록 양단 부위의 일정 구간에 접는선이 상하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의 홀더.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는,
    각각의 접는선에 의해 구획된 양측의 제1 구획부와, 이들 제1 구획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구획부들의 내주면과 대면하는 제2 구획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의 홀더.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에는 일 부분이 절개된 상태로 외측 방향으로 접혀지며, 서로 겹쳐지는 한 쌍의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의 홀더.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 구획부에는 일 부분이 절개된 상태로 외측 방향으로 접혀지며, 서로 겹쳐지는 한 쌍의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의 홀더.
  9.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걸이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의 홀더.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의 홀더.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의 손잡이부 절개선에는 그 손잡이부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의 홀더.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돌기는 컵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홀더 본체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작아지는 요철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의 홀더.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돌기는 컵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홀더 본체의 둘레 방향으로 진행하는 요철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의 홀더.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는,
    상단과 하단이 원호를 그리며 펼쳐진 종이 원단에서 양단이 원호의 중심을 향해 사선 방향으로 재단되고,
    그 양단 부위에 상호 결합 가능한 제1 및 제2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의 홀더.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홀더 본체의 일측 단부에 “ㄱ”자 형태로 절개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홀더 본체의 다른 일측 단부에 “ㄴ”자 형태로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의 홀더.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돌기는 직선형, 파도 형상, 아일랜드 타입의 원형, 반원형, 다각형 및 별 형상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의 홀더.
KR1020120094883A 2012-08-29 2012-08-29 일회용 컵의 홀더 KR20140028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883A KR20140028487A (ko) 2012-08-29 2012-08-29 일회용 컵의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883A KR20140028487A (ko) 2012-08-29 2012-08-29 일회용 컵의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487A true KR20140028487A (ko) 2014-03-10

Family

ID=50641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883A KR20140028487A (ko) 2012-08-29 2012-08-29 일회용 컵의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848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108A (ko) 2015-02-06 2016-08-17 홍영근 핫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보온 일회용 컵
KR20170011936A (ko) 2015-07-22 2017-02-02 홍영근 핫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보온 일회용 컵
WO2019078457A1 (ko) * 2017-10-20 2019-04-25 울산과학기술원 컵 홀더
KR20190054245A (ko) 2017-11-13 2019-05-22 최해용 고선명 가상현실 입체 영상 확대장치
KR20190001928U (ko) * 2018-01-22 2019-07-31 장길황 컵 홀더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108A (ko) 2015-02-06 2016-08-17 홍영근 핫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보온 일회용 컵
KR20170011936A (ko) 2015-07-22 2017-02-02 홍영근 핫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보온 일회용 컵
WO2019078457A1 (ko) * 2017-10-20 2019-04-25 울산과학기술원 컵 홀더
KR20190044319A (ko) * 2017-10-20 2019-04-30 울산과학기술원 컵 홀더
KR20190054245A (ko) 2017-11-13 2019-05-22 최해용 고선명 가상현실 입체 영상 확대장치
KR20190001928U (ko) * 2018-01-22 2019-07-31 장길황 컵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8487A (ko) 일회용 컵의 홀더
US20100181328A1 (en) Protective sleeve
JP6292456B2 (ja) 円錐形容器
US10531754B2 (en) Modified folding disposable coffee cup sleeve
US20070295738A1 (en) Double rimmed beverage cup and holder
CA2745906C (en) Sleeve for a container
KR101707467B1 (ko) 일회용 컵홀더
US10888185B2 (en) Beverage system
TWM509601U (zh) 具隔熱及止滑作用的飲料杯
US10752401B2 (en) Lifting handle
KR101200919B1 (ko) 보온 보냉 컵홀더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03713U (ko) 컵 홀더
KR20160001241U (ko) 음료용 컵홀더
TWM578683U (zh) Cup construction
KR20130006864U (ko) 컵홀더
JP2009113864A (ja) ホルダー
JP4233329B2 (ja) コップホルダー
US20040262483A1 (en) Scald-preventive disposable cup holder
KR20100011199U (ko) 컵 홀더
US9888798B1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WO2013152606A1 (zh) 隔热杯套
KR20120001792U (ko) 손잡이가 형성된 컵 홀더
TWM503163U (zh) 隔熱杯套
KR101209942B1 (ko) 종이컵
JP6313967B2 (ja) 容器用スリーブ及び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