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108A - 핫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보온 일회용 컵 - Google Patents

핫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보온 일회용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108A
KR20160097108A KR1020150082563A KR20150082563A KR20160097108A KR 20160097108 A KR20160097108 A KR 20160097108A KR 1020150082563 A KR1020150082563 A KR 1020150082563A KR 20150082563 A KR20150082563 A KR 20150082563A KR 20160097108 A KR20160097108 A KR 20160097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able cup
base material
hot
pack hold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근
Original Assignee
홍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영근 filed Critical 홍영근
Publication of KR20160097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Abstract

본 발명은 핫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보온 일회용 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재나 축열재가 충진된 핫팩으로 홀더를 구성하여 일회용 컵의 외측을 감싸거나 바닥을 지지함으로써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핫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보온 일회용 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팩 홀더는 내피와 외피로 이루어지는 모재 내부에 산화 반응에 의해 일정시간 발열이 지속되는 발열재가 충진 수용되는 것으로서, 일회용 컵의 외주면을 감싸거나 바닥을 지지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 일회용 컵은, 상기 핫팩 홀더와, 상부가 개방되고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서, 내부에 뜨꺼운 음료를 담을 수 있도록 측벽과 바닥이 구비되는 일회용 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핫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보온 일회용 컵 {HOT PACK HOLDER AND HEAT INSULATING DISPOSABLE CUP PROVIDED IT}
본 발명은 핫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보온 일회용 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재나 축열재가 충진된 핫팩으로 홀더를 구성하여 일회용 컵의 외측을 감싸거나 바닥을 지지함으로써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핫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보온 일회용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뜨거운 커피, 차(茶) 등의 음료를 담는 일회용 컵은 위생상 그 재질이 인체에 무해한 천연 펄프나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천연펄프의 경우 그 표면이 코팅 처리되어 음료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일회용 컵은 라면 등의 일회용 즉석식품에도 적용되고, 특히 자판기나 커피 매장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통상 종이재질의 일회용 컵이 널리 사용된다.
상기 종이재질의 종래 일회용 컵은 단일의 비교적 얇은 종이를 상부가 개방된 테이퍼진 원형 등의 형상을 하게 된다.
상기 일회용 컵은 측벽과 바닥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측벽은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벤딩되어 양단이 열융착 등에 의해 접착된다.
상기 바닥은 둘레부분 일정길이만큼이 하향 절곡되고, 측벽의 하단부가 밀착되어 열융착에 의해 접착된다.
즉, 종래의 일회용 컵은 양면에 코팅된 종이재질로 구비되되, 컵의 측벽 양단이 일정길이만큼 중첩되어 열융착되고, 컵의 바닥은 측벽의 하단 일정길이만큼 절곡되어 측벽의 하단부와 열융착됨으로써 일회용 컵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음료)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일회용 컵의 경우, 그 외주면이 완만한 원주상의 매끈한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어 뜨거운 음료가 담긴 일회용 컵을 손으로 잡았을 때, 컵의 외주면이 매우 뜨거워 손으로 잡기가 어렵거나, 또는 너무 뜨거운 나머지 컵을 떨어뜨려 음료를 엎지르거나 심지어 화상을 입게 되는 경우까지 종종 발생하게 되고,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들의 경우에는 사용시마다 항상 불안감을 갖고 사용하게 되는 실정에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일회용 컵은 비교적 얇은 단일의 종이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보온 효과가 매우 낮으므로 사용중 음료가 쉽게 식게 되는 등으로 뜨거운 음료 본연의 맛을 그대로 보존시키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번호 제10-2012-0131004호에는 이중구조를 갖는 일회용 컵이 개시되어 있는바, 이 선행특허는 측벽을 구성하는 내, 외지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이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내부 수용공간에 담기는 내용물의 보온 및 보냉 효과를 갖고 뜨거운 내용물이 담겨도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바쁜 현대인들은 커피 전문점에 앉아서도 커피를 마시지만, 이미 보편화된 테이크 아웃(take-out) 방식에 따라 커피를 들고다니면서도 마시게 된다.
이때, 일회용 종이컵을 커피용기로 사용하게 되는데, 그 내용물, 예컨대 방금 제조된 커피가 상당히 뜨겁기 때문에 커피 내용물의 뜨거운 열기로부터 손을 보호하기 위해 골판지 재질의 컵 홀더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공개번호 제10-2014-0028487호에는 일회용 컵의 홀더가 개시되어 있는바, 이 선행특허는 내부에 음료를 수용하는 일회용 컵의 외주면을 감싸며 음료와 컵 간의 열 전달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컵 내용물의 보온 보냉 효과(단열 효과)가 뛰어나고, 사용자의 파지에 따른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선행특허들은 보온 효과에 있어서, 뜨거운 온도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개시되어 있지 않아서 그 효과가 오래가지 못하였다.
특히, 추운 겨울에 뜨거운 음료를 일회용 컵에 담아 실외에서 이동하면서 마시는 경우에는 외부의 추운 날씨에 의해 음료가 쉽게 식어버려 보온을 유지하는 시간이 더 단축되어 그 효과가 오래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번호 제10-2012-0131004호(공개일자 2012년12월04일) 공개번호 제10-2014-0028487호(공개일자 2014년03월10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발열재나 축열재가 충진된 핫팩으로 일회용 컵의 내부 수용공간에 담기는 음료의 보온 지속시간을 현저히 증대시킴으로써 따뜻한 음료를 보다 오랫동안 맛있게 즐길 수 있는 핫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보온 일회용 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공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발열재나 축열재가 충진된 핫팩으로 홀더를 구성하여 일회용 컵의 외측을 감싸거나 바닥을 지지함으로써 내부 수용공간의 뜨거운 온도가 홀더까지 전달되지 못하여 뜨거운 음료가 담긴 일회용 컵을 별도의 도구 없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핫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보온 일회용 컵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팩 홀더는, 내피와 외피로 이루어지는 모재 내부에 산화 반응에 의해 일정시간 발열이 지속되는 발열재가 충진 수용되는 것으로서, 일회용 컵의 외주면을 감싸거나 바닥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회용 컵의 외주면을 감싸는 핫팩 홀더는 상방은 넓고 하부는 좁게 상하가 개방되고, 외피는 평평하고 내피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내피에는 곡선형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재는 양단이 분리되고 소정의 높이와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모재의 일단 내피와 타단 외피에 벨크로 테이프가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되는 모재의 양단 부위에는 모재 내부에 발열재가 충진 수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재는 양단이 분리되고 소정의 높이와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모재의 양단이 신축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재의 상부의 길이는 하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회용 컵의 바닥을 지지하는 핫팩 홀더는 지지부재에 형성된 지지홈에 삽탈 가능하게 내입된 상태에서 일회용 컵의 바닥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홈에 일회용 컵의 하부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얻은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보온 일회용 컵은, 상부가 개방되고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서, 내부에 뜨꺼운 음료를 담을 수 있도록 측벽과 바닥이 구비되는 일회용 컵; 및
상술한 어느 하나의 핫팩 홀더;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일회용 컵의 상부에는 보온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발열재나 축열재가 충진된 핫팩으로 일회용 컵의 내부 수용공간에 담기는 음료의 보온 지속시간을 현저히 증대시킴으로써 따뜻한 음료를 보다 오랫동안 맛있게 즐길 수 있다.
또한, 발열재나 축열재가 충진된 핫팩으로 홀더를 구성하여 일회용 컵의 외측을 감쌈으로써 내부 수용공간의 뜨거운 온도가 홀더까지 전달되지 못하여 뜨거운 음료가 담긴 일회용 컵을 별도의 도구 없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 일회용 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핫팩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핫팩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온 일회용 컵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 일회용 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온 일회용 컵은 일회용 컵(10)과 핫팩 홀더(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일회용 컵(10)은 단일의 비교적 얇은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을 상부가 개방된 테이퍼진 원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측벽(14)과 바닥(16)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측벽(14)의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원형 형상을 하고, 바닥(16)은 상기 측벽(14)의 하단부에 접착되어 측벽(14)의 하방을 밀폐시켜 일회용 컵(10)의 수용고안(12)에 담긴 음료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에 더해 측벽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덮개(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일회용 컵(10)의 상부를 덮어줌으로써 일회용 컵(10)에 담긴 음료의 보온 효과가 더 향상되며 이동시에 음료가 쏟아지지 않게 할 수도 있다.
일회용 컵(10)의 외주면 즉, 측벽(14)을 외부에서 감싸 외부의 핫팩에서 발생한 온기를 일회용 컵(10)에 담긴 내부의 음료에 전달하는 핫팩 홀더(20)는 모재(22)와 발열재(24)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재(22)는 부직포, 펄프 및, 천 등과 같은 플렉서블(flexible) 형태의 임의의 재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내부에 발열재(24)가 충진 수용된다.
이때 상기 발열재(24)가 충진 수용된 모재(22)의 외피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평평하고, 내피는 절곡이 용이하도록 곡선형 요철이 형성되어 결국 곡선형 요철 내부에 발열재(24)가 충진 수용된다.
이때 상기 모재(22)의 외피는 내피보다 그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발열재(24)에서 발생한 열이 외부보다는 일회용 컵(10)이 있는 내부로 더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재(24)는 일정시간이 발열이 지속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금속 분말 및 산화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금속분말은 충격에 의해 발열되는 다양한 성분 즉, 철분, 알루미늄, 칼슘 및, 칼륨 등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제는 전해질, 물(수분), 질석, 규조토 및, 활성탄 등을 포함하는 산화제(미도시)를 포함한다.
성가 전해질은 상기 금속 분말의 산화/환원 반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전자의 이동 통로가 되는 것으로,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및, 염화칼륨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활성탄은 물(수분)을 머금어 열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열재(24)는 금속 분말과 산화제가 서로 혼합되어 금속 분말이 산화 반응을 일으켜 발열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발열재(24)를 감싸는 모재(22)의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공기 속의 산소에 의해 상기 산화 반응이 지속적으로 일어난다.
상기 모재(22) 내부에는 발열재(24) 대신에 축열재나 잠열 축열재를 충진 수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핫팩 홀더(20)는 상단이 넓고 하단이 좁도록 상하가 개방되며, 개방된 상측을 통해 일회용 컵(10)이 내부에 삽입되고, 모재(24)의 내피가 일회용 컵(10)의 외주면(측벽)과 대응되는 형상을 하여 모재의 얇은 내피 즉, 곡선형 요철의 돌부가 일회용 컵(10)의 외주면에 밀착됨으로써 핫팩 홀더(20)에서 발생한 열이 외주면을 통해 바로 내부의 음료에 전달된다.
상술한 핫팩 홀더(20)의 외측에 골판지나 플라스틱 사출물 또는 실리콘 사출물 등으로 이루어진 보조 홀더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뜨거운 음료(예를 들어 커피)가 일회용 컵(10)에 수용되는 경우 핫팩 홀더(20)의 발열재(24)에서 산화 반응에 의해 지속적으로 발열하는 열이 내부의 커피에 수 시간 동안 전달됨으로써 식지 않고 오랫동안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발열재(24)에 의해 발열되는 열의 온도는 대략 65℃이고(최고 70℃ 이하), 두께가 두꺼운 모재의 외피를 통해 열이 외부로는 덜 전달되므로 손으로 핫팩 홀더(20)를 파지할 수 있고 오랫동안 파지하고 있더라도 화상을 입을 염려가 없다.
또한, 커피를 다 마신 후에 핫팩 홀더(20)는 일회용 컵(10)에서 분리하여 신체를 따뜻하게 하는 핫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핫팩 홀더의 사시도이다.
한편, 자판기에 구비되는 일회용 컵(10)은 그 사이즈가 규격화되어 있어 거의 동일한 크기이나, 커피 전문점 등에서 판매하는 일회용 컵(10)은 그 사이즈가 브랜드별로 또는 용량별로 다르다.
도 3에 나타낸 핫팩 홀더(20)는 이와 같은 일회용 컵(10)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모재(22)의 양단이 분리되고 소정의 높이와 길이를 갖는 띠 형상을 한다.
이때 모재(22)의 상부의 길이는 하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양단이 서로 맞닿는 경우 상단이 넓고 하단이 좁게 상하가 개방된다.
이때 양단에서부터 소정길이를 제외한 모재(22)의 외피는 두껍고 평평하게 형성되며, 모재(22)의 내피는 외피보다 더 얇고 곡선형 요철이 형성되어 외피와 내피 사이 즉 모재(22)의 내부에 발열재(24)가 충진 수용된다.
또한, 발열재(24)가 충진 수용되지 않은 모재(22)의 일단 내피와 타단 외피에 벨크로 테이프(26a,26b)가 각각 부착된다.
이와 같은 양단이 분리되는 띠 형상의 핫팩 홀더(20)로 일회용 컵(10)을 감싸도록 두른 후 양단의 벨크로 테이프(26a,26b)를 서로 부침으로써 일회용 컵(10)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그 외주면을 핫팩 홀더(20)로 감쌀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일회용 컵(10)에 뜨거운 음료를 담는 경우 핫팩 홀더(20)는 일회용 컵(10)에 수용된 음료의 뜨거운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발열 기능과, 일회용 컵(10)을 별도의 도구 없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파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핫팩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핫팩 홀더(20)도 일회용 컵(10)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모재(22)의 양단이 분리되고 소정의 높이와 길이를 갖는 띠 형상을 한다.
이때 모재(22)의 상부의 길이는 하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양단이 서로 맞닿는 경우 상단이 넓고 하단이 좁게 상하가 개방된다.
이때 양단에서부터 소정길이를 제외한 모재(22)의 외피는 두껍고 평평하게 형성되며, 모재(22)의 내피는 외피보다 더 얇고 곡선형 요철이 형성되어 표면과 내면 사이 즉, 모재(22)의 내부에 발열재(24)가 충진 수용된다.
또한, 발열재(24)가 충진 수용되지 않은 모재(22)의 양단은 신축성이 뛰어난 신축부재(28)에 의해 탄력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양단이 분리되는 띠 형상의 핫팩 홀더(20)의 상부에서 일회용 컵을 삽입하는 경우 신축부재(28)가 늘어나면서 일회용 컵(10)의 외주면(측벽)을 감쌈으로써 일회용 컵(10)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일회용 컵(10)에 뜨거운 음료를 담는 경우 핫팩 홀더(20)는 일회용 컵(10)에 수용된 음료의 뜨거운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발열 기능과, 일회용 컵(10)을 별도의 도구 없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파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온 일회용 컵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온 일회용 컵은, 일회용 컵(10)과 핫팩 홀더(20) 및 지지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일회용 컵(10)은 단일의 비교적 얇은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을 상부가 개방된 테이퍼진 원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측벽(14)과 바닥(16)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측벽(14)의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원형 형상을 하고, 바닥(16)은 상기 측벽(14)의 하단부에 접착되어 측벽(14)의 하방을 밀폐시켜 일회용 컵(10)의 수용공간(12)에 담긴 음료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에 더해 측벽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덮개(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일회용 컵(10)의 상부를 덮어줌으로써 일회용 컵(10)에 담긴 음료의 보온 효과가 더 향상되며 이동시에 음료가 쏟아지지 않게 할 수도 있다.
일회용 컵(10)의 바닥(16)을 지지하여 하부의 핫팩에서 발생한 온기를 일회용 컵(10)에 담긴 내부의 음료에 전달하는 핫팩 홀더(20)는 모재(22)와 발열재(24)로 이루어지고, 수평으로 거의 평평한 형상을 한다.
상기 모재(22)는 부직포, 펄프 및, 천 등과 같은 플렉서블(flexible) 형태의 임의의 재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내부에 발열재(24)가 충진 수용된다.
이때 상기 발열재(24)가 충진 수용된 모재(22)의 외피는 평평하고, 내피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재(22)의 외피는 내피보다 그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발열재(24)에서 발생한 열이 외부보다는 일회용 컵(10)이 있는 내부로 더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재(24)는 일정시간이 발열이 지속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금속 분말 및 산화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금속분말은 충격에 의해 발열되는 다양한 성분 즉, 철분, 알루미늄, 칼슘 및, 칼륨 등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제는 전해질, 물(수분), 질석, 규조토 및, 활성탄 등을 포함하는 산화제(미도시)를 포함한다.
성가 전해질은 상기 금속 분말의 산화/환원 반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전자의 이동 통로가 되는 것으로,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및, 염화칼륨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활성탄은 물(수분)을 머금어 열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열재(24)는 금속 분말과 산화제가 서로 혼합되어 금속 분말이 산화 반응을 일으켜 발열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발열재(24)를 감싸는 모재(22)의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공기 속의 산소에 의해 상기 산화 반응이 지속적으로 일어난다.
상기 모재(22) 내부에는 발열재(24) 대신에 축열재나 잠열 축열재를 충진 수용할 수 있다.
지지부재(30)는 거의 평평한 상태의 핫팩 홀더(20)가 삽탈 가능하게 내입된 상태에서 일회용 컵(10)의 바닥(16)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홈(32)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30)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얻은 사출물로서, 모재(20)나 일회용 컵(10)보다는 더 두껍게 형성되어 핫팩 홀더(20) 상부의 지지홈(32)에 일회용 컵(10)의 하부 일부가 끼워진다.
이때 핫팩 홀더(20)의 두꺼운 외피는 아래에 위치되어 지지부재(10)와 접촉하고, 얇은 내피는 위에 위치되어 일회용 컵(10)의 바닥(16)에 접촉됨으로써 핫팩 홀더(20)의 열이 주로 일회용 컵(10)의 바닥(16)을 통해 내부의 음료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30)에 핫팩 홀더(20)와 일회용 컵(10)의 하부가 일부 수용되어 지지부재(30)를 테이블 등에 올려놓은 채 음용할 수 있고, 소정 두께에 의해 열이 차단되어 지지부재(30) 자체를 손으로 들고다니면서 음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30)는 그 두께에 의해 핫팩 홀더(20)의 열과 일회용 컵(10)의 하부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국, 상기 지지부재(30)는 핫팩 홀더(20)를 내입한 상태에서 일회용 컵(10)을 지지하는 역할과 일회용 컵(100의 열이 외부로 달아나지 않도록 하는 보온 역할을 겸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뜨거운 음료(예를 들어 커피)가 일회용 컵(10)에 수용되는 경우 핫팩 홀더(20)의 발열재(24)에서 산화 반응에 의해 지속적으로 발열하는 열이 바닥(16)을 통해 내부의 커피에 수 시간 동안 전달되고 지지부재(30)가 보온 역할을 겸하게 됨으로써 식지 않고 오랫동안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발열재(24)에 의해 발열되는 열의 온도는 대략 65℃이고(최고 70℃ 이하), 두께가 두꺼운 모재(22)의 외피와 그보다 더 두꺼운 지지부재(30)를 통해 열이 외부로는 덜 전달되므로 손으로 지지부재(30)를 파지할 수 있고 오랫동안 파지하고 있더라도 화상을 입을 염려가 없다.
또한, 커피를 다 마신 후에 핫팩 홀더(20)는 지지부재(30)에서 분리하여 신체를 따뜻하게 하는 핫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일회용 컵 12: 수용공간
14: 측벽 16: 바닥
20: 핫팩 홀더 22: 모재
24: 발열재 26a,26b: 벨크로 테이프
28: 신축부재 30: 지지부재
32: 지지홈

Claims (10)

  1. 내피와 외피로 이루어지는 모재 내부에 산화 반응에 의해 일정시간 발열이 지속되는 발열재가 충진 수용되는 것으로서, 일회용 컵의 외주면을 감싸거나 바닥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팩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컵의 외주면을 감싸는 핫팩 홀더는 상방은 넓고 하부는 좁게 상하가 개방되고, 외피는 평평하고 내피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내피에는 곡선형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팩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는 양단이 분리되고 소정의 높이와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모재의 일단 내피와 타단 외피에 벨크로 테이프가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팩 홀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되는 모재의 양단 부위에는 모재 내부에 발열재가 충진 수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팩 홀더.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는 양단이 분리되고 소정의 높이와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모재의 양단이 신축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팩 홀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의 상부의 길이는 하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팩 홀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컵의 바닥을 지지하는 핫팩 홀더는 지지부재에 형성된 지지홈에 삽탈 가능하게 내입된 상태에서 일회용 컵의 바닥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홈에 일회용 컵의 하부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팩 홀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얻은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팩 홀더.
  9. 상부가 개방되고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서, 내부에 뜨꺼운 음료를 담을 수 있도록 측벽과 바닥이 구비되는 일회용 컵; 및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핫팩 홀더;
    를 포함하는 보온 일회용 컵.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컵의 상부에는 보온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일회용 컵.
KR1020150082563A 2015-02-06 2015-06-11 핫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보온 일회용 컵 KR201600971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18357 2015-02-06
KR1020150018357 2015-0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108A true KR20160097108A (ko) 2016-08-17

Family

ID=56873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563A KR20160097108A (ko) 2015-02-06 2015-06-11 핫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보온 일회용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710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443A (ko) * 2016-09-30 2018-04-09 박예나 잉크 막힘 방지 도구
KR200486399Y1 (ko) * 2016-11-09 2018-05-15 김형수 골판지의 일측면에 부직포가 합지되어 제공되는 친환경 컵 홀더
KR20180069970A (ko) 2016-12-15 2018-06-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 발열체를 이용한 발열 컵홀더
KR200488503Y1 (ko) * 2018-06-01 2019-02-12 이영원 휴대용 선풍기 홀더.
KR20230162765A (ko) 2022-05-21 2023-11-28 백재렬 보온 보냉의 기능을 가지는 컵홀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1004A (ko) 2011-05-24 2012-12-04 이찬봉 이중구조를 갖는 일회용 컵
KR20140028487A (ko) 2012-08-29 2014-03-10 두선산업 주식회사 일회용 컵의 홀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1004A (ko) 2011-05-24 2012-12-04 이찬봉 이중구조를 갖는 일회용 컵
KR20140028487A (ko) 2012-08-29 2014-03-10 두선산업 주식회사 일회용 컵의 홀더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443A (ko) * 2016-09-30 2018-04-09 박예나 잉크 막힘 방지 도구
KR200486399Y1 (ko) * 2016-11-09 2018-05-15 김형수 골판지의 일측면에 부직포가 합지되어 제공되는 친환경 컵 홀더
KR20180069970A (ko) 2016-12-15 2018-06-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 발열체를 이용한 발열 컵홀더
KR200488503Y1 (ko) * 2018-06-01 2019-02-12 이영원 휴대용 선풍기 홀더.
KR20230162765A (ko) 2022-05-21 2023-11-28 백재렬 보온 보냉의 기능을 가지는 컵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7108A (ko) 핫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보온 일회용 컵
US4463664A (en) Beverage warming apparatus
US6140614A (en) Electric drinking cup for vehicles
US4399668A (en) Individual beverage cooler
US6216909B1 (en) Stainless steel thermal cup with handle
US11350778B2 (en) Temperature control cup
US20130247591A1 (en) Thermal Container
CN204889732U (zh) 多功能保温壶
CN106724633A (zh) 一种恒温焖烧内胆及其焖烧杯
KR102268602B1 (ko) 음식포장용기
KR20140120177A (ko) 냉온 휴대용 팩
KR20170011936A (ko) 핫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보온 일회용 컵
CN217792408U (zh) 一种保温杯
CN209018321U (zh) 可快速降温的保温杯及应用于可快速降温的保温杯的内胆
CN213308841U (zh) 一种无外热源自热能量杯
JP6145665B2 (ja) 徳利用保温保冷器および保温保冷酒器セット
CN217049563U (zh) 一种具有蒸汽自加热功能及保温效果的黄酒包装
CN211443490U (zh) 便携式冷冻咖啡自热饮食套装
CN215993551U (zh) 一种便用型持续保温的杯子
US20230053400A1 (en) Beverage heating system
JP3072087U (ja) 飲料保温具
KR20180047011A (ko) 가열 장치가 구비된 컵 받침
RU936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JP3863937B2 (ja) 保冷温容器
CA2984782A1 (en) Hand warmer cup slee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