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929B1 - 접이식 컵 캐리어 - Google Patents

접이식 컵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929B1
KR102291929B1 KR1020210030903A KR20210030903A KR102291929B1 KR 102291929 B1 KR102291929 B1 KR 102291929B1 KR 1020210030903 A KR1020210030903 A KR 1020210030903A KR 20210030903 A KR20210030903 A KR 20210030903A KR 102291929 B1 KR102291929 B1 KR 102291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olding
protrusion
bridg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인선
박효성
Original Assignee
우인선
박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인선, 박효성 filed Critical 우인선
Priority to KR1020210030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929B1/ko
Priority to KR1020210106674A priority patent/KR1025321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03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 B65D71/0022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blank, and provided with vertical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03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 B65D71/0029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formed by folding one blank so as to form a tubular element in which the upper wall is provided with openings through which the articles extend partially
    • B65D71/0033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formed by folding one blank so as to form a tubular element in which the upper wall is provided with openings through which the articles extend partially with parts of the walls bent against one another so as to form a longitudinal partition for two rows of articles
    • B65D71/004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formed by folding one blank so as to form a tubular element in which the upper wall is provided with openings through which the articles extend partially with parts of the walls bent against one another so as to form a longitudinal partition for two rows of articles with individual openings for hold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4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가 담긴 컵 등을 담아 휴대할 수 있는 컵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음료를 용이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고,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간편하게 조립하여 이용이 가능하며, 캐리어 내부공간을 편의에 따라 분할하여 안정적으로 고정 및 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컵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컵 캐리어 {FOLDABLE CUP CARRIER}
본 발명은 음료가 담긴 컵 등을 담아 휴대할 수 있는 컵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음료를 용이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고,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간편하게 조립하여 이용이 가능하며, 캐리어 내부공간을 편의에 따라 분할하여 안정적으로 고정 및 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컵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페에서 판매하는 커피나 차 등의 음료는 일회용 컵에 담아 테이크 아웃(take-out) 타입으로 판매하게 되는데 한 사람이 다수의 음료를 테이크 아웃하는 경우 다수의 음료잔을 한 손으로 잡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일회용 컵 캐리어에 다수의 음료잔을 담고, 이를 통해 구매자는 캐리어만을 들고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캐리어는 재질에 따라 비닐 타입의 캐리어와 종이 타입의 캐리어로 나뉘어지는데 비닐 타입의 경우 재활용이 어렵고, 비닐로 인한 쓰레기 문제 또한 발생하기 때문에 재활용하기 쉽고, 비닐 타입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연친화적인 종이 재질로 이루어져 접어 조립되는 캐리어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술된 캐리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92294호 "음료 용기 캐리어(이하, 선행기술 1)"가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 1을 포함한 종래의 종이 캐리어는 한 쌍의 컵만을 옮길 수 있기 때문에 다수개의 컵을 옮기기에는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다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0398호 "일회용 컵 캐리어(이하, 선행기술 2)"은 다수개의 컵을 캐리어를 통해 휴대하여 옮길 수 있으나 다수의 홀더는 공중에 구비됨으로써 컵의 내장물이 움직임에 따라 내부에서 흔들려 일측으로 쏠릴 우려가 존재하며, 홀더와 연결된 지지부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기울어질 우려 또한 존재한다.
특히, 카페문화가 발달하면서 컵의 형상 또한 다양해지기 때문에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경이 정해진 홀더에 컵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가 어렵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더 나아가 카페문화의 발달과 함께 디저트 또한 다양해져 음료와 함께 구매되는 경우가 빈번한데 상술된 선행기술들과 같은 캐리어는 디저트와 음료를 함께 담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존재한다.
(선행기술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92294호 "음료 용기 캐리어" (선행기술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0398호 "일회용 컵 캐리어"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음료를 용이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고,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간편하게 조립하여 이용이 가능하며, 캐리어 내부공간을 편의에 따라 분할하여 안정적으로 고정 및 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컵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양측과 중앙이 분할되고, 중앙에 위치하는 컵을 고정할 수 있어 균형있고 안정적으로 컵의 고정 및 이동이 가능한 접이식 컵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다량의 캐리어를 서로 결합하여 다량의 컵을 한 손으로 잡고 휴대할 수 있는 접이식 컵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컵을 옮길 수 있는 컵 캐리어에 있어서,
컵이 내삽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양측면 상단 중앙에 각각 구비되며, 상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 내측에 구비되며, 하나의 손잡이 내측에 구비되는 브릿지와, 다른 손잡이 내측에 구비되는 접힘돌기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 상단 중앙을 서로 연결하는 중앙결합부;로 구성되며, 상기 브릿지의 중앙에는 컵이 끼워질 수 있는 고정홀이 구비되며, 상기 브릿지와 상기 브릿지를 중심으로 양측에 컵이 내장된다.
또한, 손잡이는 상기 본체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손이 출입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는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손잡이의 내측 상단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제1 접힘구;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손잡이의 내측 상단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 접힘구보다 돌출정도가 큰 제2 접힘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접힘구는 상기 제2 손잡이측으로 접혀지며, 상기 제2 접힘구는 상기 제1 손잡이의 상단의 하부를 감싸 상기 제1 손잡이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접혀질 수 있다.
또한, 브릿지는 상기 본체와 연결된 면에 구비된 브릿지 접힘선을 중심으로 수직되어 접혀지고, 상기 브릿지의 돌출된 말단에는, 중앙에 위치하여 돌출되고, 수직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는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돌기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돌출된 방향으로 돌출된 거치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접힘돌기는 상기 본체와 연결된 면에 구비된 결합홀 접힘선을 중심으로 수직되어 접혀지고, 상기 결합홀 접힘선의 중심측에는 상기 접힘돌기를 일부 절개한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브릿지가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수직 절곡시 상기 브릿지를 중심으로 상기 결합돌기 수직 절곡되며, 수직절곡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본체 내측으로 수직절곡된 상기 접힘돌기에 형성된 상기 결합홀 내측으로 내삽되어 상기 브릿지가 상기 접힘돌기에 결합고정되고, 상기 거치돌기는 상기 접힘돌기가 구비된 상기 본체 상단에 걸려 거치된다.
또한, 본체는 정면 일측 중앙에 정면측으로 돌출된 체결돌기; 및 정면 타측 중앙에 상기 본체 일부가 절개된 체결홀;을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캐리어가 서로 결합시 하나의 캐리어에 구비된 상기 체결돌기는 다른 캐리어게 형성된 상기 체결홀 내측으로 내삽되어 한 쌍의 상기 캐리어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개의 음료를 용이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고,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간편하게 조립하여 이용이 가능하며, 캐리어 내부공간을 편의에 따라 분할하여 안정적으로 고정 및 보관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양측과 중앙이 분할되고, 중앙에 위치하는 컵을 고정할 수 있어 균형있고 안정적으로 컵의 고정 및 이동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다량의 캐리어를 서로 결합함으로써 다량의 컵을 한 손으로 잡고 휴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컵 캐리어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컵 캐리어의 전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브릿지의 접힘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손잡이의 결합예를 부분확대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컵 캐리어가 결합되는 예시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 및 8a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컵 캐리어의 결합예를 사시도 및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컵 캐리어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컵 캐리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컵 캐리어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컵 캐리어의 전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브릿지의 접힘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손잡이의 결합예를 부분확대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컵 캐리어가 결합되는 예시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8 및 8a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컵 캐리어의 결합예를 사시도 및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컵 캐리어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컵 캐리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음료가 담긴 컵 등을 담아 휴대할 수 있는 컵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컵 캐리어(1)는 컵(C)이 내장될 수 있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양측면 상단 중앙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200) 및 상기 손잡이(200)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 상단 중앙과 연결되는 중앙결합부(3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도 2와 같이 컵 캐리어(1)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한 쌍의 정면(110)과, 한 쌍의 정면(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1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정면(110)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제1 하면(111)이 구비되고, 측면(120)의 하단 또한 하측으로 돌출된 제2 하면(120a)이 구비되어 상기 정면(110) 및 측면(120)이 접이시 제1 하면(111) 및 제2 하면(120a) 또한 접이되어 본체(100)의 바닥, 즉 하면을 이루게 된다.
제1 하면(111)은 정면(110) 하단에서 동일하게 돌출되되, 일측은 돌출정도가 더 큰 걸림턱(111a)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턱(111a)의 타측에는 제2 하면(120a)의 하면에 접착제 등을 통해 접착되어 본체(100)의 하면이 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접합면(112)이 구비된다.
제2 하면(120a)은 하단에서 상단이 절단된 역삼각형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조립시 제2 하면(120a)의 하면은 접합면(112)과 밀착되어 결합되고, 제2 하면(120a)의 상면으로는 걸림턱(111a)이 구비된다.
또한, 제1 및 2 하면(111,120a)이 접이 및 접착되어 본체(100)의 하면을 이룰시 걸림턱(111a)은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하나의 제1 하면(111)에 구비된 걸림턱(111a)은 다른 제1 하면(111)에 걸림턱(111a)이 구비되지 않은 부분의 상측에 위치하며, 다른 제1 하면(111)에 구비된 걸림턱(111a) 또한 동일하게 하나의 제1 하면(111)에서 걸림턱(111a)이 구비되지 않은 측의 상측으로 접이되어 사각 형상의 본체(100) 하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100)의 하면 상측으로 다수개의 컵(C)이나 디저트와 같은 음식 등이 올려지는 경우 하중에 의해 제1 및 2 하면(111,120a) 하면(111,120a)이 하강하게 되고, 이때 한 쌍의 제1 하면(111)에 각각 구비된 걸림턱(111a)이 서로 맞물린 상태로 구비되어 제1 및 2 하면(111,120a) 하면(111,120a)이 더이상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측에 컵(C)과 음식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체(100)의 전개도 상 일측에 위치하는 하나의 정면(110)의 일측, 즉 연결되지 않은 측면(120)의 내측면에 접착되어 정면(110), 측면(120), 정면(110), 측면(120)순으로 펼쳐진 본체(100)가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접이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접착구(113)가 측면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접착구(113)는 돌출된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좁아지는 사다리꼴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접착구(113)는 정면(110)의 양측단에 상하방향으로 수직하여 형성된 측면접힘선(110a)을 따라 연결된 정면(110)에 수직하여 접혀 반대측에 위치한 측면(120)의 내측에 접착제 등을 통해 밀착되어 결합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구(113)를 통해 본체(100)는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된 정면(110)은 측면(120)과 연결되는 측단에는 일체형으로 구비된 정면(110) 및 측면(120)을 구분할 수 있고, 용이하게 접이될 수 있도록 측면접힘선(110a)이 형성되며, 이러한 측면접힘선(110a)을 따라 한 쌍의 정면(110)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평행하게 위치하며, 이러한 한 쌍의 정면(110) 양측에는 각각 측면(120)이 수직으로 접혀져 사각 형상으로 정면(110) 및 측면(120)이 접혀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정면(110)의 하단에는 제1 하면(111)과 정면(110)이 구분되고, 상기 제1 하면(111)이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제1 하면접힘선(110b)이 정면(110) 하단을 따라 구비되며, 측면(120) 또한 하측으로 돌출된 제2 하면(120a)이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제2 하면접힘선(120b)이 형성되어 제1 및 2 하면(111,120a) 하면(111,120a)은 각각 제1 하면접힘선(110b)과 제2 하면접힘선(120b)을 따라 수직하여 접혀져 제1 및 2 하면(111,120a) 하면(111,120a)이 본체(100)의 하면을 이루도록 조립될 수 있다.
상술된 본체(100)는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개방된 상면을 따라 본체(100) 내측으로 컵(C)이나 음식 등이 인입되어 용이하게 보관 및 휴대될 수 있다.
또한, 도 10과 같이 측면(120)의 상단에는 상측으로 반원 형상으로 돌출된 확장면(121)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확장면(121)은 중앙결합부(300)를 중심으로 본체(100)의 양측에 구비된 내측 공간으로 컵(C) 인입시 컵(C)이 본체(100) 외측, 즉 측면(120)의 외측으로 기울어지거나 본체(100) 내부공간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대용량을 가지는 컵(C)의 경우 중앙결합부(300)측이 아닌 본체(100)의 측면(120)측으로 구비하여 안정적으로 본체(100)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체(100)의 양측, 즉 정면(110)의 상단 중앙측에는 상기 정면(11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다수개의 컵(C)이 담긴 본체(100)를 직접 잡지않고도 쉽고 안정적으로 휴대 및 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200)가 구비된다.
손잡이(200)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고리 형상을 가지며, 한 쌍의 손잡이(200)는 각각 본체(100)의 상단 중앙에 구비되되, 중앙결합부(300)를 중심으로 양측이 정면(110)과 연결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손잡이(200)는 본체(10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정면(110)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상을 가지게 된다.
손잡이(200)의 내측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내측 상단, 즉 손잡이(200)의 상단측 하단에는 접혀져서 다른 손잡이(2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접힘구가 형성된다.
한 쌍의 손잡이(200) 중 하나인 제1 손잡이(210)의 상단 내측에는 제1 접힘구 접힘선(211a)을 중심으로 접혀지는 제1 접힘구(211)가 구비되고, 다른 손잡이인 제2 손잡이(220)의 상단 내측에는 제2 접힘구 접힘선(221a)을 중심으로 접혀지는 제2 접힘구(221)가 구비된다.
도 2와 같이 제1 및 2 접힘구(211,221)는 양측면이 손잡이(200)의 내측 측면과 분리되어 있으며, 제1 및 2 접힘구 접힘선(211a,221a)을 중심으로 손잡이(200)와 제1 및 2 접힘구(211,221)가 연결된다.
이때, 제1 접힘구(211)는 제2 접힘구(221)보다 하측으로 돌출된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제1 접힘구 접힘선(211a)는 제2 접힘구 접힘선(221a)보다 높은측에 위치하여 제2 접힘구 접힘선(221a)을 중심으로 제2 접힘구(221)가 제1 접힘구(211) 및 제1 손잡이(210) 상측 하부를 감싸 구비되게 된다.
즉, 제1 손잡이(210)의 상단과 제1 접힘구(211)의 하단을 감싸며 접혀지고, 접혀진 제2 접힘구(221)는 제1 손잡이(210)의 타면, 즉 제1 접힘구(211)와 밀착되지 않은 면과 밀착된다(도 6 참조).
따라서, 제1 접힘구(211)가 접힘 및 제1 손잡이(210) 상단과 밀착되면서 하측으로 제2 접힘구(221)가 제1 손잡이(210)를 관통할 공간을 형성하며, 제1 접힘구(211)가 접혀진 제1 손잡이(210)의 내측공간으로 상기 제1 접힘구(211)보다 길이가 긴 제2 접힘구(221)가 제2 접힘구 접힘선(221a)을 중심으로 접혀지면서 제1 접힘구(211)와 제1 손잡이(210)의 외측을 감싸 제1 및 2 손잡이(210,220)를 하나의 손잡이와 같이 잡고 들어올릴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얇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손잡이(200)를 제1 및 2 접힘구(211,221)를 접어 사용자가 잡는 손잡이(200) 상단 부분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두꺼워진 손잡이(200) 상단 부분을 자극없이 잡을 수 있고, 컵(C) 등을 수용한 본체(100)의 무게가 다소 무겁더라도 사용자가 잡은 제1 및 2 손잡이(210,220)의 상단이 찢어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접힘구(221)의 돌출정도는 제1 접힘구 접힘선(211a)과 제1 손잡이(210)의 최상단간의 길이보다는 적게 형성되어 접혀진 제2 접힘구(221)가 제1 손잡이(210) 상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잡을 때 이질감이 느껴지거나 제2 접힘구(221)가 휴대시 걸리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2 접힘구(211,221)를 통해 한 쌍의 손잡이(210,220)를 단일 손잡이와 같이 잡을 수 있고, 이를 통해 본체(100)의 상단 중앙측으로 손잡이(200)가 구비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본체(100)를 휴대할 수 있다.
본체(100)의 상단 중앙에 구비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며, 손잡이(200)의 내측에는 한 쌍의 정면(110)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중앙결합부(300)가 구비된다.
중앙결합부(300)는 제1 손잡이(210)가 구비된 정면 상단 중앙에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 손잡이(210) 내측 하단에 구비되는 브릿지(310)와, 제2 손잡이(220)가 구비된 정면 상단 중앙에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 손잡이(220) 내측 하단에 구비되는 접힘돌기(320)로 구성된다.
먼저, 브릿지(310)는 본체(100)의 정면(110) 중앙에 브릿지 접힘선(310a)을 중심으로 반대측 정면(110)으로 수직절곡되며, 이를 통해 반대측에 위치한 접힘돌기(320)와 결합되어 본체(100) 중앙에 컵(C)을 고정시킬 수 있고, 본체(100) 내부 공간을 분할할 수 있다.
이러한 브릿지(310)는 브릿지 접힘선(310a)을 중심으로 제1 손잡이(210) 내측 하단에 위치하는데, 브릿지(310)는 제1 손잡이(210)의 내측 너비와 대응되게 돌출된다.
브릿지(310)의 중앙에는 고정홀(311)이 상기 브릿지(310)를 관통하여 타공형성되며, 이러한 고정홀(311)은 추후 브릿지(310)가 접힘돌기(320)와 결합시 본체(100) 하면과 상하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하여 고정홀(311)의 내측으로 원통 형상의 컵(C)이 끼워져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브릿지(310)의 상단, 즉 돌출된 일단 중앙에는 결합돌기 접힘선(312a)을 중심으로 수직절곡되는 결합돌기(312)가 구비된다. 이러한 결합돌기(312)는 도 4와 같이 본체(100) 하면과 대응되게 수직절곡된 브릿지(310)의 하측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접힘돌기(320)에 형성된 결합홀(321) 내측으로 내삽되어 브릿지(310)와 접힘돌기(32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결합돌기(312)의 양측단에는 결합돌기(312)의 돌출정도보다는 적게 형성되되, 브릿지(310)의 상단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거치돌기(313)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거치돌기(313)는 도 5와 같이 결합돌기(312)가 접힘돌기(320)의 결합홀(321) 내측으로 내삽될 때 상기 결합돌기(312)가 구비된 정면(110)의 상단에 거치돌기(313)가 걸쳐져 브릿지(310)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브릿지(310)가 본체(100) 상단 중앙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접힘돌기(320)는 제2 손잡이(220)가 구비된 본체(100)의 정면(110) 상단 중앙에 상기 정면(11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제2 손잡이(220) 내측 하단에 구비된다.
이러한 접힘돌기(320) 또한 제2 손잡이(220)의 내측 너비와 대응되어 정면(110) 상단 중앙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데 접힘돌기(320)의 돌출정도는 브릿지(310)보다 적게 돌출된다.
접힘돌기(320)는 연결된 본체(100)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결합홀 접힘선(321a)을 중심으로 도 3과 같이 본체(100) 내측으로 수직하여 접혀질 수 있으며, 접혀짐과 동시에 결합홀 접힘선(321a)의 중앙측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홀 접힘선(321a)을 따라 접힘돌기(320)의 중앙이 절개된 결합홀(321)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4 및 5와 같이 브릿지(310) 및 결합돌기(312)가 각각 브릿지 접힘선(310a) 및 결합돌기 접힘선(312a)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수직절곡되면 절개되어 형성된 결합홀(321)의 내측으로 결합돌기(312)가 끼워져 브릿지(310)와 접힘돌기(3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접힘돌기(320)는 수직방향으로 접혀지기 때문에 고정홀(311)을 통해 일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접힘돌기(320)의 상측으로 브릿지(310)가 구비되기 때문에 접힘돌기(320)의 강도에 의해 브릿지(310)를 지지하여 거치돌기(313)와 같이 안정적으로 브릿지(310)를 본체(100) 상단 중앙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중앙결합부(300)를 통해 본체(100) 내부 공간을 분할하여 본체(100)의 내측 공간을 다수개로 분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수개의 컵(C)이나 음식 등을 본체(100) 내 수용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양측 중앙을 연결시켜 이동 중 캐리어(1)가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중앙결합부(300)는 도 5와 같이 단일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0과 같이 복수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중앙결합부(300)는 동일한 측에 각각 브릿지(310)와 접힘돌기(320)가 각각 구비될 수 있으나 균형을 위해 도 10과 같이 한측에 각각 브릿지(310)와 접힘돌기(320)가 함께 구비되어 브릿지(310)는 서로 교차되어 접혀져 반대측에 위치한 접힘돌기(320)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중앙결합부(300)를 통해 본체(100) 내부 공간이 분할된 캐리어(1)는 3개의 컵(C)을 중앙결합부(300) 내 고정홀(311)과 중앙결합부(300)이 구비되지 않은 본체(100)의 양측에 각각 구비하여 이동할 수 있으나 3잔 이상의 컵(C)의 경우 또 다른 캐리어(1)가 필요할 수 있다.
이때, 다수개의 캐리어(1)를 한 손에 들고가는 경우 손잡이(200)의 위치 등이 달라져 한 손으로 다수개의 캐리어(1)를 안정적으로 들고가기 어렵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하나의 캐리어(1a)는 다른 캐리어(1b)와 서로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로 사용자가 한 손에 들수 있도록 체결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400)는 일측, 즉 하나의 정면(110)에 구비되며, 체결돌기(410)와 체결홀(420)이 정면(110) 양측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체결돌기(410)는 도 2와 같이 외측에 위치한 측면(120)의 외측 측단 중앙에 돌출형성되며, 체결홀(420)은 도 1과 같이 본체(100)가 접혀져 육면체 형상을 가질 때 체결돌기(410)와 동일한 높이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돌기(410)가 형성된 측면(120)과 수직하여 밀착되는 정면(110)의 일측, 즉 체결돌기(410)가 구비된 측과 반대측에 측면접힘선(110a)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때, 체결돌기(410)는 본체(100)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본체(100)와 결합되지 않은 체결돌기(410)의 상단이 상측으로 굴곡져서 돌출되도록 하고, 체결홀(420)은 본체(100)와 연결된 부분의 체결돌기(410)의 높이와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체결홀(420)의 절개된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가진 체결돌기(410)가 체결홀(420) 내측으로 인입시 돌출된 상단부터 인입하고, 추후 체결홀(420)을 관통한 체결돌기(410)는 본체(100) 하면과 평행하게 배치함으로써 체결돌기(410)의 돌출된 상단이 체결홀(420)이 형성된 본체(100) 내측면에 걸려져 체결돌기(410)가 체결홀(420)을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하나의 캐리어(1a)에 형성된 체결홀(420)로 다른 캐리어(1b)에 형성된 체결돌기(410)가 상기 체결홀(420) 내측으로 내삽되어 두 캐리어(1a,1b)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반대측에는 하나의 캐리어(1a)에 형성된 체결돌기(410)가 다른 캐리어(1b)에 형성된 체결홀(420) 내측으로 내삽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캐리어(1a,1b)가 서로 결합시 하나의 캐리어(1a)에 구비된 제2 접힘구(221)는 상기 하나의 캐리어(1a)에 구비된 제1 손잡이(210) 뿐만 아니라 다른 캐리어(1b)의 제1 및 2 손잡이(210,220)의 하측을 감싸 다른 캐리어(1b)의 제1 손잡이(210) 외측면에 밀착되어 두 쌍의 손잡이(200)를 하나로 결합시키고, 이를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잡아 용이하게 두 캐리어(1a,1b)를 잡고 휴대 및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한 쌍의 캐리어(1a,1b)가 결합시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거치돌기(313)가 각각 돌출되어 구비되는데 하나의 캐리어(1a)에 형성된 거치돌기(313)가 다른 캐리어(1b)의 거치돌기(313) 하면측으로 밀착되어 다른 캐리어(1b)의 브릿지(310) 및 접힘돌기(320)간의 간격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캐리어(1a,1b)가 결합되더라도 어느 하나의 캐리어(1)에 돌출되어 구비된 거치돌기(313)가 다른 캐리어(1)의 브릿지(310) 하면측으로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결합력과 브릿지(31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캐리어(1a,1b)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 한 쌍의 손잡이(200)를 도 8과 같이 캐리어(1a,1b)의 중앙측으로 모아 한 손으로 잡을 수 있게 되는데 이때, 한 쌍의 손잡이(200)를 잡을 때 제1 손잡이(210)에 구비된 제1 접힘구(211)는 제1 접힘구 접힘선(211a)을 중심으로 제2 손잡이(220)와 대향되는 측으로 절곡되어 제1 손잡이(210)의 상단과 제1 접힘구(211)가 밀착되도록 접혀진다. 이후 제1 접힘구(211)가 접혀진 상태의 제1 손잡이(210)와 밀착된 제2 손잡이(220)의 제2 접힘구(221)는 제2 접힘구 접힘선(221a)을 중심으로 접혀져 제1 접힘구(211)가 접혀진 하측으로 구비되고, 도 8a와 같이 한 쌍의 캐리어(1a,1b)에 각각 구비된 제2 접힘구(221)는 펼쳐져 서로 적층되어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2 접힘구(221)를 통해 제1 접힘구(211)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고, 일정 간격으로 제2 손잡이(220)가 벌어지기 때문에 한 쌍의 캐리어(1a,1b)를 드는 사용자가 캐리어의 무게와 손잡이(200)간의 좁은 면적으로 인해 손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안정적으로 한 쌍의 캐리어(1a,1b)를 들고 이동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러한 캐리어(1)간의 결합을 통해 다량의 컵(C)이 담긴 캐리어(1)들을 한 손으로 잡고 용이하게 휴대 및 이동하여 다수개의 컵(C) 또한 한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한편, 상술된 캐리어(1)는 두꺼운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인력에 의해 쉽게 접혀질 수 있는 재질로도 대체가 가능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컵 캐리어
100: 본체 200: 손잡이
300: 중앙결합부 400: 체결부
C: 컵

Claims (4)

  1. 다수의 컵을 옮길 수 있는 컵 캐리어에 있어서,
    컵이 내삽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양측면 상단 중앙에 각각 구비되며, 상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 내측에 구비되며, 하나의 손잡이 내측에 구비되는 브릿지와, 다른 손잡이 내측에 구비되는 접힘돌기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 상단 중앙을 서로 연결하는 중앙결합부;로 구성되며,
    상기 브릿지는 상기 본체와 연결된 면에 구비된 브릿지 접힘선을 중심으로 수직되어 접혀지고,
    상기 브릿지의 돌출된 말단에는, 중앙에 위치하여 돌출되고, 수직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는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돌기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돌출된 방향으로 돌출된 거치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접힘돌기는 상기 본체와 연결된 면에 구비된 결합홀 접힘선을 중심으로 수직되어 접혀지고, 상기 결합홀 접힘선의 중심측에는 상기 접힘돌기를 일부 절개한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브릿지가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수직 절곡시 상기 브릿지를 중심으로 상기 결합돌기 수직 절곡되며, 수직절곡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본체 내측으로 수직절곡된 상기 접힘돌기에 형성된 상기 결합홀 내측으로 내삽되어 상기 브릿지가 상기 접힘돌기에 결합고정되고,
    상기 거치돌기는 상기 접힘돌기가 구비된 상기 본체 상단에 걸려 거치되며,
    상기 브릿지의 중앙에는 컵이 끼워질 수 있는 고정홀이 구비되고, 상기 브릿지와 상기 브릿지를 중심으로 양측에 컵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본체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손이 출입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는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손잡이의 내측 상단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제1 접힘구;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손잡이의 내측 상단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 접힘구보다 돌출정도가 큰 제2 접힘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접힘구는 상기 제2 손잡이측으로 접혀지며,
    상기 제2 접힘구는 상기 제1 손잡이의 상단의 하부를 감싸 상기 제1 손잡이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접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 캐리어.
  3. 삭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정면 일측 중앙에 정면측으로 돌출된 체결돌기; 및
    정면 타측 중앙에 상기 본체 일부가 절개된 체결홀;을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캐리어가 서로 결합시 하나의 캐리어에 구비된 상기 체결돌기는 다른 캐리어게 형성된 상기 체결홀 내측으로 내삽되어 한 쌍의 상기 캐리어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 캐리어.
KR1020210030903A 2021-03-09 2021-03-09 접이식 컵 캐리어 KR102291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903A KR102291929B1 (ko) 2021-03-09 2021-03-09 접이식 컵 캐리어
KR1020210106674A KR102532133B1 (ko) 2021-03-09 2021-08-12 휴대성이 향상된 3구 컵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903A KR102291929B1 (ko) 2021-03-09 2021-03-09 접이식 컵 캐리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674A Division KR102532133B1 (ko) 2021-03-09 2021-08-12 휴대성이 향상된 3구 컵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929B1 true KR102291929B1 (ko) 2021-08-23

Family

ID=774991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903A KR102291929B1 (ko) 2021-03-09 2021-03-09 접이식 컵 캐리어
KR1020210106674A KR102532133B1 (ko) 2021-03-09 2021-08-12 휴대성이 향상된 3구 컵 캐리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674A KR102532133B1 (ko) 2021-03-09 2021-08-12 휴대성이 향상된 3구 컵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919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9335A (en) * 1990-07-23 1991-12-03 International Paper Company Modular article carrier
US5957276A (en) * 1995-07-11 1999-09-28 Clk Factor, Inc. Food and beverage carrier
KR101380398B1 (ko) 2011-11-01 2014-04-02 김재홍 일회용 컵 캐리어
KR101992294B1 (ko) 2017-10-13 2019-06-24 윤영 음료 용기 캐리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844Y2 (ja) * 1989-10-11 1995-08-09 株式会社クラウン・パッケージ 手提げ用カート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9335A (en) * 1990-07-23 1991-12-03 International Paper Company Modular article carrier
US5957276A (en) * 1995-07-11 1999-09-28 Clk Factor, Inc. Food and beverage carrier
KR101380398B1 (ko) 2011-11-01 2014-04-02 김재홍 일회용 컵 캐리어
KR101992294B1 (ko) 2017-10-13 2019-06-24 윤영 음료 용기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616A (ko) 2022-09-16
KR102532133B1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48576A1 (en) Multi-purpose package assembly
EP3309092A1 (en) Environmental-friendly paper carrier for takeout cup
US5348218A (en) Concession tray
KR200452414Y1 (ko) 포장계란 캐리어
KR101380398B1 (ko) 일회용 컵 캐리어
TW201643083A (zh) 用於外賣杯的環保紙杯提
KR102291929B1 (ko) 접이식 컵 캐리어
US2888164A (en) Molded fiber support for container carrier
KR101729038B1 (ko) 음료용기 홀더 백
KR102679534B1 (ko) 보조 지지바디를 포함하는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
KR200491336Y1 (ko) 컵 캐리어 구조체
KR200251113Y1 (ko) 이중용기
JPH0513322Y2 (ko)
KR20100008261U (ko) 세트 화장품용기 보관 케이스 어셈블리
CN214777937U (zh) 一种马克杯包装盒
KR20140001976U (ko) 식품 포장용기
KR102368514B1 (ko) 이중 고정이 가능한 음료 추출용 드립 백
CN221499122U (zh) 一种表带包装盒
KR102238587B1 (ko) 절첩식 다용도 홀더
KR102667178B1 (ko) 컵 및 용기 운반용 트레이
JP7378763B2 (ja) 容器保持具
KR102207444B1 (ko) 도시락 용기용 손잡이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도시락 용기
KR102263874B1 (ko) 음료컵 포장용 종이 대지
KR102667180B1 (ko) 컵 및 용기 운반용 트레이
CN216375468U (zh) 便于堆叠的电锅纸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