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038B1 - 음료용기 홀더 백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홀더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038B1
KR101729038B1 KR1020160042028A KR20160042028A KR101729038B1 KR 101729038 B1 KR101729038 B1 KR 101729038B1 KR 1020160042028 A KR1020160042028 A KR 1020160042028A KR 20160042028 A KR20160042028 A KR 20160042028A KR 101729038 B1 KR101729038 B1 KR 101729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ntainer
plates
plate
beve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근
Original Assignee
(주)삼일포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일포장 filed Critical (주)삼일포장
Priority to KR1020160042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4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08Handgrip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246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 B65D2571/00253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integral with the wrapper
    • B65D2571/00259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integral with the wrapper inwardly folded tabs, i.e. elements substantially narrower than the corresponding package dimension
    • B65D2571/00271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integral with the wrapper inwardly folded tabs, i.e. elements substantially narrower than the corresponding package dimension extending from at least a sid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246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 B65D2571/00253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integral with the wrapper
    • B65D2571/00283Openings in at least a sid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432Handles or suspending means
    • B65D2571/00438Holes
    • B65D2571/00444Holes for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432Handles or suspending means
    • B65D2571/00456Handles or suspending means integral with the wra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648Elements used to form the wrapper
    • B65D2571/00654Blanks
    • B65D2571/0066Blanks formed from one single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833Other details of wrappers
    • B65D2571/00882Supporting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기 홀더 백에 관련되며, 이때 음료용기 홀더 백은 단일체 전개도로 형성되어 제작이 간편하면서 각각의 음료용기 바닥 및 바닥과 이격된 상측부분이 지지됨과 동시에 용기 전체를 격리 포장하여 운반 중 뜨거운 내용물로 부터 안전성이 확보되면서 용기 내부로 이물질유입이 차단되도록 보호하기 위해 바닥판(10), 한 쌍의 포장판(20)(20'), 한 쌍의 거치판(30)(30') 구성이 단일체 전개도(100)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음료용기 홀더 백 {Beverage container holder bag}
본 발명은 음료용기 홀더 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체 전개도로 형성되어 제작이 간편하면서 각각의 음료용기 바닥 및 바닥과 이격된 상측부분이 지지됨과 동시에 용기 전체를 격리하는 형태로 포장하므로 다양한 사이즈의 용기가 복합 수용되고, 특히 운반 중 뜨거운 내용물로 부터 안전성이 확보되면서 용기 내부로 이물질유입이 차단되도록 보호하는 음료용기 홀더 백에 관한 것이다.
통상 커피 전문점을 포함하는 음료판매점에서는 음료를 일회용 컵에 담아 가지고 가는 테이크아웃 고객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용기 캐리어를 제공하고, 여기서 용기캐리어는 뜨거운 음료를 들고 이동하거나, 한 사람이 둘 이상의 음료를 들고 이동할 수 있도록 커버 타입, 수납식 타입, 걸이타입으로 구분된다.
예컨데, 커버 타입으로는 특허공개번호 10-2015-0103441호에서 컵이 삽입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로 구성되어, 각각의 컵 외주면에 독립적으로 끼워져 사용되는 컵 커버 기술이 선등록된바 있고, 그리고 수납식 타입으로는 등록실용신안 20-0441046호에서 밑판과, 밑판 상부에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바탕판과, 밑판과 바탕판에 연결되는 손잡이판로 구성되고, 바탕판에 형성되는 컵 구멍에 컵을 끼워 저면이 밑판에 지지되는 일회용 컵 캐리어 기술이 선등록된바 있으며, 또 걸이타입으로는 등록실용신안 20-0473961호에서 컵 삽입홀이 형성되는 날개 지지부에 손잡이를 절곡형성하여 별도의 조립 없이 운반 가능하도록 한장의 합성수지 또는 종이재로 구성되는 일회용 컵 캐리어 기술이 선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캐리어는 용기가 국부적으로 끼워지는 구조로서, 단일사이즈 용기 전용으로 사용용도가 제한되고, 또 용기 상부 또는 하부가 외부로 노출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고속도로 휴게소, 행사장을 포함하는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를 이동시 자칫 주변 통행자와 부딪치게 되면 그 충격이 용기 측으로 직접 가해져 쉽게 기울어지면서 내용물이 쏟아지고, 이때 용기 입구를 통하여 분출된 뜨거운 내용물에 의해 화상을 입는 사고가 비일비재하게 발생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캐리어 제조업계에서는 제조단가 절감 및 구조의 간소화에만 치중하다보니 대부분이 용기의 상광하협구조를 이용한 끼움결합형태를 가짐으로 일자형 용기 적용이 블가능하고 용기 사이즈에 따라 캐리어를 다양하게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따랐고, 이로 인해 제조원가 절감과 용기 이동안정성을 모두 만족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단일체 전개도로 형성되어 제작이 간편하면서 각각의 음료용기 바닥 및 바닥과 이격된 상측부분이 지지됨과 동시에 용기 전체를 격리하는 형태로 포장하므로 다양한 사이즈의 용기가 복합 수용되고, 특히 운반 중 뜨거운 내용물로 부터 안전성이 확보되면서 용기 내부로 이물질유입이 차단되도록 보호하는 음료용기 홀더 백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단일체 전개도(100)로 형성되고, 용기(C) 저면이 안착되는 바닥판(10); 상기 바닥판(10) 양측에서 용기(C) 전체를 격리 포장하면서 손잡이(22)가 구비되는 한 쌍의 포장판(20)(20'); 및 상기 바닥판(10)과 어느 일측 포장판(20) 사이에서 중첩 접합되어 돌출되고, 돌출 단부가 다른 일측 포장판(20') 내면에 기대어 경사각으로 유지되면서 삽입홀(32)이 구비되는 한 쌍의 거치판(30)(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단일체 전개도(100)의 제1, 2, 3, 4절곡라인(101)(102)(103)(104)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제1, 4절곡라인(101)(104)에 의해 단일체 전개도(100) 양측에 한 쌍의 포장판(20)(20')이 형성되고, 제1, 4절곡라인(101)(104) 사이가 제 3절곡라인(103)에 의해 구분되어 바닥판(10)이 형성되며, 제1, 3절곡라인(101)(103) 사이가 제 2절곡라인(102)에 의해 구분되어 중첩 접합되는 한 쌍의 거치판(30)(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거치판(30)(30') 중 하부에 위치되는 거치판(30')에는 돌출 단부에서 연장되어 바닥판(10)에 지지되는 받침판(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포장판(20)(20')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용기(C) 상부 가장자리부분이 수용되도록 위치고정 홈(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포장판(20)(20')은 용기(C) 상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5절곡라인(10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거치판은 제1, 3절곡라인과 인접하는 부분을 국부적으로 접합하고 그외 부분이 서로 이격되어 용기를 2지점에서 지지하는 복층 지지부(3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바닥판, 포장판, 거치판이 단일의 전개도로 형성되어 제작이 간편하고, 특히 용기 바닥 및 바닥과 이격된 상측부분이 바닥판과 거치판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한 쌍의 포장판에 의해 용기 전체가 격리 보호됨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용기가 복합 수용되고, 특히 운반 중 뜨거운 내용물로 부터 안전성이 확보되면서 용기 내부로 이물질유입이 긴밀하게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홀더 백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홀더 백의 전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홀더 백의 거치판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홀더 백의 거치판에 받침판이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홀더 백에 용기의 고정을 위한 유치고정홈이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홀더 백에 용기의 고정을 위한 제5절곡라인이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음료용기 홀더 백에 관련되며, 이때 음료용기 홀더 백은 단일체 전개도로 형성되어 제작이 간편하면서 각각의 음료용기(C) 바닥 및 바닥과 이격된 상측부분이 지지됨과 동시에 용기(C) 전체를 격리 포장하여 운반 중 뜨거운 내용물로 부터 안전성이 확보되면서 용기(C) 내부로 이물질유입이 차단되도록 보호하기 위해 바닥판(10), 한 쌍의 포장판(20)(20'), 한 쌍의 거치판(30)(30') 구성이 단일체 전개도(100)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홀더 백은 단일체 전개도(100)로 형성되는바, 도 1과 같이 단일체 전개도(100)에는 제1, 2, 3, 4절곡라인(101)(102)(103)(104)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제1, 4절곡라인(101)(104)에 의해 단일체 전개도(100) 양측에 한 쌍의 포장판(20)(20')이 형성되고, 제1, 4절곡라인(101)(104) 사이가 제 3절곡라인(103)에 의해 구분되어 바닥판(10)이 형성되며, 제1, 3절곡라인(101)(103) 사이가 제 2절곡라인(102)에 의해 구분되어 중첩 접합되는 한 쌍의 거치판(30)(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절곡라인은 단일체 전개도(100) 상면을 가압하거나 두께를 얇게 형상한 라인이다. 이처럼 바닥판(10), 포장판(20)(20'), 거치판(30)(30')이 단일의 전개도로 형성되어 제작이 간편하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바닥판(10)은 용기(C) 저면이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평행하는 제3, 4절곡라인(103)(104)사이에 형성되고, 여기서 바닥판은 용기(C) 하중 및 후술하는 한 쌍의 포장판(20)(20')사이 간격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바닥판(10) 내에 제 3, 4절곡라인(103)(104)과 직교하는 힘살라인(예컨데, 절곡라인과 동일하게 형성)을 복수개로 더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포장판(20)(20')은 바닥판(10) 양측에서 용기(C) 전체를 격리 포장하면서 손잡이(22)가 구비된다. 포장판(20)(20')은 바닥판(10) 양측에서 종방향으로 접히도록 구비되고, 바닥판(10)과 후술하는 거치판(30)(30')에 의해 지지되는 용기(C)를 양측에서 전체적으로 격리보호한다.
그리고 상기 포장판(20)(20') 상단에 사용자가 들고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22)가 형성되는바, 여기서 손잡이(22)는 도 1 및 도 2 (a)와 같이 포장판(20)(20') 상단에 돌출되도록 형성하거나, 도 2 (b)와 같이 포장판(20)(20') 상단에 홀을 형성하는 타입으로 구성된다.
이에 용기(C)가 바닥판(100과 거치판(30)에 지지된 상태로 포장판(20)(20')에 의해 격리 보호됨에 따라 운반 중 타인과 부딪혀 충격에 의해 용기(C)에 담긴 뜨거운 내용물이 외부로 분출되더라도 포장판(20)(20')에 의해 외부로 비산이 차단되어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방지됨과 더불어 용기(C) 입구를 통하여 먼지, 해충과 같은 이물질 투입이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포장판(20)(20')은 판형태로 외면에 인쇄부를 형성하여 홍보 및 광고 문양을 표시하도록 하고, 또 포장판(20)(20')의 양측 자장자리부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한 쌍의 포장판(20)(20') 사이를 마감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거치판(30)(30')은 바닥판(10)과 어느 일측 포장판(20) 사이에서 중첩 접합되어 돌출되고, 돌출 단부가 다른 일측 포장판(20') 내면에 기대어 경사각으로 유지되면서 삽입홀(32)이 구비된다. 한 쌍의 거치판(30)(30')는 제1, 2, 3절곡라인(101)(102)(103)에 의해 포장판(20)과 바닥판(10) 사이 구간이 동일한 사이즈로 2분할된 부분으로, 제2절곡라인(102)을 경계로 한 쌍의 거치판(30)(30')이 중첩 접합된다.
이때, 접합된 한 쌍의 거치판(30)(30') 단부 즉, 제2절곡라인(102) 부분은 한 쌍의 포장판(20)(20') 사이 공간으로 돌출되고, 여기서 거치판(30)(30')은 바닥판(10) 폭보다 광폭으로 형성되어 도 1과 같이 제2절곡라인(102)이 위치되는 돌출 단부가 자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처지게 되면 20'포장판에 기대어 경사각으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판(30)(30')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삽입홀(32)이 관통되는바, 삽입홀(32)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거치판(30)(30')이 경사각으로 형성되더라도 평면에서 보면 진원을 이루어 원통형의 용기(C)가 간섭없이 정중앙에 수용된다.
이때, 한 쌍의 거치판(30)(30')은 도 3 (a)와 같이 전체면이 모두 접합되어 단일의 판으로 형성되거나, 도 3 (b)와 같이 바닥판(10) 단부와 대응하는 부분(예컨데, 제1, 3절곡라인(101)(103)과 인접하는 부분)이 국부적으로 접합되고 그외 부분이 미접한 된 상태로 이격되어 상호 역방향 아치형으로 휘어져 용기(C)를 2지점에서 지지하는 복층 지지부(34)를 구성하여 용기(C) 지지력이 더욱 향상된다.
도 4 (a)에서, 상기 한 쌍의 거치판(30)(30') 중 하부에 위치되는 거치판(30')에는 돌출 단부에서 연장되어 바닥판(10)에 지지되는 받침판(40)이 구비된다. 받침판(40)은 도 4 (b)와 같이 전개도에서 거치판(30')에 따내기되는 삽입홀(32) 영역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2절곡라인(102)을 축으로 선회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받침판(40) 길이는 거치판(30)(30')이 경사각을 유지한 조건에서 돌출단부와 바닥판(10) 단부사이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받침판(40)에 의해 거치판(30)(30')이 지지되어 경사각이 보다 견고하게 유지됨에 따라 사용중 거치대(30)(30') 경사각이 해제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용기(C)를 꺼내기 위해 포장판(20)(20')을 펼치더라도 거치대 경사각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포장판(20)(20')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용기(C) 상부 가장자리부분이 수용되도록 위치고정 홈(50)이 형성된다. 위치고정홈(50)은 일자홈 또는 다양한 높이의 용기(C)가 상단이 끼워지도록 반구형으로 따내기 형성된다. 이에 포장판(20)(20')을 이용하여 용기(C) 전체를 감싸도록 접게되면 도 5와 같이 용기(C) 상부 가장자리부분이 유치고정홈(50)에 끼워져 이동 중 좌우 유동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포장판(20)(20')은 용기(C) 상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5절곡라인(105)이 형성된다. 제5절곡라인(105)은 상기 절곡라인과 평행하도록 적어도 1개소에 형성되어 포장판(20)(20')이 내측으로 쉽게 절곡되는 경계라인이 형성된다.
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30)(30')의 삽입홀(32)에 용기(C)를 삽입한 상태로 한 쌍의 포장판(20)(20')을 먼저 접고, 이어서 용기(C) 상부 가장자리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의 제5절곡라인(105)을 접어 용기(C)를 상부에서 지지하므로 이동 중 용기(C) 유동이 방지된다.
이처럼, 상기 바닥판(10)과 거치판(20)(20')에 의해 용기(C) 바닥 및 바닥과 이격된 상측부분이 지지됨과 동시에 한 쌍의 포장판(20)(20')에 의해 용기(C) 전체가 격리 보호됨으로 거치판(30)(30')의 삽입홀(32)보다 작은 사이즈의 용기(C)를 삽입하더라도 쓰러짐이 방지되어 다양한 사이즈의 용기(C)(커피 컵, 과일쥬스 컵)를 복합적으로 수용되는 범용성이 제공된다.
10: 바닥판 20, 20': 포장판
30, 30':거치판 40: 받침판
50: 위치고정홈

Claims (6)

  1. 단일체 전개도(100)로 형성되고,
    용기(C) 저면이 안착되는 바닥판(10);
    상기 바닥판(10) 양측에서 용기(C) 전체를 격리 포장하면서 손잡이(22)가 구비되는 한 쌍의 포장판(20)(20');
    상기 바닥판(10)과 어느 일측 포장판(20) 사이에서 중첩 접합되어 돌출되고, 돌출 단부가 다른 일측 포장판(20') 내면에 기대어 경사각으로 유지되면서 삽입홀(32)이 구비되는 한 쌍의 거치판(30)(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홀더 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체 전개도(100)의 제1, 2, 3, 4절곡라인(101)(102)(103)(104)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제1, 4절곡라인(101)(104)에 의해 단일체 전개도(100) 양측에 한 쌍의 포장판(20)(20')이 형성되고, 제1, 4절곡라인(101)(104) 사이가 제 3절곡라인(103)에 의해 구분되어 바닥판(10)이 형성되며, 제1, 3절곡라인(101)(103) 사이가 제 2절곡라인(102)에 의해 구분되어 중첩 접합되는 한 쌍의 거치판(30)(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홀더 백.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거치판(30)(30') 중 하부에 위치되는 거치판(30')에는 돌출 단부에서 연장되어 바닥판(10)에 지지되는 받침판(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홀더 백.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포장판(20)(20')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용기(C) 상부 가장자리부분이 수용되도록 위치고정 홈(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홀더 백.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포장판(20)(20')은 용기(C) 상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5절곡라인(10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홀더 백.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거치판(30)(30')은 받침판(10) 단부와 대응하는 부분이 국부적으로 접합되고 그외 부분이 서로 이격되어 용기(C)를 2지점에서 지지하는 복층 지지부(3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홀더 백.
KR1020160042028A 2016-04-06 2016-04-06 음료용기 홀더 백 KR101729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028A KR101729038B1 (ko) 2016-04-06 2016-04-06 음료용기 홀더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028A KR101729038B1 (ko) 2016-04-06 2016-04-06 음료용기 홀더 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9038B1 true KR101729038B1 (ko) 2017-04-21

Family

ID=58705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028A KR101729038B1 (ko) 2016-04-06 2016-04-06 음료용기 홀더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0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331A (ko) * 2017-12-19 2019-06-28 주식회사 베스타 빈병 수거용 바구니
KR20230052640A (ko) 2021-10-13 2023-04-20 가치플러스 사회적협동조합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
KR20240039444A (ko) 2022-09-19 2024-03-26 박도영 용기 포장상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331A (ko) * 2017-12-19 2019-06-28 주식회사 베스타 빈병 수거용 바구니
KR102008071B1 (ko) 2017-12-19 2019-08-08 주식회사 베스타 빈병 수거용 바구니
KR20230052640A (ko) 2021-10-13 2023-04-20 가치플러스 사회적협동조합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
KR20240039444A (ko) 2022-09-19 2024-03-26 박도영 용기 포장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32974A (ko) 음료 및 음식 운반기
US8091702B1 (en) Integrated cup carrier
KR101729038B1 (ko) 음료용기 홀더 백
US20080087558A1 (en) Cup carrier
KR20010020547A (ko) 브레이스 탭을 구비하는 물품 운반기
JP2004518586A (ja) 使い捨て収納および流出用カラフェ
MXPA02007979A (es) Recipiente plegable.
EP3309092A1 (en) Environmental-friendly paper carrier for takeout cup
KR200452414Y1 (ko) 포장계란 캐리어
CA2714950C (en) Food and beverage container carrier
CA2549734A1 (en) Carrier and method
JP6951365B2 (ja) 容器
KR200478437Y1 (ko) 컵음료 포장용 받침대
US9706850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food item
AU2003214388A1 (en) Foldable cup
US7357247B2 (en) Beverage holder
USD1003734S1 (en) Container carrier
JP2021004078A (ja) ホルダー付き手提げ袋
KR20180110563A (ko) 음료용기의 고정이 가능하며 재활용 가능한 테이크 아웃용 음료 홀더
KR20200001458U (ko) 포장용기의 운반용 캐리어
KR102263874B1 (ko) 음료컵 포장용 종이 대지
KR200497398Y1 (ko) 캐리어
CN218229773U (zh) 一种具有嵌入式托盘的一体式饮品托盒
KR102291929B1 (ko) 접이식 컵 캐리어
CN214296851U (zh) 一种包装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