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398Y1 - 캐리어 - Google Patents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398Y1
KR200497398Y1 KR2020210000653U KR20210000653U KR200497398Y1 KR 200497398 Y1 KR200497398 Y1 KR 200497398Y1 KR 2020210000653 U KR2020210000653 U KR 2020210000653U KR 20210000653 U KR20210000653 U KR 20210000653U KR 200497398 Y1 KR200497398 Y1 KR 2004973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hole
support
beverage container
auxiliary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6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155U (ko
Inventor
양동우
Original Assignee
양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동우 filed Critical 양동우
Priority to KR20202100006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398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1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1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3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70Trays provided with projections or recesses in order to assemble multiple articles, e.g. intermediate elements for stacking
    • B65D71/72Trays provided with projections or recesses in order to assemble multiple articles, e.g. intermediate elements for stacking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blanks, the articles being inserted in openings in a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4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 B65D71/42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into a single layer element
    • B65D71/44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into a single layer element characterised by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333Partitions, i.e. elements contacting a major part of each aarticle or extending across the whole length of the wra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432Handles or suspending means
    • B65D2571/00438H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는, 음료용기가 수용되는 복수개의 수용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기립된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수용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칸막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캐리어{CARRIER}
본 고안은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개도상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누구나 쉽게 접어서 복수개의 음료용기를 싣을 수 있는 캐리어를 완성할 수 있고, 음료용기를 지지하고 음료용기의 뚜껑을 안정적으로 가압하여 음료용기 내의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커피전문점에서 고객이 커피를 주문하고 그 전문점 내의 테이블에서 커피를 마시는 커피 판매방식 이외에 커피를 마실 수 있는 장소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고객이 커피를 주문하고 판매자가 커피를 일회용 용기에 담아 판매하며 고객은 이러한 용기를 인도받아 판매자가 제공하지 않는 임의의 장소에서 커피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테이크 아웃방식의 커피판매점이 성업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테이크 아웃 방식의 커피 판매점에서는 고객의 주문에 따라서 한 컵 이상의 커피를 고객에게 판매하고 있는데 고객이 뜨거운 컵커피를 들고 이동하기 어려우며, 특히 한 사람이 둘 이상의 뜨거운 커피가 담겨있는 컵을 손으로 들고 운반하기 어렵다.
대개 이러한 컵은 일회용으로 사용 후 폐기 가능한 재료로 되어 있는 컵에 뜨거운 커피를 담고 뚜껑을 닫아 판매되고 있다.
상기한 뜨거운 내용물이 담겨있는 컵을 다수 개 운반하고자 사용되는 것이 음료용기 캐리어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던 음료용기 캐리어(Disposable Cup Carrier)는 판지를 풀이나 접착제 등으로 붙여 조립하는 형태의 상자형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커피 등의 내용물이 담긴 컵 등의 음료용기를 운반시 음료용기에 담긴 내용물의 무게에 의해 음료용기 캐리어의 바닥판의 쳐짐 등이 발생되어 음료용기 캐리어의 형태가 쉽게 변형되며, 이에 따라 음료용기 캐리어의 조립 형태가 해제되어 내용물이 담긴 음료용기가 운반 중 낙하되는 문제가 발생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종래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크기가 크기 때문에 원가가 불필요하게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캐리어에 비해 축소된 크기로 완성이 가능하여 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신속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음료용기를 안정적으로 싣을 수 있는 캐리어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0469호(2003.01.14.공고)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전개도상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누구나 쉽게 접어서 복수개의 음료용기를 싣을 수 있는 캐리어를 완성할 수 있고, 음료용기를 지지하고 음료용기의 뚜껑을 안정적으로 가압하여 음료용기 내의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는, 음료용기가 수용되는 복수개의 수용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기립된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수용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칸막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의 저부에 배치되고 양측 끝부분이 상기 지지부의 저면 양측 끝부분에 연결 또는 고정되며, 상기 수용홀과 수직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보조 수용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보조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용홀의 내주연 및 보조 수용홀의 내주연에는 상기 음료용기에 의해 하 방향으로 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탱부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칸막이부에는 일정영역이 하 방향으로 꺾여 상기 음료용기에 장착된 뚜껑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일정영역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음료용기의 외면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와 보조 지지부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수용홀과 보조 수용홀의 사이에 각각 위치되는 복수개의 부가 수용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부가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 수용홀은 그 직경이 상기 수용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보조 수용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부가 수용홀의 내주연에는 상기 음료용기에 의해 하 방향으로 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탱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에 의하면, 전개도상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누구나 쉽게 접어서 복수개의 음료용기를 싣을 수 있는 캐리어를 완성할 수 있고, 음료용기를 지지하고 음료용기의 뚜껑을 안정적으로 가압하여 음료용기 내의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에 적용된 지지부 및 보조 지지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에 음료용기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에 부가 지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에 적용된 지지부 및 보조 지지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에 음료용기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캐리어(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1)는, 지지부(10), 보조 지지부(30), 칸막이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0) 및 칸막이부(20)는 전개도상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0)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며, 연결면(11)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지지부(10)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수용홀(10a)이 각각 형성된다.
수용홀(10a)에는 음료용기(2)의 일부분이 수용된다.
보조 지지부(30)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며, 연결면(31)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지지부(10) 및 보조 지지부(30)는 일정두께를 갖는 종이 재질이나 골판지로 형성된다.
하나의 예시에서 지지부(10) 및 보조 지지부(30)는 좌측 끝부분과 우측 끝부분만 연결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시에서, 지지부(10)의 저면에는 보조 지지부(30)의 상면에 부착되는 테이프(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테이프는 도 3을 기준으로 지지부(10)의 좌측 끝부분과 우측 끝부분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즉, 지지부(10) 및 보조 지지부(30)는 좌측 끝부분과 우측 끝부분만 테이프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테이프는 지지부(10) 대신 보조 지지부(30)의 상면 좌측 끝부분과 우측 끝부분에 마련될 수도 있다.
보조 지지부(30)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보조 수용홀(30a)이 각각 형성된다.
보조 지지부(30)를 지지부(10)의 저면에 부착하면, 수용홀(10a) 및 보조 수용홀(30a)이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음료용기(2)는 수용홀(10a) 및 보조 수용홀(30a)에 공동으로 수용된다.
이때, 대부분의 음료용기(2)는 그 직경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보조 수용홀(30a)은 수용홀(10a)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수용홀(10a)과 보조 수용홀(30a)에 음료용기(2)를 수용하였을 때, 음료용기(2)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0) 및 보조 지지부(30)는 좌측 끝부분과 우측 끝부분만 서로 연결되고, 보조 수용홀(30a)이 수용홀(10a)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으로, 도 3과 같이 수용홀(10a)과 보조 수용홀(30a)에 음료용기(2)를 공동으로 수용하면, 보조 지지부(30)가 음료용기(2)에 의해 하 방향으로 처지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10) 및 보조 지지부(30)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음료용기(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수용홀(10a)의 내주연 및 보조 수용홀(30a)의 내주연에는 복수개의 지탱부(12,32)가 일정간격으로 각각 형성된다.
수용홀(10a)의 지탱부(12) 및 보조 수용홀(30a)의 지탱부(32)는 서로 수직선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지탱부(12,32)는 지지부(10) 및 보조 지지부(3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지탱부(12,32)는 곡선형상, 톱니형상,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대략 톱니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지탱부(12,32)는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수용홀(10a) 및 보조 수용홀(30a)에 수용되는 음료용기(2)에 의해 하 방향으로 휘어진다.
따라서, 지탱부(12,32)는 일정 경사각을 유지한 상태로 음료용기(2)의 외면을 지지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1)는 이러한 보조 수용홀(30a) 및 지탱부를 통해 음료용기(2)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캐리어와 달리 음료용기(2)의 저면을 받치는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캐리어의 제작단가를 낮추어 커피숍, 주스숍과 같은 음료매장에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칸막이부(20)는 지지부(10)의 연결면(11)에 기립된 형태로 연결된다. 칸막이부(20)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0)와 칸막이부(20)의 조합된 형상은 대략 "ㅛ"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칸막이부(20)는 수용홀(10a)의 사이에 배치되어 어느 하나의 수용홀(10a)에 수용된 음료용기(2)와 다른 하나의 수용홀(10a)에 수용된 음료용기(2)를 구획하게 된다.
칸막이부(20)는 서로 마주하는 면이 테이프나 접착제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칸막이부(20)의 상측에는 음료용기(2)에 장착된 뚜껑(2a)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부(21)가 각각 형성된다.
가압부(21)는 다각형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21)는 상면과 양면이 칸막이부(20)와 단절되고, 저면만 칸막이부(20)에 연결된다. 이때, 가압부(21)는 칸막이부(20)의 상측 일정영역을 대략 "┌┐"자 형상으로 절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21)는 칸막이부(20)에 연결된 저면을 기준으로 하 방향으로 90도 내지 100도 각도로 꺾여져 칸막이부(2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음료용기(2)를 수용홀(10a) 및 보조 수용홀(30a)에 공동으로 수용한 다음, 가압부(21)를 하 방향으로 꺾으면, 가압부(21)가 뚜껑(2a)의 상면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1)에 음료용기(2)를 싣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뚜껑(2a)이 음료용기(2)(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21)로 인해 칸막이부(20)에는 파지홀(20a)이 형성된다.
따라서, 파지홀(20a)에 손가락을 넣는 방식으로 칸막이부(20)의 상측을 파지하여 이동하면 된다.
부가적으로, 칸막이부(20)에는 가압부(21)의 하측에 배치되어 음료용기(2)의 외면을 지지하는 지지편(22)이 각각 형성된다.
지지편(22)은 저면과 양면이 칸막이부(20)와 단절되고, 상면만 칸막이부(20)에 연결된다. 이때, 지지편(22)은 칸막이부(20)의 하측 일정영역을 대략 "└┘"자 형상으로 절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지지편(22)은 칸막이부(20)에 연결된 상면을 기준으로 상 방향으로 90도 내지 100도 각도로 꺾여져 칸막이부(2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음료용기(2)를 수용홀(10a) 및 보조 수용홀(30a)에 공동으로 수용한 다음, 지지편(22) 상 방향으로 꺾으면, 가압부(21)가 음료용기(2)의 외면측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1)에 음료용기(2)를 싣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음료용기(2)가 칸막이부(20)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에 부가 지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와 보조 지지부(30)의 사이에는 부가 지지부(40)가 개재될 수 있다.
부가 지지부(40)는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 지지부(40)의 좌측 끝부분의 상면과 저면 및 우측 끝부분의 상면과 저면에는 지지부(10)의 저면과 보조 지지부(30)의 상면에 부착되는 테이프가(미도시)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부가 지지부(40)에는 수용홀(10a)과 보조 수용홀(30a)의 사이에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부가 수용홀(40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때, 부가 수용홀(40a)은 그 직경이 수용홀(10a)의 직경보다 작고, 보조 수용홀(30a)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부가 수용홀(40a)의 내주연에는 음료용기(2)에 의해 하 방향으로 휘어지는 복수개의 지탱부(41)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부가 지지부(40)를 적용하는 경우, 지지부(10)와 보조 지지부(30) 및 부가 지지부(40)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음료용기(2)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캐리어 10 : 지지부
10a : 수용홀 11,31 : 연결면
12,32,41 : 지탱부 20 : 칸막이부
20a : 파지홀 21 : 가압부
22 : 지지편 30 : 보조 지지부
30a : 보조 수용홀 40 : 부가 지지부
40a : 부가 수용홀

Claims (5)

  1. 음료용기가 수용되는 복수개의 수용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기립된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수용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칸막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부에는 일정영역이 하 방향으로 꺾여 상기 음료용기에 장착된 뚜껑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일정영역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음료용기의 외면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형성된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저부에 배치되고 양측 끝부분이 상기 지지부의 저면 양측 끝부분에 연결 또는 고정되며, 상기 수용홀과 수직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보조 수용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보조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캐리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홀의 내주연 및 보조 수용홀의 내주연에는 상기 음료용기에 의해 하 방향으로 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탱부가 각각 형성된 캐리어.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보조 지지부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수용홀과 보조 수용홀의 사이에 각각 위치되는 복수개의 부가 수용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부가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 수용홀은 그 직경이 상기 수용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보조 수용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부가 수용홀의 내주연에는 상기 음료용기에 의해 하 방향으로 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탱부가 형성된 캐리어.
KR2020210000653U 2021-03-02 2021-03-02 캐리어 KR200497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653U KR200497398Y1 (ko) 2021-03-02 2021-03-02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653U KR200497398Y1 (ko) 2021-03-02 2021-03-02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155U KR20220002155U (ko) 2022-09-13
KR200497398Y1 true KR200497398Y1 (ko) 2023-10-30

Family

ID=83278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653U KR200497398Y1 (ko) 2021-03-02 2021-03-02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398Y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5502A (en) * 1977-10-25 1979-05-22 Consolidated Packaging Corporation Cup carrier
CA2192137A1 (en) * 1996-10-07 1998-04-07 Frank J. Picciolo Food and beverage carrier
KR200300469Y1 (ko) 2002-09-18 2003-01-14 김일군 서류 파일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155U (ko)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37318Y2 (ja) 包装箱体
US2794585A (en) Paperboard tray
US20090242717A1 (en) Cup Holder
TWI620693B (zh) 用於外賣杯的環保紙杯提
EP3309092A1 (en) Environmental-friendly paper carrier for takeout cup
KR101546330B1 (ko) 음료용기 운반수단
US2377520A (en) Bottle carrier
US7828195B2 (en) Bottle sleeves
KR20110114967A (ko) 일회용 컵 캐리어
US20040262482A1 (en) Paper plate beverage holder
KR200497398Y1 (ko) 캐리어
US20060118460A1 (en) Expandable display and shipping container
KR102209217B1 (ko) 운반 손잡이
KR102099383B1 (ko) 컵 트레이 겸용 홀더
KR101200164B1 (ko) 컵 캐리어
US20200262604A1 (en) Packaging box
KR200473961Y1 (ko) 일회용 컵 캐리어
US9718592B1 (en) Collapsible reusable carrier
KR20220001707U (ko) 홀더 일체형 캐리어
KR20170059263A (ko) 컵 캐리어
KR102640888B1 (ko) 무접착 구조의 음료 용기용 종이 캐리어
KR20050085692A (ko) 용기 매달기 기구
CN212149618U (zh) 一种威士忌酒杯包装盒
CN211810670U (zh) 一种浅口玻璃杯包装盒
KR20220001692U (ko) 띠형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