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165B1 - 컵 캐리어 장치 - Google Patents

컵 캐리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165B1
KR101996165B1 KR1020180004976A KR20180004976A KR101996165B1 KR 101996165 B1 KR101996165 B1 KR 101996165B1 KR 1020180004976 A KR1020180004976 A KR 1020180004976A KR 20180004976 A KR20180004976 A KR 20180004976A KR 101996165 B1 KR101996165 B1 KR 101996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unit carrier
carrier device
preliminary
cup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예은
이승빈
Original Assignee
손예은
이승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예은, 이승빈 filed Critical 손예은
Priority to KR1020180004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4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 B65D71/46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into a tubular element
    • B65D71/48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into a tubular element characterised by the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 캐리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폭을 가지고, 좌우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소재부재가 말려 있는 본체부; 상기 소재부재의 상하폭에 걸쳐 형성되되, 사전결정된 너비만큼 이격되어 반복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예비절취선; 상기 다수의 예비절취선들 중에서 상호 인접한 2개의 예비절취선에 의해 구분되어지고, 그 중앙부에는 종이컵의 하부만을 통과시켜 그 종이컵이 지지될 수 있는 관통지지공이 형성된 단위캐리어부; 및 상기 단위캐리어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형성된 손잡이부; 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는 컵 캐리어 장치에 의하면, 필요한 개수만큼 잘라서 쓰는 것이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고 필요로 하는 소재가 적기 때문에, 추가적인 조립을 위한 노력이 거의 필요 없고, 비용이 적게 들며, 환경보호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컵 캐리어 장치 {Cup carrier apparatus }
본 발명은 컵 캐리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하는 컵의 개수에 따라 간편하게 잘라서 조립하는 수고 없이 컵을 수용하여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컵 캐리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피, 차 등과 같은 음료의 소비량은 점차 늘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커피 전문점의 개수도 많아지고 있다. 시간에 좆기는 현대인은 커피 등을 매장에서 마시는 경우보다는 간편하게 종이컵에 담아 커피를 차안이나 사무실로 가져가는 경우가 많다.
이때 종이컵에 담긴 커피가 상당히 뜨겁기 때문에, 매장에서는 고객이 원하는 경우, 컵 캐리어를 추가로 준비하여 제공하고 있다.
종래의 컵 캐리어는 두꺼운 골판지와 같은 종이를 사용하여 만들어졌다. 그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여 소재가 많이 필요하고 이를 조립하는 데에도 과도한 시간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컵 캐리어는 많이 소재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사용 후 다른 용도가 없게 때문에 자원이 과도하게 낭비되고, 커피점주 입장에서는 캐리어를 준비하는 필요한 비용도 적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구조의 한계로 인해, 사전에 결정된 종이컵의 개수, 즉 2잔, 4잔과 같이 짝수 개로만 종이컵을 옮길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1잔 또는 3잔과 같이 홀수 개로 경우, 무게 중심이 맞지 않아 이동 중에 뜨거운 커피가 흐를 수도 있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종래의 컵 캐리어는 뜨거은 컵을 이동하는 용도만이 있어서, 뜨거운 컵을 잡을 때 필요한 원통형상의 컵 홀더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516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한 개수에 따라 간편하게 잘라서 쓸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자원 및 비용의 낭비도 최소화되는 것이 가능한 컵 캐리어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컵 캐리어 장치는, 상하폭을 가지고, 좌우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소재부재가 말려 있는 본체부; 상기 소재부재의 상하폭에 걸쳐 형성되되, 사전결정된 너비만큼 이격되어 반복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예비절취선; 상기 다수의 예비절취선들 중에서 상호 인접한 2개의 예비절취선에 의해 구분되어지고, 그 중앙부에는 종이컵의 하부만을 통과시켜 그 종이컵이 지지될 수 있는 관통지지공이 형성된 단위캐리어부; 및 상기 단위캐리어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형성된 손잡이부; 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재부재는 골판지 또는 합성수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말려 있는 본체부의 중심에는 심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단위캐리어부에는, 그 상부와 하부 각각에 제1,2컵홀더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2컵홀더부는 상기 단위캐리어부로부터 분리된 후,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서 서로 결합되며 원통형상을 이루어, 종이컵의 컵홀더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2컵홀더부는 서로 형상이 동일하고, 그 테두리는 홀더예비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끼움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폴더예비절취선 및 상기 끼움절취선이 절취된 후 서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원통형상의 상기 컵홀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는, 그 전체 형상이 사각형이고, 그 중 한 변을 제외하고 나머지 3개의 변이 잘져 있어서, 잘려 있지 않은 한 변을 따라 접혀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단위캐리어부의 가운데 형성된 중앙 손잡이부와, 서로 인접한 2개의 단위캐리어부에 걸쳐서 형성된 연장 손잡이부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캐리어부의 일측에는 광고인쇄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컵 캐리어 장치에 의하면, 필요한 개수만큼 잘라서 쓰는 것이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고 필요로 하는 소재가 적기 때문에, 추가적인 조립을 위한 노력이 거의 필요 없고, 비용이 적게 든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컵 캐리어 장치가 추가적으로 컵홀더부를 구비하는 경우, 별도로 컵홀더부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 편리할 뿐 아니라 자원낭비를 막을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컵 캐리어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컵 캐리어 장치의 단위 캐리어부가 절취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과 도 4는 도 1의 컵 캐리어 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종방향 개략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도 1의 컵 홀더에 관한 설명을 위한 도면들,
도 7은 도 1의 컵 캐리어 장치를 사용하여 3개의 컵이 수용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컵 캐리어 장치(1)는, 이동이 필요한 컵의 개수에 맞추어 절취되어 사용하기 위한 컵 캐리어 장치이다.
상기 컵 캐리어 장치(1)는, 본체부(10), 예비절취선(20), 단위캐리어부(30), 손잡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상하폭을 가지고, 좌우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소재부재가 말려 있는 부재이다.
상하 및 좌우 방향은, 도 1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본체부(10)를 이루는 소재부재는 골판지이다. 골판지는 얇으면서도 강성을 구비하고 있고, 특히 열차단 효과가 있어서, 본체부를 구성하는 소재부재로서 바람직하다. 즉, 제1,2컵홀더부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에게 뜨거운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골판지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골판지의 구체적인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다만 다른 실시예의 경우, 소재부재는 골판지가 아닌 다소 두꺼운 종이로 될 수도 있다. 또한 소재부재는, 분해가 가능한 친환경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본체부(10)의 중심에는 심부재(60)가 구비되어 있다. 심부재(60)는 원통형상의 딱딱한 종이로 될 수도 있다. 심부재(60)를 구비하는 경우, 커피숍 등의 벽이나 혹은 주방싱크대, 작업대 위에 거치대를 구비하고, 그 거치대에 심부재(60)을 거치시켜 사용하면, 본체부를 보관 관리하기에 편리할 뿐 아니라 또한 말려있는 소재부재를 원하는 길이만큼 풀어서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거치대는 심부재의 양단부가 끼워지는 홈부를 구비할 수도 있고, 심부재의 중공부분에 끼워지는 봉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예비절취선(20)은 소재부재의 상하폭에 걸쳐 직선으로 형성된다. 예비절취선(20)은 짧은 직선형상으로 소재부재를 관통한 것들이 직선을 따라 다수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예비절취선(20)은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단위캐리어부(30)의 일측을 잡아서 소정 이상의 힘을 주게 되면 잘라지게 되도록 형성된다.
예비절취선(20)은, 소재부재의 좌우길이방향을 따라, 사전결정된 너비만큼 이격되어 반복적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이때 사전결정된 너비는, 대략 보통 크기의 종이컵의 중간높이 부분의 횡단면 직경의 두배 정도 길이 만큼이 적절하다. 인접한 예비절취선의 이격된 거리가 단위캐리어부(30)의 폭이 된다.
상기 단위캐리어부(30)는, 다수의 예비절취선(20)들 중에서 상호 인접한 2개의 예비절취선에 의해 나누어지는 부분이다.
한편, 각 단위캐리어부(30)의 중앙부에는 하나의 관통지지공(50)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지지공(50)은 통상 커피숍에서 사용하는 보통 크기의 종이컵의 하부만을 통과시키고 상부는 걸리도록 하여, 그 종이컵을 지지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관통지지공(50)의 크기는 종이컵의 중간 이상의 상부의 횡단면 직경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어서, 그 종이컵이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종이컵의 크기는 커피 등의 용량에 따라 다소 크기가 달라지지만, 중간 높이 부분의 횡단면의 직경크기는 큰 차이가 없고, 차이가 다소 있다고 해도 관통지지공(50)에 걸려 지지되는 데에는 문제가 없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 단위캐리어부(30)에는, 그 상부와 하부 각각에 제1,2컵홀더부(70, 75)가 구비되어 있다. 제1,2컵홀더부(70, 75)의 형상은 서로 동일하다.
제1컵홀더부(70)는, 예비절취선(20)과 같이 짧은 직선 또는 곡선형상으로 소재부재를 관통한 것들이 직선 또는 곡선을 따라 다수 형성된 홀더예비절취선(71)에 의해 단위캐리어부(30) 내에서 마련된다. 또한 끼움절취선(72)도 2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컵홀더부(75)도, 외곽절취선(76)에 의해 같은 단위캐리어부(30) 내에서 마련되고, 끼움절취선(77)도 2개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컵을 이동시킨 후, 제1,2컵홀더부(70, 75)는, 컵이 단위캐리어부(30)로부터 분리된 후, 사용자에 의해 홀더예비절취선(71, 76)이 잘리게 되면, 그 단위캐리어부(30)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제1컵홀더부(7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구비된 2개의 끼움절취선(72) 및 제2컵홀더부(75)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구비된 2개의 끼움절취선(77)이, 사용자에 의해 절취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컵홀더부(70)의 양단부에 절취된 끼움절취선(72)의 각각을 제2컵홀더부(75)의 양단부에 절취된 끼움절취선(77)을 서로 끼우게 되면 대략 원통형상의 컵홀더(79)가 형성된다. 도 6은, 뜨거운 커피 등이 담겨 그대로 잡기는 어려운 컵(100)에 끼워진 컵홀더(79)을 예시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의 경우, 제1,2컵홀더부를 구비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컵홀더는 단위캐리어부 내가 아닌 별도로 구비하면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단위캐리어부(30)의 일측에는 광고인쇄부(80)가 구비된다. 광고인쇄부(80)는, 컵(100)을 거치한 도 3을 참조하면, 일반 사람들이 잘 볼 수 있는 부분에 위치하여, 광고효과를 높을 수 있다. 광고인쇄부(80)의 광고 내용은, 컵 캐리어 장치를 사용하는 사업자가 소비자에게 널리 알리고 싶은 다양한 내용 또는 본 실시예의 컵 캐리어 장치의 사용설명등이 기재 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40)는, 단위캐리어부(3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손잡이부(40)는, 중앙 손잡이부(42)와 연장손잡이부(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앙 손잡이부(42)와 연장손잡이부(48)는 서로 형상은 동일하고, 구비된 위치만 상이하다. 즉, 중앙 손잡이부(42)는, 단위캐리어부(30)의 상하 단부분의 가운데 형성되고, 연장 손잡이부(48)는, 단위 캐리어부(30)의 상하 단부분의, 서로 인접한 2개의 단위캐리어부(30)에 걸쳐서 형성되는 차이가 있다.
중앙 손잡이부(42)는, 전체 형상이 대략 사각형이고, 그 중 한 변(46)을 제외하고 나머지 3개의 변(43, 44, 45)들이 미리 잘라져 있어서, 잘리지 있지 않은 한 변(46)을 따라 접혀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지시번호 '46'의 점선은 실제 표시된 것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가상의 선이다. 손잡이부가 접혀져 확보된 관통공을 통해 사용자는 손가락을 넣어 단위 캐리어부(30)를 잡을 수 있다.
연장손잡이부(45)의 형상도 이와 동일하지만, 그 중간 부분이 예비절취선(20)이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 중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잘려질 수도 있다. 연장손잡이부(45)는 특히 사용자가 2개 혹은 4개의 컵을 이동하고자 할 때 유용한 구성이다.
즉, 도 3과 도4 각각에는 1개 그리고 3개의 컵(100)이 거치된 상태를 예시하였기 때문에, 모두 중앙 손잡이부(42)가 사용될 가능성 높다. 하지만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컵을 이동시키기 위해 2개로 구성된 단위캐리어부(30)를 잘라 이용하는 경우, 연장 손잡이부(48)가 접혀져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다.
다만, 직접 손잡이부로 사용되지 않는 중앙 손잡이부(42)들도 접혀 올려두면 단위 캐리어부(30)들 양단부의 상호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컵 캐리어 장치(1)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컵 캐리어 장치(1)는, 전체적인 형상이 롤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우선 보관, 이동이 편리하다.
사용자는 필요한 수에 해당하는 단위캐리어부(30)가 되도록 적절한 위치의 예비절취선(20)을 자른다. 단부를 잡고, 약간의 힘을 가하면 예비절취선(20)의 구성으로 인해 어렵지 않게 전단이 된다. 즉 1잔의 음료잔의 이동이 필요하면 1개의 단위캐리어부(30)로 자르고, 2잔의 음료잔의 이동이 필요하면 2개의 단위캐리어부(30)로 자르고, 3잔의 음료잔의 이동이 필요하면 3개의 단위캐리어부(30)로 자르면 된다.
잘려진 단위캐리어부(30)의 중앙에 구비된 관통지지공(50)에, 복수인 경우 각각의 관통지지공(50)에, 커피 등이 담긴 음료 잔을 넣는다. 단위캐리어부(30)의 양측단부를 위로 올려 서로 접촉시킨다. 겹쳐진 손잡이부들 중에 적절한 위치에 있는 손잡이부를 꺾어 접어 올린다. 이와 같은 간단한 동작으로 음료 잔의 이동을 위한 캐리어의 준비가 완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따른 컵 캐리어 장치(1)에 의하면, 커피숍을 운영하는 사업주는 필요한 개수만큼의 단위캐리어부(30)로 잘라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이동시켜야 할 커피 등의 음료잔이 2개면, 2개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단위캐리어부(30)를 잘라서 각 관통지지공(20)에 음료잔을 넣은 후, 양단부에 구비된 손잡이부를 꺾어 접으면, 캐리어가 완성된다. 복잡한 조립이 필요없기 때문에, 종래 복잡한 상자 형태로 조립해야 하는 캐리어 보다 사업주는 시간을 대폭 아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1잔 또는 3잔의 음료잔을 이동시켜야 하는 상황이라면, 하나 또는 세개의 단위캐리어부(30)로 잘라서 사용할 수 있다. 종래 캐리어 제품들의 경우, 통상 2개 또는4개의 짝수로만 음료 잔들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홀수의 경우에는 무게 균형이 맞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필요한 개수만큼만 잘라서 사용할 수 있어서, 짝수 또는 홀수가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2컵홀더부(70, 75)를 구비하는 경우, 이들을 절취하여 상호 결합하면 컵홀더(79)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는 컵홀더(79)가 끼워진 컵(100)을 잡고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컵홀더(79)의 별도로 준비되는 것이 아니라, 단위 컵 캐리어부(30)에 일부로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없고 무엇보다도, 소재를 절약하고 일회 용품의 사용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여,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광고인쇄부(8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광고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컵 캐리어 장치 10: 본체부
20: 예비절취선 30: 단위캐리어부
40: 손잡이부 50: 관통지지공
60: 심부재 70, 75: 제1,2컵홀더부
80: 광고인쇄부

Claims (8)

  1. 상하폭을 가지고, 좌우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소재부재가 말려 있는 본체부;
    상기 소재부재의 상하폭에 걸쳐 형성되되, 사전결정된 너비만큼 이격되어 반복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예비절취선;
    상기 다수의 예비절취선들 중에서 상호 인접한 2개의 예비절취선에 의해 구분되어지고, 그 중앙부에는 종이컵의 하부만을 통과시켜 그 종이컵이 지지될 수 있는 관통지지공이 형성된 단위캐리어부; 및
    상기 단위캐리어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형성된 손잡이부; 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는, 그 전체 형상이 사각형이고, 그 중 한 변을 제외하고 나머지 3개의 변이 잘려 있어서, 잘려 있지 않은 한 변을 따라 접혀질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단위캐리어부의 가운데 형성된 중앙 손잡이부와, 서로 인접한 2개의 단위캐리어부에 걸쳐서 형성된 연장 손잡이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캐리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부재는 골판지이고,
    상기 말려 있는 본체부의 중심에는 심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캐리어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캐리어부에는, 그 상부와 하부 각각에 제1,2컵홀더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2컵홀더부는 상기 단위캐리어부로부터 분리된 후,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서 서로 결합되며 원통형상을 이루어, 종이컵의 컵홀더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2컵홀더부는 서로 형상이 동일하고, 그 테두리는 홀더예비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끼움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홀더예비절취선 및 상기 끼움절취선이 절취된 후 서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원통형상의 상기 컵홀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캐리어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004976A 2018-01-15 2018-01-15 컵 캐리어 장치 KR101996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976A KR101996165B1 (ko) 2018-01-15 2018-01-15 컵 캐리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976A KR101996165B1 (ko) 2018-01-15 2018-01-15 컵 캐리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165B1 true KR101996165B1 (ko) 2019-07-03

Family

ID=67258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976A KR101996165B1 (ko) 2018-01-15 2018-01-15 컵 캐리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16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3914A (ja) * 2003-11-21 2005-06-16 Rengo Riverwood Packaging Ltd 連結マルチパック
KR20110024918A (ko) * 2009-09-03 2011-03-09 신성심 롤 형태의 일회용 종이컵
KR101380398B1 (ko) * 2011-11-01 2014-04-02 김재홍 일회용 컵 캐리어
KR20150025166A (ko) 2013-08-28 2015-03-10 (주) 박스바다 종이가 절감되도록 구성된 커피 트레이
KR101546330B1 (ko) * 2013-05-21 2015-08-24 유길호 음료용기 운반수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3914A (ja) * 2003-11-21 2005-06-16 Rengo Riverwood Packaging Ltd 連結マルチパック
KR20110024918A (ko) * 2009-09-03 2011-03-09 신성심 롤 형태의 일회용 종이컵
KR101380398B1 (ko) * 2011-11-01 2014-04-02 김재홍 일회용 컵 캐리어
KR101546330B1 (ko) * 2013-05-21 2015-08-24 유길호 음료용기 운반수단
KR20150025166A (ko) 2013-08-28 2015-03-10 (주) 박스바다 종이가 절감되도록 구성된 커피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2890B1 (en) Collapsible container for holding foodstuff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5411141A (en) Eating utensil support
US20130284616A1 (en) Carrier for beverage cups
US2466636A (en) Service tray
US20090114661A1 (en) Holder
US6834762B2 (en) Foldable beverage carrier
US20030122050A1 (en) Coaster for stemware
KR101546330B1 (ko) 음료용기 운반수단
AU2004205211A1 (en) Synthetic resin bag
US7232055B1 (en) Folding serving tray
KR20130048030A (ko) 일회용 컵 캐리어
KR101996165B1 (ko) 컵 캐리어 장치
US20100206997A1 (en) Device for lifting up eating utensils
KR20200123615A (ko) 일회용 컵 캐리어
KR20110114967A (ko) 일회용 컵 캐리어
KR200483159Y1 (ko) 간편 홀더
US20100096397A1 (en) Cup Carrier for Inserting in a Bag
KR101486190B1 (ko) 절첩식 컵
KR101793097B1 (ko) 컵 캐리어
TW200925065A (en) Holder
US20150060532A1 (en) Food Product Holder
US20070119724A1 (en) Containers' carrier with multiple hooking system.
KR200476318Y1 (ko) 컵 캐리어
JP3199190U (ja) コーヒーカップ等ホルダー
KR102175815B1 (ko)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컵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