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6442A - 차량용 제어장치 및 디젤/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제어장치 및 디젤/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6442A
KR20130046442A KR1020137007509A KR20137007509A KR20130046442A KR 20130046442 A KR20130046442 A KR 20130046442A KR 1020137007509 A KR1020137007509 A KR 1020137007509A KR 20137007509 A KR20137007509 A KR 20137007509A KR 20130046442 A KR20130046442 A KR 20130046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nverter
converter
generator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7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0886B1 (ko
Inventor
게이타 하타나카
다카후미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6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1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 B60L50/15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with additional electric pow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34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absence of energy sto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6Series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7Physical arrangements or structures of drive train converter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pulsion motors of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i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50Control strategies for responding to system failures, e.g. for fault diagnosis, failsafe operation or limp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디젤 엔진(1)과, 차량을 구동하는 모터(5)와, 디젤 엔진(1)의 출력 에 의하여 교류 전력을 발전하는 발전기(2), 직류 전력을 충방전하는 전력 저장 장치(6), 발전기(2)가 발전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버터(3) 및 전력 저장 장치(6)가 방전하는 직류 전력 또는 컨버터(3)가 출력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모터(5)를 구동하는 인버터(4)를 구비하고, 컨버터(3)는 인버터(4)의 고장시에 인버터로서 동작하여, 모터(5)를 구동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제어장치 및 디젤/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VEHICLE CONTROL DEVICE AND DIESEL/HYBRID VEHICLE SYSTEM}
본 발명은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 및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용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은 디젤 엔진으로 발전기를 구동하고, 발전기에서 발생한 교류 전력을 컨버터로 직류 전력으로 변환함과 동시에, 컨버터가 변환한 직류 전력과 전력 저장 장치에 의한 직류 전력을 병용하고, 이러한 직류 전력을 인버터에서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변환한 교류 전력으로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차량에 대하여 추진력을 주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특허문헌 1]일본 특개 2004-312863호 공보
그렇지만, 종래의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에서는 인버터가 고장 등으로 사용 불가가 되면 모터를 구동하지 못하고 차량의 운행을 계속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보조 전원 장치(SIV)가 고장 등으로 사용 불가가 되면 보기(補機)의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어 운행 계속에 지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인버터나 보조 전원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고장 등으로 사용 불가가 되었을 경우에도, 차량의 운행 계속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및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앞서 말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제어장치는 디젤 엔진과, 차량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디젤 엔진의 출력에 의하여 교류 전력을 발전하는 발전기와, 직류 전력을 충방전(充放電)하는 전력 저장 장치와, 상기 발전기가 발전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버터와, 상기 전력 저장 장치가 방전하는 직류 전력 또는 상기 컨버터가 출력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를 구비하고, 상기 컨버터는 상기 인버터의 사용 불가시에 인버터로서 동작하고,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제어장치에 의하면, 인버터가 고장 등으로 사용 불가가 되었을 경우라도 차량의 운행 계속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보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차량용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일 구성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의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에 이용되는 제1~ 제4 전환기의 구성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동작 상태 및 해당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제1~ 제4 전환기 및 제1~ 제3 접촉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4는 컨버터, 인버터 및 보조 전원 장치 모두가 정상일 때의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인버터의 고장시에 있어서의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인버터의 고장시에 있어서의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도 5와는 다른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시에 있어서의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시에 있어서의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도 7과는 다른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컨버터의 고장시에 있어서의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컨버터의 고장시에 있어서의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도 9와는 다른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컨버터 및 인버터의 고장시에 있어서의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컨버터 및 인버터의 고장시에 있어서의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도 11과는 다른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컨버터 및 인버터의 고장시에 있어서의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도 11 및 도 12와는 다른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컨버터 및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시에 있어서의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컨버터 및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시에 있어서의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도 14와는 다른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컨버터 및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시에 있어서의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도 14 및 도 15와는 다른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인버터 및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시에 있어서의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인버터 및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시에 있어서의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도 17과는 다른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인버터 및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시에 있어서의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도 17 및 도 18과는 다른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컨버터, 인버터 및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시에 있어서의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컨버터, 인버터 및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시에 있어서의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도 20과는 다른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에 이용되기에 바람직한 실시형태 2에 관한 디젤 엔진 시스템의 일 구성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형태 2에 관한 디젤 엔진 시스템을 수랭 애프터 쿨러 방식으로 적용했을 경우의 일 구성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실시형태 2에 관한 디젤 엔진 시스템을 공랭 애프터 쿨러 방식으로 적용했을 경우의 일 구성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제어장치 및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장치 및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차량용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일 구성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형태 1에 관한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 엔진(1), 발전기(2), 컨버터(CNV)(3), 제1 인버터로서의 인버터(INV)(4), 모터(5), 전력 저장 장치(6), 제2 인버터로서의 보조 전원 장치(SIV)(7), 보기(8) 및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통괄하는 제어부(50)를 주요 구성부로서 구성됨과 동시에, 각 주요 구성부 간에 개재하여 그러한 접속 관계를 자유자재로 변경하는 제1~ 제4 전환기(9~12) 제1~ 제3 접촉기(13~15), 전류를 검출하는 센서인 전류 검출기(22~24), 전압을 검출하는 센서인 전압 검출기(25~27) 및 발전기 및 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 검출기(28, 29)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부 가운데 실시형태 1에 관한 차량용 제어장치는 컨버터(CNV)(3), 인버터(INV)(4) 및 보조 전원 장치(SIV)(7)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1에서는 전압 검출기(26, 27)의 검출 대상인 필터 콘덴서(filter condenser)(20, 21)를 아울러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부의 접속 관계 및 개략적인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젤 엔진(1)은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원의 하나이며, 발전기(2)에 접속된다. 발전기(2)는 디젤 엔진(1)의 출력에 의하여 교류 전력을 발전한다. 전력 저장 장치(6)는 리튬 이온 전지, 니켈 수소 전지,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리튬 이온 캐패시터, 플라이 휠(flywheel) 등을 저장 수단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의 저장 장치임과 동시에 구동력을 생성하는 또다른 구동원이며, 컨버터(3)와, 인버터(4)와, 접속부(직류 전압부)에 접속되어 직류 전력을 충방전한다. 컨버터(3)는 발전기(2)가 발전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한편, 전력 저장 장치(6)가 방전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인버터(4)는 컨버터(3) 또는 전력 저장 장치(6)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모터(5)는 인버터(4)로부터의 교류 전력의 공급을 받아 구동력(추진력)을 생성한다. 보조 전원 장치(7)는 직류 전압부에 접속되어 직류 전력을 일정 전압 일정 주파수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보기(8)에 공급한다. 또한, 보기(8)은 구동장치 이외의 부하 기기의 총칭이다.
제1~ 제4 전환기(9~12)는 도 2(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3개의 접속단 a~c를 가지고, 이들 3개의 접속단 a~c 중 임의의 2개의 접속단 사이를 접속하는 기능을 가진다. 여기서, 이 전환기를 ON/OFF 스위치로 구성한 일례가 동 도(b)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단 a, c 사이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ca 사이의 스위치를 ON, ab 사이의 스위치를 OFF, bc 사이의 스위치를 OFF로 제어하면 된다. 또한, 이 전환기를 전환 스위치로 구성한 일례가 동 도(c)이다. (b)와 같이 접속단 a, c사이를 접속하는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이 a스위치를 c측으로 닫고, c스위치를 a측에 닫으면 좋다(b스위치의 위치는 임의).
도 1으로 되돌아와서, 제1 전환기(9)는 발전기(2), 컨버터(3) 및 제4 전환기(12)의 3자 사이에 삽입되어 이들 3자 중에 2자를 선택하여 접속한다. 이하 마찬가지로 제2 전환기(10)은 인버터(4), 모터(5) 및 제4 전환기(12)의 3자 사이에 삽입되고, 제3 전환기(11)은 보조 전원 장치(7), 보기(8) 및 제4 전환기(12)의 3자 사이에 삽입되고, 제4 전환기(12)는 제1 전환기(9), 제2 전환기(10) 및 제3 전환기(11)의 3자 사이에 삽입되어 각각이 3자 중 2자를 선택해 접속하는 기능을 가진다.
제1~ 제3 접촉기(13~15)는 2개의 접속단을 가지고, 이들 2개의 접속단에 접속되는 구성부 사이의 접속을 ON/OFF 하는 기능을 가진다. 여기서, 제1 접촉기(13)는 직류 전압부에 있어서의 전력 저장 장치(6)의 접속부(30)와 컨버터(3)와의 사이에 접속되고, 제2 접촉기(14)는 이 접속부(30)와 인버터(4)와의 사이에 접속되며, 제3 접촉기(15)는 이 접속부(30)와 보조 전원 장치(7)와의 사이에 접속된다.
다음으로, 각 센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류 검출기(22)는 발전기(2)와 컨버터(3)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발전기 전류 IG로서 검출하고, 전류 검출기(23)는 인버터(4)와 모터(5)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모터 전류 IM으로서 검출하며, 전류 검출기(24)는 전력 저장 장치(6)에 유출입하는 전류를 배터리 전류 IB로서 검출한다. 또, 전압 검출기(25)는 컨버터(3)와 발전기(2)의 접속단 전압을 발전기 전압 VG로서 검출하고, 전압 검출기(26)는 필터 콘덴서(20)의 전압을 제1 직류 전압 EFCD로서 검출하고, 전압 검출기(27)는 필터 콘덴서(21)의 전압을 제2 직류 전압 EFC로서 검출한다. 게다가 회전 검출기(28)는 발전기(2)의 회전수를 발전기 회전수 FRG로서 검출하고, 회전 검출기(29)는 모터(5)의 회전수를 모터 회전수 RN으로서 검출한다. 또한, 이러한 각 센서가 검출한 검출치(센서 정보)는 제어부(50)에 입력된다.
또, 제어부(50)에는 상기 센서 정보에 더하여 전력 저장 장치(6)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 STB가 입력된다. 이 상태 정보에는 전력 저장 장치(6)의 출력전압(배터리 전압), 전력 저장 장치(6)의 충전(저장)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SOC:State Of Charge), 전력 저장 장치(6)가 충전 상태인지, 방전 상태인지의 정보(동작 정보) 등이 포함된다.
게다가 제어부(50)에는 조작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조작 정보)가 입력된다. 이 조작 정보에는, 예를 들면 전기차의 운행 조작(역행(力行), 브레이크, 타행(惰行), 정차)을 나타내는 정보나, 차량 시스템의 수전(受電) 개시 조작을 나타내는 정보 등이 포함된다. 제어부(50)는 상기 센서 정보(발전기 전류 IG, 모터 전류 IM, 배터리 전류 IB, 발전기 전압 VG, 제1 직류 전압 EFCD, 제2 직류 전압 EFC, 발전기 회전수 FRG, 모터 회전수 RN), 전력 저장 장치(6) 상태 정보 STB, 외부로부터의 조작 정보 CMD에 기초하여, 컨버터(3)에 구비되는 스위치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 GSC, 인버터(4)에 구비되는 스위치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 GSI 및, 보조 전원 장치(7)에 구비되는 스위치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 GSS를 생성하고, 각각 컨버터(3), 인버터(4) 및 보조 전원 장치(7)에 출력함과 동시에, 디젤 엔진(1)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한 회전수 제어 신호 RD를 생성하여 디젤 엔진(1)에 출력한다. 또, 제어부(50)는 후술 하는 고장의 태양에 따른 전환 신호를 생성하여 제1~ 제4 전환기(9~12) 및 제1~ 제3 접촉기(13~15)에 출력한다. 또한, 도 1에서는 번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이들 제 1~ 제4 전환기(9~12) 및 제1~ 제3 접촉기(13~15)에 대한 전환 신호의 도시를 생략 하고 있다.
도 3은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동작 상태 및 해당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제1~ 제4 전환기 및 제1~ 제3 접촉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3에 있어서, 제1~ 제4 전환기(9~12)의 란에 나타나는 소문자의 알파벳은 도 2(a)에 나타낸 각 단자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예를 들면“a-b”의 표기는 접속단 a, b 사이가 접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제3 접촉기(13~15)의 란에 나타나고 있는“ON”, “OFF”는 제1~ 제3 접촉기의 도통상태(導通狀態)를 나타내고 있으며, “ON”는 도통 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하고, “OFF”는 비도통 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엔진 기동”란에 “○”이 첨부되어 있는 것은 디젤 엔진을 병용하는 것을 의미하고, “발전기로부터 충전”란에 “○”이 첨부되어 있는 것은 발전기(2)의 발전 전력을 이용하여 전력 저장 장치(6)을 충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굵은 테두리로 둘러싼 부분은 동작 상태가 동일한 것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붙인 것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작 상태가 동일한 경우라 하더라도, 제1~ 제4 전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 상태는 달라 진다(제1~ 제3 접촉기의 상태는 동일하다). 제1~ 제4 전환기의 접속 상태에 의한 동작의 차이에 대하여는 이후의 실시형태의 동작 설명에 있어서 상세히 설명한다.
<기본 동작>
도 4는 컨버터(CNV), 인버터(INV) 및 보조 전원 장치(SIV)의 모두가 정상적인 때의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제1~ 제4 전환기 및 제1~ 제3 접촉기가 통상 상태(도 3의 No.1 참조)로서 제어되는 경우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우선,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기본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기본 동작 설명에서는 철도 차량에 탑재된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이 역 사이을 주행하는 경우를 일례로서 채택한다.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은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하여,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제2 전환기(9, 10)는 접속단 a, b 사이가 접속되고, 제3 전환기(11, 12)는 접속단 b, c사이가 접속되며, 제1~ 제3 접촉기(13~15)는 ON으로 제어된다. 또한, 도 4에서는 제4 전환기(12)는 접속단 b, c 사이가 접속되어 있지만, 이 접속은 임의이다(도 3의 No.1 참조). 이 제어에 의하여, 발전기(2)와 컨버터(3)가 접속되고, 컨버터(3)와 인버터(4)가 접속되며, 인버터(4)와 모터(5)가 접속되고, 보조 전원 장치(7)와 보기(8)이 접속된다. 또, 전력 저장 장치(6)은 컨버터(3), 인버터(4) 및 보조 전원 장치(7)의 각각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접속 상태에 있어서, 제어부(50)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은 운전대로부터 역행 지령(조작 정보 CMD의 하나)이 입력되면, 제어부(50)는 인버터(4)를 동작시켜 모터(5)에 공급되는 교류 전력의 전압 진폭 및 주파수를 제어한다. 인버터(4)는 전력 저장 장치(6)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모터(5)에 공급한다. 모터(5)가 구동됨으로써 차량이 기동하고 역행을 개시한다. 또한, 이 기동 시에는 디젤 엔진(1)의 출력은 정지한다.
차량의 속도가 일정 속도(예를 들어, 시속 20 km)에 이르면, 제어부(50)는 컨버터(3)를 인버터로서 동작시켜 발전기(2)에 공급하는 교류 전력의 전압 진폭 및 주파수를 제어한다. 컨버터(3)가 인버터로서 동작하고, 전력 저장 장치(6)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발전기(2)에 공급함으로써 발전기(2)는 모터로서 동작한다.
발전기(2)가 구동되면, 디젤 엔진(1)이 시동한다. 디젤 엔진(1)이 시동하면 발전기(2)는 본래의 발전기로서 동작한다. 디젤 엔진(1)이 시동하고, 차량의 역행에 필요한 출력을 생성하게 되면 발전기(2)가 생성하는 교류 전력은 컨버터(3)에서 직류 전력으로 변환되어 인버터(4)에 공급된다. 이 때, 전력 저장 장치(6)로부터 방전되고 있던 직류 전력은 감소해 가고, 전력 저장 장치(6)로부터의 전류(방전 전류)는 흐르지 않게 된다.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속도에 도달하면, 도시하지 않은 운전대로부터 제어부(50)에 출력되고 있던 역행 지령이 OFF 된다. 제어부(50)는 인버터(4)를 정지시키고, 차량은 타행상태가 된다.
보기(8)의 소비 전력은 보조 전원 장치(7)로부터 공급된다. 또한, 발전기(2)가 교류 전력을 생성하고 있지 않는 경우, 보조 전원 장치(7)로의 전력은 전력 저장 장치(6) 로부터 공급된다. 한편, 발전기(2)가 교류 전력을 생성하고 있는 경우, 보조 전원 장치(7)에는 발전기(2)가 발전한 교류 전력이 컨버터(3)에 의하여 직류 전력에 변환되어 공급된다.
그 후, 도시하지 않은 운전대로부터 제어부(50)에 브레이크 지령이 입력되면 제어부(50)는 컨버터(3)를 정지하고, 디젤 엔진(1) 및 발전기(2)를 정지한다. 또, 제어부(50)는 인버터(4)를 컨버터로서 동작시킴으로써 모터(5)를 발전기로서 동작시킨다. 이 때, 인버터(4)는 모터(5)로부터 회생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보조 전원 장치(7)에 필요한 전력 공급을 행함과 동시에, 잉여 전력을 이용하여 전력 저장 장치(6)를 충전한다.
또한, 제어부(50)에 의한 상기 제어는 제어부(50)에 입력되는 센서 정보(발전기 전류 IG, 모터 전류 IM, 배터리 전류 IB, 발전기 전압 VG, 제1 직류 전압 EFCD, 제2 직류 전압 EFC, 발전기 회전수 FRG, 모터 회전수 RN) 및 전력 저장 장치(6) 상태 정보 STB에 기초하여, 매우 적합하게 실시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인버터의 고장시의 동작>
다음으로, 인버터의 고장시의 동작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컨버터(CNV)(3), 인버터(INV)(4) 및 보조 전원 장치(SIV)(7)의 각 구성부 위에 붙인 “○”표는 해당 구성부가 정상인 것을 의미하고, “×”표는 해당 구성부가 비정상인 것을 의미한다(도 6 이하의 각 도면에 있어서도 같다).
우선, 인버터의 고장시에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하여,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제3 전환기(9~11)는 접속단 b, c 사이가 접속되고, 제4 전환기(12)는 접속단 a, b 사이가 접속되며, 제1, 제3 접촉기(13, 15)는 ON으로 제어되고, 제2 접촉기(14)는 OFF로 제어된다(도 3의 No.2 참조). 이 제어에 의하여 발전기(2)와 컨버터(3)는 분리됨과 동시에 컨버터(3)와 인버터(4)도 분리되며, 컨버터(3)와 모터(5)가 접속되고, 보조 전원 장치(7)와 보기(8)가 접속된다. 또, 전력 저장 장치(6)은 컨버터(3) 및 보조 전원 장치(7)의 각각에 접속된다.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이 도 5와 같이 접속될 때, 제어부(50)는 컨버터(3)를 인버터로서 동작시키고, 전력 저장 장치(6)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모터(5)를 구동한다. 모터(5)가 구동됨으로써 차량의 운행은 계속 가능하다. 또, 보기(8)는 보조 전원 장치(7)를 통하여 전력 저장 장치(6)에 접속되기 때문에, 보기(8)로의 전력 공급도 계속 가능하다.
또, 전력 저장 장치(6)의 방전 능력이 저하된 경우, 도 6과 같이 접속하면 된다. 도 6의 경우, 제1, 제4 전환기(9, 12)는 접속단 a, b 사이가 접속되고 제2, 제3 전환기(10, 11)는 접속단 b, c사이가 접속되며, 제1, 제3 접촉기(13, 15)는 ON으로 제어되고, 제2 접촉기(14)는 OFF로 제어된다(도 3의 No.3 참조). 이 제어에 의하여 발전기(2)와 컨버터(3)는 접속되고, 컨버터(3)와 인버터(4)는 분리되고, 보조 전원 장치(7)와 보기(8)가 접속된다. 즉, 모터(5)는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전력 저장 장치(6)는 컨버터(3)를 통하여 발전기(2)에 접속되고, 보기(8)은 보조 전원 장치(7)를 통하여 전력 저장 장치(6)에 접속된다.
따라서, 전력 저장 장치(6)의 방전 능력이 저하한 경우라 하더라도, 발전기(2)의 발전 전력을 이용하여 전력 저장 장치(6)에 대한 충전이 가능해진다. 또, 보기(8)는 보조 전원 장치(7)을 통하여 전력 저장 장치(6)에 접속되기 때문에, 보기(8)에 대한 전력 공급의 계속이 가능해진다.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시의 동작>
다음으로,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시에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하여,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제4 전환기(9, 12)는 접속단 b, c 사이가 접속되고, 제2, 제3 전환기(10, 11)는 접속단 a, b 사이가 접속되며, 제1, 제2 접촉기(13, 14)는 ON으로 제어되고, 제3 접촉기(15)는 OFF로 제어된다(도 3의 No.4 참조). 이 제어에 의하여, 발전기(2)와 컨버터(3)는 분리되고 인버터(4)와 모터(5)가 접속되며, 컨버터(3)와 보기(8)가 접속된다. 또, 전력 저장 장치(6)는 컨버터(3) 및 인버터(4)의 각각에 접속된다.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이 도 7과 같이 접속될 때, 제어부(50)는 인버터(4)를 동작시키고, 전력 저장 장치(6)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모터(5)를 구동한다. 모터(5)가 구동됨으로써 차량의 운행은 계속 가능하다.
또, 제어부(50)는 컨버터(3)를 인버터로서 동작시키고, 전력 저장 장치(6)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보기(8)에 공급한다. 따라서, 보기(8)로의 전력 공급도 계속 가능하다.
또한, 전력 저장 장치(6)에 대한 충전은 모터(5)의 회생 전력을 이용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인버터(4)는 컨버터로서 동작한다.
또,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시에 있어서는,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발전기(2)와 컨버터(3)를 접속하여도 좋다. 도 8의 경우, 제1~ 제3 전환기(9~11)는 접속단 a, b 사이가 접속되고, 제4 전환기(12)는 접속단 b, c 사이가 접속되며, 제1, 제2 접촉기(13, 14)는 ON으로 제어되고, 제3 접촉기(15)는 OFF로 제어된다(도 3의 No.5 참조). 이 제어에 의하여, 발전기(2)와 컨버터(3)가 접속되고, 컨버터(3)와 인버터(4)가 접속되며, 인버터(4)와 모터(5)가 접속된다. 또, 전력 저장 장치(6)은 컨버터(3)을 통하여 발전기(2)에 접속된다.
따라서, 컨버터(3) 및 인버터(4)를 동작시키면 발전기(2)의 발전 전력을 이용하여 모터(5)를 구동할 수 있어 차량의 운행 계속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력 저장 장치(6)의 방전 능력이 저하한 경우에는 발전기(2)의 발전 전력을 이용하여 전력 저장 장치(6)에 대한 충전이 가능해진다.
또, 모터(5)의 회생 전력을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인버터(4)를 컨버터로서 동작시킴으로써 전력 저장 장치(6)에 대한 충전이 가능해진다.
<컨버터의 고장시의 동작>
다음으로, 컨버터의 고장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컨버터의 고장시에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하여,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제2 전환기(9, 10)는 접속단 a, c사이가 접속되고, 제3 전환기(11)는 접속단 b, c 사이에 접속되고, 제4 전환기(12)는 접속단 a, b 사이가 접속되며, 제1 접촉기(13)는 OFF로 제어되고, 제2, 제3 접촉기(14, 15)는 ON으로 제어된다(도 3의 No.6 참조). 이 제어에 의하여, 발전기(2)와 컨버터(3)는 분리됨과 동시에, 인버터(4)와 모터(5)도 분리된다. 한편, 전력 저장 장치(6)는 인버터(4)를 통하여 발전기(2)에 접속되고, 보기(8)은 보조 전원 장치(7)를 통하여 전력 저장 장치(6)에 접속된다.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이 도 9와 같이 접속될 때, 제어부(50)는 인버터(4)를 컨버터로서 동작시켜 발전기(2)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보조 전원 장치(7)에 필요한 전력 공급을 행함과 동시에, 잉여 전력을 이용하여 전력 저장 장치(6)를 충전한다. 이 때문에, 보기(8)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해진다.
또, 컨버터의 고장시에 있어서,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접속하면, 모터(5) 및 보기(8)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해진다. 도 10의 경우, 제1 전환기(9)는 접속단 a, c 사이가 접속되고, 제2, 제4 전환기(10, 12)는 접속단 a, b사이가 접속되고, 제3 전환기(11)는 접속단 b, c 사이가 접속되며, 제1 접촉기(13)는 OFF로 제어되고, 제2, 제3 접촉기(14, 15)는 ON으로 제어된다(도 3의 No.7 참조). 이 제어에 의하여, 발전기(2)는 모터(5)로부터 분리되지만, 인버터(4)와 모터(5)가 접속되고, 보기(8)는 보조 전원 장치(7)를 통하여 전력 저장 장치(6)에 접속된다.
따라서, 인버터(4)를 동작시키면, 전력 저장 장치(6)의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모터(5)를 구동할 수 있어 차량의 운행 계속이 가능해진다.
또, 보기(8)도 보조 전원 장치(7)를 통하여 전력 저장 장치(6)에 접속되기 때문에 보기(8)로의 전력 공급도 가능해진다.
<컨버터 및 인버터의 고장시의 동작>
다음으로, 컨버터 및 인버터의 고장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고장시에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하여,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전환기(9)는 접속단 a, c 사이가 접속되고, 제2, 제3 전환기(10, 11)는 접속단 b, c사이가 접속되고, 제4 전환기(12)는 접속단 a, b사이가 접속되며, 제1, 제2 접촉기(13, 14)는 OFF로 제어되고, 제3 접촉기(15)는 ON으로 제어된다(도 3의 No.8 참조). 이 제어에 의하여, 발전기(2)와 컨버터(3)는 분리되고, 인버터(4)와 모터(5)도 분리되며, 게다가 컨버터(3) 및 인버터(4)는 전력 저장 장치(6)와도 분리된다. 한편, 모터(5)는 발전기(2)에 접속되고, 보기(8)는 보조 전원 장치(7)를 통하여 전력 저장 장치(6)에 접속된다.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이 도 11과 같이 접속될 때, 모터(5)의 회생 전력을 발전기(2)에 공급함으로써, 디젤 엔진(1)의 시동이 가능해진다. 디젤 엔진(1)이 시동하고, 차량의 역행에 필요한 출력을 생성하게 되면 디젤 엔진(1)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발전기(2)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소망하는 교류 전력으로 제어하고, 이 교류 전력을 모터(5)에 공급함으로써 모터(5)를 구동할 수 있어 차량의 운행 계속이 가능해진다.
또, 컨버터 및 인버터의 고장시에 있어서,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접속하면 전력 저장 장치(6)로의 충전이 가능해진다. 도 12의 경우, 제1, 제3 전환기(9, 11)는 접속단 a, c사이가 접속되고, 제2, 제4 전환기(10, 12)는 접속단 b, c 사이가 접속되며, 제1, 제2 접촉기(13, 14)는 OFF로 제어되고, 제3 접촉기(15)는 ON으로 제어된다(도 3의 No.9 참조). 이 제어에 의하여, 발전기(2)는 모터(5)로부터 분리되지만, 보조 전원 장치(7)를 통하여 전력 저장 장치(6)에 접속된다.
따라서, 보조 전원 장치(7)를 컨버터로서 동작시키면, 발전기(2)의 발전 전력을 이용하여 전력 저장 장치(6)에 대한 충전이 가능해진다. 또, 이 제어와는 반대로, 보조 전원 장치(7)를 통상의 인버터로서 동작시키고, 전력 저장 장치(6)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발전기(2)에 공급함으로써 발전기(2)를 모터로서 동작시키면 미리 디젤 엔진(1)을 시동하여 두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컨버터 및 인버터의 고장시에 있어서,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접속하여도 좋다. 도 13의 경우, 제1, 제3, 제4 전환기(9, 11, 12)는 접속단 a, c사이가 접속되고, 제2 전환기(10)는 접속단 b, c사이가 접속되며, 제1, 제2 접촉기(13, 14)는 OFF로 제어되고, 제3 접촉기(15)는 ON으로 제어된다(도 3의 No.10 참조). 이 제어 에 의하여, 발전기(2)는 모터(5)로부터 분리되지만, 모터(5)는 보조 전원 장치(7)을 통하여 전력 저장 장치(6)에 접속된다.
따라서, 보조 전원 장치(7)을 동작시키면, 전력 저장 장치(6)의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모터(5)를 구동할 수 있어 차량의 운행 계속이 가능해진다.
<컨버터 및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시의 동작>
다음으로, 컨버터 및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고장시에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하여,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전환기(9)는 접속단 a, c 사이가 접속되고, 제2, 제3 전환기(10, 11)는 접속단 a, b사이가 접속되고, 제4 전환기(12)는 접속단 b, c 사이가 접속되며, 제1, 제3 접촉기(13, 15)는 OFF로 제어되고, 제2 접촉기(14)는 ON으로 제어된다(도 3의 No.11 참조). 이 제어에 의하여 컨버터(3)는 발전기(2), 인버터(4) 및 전력 저장 장치(6)로부터 분리되고, 보조 전원 장치(7)는 컨버터(3), 인버터(4) 및 전력 저장 장치(6)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모터(5)는 인버터(4)에 접속되고, 보기(8)는 발전기(2)에 접속된다.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이 도 14와 같이 접속될 때, 인버터(4)를 동작시키면 전력 저장 장치(6)의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모터(5)를 구동할 수 있어 차량의 운행 계속이 가능해진다.
또, 디젤 엔진(1)이 기동되고 있는 경우에는 발전기(2)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보기(8)에 공급할 수 있어 보기(8)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해진다.
또, 컨버터 및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시에 있어서 도 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접속하면 전력 저장 장치(6)로의 충전이 가능해진다. 도 15의 경우, 제1, 제2 전환기(9, 10)는 접속단 a, c 사이가 접속되고, 제3, 제4 전환기(11, 12)는 접속단 a, b사이가 접속되며, 제1, 제3 접촉기(13, 15)는 OFF로 제어되고, 제2 접촉기(14)는 ON으로 제어된다(도 3의 No.12 참조). 이 제어에 의하여 발전기(2)는 인버터(4)를 통하여 전력 저장 장치(6)에 접속된다.
따라서, 인버터(4)를 컨버터로서 동작시키면 발전기(2)의 발전 전력을 이용하여 전력 저장 장치(6)에 대한 충전이 가능해진다.
또, 컨버터 및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시에 있어서 도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접속하면 보기(8)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해진다. 도 16의 경우, 제1, 제2, 제4 전환기(9, 10, 12)는 접속단 a, c 사이가 접속되고, 제3 전환기(11)는 접속단 a, b사이가 접속되며, 제1, 제3 접촉기(13, 15)는 OFF로 제어되고, 제2 접촉기(14)는 ON으로 제어된다(도 3의 No.13 참조). 이 제어에 의하여 인버터(4)는 보기(8)에 접속된다.
따라서, 인버터(4)를 동작시키면 전력 저장 장치(6)의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보기(8)에 교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보기(8)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해진다.
<인버터 및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시의 동작>
다음으로, 인버터 및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고장시에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하여,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제2 전환기(9, 10)는 접속단 b, c 사이가 접속되고, 제3, 제4 전환기(11, 12)는 접속단 a, b 사이가 접속되며, 제1 접촉기(13)는 ON으로 제어되고, 제2, 제3 접촉기(14, 15)는 OFF로 제어된다(도 3의 No.14 참조). 이 제어에 의하여, 인버터(4)는 컨버터(3) 및 전력 저장 장치(6)로부터 분리되고, 보조 전원 장치(7)는 컨버터(3) 및 전력 저장 장치(6)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모터(5)는 컨버터(3)에 접속된다.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이 도 17과 같이 접속될 때, 컨버터(3)를 인버터로서 동작시키면 전력 저장 장치(6)의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모터(5)를 구동할 수 있어 차량의 운행 계속이 가능해진다.
또, 인버터 및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시에 있어서, 도 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접속하면, 전력 저장 장치(6)로의 충전이 가능해진다. 도 18의 경우, 제1, 제3, 제4 전환기(9, 11, 12)는 접속단 a, b사이가 접속되고, 제2 전환기(10)는 접속단 b, c 사이가 접속되며, 제1 접촉기(13)는 ON으로 제어되고, 제2, 제3 접촉기(14, 15)는 OFF로 제어된다(도 3의 No.15 참조). 이 제어에 의하여, 발전기(2)는 컨버터(3)를 통하여 전력 저장 장치(6)에 접속된다.
따라서, 컨버터(3)를 동작시키면 발전기(2)의 발전 전력을 이용하여 전력 저장 장치(6)에 대한 충전이 가능해진다.
또, 컨버터 및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시에 있어서, 도 1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접속하면 보기(8)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해진다. 도 19의 경우 제1, 제2, 제4 전환기(9, 10, 12)는 접속단 b, c 사이가 접속되고, 제3 전환기(11)는 접속단 a, b 사이가 접속되며, 제1 접촉기(13)는 ON으로 제어되고, 제2, 제3 접촉기(14, 15)는 OFF로 제어된다(도 3의 No.16 참조). 이 제어에 의하여 컨버터(3)는 보기(8)에 접속된다.
따라서, 컨버터(3)을 인버터로서 동작시키면 전력 저장 장치(6)의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보기(8)에 교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보기(8)에의 전력 공급이 가능해진다.
<컨버터, 인버터 및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시의 동작>
다음으로, 컨버터, 인버터 및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고장시에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하여, 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전환기(9)는 접속단 a, c 사이가 접속되고, 제2 전환기(10)는 접속단 b, c 사이가 접속되고, 제3, 제4 전환기(11, 12)는 접속단 a, b 사이가 접속되며, 제1~ 제3 접촉기(13~15)는 모두 OFF로 제어된다(도 3의 No.17 참조). 이 제어에 의하여, 컨버터(3)는 발전기(2) 및 전력 저장 장치(6)로부터 분리되고, 인버터(4)는 모터(5) 및 전력 저장 장치(6)로부터 분리되고, 보조 전원 장치(7)는 컨버터(3), 인버터(4) 및 전력 저장 장치(6)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모터(5)는 발전기(2)에 접속된다.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이 도 20과 같이 접속될 때, 디젤 엔진(1)이 기동 되고 있는 경우에는 디젤 엔진(1)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발전기(2)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소망한 교류 전력으로 제어하고, 이 교류 전력을 모터(5)에 공급함으로써 모터(5)를 구동할 수 있어 차량의 운행 계속이 가능해진다.
또, 컨버터, 인버터 및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시에 있어서, 도 2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접속하면, 보기(8)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해진다. 도 21의 경우, 제1 전환기(9)는 접속단 a, c 사이가 접속되고, 제2, 제4 전환기(10, 12)는 접속단 b, c 사이가 접속되며, 제3 전환기(11)는 접속단 a, b 사이가 접속되고, 제1~ 제3 접촉기(13~15)는 모두 OFF로 제어된다(도 3의 No.18 참조). 이 제어에 의하여 보기(8)는 발전기(2)에 접속된다.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이 도 21과 같이 접속될 때, 디젤 엔진(1)이 기동되고 있는 경우에는 디젤 엔진(1)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발전기(2)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소망한 교류 전력으로 제어하고, 이 교류 전력을 보기(8)에 공급할 수 있어 보기(8)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해진다.
또한, 컨버터, 인버터 및 보조 전원 장치의 전부가 고장인 경우, 디젤 엔진(1)을 재시 동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컨버터(3), 인버터(4) 및 보조 전원 장치(7) 중 어느 2개의 부위가 고장인 경우, 해당 고장 부위에 따라서 일단, 도 12, 도 15 및 도 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접속 상태로 제어하고, 디젤 엔진(1)을 재시동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어를 행하면, 그 후, 컨버터(3), 인버터(4) 및 보조 전원 장치(7)의 전부가 고장나 버렸을 경우에도 발전기(2)로부터 모터(5) 및 보기(8)에 대한 전력 공급이 가능해져 차량의 운행 계속과, 보기(8)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에 관한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에 따르면 인버터의 고장시에 컨버터의 접속선를 모터로 전환하도록 하였으므로, 인버터가 사용 불가가 되었을 경우에도 차량의 운행을 계속할 수 있어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실시형태 1에 관한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에 따르면, 컨버터의 고장시에 인버터의 접속선을 발전기로 전환하도록 하였으므로, 컨버터가 사용 불가가 되었을 경우에도 차량의 운행을 계속할 수 있어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실시형태 1에 관한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에 따르면, 보기로의 전력 공급을 실시하는 보조 전원 장치의 고장시에, 컨버터의 접속선을 보기 측으로 전환하도록 하였으므로 보조 전원 장치가 고장 등으로 사용 불가가 되었을 경우에도, 보기로의 전력 공급을 계속할 수 있어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서는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제어 대상으로 보기로의 전력 공급을 실시하는 보조 전원 장치를 포함하는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보조 전원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전력 변환 장치로서는 컨버터 및 인버터만을 포함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제어 형태이어도 컨버터 및 인버터 중 적어도 하나가 고장났을 때에, 차량의 운행 계속이 가능해진다는 본 실시형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철도 차량에 탑재되는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을 일례로서 설명했지만, 철도 차량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력 저장 장치를 탑재한 하이브리드 이동체(자동차, 자동 2륜 등), 하이브리드 건설기계(덤프 트럭, 불도저, 셔블 카 등) 혹은 선박 분야에도 적용 가능하다.
실시형태 2.
도 2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에 이용되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 2에 관한 디젤 엔진 시스템의 일 구성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형태 2에 관한 디젤 엔진 시스템은 도 2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디젤 엔진(60), 냉각 장치(61), 열전발전 소자(62), 제어 전원(63), 제어 전원 부하(64), 다이오드(65), 냉각수 공급관(67) 및, 냉각수 환류관(68)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2에 있어서, 디젤 엔진(60)과 냉각 장치(61) 사이에는 냉각수 공급관(67) 및 냉각수 환류관(68)이 배치되어 있으며, 디젤 엔진(60)은 이들 냉각수 공급관(67) 및 냉각수 환류관(68)을 순환하는 냉각수에 의하여 냉각되는 구성이다. 또, 냉각수 공급관(67)과 냉각수 환류관(68) 사이에는 이들 냉각수 공급관(67) 및 냉각수 환류관(68)에 접하도록 열전발전 소자(62)가 배치되어 있다. 열전발전 소자(62)는 온도차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제벡효과 이용의 열전발전 소자이며, 냉각수의 온도차(냉각수 환류관(68)이 고온 측, 냉각수 공급관(67)이 저온 측)에 따른 열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역류 방지용의 다이오드(65)를 통하여 제어 전원 부하(64)에 공급함과 동시에 잉여 전력은 제어 전원(63)에 축적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출원시에 있어서의 전형적인 열전발전 소자로서 1 소자 당 발전 출력이 “8 V-3 A” 정도의 것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철도 차량에 이용되는 제어 전원 전압은 수V~100 V정도이기 때문에, 이 열전발전 소자를 최대 15 소자 직렬로 접속하면 모든 제어 전원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어 전원의 용량이 큰 경우에는 직렬 접속한 소자군을 병렬 접속하여 이용하면 된다. 또, 이런 종류의 발전 소자의 용적은 비교적 작기 때문에(본 항의 열전발전 소자에서는 1 소자 당 10수 cm3 정도), 수 많은 소자 또는 소자군을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른 제어 전원 전압 및 다른 용량을 가지는 복수 종류의 제어 전원에의 대응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2에 관한 디젤 엔진 시스템에 따르면, 디젤 엔진의 발열(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을 실시하고, 발전한 전력을 디젤 엔진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전원의 전기 에너지로서 이용하도록 하였으므로 차량 전체에서 소비하는 토탈 에너지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 실시형태 2에 관한 디젤 엔진 시스템에서는 디젤 엔진을 냉각하는 냉각수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열전발전을 실시하므로 냉각수의 폐열 용량을 저감할 수 있어 냉각 장치 용량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도 23 및 도 24는 실시형태 2에 관한 디젤 엔진 시스템보다 구체적인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3은 수랭 애프터 쿨러 방식의 디젤 엔진 시스템에 적용하였을 경우의 일 구성례이고, 도 24는 공랭 애프터 쿨러 방식의 디젤 엔진 시스템에 적용하였을 경우의 일 구성례이다.
우선, 수랭 애프터 쿨러 방식의 디젤 엔진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 디젤 엔진 시스템에서는 도 2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디젤 엔진(70), 압축기(71a) 및 터빈(71b)를 가지는 과급기(71), 라디에이터(74), 애프터 쿨러(75), 워터펌프(76), 프로펠러 팬(77)이 요소에 배치되어 있다. 압축기(71a)와 애프터 쿨러(75)와의 사이에는 제1 압축 공기 공급관(78)이 배설되고, 이 제1 압축 공기 공급관(78)은 애프터 쿨러(75)의 출구 측에서 제2 압축 공기 공급관(83)이 된다. 이 제2 압축 공기 공급관(83)은 애프터 쿨러(75)와 디젤 엔진(70)과의 사이에 배설(配設)된다.
또, 워터펌프(76)과 애프터 쿨러(75) 사이에는 제1 냉각수 공급관(79a)과, 이 제1 냉각수 공급관(79a)의 일방측의 분기관(分岐管)인 제2 냉각수 공급관(79b)이 배설되고, 워터펌프(76)와 디젤 엔진(70) 사이에는 제1 냉각수 공급관(79a)과, 이 제1 냉각수 공급관(79a)의 타방측의 분기관인 제3 냉각수 공급관(79c)이 배설되어 있다. 제3 냉각수 공급관(79c)은 디젤 엔진(70)의 출력 측에서 제1 냉각수 배출관(80a)이 되고, 제2 냉각수 공급관(79b)는 애프터 쿨러(75)의 출력 측에서 제2 냉각수 배출관(80b)이 된다. 이들 제 1 냉각수 배출관(80a) 및 제2 냉각수 배출관(80b)은 합류하여 제3 냉각수 배출관(81)이 되며, 라디에이터(74)와의 사이에 배설된다. 이 제3 냉각수 배출관(81)은 라디에이터(74)의 출구 측에서 제3 냉각수 배출관(81)이 되어 워터펌프(76)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제2 냉각수 공급관(79b)의 온도를 T1로 하고 제1 압축 공기 공급관(78)의 온도를 T2로 하면 T1<T2의 관계에 있다. 또, 전형적인 수랭 애프터 쿨러 방식의 디젤 엔진 시스템에서는 T2-T1, 즉, 제1 압축 공기 공급관(78)과 제2 냉각수 공급관(79b)의 온도차로서 80℃정도의 온도차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제 1의 압축 공기 공급관(78)과 제2 냉각수 공급관(79b)과의 사이에, 이들 제 1의 압축 공기 공급관(78) 및 제2 냉각수 공급관(79b)의 각각에 접하도록 열전발전 소자(62a)를 배설하면 80℃정도의 온도차를 이용한 발전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공랭 애프터 쿨러 방식의 디젤 엔진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랭 애프터 쿨러 방식의 디젤 엔진 시스템에서는 도 2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디젤 엔진(86), 압축기(87a) 및 터빈(87b)을 가지는 과급기(87), 라디에이터(88), 애프터 쿨러(89), 워터펌프(90), 프로펠러 팬(91)이 요소에 배치되어 있다. 압축기(87a)와 애프터 쿨러(89) 사이에는 제1 압축 공기 공급관(92)이 배설되어 이 제1 압축 공기 공급관(92)는 애프터 쿨러(89)의 출력 측에서 제2 압축 공기 공급관(93)이 된다. 이 제2 압축 공기 공급관(93)은 애프터 쿨러(89)와 디젤 엔진(86) 사이에 배설된다.
또, 워터펌프(90)와 디젤 엔진(86) 사이에는 제1 냉각수 공급관(94)이 배설된다. 이 제1 냉각수 공급관(94)은 디젤 엔진(86)의 출구 측에서 제1 냉각수 배출관(95)이 되고, 라디에이터(88)와의 사이에 배설된다. 이 제1 냉각수 배출관(95)은 라디에이터(88)의 출구 측에서 제2 냉각수 배출관(96)이 되어 워터펌프(90)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제2 냉각수 배출관(96)의 온도를 T3로 하고 제1 압축 공기 공급관(92)의 온도를 T4로 하면 T3<T4의 관계에 있다. 또, 전형적인 수랭 애프터 쿨러 방식의 디젤 엔진 시스템에서는 T4-T3 즉, 제1 압축 공기 공급관(92)과 제2 냉각수 배출관(96)의 온도차로서 백십수℃ 정도의 온도차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제 1의 압축 공기 공급관(92)과 제2 냉각수 공급관(96) 사이에, 이들 제 1의 압축 공기 공급관(92) 및 제2 냉각수 공급관(96)의 각각이 접하도록 열전발전 소자(62b)를 배설하면 백십수℃ 정도의 온도차를 이용한 발전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은 인버터가 고장 등으로 사용 불가가 되었을 경우이어도 차량의 운행 계속을 가능하게 하는 발명으로서 유용하다.
1 60, 70, 86 디젤 엔진
2 발전기
3 컨버터
4 인버터(제1 인버터)
5 모터
6 전력 저장 장치
7 보조 전원 장치(제2 인버터)
8 보기
9 제 1 전환기
10 제 2 전환기
11 제 3 전환기
12 제 4 전환기
13 제 1 접촉기
14 제 2 접촉기
15 제 3 접촉기
20, 21 필터 콘덴서
22, 23, 24 전류 검출기
25~27 전압 검출기
28, 29 회전 검출기
30 접속부
50 제어부
61 냉각 장치
62, 62 a, 62 b열전발전 소자
63 제어 전원
64 제어 전원 부하
65 다이오드
67 냉각수 공급관
68 냉각수 환류관
71, 87 과급기
71 a, 87 a압축기(C)
71 b, 87 b터빈(T)
74, 88 라디에이터
75, 89 애프터 쿨러
76, 90 워터펌프(W/P)
77, 91 프로펠러 팬
78, 92 제 1 압축 공기 공급관
79 a, 94 제 1 냉각수 공급관
79 b 제 2 냉각수 공급관
79 c 제 3 냉각수 공급관
80 c 제 4 냉각수 공급관
80 a, 95 제 1 냉각수 배출관
80 b, 96 제 2 냉각수 배출관
81 제 3 냉각수 배출관
83, 93 제 2 압축 공기 공급관

Claims (23)

  1. 디젤 엔진의 출력에 의하여 교류 전력을 발전하는 발전기가 발전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력을 충방전(充放電)하는 전력 저장 장치가 방전하는 직류 전력 또는 상기 컨버터가 출력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차량을 구동하는 모터에 출력하는 인버터와,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버터의 고장시에 상기 컨버터의 접속선을 상기 발전기로부터 상기 모터로 전환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젤 엔진이 기동 중인 경우, 상기 컨버터의 접속선을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발전기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컨버터를 동작시켜 상기 발전기가 발전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력 저장 장치로의 충전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3. 디젤 엔진의 출력에 의하여 교류 전력을 발전하는 발전기가 발전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력을 충방전하는 전력 저장 장치가 방전하는 직류 전력 또는 상기 컨버터가 출력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차량을 구동하는 모터에 출력하는 제1 인버터와,
    상기 전력 저장 장치가 방전하는 직류 전력 또는 상기 컨버터가 출력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보기(補機)에 공급하는 제2 인버터를 구비하고,
    상기 컨버터, 상기 제1 인버터 및 상기 제2 인버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인버터의 고장시에 상기 컨버터의 접속선을 상기 발전기로부터 상기 보기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컨버터를 인버터로서 동작시켜 상기 전력 저장 장치가 방전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보기에 공급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젤 엔진이 기동 중인 경우, 상기 컨버터의 접속선을 상기 보기로부터 상기 발전기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컨버터를 동작시켜 상기 발전기가 발전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력 저장 장치로의 충전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5. 디젤 엔진의 출력에 의하여 교류 전력을 발전하는 발전기가 발전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력을 충방전하는 전력 저장 장치가 방전하는 직류 전력 또는 상기 컨버터가 출력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차량을 구동하는 모터에 출력하는 인버터와,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버터의 고장시에 해당 고장난 컨버터를 상기 인버터로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상기 인버터를 동작시켜 상기 전력 저장 장치가 방전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모터에 공급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젤 엔진이 기동 중인 경우, 상기 발전기의 접속선을 상기 컨버터로부터 상기 인버터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인버터를 컨버터로서 동작시켜 상기 발전기가 발전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력 저장 장치로의 충전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7. 디젤 엔진의 출력에 의하여 교류 전력을 발전하는 발전기가 발전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력을 충방전하는 전력 저장 장치가 방전하는 직류 전력 또는 상기 컨버터가 출력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차량을 구동하는 모터에 출력하는 제1 인버터와,
    상기 전력 저장 장치가 방전하는 직류 전력 또는 상기 컨버터가 출력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보기에 공급하는 제2 인버터를 구비하고,
    상기 컨버터, 상기 제1 인버터 및 상기 제2 인버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젤 엔진이 기동 중인 경우,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제1 인버터의 고장시에, 상기 발전기의 접속선을 상기 컨버터로부터 상기 모터로 전환하고, 상기 디젤 엔진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상기 발전기가 발전한 교류 전력을 소망한 교류 전력으로 제어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전기의 접속선을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제2 인버터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인버터를 컨버터로서 동작시켜, 상기 발전기가 발전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력 저장 장치로의 충전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인버터의 접속선을 상기 보기로부터 상기 모터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인버터를 동작시켜 상기 전력 저장 장치가 방전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모터에 공급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10. 디젤 엔진의 출력에 의하여 교류 전력을 발전하는 발전기가 발전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력을 충방전하는 전력 저장 장치가 방전하는 직류 전력 또는 상기 컨버터가 출력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차량을 구동하는 모터에 출력하는 제1 인버터와,
    상기 전력 저장 장치가 방전하는 직류 전력 또는 상기 컨버터가 출력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보기에 공급하는 제2 인버터를 구비하고,
    상기 컨버터, 상기 제1 인버터 및 상기 제2 인버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젤 엔진이 기동 중인 경우,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제2 인버터의 고장시에, 상기 발전기의 접속선을 상기 컨버터로부터 상기 보기로 전환하고, 상기 디젤 엔진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상기 발전기가 발전한 교류 전력을 소망한 교류 전력으로 제어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전기의 접속선을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제1 인버터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인버터를 컨버터로서 동작시켜 상기 발전기가 발전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력 저장 장치로의 충전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인버터의 접속선을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보기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인버터를 동작시켜, 상기 전력 저장 장치가 방전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보기에 공급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13. 디젤 엔진의 출력에 의하여 교류 전력을 발전하는 발전기가 발전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력을 충방전하는 전력 저장 장치가 방전하는 직류 전력 또는 상기 컨버터가 출력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차량을 구동하는 모터에 출력하는 제1 인버터와,
    상기 전력 저장 장치가 방전하는 직류 전력 또는 상기 컨버터가 출력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보기에 공급하는 제2 인버터를 구비하고,
    상기 컨버터, 상기 제1 인버터 및 상기 제2 인버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젤 엔진이 기동 중인 경우, 상기 제1 인버터 및 상기 제2 인버터의 고장시에, 상기 컨버터의 접속선을 상기 발전기로부터 상기 모터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컨버터를 인버터로서 동작시켜 상기 전력 저장 장치가 방전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보기에 공급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전기를 상기 컨버터에 재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컨버터를 동작시켜, 상기 발전기가 발전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력 저장 장치로의 충전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버터의 접속선을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보기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컨버터를 인버터로서 동작시켜 상기 전력 저장 장치가 방전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보기에 공급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16. 청구항 2, 청구항 4, 청구항 6, 청구항 7,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젤 엔진이 기동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컨버터, 상기 인버터 혹은 상기 제1 인버터, 및 상기 제2 인버터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전력 저장 장치에 접속시킴과 동시에, 해당 전력 저장 장치에 접속시킨 상기 컨버터, 상기 인버터 혹은 상기 제1 인버터, 및 상기 제2 인버터 중 어느 하나를 컨버터로서 동작시키고, 상기 발전기를 구동하여 상기 디젤 엔진을 시동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17. 디젤 엔진의 출력에 의하여 교류 전력을 발전하는 발전기가 발전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력을 충방전하는 전력 저장 장치가 방전하는 직류 전력 또는 상기 컨버터가 출력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차량을 구동하는 모터에 출력하는 제1 인버터와,
    상기 전력 저장 장치가 방전하는 직류 전력 또는 상기 컨버터가 출력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보기에 공급하는 제2 인버터를 구비하고,
    상기 컨버터, 상기 제1 인버터 및 상기 제2 인버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젤 엔진이 기동중인 경우, 상기 컨버터, 상기 제1 인버터 및 상기 제2 인버터의 고장시에 상기 발전기의 접속선을 상기 컨버터로부터 상기 모터로 전환하고, 상기 디젤 엔진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상기 발전기가 발전한 교류 전력을 소망한 교류 전력으로 제어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전기의 접속선을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보기로 전환하고, 상기 디젤 엔진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상기 발전기가 발전한 교류 전력을 소망한 교류 전력으로 제어하여, 상기 보기를 구동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버터, 상기 인버터 혹은 상기 제1 인버터 및 상기 제2 인버터 모두가 고장 상태에 빠지기 전에 고장이 아닌 상기 컨버터, 상기 인버터 혹은 상기 제1 인버터, 및 상기 제2 인버터 중 어느 하나를 컨버터로서 동작시켜, 상기 발전기를 구동하여 상기 디젤 엔진을 시동해 두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20. 디젤 엔진과,
    차량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디젤 엔진의 출력에 의하여 교류 전력을 발전하는 발전기와,
    직류 전력을 충방전하는 전력 저장 장치와,
    상기 발전기가 발전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버터와,
    상기 전력 저장 장치가 방전하는 직류 전력 또는 상기 컨버터가 출력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와,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버터의 고장시에 상기 컨버터의 접속선을 상기 발전기로부터 상기 모터로 전환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디젤 엔진과 냉각 장치 사이에 배설된 고온 측의 냉각수관과 저온 측의 냉각수관 사이에는 이들 고온 측 및 저온 측의 냉각수관의 각각에 접하여 열전발전 소자가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디젤 엔진을 포함하는 디젤 엔진 시스템은 수랭 애프터 쿨러 방식의 엔진 시스템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디젤 엔진 시스템의 과급기와 애프터 쿨러 사이에 배설(配設)된 압축 공기 공급관과 냉각수 공급관 사이에는 이들 압축 공기 공급관 및 냉각수 공급관의 각각에 접하여 열전발전 소자가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
  23.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디젤 엔진을 포함하는 디젤 엔진 시스템은 공랭 애프터 쿨러 방식의 엔진 시스템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디젤 엔진 시스템의 과급기와 애프터 쿨러 사이에 배설된 압축 공기 공급관과, 상기 디젤 엔진 시스템의 워터펌프와, 라디에이터 사이에 배설된 냉각수 배출관과의 사이에는 이들 압축 공기 공급관 및 냉각수 배출관의 각각에 접하여 열전발전 소자가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
KR1020137007509A 2010-08-26 2010-08-26 차량용 제어장치 및 디젤/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 KR101500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64508 WO2012026026A1 (ja) 2010-08-26 2010-08-26 車両用制御装置およびディーゼルハイブリッド車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442A true KR20130046442A (ko) 2013-05-07
KR101500886B1 KR101500886B1 (ko) 2015-03-09

Family

ID=45723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7509A KR101500886B1 (ko) 2010-08-26 2010-08-26 차량용 제어장치 및 디젤/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86116B2 (ko)
EP (1) EP2610125B1 (ko)
JP (1) JPWO2012026026A1 (ko)
KR (1) KR101500886B1 (ko)
CN (1) CN103068654B (ko)
WO (1) WO201202602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200B1 (ko) * 2013-06-12 2015-01-1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 및 방법
KR20210017037A (ko) * 2019-08-06 2021-02-17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Obc를 이용하는 차량용 모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9644B2 (en) 2010-11-16 2014-01-14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Fault tolerant DC power systems
US9180864B2 (en) * 2011-01-31 2015-11-10 Suzuki Motor Corporation Hybrid vehicle
DE102011079566A1 (de) * 2011-07-21 2013-01-2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elektrischen Netzes un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elektrischen Netzes
EP2662978A1 (en) * 2012-05-09 2013-11-13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Fault tolerant DC power systems
JP5830443B2 (ja) * 2012-06-28 2015-12-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鉄道車両の駆動装置
WO2014027396A1 (ja) * 2012-08-13 2014-02-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ンジンハイブリッド鉄道車両の推進制御装置
US20140103724A1 (en) * 2012-10-15 2014-04-17 General Electric Company Bidirectional power system, operation method, and controller for operating
DE102013008420A1 (de) * 2013-05-17 2014-11-20 Abb Technology Ag Antriebseinheit zur Ansteuerung eines Motors
WO2014197770A2 (en) 2013-06-07 2014-12-11 Michael Brown Computerized sharing of digital asset localization between organizations
US9577557B2 (en) 2013-10-18 2017-02-21 Abb Schweiz Ag Turbine-generator system with DC output
US9614457B2 (en) 2013-10-18 2017-04-04 Abb Schweiz Ag Modular thyristor-based rectifier circuits
US9334749B2 (en) * 2013-10-18 2016-05-10 Abb Technology Ag Auxiliary power system for turbine-based energy generation system
US10020759B2 (en) * 2015-08-04 2018-07-10 The Boeing Company Parallel modular converter architecture for efficient ground electric vehicles
US10550816B2 (en) * 2016-02-17 2020-02-04 General Electric Company Start/stop system for vehicl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10005448B2 (en) 2016-03-22 2018-06-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oad based engine start-stop control
JP6829069B2 (ja) * 2016-12-28 2021-02-10 株式会社東芝 鉄道車両用回路システム
WO2019073822A1 (ja) * 2017-10-13 2019-04-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駆動制御装置および該駆動制御装置を搭載する編成列車
WO2019104504A1 (zh) * 2017-11-29 2019-06-06 中车资阳机车有限公司 一种低排放高环保的双柴油发电机组调车机车动力源及其供电方法
CN108081971A (zh) * 2018-01-31 2018-05-29 武汉征原电气有限公司 一种内燃机车列车供电系统
JP7053919B1 (ja) * 2021-03-26 2022-04-12 日立建機株式会社 ダンプトラックのドライブシステム
JP2022156736A (ja) * 2021-03-31 2022-10-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プログラム及び車両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9073A (en) * 1991-10-21 1994-05-03 Hitachi, Ltd. Electric vehicle control device
JP3463791B2 (ja) * 1998-05-22 2003-11-05 富士電機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駆動システム
JP4593081B2 (ja) 2003-04-07 2010-12-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鉄道車両用電力変換装置
JP4063192B2 (ja) * 2003-10-23 2008-03-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モータ駆動4wd車両の制御装置
JP4063199B2 (ja) * 2003-11-14 2008-03-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モータ駆動4wd車両の制御装置
JP4085996B2 (ja) * 2004-03-16 2008-05-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力出力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自動車並びに動力出力装置の制御方法
JP4647266B2 (ja) * 2004-09-08 2011-03-09 富士電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インバータ装置、集積回路チップ及び車両駆動装置
JP4682740B2 (ja) * 2005-08-08 2011-05-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電源装置
JP2008125258A (ja) * 2006-11-13 2008-05-29 Toyota Motor Corp 電力供給システム
US20080121136A1 (en) * 2006-11-28 2008-05-29 General Electric Company Hybrid locomotiv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08136094A1 (ja) * 2007-04-24 2008-11-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電気駆動システムおよびハイブリット駆動システム
EP2008860B1 (en) * 2007-06-25 2015-06-17 Mazda Motor Corporation Control for hybrid electric vehicle
JP2009083583A (ja) * 2007-09-28 2009-04-23 Toyota Motor Corp 車両の制御装置
JP5017163B2 (ja) * 2008-04-01 2012-09-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鉄道車両の駆動装置
JP2011072117A (ja) * 2009-09-25 2011-04-07 Mitsubishi Heavy Ind Ltd 内燃機関システムおよび船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200B1 (ko) * 2013-06-12 2015-01-1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 및 방법
KR20210017037A (ko) * 2019-08-06 2021-02-17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Obc를 이용하는 차량용 모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26026A1 (ja) 2012-03-01
US20130154264A1 (en) 2013-06-20
EP2610125B1 (en) 2020-04-22
JPWO2012026026A1 (ja) 2013-10-28
US8786116B2 (en) 2014-07-22
CN103068654A (zh) 2013-04-24
EP2610125A1 (en) 2013-07-03
CN103068654B (zh) 2015-10-07
EP2610125A4 (en) 2017-01-18
KR101500886B1 (ko) 201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6442A (ko) 차량용 제어장치 및 디젤/하이브리드 차량 시스템
US9878607B2 (en) Hybrid electric vehicle
JP5611345B2 (ja) 車載システム用の回路装置
JP5253591B2 (ja) 車両用制御装置およびディーゼルハイブリッド車両システム
CN104340082B (zh) 燃料电池车
US7723932B2 (en) Propulsion system
AU2008247963B2 (en) Electric drive vehicle retrofi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US9073448B2 (en) Method of operating propulsion system
US20100305792A1 (en) Dynamically Reconfigurable High Power Energy Storage for Hybrid Vehicles
CN101415580A (zh) 车辆支援系统
US9346363B2 (en) Propulsion control apparatus of engine hybrid railroad vehicle
KR20110045426A (ko) Dc/dc 컨버터 고장시 차량 운전 유지를 위한 비상 동작 장치 및 방법
JPWO2013021486A1 (ja) ディーゼルハイブリッド車両システム
JP2008099461A (ja) 電源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鉄道車両
JP2008079436A (ja) 電源制御装置
JP2007228777A (ja) 電源制御装置および車両
IT202000002566A1 (it) Veicolo a trazione elettrica includente un sistema di gestione di energia, e metodo di gestione di energia in tale veicolo a trazione elettrica
JP5656488B2 (ja) 車載電源装置
KR102400606B1 (ko) 선박의 에너지 회생 시스템 및 방법
AU2014246607B2 (en) Method of operating propul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