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5372A - 절연 변위 단자 및 결속된 절연 본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절연 변위 단자 및 결속된 절연 본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5372A
KR20130045372A KR1020137005126A KR20137005126A KR20130045372A KR 20130045372 A KR20130045372 A KR 20130045372A KR 1020137005126 A KR1020137005126 A KR 1020137005126A KR 20137005126 A KR20137005126 A KR 20137005126A KR 20130045372 A KR20130045372 A KR 20130045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body
housing
plug connector
insulating
electrical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티안 쉿츠
Original Assignee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045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01R4/2433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one part of the base being movable to push the cable into the sl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절연 본체(3)는 절연 변위 단자(23)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1)를 위한 하우징(1)에 고정된다. 절연 본체(3)는 하우징의 안내 수단에 회전가능한 방법 및 개구를 통하여 하우징 내로 삽입가능한 방법으로 보유된다. 안내 수단은 하우징의 측면 부분(21, 21')에 위치한 슬릿(22, 22')으로 형성된다. 측면 부분은 하우징을 넘어 돌출된다. 전기 컨덕터는 후방 표면에서 절연 본체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본체를 통하여 플러그될 수 있으며, 전방 표면에서 절단된다. 전기 컨덕터는 따라서 절연 본체가 하우징 내로 삽입되기 이전에 의도된 길이가 될 수 있다.

Description

절연 변위 단자 및 결속된 절연 본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 COMPRISING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S AND A CAPTIVE INSULATING BODY}
본 발명은 하우징(housing) 및 절연 본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기 컨덕터를 위한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각각의 전기 컨덕터를 위한 절연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 사면 또는 편향 원형 부분을 가진 안내 채널을 가지며, 각각의 전기 컨덕터를 위한 하우징은 상기 전기 컨덕터와 접촉하는 접촉 요소를 가지며, 이 접촉 요소는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절연 변위 단자가 제공되며,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를 위한 절연 본체는 절연 본체가 하우징 내로 밀어 넣어졌을 때 해당하는 절연 변위 단자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포켓을 구비하며, 안내 채널은 안내 채널의 편향 사면 또는 편향 원형 부분의 영역에서 연관된 포켓과 교차하며 그 결과로, 절연 본체가 하우징 내로 밀어 넣어짐에 의해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가 연관된 전기 컨덕터와 접촉하고 이 전기 컨덕터는 각각의 안내 채널 내로 삽입되고 따라서 포켓을 통해 횡방향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장치는 플러그 커넥터를 사용하여 전기 컨덕터와 접촉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하다.
절연 변위 단자에 의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전기 컨덕터와 접촉을 달성하기 위한 수많은 해결책들이 이전 기술로부터 이미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문헌 EP0554810B1는 절연 전기 컨덕터를 연결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를 개시한다. 커넥터와의 접촉을 달성하기 위하여, 접촉이 이루어질 모든 전기 컨덕터는 제1 과정 단계에서 공통의 압력 부품에 삽입된다. 이후, 전기 컨덕터는 제2 과정 단계에서 압력 부품의 작동에 의하여 그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에 한꺼번에 밀어 넣어진다. 이 장치는 접촉 요소에 대해 축방향으로 전기 컨덕터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며, 특히 기계에 의한 접촉 생성에 적합하다.
문헌 DE202009010246U1는 현장에서 구성될 수 있는 연결 장치를 제안하며, 이 연결장치에 의해 단일 공구를 사용하여 사용 시점에서 거의 힘을 들이지 않고 복수의 개별 코어들이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용 슬라이딩 블록이 구비된 연결 유닛의 각각의 코어에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코어는 이의 각각의 연결 유닛 내에 절연 변위 단자에 대해 축방향으로 삽입된다.
실제로, 현장에서 구성될 수 있으면서, 공통의 절연 본체를 사용하여 공통의 과정 단계에서 복수의 전기 컨덕터를 그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 내로 가압하여 상기 전기 컨덕터와 접촉을 달성할 수 있게 하는 플러그 컨넥터의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불행히도, 실제로, 절연 본체가 하우징으로 밀어 넣어질 때 절연 본체가 잘못된 배향으로 위치되거나 다양한 플러그 커넥터들의 다양한 절연 본체들이 비의도적으로 서로 바뀌는 경우의 문제들이 계속적으로 발생한다. 최종적으로, 각각의 하우징에 정확히 하나의 연계된 절연 본체가 동반될 필요가 있으며 접촉 형성 단계 이전에 대응 할당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따라서 현장에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언급된 문제를 피하는 처음에 언급하였던 유형의 연결 장치를 구현하는 문제에 기초한다.
이 문제는 하우징이 하나의 측부에 개구를 가진다는 점과 절연 본체가 이 개구의 영역에서 하우징에 결속되어 보유된다는 점에서 해결되며, 여기서 절연 본체와 하우징은 서로에 플러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서 주어진다.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로 공통의 과정 단계에서 복수의 전기 컨덕터들 사이의 접촉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절연 본체는 직육면체의 형태이며 두 개의 상호 대향 측면 각각에 하나의 원통형 핀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두 개의 핀은 각각 하우징의 안내 수단 내에 맞물리며, 여기서 안내 수단이 레일 또는 슬롯(slot)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안내 수단은 하우징의 두 상호 대향 측면에 배열된다. 여기서, 측부 부분이 하우징의 개구를 넘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는 절연 본체가 우선 하우징에 결속되어 보유되고 이후 그 핀이 두 개의 안내 수단을 따라서 슬라이딩하면서 하우징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각각의 안내 수단이, 하우징의 개구를 넘어 돌출되는 연관된 측부 부분의 영역에 배치된 후방 단부를 가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각각의 전기 컨덕터를 수용하고 안내하기 위하여, 절연 본체는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안내 채널을 가진다. 이 안내 채널은 편향 사면 또는 편향 원형 부분을 가진다.
또한, 절연 본체는, 편향 사면 또는 편향 원형 부분 영역에서 안내 채널과 교차하는 포켓을 가진다. 따라서, 안내 채널을 통하여 밀어 넣어진 전기 컨덕터는 편향 사면 또는 편향 원형 부분에서 포켓을 통하여 횡방향으로 안내된다. 절연 본체가 하우징 내로 밀어 넣어졌을 때, 각각의 포켓은 연관된 절연 변위 단자를 수용하고, 연관된 절연 변위 단자에 의한 상응하는 전기 컨덕터와의 접촉이 이루어진다.
또한, 절연 본체는 이의 핀들이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안내 수단 내에 있는 상태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보유되며, 이 핀이 적어도 안내 수단의 후방 단부에서 있는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안내 수단의 후방 단부가 반원형이어서 그 결과로 상기 핀이 안내 수단의 후방 단부에 위치되었을 때 절연 본체의 이 핀을 중심으로 한 회전시의 마찰력이 줄어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가능한 베어링 장치는 전기 컨덕터가 우선 각각의 안내 채널에 삽입되고 절연 본체의 후면의 후방 개구를 통하여 밀어 넣어져 그 결과로 상기 전기 컨덕터가 다시 절연 본체의 전면에 위치된 전방 개구 밖으로 나오고, 거기에서 절단되며, 그리하여 의도된 길이로 되는 장점을 가진다. 절연 본체의 전면과 후면이 서로에 대하여 대향하고 두 측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각의 전기 컨덕터는 절연 본체가 하우징 내로 가압될 때 접촉 요소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축방향 프로파일을 가지며, 즉, 상기 전기 컨덕터는 편향 사면 또는 편향 원형 부분 영역에서만 절연 변위 단자에 관하여 그 축방향 정렬 상태를 벗어나서 이 영역에서의 절연 변위 단자에 의한 상기 전기 컨덕터와의 접촉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에 예시되어 있으며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삽입되지 않은 굴곡 상태(bent-back)의 절연 본체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2는 절연 본체가 하우징 내로 밀어 넣어진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3은 절연 본체가 삽입되지 않은 플러그 커넥터를 측면 사시도로 도시하며, 절연 본체는 상부 안내 채널을 통한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절연 본체가 삽입되지 않은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하며, 절연 본체는 단면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하우징과 연관된 플러그 부분을 이의 플러그 면과 함께 도시한다.
도 1은 플러그 커넥터(1)를 도시한다. 이 플러그 커넥터(1)는 하우징(2) 및 절연 본체(3)를 포함한다. 하우징(2)은 한 쪽 측부에 개구를 가지며 이 개구부를 넘어 일 측부의 지점으로 좁아지며 돌출하는 두 측부 부분(21, 21')을 가진다. 이 측부 부분은 각각 슬롯(22, 22')을 가진다. 각각의 슬롯은 후방 단부(221, 221')를 가지며 후방 단부는 한 지점으로 좁아지고 하우징의 개구를 넘어 돌출되는 측부 부분의 지역에 위치된다. 이 경우에, 제2 슬롯(221')의 후방 단부가 절연 본체에 의하여 가려지므로 제1 슬롯(221)의 후방 단부만이 도면에 도시되어있다. 두 슬롯(22, 22')은 하우징(2)의 개구의 영역에 위치된다.
또한, 하우징(2)은 복수의 접촉 요소를 가지며, 각각의 경우에 상기 접촉 요소의 한 단부에 위치된 하나의 절연 변위 단자(23)가 구비된다.
하우징(2)은 개구에 대향한 측부 상에 플러그 부분(24)을 가진다.
절연 본체(3)는 직육면체의 형태이며 두 개의 대향 측부에 각각 하나의 제1 측면(31) 및 하나의 제2 측면(31, 31')을 가진다. 상기 절연 본체는 상기 제1 및 제2 측면에 직각으로 전면(32)과 후면(32')을 가진다.
절연 본체(3)는 측면(31, 31') 상에 각각 하나의 원통형의 핀을 가지며, 제2 핀은 절연 본체(3)에 의하여 도면에서 가려져서 보이지 않으므로 핀 중에서 제1 핀(33)만이 도면에 예시되었다. 제2 핀은 제1 핀(33)과 동일하며 제2 측면(31') 상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절연 본체(3)는 각각의 슬롯(22, 22')에서 이 두 개의 핀(33)으로 맞물려서, 따라서 하우징(2)에 결속된다. 또한, 절연 본체(3)는 두 개의 핀(33)을 통해 연장되는 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회전은 특히 두 개 핀(33)이 각각의 슬롯(22, 22')의 후방 단부(221, 221')에 위치했을 때 가능하다. 슬롯(22, 22')의 후방 단부(221, 221')는 반원형이며, 그 결과로 축이 이 반원형의 중심 지점을 지나간다.
또한, 절연 본체(3) 내로 삽입된 복수의 전기 컨덕터(4)가 예시되어 있다. 절연 본체(3)는 전기 컨덕터(4)가 나오는 전방 개구(34)가 구비된 전면(32)을 가진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기 컨덕터(4)가 삽입된 절연 본체(3)가 절연 변위 단자(23)의 축에 대하여 예각으로 정렬되기만 하면, 전기 컨덕터(4)는 전면(32)의 전방 개구(34)에서 나올 수 있으며, 여기서 적절한 길이에서 절단될 수 있다.
절연 본체는 각각의 전방 개구(34) 부근에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포켓(35)을 가진다. 이 포켓(35)은 각각 하나의 절연 변위 단자(23)를 수용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2는 절연 본체(3)가 하우징(2) 내로 밀어 넣어진 플러그 커넥터(1)를 예시한다. 이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예시로부터 시작하면, 절연 본체(3)는 우선 슬롯(22, 22')의 후방 단부(221, 221')에 위치된 이의 핀(33)에 대하여 사실상 90°로 회전되며 이후 슬롯(22, 22')을 따라 하우징(2) 내로 삽입되며 밀어 넣어진다.
이 경우에, 절연 변위 단자(23)는 포켓 내로 삽입되고 각각의 경우에 후면(32')에서 하나의 후방 개구(34') 내로 이미 삽입된 전기 컨덕터(4)와 접촉하며 전기 컨덕터(4)는 절연 본체(3)를 통하여 절연 변위 단자(23)에 대해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안내된다.
이에 부가적으로, 도 3 및 도 4는 절연 본체(3)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비교하여 이미 회전되었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대조적으로 아직 삽입되지 않은 플러그 커넥터(1)를 사시 측면도 및 평면도로 도시한다. 이 경우에, 절연 본체는 각각의 경우에 이의 세 개의 안내 채널(36), 즉 세 개의 상부 안내 채널(36)을 통한 단면으로 예시되어 있다.
포켓(35) 및 절연 변위 단자(23)와 연관된 안내 채널(36)의 프로파일은 특히 도 4에서 명확하게 보인다.
후면(32')의 후방 개구(34')에서 시작하여, 안내 채널(36)은 우선 직선으로 연장되며 이후 대략 절연 본체(3)의 중앙에서 편향 사면(37)이 된다. 편향 사면(37)의 영역에서, 상기 안내 채널은 포켓(35)과 교차한다. 이의 프로파일이 이어지면서, 안내 채널(36)은 다시 편향 사면(37)으로부터 전면(32)에 위치된 전방 개구(34)까지 기존 프로파일에 평행하게 테이퍼지는 직선 프로파일로 전이된다.
이의 경우에, 전기 컨덕터(4)가 대체로 절연 변위 단자(23)의 방향으로 절연 본체(3)와 내에서 연장된다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절연 변위 단자(23)가 전기 연결부(231)를 통하여 플러그 부분(24)에 배열되는 접촉부(244)에 전기 전도적으로 접촉된다는 것을 추가로 알 수 있다.
도 5는 플러그 부분(24)을 이의 플러그 면과 함께 예시한다. 플러그 면은 접촉 개구(242) 및 래칭 개구(241)를 가진다. 전기 접촉부(244)는 접촉 개구(242)에 배치되고 래칭 수단(243)은 래칭 절결부(241)에 배치된다.
1: 플러그 커넥터
2: 하우징
21, 21': 슬라이드 부분
22, 22': 슬롯
221, 221': 슬롯의 후방 단부
23: 절연 변위 단자
231: 전기 연결부
24: 플러그 부분
241: 래칭 절결부
242: 접촉 개구
243; 래칭 수단
244: 전기 접촉부
3: 절연 본체
31, 31': 측면
32: 전면
32': 후면
33: 핀
34: 전방 개구
34': 후방 개구
35: 포켓
36: 안내 채널
37: 편향 사면
4: 전기 컨덕터

Claims (8)

  1. 복수의 전기 컨덕터(4)를 위한 플러그 커넥터(1)로서,
    하우징(2)과 절연 본체(3)를 포함하고,
    각각의 전기 컨덕터(4)를 위한 절연 본체(3)는 편향 사면(37) 또는 편향 원형 부분이 구비된 안내 채널(36)을 가지고,
    각각의 전기 컨덕터(4)를 위한 하우징(2)은 상기 전기 컨덕터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 요소를 가지고,
    이 접촉 요소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절연 변위 단자(23)가 제공되며,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23)를 위한 절연 본체(3)는 포켓(35)을 가지며, 포켓은 절연 본체(3)가 하우징(2) 내로 밀어 넣어졌을 때 해당하는 절연 변위 단자(23)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며,
    안내 채널(36)은 상기 안내 채널의 편향 사면(37) 또는 편향 원형 부분의 영역에서 연관된 포켓(35)과 교차하며, 그 결과, 절연 본체(3)가 하우징(2)에 밀어넣어짐에 의하여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23)가, 각각의 안내 채널(36) 내로 삽입되어 포켓(35)을 통하여 횡방향으로 안내되는 연관된 전기 컨덕터(4)와 접촉하는,
    플러그 커넥터(1)에 있어서,
    하우징(2)이 한쪽 측부에 개구를 가지고 절연 본체(3)가 이 개구의 영역에서 하우징(2)에 결속되어 보유되며, 절연 본체(3) 및 하우징(2)이 서로 플러그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1).
  2. 제1항에 있어서, 절연 본체(3)가 두 개의 상호 대향 측면(21, 21')에서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원통형 핀(33)을 가지며, 하우징(2)은 두 개의 핀(33)이 각각 결합되는 두 개의 안내 수단(22, 2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1).
  3. 제2항에 있어서, 절연 본체(2)가 안내 수단(22, 22')에서 이의 핀(33)으로 결속되어 보유되며 안내 수단(22)을 따라서 하우징(2) 내로 밀어 넣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1).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안내 수단은 두 개의 슬롯(22, 22')이며, 두 개의 슬롯(22, 22')은 하우징(2)의 두 개의 상호 대향 측부 부분(21, 21')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1).
  5. 제4항에 있어서, 측부 부분(21, 21')은 하우징의 개구를 넘어 돌출하며, 두 개의 슬롯(22, 22')은 하우징(2)의 개구를 넘어 돌출하는 측부(21, 21')의 지역에 위치된 후방 단부(221, 221')를 각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1).
  6. 제5항에 있어서, 슬롯(22, 22')의 후방 단부(221, 221')는 반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연 본체(3)가 두 개의 안내 수단(22, 22'), 특히 안내 수단(22, 22')의 후방 단부(221, 221')에서 상기 절연 본체의 두 개의 핀(33)을 통해 연장되는 축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향 사면(37) 또는 편향 원형 부분이 구비된 안내 채널(36)이 S 형상(S-shap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KR1020137005126A 2010-07-28 2011-05-30 절연 변위 단자 및 결속된 절연 본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KR201300453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0010754U DE202010010754U1 (de) 2010-07-28 2010-07-28 Steckverbinder mit Schneidklemmen und einem unverlierbaren Isolierkörper
DE202010010754.7 2010-07-28
PCT/DE2011/075124 WO2012022313A1 (de) 2010-07-28 2011-05-30 Steckverbinder mit schneidklemmen und einem unverlierbaren isolierkörp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372A true KR20130045372A (ko) 2013-05-03

Family

ID=4299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126A KR20130045372A (ko) 2010-07-28 2011-05-30 절연 변위 단자 및 결속된 절연 본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51919B2 (ko)
EP (1) EP2599164B1 (ko)
JP (1) JP5693720B2 (ko)
KR (1) KR20130045372A (ko)
CN (1) CN103262347B (ko)
DE (1) DE202010010754U1 (ko)
WO (1) WO20120223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4515B1 (en) * 2012-09-28 2015-11-10 Anthony Freakes Terminal blocks for printed circuit boards
DE102013209327B4 (de) 2013-05-21 2015-02-12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CN110970763B (zh) * 2018-09-28 2021-08-2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22128778A (ja) * 2021-02-24 2022-09-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組立体
US20230029463A1 (en) * 2021-07-27 2023-02-02 Dell Products L.P. Battery connector in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9650A (en) 1978-08-29 1980-03-19 Pressac Ltd Electrical connectors
JPH03134069A (ja) 1989-10-19 1991-06-07 Sumitomo Cement Co Ltd 退色防止塗料
JPH0621185Y2 (ja) * 1989-11-07 1994-06-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圧接結線用コネクタ
DE4203455C1 (ko) * 1992-02-07 1993-06-03 Harting Elektronik Gmbh, 4992 Espelkamp, De
DE29512585U1 (de) 1995-08-04 1995-11-30 Phoenix Contact Gmbh & Co Leiteranschlußelement
FR2768862B1 (fr) 1997-09-22 1999-12-24 Infra Sa Prise de courant faible a capuchon arriere organisateur
DE19811667C2 (de) 1998-03-18 2002-01-24 Ackermann Albert Gmbh Co Kabelsteckverbinder
JP3410971B2 (ja) 1998-06-29 2003-05-26 三和電気工業株式会社 Uスリット端子の結線方法
JP3410670B2 (ja) 1998-12-24 2003-05-26 オムロン株式会社 圧接結線用コネクタ
US6778044B2 (en) * 2002-01-23 2004-08-17 Vega Grieshaber Kg Coaxial line plug-in connection with integrated galvanic separation
TW537544U (en) * 2002-03-12 2003-06-11 Jyh Eng Ind Co Ltd Rotating pressure conductive and piercing type terminal connector
DE10216491C1 (de) 2002-04-13 2003-08-07 Harting Electronics Gmbh & Co Steckverbinder mit Schneidklemmkontakten
US7021956B2 (en) * 2002-11-22 2006-04-04 J.S.T.Mfg. Co., Ltd.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US6971903B2 (en) * 2002-11-22 2005-12-06 J.S.T.Mfg. Co.,Ltd. Press-contact connector built in substrate
DE102004009071B4 (de) * 2004-02-23 2006-06-14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EP1693933A1 (de) 2005-02-17 2006-08-23 Reichle & De-Massari AG Steckverbinder für die Datenübertragung über elektrische Leiter
TW200812166A (en) * 2006-08-25 2008-03-01 sheng-xing Liao Transfer plug
US7381083B2 (en) * 2006-09-13 2008-06-03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Ethernet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US7563125B2 (en) * 2007-11-12 2009-07-2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Jack assembly for reducing crosstalk
DE202008000942U1 (de) 2008-01-22 2008-03-20 CCS Technology, Inc., Wilmington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202008000941U1 (de) 2008-01-22 2008-03-20 CCS Technology, Inc., Wilmington Aderanlegekappe eines elektrischen Steckverbinders sowie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S7867013B2 (en) * 2008-08-04 2011-01-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line splice connector
DE202009010246U1 (de) 2009-07-29 2009-10-01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 mehradriges elektrisches Kabel
US8568157B2 (en) * 2012-02-29 2013-10-29 Avx Corporation Cap body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ID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35776A (ja) 2013-09-12
DE202010010754U1 (de) 2010-10-21
CN103262347A (zh) 2013-08-21
WO2012022313A1 (de) 2012-02-23
EP2599164B1 (de) 2016-10-05
US20130273769A1 (en) 2013-10-17
JP5693720B2 (ja) 2015-04-01
CN103262347B (zh) 2017-04-12
US8851919B2 (en) 2014-10-07
EP2599164A1 (de)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68067A (en) Connector for insulated flat cable
JP5766848B1 (ja) コネクタ
KR20130045372A (ko) 절연 변위 단자 및 결속된 절연 본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KR20160052733A (ko) 커넥터
CN101123329B (zh) 用于电导线的连接接触装置
JP2012195292A (ja) ワイヤ対ワイヤコネクタ
RU2010132193A (ru) Штекер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US3474394A (en) Means for making electrical connections
US20180219324A1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CN104247156A (zh) 插入式连接器的绝缘体
US20150222028A1 (en) Contacting device of an electric plug-in connector
KR20140016817A (ko) 전기 단자
US9537226B2 (en) RJ45 connector with guide device for conductors
EP2919333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ical connector
US8011949B2 (en) Connector with simplified mounting for a multiple conductor cable
US3184705A (en) Electrically insulating housings
US9281593B2 (en) Connector which is reduced in possibility of damage due to warping of a connection object without decreasing the insertability of the connection object
US20050085132A1 (en) Connector pin
US9203165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tact for interconnecting different components
US3629804A (en) Television lead-in wire connector
US9912092B2 (en) Ergonomic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TWM518418U (zh) 具扁平纜線的電連接器
JP2006172738A5 (ko)
KR100989669B1 (ko) 다중 접속 커넥터
CN219419787U (zh) 一种短接件和压接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224

Effective date: 2015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