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1360A - 유량 제어 밸브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량 제어 밸브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1360A
KR20130041360A KR1020137007380A KR20137007380A KR20130041360A KR 20130041360 A KR20130041360 A KR 20130041360A KR 1020137007380 A KR1020137007380 A KR 1020137007380A KR 20137007380 A KR20137007380 A KR 20137007380A KR 20130041360 A KR20130041360 A KR 20130041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member
control valve
radial
flow control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7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3173B1 (ko
Inventor
가츠미 나카무라
신고 이구치
요시키 이하라
Original Assignee
히노 지도샤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노 지도샤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노 지도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1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6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6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 F16K1/2263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the sealing being arranged on the valve s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35Details of the valve housing
    • F02D9/104Shaping of the flow path in the vicinity of the flap, e.g. having inserts in the housing
    • F02D9/1045Shaping of the flow path in the vicinity of the flap, e.g. having inserts in the housing for sealing of the flow in closed flap position, e.g. the housing forming a valve s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7Manufacturing or mounting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06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elements of the air intake system in direction of the air intake flow, i.e. between ambient air inlet and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 F02M35/10078Connections of intake systems to the engine
    • F02M35/10085Connections of intake systems to the engine having a connecting piece, e.g. a flange, between the engine and the air intake being foreseen with a throttle valve, fuel injector, mixture duc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55Arrangements of valves; Multi-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16K27/0218Butterfly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10T137/0402Cleaning, repairing, or assembling
    • Y10T137/0491Valve or valve element assembling, disassembling, or replacing
    • Y10T137/0525Butterfly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98With repair, tapping, assembly, or disassembly means
    • Y10T137/6031Assembling or disassembling rotary valve
    • Y10T137/6048Butterfly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405Valve or choke making
    • Y10T29/49426Valve or choke making including metal shaping and divers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alve Housing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과제) 하우징의 가스 통로의 직경 방향 단차부 부근이 부식되기 어려운 유량 제어 밸브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수단) 유량 제어 밸브 (1) 는, 제 1 통 부재 수용부 (21) 와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와 직경 방향 단차부 (23) 를 갖는 가스 통로 (20) 가 형성된 하우징 (2) 과, 제 1 통 부재 수용부 (21) 에 수용되는 제 1 통 부재 (3) 와,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에 수용되는 제 2 통 부재 (4) 와, 제 1 통 부재 (3) 및 제 2 통 부재 (4) 의 직경 방향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밸브체 (5) 를 구비한다. 하우징 (2) 은 주철제이다. 제 1 통 부재 (3) 및 제 2 통 부재 (4) 의 적어도 표면은 고내식재제이다. 제 1 축 방향 단면 (30) 및 제 2 축 방향 단면 (40) 중에서 적어도 일방은, 직경 방향 단차부 (23) 와 축 방향에 대향하는 대향부 (401) 를 갖고 있다. 대향부 (401) 와 직경 방향 단차부 (23) 사이에는 가스 시일 구조 (61) 가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유량 제어 밸브 및 그 제조 방법{FLOW CONTROL VALV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차량 등의 배기 가스 재순환 시스템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이하, 「EGR 시스템」이라고 한다.) 등에 사용되는 유량 제어 밸브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EGR 시스템에 사용되는 유량 제어 밸브 중에는, 가스 통로에 압입된 2 개의통 부재 계면에 밸브 시트를 형성하는 타입의 것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도 26 에 동 타입의 유량 제어 밸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량 제어 밸브 (100) 는 하우징 (101) 과, 제 1 통 부재 (102) 와, 제 2 통 부재 (103) 와 밸브체 (111) 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부재는 모두 스테인리스강제이다. 하우징 (101) 의 내부에는 가스 통로 (107) 가 형성되어 있다. 가스 통로 (107) 는 제 1 통 부재 수용부 (109) 와, 제 2 통 부재 수용부 (110) 와, 직경 방향 단차부 (108)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통 부재 (102) 는 제 1 통 부재 수용부 (109) 에 수용되어 있다. 제 2 통 부재 (103) 는 제 2 통 부재 수용부 (110) 에 수용되어 있다. 제 1 통 부재 (102) 와 제 2 통 부재 (103) 는, 직경 방향 단차부 (108) 부근에서 내주 가장자리끼리가 서로 직경 방향으로 어긋난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다. 제 1 통 부재 (102) 와 제 2 통 부재 (103) 의 계면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밸브 시트 (104) 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 (104) 는 제 1 구간 (105) 과 제 2 구간 (106) 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구간 (105) 은 제 1 통 부재 (102) 의 내주 가장자리에 대략 180˚ 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제 2 구간 (106) 은 제 2 통 부재 (103) 의 내주 가장자리에 대략 180˚ 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밸브체 (111) 가 제 1 구간 (105) 및 제 2 구간 (106) (요컨대 밸브 시트 (104)) 에 대하여 시트 이탈, 시트 밀착됨으로써 가스 통로 (107) 가 개폐된다. 또, 가스 통로 (107) 에 있어서, 밸브체 (111) 가 회전 운동함으로써 배기 가스의 유량이 조정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63723호
도 27 에 도 26 의 원 XXVII 내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1) 의 가스 통로 (107) 에는 직경 방향 단차부 (108) 가 형성되어 있다. 직경 방향 단차부 (108) 에 의하여, 제 1 통 부재 (102) 및 제 2 통 부재 (103) 가, 가스 통로 (107) 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통 부재 (102) 와 제 2 통 부재 (103) 는 축 방향으로 맞닿아 있다. 그러나, 제 2 통 부재 (103) 와 직경 방향 단차부 (108) 사이에는, 축 방향으로 간극 (C100) 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 간극 (C100) 이 형성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제 1 통 부재 (102) 및 제 2 통 부재 (103) 를 하우징 (101) 에 장착하는 경우, 먼저 제 1 통 부재 (102) 를 제 1 통 부재 수용부 (109) 에 압입한다. 이어서, 제 2 통 부재 (103) 를 제 2 통 부재 수용부 (110) 에 압입한다. 여기서, 밸브 시트 (104) 는 제 1 통 부재 (102) 와 제 2 통 부재 (103) 의 계면을 서로 직경 방향으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밸브 시트 (104) 는 제 1 통 부재 (102) 와 제 2 통 부재 (103) 의 계면에 형성된다. 이 때문에, 밸브 시트 (104) 를 확실하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 1 통 부재 (102) 와 제 2 통 부재 (103) 를 축 방향으로 부딪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제 2 통 부재 (103) 의 압입량은, 직경 방향 단차부 (108) 에 의하여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령, 제 1 통 부재 (102) 의 직경 방향 단차부측의 단부 (우단부) 가, 직경 방향 단차부 (108) 보다 축 방향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는 경우, 제 1 통 부재 (102) 와 제 2 통 부재 (103) 가 축 방향으로 부딪치지 않게 된다. 즉, 밸브 시트 (104) 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그래서, 제 1 통 부재 (102) 의 축 방향 전체 길이는, 제 1 통 부재 수용부 (109) 의 축 방향 전체 길이보다 약간 길게 설정되어 있다. 당해 축 방향 전체 길이의 차에 의하여, 제 1 통 부재 (102) 의 우단부는, 직경 방향 단차부 (108) 보다 축 방향 우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제 1 통 부재 (102) 와 제 2 통 부재 (103) 가 확실하게 맞닿는다. 즉, 밸브 시트 (104) 가 확실하게 형성된다. 그런데, 그 반면, 제 2 통 부재 (103) 와 직경 방향 단차부 (108) 사이에 축 방향으로 간극 (C100) 이 형성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간극 (C100) 은 밸브 시트 (104) 를 확실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말하자면 불가피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에, 유량 제어 밸브의 제조 비용 삭감이라는 관점에서, 하우징 (101) 재질에 대한 재고가 검토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 (101) 의 재질로서, 고가의 스테인리스강 대신에 염가의 주철을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EGR 시스템이 사용되는 디젤 엔진의 경우, 경유 중의 유황분을 함유하는 황산계의 응축액이, 가스 통로 (107) 의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된다. 또, 배기 가스는 매우 고온이다.
이 때문에, 가령, 종래의 유량 제어 밸브 (100) 의 하우징 (101) 을 주철제로 하면, 도 27 중에 화살표 A100 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통로 (107) 로부터 간극 (C100) 으로 고온의 황산계의 응축액이 진입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당해 응축액에 의하여, 하우징 (101) 의 직경 방향 단차부 (108) 부근이 부식될 우려가 있다. 직경 방향 단차부 (108) 부근이 부식되면, 제 1 통 부재 (102) 의 제 1 통 부재 수용부 (109) 에 대한 끼워맞춤 공차, 혹은 제 2 통 부재 (103) 의 제 2 통 부재 수용부 (110) 에 대한 끼워맞춤 공차가 감소할 우려가 있다. 끼워맞춤 공차가 감소하면, 제 1 통 부재 (102) 혹은 제 2 통 부재 (103) 가 하우징 (101) 으로부터 탈락할 우려가 있다. 그 결과, 시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유량 제어 밸브 및 그 제조 방법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완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우징의 가스 통로의 직경 방향 단차부 부근이 잘 부식되지 않는 유량 제어 밸브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량 제어 밸브는, 제 1 통 부재 수용부와, 그 제 1 통 부재 수용부의 축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통 부재 수용부와, 그 제 1 통 부재 수영부와 그 제 2 통 부재 수용부 사이에 개재하는 직경 방향 단차부를 갖고, 부식성 물질을 생성하는 가스가 통과하는 가스 통로가 형성된 하우징과, 그 제 1 통 부재 수용부에 수용되고, 제 1 축 방향 단면을 갖는 제 1 통 부재와, 그 제 2 통 부재 수용부에 수용되고, 내주 가장자리끼리가 서로 직경 방향으로 어긋난 상태에서, 그 제 1 축 방향 단면에 축 방향으로 맞닿는 제 2 축 방향 단면을 갖는 제 2 통 부재와, 그 제 1 통 부재 및 그 제 2 통 부재의 직경 방향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1 쌍의 그 내주 가장자리에 배치된 밸브 시트에 대하여 이탈 밀착함으로써, 그 가스 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유량 제어 밸브로서, 상기 하우징은, 주철제이고, 상기 제 1 통 부재 및 상기 제 2 통 부재의 적어도 표면은, 상기 부식성 물질에 대한 내식성이 주철보다 높은 고내식재제 (高耐蝕材製) 이고, 상기 제 1 축 방향 단면 및 상기 제 2 축 방향 단면 중에서 적어도 일방은, 상기 직경 방향 단차부와 축 방향에 대향하는 대향부를 갖고 있고, 그 대향부와 그 직경 방향 단차부 사이에는, 그 대향부와 그 직경 방향 단차부 사이에 그 부식성 물질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가스 시일 구조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에 대응).
본 발명의 유량 제어 밸브에 의하면, 제 1 축 방향 단면 및 제 2 축 방향 단면 중에서 적어도 일방은, 직경 방향 단차부와 축 방향에 대향하는 대향부를 갖고 있다. 대향부와 직경 방향 단차부 사이에는, 가스 시일 구조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대향부와 직경 방향 단차부 사이에 부식성 물질이 진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주철제 하우징의 직경 방향 단차부 부근이, 부식성 물질에 노출되기 어렵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유량 제어 밸브에 의하면, 하우징의 직경 방향 단차부 부근이 부식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제 1 통 부재의 제 1 통 부재 수용부에 대한 끼워맞춤 공차, 혹은 제 2 통 부재의 제 2 통 부재 수용부에 대한 끼워맞춤 공차가 감소되기 어렵다. 따라서, 제 1 통 부재 혹은 제 2 통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탈락하기 어렵다. 그 결과, 시일성이 저하되기 어렵다.
(2) 바람직하게는, 상기 (1)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스 시일 구조는, 상기 대향부와 상기 직경 방향 단차부 사이의 간극을 대략 0 으로 하는 면 접촉 구조인 구성으로 하는 편이 좋다 (청구항 2 에 대응).
본 구성에 의하면, 대향부와 직경 방향 단차부 사이의 간극을 대략 0 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대향부와 직경 방향 단차부 사이에 부식성 물질이 진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주철제 하우징의 직경 방향 단차부 부근이, 부식성 물질에 노출되기 어렵다.
(3) 바람직하게는, 상기 (1) 또는 (2)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스 시일 구조는, 상기 대향부와 상기 직경 방향 단차부 사이의 간극을 충전재에 의하여 메우는 충전 구조인 구성으로 하는 편이 좋다 (청구항 3 에 대응).
본 구성에 의하면, 충전재에 의하여, 대향부와 직경 방향 단차부 사이의 간극을 메울 수 있다. 이 때문에, 대향부와 직경 방향 단차부 사이에 부식성 물질이 진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주철제 하우징의 직경 방향 단차부 부근이, 부식성 물질에 노출되기 어렵다.
(4)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량 제어 밸브의 제조 방법은, 주철제 하우징에, 제 1 통 부재 수용부와, 그 제 1 통 부재 수용부의 축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통 부재 수용부와, 그 제 1 통 부재 수용부와 그 제 2 통 부재 수용부 사이에 개재하는 직경 방향 단차부를 갖고, 부식성 물질을 생성하는 가스가 통과하는 가스 통로를 형성하는 가스 통로 형성 공정과, 적어도 그 제 1 통 부재 수용부를 절삭 가공하는 제 1 절삭 공정과, 절삭 가공 후의 그 제 1 통 부재 수용부에, 그 부식성 물질에 대한 내식성이 주철보다 높은 고내식재제의 표면을 가짐과 함께 제 1 축 방향 단면을 갖는 제 1 통 부재를, 축 방향으로부터 압입하는 제 1 통 부재 압입 공정과, 그 제 1 축 방향 단면 및 그 직경 방향 단차부 및 그 제 2 통 부재 수용부 중에서, 적어도 그 제 1 축 방향 단면 및 그 직경 방향 단차부를 한번에 절삭 가공함으로써, 그 제 1 축 방향 단면과 그 직경 방향 단차부를 대략 면일하게 절삭 정렬하는 제 2 절삭 공정과, 절삭 가공 후의 그 제 2 통 부재 수용부에, 그 고내식재제의 표면을 가짐과 함께 제 2 축 방향 단면을 갖는 제 2 통 부재를 축 방향으로부터 압입하고, 그 제 2 축 방향 단면을 그 제 1 축 방향 단면 및 그 직경 방향 단차부에 부딪치게 하는 제 2 통 부재 압입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 에 대응). 여기서, 「절삭 가공」이란 가공 대상이 되는 면을, 원하는 형상이 되도록 절삭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유량 제어 밸브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 2 절삭 공정에 있어서, 제 1 축 방향 단면 및 직경 방향 단차부를 한번에 절삭 가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1 축 방향 단면과 직경 방향 단차부를 대략 면일하게 절삭 정렬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통 부재 압입 공정에 있어서, 제 2 통 부재의 제 2 축 방향 단면을, 서로 대략 면일한 제 1 축 방향 단면 및 직경 방향 단차부에 맞닿게 할 수 있다. 즉, 제 2 축 방향 단면과, 제 1 축 방향 단면 및 직경 방향 단차부 사이의 간극을 대략 0 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2 축 방향 단면과, 제 1 축 방향 단면 및 직경 방향 단차부 사이에 부식성 물질이 진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주철제 하우징의 직경 방향 단차부 부근이, 부식성 물질에 노출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유량 제어 밸브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 1 축 방향 단면과 직경 방향 단차부를 한번에 절삭 가공한다는 간단한 작업에 의하여, 하우징의 직경 방향 단차부 부근이 부식되기 어려운 유량 제어 밸브를 제조할 수 있다.
(5) 바람직하게는, 상기 (4) 의 구성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 2 절삭 공정과 상기 제 2 통 부재 압입 공정 사이에, 적어도 상기 직경 방향 단차부에 충전재를 배치하는 충전재 배치 공정을 갖는 구성으로 하는 편이 좋다 (청구항 5 에 대응).
본 구성에 의하면, 제 2 축 방향 단면과 직경 방향 단차부 사이의 간극을 대략 0 으로 한 후에 당해 간극에 충전재를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2 축 방향 단면과 직경 방향 단차부 사이에 부식성 물질이 진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주철제 하우징의 직경 방향 단차부 부근이, 부식성 물질에 노출되기 어렵다.
(6)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량 제어 밸브의 제조 방법은, 주철제 하우징에, 제 1 통 부재 수용부와, 그 제 1 통 부재 수용부의 축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통 부재 수용부와, 그 제 1 통 부재 수용부와 그 제 2 통 부재 수용부 사이에 개재하는 직경 방향 단차부를 갖고, 부식성 물질을 생성하는 가스가 통과하는 가스 통로를 형성하는 가스 통로 형성 공정과, 그 제 1 통 부재 수용부, 그 제 2 통 부재 수용부, 그 직경 방향 단차부를 절삭 가공하는 전면 절삭 공정과, 절삭 가공 후의 그 제 1 통 부재 수용부에, 그 부식성 물질에 대한 내식성이 주철보다 높은 고내식재제의 표면을 가짐과 함께 제 1 축 방향 단면을 갖는 제 1 통 부재를, 축 방향으로부터 압입하는 제 1 통 부재 압입 공정과, 적어도 그 직경 방향 단차부에 충전재를 배치하는 충전재 배치 공정과, 절삭 가공 후의 그 제 2 통 부재 수용부에, 그 고내식재제의 표면을 가짐과 함께 제 2 축 방향 단면을 갖는 제 2 통 부재를 축 방향으로부터 압입하고, 그 제 2 축 방향 단면을 그 제 1 축 방향 단면 및 그 충전재에 부딪치게 하는 제 2 통 부재 압입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 에 대응). 여기서, 「절삭 가공」이란 가공 대상이 되는 면을, 원하는 형상이 되도록 절삭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유량 제어 밸브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 2 통 부재 압입 공정에 있어서, 제 2 통 부재와 제 1 통 부재를 맞닿게 함으로써, 제 2 축 방향 단면과 직경 방향 단차부 사이에 충전재를 충전할 수 있다. 즉, 제 2 축 방향 단면과 직경 방향 단차부 사이의 간극을 메울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2 축 방향 단면과 직경 방향 단차부 사이에 부식성 물질이 진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주철제 하우징의 직경 방향 단차부 부근이, 부식성 물질에 노출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유량 제어 밸브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직경 방향 단차부와 제 1 축 방향 단면을 대략 면일하게 절삭 정렬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절삭 가공이 용이하다. 또, 번잡한 절삭 공정을 복수 회로 분할하여 실시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의 가스 통로의 직경 방향 단차부 부근이 부식되기 어려운 유량 제어 밸브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동 유량 제어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III-III 방향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원 IV 내의 확대도이다.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의 제조 방법의 가스 통로 형성 공정의 모식도이다.
도 6 은 동 제조 방법의 제 1 절삭 공정의 모식도이다.
도 7 은 동 제조 방법의 제 1 통 부재 압입 공정의 모식도이다.
도 8 은 동 제조 방법의 제 2 절삭 공정의 모식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원 IX 내의 확대도이다.
도 10 은 동 제조 방법의 제 2 통 부재 압입 공정의 모식도이다.
도 11 은 제 2 실시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의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12 는 동 유량 제어 밸브의 제조 방법의 가스 통로 형성 공정의 모식도이다.
도 13 은 동 제조 방법의 제 1 절삭 공정의 모식도이다.
도 14 는 동 제조 방법의 제 1 통 부재 압입 공정의 모식도이다.
도 15 는 동 제조 방법의 제 2 절삭 공정의 모식도이다.
도 16 은 도 15 의 원 XVI 내의 확대도이다.
도 17 은 도 15 의 원 XVII 내의 확대도이다.
도 18 은 동 제조 방법의 제 2 통 부재 압입 공정의 모식도이다.
도 19 는 제 3 실시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의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20 은 도 19 의 원 XX 내의 확대도이다.
도 21 은 제 3 실시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의 제조 방법의 충전재 배치 공정의 모식도이다.
도 22 는 도 21 의 원 XXII 내의 확대도이다.
도 23 은 제 4 실시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의 제조 방법의 충전재 배치 공정의 모식도이다.
도 24 는 내식성 실험 후의 실시예 샘플의 직경 방향 단차부 부근의 확대 단면 사진이다.
도 25 는 내식성 실험 후의 참고예 샘플의 직경 방향 단차부 부근의 확대 단면 사진이다.
도 26 은 종래의 유량 제어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27 은 도 26 의 원 XXVII 내의 확대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유량 제어 밸브 및 그 제조 방법을, EGR 시스템에 사용되는 유량 제어 밸브 및 그 제조 방법으로서 구현화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유량 제어 밸브의 배치]
먼저, 본 실시 형태의 밸브 어셈블리의 배치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차량 (디젤 엔진차) 에는 배기 매니폴드와 흡기 매니폴드를 연결하는 EGR 파이프가 배치되어 있다. 밸브 어셈블리는 당해 EGR 파이프에 장착되어 있다. 밸브 어셈블리를 개폐함으로써, EGR 파이프를 흐르는 배기 가스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유량 제어 밸브의 구성]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 에 동 유량 제어 밸브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 에 도 1 의 III-III 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 에 도 3 의 원 IV 내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 ~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는 하우징 (2) 과, 제 1 통 부재 (3) 와, 제 2 통 부재 (4) 와, 밸브체 (5) 와, 면 접촉 구조 (61) 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 (2) 은 구상 흑연 주철 (FCD) 제이다. 하우징 (2) 에는 가스 통로 (20) 와, 샤프트 삽입 통과 구멍 (24) 이 형성되어 있다. 가스 통로 (20) 는 하우징 (2) 의 하면과 우면을 L 자 형상으로 관통하고 있다. 가스 통로 (20) 의 우측 개구 부근에는, 제 1 통 부재 수용부 (21) 와,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와 직경 방향 단차부 (23)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는 원 구멍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는 가스 통로 (20) 의 우측 개구로부터 좌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통 부재 수용부 (21) 는 원 구멍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통 부재 수용부 (21) 는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의 좌단으로부터 좌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통 부재 수용부 (21) 는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보다 소직경이다. 또, 제 1 통 부재 수용부 (21) 와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는 서로 직경 방향 (상하 방향) 으로 어긋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통 부재 수용부 (21) 의 축선은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의 축선에 대하여 상방으로 어긋나 있다.
직경 방향 단차부 (23) 는 제 1 통 부재 수용부 (21) 의 우단과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의 좌단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직경 방향 단차부 (23) 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평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샤프트 삽입 통과 구멍 (24) 은 가스 통로 (20) 를 직경 방향 (전후 방향) 으로 관통하고 있다. 샤프트 삽입 통과 구멍 (24) 은 직경 방향 단차부 (23) 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통 부재 (3) 는 스테인리스강제로서 단축 원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통 부재 (3) 는 제 1 통 부재 수용부 (21) 에 수용되어 있다. 제 1 통 부재 (3) 의 우단에는 대략 평면 형상의 제 1 축 방향 단면 (30) 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축 방향 단면 (30) 에는 1 쌍의 절결부 (303) 가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절결부 (303) 는 전후 방향으로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절결부 (303) 는 우방으로 개구되는 대략 C 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 제 1 축 방향 단면 (30) 은 직경 방향 단차부 (23) 가 대략 면일하다.
제 2 통 부재 (4) 는 스테인리스강제로서, 단축 원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2 통 부재 (4) 는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에 수용되어 있다. 제 2 통 부재 (4) 의 좌단에는 대략 평면 형상의 제 2 축 방향 단면 (40) 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축 방향 단면 (40) 에는 1 쌍의 절결부 (403) 가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절결부 (403) 는 전후 방향으로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절결부 (403) 는 좌방으로 개구되는 대략 C 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2 통 부재 (4) 의 1 쌍의 절결부 (403) 는, 제 1 통 부재 (3) 의 1 쌍의 절결부 (303) 와, 축 방향 (좌우 방향) 으로 연속되어 있다. 즉, 1 쌍의 절결부 (303) 와 1 쌍의 절결부 (403) 에 의하여 1 쌍의 합체 구멍이 형성된다. 1 쌍의 합체 구멍은 상기 샤프트 삽입 통과 구멍 (24) 과 전후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다.
또, 제 2 통 부재 (4) 의 제 2 축 방향 단면 (40) 은, 제 1 통 부재 (3) 의 제 1 축 방향 단면 (30) 과 좌우 방향으로 면접촉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통 부재 수용부 (21) 와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이 때문에, 제 1 축 방향 단면 (30) 의 내주 가장자리와 제 2 축 방향 단면 (40) 의 내주 가장자리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제 1 축 방향 단면 (30) 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밸브 시트 (60) 의 제 1 구간 (300) 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구간 (300) 은 내주 가장자리의 하부 절반분, 대략 180˚ 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제 2 축 방향 단면 (40) 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밸브 시트 (60) 의 제 2 구간 (400) 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구간 (400) 은 내주 가장자리의 상부 절반분, 대략 180˚ 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즉, 이들 제 1 구간 (300) 및 제 2 구간 (400) 에 의하여 밸브 시트 (60)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축 방향 단면 (40) 은 대향부 (401) 를 갖고 있다. 대향부 (401) 는, 직경 방향 단차부 (23) 와 좌우 방향으로 면접촉하고 있다. 즉, 제 2 축 방향 단면 (40) 은 직경 방향 단차부 (23) 및 제 1 축 방향 단면 (30) 과 좌우 방향으로 면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는 대향부 (401) 와 직경 방향 단차부 (23) 가 면접촉함으로써, 면 접촉 구조 (61) 를 확보하고 있다.
밸브체 (5) 는 밸브 본체 (50) 와 샤프트 (51) 를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 (51) 는 스테인리스강제로서, 환봉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샤프트 (51) 는 상기 샤프트 삽입 통과 구멍 (24) 및 1 쌍의 합체 구멍 (1 쌍의 절결부 (303) 와 1 쌍의 절결부 (403) 에 의하여 형성된다) 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 샤프트 (51) 는 가스 통로 (20) 를 전후 방향으로 횡단하고 있다.
밸브 본체 (50) 는 스테인리스강제로서, 원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밸브 본체 (50) 는 샤프트 (51) 에 고정되고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본체 (50) 는 가스 통로 (20) 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 본체 (50) 는 샤프트 (51) 의 축 둘레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다. 밸브 본체 (50) 의 외주 가장자리가, 밸브 시트 (60) (제 1 구간 (300), 제 2 구간 (400)) 에 대하여 이탈 밀착함으로써 가스 통로 (20) 를 개폐할 수 있다. 또, 밸브 본체 (50) 의 회전 운동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가스 통로 (20) 의 통로 단면적, 요컨대 배기 가스의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유량 제어 밸브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의 제조 방법은, 가스 통로 형성 공정과, 제 1 절삭 공정과, 제 1 통 부재 압입 공정과, 제 2 절삭 공정과, 제 2 통 부재 압입 공정을 갖고 있다.
도 5 에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의 제조 방법의 가스 통로 형성 공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6 에 동 제조 방법의 제 1 절삭 공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7 에 동 제조 방법의 제 1 통 부재 압입 공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8 에 동 제조 방법의 제 2 절삭 공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9 에 도 8 의 원 IX 내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0 에 동 제조 방법의 제 2 통 부재 압입 공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가스 통로 형성 공정에 있어서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조에 의하여 하우징 (2) 을 제작한다. 또, 주조 시에, 하우징 (2) 에 가스 통로 (20) 와 샤프트 삽입 통과 구멍 (24) 을 형성한다.
제 1 절삭 공정에 있어서는, 도 6 에 굵은 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 부재에 대한 하우징 (2) 의 설치면 (상면, 하면, 우면) 을 절삭 가공한다. 그리고, 가스 통로 (20) 내주면을 절삭 가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의 우단 개구로부터, 가스 통로 (20) 내에 밀링 커터 (90) 를 삽입한다. 그리고, 밀링 커터 (90) 에 의하여, 제 1 통 부재 수용부 (21) 의 내주면을 절삭 가공한다. 또한, 밀링 커터 (90) 를 이동시킬 때,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의 내주면 및 직경 방향 단차부 (23) 의 표면도 절삭 가공된다. 제 1 통 부재 압입 공정에 있어서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의 우단 개구로부터, 제 1 통 부재 수용부 (21) 에 제 1 통 부재 (3) 를 압입한다.
제 2 절삭 공정에 있어서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의 우단 개구로부터,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내에 밀링 커터 (91) 를 삽입한다. 그리고, 도 8 에 굵은 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링 커터 (91) 에 의하여,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의 내주면을 절삭 가공한다. 또,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통 부재 (3) 의 제 1 축 방향 단면 (30), 직경 방향 단차부 (23) 의 표면을, 밀링 커터 (91) 에 의하여 한번에 절삭 가공한다. 도 9 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절삭 공정 전에 있어서는, 제 1 축 방향 단면 (30) 과 직경 방향 단차부 (23) 는 면일하지는 않다. 이에 대하여, 도 9 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절삭 공정 후에 있어서는, 제 1 축 방향 단면 (30) 과 직경 방향 단차부 (23) 가 대략 면일하게 절삭 정렬되어 있다.
제 2 통 부재 압입 공정에 있어서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의 우단 개구로부터,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에 제 2 통 부재 (4) 를 압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직경 방향 단차부 (23) 와 제 1 축 방향 단면 (30) 은, 대략 면일하게 절삭 정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앞서 개시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통 부재 (4) 의 제 2 축 방향 단면 (40) 은 직경 방향 단차부 (23) 및 제 1 축 방향 단면 (30) 에 면접촉한다.
그 후, 앞서 개시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통 부재 (3) 에 절결부 (303) 를, 제 2 통 부재 (4) 에 절결부 (403) 를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샤프트 (51) 를 샤프트 삽입 통과 구멍 (24) 에 삽입 통과시킨다. 그리고, 샤프트 (51) 에,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의 우단 개구로부터 밸브 본체 (50) 를 장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밸브체 (5) 를 하우징 (2) 에 장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공정을 거쳐,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는 제조된다.
[작용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및 그 제조 방법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젤 엔진의 경우, 경유 중의 유황분을 함유하는 황산계의 응축액이, 가스 통로 (20) 의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된다. 또한, 응축액은 본 발명의 부식성 물질에 포함된다.
이 점,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에 의하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축 방향 단면 (40) 이 직경 방향 단차부 (23) 와 축 방향에 대향하는 대향부 (401) 를 갖고 있다. 대향부 (401) 와 직경 방향 단차부 (23) 사이에는 면 접촉 구조 (61) 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대향부 (401) 와 직경 방향 단차부 (23) 사이의 간극을 대략 0 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에 의하면, 대향부 (401) 와 직경 방향 단차부 (23) 사이에,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되는 응축액이 진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하우징 (2) 의 직경 방향 단차부 (23) 부근이, 응축액에 노출되기 어렵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에 의하면, 하우징 (2) 의 직경 방향 단차부 (23) 부근이 부식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제 1 통 부재 (3) 의 제 1 통 부재 수용부 (21) 에 대한 끼워맞춤 공차, 혹은 제 2 통 부재 (4) 의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에 대한 끼워맞춤 공차가 감소되기 어렵다. 따라서, 제 1 통 부재 (3) 혹은 제 2 통 부재 (4) 가 하우징 (2) 으로부터 탈락하기 어렵다. 따라서, 시일성이 저하되기 어렵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절삭 공정에 있어서, 제 1 축 방향 단면 (30) 및 직경 방향 단차부 (23) 를 한번에 절삭 가공함으로써, 제 1 축 방향 단면 (30) 과 직경 방향 단차부 (23) 를 대략 면일하게 절삭 정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2 통 부재 압입 공정에 있어서, 제 2 통 부재 (4) 의 제 2 축 방향 단면 (40) 을, 직경 방향 단차부 (23) 및 제 1 축 방향 단면 (30) 에 맞닿게 할 수 있다. 즉, 제 2 축 방향 단면 (40) 과, 직경 방향 단차부 (23) 및 제 1 축 방향 단면 (30) 사이의 간극을 대략 0 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간단히, 직경 방향 단차부 (23) 부근이 부식되기 어려운 유량 제어 밸브 (1) 를 제조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와, 제 1 실시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의 차이점은, 가스 통로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점이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의 제조 방법과, 제 1 실시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의 제조 방법의 차이점은, 제 1 통 부재 압입 공정에 있어서의 제 1 통 부재의 압입 방향과, 제 2 통 부재 압입 공정에 있어서의 제 2 통 부재의 압입 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는 점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주로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유량 제어 밸브의 구성]
먼저,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 에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의 축 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3에 대응하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통로 (20) 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통 부재 수용부 (21) 와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는 대략 동일한 직경이다. 제 1 통 부재 수용부 (21) 와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는 서로 직경 방향 (상하 방향) 으로 어긋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통 부재 수용부 (21) 의 축선은,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의 축선에 대하여 상방으로 어긋나 있다.
직경 방향 단차부 (23U, 23D) 는, 제 1 통 부재 수용부 (21) 의 우단과,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의 좌단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직경 방향 단차부 (23U) 는 상부 절반분, 대략 180˚ 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직경 방향 단차부 (23U) 는 좌방을 향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직경 방향 단차부 (23D) 는 하부 절반분, 대략 180˚ 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직경 방향 단차부 (23D) 는 우방을 향하고 있다.
제 1 통 부재 (3) 는 제 1 통 부재 수용부 (21) 에 수용되어 있다. 제 1 통 부재 (3) 의 우단에는, 제 1 축 방향 단면 (30) 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축 방향 단면 (30) 에는 상부 절반분, 대략 180˚에 걸쳐서 대향부 (302) 가 배치되어 있다. 대향부 (302) 는 직경 방향 단차부 (23U) 와 면접촉하고 있다. 즉, 대향부 (302) 와 직경 방향 단차부 (23U) 가 면접촉함으로써, 대향부 (302) 와 직경 방향 단차부 (23U) 사이에 면 접촉 구조 (62U) 가 확보되어 있다.
제 2 통 부재 (4) 는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에 수용되어 있다. 제 2 통 부재 (4) 의 좌단에는 제 2 축 방향 단면 (40) 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축 방향 단면 (40) 에는 하부 절반분, 대략 180˚ 에 걸쳐서 대향부 (401) 가 배치되어 있다. 대향부 (401) 는 직경 방향 단차부 (23D) 와 면접촉하고 있다. 즉, 대향부 (401) 와 직경 방향 단차부 (23D) 가 면접촉함으로써, 대향부 (401) 와 직경 방향 단차부 (23D) 사이에 면 접촉 구조 (62D) 가 확보되어 있다.
[유량 제어 밸브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의 제조 방법은 가스 통로 형성 공정과, 제 1 절삭 공정과, 제 1 통 부재 압입 공정과, 제 2 절삭 공정과, 제 2 통 부재 압입 공정을 갖고 있다.
도 12 에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의 제조 방법의 가스 통로 형성 공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3 에 동 제조 방법의 제 1 절삭 공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4 에 동 제조 방법의 제 1 통 부재 압입 공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5 에 동 제조 방법의 제 2 절삭 공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6 에 도 15 의 원 XVI 내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7 에 도 15 의 원 XVII 내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8 에 동 제조 방법의 제 2 통 부재 압입 공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또한,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도 5 ~ 도 10 과 대응하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가스 통로 형성 공정에 있어서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조에 의하여 하우징 (2) 을 제작한다. 제 1 절삭 공정에 있어서는, 도 13 에 굵은 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 부재에 대한 하우징 (2) 의 설치면 (상면, 좌면, 우면) 을 절삭 가공한다. 그리고, 밀링 커터(92) 에 의하여, 제 1 통 부재 수용부 (21) 의 내주면을 절삭 가공한다. 밀링 커터(92) 는, 제 1 통 부재 수용부 (21) 의 좌단 개구로부터 제 1 통 부재 수용부 (21) 내에 삽입한다. 제 1 통 부재 압입 공정에 있어서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통 부재 수용부 (21) 의 좌단 개구로부터, 제 1 통 부재 수용부 (21) 에 제 1 통 부재 (3) 를 압입한다. 제 1 통 부재 (3) 는 제 1 축 방향 단면 (30) 이 직경 방향 단차부 (23U) 에 맞닿을 때까지 압입된다.
제 2 절삭 공정에 있어서는,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의 우단 개구로부터,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내에 밀링 커터 (93) 를 삽입한다. 그리고, 도 15 에 굵은 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링 커터(93) 에 의하여,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의 내주면을 절삭 가공한다. 또,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축 방향 단면 (30), 직경 방향 단차부 (23D) 의 표면을 밀링 커터(93) 에 의하여 절삭 가공한다. 제 2 절삭 공정 후에 있어서는, 제 1 축 방향 단면 (30) 과 직경 방향 단차부 (23D) 가 대략 면일하게 절삭 정렬되어 있다. 그리고,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축 방향 단면 (30) 중에서, 직경 방향 단차부 (23U) 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튀어나온 부분을 밀링 커터 (93) 에 의하여 절삭 가공한다. 당해 절삭 가공에 의하여, 제 1 축 방향 단면 (30) 에 오목부 (304) 가 형성된다. 또한, 오목부 (304) 의 깊이 (좌우 방향 전체 길이) 는 직경 방향 단차부 (23D) 에 대한 밀링 커터 (93) 의 절삭량 (도 16 참조) 에 대응하고 있다.
제 2 통 부재 압입 공정에 있어서는,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의 우단 개구로부터,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에 제 2 통 부재 (4) 를 압입한다. 제 2 통 부재 (4) 의 제 2 축 방향 단면 (40) 은, 도 16 에 나타내는 직경 방향 단차부 (23D), 및 제 1 축 방향 단면 (30) 에 면접촉한다. 그리고, 제 2 축 방향 단면 (40) 은, 도 17 에 나타내는 오목부 (304) 의 우향하는 바닥면 (요컨대 제 1 축 방향 단면 (30)) 에 면접촉한다.
그 후, 제 1 통 부재 (3), 제 2 통 부재 (4) 에 각각 절결부를 형성한다 (앞서 개시된 도 2 참조). 그리고 나서, 샤프트 (51) 를 샤프트 삽입 통과 구멍 (24) 에 삽입 통과시킨다. 그리고, 샤프트 (51) 에, 가스 통로 (20) 의 좌단 개구 혹은 우단 개구로부터 밸브 본체 (50) 를 장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는 제조된다.
[작용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및 그 제조 방법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및 그 제조 방법과, 제 1 실시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및 그 제조 방법은, 구성이 공통되는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와 같이, 가스 통로 (20) 에 대한, 제 1 통 부재 (3) 의 압입 방향과, 제 2 통 부재 (4) 의 압입 방향이 반대여도, 대향부 (302) 와 직경 방향 단차부 (23U) 사이에 면 접촉 구조 (62U) 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대향부 (401) 와 직경 방향 단차부 (23D) 사이에 면 접촉 구조 (62D) 를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절삭 공정에 있어서, 제 1 통 부재 (3) 에 오목부 (304) 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직경 방향 단차부 (23U, 23D) 의 좌우 방향 위치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통 부재 압입 공정에 있어서, 제 2 통 부재 (4) 의 제 2 축 방향 단면 (40) 을, 도 16 에 나타내는 직경 방향 단차부 (23D) 및 제 1 축 방향 단면 (30) 에 면접촉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2 축 방향 단면 (40) 을, 도 17 에 나타내는 오목부 (304) 의 우향하는 바닥면 (제 1 축 방향 단면 (30)) 에 면접촉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와, 제 1 실시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의 차이점은, 면 접촉 구조 대신에 충전 구조가 배치되어 있는 점이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의 제조 방법과, 제 1 실시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의 제조 방법의 차이점은, 제 1 통 부재 수용부, 제 2 통 부재 수용부, 직경 방향 단차부의 절삭 가공이 단일 공정에서 실시되는 점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주로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유량 제어 밸브의 구성]
먼저,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 에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의 축 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0 에 도 19 의 원 XX 내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9, 도 20 에 있어서, 도 3, 도 4 에 대응하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도 19,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부 (401) 와 직경 방향 단차부 (23) 사이의 간극에는, 액상의 충전재 (630) (닛폰 페인트 주식회사 제조 테트조르 600) 이 개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는, 대향부 (401) 와 직경 방향 단차부 (23) 사이의 간극을 충전재 (630) 로 메움으로써 충전 구조 (63) 를 확보하고 있다.
[유량 제어 밸브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의 제조 방법은, 가스 통로 형성 공정과, 전체면 절삭 공정과, 제 1 통 부재 압입 공정과, 충전재 배치 공정과, 제 2 통 부재 압입 공정을 갖고 있다. 도 21 에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의 제조 방법의 충전재 배치 공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2 에, 도 21 의 원 XXII 내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21, 도 22 에 있어서, 도 5 ~ 도 10 과 대응하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가스 통로 형성 공정에 있어서는, 도 5 와 동일하게, 주조에 의하여 하우징 (2) 을 제작한다. 전체면 절삭 공정에 있어서는, 도 6 과 동일하게, 밀링 커터에 의하여 제 1 통 부재 수용부 (21) 의 내주면, 직경 방향 단차부 (23) 의 표면,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의 내주면을 절삭 가공한다. 제 1 통 부재 압입 공정에 있어서는, 도 7 과 동일하게, 제 1 통 부재 (3) 를 제 1 통 부재 수용부 (21) 에 압입한다. 충전재 배치 공정에 있어서는, 도 21,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 방향 단차부 (23) 의 표면에 충전재 (630) 를 도포한다. 제 2 통 부재 압입 공정에 있어서는, 도 10 과 동일하게, 제 2 통 부재 (4) 를 제 2 통 부재 수용부 (22) 에 압입한다. 그리고,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부 (401) 와 직경 방향 단차부 (23) 사이의 간극을 충전재 (630) 에 의하여 메운다.
*[작용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및 그 제조 방법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및 그 제조 방법과, 제 1 실시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및 그 제조 방법은, 구성이 공통되는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 2 통 부재 압입 공정에 있어서, 제 2 통 부재 (4) 와 제 1 통 부재 (3) 를 맞닿게 함으로써, 대향부 (401) 와 직경 방향 단차부 (23) 사이에 충전재 (630) 를 충전할 수 있다. 즉, 대향부 (401) 와 직경 방향 단차부 (23) 사이의 간극을 메울 수 있다. 이 때문에, 대향부 (401) 와 직경 방향 단차부 (23) 사이에, 배기 가스로부터 생성되는 황산계의 응축액이 진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주철제 하우징 (2) 의 직경 방향 단차부 (23) 부근이 응축액에 노출되기 어렵다.
<제 4 실시형태>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와, 제 1 실시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의 차이점은, 면 접촉 구조 대신에 면 접촉 - 충전 구조가 배치되어 있는 점이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의 제조 방법과, 제 1 실시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의 제조 방법의 차이점은, 제 2 절삭 공정과 제 2 통 부재 압입 공정 사이에 충전재 배치 공정을 갖고 있는 점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3 에,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의 제조 방법의 충전재 배치 공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9 에 대응하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 2 절삭 공정에 있어서는, 앞서 개시된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 방향 단차부 (23) 에 절삭 가공을 실시한다. 충전재 배치 공정에 있어서는,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삭 가공 후의 직경 방향 단차부 (23) 에, 액상의 충전재 (610) (닛폰 페인트 주식회사 제조 테트조르 600) 를 도포한다. 제 2 통 부재 압입 공정에 있어서는, 앞서 개시된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통 부재 수용부에 제 2 통 부재를 압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에 의하면, 앞서 개시된 도 4 에 나타내는 대향부 (401) 와 직경 방향 단차부 (23) 사이에는 액상의 충전재 (610) 가 개재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는, 대향부 (401) 와 직경 방향 단차부 (23) 를 충전재 (610) 를 개재하여 면접촉시킴으로써 면 접촉 - 충전 구조를 확보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및 그 제조 방법과, 제 1 실시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및 그 제조 방법은, 구성이 공통되는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에 의하면, 대향부 (401) 와 직경 방향 단차부 (23) 사이에 액상의 충전재 (610) 가 개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대향부 (401) 와 직경 방향 단차부 (23) 사이를 봉지할 수 있다.
<기타>
이상으로, 본 발명의 유량 제어 밸브 (1) 및 그 제조 방법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상기 형태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가 실시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변형적 형태, 개량적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에서는, 하우징 (2) 을 구상 흑연 주철제로 했으나 회선철 (灰銑鐵) (FC) 제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에 있어서는, 제 1 통 부재 (3), 제 2 통 부재 (4) 를 스테인리스강제로 했으나 알루미늄 합금제로 해도 된다. 또, 주철제의 제 1 통 부재 (3), 제 2 통 부재 (4) 의 표면을 주철보다 내식성이 높은 도금이나 코트재 등으로 피복해도 된다.
또, 충전재 (610, 630) 의 재질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액상 이외에 겔상, 고체상의 충전재를 사용해도 된다. 또, 충전재 (610, 630) 로서 도료를 사용해도 된다. 일례로서, 실리콘계 내열 도료 (예를 들어, 주식회사 스리본드 제조 TB1207) 등을 사용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유량 제어 밸브에 대하여 실시한 내식성 실험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샘플, 요컨대 실험에 사용한 유량 제어 밸브는, 도 1 ~ 도 4 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 (1) 이다. 즉, 대향부 (401) 와 직경 방향 단차부 (23) 사이의 간극을 대략 0 으로 한 유량 제어 밸브이다. 제 2 절삭 공정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 단차부 (23) 와 제 1 축 방향 단면 (30) 의 축 방향 절삭량 (도 9 의 점선 부분의 좌우 방향 전체 길이) 은 1 ㎜ 로 하였다.
또한, 참고예 (단, 공지되지 않은) 샘플로서 구상 흑연 주철제 하우징 (2), 스테인리스강제의 제 1 통 부재 (3), 제 2 통 부재 (4) 를 갖지만, 대향부 (401) 와 직경 방향 단차부 (23)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유량 제어 밸브를 사용하였다.
내식성 실험은, 유량 제어 밸브의 실차 (實車) 사용 상황을 상정하여 실시하였다. 부식성 물질로서는,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의 응축액을 상정하여, 황산 부식액 (PH 2.3 ± 0.1) 을 사용하였다. 내식성 실험은, (A) 먼저 초음파 진동시킨 상온의 황산 부식액에 15 분간 샘플을 침지하고, (B) 다음으로 80 ℃ 의 황산 부식액에 25 분간 샘플을 침지하고, (C) 계속해서 200 ℃ 의 공기 중에서 60 분간 샘플을 건조시키고, (D) 그 후 10 ℃ 의 공기 중에서 20 분간 샘플을 냉각시키는 일련의 사이클 (A) ~ (D) 를, 6 사이클 반복하고, (E) 마지막으로 상온의 공기 중에서 12 시간 샘플을 방치함으로써 실시하였다 (요컨대 ([(A) → (B) → (C) → (D))] × 6 → (E)).
도 24 에 내식성 실험 후의 실시예 샘플의 직경 방향 단차부 부근의 확대 단면 사진을 나타낸다. 도 25 에 내식성 실험 후의 참고예 샘플의 직경 방향 단차부 부근의 확대 단면 사진을 나타낸다.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참고예 샘플의 경우, 제 2 통 부재의 제 2 축 방향 단면과 직경 방향 단차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직경 방향 단차부가 부식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직경 방향 단차부에서 최대 0.13 ㎜ 의 부식을 확인할 수 있다. 또, 가스 통로의 제 1 통 부재 수용부에서도 최대 0.06 ㎜ 의 부식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샘플의 경우, 제 2 통 부재의 제 2 축 방향 단면과 직경 방향 단차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직경 방향 단차부가 부식되어 있지 않다. 또, 가스 통로의 제 1 통 부재 수용부도 부식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실시예 샘플은 참고예 샘플보다 하우징의 직경 방향 단차부 부근이 부식되기 어렵다.
1 : 유량 제어 밸브, 2 : 하우징, 3 : 제 1 통 부재, 4 : 제 2 통 부재, 5 : 밸브체.
20 : 가스 통로, 21 : 제 1 통 부재 수용부, 22 : 제 2 통 부재 수용부, 23 : 직경 방향 단차부, 23D : 직경 방향 단차부, 23U : 직경 방향 단차부, 24 : 샤프트 삽입 통과 구멍, 30 : 제 1 축 방향 단면, 40 : 제 2 축 방향 단면, 50 : 밸브 본체, 51 : 샤프트, 60 : 밸브 시트, 61 : 면 접촉 구조, 62D : 면 접촉 구조, 62U : 면 접촉 구조, 63 : 충전 구조, 90 : 밀링 커터, 91 : 밀링 커터, 92 : 밀링 커터, 93 : 밀링 커터.
300 : 제 1 구간, 302 : 대향부, 303 : 절결부, 304 : 오목부, 400 : 제 2 구간, 401 : 대향부, 403 : 절결부, 610 : 충전재, 630 : 충전재.

Claims (1)

  1. 제 1 통 부재 수용부와, 상기 제 1 통 부재 수용부의 축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통 부재 수용부와, 상기 제 1 통 부재 수용부와 상기 제 2 통 부재 수용부 사이에 개재하는 직경 방향 단차부를 갖고, 부식성 물질을 생성하는 가스가 통과하는 가스 통로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제 1 통 부재 수용부에 수용되고, 제 1 축 방향 단면을 갖는 제 1 통 부재와,
    상기 제 2 통 부재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 1 통 부재 및 제 2 통 부재의 내주 가장자리끼리가 서로 직경 방향으로 어긋난 상태에서, 상기 제 1 축 방향 단면에 축 방향으로 맞닿는 제 2 축 방향 단면을 갖는 제 2 통 부재와,
    상기 제 1 통 부재 및 상기 제 2 통 부재의 직경 방향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1 쌍 (제 1 구간, 제 2 구간) 의 상기 제 1 통 부재 및 제 2 통 부재의 내주 가장자리에 배치된 밸브 시트에 대하여 이탈 밀착함으로써, 상기 가스 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유량 제어 밸브로서,
    상기 하우징은, 주철제이고,
    상기 제 1 통 부재 및 상기 제 2 통 부재의 적어도 표면은, 상기 부식성 물질에 대한 내식성이 주철보다 높은 고내식재제이고,
    상기 제 1 축 방향 단면 및 상기 제 2 축 방향 단면 중에서 적어도 일방은, 상기 직경 방향 단차부와 축 방향에 대향하는 대향부를 갖고 있고,
    상기 대향부와 상기 직경 방향 단차부 사이에는, 상기 대향부와 상기 직경 방향 단차부 사이에 상기 부식성 물질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가스 시일 구조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스 시일 구조는, 상기 대향부와 상기 직경 방향 단차부 사이의 간극을 0 으로 하는 면 접촉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KR1020137007380A 2008-06-27 2009-06-23 유량 제어 밸브 KR101353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68583A JP5301209B2 (ja) 2008-06-27 2008-06-27 流量制御バル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8-168583 2008-06-27
PCT/JP2009/061809 WO2009157583A1 (ja) 2008-06-27 2009-06-23 流量制御バル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149A Division KR101288261B1 (ko) 2008-06-27 2009-06-23 유량 제어 밸브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360A true KR20130041360A (ko) 2013-04-24
KR101353173B1 KR101353173B1 (ko) 2014-01-17

Family

ID=414446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149A KR101288261B1 (ko) 2008-06-27 2009-06-23 유량 제어 밸브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37007380A KR101353173B1 (ko) 2008-06-27 2009-06-23 유량 제어 밸브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149A KR101288261B1 (ko) 2008-06-27 2009-06-23 유량 제어 밸브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34506B2 (ko)
EP (1) EP2306053B1 (ko)
JP (1) JP5301209B2 (ko)
KR (2) KR101288261B1 (ko)
CN (1) CN102077003B (ko)
WO (1) WO20091575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62184B1 (fr) * 2010-06-30 2013-12-27 Valeo Systemes De Controle Moteur Vanne de circulation de fluide
EP2841830A4 (en) * 2012-04-25 2016-01-06 Qtrco Inc DOUBLE PLATED FLAP VALVE
WO2013190589A1 (ja) * 2012-06-18 2013-12-27 三菱電機株式会社 排気ガス循環バルブおよび製造方法
JP2014231804A (ja) * 2013-05-30 2014-12-11 大豊工業株式会社 バルブ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3025014B1 (fr) * 2014-08-25 2016-09-30 Valeo Systemes De Controle Moteur Vanne de controle moteur dans un vehicule automobile
WO2016157364A1 (ja) * 2015-03-30 2016-10-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ービン過給機、および2段過給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2964A (en) * 1979-05-14 1980-11-28 Maezawa Kogyo Kk Butterfly valv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S55152694A (en) * 1979-05-15 1980-11-28 Kamome Puropera Kk Frange mount propeller assembly
US6193214B1 (en) * 1996-09-10 2001-02-27 Schatz Thermo System Gmbh Shut-off or throttle valve with pivotal flap
US5979872A (en) * 1997-05-19 1999-11-09 Gds Manufacturing Co. Retrofittable corrosion-resistant volume damper
US6123318A (en) * 1999-03-01 2000-09-2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Throttle body module having improved blade to ledge sealing
FR2796698B1 (fr) * 1999-07-19 2001-10-12 Vernet Sa Dispositif a papillon(s) de mise en communication et d'isolement de conduits de fluide
JP3726815B2 (ja) * 2003-02-13 2005-12-14 大豊工業株式会社 流量制御バルブ
US7571742B2 (en) * 2005-03-23 2009-08-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Butterfly outflow valve
JP4687540B2 (ja) * 2006-04-12 2011-05-25 株式会社デンソー 流体制御弁
JP2007303434A (ja) * 2006-05-15 2007-11-22 Denso Corp 排気ガス制御弁
JP4762813B2 (ja) * 2006-07-25 2011-08-31 株式会社栗本鐵工所 バタフライ弁の製造方法、及びバタフライ弁構造
JP2008075741A (ja) * 2006-09-21 2008-04-03 Taiho Kogyo Co Ltd バルブアセンブ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8261B1 (ko) 2013-07-26
WO2009157583A1 (ja) 2009-12-30
US20110089360A1 (en) 2011-04-21
EP2306053B1 (en) 2013-08-07
US8434506B2 (en) 2013-05-07
JP2010007776A (ja) 2010-01-14
CN102077003A (zh) 2011-05-25
JP5301209B2 (ja) 2013-09-25
EP2306053A4 (en) 2011-11-16
EP2306053A1 (en) 2011-04-06
KR20110021954A (ko) 2011-03-04
KR101353173B1 (ko) 2014-01-17
CN102077003B (zh) 201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173B1 (ko) 유량 제어 밸브
US8469336B2 (en) Valve assembly
EP0644982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xhaust control valve
US20070240690A1 (en) Fluid control valve
JP7107679B2 (ja) バルブ装置
US20030209682A1 (en) Valve
EP1947317A1 (en) Air intake device for engine
JP2007303434A (ja) 排気ガス制御弁
JP4539369B2 (ja) 吸気制御装置
JP2017522513A (ja) ストッパ座金を備えた特に自動車用の流体循環弁およびそのような弁の製造方法
JP4054991B2 (ja) 吸気装置
JP3629366B2 (ja) バタフライバルブ装置とそのバタフライバルブの組付方法
CN1637263A (zh) 废气再循环阀
CA2345192A1 (en) Integrated push rod locator in cylinder head gasket
JP2012067812A (ja) 連結スプリング及び流路開閉弁
CA2985829A1 (en) Valve having non-round closure member
EP1262646A2 (en) Valve apparatus
US6904897B1 (en) Bearing porosity control in an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JP2021071102A (ja) Egrバルブシステム
EP3135896A1 (en) Intake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GB2552718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rottle valves
JP3932510B2 (ja) ホースコネクターの回り止め構造
JP2005307775A (ja) エンジンのインジェクタ取付構造
JP4410187B2 (ja) 多連式電子制御スロットル装置
JP4363271B2 (ja) 可変吸気装置のシー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