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0105A -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 - Google Patents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0105A
KR20130040105A KR1020110104899A KR20110104899A KR20130040105A KR 20130040105 A KR20130040105 A KR 20130040105A KR 1020110104899 A KR1020110104899 A KR 1020110104899A KR 20110104899 A KR20110104899 A KR 20110104899A KR 20130040105 A KR20130040105 A KR 20130040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yoke
housing
hole
shaft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2242B1 (ko
Inventor
장재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4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242B1/ko
Publication of KR20130040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62D3/123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characterised by pressure yo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2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 of steering gear or particular application
    • B62D5/22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 of steering gear or particular application for rack-and-pin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조향 기어박스의 하우징에 결합되어 서포트 요크를 가압하며, 관통홀이 형성된 플러그본체와, 플러그본체의 관통홀에 조립되는 캡본체와, 캡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하우징을 기밀시키며, 하우징의 내부 압력에 따라 하우징 내부 공간을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방향으로 형상이나 위치가 변형되는 압력연동체를 포함하는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YOKE SUPPORTING PLUG OF STEERING GEAR BOX}
본 발명은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향 기어박스 내 압력변동에 따른 이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요크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향장치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운전자의 의지대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차량의 앞바퀴가 선회하는 회전 중심을 임의로 변경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차량을 진행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이다.
기어박스는 하단측에 마련된 랙하우징과 이와 결합되도록 상단측에 설치된 밸브하우징으로 외형이 이루어진다.
밸브하우징의 내부에는 운전자가 조향휠을 매개로 발생시킨 회전력을 전달받아 그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입력축이 설치되고, 입력축의 하단측에는 이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며 외주면에 피니언기어가 형성된 피니언축이 랙하우징의 내부에까지 연장 설치된다.
랙하우징의 내부에는 축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는 원봉으로서 그 중간 일측에 피니언기어와 기어연결되어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랙기어가 형성된 랙바가 설치되고, 랙기어의 반대 측에는 랙바를 피니언기어 쪽으로 탄발성 있게 지지할 수 있도록 랙바 지지장치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07688호(2011년 1월 25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조향 기어박스는 차량의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되고, 다양한 환경에서 내부 부품의 기능을 항구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밀봉 구조를 가지나, 외부 온도 변화에 따른 내부 압력의 증감으로 인해 내부 부품의 변형과 이로 인한 간섭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조향 기어박스 내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는 밀봉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조향 기어박스 내 압력 증감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는 조향 기어박스의 하우징에 결합되어 서포트 요크를 가압하며, 관통홀이 형성된 플러그본체; 상기 플러그본체의 관통홀에 조립되는 캡본체; 및 상기 캡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기밀시키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을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방향으로 형상이나 위치가 변형되는 압력연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플러그본체는 내주부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외부에 노출되는 조립단부; 내주부가 상기 조립단부보다 축경되며 상기 조립단부와의 경계에 단턱을 형성하는 축경부; 및 내주부가 상기 축경부보다 확경되며 상기 축경부와의 경계에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는 요크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본체는 상기 조립단부에 위치되는 마개부; 상기 마개부보다 축소된 외경을 가지고 상기 축경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삽입부; 및 상기 마개부와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는 조립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압력연동체는 상기 조립홀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이동판; 및 상기 이동판을 상기 하우징 내측을 향해 지정압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립홀부는 상기 이동판과 상기 탄성체가 삽입되는 삽입홀;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상에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의 측면을 가이드하고 상기 이동판의 이동한계를 형성하는 가이드홈; 및 상기 이동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삽입홀 내외부로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유동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동홀은 상기 삽입홀보다 축경되며 상기 삽입홀과의 경계에 상기 탄성체를 지지가능한 단턱을 형성하고, 공구의 단부에 대응되는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는 조향 기어박스의 하우징에 결합되어 서포트 요크를 가압하며, 관통홀이 형성된 플러그본체; 상기 플러그본체의 관통홀에 조립되는 캡본체; 및 통기성 방수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캡본체와 상기 플러그본체 사이에 설치되는 방수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플러그본체는 내주부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외부에 노출되는 조립단부; 내주부가 상기 조립단부보다 축경되며 상기 조립단부와의 경계에 단턱을 형성하는 제1축경부; 내주부가 상기 제1축경부보다 축경되며 상기 제1축경부와의 경계에 단턱을 형성하는 제2축경부; 및 내주부가 상기 제2축경부보다 확경되며 상기 제2축경부와의 경계에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는 요크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본체는 상기 조립단부에 위치되는 마개부; 상기 마개부보다 축소된 외경을 가지고 상기 제1축경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삽입부; 및 상기 마개부와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는 조립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수재는 상기 조립홀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본체는 상기 방수재와의 접촉부에 요철형성되는 가압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압력연동체가 조향 기어박스 내부 압력에 따라 조향 기어박스 내부 공간을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방향으로 형상이나 위치가 변형되므로 외부온도에 따른 조향 기어박스 내부 압력 변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
또한, 통기성 방수소재로 구성된 방수재를 이용하여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밀봉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조향 기어박스 내외부로의 공기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온도에 따른 조향 기어박스 내부 압력 변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조향 기어박스 내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는 밀봉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조향 기어박스 내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외부 온도 변화에 따른 조향 기어박스 내 압력의 증감으로 인해 조향 기어박스 내부 부품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부품간 간섭이 발생하던 것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요크 플러그를 대체하여 적용함으로써, 조향 기어박스 내 압력의 증감에 대처하기 위해 조향 기어박스 내부 부품의 강성을 보강하거나 이로 인한 튜닝을 별도로 거칠 필요없이, 간단하게 조향 기어박스 내 압력 변동 흡수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2 실시예에 따른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가 설치된 조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도시한 조향 기어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2실시예에 따른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을 도시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C-C선 단면을 도시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의 제1, 2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2 실시예에 따른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가 설치된 조향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도시한 조향 기어박스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2실시예에 따른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제1, 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그 명칭이 중복되는 구성요소 중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는 해당 도면부호A, 제2실시예의 구성요소는 해당 도면부호B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2실시예에 따른 요크 플러그(400A, 400B)는, 차륜을 조향하는 타이로드(20)와, 타이로드(20)를 조작하는 랙 바가 구비되는 랙 실린더(10)와, 랙 실린더(20)에 설치되어 조향 휠의 조작에 따른 회전력을 랙 바의 직선 이동으로 변환시키는 조향 기어박스(30)로 이루어진 조향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조향 기어박스(30)는 내부 부품이 수용되는 하우징(31)과, 랙 바와 피니언 샤프트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보상하기 위해 랙 바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서포트 요크(32)와, 서포트 요크(32)를 가압하도록 하우징(31) 외부에서 결합되는 요크 플러그(400A, 400B)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요크 플러그(400A)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을 도시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요크 플러그(400A)는, 관통홀(411A)이 형성된 플러그본체(410A), 관통홀(411A)에 조립되는 캡본체(420A), 캡본체(420A) 내부에 설치되는 압력연동체(43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관통홀(411A, 411B)의 단면 사이즈를 내경으로 칭하며, 이는 관통홀(411A)의 형상을 원형으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플러그본체(410A)는 조립단부(412A)와 축경부(413), 요크가압부(415A)로 이루어져 하우징(31)에 형성된 조립홀상에 결합되며, 나사결합 방식으로 하우징(21)의 조립홀상에 결합될 수 있다.
조립단부(412A)는 하우징(31)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으로, 렌치 등의 공구로 회전 조작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내주부에 공구와 맞물릴 수 있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다.
축경부(413)는 내경이 조립단부(412A)보다 축경되며 조립단부(412A)와의 경계에 단턱을 형성한다.
요크가압부(415A)는 내경이 축경부(413)보다 확경되며 축경부(413)와의 경계에, 서포트 요크(32)를 탄성 가압하기 위해 설치되는 탄성부재(33)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는 단턱을 형성한다.
요크가압부(415A)는 하우징(31) 내부로 삽입되어 서포트 요크(32) 또는 탄성부재(33)와 접촉하게 된다.
캡본체(420A)는 마개부(421A)와 삽입부(422A), 조립홀부(423A)로 이루어져 플러그본체(410A)에 형성된 관통홀(411A)상에 결합되며, 나사결합 방식으로 조립되거나, 관통홀(411A)의 내면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마개부(421A)는 캡본체(420A)가 플러그본체(410A)의 관통홀(411A)에 조립된 상태에서 조립단부(412A)에 위치하게된다.
삽입부(422A)는 마개부(421A)보다 축소된 외경을 가지면서 마개부(421A)와의 경계에 단턱을 형성하게 되며, 마개부(421A)와의 경계에 형성된 단턱을 플러그본체(410A)의 조립단부(412A)와 축경부(413)간의 경계에 형성된 단턱에 접촉시키면서 플러그본체(410A)의 축경부(413)에 끼워져 고정된다.
조립홀부(423A)는 마개부(421A)와 삽입부(422A)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내부에 압력연동체(430)가 설치된다.
압력연동체(430)는 조립홀부(423A)상에 설치되어 하우징(31)을 기밀시키며, 하우징(31)의 내부 압력에 따라 하우징(31) 내부 공간을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방향으로 형상이나 위치가 변형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압력연동체(430)는, 조립홀부(423A)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이동판(431)과, 이동판(431)을 하우징(31) 내측을 향해 지정압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432)를 포함한다.
이동판(431)은 조립홀부(423A) 내벽과의 접촉에 의해 하우징(31) 내부의 고압 공기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을 정도로 기밀되게 조립홀부(423A) 내부에 설치되며, 원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탄성체(432)는 하우징(31) 내부의 압력이 탄성체(432)가 이동판(431)을 가압하는 지정압력 이상이 되면 이동판(431)의 이동에 의한 하우징(31) 내부 공간 확장 및 압력 감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동판(431)을 탄성가압하며,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캡본체(420A)의 조립홀부(423A)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압력연동체(430)의 작동을 하우징(31)내 압력변동에 따라 일정하게 구현가능하도록, 삽입홀(4231), 가이드홈(4232), 유동홀(4233)을 포함한다.
삽입홀(4231)상에는 이동판(431)에 연동하여 신축 변형되는 탄성체(432)가 길이방향(신축 변형되는 방향)으로 삽입되며, 이동판(431)은 삽입홀(4231)의 단면을 가로질러 설치된다.
가이드홈(4232)은 삽입홀(4231)의 내주면상에 함몰되어 형성되며, 이동판(431)의 측면이 가이드홈(4232) 내부로 삽입되어 가이드홈(4232) 내벽을 따라 가이드되며, 가이드홈(4232)의 길이(단부 위치)에 따라 이동판(431)의 이동한계를 형성하게 된다.
삽입홀(4231) 중 이동판(431)을 기준으로 하여 하우징(31) 외측에 인접하게 위치하게 되는 부분에는 캡본체(420A) 내외부로의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유동홀(423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동판(431)이 캡본체(420A)의 외측단부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삽입홀(4231) 내부에서 이동판(431) 외측에 있던 공기가 유동홀(4233)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이동판(431)이 캡본체(420A)의 내측단부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외부 공기가 유동홀(4233)을 통해 이동판(431)의 이동량에 비례하여 삽입홀(4231) 내부로 유입된다.
유동홀(4233)을 삽입홀(4231)보다 축경되게 형성하면 삽입홀(4231)과의 경계에 탄성체(432)의 일단부를 지지가능한 단턱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동홀(4233)을 공구의 단부에 대응되는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하면,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캡본체(420A)를 플러그본체(410A)에 용이하게 조립하거나 교체, 보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압력연동체(430)는 이동판(431)과 탄성체(432)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나, 보다 간단하게는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로 구성되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방수재(440)(이하 설명) 같은 형태로 설치되어, 하우징(31)의 내부 압력에 따라 하우징(31) 내부 공간을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방향으로 형상이 변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요크 플러그(400A)의 구성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하우징(31) 내부 압력이 탄성체(432)가 이동판(431)에 작용하는 지정압력보다 높아지면, 이동판(431)이 외측(도 4에서 상측)으로 밀려 이동되며 하우징(31) 내부공간이 확장된다.
하우징(31)의 내부공간 확장량에 비례하여 하우징(31)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서 하우징(31) 내부 압력을 지정압력으로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하우징(31) 내부 압력이 탄성체(432)가 이동판(431)에 작용하는 지정압력보다 낮아지면 이동판(431)이 내측(도 4에서 하측)으로 밀려 이동하게 된다.
하우징(31)의 내부공간 축소량에 비례하여 하우징(31) 내부 압력이 높아지면서 하우징(31) 내부 압력을 지정압력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때, 이동판(431)의 측면은 가이드홈(4232)의 내벽에 접촉된 상태로 하우징(31)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게 되며, 가이드홈(4232) 양단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됨과 동시에, 최대 변위가 가이드홈(4232)의 길이 만큼으로 한정된다.
또한, 이동판(431)의 이동에 의해 하우징(31) 내부공간이 확장되거나 축소되는 양에 비례하여 유동홀(4233)을 통한 공기유출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요크 플러그(400B)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3의 C-C선 단면을 도시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요크 플러그(400B)는 관통홀(411B)이 형성된 플러그본체(410B), 관통홀(411B)에 조립되는 캡본체(420B), 캡본체(420B)와 플러그본체(410B) 사이에 설치되는 방수재(440)를 포함한다.
플러그본체(410B)는, 조립단부(412B)와 제1축경부(415), 제2축경부(416), 요크가압부(414B)로 이루어져 하우징(31)에 형성된 조립홀상에 결합되며, 나사결합 방식으로 하우징(21)의 조립홀상에 결합될 수 있다.
조립단부(412B)는 하우징(31)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으로, 렌치 등의 공구로 회전 조작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내주부에 공구와 맞물릴 수 있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다.
제1축경부(415)는 내경이 조립단부(412B)보다 축경되며 조립단부(412B)와의 경계에 단턱을 형성한다.
제2축경부(416)는 내경이 제1축경부(415)보다 축경되며 제1축경부(415)와의 경계에 단턱을 형성한다.
요크가압부(414B)는 내경이 제2축경부(416)보다 확경되며 제2축경부(416)와의 경계에, 서포트 요크(32)를 탄성 가압하기 위해 설치되는 탄성부재(33)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는 단턱을 형성한다.
요크가압부(414B)은 하우징(31) 내부로 삽입되어 서포트 요크(32) 또는 탄성부재(33)와 접촉하게 된다.
캡본체(420B)는 마개부(421B)와 삽입부(422B), 조립홀부(423B)로 이루어져 플러그본체(410B)에 형성된 관통홀(411B)상에 결합되며, 나사결합 방식으로 조립되거나, 관통홀(411B)의 내면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마개부(421B)는 캡본체(420B)가 플러그본체(410B)의 관통홀(411B)에 조립된 상태에서 조립단부(412B)에 위치하게된다.
삽입부(422B)는 마개부(421B)보다 축소된 외경을 가지면서 마개부(421B)와의 경계에 단턱을 형성하게 되며, 마개부(421B)와의 경계에 형성된 단턱을 플러그본체(410B)의 조립단부(412B)와 제1축경부(415)간의 경계에 형성된 단턱에 접촉시키면서 플러그본체(410B)의 축경부(413)에 끼워져 고정된다.
조립홀부(423B)는 마개부(421B)와 삽입부(422B)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방수재(440)는 조립홀부(423B)를 가로질러 설치되어 하우징(31)을 기밀시킨다.
방수재(440)는 미세한 구멍을 통해 공기의 유동은 가능하되 이물질이나 수분(물방물)의 통과를 방지할 수 있는 고어텍스 등의 통기성 방수소재로 구성된다.
방수재(440)는 캡본체(420B)의 내측단과, 플러그본체(410B)의 제1축경부(415)와 제2축경부(416)간 경계에 형성된 단턱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캡본체(420B)의 내측단과, 플러그본체(410B) 중 제1축경부(415)와 제2축경부(416)간 경계에 형성된 단턱간의 유격을 방수재(440)의 두께 이하로 줄이면서 방수재(440)를 양측에서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캡본체(420B)를 나사결합에 의해 플러그본체(410B)에 고정시키는 경우, 캡본체(420B) 내측단의 이동이 플러그본체(410B)의 제1축경부(415)와 제2축경부(416)간 경계에 형성된 단턱에 의해 차단되어 더이상 진행되지 못할 정도로 조립하면, 플러그본체(410B)와 캡본체(420B) 사이에 방수재(44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캡본체(420B) 중 방수재(440)에 접촉되어 플러그본체(410B)측으로 가압하게 되는 일부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이하, '가압요철부(424)'라 한다)
가압요철부(424)를 형성하면, 가압요철부(424)를 구성하는 요철의 첨부에서 국부적으로 명확하게 방수재(440)와의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보다 견고하게 방수재(4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요크 플러그(400B)의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31) 내부 압력이 외부(대기) 압력보다 높아지거나 낮아지면, 조립홀부(423B)와 방수재(440)를 통해 자연히 공기의 유출입이 이루어지면서 하우징(31) 내부 압력을 대기압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때, 방수재(440)의 방습특성에 의해, 방수재(440)를 통한 이물질, 수분(물방울)의 하우징(31) 내 유입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랙 실린더 20 : 타이로드
30 : 조향 기어박스 31 : 하우징
32 : 서포트 요크 33 : 탄성부재
400A, 400B : 요크 플러그 410A, 410B : 플러그본체
411A, 411B : 관통홀 412A, 412B : 조립단부
413 : 축경부 414A, 414B : 요크가압부
415 : 제1축경부 416 : 제2축경부
420A, 420B : 캡본체 421A, 421B : 마개부
422A, 422B : 삽입부 423A, 423B : 조립홀부
424 : 가압요철부 430 : 압력연동체
431 : 이동판 432 : 탄성체
440 : 방수재 4231 : 삽입홀
4232 : 가이드홈 4233 : 유동홀

Claims (11)

  1. 조향 기어박스의 하우징에 결합되어 서포트 요크를 가압하며, 관통홀이 형성된 플러그본체;
    상기 플러그본체의 관통홀에 조립되는 캡본체; 및
    상기 캡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기밀시키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을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방향으로 형상이나 위치가 변형되는 압력연동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본체는,
    내주부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외부에 노출되는 조립단부;
    내주부가 상기 조립단부보다 축경되며 상기 조립단부와의 경계에 단턱을 형성하는 축경부; 및
    내주부가 상기 축경부보다 확경되며 상기 축경부와의 경계에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는 요크가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본체는,
    상기 조립단부에 위치되는 마개부;
    상기 마개부보다 축소된 외경을 가지고 상기 축경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삽입부; 및
    상기 마개부와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는 조립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연동체는,
    상기 조립홀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이동판; 및
    상기 이동판을 상기 하우징 내측을 향해 지정압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
  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홀부는,
    상기 이동판과 상기 탄성체가 삽입되는 삽입홀;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상에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의 측면을 가이드하고 상기 이동판의 이동한계를 형성하는 가이드홈; 및
    상기 이동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삽입홀 내외부로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유동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
  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홀은,
    상기 삽입홀보다 축경되며 상기 삽입홀과의 경계에 상기 탄성체를 지지가능한 단턱을 형성하고, 공구의 단부에 대응되는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
  7. 조향 기어박스의 하우징에 결합되어 서포트 요크를 가압하며, 관통홀이 형성된 플러그본체;
    상기 플러그본체의 관통홀에 조립되는 캡본체; 및
    통기성 방수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캡본체와 상기 플러그본체 사이에 설치되는 방수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본체는,
    내주부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외부에 노출되는 조립단부;
    내주부가 상기 조립단부보다 축경되며 상기 조립단부와의 경계에 단턱을 형성하는 제1축경부;
    내주부가 상기 제1축경부보다 축경되며 상기 제1축경부와의 경계에 단턱을 형성하는 제2축경부; 및
    내주부가 상기 제2축경부보다 확경되며 상기 제2축경부와의 경계에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는 요크가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캡본체는,
    상기 조립단부에 위치되는 마개부;
    상기 마개부보다 축소된 외경을 가지고 상기 제1축경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삽입부; 및
    상기 마개부와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는 조립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재는,
    상기 조립홀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캡본체는,
    상기 방수재와의 접촉부에 요철형성되는 가압요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
KR1020110104899A 2011-10-13 2011-10-13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 KR101882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899A KR101882242B1 (ko) 2011-10-13 2011-10-13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899A KR101882242B1 (ko) 2011-10-13 2011-10-13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105A true KR20130040105A (ko) 2013-04-23
KR101882242B1 KR101882242B1 (ko) 2018-07-27

Family

ID=4844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899A KR101882242B1 (ko) 2011-10-13 2011-10-13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2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4154A (zh) * 2020-11-04 2021-01-15 江西昌河汽车有限责任公司 一种转向传动轴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36A (ja) * 1997-06-26 1999-01-19 Unisia Jecs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30003861A (ko) * 2001-07-04 2003-0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유압식 동력조향장치
KR20100050123A (ko) * 2008-11-05 2010-05-13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36A (ja) * 1997-06-26 1999-01-19 Unisia Jecs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30003861A (ko) * 2001-07-04 2003-0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유압식 동력조향장치
KR20100050123A (ko) * 2008-11-05 2010-05-13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4154A (zh) * 2020-11-04 2021-01-15 江西昌河汽车有限责任公司 一种转向传动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2242B1 (ko) 2018-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1089B2 (en) Bushing for a drive unit and drive unit
JP2007211900A (ja) エンドシール及びそれを備えた直動案内装置
CN104163194A (zh) 齿条引导装置以及包括该齿条引导装置的转向装置
KR20090007747A (ko) 차량용 조인트 장치
US20090110584A1 (en) High pressure telescoping gear pumps and motors
KR20130040105A (ko)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
JP3138708U (ja) 線形ガイドレールシステム
JP2009270668A (ja) ガススプリング
KR20110101886A (ko) 랙과 피니언을 이용한 조향장치
KR100694198B1 (ko) 스티어링장치의 랙부시
KR20080015685A (ko) 자동차용 유니버설 조인트의 스파이더 및 베어링 어셈블리
JP2008115963A (ja) 機器収納室のシール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KR20080058649A (ko) 랙-피니언 타입의 조향장치
JP2006220211A (ja) 生ビール樽の口金部の密封構造
JP2009002431A (ja) 螺子締結部構造
JP2018017330A (ja) パッキン
JP2019148283A (ja) シール材
KR100991990B1 (ko) 스티어링 기어박스 피스톤 구조
JP4955515B2 (ja) 流体圧機器におけるセンサの取付け構造
JP2018039311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4455103B2 (ja) メカニカルシールの固定方法
KR20130040644A (ko) 조향 기어박스의 서포트 요크 부시
RU2296257C1 (ru) Уплотнение разъемных соединений
JP4820275B2 (ja) エアブリーダスクリュ用キャップ
KR102394837B1 (ko) 작동압력이 저감된 파워 시프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