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747A - 차량용 조인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인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747A
KR20090007747A KR1020087027405A KR20087027405A KR20090007747A KR 20090007747 A KR20090007747 A KR 20090007747A KR 1020087027405 A KR1020087027405 A KR 1020087027405A KR 20087027405 A KR20087027405 A KR 20087027405A KR 20090007747 A KR20090007747 A KR 20090007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housing
journal
hol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7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르크 마알만
벤자민 지바르트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090007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9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comprising a blind socket receiving the mal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6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 B62D7/163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substantially in axial direction, e.g. between rack bar and tie-r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20Land vehicles
    • F16C2326/24Steering systems, e.g. steering rods or colum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606Pivoted
    • Y10T403/32631Universal ball and socket
    • Y10T403/32737Universal ball and socket including liner, shim, or discrete seat
    • Y10T403/32778Completely spacing th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인트 하우징(8) 및 상기 조인트 하우징에 대해 가동 지지된 조인트 저널(9)을 가진 조인트(7), 공동부(6)를 가지며 상기 조인트(7)에 연결된 바아(4), 내부 챔버(11)를 한정하며 상기 조인트(7)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밀봉 벨로우즈(10), 및 상기 바아(4)의 공동부(6)를 상기 밀봉 벨로우즈(10)의 내부 챔버(11)에 연결하는 가스 투과성 연결부(13)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스 투과성 연결부(1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조인트(7) 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14)로 형성되고, 상기 홀(14)은 상기 바아(4)의 공동부(6) 내로 통한다.
조인트, 조인트 하우징, 조인트 저널, 공동부, 바아, 내부 챔버, 밀봉 벨로우즈, 가스 투과성 연결부, 홀.

Description

차량용 조인트 장치{HINGE ARRANGEMENT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조인트 하우징 및 상기 조인트 하우징에 대해 가동 지지된 조인트 저널을 가진 조인트, 공동부를 가지며 상기 조인트에 연결된 바아, 내부 챔버를 한정하며 상기 조인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밀봉 벨로우즈, 및 상기 바아의 공동부를 상기 밀봉 벨로우즈의 내부 챔버에 연결하는 가스 투과성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인트 장치는 선행 기술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래크-앤드-피니언 스티어링에 사용된다. 밀봉 벨로우즈는 조인트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환경 영향 및 오염으로부터 보호한다. 래크의 이동시, 밀봉 벨로우즈 내부에 압력 변동이 일어나고, 상기 압력 변동은 가스 투과성 연결을 통해 보상될 수 있다.
JP 5-37644 에는 중공 바아와 하우징 사이의 연결이 공지되어 있고, 상기 바아의 벽 내로 단부면에 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아의 내벽에는 나사 영역에 2개의 서로 마주 놓인 홈이 형성된다.
JP 63-104173 에는 저널에 의해 나사 결합을 통해 중공 바아와 결합되는 조인트를 가진 조인트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저널 내에는 나사를 구비한 축방향 홈이 형성되고, 상기 축방향 홈은 저널의 방사 방향 플랜지 내에 형성된 방사방향 홈 내로 이어진다.
JP 3-8066 에는 하우징 바닥에 축방향으로 볼 때 계단형 플랜지를 가진 볼-앤드-소켓 조인트가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는 중공 바아 내로 삽입되는 축방향으로 돌출한 저널을 갖는다. 스패너 플랫을 구비한 플랜지 내에 방사방향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방사방향 홈은 저널의 외주면에 형성된 축방향 홈 내로 이어진다.
이러한 해결책의 단점은 스패너 플랫과 조합한 홈에 의해 복잡한 윤곽이 생기고, 이러한 윤곽에서 공구 마모가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DE 43 31 291 C1 에는 조인트 하우징을 구비한 조인트 연결부가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조인트 하우징은 축방향 연결 저널과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저널은 수나사를 가지며, 대응 암나사를 구비한 중공 래크 내로 조여질 수 있다. 래크는 그 조립 후에 방사방향 플랜지에 접촉하고, 상기 연결 저널이 조인트 하우징 측에서 상기 방사방향 플랜지 내로 이어진다. 상기 연결 저널 내에 환기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환기 홈은 방사방향 플랜지 내로 이어진다.
상기 해결책의 단점은 환기 홈의 축방향 영역들이 수나사로 연장하기 때문에 제조가 비교적 복잡하다는 것이다. 또한, 환기 홈의 방사방향 영역은 조인트 압착 시에 지지면으로서도 사용될 수 있는 방사방향 플랜지의 단부면 내에 연장한다. 따라서, 상기 환기 홈에 의해 상기 면이 감소하고, 이는 설계 시에 제약을 야기한다.
상기 선행 기술을 기초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잡하지 않게 제조될 수 있고 설계 시에 제약이 감소될 수 있도록 전술한 조인트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에 따른 조인트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특히 자동차용 조인트 장치는 조인트 하우징 및 상기 조인트 하우징에 대해 가동 지지된 조인트 저널을 가진 조인트, 공동부를 가지며 상기 조인트에 연결된 바아, 내부 챔버를 한정하며 상기 조인트가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밀봉 벨로우즈, 및 상기 바아의 공동부를 상기 밀봉 벨로우즈의 내부 챔버에 연결하는 가스 투과성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투과성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조인트 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로 형성되고, 상기 홀은 상기 바아의 공동부 내로 통한다.
본 발명에 따라 가스 투과성 연결부가 조인트 내에 형성된 홀을 통해 바아의 공동부 내로 통하기 때문에, 조인트와 바아 사이의 연결 영역에서 공기 안내 홈이 나사 내에 또는 바아를 향한 조인트의 단부면에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특히, 가스 투과성 연결부가 조인트와 바아 사이의 연결 영역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밀봉 벨로우즈의 내부 챔버 내로 통하기 때문에, 가스 투과성 연결부가 스패너 플랫을 통과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가스 투과성 연결부는 나사, 지지면 또는 스패너 플랫으로부터 기능적으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선행 기술에서 언급한 단점들 및 제약들이 피해지거나 또는 적어도 줄어들 수 있다. 또한, 홀이 바아의 종방향으로 연장한다.
"홀"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지만, 상기 홀이 반드시 드릴링 또는 절삭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 특히, 홀이 드릴링 또는 펀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조인트 하우징 및/또는 조인트 저널이 주조되는 경우, 상기 홀은 조인트 하우징 및/또는 조인트 저널의 주조 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홀이라는 용어 대신에, 특히 긴 및/또는 양면이 가스 투과성인 또는 개방된, 구멍 또는 원통형 리세스와 같은 용어도 사용될 수 있다.
바아는 조인트 저널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조인트 저널 내에 홀이 연장한다. 그러나, 바아는 홀이 형성된 조인트 하우징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은 개구로부터 먼 또는 마주 놓인, 조인트 하우징의 바닥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개구를 통해 조인트 저널이 조인트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한다. 상기 바닥은 특히 조인트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다.
조인트 하우징은 하우징 벽에 의해 한정된 하우징 리세스를 가지며, 상기 리세스 내에 조인트 저널이 놓인다. 홀은 하우징 리세스 내로 통하므로, 공동부는 홀을 통해 하우징 리세스와 가스 투과성으로 연결된다. 또한, 가스 투과성 연결부는 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홈을 갖는다. 상기 홈은 조인트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밀봉 벨로우즈의 내부 챔버 내로 통한다. 홈은 조인트 하우징 내에 배치된 하우징 벽 내에 및/또는 베어링 셸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벽 및/또는 베어링 셸 내에는 조인트 저널이 지지된다. 따라서, 홀과 밀봉 벨로우즈의 내부 챔버 사이의 가스 투과성 연결이 간단히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홈이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홀에 이어지는 하나 이상의 홈이 밀봉 벨로우즈의 내부 챔버 까지 연장하지 않을 수 있고, 조인트 하우징 내부에서 조인트 하우징과 간격을 두고 끝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벽에 제공된 상기 홈에는 베어링 셸 내에 제공된 홈이 이어질 수 있고 상기 내부 챔버 내로 통할 수 있다.
또한, 가스 투과성 연결부는 조인트 저널 내에 형성된, 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저널 홀을 가지며, 상기 저널 홀은 밀봉 벨로우즈의 내부 챔버 내로 통한다. 홀과 저널 홀 사이의 연결은 하우징 리세스 또는 그 일부의 중간 접속 하에 이루어진다. 또한, 하우징 리세스를 향해 개방된 조인트 저널 리세스가 조인트 저널 내에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저널 홀이 상기 조인트 저널 리세스 내로 통한다. 특히, 다수의 저널 홀이 제공될 수 있다.
조인트 장치의 개선예에 따라, 홀 자체가 밀봉 벨로우즈의 내부 챔버 내로 통하고, 이를 위해 예컨대 바아의 종축선에 대해 기울어지게 연장할 수 있다. 또한, 가스 투과성 연결부는 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홀을 갖는다. 상기 제 2 홀은 조인트 또는 조인트 하우징의 내부에 연장한다. 2개의 홀은 특히 조인트 또는 조인트 하우징의 내부에서 서로 이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서로 평행하지 않게 정렬된다. 특히, 홀들 중 하나는 바아의 종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반면, 다른 홀은 상기 종축선에 대해 기울어지게 또는 횡으로 연장하고, 바람직하게는 조인트 하우징의 외주면의 영역에서 밀봉 벨로우즈의 내부 챔버 내로 통한다. 2개의 홀은 바람직하게는 블라인드 홀로서 형성되고, 상기 홀들은 조인트의 내부에서, 특히 조인트 하우징의 내부에서 서로 이어진다.
바아는 스티어링 기어와 연결될 수 있고, 스티어링 기어에 의해 움직이며, 특히 바아의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바아는 바람직하게 래크로서 형성되고, 상기 래크는 스티어링 기어와 함께 래크-앤드-피니언 스티어링 또는 래크-앤드-피니언 스티어링 기어를 형성한다. 밀봉 벨로우즈는 한편으로는 스티어링 기어에 또는 스티어링 기어의 하우징에 밀봉 접촉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조인트 저널에 또는 이것에 연결된 커플링 부재에 밀봉 접촉한다.
조인트는 바람직하게 볼-앤드-소켓 조인트이기 때문에, 조인트 저널은 볼 저널로 형성되고, 상기 볼 저널의 볼은 조인트 하우징 내에 회전 및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바아의 내부에 형성된 공동부는 특히 그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바람직하게 조인트를 향한 바아의 단부면 까지 연장한다. 바아의 내부에서 공동부는 축방향으로 한정되거나 또는 블라인드 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공동부는 바아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공동부가 바아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바아는 제 2 조인트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2개의 조인트들 사이로 연장된다. 상기 2개의 조인트는 각각 공동부 내로 통하는 홀을 구비하며 특히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홀 및 홈이 가스 투과성 연결부의 부분이거나 또는 이것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홀 및 홈은 자유 홀 및 자유 홈이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조인트 하우징 내에 배치된 베어링 셸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베어링 셸 내에 조인트 저널이 지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래크-앤드-피니언 스티어링(rack and pinion steering)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래크-앤드-피니언 스티어링용 볼-앤드-소켓 조인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래크-앤드-피니언 스티어링용 볼-앤드-소켓 조인트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래크-앤드-피니언 스티어링용 볼-앤드-소켓 조인트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래크-앤드-피니언 스티어링용 볼-앤드-소켓 조인트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래크-앤드-피니언 스티어링용 볼-앤드-소켓 조인트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래크-앤드-피니언 스티어링용 볼-앤드-소켓 조인트의 단면도.
도 8은 다수의 홈 프로파일.
도 9는 다수의 홈 진행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상이한 홈의 수를 나타낸 평면도.
도 1에는 래크-앤드-피니언 스티어링(1)의 부분 단면도가 도시된다. 스티어링 기어(3)의 하우징(2) 내에 래크(4)가 지지되고, 상기 래크(4)는 스티어링 기어(3)에 의해 화살표(5)의 방향 및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래크(4)는 공동부(6)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단부가 볼-앤드-소켓 조인트(7)에 연결된다. 볼-앤드-소켓 조인트(7)는 조인트 하우징(8) 및 상기 조인트 하우징 내에 회전 및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볼 저널(9)을 갖는다. 상기 볼 저널의 볼(18)(도 2 참고)은 하우징 리세스(16)(도 2 참고) 내에 놓이고, 상기 하우징 리세스(16)는 조인트 하우징(8) 내에 형성되고, 조인트 하우징(8)의 벽(17)(도 2 참고)에 의해 한정된다. 볼 저널(9)은 조인트 하우징(8) 내에 제공된 개구(19)(도 2 참고)를 통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고, 조인트 하우징(8)의 외부에서 밀봉 벨로우즈(10)의 한 단부는 볼 저널(9)에 밀봉 접촉한다. 밀봉 벨로우즈(10)의 다른 단부는 스티어링 기어(3)의 하우징(2)에 밀봉 접촉하므로, 밀봉 벨로우즈(10)의 2개의 단부 사이에는 상기 밀봉 벨로우즈에 의해 제한된 내부 챔버(11)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 챔버(11) 내에는 조인트 하우징(8), 래크(4)의 단부 부분 및 볼 저널(9)의 일부가 배치된다. 상기 래크(4)의 종축선은 도면 부호 12로 표시되며, 화살표(5)는 상기 종축선의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상기 종축선(12)의 방향으로 연장한다.
래크(4)가 스티어링 기어(3)에 의해 화살표(5)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 밀봉 벨로우즈(10)가 압축되고, 이는 밀봉 벨로우즈(10)의 내부 챔버(11) 내에 있는 공기의 압력을 상승시킨다. 이와 반대로, 래크(4)가 스티어링 기어(3)에 의해 화살표(5)의 방향으로 이동되면, 벨로우즈로서 형성된 밀봉 벨로우즈(10)가 신장되 고, 이는 밀봉 벨로우즈(10)의 내부 챔버(11) 내에 있는 공기의 압력을 강하시킨다. 이러한 압력 변동을 보상하기 위해, 래크-앤드-피니언 스티어링(1)은 가스 투과성 연결부(13)(도 2 참고)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는 래크(4)의 공동부(6)를 밀봉 벨로우즈(10)의 내부 챔버(11)와 가스 투과성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공동부(6)를 통해 공기가 내부 챔버(11)로부터 방출될 수 있거나 또는 공기가 내부 챔버(11)에 공급될 수 있다. 공동부(6)가 래크(4)를 통해 연장되지 않으면, 공기는 예컨대 스티어링 기어(3)의 하우징(2)을 통해 우회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래크-앤드-피니언 스티어링(1)의 볼-앤드-소켓 조인트(7)를 단면도로 도시한다. 공동부(6)는 가스 투과성 연결부(13)를 통해 조인트 하우징(8)의 외부에 배치된,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밀봉 벨로우즈(10)의 내부 챔버(11)와 가스 투과성으로 연결된다. 가스 투과성 연결부(13)는 조인트 하우징(8) 내에 형성된 하나의 축방향 홀(14)을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하우징(8) 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방사방향 홀(15)을 포함한다. 상기 방사방향 홀(15)은 조인트 하우징(8)의 내부에서 축방향 홀(14) 내로 이어진다.
제 1 실시예에 따라, 조인트 하우징(8)은 래크(4)를 향한 그 단부에 암나사를 가진 포트형 리세스(21)를 갖는다. 조인트 하우징(8)을 향한 래크(4)의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가 상기 암나사 내로 맞물린다. 따라서, 래크(4)와 조인트 하우징(8)은 서로 나사 결합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설명된다.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특징들은 모든 실시예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볼-앤드-소켓 조인트(7)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가스 투과성 연결부(13)는 축방향 홀(14)을 가지며, 상기 홀은 공동부(6)로부터 조인트 하우징(6)을 통해 리세스(16) 까지 연장된다. 개구(19)를 통해 그리고 리세스(16) 내에 있는, 볼(18)과 벽(17) 사이의 공간을 통해 홀(14)이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밀봉 벨로우즈(10)의 내부 챔버(11)와 가스 투과성으로 연결된다.
조인트 하우징(8)은 이것과 일체로 형성된 축방향 저널(20)을 포함한다. 상기 저널은 수나사를 가지며 래크(4)의 공동부(6) 내로 삽입된다. 볼-앤드-소켓 조인트(7)를 향한 래크(4)의 단부 영역에서 그 내벽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는 상기 저널(20)의 수나사와 맞물린다. 따라서, 조인트 하우징(8)과 상기 래크(4)가 서로 나사 결합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볼-앤드-소켓 조인트(7)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제 3 실시예는 조인트 하우징(8)과 래크(4) 사이의 연결부를 제외하고 제 2 실시예와 일치한다. 도 4에 따라, 조인트 하우징(8) 내에는 암나사를 가진 포트형 리세스(21)가 제공되고, 래크(4)에 형성된 수나사가 상기 암나사 내로 맞물린다. 따라서, 래크(4)와 조인트 하우징(8) 사이의 연결은 제 1 실시예와 동등한 나사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볼-앤드-소켓 조인트(7)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조인트 하우징(8)의 벽(17) 내에 하나 이상의 홈(22)이 형성된다. 상기 홈은 홀(14)로부터 개구(19) 까지 연장된다. 홈(22)을 제외하면, 제 4 실시예 는 제 3 실시예와 일치한다. 이 실시예와는 달리, 제 4 실시예에서는 공동부(6)와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밀봉 벨로우즈(10)의 내부 챔버(11) 사이에서 공기 교환이 홈(22)으로 인해 용이해진다.
하나 이상의 홈(22)은 도 8에 도시된 홈 프로파일 형태들(26, 27, 28, 29) 중 하나 및/또는 도 9에 도시된 홈 연장 형태들 중 하나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9에는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홈 또는 홈들(22)이 개구(19) 까지 연장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 나타난다. 또한, 나선형 홈(22)도 가능하다. 또한, 도 10은 상이한 수의 홈들(22)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볼-앤드-소켓 조인트(7)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볼 저널(9)의 볼(18) 내에 리세스(16)를 향해 개방된 리세스(23)가 형성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홀(24)이 볼 저널(9) 내에 형성된다. 상기 홀(24)은 리세스(23)로부터 볼 저널(9)을 통해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밀봉 벨로우즈(10)의 내부 챔버(11) 까지 연장되므로, 리세스(23)와 내부 챔버(11) 사이의 가스 투과성 연결부를 형성한다. 도 6은 2개의 이러한 홀들(24)을 도시한다. 리세스(23)가 리세스(16)를 향해 개방되기 때문에, 공동부(6)도 내부 챔버(11)와 가스 투과성으로 연결된다.
도 7에는 실질적으로 제 2 실시예와 일치하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볼-앤드-소켓 조인트(7)가 측면도로 도시된다. 제 2 실시예와는 달리, 제 6 실시예에서는 리세스(16)의 내부에서 볼(18)과 하우징 벽(17) 사이에 베어링 셸(30)이 배치된다. 상기 베어링 셸(30) 내에는 볼(18)이 회전 및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다. 베어링 셸(30) 내에는 하나 이상의 홈(31)이 제공되고, 상기 홈은 홀(14)에 연결되고, 개구(19) 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공동부(6)와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밀봉 벨로우즈(10)의 내부 챔버(11) 사이에 가스 투과성 연결부가 형성된다. 하나 이상의 홈(31)에 대해, 도 8,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홈 프로파일 형태, 홈 진행 형태 및/또는 홈 수가 가능하다. 베어링 셸 내에 형성된 홈(들)에 추가해서 또는 대안으로서, 홀들이 베어링 셸 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홀들은 가스 투과성 연결부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 6 실시예에만 도시되지만, 모든 실시예에서 리세스(16) 내부에서 볼(18)과 하우징 벽(17) 사이에 베어링 셸(30)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베어링 셸은 공기 안내를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홈 및/또는 홀을 가질 수 있다.

Claims (13)

  1. 조인트 하우징(8) 및 상기 조인트 하우징에 대해 가동 지지된 조인트 저널(9)을 가진 조인트(7), 공동부(6)를 가지며 상기 조인트(7)에 연결된 바아(4), 내부 챔버(11)를 한정하며 상기 조인트(7)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밀봉 벨로우즈(10), 및 상기 바아(4)의 상기 공동부(6)를 상기 밀봉 벨로우즈(10)의 상기 내부 챔버(11)에 연결하는 가스 투과성 연결부(13)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인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 투과성 연결부(1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조인트(7) 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14)로 형성되고, 상기 홀(14)은 상기 바아(4)의 공동부(6) 내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4)는 상기 조인트 하우징(8)과 연결되고, 상기 홀(14)은 상기 조인트 하우징(8)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하우징(8)은 하우징 벽(17)에 의해 한정된 하우징 리세스(16)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 리세스(16) 내에 상기 조인트 저널(9)이 놓이고, 상기 홀(4)은 상기 하우징 리세스(16) 내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투과성 연결부(13)는 상기 홀(14)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홈(22)을 가지며, 상기 홈은 상기 조인트 하우징(8)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 벽(17) 내에 형성되고 상기 밀봉 벨로우즈(10)의 상기 내부 챔버(11) 내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저널(9)은 베어링 셸(30)의 중간 접속 하에 상기 하우징 리세스(16) 내에 놓이고, 상기 가스 투과성 연결부(13)는 상기 홀(14)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홈(22)을 가지며, 상기 홈(22)은 상기 베어링 셸(30) 내에 형성되고 상기 밀봉 벨로우즈(10)의 상기 내부 챔버(11) 내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투과성 연결부(13)는, 상기 조인트 저널(9) 내에 형성되며 상기 홀(14)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저널 홀(24)을 포함하고, 상기 저널 홀(24)은 상기 밀봉 벨로우즈(10)의 상기 내부 챔버(11) 내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들(14, 15)은 상기 밀봉 벨로우즈(10)의 상기 내부 챔버(11) 내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7) 또는 상기 조인트 하우징(8)의 내부에서 상기 홀(14)에는 하나 이상의 제 2 홀(15)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홀(15)은 상기 밀봉 벨로우즈(10)의 상기 내부 챔버(11) 내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홀(14, 15)은 서로 평행하지 않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4)는 스티어링 기어(3)와 연결되고, 상기 스티어링 기어(3)에 의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벨로우즈(10)는 한편으로는 스티어링 기어(3)에 또는 상기 스티어링 기어(3)의 하우징(2)에 밀봉 접촉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조인트 저널(9)에 또는 상기 조인트 저널과 연결된 커플링 부재에 밀봉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4)는 래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7)는 볼-앤드-소켓 조인트이고, 상기 조인트 저널(9)은 볼 저널이며, 상기 볼 저널의 볼(18)은 상기 조인트 하우징(8) 내에 회전 및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장치.
KR1020087027405A 2006-05-09 2007-05-08 차량용 조인트 장치 KR200900077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21863A DE102006021863B4 (de) 2006-05-09 2006-05-09 Gelenkanordnung für ein Fahrzeug
DE102006021863.9 2006-05-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747A true KR20090007747A (ko) 2009-01-20

Family

ID=3860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7405A KR20090007747A (ko) 2006-05-09 2007-05-08 차량용 조인트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90236812A1 (ko)
JP (1) JP2009536121A (ko)
KR (1) KR20090007747A (ko)
CN (1) CN101437715B (ko)
AU (1) AU2007351032A1 (ko)
BR (1) BRPI0709776A2 (ko)
DE (1) DE102006021863B4 (ko)
MX (1) MX2008014330A (ko)
RU (1) RU2008148172A (ko)
WO (1) WO200812507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6653B (zh) * 2012-08-14 2016-05-04 程维俭 万向节连接部件的安装方法
US8998228B2 (en) * 2013-03-26 2015-04-07 Powers and Sons, LLC Steering attenuator assembly for motor vehicle
CN105050882B (zh) * 2013-06-12 2017-11-10 日本精工株式会社 齿条小齿轮式转向齿轮单元
JP6458355B2 (ja) * 2014-05-15 2019-01-30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ボールジョイント、および、このジョイントを有するステアリング装置
JP6705653B2 (ja) * 2016-01-19 2020-06-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JP6146687B1 (ja) * 2016-06-06 2017-06-14 株式会社サンライズ 傾斜対応束
FR3057232B1 (fr) * 2016-10-11 2019-06-21 Jtekt Europe Biellette de direction avec amortisseur elastique protege sous le soufflet du carter de direction
DE102016122244A1 (de) * 2016-11-18 2018-05-2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ugelgelenk und Verwendung eines Kugelgelenks
CN111094107B (zh) * 2017-09-13 2022-06-28 洋马动力科技有限公司 作业车辆
DE102022205664A1 (de) 2022-06-02 2023-12-07 Zf Friedrichshafen Ag Fahrwerkbauteil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6547Y2 (ko) * 1986-12-25 1993-12-06
DE8717760U1 (ko) * 1987-11-14 1990-01-04 Trw Ehrenreich Gmbh & Co Kg, 4000 Duesseldorf, De
JPH038066U (ko) * 1989-06-13 1991-01-25
JPH0537644U (ja) * 1991-10-25 1993-05-21 株式会社アツギユニシア ステアリング装置
DE4331291C1 (de) * 1993-09-15 1994-12-15 Lemfoerder Metallwaren Ag Gelenkverbindung für eine Zahnstangenlenkung für Kraftfahrzeuge
FR2824522B1 (fr) * 2001-05-11 2003-07-11 Soc Mecanique Irigny Dispositif de limitation de course pour direction a cremailliere
JP2002372035A (ja) * 2001-06-14 2002-12-26 Nissan Motor Co Ltd 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のエアブリーザー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25073A2 (de) 2008-10-23
US20090236812A1 (en) 2009-09-24
BRPI0709776A2 (pt) 2011-07-26
CN101437715B (zh) 2012-06-27
CN101437715A (zh) 2009-05-20
DE102006021863B4 (de) 2009-02-19
RU2008148172A (ru) 2010-06-20
AU2007351032A1 (en) 2008-10-23
DE102006021863A1 (de) 2007-11-22
JP2009536121A (ja) 2009-10-08
WO2008125073A3 (de) 2008-12-11
MX2008014330A (es) 200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7747A (ko) 차량용 조인트 장치
KR20090007686A (ko) 차량용 조인트 어셈블리
US20120275733A1 (en) Bushing for a drive unit and drive unit
US20180243868A1 (en) Actuating Device for a Steady Rest
EP2378136B1 (en) Fluid pressure cylinder
KR20090007693A (ko) 차량용 조인트 어셈블리
ITMI20061838A1 (it) Giunto omocinetico a sfere
JP6285655B2 (ja) クランプ装置
ITMI950192A1 (it) Ammortizzatore telescopico
US20070209722A1 (en) Multi-way valve
JP2607486Y2 (ja) 流体圧シリンダ
KR102047995B1 (ko) 홀 마스킹장치
JP3911696B2 (ja) 流体圧シリンダの取付構造
KR101882242B1 (ko) 조향 기어박스의 요크 플러그
US11951958B2 (en) Piston tube assembly for a spring brake actuator, and spring brake actuator
KR100205722B1 (ko) 파이프 연결구
JP5533231B2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US20020011273A1 (en) Fluid supply apparatus
JPH027103Y2 (ko)
US20160311417A1 (en) Hydraulic Unit
JP2007225042A (ja) ピストン型アキュム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