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9989A - 간병 침대 - Google Patents

간병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9989A
KR20130039989A KR1020110104703A KR20110104703A KR20130039989A KR 20130039989 A KR20130039989 A KR 20130039989A KR 1020110104703 A KR1020110104703 A KR 1020110104703A KR 20110104703 A KR20110104703 A KR 20110104703A KR 20130039989 A KR20130039989 A KR 20130039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toilet
lower portion
support plat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2765B1 (ko
Inventor
김길섭
Original Assignee
김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섭 filed Critical 김길섭
Priority to KR1020110104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765B1/ko
Publication of KR20130039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병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침대프레임에 분리된 매트레스가 얹혀진 받침판이 기울기조절구에 의하여 조절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받침판의 일측 하부에 용변구가 구비된 간병 침대에 있어서, 상기 용변구는 매트레스와 받침판이 관통되게 형성된 용변홀에 동일한 형태를 갖는 용변마개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용변마개의 하부가 안내레일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된 슬라이딩판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딩판의 하부가 침대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된 용변개폐구에 결합되어지되, 상기 안내레일은 경사홈과 상기 경사홈의 하부에 수평홈이 2열로 형성되어 받침판에 형성된 용변홀 양측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딩판은 네개의 모서리에 슬라이딩축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레일의 경사홈의 입구측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딩판의 양측에 슬라이드장공이 형성되어 걸림핀으로 용변마개의 하부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슬라이드장공 사이의 하부에 힌지브라켓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용변개폐구는 침대프레임에 구비된 제1회동브라켓에 제1지지패널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1지지패널에 제1구동기어를 갖는 제1구동모터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1구동기어가 용변개폐나사축의 일측에 구비된 제1피동기어에 맞물려지고, 상기 용변개폐나사축의 타측이 상기 힌지브라켓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딩판의 하부에 용변받이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간병 침대{NURSING BED}
본 발명은 간병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침대프레임에 구비된 매트레스가 얹혀진 받침판의 기울기가 기울기조절구에 의하여 조절되어지게 하고, 받침판의 하부에 용변구가 구비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간병 침대는 환자가 대,소변인 용변을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간병인의 도움을 받아 휠체어를 이용하여 화장실까지 이동하거나 간이 변기를 침대 하부에 수납하여 해결하였다.
용변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화장실까지 이동하기에 환자나 간병인의 고충이 크고, 간이 변기를 사용하는 경우, 냄새의 영향을 배재할 수 없고, 간이 변기를 치우는 사람에게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실용신안 186116(2000.4.6)호의 간병용 침대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간병용 침대는 환자의 간병을 위하여 침대에 커텐, 변기, 샤워기 등 각종 편의장치가 부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주변의 별다른 도움 없이도 배뇨 및 배변을 위생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침대 상판의 각도가 조절되지 않고 뚜껑이 오픈된 상태로 침대 상판에 돌출되어짐으로써,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배뇨 및 배변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변기에 물을 공급하는 저수탱크와 배출하는 간이저류조, 수분보관조 및 배출밸브 등이 침대에 연결되어진 상태로 있음으로써, 침대를 이동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위해 많은 구성 부품이 소요되는 과정에서 비용이 증가됨과 동시에 점검 및 수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뇨 및 배변 과정에서 주변으로 냄새가 확산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배뇨 및 배변 과정에서 상체를 일으킬 힘이 없는 환자일 경우, 환자 상체의 양측인 어깨 또는 팔이 지지할 수 있는 지지수단이 없음으로써, 옆으로 넘어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침대 상판의 각도가 기울기 조절구에 의하여 임의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되어지도록 하고, 용변개폐구의 용변마개가 오픈된 상태에서 침대 상판의 하부로 인입되어지도록 하고, 침대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구성 부품의 수를 줄여 점검 및 보수에 최소한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용변받이의 상부에 용변덮개가 덮여짐과 동시에 용변받이의 외부로 확산방지막이 쳐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환자가 상체를 일으키는 과정 및 일으킨 후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용변 후 비데를 이용하여 세척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난간(10)이 결합된 침대프레임(20)에 분리된 받침판(30)의 타측이 기울기조절구(40)에 의하여 기울기가 조절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받침판(30)의 상부에 매트레스(50)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받침판(30)의 일측 하부에 용변구(60)가 구비된 간병 침대에 있어서, 상기 용변구(60)는 매트레스(50)와 받침판(30)이 관통되게 형성된 용변홀(61)에 동일한 형태를 갖는 용변마개(62)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용변마개(62)의 하부가 안내레일(63)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된 슬라이딩판(64)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딩판(64)의 하부가 침대프레임(20)의 하부에 구비된 용변개폐구(65)에 결합되어지되, 상기 안내레일(63)은 경사홈(631)과 상기 경사홈(631)의 하부에 수평홈(632)이 2열로 형성되어 받침판(30)에 형성된 용변홀(61) 양측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딩판(64)은 네개의 모서리에 슬라이딩축(641)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레일(63)의 경사홈(631)의 입구측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딩판(64)의 양측에 슬라이드장공(642)이 형성되어 걸림핀(644)으로 용변마개(62)의 하부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슬라이드장공(642) 사이의 하부에 힌지브라켓(64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용변개폐구(65)는 침대프레임(20)에 구비된 제1회동브라켓(651)에 제1지지패널(652)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1지지패널(652)에 제1구동기어(653)를 갖는 제1구동모터(654)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1구동기어(654)가 용변개폐나사축(655)의 일측에 구비된 제1피동기어(656)에 맞물려지고, 상기 용변개폐나사축(655)의 타측이 상기 힌지브라켓(643)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딩판(64)의 하부에 용변받이(66)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된 받침판(30)의 타측과 일측은 힌지편(31)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기울기조절구(40)는 침대프레임(20)에 구비된 제2회동브라켓(41)에 제2지지패널(42)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2지지패널(42)에 제2구동기어(43)를 갖는 제2구동모터(44)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2구동모터(44)가 기울기조절나사축(45)의 일측에 결합된 제2피동기어(46)에 맞물려지고, 상기 기울기조절나사축(45)이 받침판(30)의 타측 하부에 구비된 제2회동브라켓(47)에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울기가 조절되어지는 타측 받침판(30)은 상체정열부(70)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상체정열부(70)는 타측 받침판(30)과 타측 매트레스(50)의 양측에 슬라이딩홀(7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딩홀(71)의 하부에 상체정열구동부(72)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체정열구동부(72)는 정열구동나사축(73)의 양측이 회동가능하게 침대프레임(20)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정열구동나사축(73)의 가운데 구비된 제3지지패널(74)에 제3구동기어(751)를 갖는 제3구동모터(75)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정열구동나사축(73)에 결합된 제3피니언기어(76)가 상기 제3구동모터(75)의 제3구동기어(751)에 맞물려지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3피니언기어(76) 양측의 정열구동나사축(73)에 나선슬라이딩부재(77)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나선슬라이딩부재(77)의 상부로 상기 슬라이딩홀(71)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스위칭아암레스트(78)의 하부가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변받이(66)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체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원통체의 상부에 용변덮개(661)가 개폐되게 구성되어지되, 상기 용변덮개(661)는 타측 상부에 하부고리(66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하부고리(662)와 대응되는 상부고리(663)가 슬라이딩판(64)의 하부에 구비되어 연결끈(664)으로 연결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용변받이(66)의 외측에 자바라형 확산방지막(665)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확산방지막(665)의 하부와 안내레일(63) 사이에 손잡이(666)를 갖는 개폐끈(667)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확산방지막(665)의 상부에 배출팬(668)을 갖는 배출덕트(669)가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난간(10)은 침대프레임(20)에 형성된 수직장공(201)에 난간(10)의 하부가 끼워지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난간(10)의 상부는 침대프레임(20)에 형성된 절곡장공(202)에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난간(10)의 상부에는 착탈식 보조선반(80)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보조선반(80)은 하부 양측에 상기 난간(10)에 걸리는 걸림편(8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침대프레임(20)의 일측 하부에 슬라이드수납구(82)가 구비되어 상기 보조선반(80)이 수납 보관되어지고, 상기 용변받이(66)의 상부 일측에 비데(90)가 구비되어지도록 하되, 상기 비데(90)는 외부의 급수부(91)과 연결되어지게 구성되짐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침대 상판의 각도가 기울기 조절구에 의하여 임의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되어지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상체를 일으키는 과정에서 매트레스가 얹혀진 받침판의 하부 및 상부에 구비된 상체정열부에 의하여 상체가 매트레스의 가운데로 위치되어지도록 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스위칭아암레스트에 의하여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용변개폐구의 용변마개가 오픈된 상태에서 침대 상판의 하부로 인입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주변을 깨끗하게 함과 동시에 미관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사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용변받이의 상부에 용변덮개가 덮여짐과 동시에 용변받이의 외부로 확산방지막이 쳐진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용변을 처리하는 과정과 처리한 후 냄새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용변받이의 상부에 용변덮개가 상부로 이동하여 오픈되어진 상태에서 용변받이만 치울 경우, 침대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구성 부품의 수를 줄여 점검 및 보수에 최소한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용변 후 비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간병 침대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간병 침대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간병 침대의 저면 사시도.
도4a~도4d는 본 발명에 따른 간병 침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간병 침대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10)이 결합된 침대프레임(20)에 분리된 매트레스(50)가 얹혀진 각각의 받침판(30) 중 타측에 있는 받침판(30)의 기울기가 기울기조절구(40)에 의하여 조절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받침판(30)의 일측 하부에 용변구(60)가 구비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난간(10)는 매트레스(50)에 누워 있는 환자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상부와 하부의 수평바 사이에 수직바가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난간(10)은 침대프레임(20)의 모서리에 수직으로 구비된 포스트에 하부가 힌지회동되어 젖혀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난간(10)의 양측이 맞대어지는 침대프레임(20)에는 매트레스(50)의 높이와 거의 일치된 높이에 수직장공(201)이 형성되어 난간(10)의 하부가 끼워지게 삽입되어 간병인이 난간을 상부로 당김과 동시에 수직장공(201)을 따라 상부로 이동되어질 수 있게 되고, 상기 난간(10)의 상부가 위치되는 침대프레임(20)에는 절곡장공(202)이 형성되어 난간(10)의 상부가 절곡장공(202)을 따라 인,입출 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간병인이 난간(10)을 잡은 상태에서 상부로 들어올리게 됨과 동시에 난간(10)의 양측이 각각 수직장공(201)과 절곡장공(202)의 수직인 부분을 따라 상부로 이동되어지고, 난간(10)의 상부가 수직장공(202)의 절곡부위에 닿은 상태에서 간병인의 몸쪽으로 당김과 동시에 난간(10)의 하부는 수직장공(201)의 내부에서 회동하기 시작하며 난간(10)의 상부는 절곡장공(202)의 수평인 부분을 통해 침대프레임(20)의 외부로 인출되어 오픈되어지게 된다.
상기 침대프레임(20)은 매트레스(50)가 얹혀진 받침판(30)이 안정되게 지지되어짐과 동시에 매트레스(50)가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 침대프레임(20)의 하부에 후술하는 용변구(60)의 용변받이(66) 및 확산방지막(665)이 닫혀지거나 열려질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침대프레임(2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환자가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난간(20)이 열리고 닫힐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판(30)은 침대프레임(20)에 매트레스(50)가 안정되게 받쳐지도록 하는 가운데 환자의 상체가 위치된 부분인 등받이 부분이 임의 각도로 절첩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지고, 환자의 하체가 위치된 부분의 적소에 용변구(60)를 구성하는 용변마개(62), 안내레일(63), 슬라이딩판(64) 및 용변개폐구(65)가 용이하게 설치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받침판(30)은 환자의 하체가 받쳐지는 일측의 받침판(30)과 환자의 상체가 받쳐지는 타측의 받침판(30)이 분리된 상태에서 힌지편(31)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판(30)의 상부에 얹혀지는 매트레스(50) 또한 받침판(30)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분리되어지게 구성되어지고, 받침판(30)의 상부와 매트레스(50)의 하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매직테이프(M)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타측의 받침판(30) 하부에는 매트레스(50)의 상부로 노출된 상체정열부(70)의 스위칭아암레스트(78)가 이동가능하도록 한 슬라이드홀(71)이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타측의 받침판(30)의 중앙 하부의 외측에는 받침판(30)의 기울기가 조절되어지는 기울기조절구(40)가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기울기조절구(40)는 침대프레임(20)에 구비된 제2회동브라켓(41)에 제2지지패널(42)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2지지패널(42)에 제2구동기어(43)를 갖는 제2구동모터(44)가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구동모터(44)가 기울기조절나사축(45)의 일측에 결합된 제2피동기어(46)에 맞물려지고, 상기 기울기조절나사축(45)이 받침판(30)의 타측 하부에 구비된 제2회동브라켓(47)에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매트레스(50)는 분리된 형태로 환자의 하체가 얹혀지는 적소에 일측과 타측의 직경이 상이한 장공의 형태를 갖는 용변홀(6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지고, 이러한 용변홀(61)은 받침판(30)에도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변구(60)는 매트레스(50)와 받침판(30)이 관통되게 형성된 용변홀(61)에 동일한 형태를 갖는 용변마개(62)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용변마개(62)의 하부가 안내레일(63)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된 슬라이딩판(64)에 걸림핀(644)로 헐겁게 결합되어 후술하는 장공(642)의 양끝단이 걸림핀(644)에 걸려진 상태에서 상부나 하부로 슬라이딩판(64)이 왕복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판(64)의 하부는 침대프레임(20)의 하부에 구비된 용변개폐구(65)에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레일(63)은 경사홈(631)과 상기 경사홈(631)의 하부에 수평홈(632)이 2열로 형성되어 받침판(30)에 형성된 용변홀(61) 양측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등판(64)은 네개의 모서리에 슬라이딩축(641)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레일(63)의 경사홈(631)의 입구측에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판(64)의 양측에는 슬라이드장공(642)이 형성되어 걸림핀(644)으로 용변마개(62)의 하부가 헐겁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드장공(642) 사이의 하부에 힌지브라켓(643)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용변개폐구(65)의 용변개폐나사축(655)이 결합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변개폐구(65)는 침대프레임(20)에 구비된 제1회동브라켓(651)에 제1지지패널(652)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1지지패널(652)에 제1구동기어(653)를 갖는 제1구동모터(654)가 결합되어있다.
상기 제1구동기어(654)가 용변개폐나사축(655)의 일측에 구비된 제1피동기어(656)에 맞물려지고, 상기 용변개폐나사축(655)의 타측이 상기 힌지브라켓(643)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딩판(64)의 하부에 용변받이(66)가 안치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용변받이(66)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체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원통체의 상부에 용변덮개(661)가 개폐되게 구성되어 냄새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변덮개(661)는 타측 상부에 하부고리(66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하부고리(662)와 대응되는 상부고리(663)가 슬라이딩판(64)의 하부에 구비되어 연결끈(664)으로 연결되게 결합되어 슬라이딩판(64)이 이동되어짐과 동시에 같이 이동되어 열리고 닫힐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변받이(66)의 외측에 자바라형 확산방지막(665)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확산방지막(665)의 하부와 안내레일(63) 사이에 손잡이(666)를 갖는 개폐끈(667)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확산방지막(665)의 상부에 배출팬(668)을 갖는 배출덕트(669)가 결합되어 용변과정에서 발생된 냄새가 용변중이거나 용변 후 외부로 배출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타측의 받침판(30) 하부에는 기울기가 조절되어지는 기능을 갖는 상체정열부(70)가 결합되어지고, 이러한 상기 상체정열부(70)는 타측 받침판(30)과 타측 매트레스(50)의 양측에 슬라이딩홀(7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딩홀(71)의 하부에 상체정열구동부(72)가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체정열구동부(72)는 정열구동나사축(73)의 양측이 회동가능하게 침대프레임(20)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정열구동나사축(73)의 가운데 구비된 제3지지패널(74)에 제3구동기어(751)를 갖는 제3구동모터(75)가 결합되어있다.
상기 정열구동나사축(73)에 결합된 제3피니언기어(76)가 상기 제3구동모터(75)의 제3구동기어(751)에 맞물려지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3피니언기어(76)의 양측의 정열구동나사축(73)에 나선슬라이딩부재(77)가 결합되어있다.
상기 나선슬라이딩부재(77)의 상부로 상기 슬라이딩홀(71)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스위칭아암레스트(78)의 하부가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난간(10)의 상부에는 착탈식 보조선반(80)이 결합되어 환자가 식사 및 세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선반(80)은 하부 양측에 상기 난간(10)에 걸리는 걸림편(8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침대프레임(20)의 일측 하부에 슬라이드수납구(82)가 구비되어 상기 보조선반(80)이 수납 보관되어짐으로써, 공간활용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용변받이(66)의 상부 일측에 비데(90)가 구비되어지도록 하고, 이러한 비데(90)는 외부의 급수부(91)와 연결되어지게 구성되어지고, 상기 비데(90)의 일측에는 미도시한 온풍공급부를 구비할 경우, 용변을 본 부위를 물로 세척한 후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간병 침대에 누워 있는 환자가 용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누워 있는 상태에서 스위칭아암레스트(78)에 있는 다수개의 스위치 중 상체정열부(70)의 제3구동모터(75)에 접속된 스위치를 ON함과 동시에 제3구동모터(75)가 구동되어짐과 동시에 제3구동기어(74)에 의하여 제3피니언기어(76)가 회전을 하게 된다.
다음, 제3피니언기어(76)의 회전에 따라 정열구동나사축(73)의 회전으로 나선슬라이딩부재(77)가 제3피니언기어(76)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나선슬라이딩부재(77)에 결합된 스위칭아암레스트(78)가 받침판(30)에 형성된 슬라이드홀(71)을 따라 이동하여 환자의 상체가 매트레스(50)의 가운데 위치되어지게 된다.
다음, 기울기조절구(40)의 제2구동모터(44)에 접속된 다른 스위치를 ON하여 제2구동모터(44)가 구동됨과 동시에 제2구동기어(44)에 의하여 제2피동기어(46)가 회전을 함으로써, 제2피동기어(46)에 맞물린 기울기조절나사축(45)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받침판(30)을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받침판(30)이 힌지편(31)을 중심으로 들려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받침판(30)이 회전되어지는 각도만큼 제2구동모터(44)가 결합된 제2지지패널(42)이 제2회동브라켓(41)을 중심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됨으로써, 상호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도4a).
다음, 받침판(30)에 의하여 매트레스(50)에 의하여 환자의 등이 편안하게 일으켜진 상태에서 용변구(60)를 구성하는 용변개폐구(65)의 제1구동기어(653)에 접속된 다른 스위치를 ON함과 동시에 제1구동기어(653)가 구동되어지고, 제1구동기어(653)의 회전에 의하여 제1피동기어(656)가 회전됨으로써, 용변개폐나사축(655)이 당겨지기 시작된다.
이때, 용변개폐나사축(655)이 당겨지기 시작되는 초기에는 걸림핀(644)이 슬라이딩장공(642)의 타측에 맞대어진 상태가 아님으로써, 슬라이딩장공(642)이 형성된 슬라이딩판(64)만이 소정 길이로 당겨지게 된다. 이는 슬라이딩판(64)의 상부에 구비된 용변마개(62)가 직하부로 일시에 당겨지기 불가능하게 됨에 따라 먼저, 슬라이딩판(64)이 일정한 길이로 당겨진 상태 즉, 슬라이딩판(64)의 모서리에 형성된 각각의 슬라이딩축(641)이 안내레일(63)에 형성된 경사홈(631)의 거의 중간부분까지만 당겨진 상태에서 용변마개(62)가 직하부로 낙하되어지게 된다(도4b).
다음, 용변개폐나사축(655)에 의하여 슬라이딩판(64)이 당겨지는 과정에서 슬라이딩장공(642)의 타측이 걸림핀(644)에 닿음과 동시에 경사홈(631)에 의하여 슬라이딩판(64)이 하부로 더 이동하게 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판(64)의 상부에 헐겁게 결합된 용변마개(62)가 용변홀(61)에서 직하부로 낙하되어 분리되어지게 된다(슬라이딩판(64)에 형성된 슬라이딩축(641)의 위치가 경사홈(631)의 하부와 수평홈(632)이 만나는 부분에 위치되었을 경우).
다음, 용변개폐나사축(655)이 더 당겨지게 됨에 따라 슬라이딩판(64)이 수평이동하여 받침판(30)의 하부로 인입되어지게 됨으로써, 외부에서 용변마개가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슬라이딩판(64)이 이동되어지기 시작함과 동시에 상부고리(663)에 묶여진 연결끈(664)이 당겨지게 됨으로써, 연결끈(664)의 하부에 묶여진 용변덮개(661)가 슬라이딩판(64)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어지게 되고, 슬라이딩판(64)의 이동이 멈춤과 동시에 용변덮개(661)의 무게에 의하여 용변받이(66)의 상부 측면으로 오픈되어진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도4d).
다음, 용변을 보는 과정에서 발생된 냄새는 배출팬(668)의 구동으로 인하여 배출덕트(66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짐으로써, 냄새가 주변으로 확산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확산방지막(665)에 의하여 용변받이(66)와 그 주변이 차단되어진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용변 냄새가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용변을 본 후 비데(90)에 의하여 세척되어지도록 하고, 이어 온풍공급부를 통해 온풍이 공급되어짐으로써, 용변을 본 부위를 물로 세척한 후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역동작을 통해 용변마개(62)가 닫혀지며, 받침판(30)에 펴지고, 상체정열부(70)가 초기 상태로 복귀됨으로써, 환자가 매트레스(50)위에 누운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다음, 용변받이(66)의 용변을 처리할 경우, 손잡이(666)를 당김과 동시에 개폐끈(667)에 의하여 확산방지막(665)이 상부로 올라가 오픈되어짐으로써, 용변받이(66)를 꺼내 새로운 용변받이(66)를 넣은 후 손잡이(666)을 놓음과 동시에 확산방지막(665)의 자중에 의하여펼쳐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10:난간 20:침대프레임
30:받침판 40:기울기조절구
50:매트레스 60:용변구
61:용변홀 62:용변마개
63:안내레일 64:슬라이딩판
65:용변개폐구 66:용변받이
631:경사홈 632:수평홈
641:슬라이딩축 642:슬라이드장공
643:힌지브라켓 644:걸림핀
651:제1회동브라켓 652:제1지지패널
653:제1구동기어 654:제1구동모터
655:용변개폐나사축 656:제1피동기어

Claims (6)

  1. 난간(10)이 결합된 침대프레임(20)에 분리된 받침판(30)의 타측이 기울기조절구(40)에 의하여 기울기가 조절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받침판(30)의 상부에 매트레스(50)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받침판(30)의 일측 하부에 용변구(60)가 구비된 간병 침대에 있어서,
    상기 용변구(60)는 매트레스(50)와 받침판(30)이 관통되게 형성된 용변홀(61)에 동일한 형태를 갖는 용변마개(62)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용변마개(62)의 하부가 안내레일(63)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된 슬라이딩판(64)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딩판(64)의 하부가 침대프레임(20)의 하부에 구비된 용변개폐구(65)에 결합되어지되, 상기 안내레일(63)은 경사홈(631)과 상기 경사홈(631)의 하부에 수평홈(632)이 2열로 형성되어 받침판(30)에 형성된 용변홀(61) 양측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딩판(64)은 네개의 모서리에 슬라이딩축(641)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레일(63)의 경사홈(631) 입구측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딩판(64)의 양측에 슬라이드장공(642)이 형성되어 걸림핀(643)으로 용변마개(62)의 하부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슬라이드장공(642) 사이의 하부에 힌지브라켓(64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용변개폐구(65)는 침대프레임(20)에 구비된 제1회동브라켓(651)에 제1지지패널(652)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1지지패널(652)에 제1구동기어(653)를 갖는 제1구동모터(654)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1구동기어(654)가 용변개폐나사축(655)의 일측에 구비된 제1피동기어(656)에 맞물려지고, 상기 용변개폐나사축(655)의 타측이 상기 힌지브라켓(643)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딩판(64)의 하부에 용변받이(66)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받침판(30)의 타측과 일측은 힌지편(31)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기울기조절구(40)는 침대프레임(20)에 구비된 제2회동브라켓(41)에 제2지지패널(42)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2지지패널(42)에 제2구동기어(43)를 갖는 제2구동모터(44)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2구동모터(44)가 기울기조절나사축(45)의 일측에 결합된 제2피동기어(46)에 맞물려지고, 상기 기울기조절나사축(45)이 받침판(30)의 타측 하부에 구비된 제2회동브라켓(47)에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가 조절되어지는 타측 받침판(30)은 상체정열부(70)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상체정열부(70)는 타측 받침판(30)과 타측 매트레스(50)의 양측에 슬라이딩홀(7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딩홀(71)의 하부에 상체정열구동부(72)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체정열구동부(72)는 정열구동나사축(73)의 양측이 회동가능하게 침대프레임(20)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정열구동나사축(73)의 가운데 구비된 제3지지패널(74)에 제3구동기어(751)를 갖는 제3구동모터(75)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정열구동나사축(73)에 결합된 제3피니언기어(76)가 상기 제3구동모터(75)의 제3구동기어(751)에 맞물려지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3피니언기어(76) 양측의 정열구동나사축(73)에 나선슬라이딩부재(77)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나선슬라이딩부재(77)의 상부로 상기 슬라이딩홀(71)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스위칭아암레스트(78)의 하부가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변받이(66)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체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원통체의 상부에 용변덮개(661)가 개폐되게 구성되어지되, 상기 용변덮개(661)는 타측 상부에 하부고리(66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하부고리(662)와 대응되는 상부고리(663)가 슬라이딩판(64)의 하부에 구비되어 연결끈(664)으로 연결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용변받이(66)의 외측에 자바라형 확산방지막(665)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확산방지막(665)의 하부와 안내레일(63) 사이에 손잡이(666)를 갖는 개폐끈(667)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확산방지막(665)의 상부에 배출팬(668)을 갖는 배출덕트(669)가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10)은 침대프레임(20)에 형성된 수직장공(201)에 난간(10)의 하부가 끼워지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난간(10)의 상부는 침대프레임(20)에 형성된 절곡장공(202)에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10)의 상부에는 착탈식 보조선반(80)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보조선반(80)은 하부 양측에 상기 난간(10)에 걸리는 걸림편(8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침대프레임(20)의 일측 하부에 슬라이드수납구(82)가 구비되어 상기 보조선반(80)이 수납 보관되어지고, 상기 용변받이(66)의 상부 일측에 비데(90)가 구비되어지도록 하되, 상기 비데(90)는 외부의 급수부(91)과 연결되어지게 구성되짐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간병 침대.
KR1020110104703A 2011-10-13 2011-10-13 간병 침대 KR101282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703A KR101282765B1 (ko) 2011-10-13 2011-10-13 간병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703A KR101282765B1 (ko) 2011-10-13 2011-10-13 간병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989A true KR20130039989A (ko) 2013-04-23
KR101282765B1 KR101282765B1 (ko) 2013-07-05

Family

ID=48439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703A KR101282765B1 (ko) 2011-10-13 2011-10-13 간병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765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7142A (zh) * 2014-03-03 2015-09-09 唐黎明 带便器的婴孩床垫
CN105167941A (zh) * 2015-09-25 2015-12-23 东华大学 一种护理病床上的马桶输送机构
CN108938253A (zh) * 2018-09-05 2018-12-07 张其高 一种自动化可躺可坐可大小便的病床
CN109091369A (zh) * 2018-06-08 2018-12-28 沈丽琴 一种护理用可倾斜按摩床
CN109248038A (zh) * 2018-07-19 2019-01-22 浙江机电职业技术学院 保姆式自动化护理系统
KR20190067319A (ko) * 2017-12-07 2019-06-17 지앤씨 유한회사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
CN112773633A (zh) * 2021-03-04 2021-05-11 于海月 一种老年病护理用辅助翻身装置
CN114366486A (zh) * 2021-12-27 2022-04-19 钟诚 一种方便移动的多功能护理床
CN115317263A (zh) * 2022-04-20 2022-11-11 重庆大学 多功能一体化护理床
CN115317264A (zh) * 2022-04-20 2022-11-11 重庆大学 洗浴风干一体式护理床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1134U (ko) * 1989-11-17 1991-07-18
KR100671409B1 (ko) * 2006-01-18 2007-01-22 유지영 환자용 전동 비데침대
KR100856669B1 (ko) * 2006-09-29 2008-09-26 (주)리파인드 환자용 침대
KR100842565B1 (ko) 2007-02-09 2008-07-01 이상준 환자용 침대의 배변 처리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7142A (zh) * 2014-03-03 2015-09-09 唐黎明 带便器的婴孩床垫
CN105167941A (zh) * 2015-09-25 2015-12-23 东华大学 一种护理病床上的马桶输送机构
KR20190067319A (ko) * 2017-12-07 2019-06-17 지앤씨 유한회사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
CN109091369A (zh) * 2018-06-08 2018-12-28 沈丽琴 一种护理用可倾斜按摩床
CN109091369B (zh) * 2018-06-08 2020-11-13 杨国美 一种护理用可倾斜按摩床
CN109248038B (zh) * 2018-07-19 2023-09-22 浙江机电职业技术学院 保姆式自动化护理系统
CN109248038A (zh) * 2018-07-19 2019-01-22 浙江机电职业技术学院 保姆式自动化护理系统
CN108938253A (zh) * 2018-09-05 2018-12-07 张其高 一种自动化可躺可坐可大小便的病床
CN112773633A (zh) * 2021-03-04 2021-05-11 于海月 一种老年病护理用辅助翻身装置
CN112773633B (zh) * 2021-03-04 2022-03-11 于海月 一种老年病护理用辅助翻身装置
CN114366486A (zh) * 2021-12-27 2022-04-19 钟诚 一种方便移动的多功能护理床
CN114366486B (zh) * 2021-12-27 2024-05-28 咸阳市中心医院 一种方便移动的多功能护理床
CN115317263A (zh) * 2022-04-20 2022-11-11 重庆大学 多功能一体化护理床
CN115317264A (zh) * 2022-04-20 2022-11-11 重庆大学 洗浴风干一体式护理床
CN115317264B (zh) * 2022-04-20 2024-01-19 重庆大学 洗浴风干一体式护理床
CN115317263B (zh) * 2022-04-20 2024-01-19 重庆大学 多功能一体化护理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765B1 (ko) 201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765B1 (ko) 간병 침대
JP2017144032A (ja) 患者の自力排便を可能にする多機能介護ベッド
US20210106477A1 (en) Bed
US4023218A (en) Invalid bed arrangement
KR20000058591A (ko) 환자용 침대
JP7121379B2 (ja) 便器付ベッド
US7028355B2 (en) Medical sanitary multifunctional system bed
DE3805431A1 (de) Liege fuer die kranken- und altenpflege
CN2362476Y (zh) 多功能自动护理床
KR101822751B1 (ko) 의료용 침대
KR20190052370A (ko) 침대 및 욕조 기능을 갖는 휠체어
US2894794A (en) Hospital utility cabinet
KR20080101508A (ko) 환자용 침대
JP3280654B2 (ja) 病弱者の介護設備
KR20050006639A (ko) 위생변기 일체형 이동식 침대
JP2008272400A (ja) 患者を車椅子からベットに乗り移らせたり、、入浴、排便させる介護を一人で行えるように組み合わせた、床ずれ防止機能を備えた介護ベッド
KR200395817Y1 (ko) 위생기가 부착된 환자용 침대
KR200313187Y1 (ko) 환자용 침대
JP3612979B2 (ja) 昇降便器装置
JP2764003B2 (ja) 寝たきり病人等の介護装置
KR20200002062A (ko)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JP2001340398A (ja) ベッド
JP2002085482A (ja) ベッドシステム
JP2000262565A (ja) システムベッド
RU191243U1 (ru) Кресло-каталка для перевозки и мытья в ванне инвалидов и больны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