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817Y1 - 위생기가 부착된 환자용 침대 - Google Patents

위생기가 부착된 환자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817Y1
KR200395817Y1 KR20-2005-0011884U KR20050011884U KR200395817Y1 KR 200395817 Y1 KR200395817 Y1 KR 200395817Y1 KR 20050011884 U KR20050011884 U KR 20050011884U KR 200395817 Y1 KR200395817 Y1 KR 2003958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auxiliary
toilet
patie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제영
Original Assignee
우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제영 filed Critical 우제영
Priority to KR20-2005-0011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8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8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8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Abstract

본 고안은 거동이 불편한 중환자가 대. 소변을 간단하게 해결하기 위해 신체의 하체에 해당하는 매트리스를 포함하는 침대 일부를 별도로 업. 다운 시킬수 있도록 구성하고 그 저부에 대. 소변을 받을 수 있는 변기를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환자가 대. 소변을 볼 때 침대에서 내려오지 않고 침대 일부를 다운 하강시켜 환자의 하체를 침대 저부로 노출시키고 침대 저부에 착설된 변기에 대. 소변을 받으며 호스 또는 비데를 이용하여 청결하게 할 수 있는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위생기가 부착된 환자용 침대{A patient bed concluding cleaner}
본 고안은 거동이 불편한 중환자가 침대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대. 소변을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침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신체의 하체에 해당하는 침대의 매트리스를 포함하여 절단하고 절단된 부분에 침대의 프레임과 연계하여 작은 보조프레임을 형성하고 프레임의 내측으로 보조매트리스가 장착된 보조침대를 프레임에 힌지 될 수 있도록 고정하여 보조침대가 침대에서 탈리되면서 침대의 중앙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침대 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의 거치대에 변기가 거치 이동하면서 개구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환자가 침대에서 용변을 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중환자의 경우 보호자가 없으면 용변을 해결할 수 없을 뿐 아니라 환자가 성인인 경우 화장실 까지 이동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고 또 침대에서 해결할 경우에도 변기가 하체 밑에 위치해야하므로 환자의 몸을 위로 올려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이다.
환자용 침대의 중앙에 소정의 크기로 개구부를 형성한 다음 그 개구부에 프레임과 연계하여 보조프레임을 형성하고 보조프레임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보조침대와 보조매트리스를 결합하여 침대 아래 방향으로 탈. 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보조프레임에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와 거치대를 설치하여 변기가 거치대에 거치되어 거치대가 가이드에서 슬라이드되므로서 변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변기가 개구부에 노출되게 구성하여 환자가 누어있는 자세로 용변을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보조프레임에서 탈. 착되는 보조침대와 보조매트리스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므로 보조매트리스를 포함하는 보조침대가 침대의 개구부에 탈. 착될 때는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탈. 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리된 보조매트리스를 포함하는 보조침대는 롤링하지 않도록 보조침대의 지지축에 라체트를 적용시킨다.
환자가 침대에 누워있는 자세로 용변을 볼때는 상기 보조매트리스를 포함하는 보조침대와 변기가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변기에는 비데를 적용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중환자용으로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은 중환자 혼자 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환자용 침대를 변형시킨 것이다.
본 고안은 침대(11) 중앙에 매트리스(22)를 포함하여 소정의 크기로 개구부(28)가 형성되는 상태이고 상기 개구부(28)에는 보조매트리스(25)를 포함하는 보조프레임(24)이 개구부(28)를 개. 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고안에서 보조침대(12)는 보조프레임(24)과 보조매트리스(25)가 일체형으로 포함하는 구성이다.
보조프레임(24)의 외부 변은 개구부(28)의 내부 변과 밀착할 수 있을 정도로 근접하게 구성된다.
본 고안은 침대(11)의 중앙에 개구부(28)가 형성되고 개구부(28) 아래 프레임(13)에는 레일(15)이 배치되어 변기(14)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가이드(16)가 배치 고정되고 개구부(28)를 개. 폐시키는 보조매트리스(25)를 포함하는 보조프레임(24)이 지지축(23)에 지지되는 지지대(21)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16)의 레일(15)에 변기(14)가 거치되어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변기(14)는 선택적으로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침대의 전체도이고, 도 2는 A-A'선의 단면으로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것이며, 도 3은 침대에서 본 고안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변기의 사용상태와 보조프레임의 작동을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을 실시예와 같이 설명하고자 한다.
보조프레임(24)은 양 가이드(16) 내측에 위치하며 보조매트리스(25)가 배설되어 보조침대(12)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프레임(24)은 프레임(13)에 지지되고 힌지되는 지지대(21)에 고정되어 가운데 개구부(28)가 형성되며 개구부(28)를 긴밀하게 개. 폐할 수 있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프레임(13)의 폭 방향으로 가이드(16)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6)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거치대(26)가 형성되며 거치대(26)에는 레일(5) 배설되어 있다. 거치대(26)는 가이드(16)에 포함되는 구성이나 거치대(26)는 레일(15)이 배설되는 위치를 정확히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레일(15)에 변기(14)가 거치된다.
상기 보조매트리스(25)와 보조프레임(24)을 포함하는 보조침대(12)는 개구부(28)의 저부방향으로 개방되며 저부 방향으로부터 폐쇄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조프레임(24)은 지지대(21)의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21)의 다른 단부는 프레임(13)에 형성된 지지축(23)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대(21)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 방향 반원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21)가 반원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은 지지축(23)이 회전하여 보조침대(12)가 침대(11)의 개구부(28)에서 탈리 또는 삽입될 때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직상태로 수직되거나 탈리 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삭제
상기 지지축(23)은 라체트(18)로 형성되고 걸림부재(29)에 의해 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라체트(18)를 포용하는 고정부재(19)에 의해 지지되며 고정부재(19)의 해제에 의해 자유회전할 수 있다. 상기 지지축(23)은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핸들(17)이 그 단부에 장착되며 지지축(23)의 자유회전이 필요할 경우 고정부재(19) 밖에서 보조부재(30)를 작동하므로서 라체트(18)의 회전을 제어하는 걸림부재(29)를 해제하고 지지축(23)을 자유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축(23)의 회전을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 선택적으로 동력을 부가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16)의 거치대(26)에 거치되는 변기(14)는 거치대(26)에 거치 용이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기(14)가 가이드(16)에서 작동되게 하는 방법으로 가이드(16)에 장착된 거치대(26)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성을 자동으로 작동하고자 할 때 동력과 그 동력을 제어하는 제어박스(도시되지않음)를 설치할 수 있다.
실시예
본 고안은 중환자가 용변을 해결하기 위해 화장실까지 가야하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또한 보호자의 수고를 덜기 위한 것이다.
의식과 운동이 가능한 경우라 하더라도 환자가 화장실에 가기 위해서는 보호자가 동반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거동이 불가능한 환자의 경우는 침대에서 변기를 이용할 수밖에 없고 변기의 이용시에도 몸을 움직이거나 이동하여야하는 어려움이 상존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환자의 옷 만 벗기는 수고를 하면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은 환자가 통상적으로 누워있는 위치에서 약간 아래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환자의 보호자가 본 고안을 작동하는 것으로 실시한다.
환자의 하체가 보조침대(12)에 위치하게 하고 바지를 벗긴다.
보조침대(12)의 상면이 매트리스(22)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고 라체트(18)의 한 방향 회전을 위한 걸림부재(29)를 라체트(18)에서 해제하여 지지축(23)이 양 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핸들(17)을 작동하여 보조침대(12)를 하강시킨다.
상기와 같이 보조침대(12)가 하강하면 지지축(23)의 중력 방향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보조침대(12)를 지지하는 지지대(21)는 지지축(23)에 고정되고 지지축(23)은 라체(18)에 형성된 걸림부재(29)에 의해 한 방향으로만이 회전이 가능하여 정지하는 곳에서 고정된 된다.
상기 지지축(23)을 반대로 회전시킬 때는 보조부재(30)를 작동하여 라체트(18)에 형성된 걸림부재(29)를 해제하게 되면 지지축(23)을 반대로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보조매트리스(25)를 포함하는 보조침대(12)가 침대(11)에서 탈리되면 변기(14)를 가이드(16)의 거치대(26)에 거치하고 이동하여 변기(14)의 입구가 개구부(28)와 일치하도록 한다.
이때 변기(14)는 충분히 큰 것으로 사용하며 변이 튀지 않도록 변기(14)에는 소정의 물이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환자의 용변이 완료되면 보호자가 수작업 또는 비데를 이용하여 환자를 세척하도록 한다.
본 고안이 동력과 수동으로 겸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을 경우 본 고안의 구성을 자동으로 전환하여 환자 스스로 실시할 수 있다.
환자가 옷을 벗을 수 있는 경우라면 스위치(도시되지않음) 작동에 의해 보조침대(12)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고 거치대(26)에는 새로운 변기(14)가 거치된 상태이고 동력(도시되지않음)으로 거치대(26)를 이동시켜 변기(14)의 입구가 개구부(28)와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비데의 작동까지 스위치로 작동을 자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변기(14)가 새로운 것으로 교환되었을 경우에는 항상 자동 제어가 가능하다.
본 고안에 의한 침대는 중환자가 용변을 볼 때 간호사 또는 보호자와 환자 자신이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간호사 또는 보호자의 작은 도움만으로 중환자가 누워있는 상태로 용변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상체 와 팔을 움직일 수 있는 환자의 경우 스위치의 조작만으로 작동이 가능하므로 환자에게 정신적으로 안정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침대의 전체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침대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변기의 탈. 착 상태도
도 4는 변기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침대 12 : 보조침대
13 : 프레임 14 : 변기
15 : 레일 16 : 가이드
17 : 핸들 18 : 라체트
19 : 고정부재 21 : 지지대
22 : 매트리스 23 : 지지축
24 : 보조프레임 25 : 보조매트리스
26 : 거치대 28 : 개구부
29 : 걸림부재 30 : 보조부재

Claims (4)

  1. (정정)환자용으로 이용되는 침대에 있어서, 매트리스(22)와 결합된 상태의 침대(11)중앙에 개구된 개구부(28)와, 보조프레임(24)과 보조매트리스(25)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28)를 개. 폐하도록 구성된 보조침대(12)와, 프레임(13)을 횡단하여 배치 고정된 가이드(16)와, 가이드(16)의 거치대(26)에 거치되어 이동하면서 개구부(28)에 노출되는 변기(1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기가 부착된 환자용 침대.
  2. (정정)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16)는 프레임(13)에 배치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16)의 내측으로 절곡된 부분인 거치대(26)에는 개구부(28)방향으로 이동하는 변기(14)의 슬라이드가 용이하도록 레일(15)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기가 부착된 환자용 침대.
  3. (정정)제1항에 있어서, 보조침대(12)는 보조매트리스(25)와 보조프레임(24)이 결합되어 형성되고 보조침대(12)의 저부를 구성하는 보조프레임(24)에 지지대(21)의 단부가 고정되고 다른 단부는 프레임(13)에 고정된 지지축(23)에 힌지 고정되며 상기 지지축(23)은 걸림부재(29)에 의해 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라체트(18)를 포함하는 고정부재(19)에 결합되며 상기 라체트(18)는 걸림부재(29)에 의해 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걸림부재(29)의 해제에 의해 양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기가 부착된 환자용 침대.
  4. (삭제)
KR20-2005-0011884U 2005-04-28 2005-04-28 위생기가 부착된 환자용 침대 KR2003958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884U KR200395817Y1 (ko) 2005-04-28 2005-04-28 위생기가 부착된 환자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884U KR200395817Y1 (ko) 2005-04-28 2005-04-28 위생기가 부착된 환자용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817Y1 true KR200395817Y1 (ko) 2005-09-14

Family

ID=43696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884U KR200395817Y1 (ko) 2005-04-28 2005-04-28 위생기가 부착된 환자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81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442B1 (ko) 2007-04-27 2008-07-07 주식회사 해피베드 수거식 변기용 승강 개폐장치를 갖는 환자용 침대
KR20180072172A (ko) * 2016-12-21 2018-06-2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장 내시경 시술용 오염억제 기구
KR102484895B1 (ko) * 2022-05-02 2023-01-04 장종호 환자용 침대의 배변 처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442B1 (ko) 2007-04-27 2008-07-07 주식회사 해피베드 수거식 변기용 승강 개폐장치를 갖는 환자용 침대
KR20180072172A (ko) * 2016-12-21 2018-06-2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장 내시경 시술용 오염억제 기구
KR101896809B1 (ko) * 2016-12-21 2018-09-0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장 내시경 시술용 오염억제 기구
KR102484895B1 (ko) * 2022-05-02 2023-01-04 장종호 환자용 침대의 배변 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7230B2 (en) Patient bed system including defecation device having improved piping structure
KR101282765B1 (ko) 간병 침대
US20140310875A1 (en) Caregiving bed
JPH10113364A (ja) 水洗便器付き介護用ベッド
US20210106477A1 (en) Bed
KR200395817Y1 (ko) 위생기가 부착된 환자용 침대
JPH09234233A (ja) 寝たきり病人用等の身辺介護装置
JP7121379B2 (ja) 便器付ベッド
KR20080101508A (ko) 환자용 침대
CN217744859U (zh) 一种具有自动护理如厕功能的护理床
JP2002052048A (ja) シャワートイレ付介護ベッド
KR200298320Y1 (ko) 환자용 침대
KR200348639Y1 (ko)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JP5188197B2 (ja) 介護用ベッド
JP2001212186A (ja) トイレ付き介護ベッド
KR200359358Y1 (ko) 환자용 기능성 침대
JP2006212377A (ja) 洗浄機能を備えたトイレ付介護用ベッド
KR20060000227A (ko) 환자용 침대의 좌변기 승강 개폐구조
KR200313187Y1 (ko) 환자용 침대
KR200362236Y1 (ko) 환자용 침대의 좌변기 승강 개폐구조
JP2014512233A (ja) 自己管理式の病床用便器
KR200229206Y1 (ko) 변기가 형성된 환자용 침대
JP3115087U (ja) 便器付き療養ベッド
JP2764003B2 (ja) 寝たきり病人等の介護装置
JP3612979B2 (ja) 昇降便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