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9206A -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9206A
KR20130039206A KR1020110103718A KR20110103718A KR20130039206A KR 20130039206 A KR20130039206 A KR 20130039206A KR 1020110103718 A KR1020110103718 A KR 1020110103718A KR 20110103718 A KR20110103718 A KR 20110103718A KR 20130039206 A KR20130039206 A KR 20130039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automobiles
ceiling material
urethane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6324B1 (ko
Inventor
이수남
이원구
조병철
Original Assignee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10103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324B1/ko
Publication of KR20130039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재층, 전술한 기재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원단층으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원단층은 제1필름층, 전술한 제1필름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펠트층, 전술한 펠트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연질우레탄폼층 및 전술한 연질우레탄폼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스킨층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HEADLINER OF HAVING A HEIGHT ACOUSTIC ABSORPTIVITY FOR VEHICLE }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재층, 전술한 기재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원단층으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원단층은 제1필름층, 전술한 제1필름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펠트층, 전술한 펠트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연질우레탄폼층 및 전술한 연질우레탄폼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스킨층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재층, 전술한 기재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원단층으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원단층은 제1필름층, 전술한 제1필름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펠트층, 전술한 펠트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연질우레탄폼층 및 전술한 연질우레탄폼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스킨층으로 이루어진다.
종래에 사용되는 자동차용 천정재는 폴리우레탄 폼과, 전술한 폴리우레탄 폼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보강재층을 적층하기 위해 액체 또는 파우더 형의 접착제를 사용하는데, 전술한 접착제의 사용으로 인해 천정재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천정재를 이루는 적층체 사이에 차수필름을 사입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전술한 차수필름은 비통기성이기 때문에, 폴리우레탄 폼이 갖는 흡음효과를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핫멜트필름층과 연질우레탄폼층을 형성하고, 핫멜트필름층과 연질우레탄폼층사이에 펠트층을 삽입하여 흡음효과가 우수한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에 사용되던 차수필름을 통기성필름으로 대체하여 흡음효과가 우수한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원단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단층은 제1필름층, 상기 제1필름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펠트층, 상기 펠트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연질우레탄폼층 및 상기 연질우레탄폼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스킨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필름층은 통기성필름 또는 핫멜트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통기성필름은 20 내지 6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0.1 내지 2밀리미터의 기공이 1 내지 40 밀리미터의 간격으로 형성된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핫멜트필름은 20 내지 6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펠트층은 0.5 내지 3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질우레탄폼층은 2 내지 6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18 내지 35kg/m3의 밀도를 갖는 연질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킨층은 0.5 내지 2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부직포, 니트 및 스웨이드 중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재층은 반경질우레탄폼층, 상기 반경질우레탄폼층의 양면에 형성되는 보강층, 상기 보강층이 형성된 상기 반경질우레탄폼층의 양면에 형성되는 제2필름층 및 상기 제2필름층이 형성된 반경질우레탄폼층의 양면에 형성되는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반경질우레탄폼층은 5 내지 12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밀도가 20 내지 50kg/m3인 반경질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강층은 유리섬유, 현무암섬유, 아라미드섬유, 탄소섬유 및 스틸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필름층은 양면이 모두 통기성필름으로 이루어지거나, 일면은 통기성필름으로 이루어지고 타면은 차수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통기성필름은 10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0.1 내지 2 밀리미터의 기공이 1 내지 40 밀리미터의 간격으로 형성된 폴리올레핀계 또는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차수필름은 10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폴리올레핀계 또는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는 핫멜트필름층과 연질우레탄폼층이 형성되고, 전술한 핫멜트필름층과 연질우레탄폼층사이에 펠트층을 삽입하여 탁월한 흡음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차수필름을 통기성필름으로 대체하여 탁월한 흡음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와 비교예 1 내지 2에 의해 제조된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및 자동차용 천정재의 흡음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의 및 자동차용 천정재의 음성인지 지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 및 비교예 3 내지 5에 의해 제조된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및 자동차용 천정재의 흡음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과 비교예 3에 의해 제조된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및 자동차용 천정재의 음성인지 지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는 기재층(10), 전술한 기재층(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원단층(20)으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원단층(20)은 제1필름층(21), 전술한 제1필름층(21)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펠트층(22), 전술한 펠트층(22)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연질우레탄폼층(23) 및 전술한 연질우레탄폼층(23)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스킨층(24)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1필름층(21)은 통기성필름 또는 핫멜트필름으로 이루어지는데, 전술한 필제1름층(21)을 통기성필름이나 핫멜트필름으로 형성하게 되면 냉간성형 공법에 의해 천정재를 성형할 때, 통기성이 확보되어 천정재의 흡음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술한 통기성필름은 20 내지 6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0.1 내지 2밀리미터의 기공이 1 내지 40 밀리미터의 간격으로 형성된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데, 10 내지 104 cc/cm2/sec의 통기성을 갖는다.
또한, 전술한 핫멜트필름은 20 내지 6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핫멜트필름은 통기성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전술한 기재층과 전술한 펠트층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펠트층(22)은 전술한 제1필름층(21)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두께가 0.5 내지 3 밀리미터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데, 전술한 두께 및 성분으로 이루어진 펠트층(22)은 부직포를 이루는 섬유 사이에 형성된 공극과 부직포의 구조적인 벌키성으로 인해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의 흡음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연질우레탄폼층(23)은 전술한 펠트층(22)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두께가 2 내지 6 밀리미터이며, 18 내지 35kg/m3의 밀도를 갖는 연질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데, 전술한 연질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져 전술한 원단층(20)의 촉감을 향상시키고, 외부로부터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며, 연질폴리우레탄에 형성된 열린 셀 구조로 인해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의 흡음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스킨층(24)은 전술한 연질우레탄폼층(23)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두께가 0.5 내지 2 밀리미터이며, 부직포, 니트 및 스웨이드 중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를 차량의 실내에 적용할 때, 차량의 실내측으로 노출되어 차량 내부의 외관 품질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기재층(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의 기재가 되는 층으로, 반경질우레탄폼층(11), 전술한 반경질우레탄폼층(11)의 양면에 형성되는 보강층(12), 전술한 보강층(12)이 형성된 전술한 반경질우레탄폼층(11)의 양면에 형성되는 제2필름층(13) 및 전술한 제2필름층(13)이 형성된 반경질우레탄폼층(11)의 양면에 형성되는 부직포층(14)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반경질우레탄폼층(11)은 두께가 5 내지 12 밀리미터이며, 밀도가 20 내지 50kg/m3인 반경질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데, 반경질폴리우레탄에 형성된 열린 셀 구조로 인해 보온성과 겉보기 비중이 낮은 특성을 나타내며,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의 흡음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보강층(12)은 전술한 반경질우레탄폼층(11)의 양면에 형성되며, 유리섬유, 현무암섬유, 아라미드섬유, 탄소섬유 및 스틸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면밀도가 120g/m2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제2필름층(13)은 전술한 보강층(12)이 형성된 전술한 반경질우레탄폼층(11)의 양면에 형성되는데, 제2필름층(13)은 양면이 모두 통기성필름으로 이루어지거나, 일면은 통기성필름으로 이루어지고 타면은 차수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전술한 통기성필름은 10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0.1 내지 2 밀리미터의 기공이 1 내지 40 밀리미터의 간격으로 형성된 폴리올레핀계 또는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반경질우레탄폼층(11)에 전술한 보강층을 접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로 인해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가 오염되는 것을 차단하며, 통기성필름에 형성된 기공으로 인해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의 흡음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전술한 차수필름은 10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폴리올레핀계 또는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데,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전술한 반경질우레탄폼층에 전술한 보강층을 접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로 인해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가 오염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의 제조방법 및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1>
두께가 7mm이며, 밀도가 26kg/m3인 반경질폴리우레탄의 양면에 액상 접착제 55g/m2를 도포한 후에, 밀도가 120g/m2인 유리섬유 매트를 형성하고, 양면에 유리섬유 매트가 형성된 반경질폴리우레탄의 상부면에는 30㎛ 두께의 통기성필름을 형성하고, 하부면에는 30㎛ 두께의 차수필름을 적층하고, 통기성필름의 상부면에 면밀도가 40g/m2인 스펀레이스부직포를 형성하고, 차수필름의 하부면에 면밀도가 45g/m2인 케미컬부직포를 형성하여 기재층을 제조하였다.
45㎛ 두께의 통기성필름을 형성하고, 통기성필름의 상부면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섬유를 니들펀칭하여 제조되며, 면밀도가 180g/m2인 펠트를 1.5mm의 두께로 형성하고, 펠트의 상부면에 밀도가 26kg/m3이고, 두께가 4mm인 연질폴리우레탄폼을 적층하고, 연질폴리우레탄폼의 상부면에 니트타입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터를 형성하여 원단층을 제조하였다.
전술한 기재층의 상부면에 전술한 원단층을 형성하고 열간압착 성형공정을 통해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원단층에 사용되는 45㎛ 두께의 통기성필름을 45㎛ 두께의 핫멜트필름으로 대체하여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두께가 7mm이며, 밀도가 26kg/m3인 반경질폴리우레탄의 양면에 액상 접착제 55g/m2를 도포한 후에, 밀도가 120g/m2인 유리섬유 매트를 형성하고, 양면에 유리섬유 매트가 형성된 반경질폴리우레탄의 상부면에 30㎛ 두께의 차수필름을 형성하고, 하부면에 30㎛ 두께의 차수필름을 적층하고, 통기성필름의 상부면에 면밀도가 40g/m2인 스펀레이스부직포를 형성하고, 차수필름의 하부면에 면밀도가 45g/m2인 케미컬부직포를 형성하여 기재층을 제조하였다.
45㎛ 두께의 핫멜트필름층을 형성하고, 핫멜트필름층의 상부면에 밀도가 26kg/m3이고, 두께가 4mm인 연질폴리우레탄폼을 적층하고, 연질폴리우레탄폼의 상부면에 니트타입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터를 형성하여 원단층을 제조하였다.
전술한 기재층의 상부면에 전술한 원단층을 형성하고 열간압착 성형공정을 통해 자동차용 천정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원단층에 사용된 45㎛ 두께의 통기성필름을 45㎛ 두께의 핫멜트필름으로 대체하고 펠트가 형성되지 않은 원단층을 적용하여 자동차용 천정재를 제조하였다.
전술한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및 자동차용 천정재의 흡음계수를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흡음계수의 측정은 흡음률 평가방법인 ISO R 354, Alpha Cabin법을 이용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위의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에 의해 제조된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는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자동차용 천정재에 비해 거의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흡음률이 월등하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와 자동차용 천정재를 각각 차량에 장착한 후 주행 중 대화명료도 지수(AI, Articulation Index)를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대화명료도 지수는 차량 운행 중 대화 내용이 전달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숫자가 높을수록 차량 실내의 정숙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표 2>
Figure pat00002
위의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실제 주행 중인 차량에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는 기재층에 적용된 통기성필름과 원단층에 적용한 펠트로 인해 차량의 실내 정숙성이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두께가 7mm인 반경질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며, 밀도가 30kg/m3인 반경질폴리우레탄폼에 폴리에틸렌 파우더로 이루어진 접착제 50g/m2을 도포하고, 접착제가 도포된 반경질폴리우레탄의 양면에 면밀도가 120g/m2인 유리섬유 매트를 형성하고, 유리섬유 매트가 형성된 반경질폴리우레탄의 일측에는 30㎛ 두께의 통기성필름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30㎛ 두께의 차수필름을 형성하고, 통기성필름과 차수필름이 형성된 반경질폴리우레탄의 양면에 면밀도가 50g/m2인 스펀본드 부직포를 형성하고, 열압착롤러를 통과시켜서 예열한 후에, 냉각롤러로 냉각하는 공정을 통해 기재층을 형성하였다.
45㎛ 두께의 통기성필름의 상부면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섬유를 니들펀칭하여 제조되며, 면밀도가 180g/m2이고, 두께가 1.5mm인 펠트를 형성하고, 펠트의 상부면에 밀도가 26kg/m3이고 두께가 4mm인 연질폴리우레탄폼을 형성하고, 연질폴리우레탄폼의 상부면에 니트타입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터를 형성하여 원단층을 제조하였다.
전술한 기재층의 상부면에 전술한 원단층을 적층하고, 냉간압착성형공정을 통해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두께가 7mm인 반경질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며, 밀도가 30kg/m3인 반경질폴리우레탄폼에 폴리에틸렌 파우더로 이루어진 접착제 50g/m2을 도포하고, 접착제가 도포된 반경질폴리우레탄의 양면에 면밀도가 120g/m2인 유리섬유 매트를 형성하고, 유리섬유 매트가 형성된 반경질폴리우레탄의 양면에 30㎛ 두께의 차수필름을 형성하고, 차수필름이 형성된 반경질폴리우레탄의 양면에 면밀도가 50g/m2인 스펀본드 부직포를 형성하고, 열압착롤러를 통과시켜서 예열한 후에, 냉각롤러로 냉각하는 공정을 통해 기재층을 형성하였다.
45㎛ 두께의 핫멜트필름 상부면에 밀도가 26kg/m3이고 두께가 4mm인 연질폴리우레탄폼을 형성하고, 연질폴리우레탄폼의 상부면에 니트타입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터를 형성하여 원단층을 제조하였다.
전술한 기재층의 상부면에 전술한 원단층을 적층하고, 냉간압착성형공정을 통해 자동차용 천정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기재층 제조시에 사용되는 통기성필름을 30㎛ 두께의 차수필름으로 대체하고, 펠트가 적용되지 않은 원단층을 이용하여 자동차용 천정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원단층에 사용되는 45㎛ 두께의 통기성필름을 45㎛ 두께의 핫멜트필름으로 대체하고, 펠트가 적용되지 않은 원단층을 이용하여 자동차용 천정재를 제조하였다.
전술한 실시예 3 및 비교예 3 내지 5를 통해 제조된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및 자동차용 천정재의 흡음계수를 측정하여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단, 흡음계수의 측정은 흡음률 평가방법인 ISO R 354, Alpha Cabin법을 이용하였다.)
<표 3>
Figure pat00003
위의 표 3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통해 제조된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는 비교예 3 내지 5를 통해 제조된 자동차용 천정재에 비해 거의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흡음률이 월등하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냉간압착 성형공정을 통해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를 제조할 경우에는, 기재층과 원단층에 모두 통기성필름이 적용되야 흡음성능이 증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과 비교예 3을 통해 제조된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및 자동차용 천전재를 각각 차량에 장착한 후 주행 중 대화명료도 지수(AI, Articulation Index)를 측정하여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대화명료도 지수는 차량 운행 중 대화 내용이 전달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숫자가 높을수록 차량 실내의 정숙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표 4>
Figure pat00004
위의 표 4에 나타낸 것처럼 실제 주행 중인 차량에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통해 제조된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는 기재층에 적용된 통기성필름과 원단층에 적용한 통기성필름 및 펠트로 인해 차량의 실내 정숙성이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10 ; 기재층
11 ; 반경질우레탄폼층
12 ; 보강층
13 ; 제2필름층
14 ; 부직포층
20 ; 원단층
21 ; 제1필름층
22 ; 펠트층
23 ; 연질우레탄폼층
24 ; 스킨층

Claims (13)

  1.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원단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단층 제1필름층;
    상기 제1필름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펠트층;
    상기 펠트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연질우레탄폼층; 및
    상기 연질우레탄폼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스킨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층은 통기성필름 또는 핫멜트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필름은 20 내지 6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0.1 내지 2밀리미터의 기공이 1 내지 40 밀리미터의 간격으로 형성된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필름은 20 내지 6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펠트층은 0.5 내지 3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질우레탄폼층은 2 내지 6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18 내지 35kg/m3의 밀도를 갖는 연질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은 0.5 내지 2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부직포, 니트 및 스웨이드 중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반경질우레탄폼층;
    상기 반경질우레탄폼층의 양면에 형성되는 보강층;
    상기 보강층이 형성된 상기 반경질우레탄폼층의 양면에 형성되는 제2필름층; 및
    상기 제2필름층이 형성된 반경질우레탄폼층의 양면에 형성되는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반경질우레탄폼층은 5 내지 12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밀도가 20 내지 50kg/m3인 반경질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은 유리섬유, 현무암섬유, 아라미드섬유, 탄소섬유 및 스틸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필름층은 양면이 모두 통기성필름으로 이루어지거나, 일면은 통기성필름으로 이루어지고 타면은 차수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필름은 10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0.1 내지 2 밀리미터의 기공이 1 내지 40 밀리미터의 간격으로 형성된 폴리올레핀계 또는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차수필름은 10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폴리올레핀계 또는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KR1020110103718A 2011-10-11 2011-10-11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KR101306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718A KR101306324B1 (ko) 2011-10-11 2011-10-11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718A KR101306324B1 (ko) 2011-10-11 2011-10-11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206A true KR20130039206A (ko) 2013-04-19
KR101306324B1 KR101306324B1 (ko) 2013-09-09

Family

ID=48439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718A KR101306324B1 (ko) 2011-10-11 2011-10-11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32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379B1 (ko) * 2013-10-10 2015-03-03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KR20180050105A (ko) 2016-11-04 2018-05-14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에스테르계 접착파우더를 이용한 자동차 천장재 및 제조방법
KR20190129545A (ko) 2018-05-11 2019-11-20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에스테르계 저온 접착파우더를 이용한 자동차 천장재 및 제조방법
KR102068692B1 (ko) * 2018-09-06 2020-01-21 한림인텍 주식회사 차량 헤드라이닝용 pcm 적용 폴리우레탄 폼, 그의 제조방법 및 pcm 적용 폴리우레탄 폼 기반 차량 헤드라이닝
KR20220048813A (ko)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휴비스 1,3펜탄디올을 활용한 폴리에스테르계 저온 핫멜트 접착파우더를 이용한 자동차 천장재 및 제조방법
US11926137B2 (en) 2018-09-25 2024-03-12 Proprietect L.P. Composite foam art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959A (ko) * 2014-07-23 2016-02-02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수지 보강층이 형성된 고강도 자동차 내장용 천정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0860A (ko) * 1995-05-16 1996-12-17 김형진 자동차용 흡음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8150005A (ja) 2006-12-20 2008-07-03 Kasai Kogyo Co Ltd 自動車の室内天井材
KR100949783B1 (ko) * 2008-11-06 2010-03-30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379B1 (ko) * 2013-10-10 2015-03-03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KR20180050105A (ko) 2016-11-04 2018-05-14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에스테르계 접착파우더를 이용한 자동차 천장재 및 제조방법
KR20190129545A (ko) 2018-05-11 2019-11-20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에스테르계 저온 접착파우더를 이용한 자동차 천장재 및 제조방법
KR102068692B1 (ko) * 2018-09-06 2020-01-21 한림인텍 주식회사 차량 헤드라이닝용 pcm 적용 폴리우레탄 폼, 그의 제조방법 및 pcm 적용 폴리우레탄 폼 기반 차량 헤드라이닝
WO2020050693A1 (ko) * 2018-09-06 2020-03-12 한림인텍 주식회사 차량 헤드라이닝용 pcm 적용 폴리우레탄 폼, 그의 제조방법 및 pcm 적용 폴리우레탄 폼 기반 차량 헤드라이닝
US11926137B2 (en) 2018-09-25 2024-03-12 Proprietect L.P. Composite foam article
KR20220048813A (ko)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휴비스 1,3펜탄디올을 활용한 폴리에스테르계 저온 핫멜트 접착파우더를 이용한 자동차 천장재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6324B1 (ko) 2013-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6324B1 (ko)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US7320739B2 (en) Sound absorptive multilayer composite
US8016072B2 (en) Composite headliner with improved acoustic performance
KR100949783B1 (ko)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JP2009090845A (ja) 車両用防音材
KR20140042982A (ko) 차량 외장용 고흡음성 언더커버
KR101324790B1 (ko)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KR101655615B1 (ko) 자동차용 저중량 흡음형 대쉬 패드
KR101131605B1 (ko)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KR101302220B1 (ko)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패널
US20060013996A1 (en) Laminated surface skin material and laminate for interior material
JP4120236B2 (ja) 内装材及び内装材の製造方法
JP3422698B2 (ja) 自動車フロアー用構造体
JP2010208607A (ja) 自動車のサンルーフ用サンシェードパネル
JP2011031649A (ja) 車両用フロア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133553B2 (ja) 自動車内装材用表皮材及び自動車内装材
KR101306321B1 (ko)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KR20200062086A (ko) 플로어 언더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8026A (ko) 샌드위치 패널 및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JPH06136651A (ja) 発泡成形用被覆材
JP4971102B2 (ja) 車両用成形天井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93084B1 (ko) 차량용 방음방진 매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7001271A (ja) 内張材及び車両用天井材
JP2019084910A (ja) 乗物用内装芯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乗物用内装材
JPH047447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