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783B1 -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 Google Patents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783B1
KR100949783B1 KR1020080109610A KR20080109610A KR100949783B1 KR 100949783 B1 KR100949783 B1 KR 100949783B1 KR 1020080109610 A KR1020080109610 A KR 1020080109610A KR 20080109610 A KR20080109610 A KR 20080109610A KR 100949783 B1 KR100949783 B1 KR 100949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vehicle
film
ceiling material
l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호
유종남
김지훈
이수남
이철현
이종명
황성욱
Original Assignee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080109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2Cellular or porous
    • B32B2305/022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10Fibres of continuous length
    • B32B2305/18Fabrics, tex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7/00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1/00Specially adapted uses
    • D06N2211/12Decorative or sun protection articles
    • D06N2211/26Vehicles, transportation
    • D06N2211/261Body finishing, e.g. headl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레탄폼층과, 전술한 우레탄폼층의 양면에 적층되는 보강재층과, 전술한 보강재층에 각각 적층되는 필름층과, 전술한 필름층에 각각 적층되는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 전술한 기재층의 일측면에 적층되는 원단층 및 전술한 기재층과 전술한 원단층 사이에 개재되어 전술한 기재층과 전술한 원단층을 접착시키는 통기성필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통기성필름층을 핫멜트필름층으로 대체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접착제, 핫멜트, 통기성필름, 차수필름, 우레탄폼, 천정재, 차량

Description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headliner of having a height acoustic-absorptivit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천정에 부착되어 외부로부터 차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차단하고 차량의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에 관한 것으로, 차량용 천정재는 자동차의 실내 천정부에 부착되어 외부로부터 차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차단하고 차량의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종래에는 차량용 천정재의 재료로 폴리우레탄 폼과, 이러한 폴리우레탄 일면 또는 양면에 보강재층을 적층하기 위해 액체 또는 파우더 상태의 접착제를 사용하였는데, 접착제를 사용하게 되면, 접착제의 접착성분에 의해 천정재 시트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문제점으로 인해 접착제로 인한 오염을 방지지하기 위해 우레탄 층과 보강재층 사이에 차수필름을 삽입하여 사용하였는데, 이 방법의 경우 차수 필름은 비 통기성이기 때문에 차음특성을 가지게 되고, 폴리우레탄 폼의 장점인 우수한 흡음 특성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천정재에 사용되던 차수필름을 통기성필름으로 대체하여 흡음효과가 우수한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핫멜트필름층을 통기성필름층으로 대체하여 흡음효과가 우수한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우레탄폼층과, 상기 우레탄폼층의 양면에 적층되는 보강재층과, 상기 보강재층에 각각 적층되는 필름층과, 상기 필름층에 각각 적층되는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원단층 및 상기 기재층과 상기 원단층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기재층과 상기 원단층을 접착시키는 통기성필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필름층은 양측 모두 통기성필름 또는 차수필름으로 형성되거나, 일측은 통기성필름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차수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통기성필름은 폴리올레핀계 또는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필름형태로 용융성형한 후에 핀치롤 공정을 통해 기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 또는 내열폴리에틸렌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원단층은 부직포 및 니트형태로 제조된 텍스타일층과, 상기 텍스타일층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폴리우레탄폼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우레탄폼층은 밀도가 25 내지 50kg/m3이며, 두께가 5 내지 10 밀리미터인 반경질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강재층은 유리섬유 매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통기성필름층은 폴리에틸렌 수지를 필름형태로 용융성형한 후에 핀치롤 공정을 통해 기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우레탄폼층과, 상기 우레탄폼층의 양면에 적층되는 보강재층과, 상기 보강재층에 각각 적층되는 필름층과, 상기 필름층에 각각 적층되는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측면에 적층되는 원단층 및 상기 기재층과 상기 원단층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기재층과 상기 원단층을 접착시키는 핫멜트필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필름층은 양층 모두 통기성필름으로 형성되거나, 일측은 통기성필름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차수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통기성필름은 폴리올레핀계 또는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필름형태로 용융성형한 후에 핀치롤 공정을 통해 기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 또는 내열폴리에틸렌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원단층은 부직포 및 니트소재로 제조된 텍스타일층과, 상기 텍스타일층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폴리우레탄 폼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우레탄폼층은 밀도가 25 내지 50kg/m3이며, 두께가 5 내지 10 밀리미터인 반경질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강재층은 유리섬유 매트 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는 기존에 천정재에 사용되던 차수필름을 통기성필름으로 대체하여 흡음성이 월등하게 향상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핫멜트필름층을 통기성필름층으로 대체하여 흡음성이 월등하게 향상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는 우레탄폼층(11)과, 전술한 우레탄폼층(11)의 양면에 적층되는 보강재층(12)과, 전술한 보강재층(12)에 각각 적층되는 필름층(13 또는 14)과, 상기 필름층(13 또는 14)에 각각 적층되는 부직포층(15)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10), 상기 기재층(10)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원단층(20) 및 상기 기재층(10)과 상기 원단층(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기재층(10)과 상기 원단층(20)을 접착시키는 통기성필름층(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우레탄폼층(11)은 반경질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는데, 반경질 폴리우레탄 폼에 형성된 열린 셀 구조로 인해 보온성과 겉보기 비중이 낮은 특성을 나타내며, 흡음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보강재층(12)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전술한 우레탄폼층의 양면에 접착되며, 길이가 50 내지 80인 유리섬유를 그물구조로 형성하여, 50 내지 300g/m2의 면밀도를 갖는 매트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매트형태의 보강재층(12)은 청정재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필름층(13 또는 14)은 전술한 보강재층(12)의 양측에 형성되는데, 양측 모두 통기성필름 또는 차수필름으로 형성되거나, 일측은 통기성필름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차수필름으로 형성되며, 전술한 우레탄폼층(11)에 전술한 보강재층(12)을 접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가 천정재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전술한 보강재층(12)과 전술한 부직포층(15)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통기성필름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필름형태로 용융성형하고, 핀치롤(PINCH ROLL) 공정을 통해 10 내지 100㎛ 두께로 형성되며, 직경이 0.1 내지 2mm의 기공이 형성하는데, 기공사이에 간격은 1 내지 40mm로 유지된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통기성필름은 10 내지 104 cc/cm2/sec의 통기성을 가지게 되며, 통기성필름에 형성된 기공으로 인해 흡음효과가 향상된다.
이때, 전술한 통기성필름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 또는 내열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부직포층(15)은 전술한 필름층 양측에 접착되는데, 폴리에스터 고분자를 이용해 면밀도 30 내지 70g/m2의 스펀본드 부직포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천정재의 외관품질을 개선하고 물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원단층(20)은 전술한 기재층(1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텍스타일층(21)과, 전술한 텍스타일층(21)의 하부면에 적층되는 폴리우레탄폼층(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전술한 텍스타일층(21)은 부직포 및 니트소재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형성되는 텍스타일층(21)은 천정재를 실내에 적용할 때에 텍스타일층(21)이 차량 내부 방향으로 설치되며, 차량 내부의 외관 품질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폴리우레탄폼층(22)은 밀도가 20 내지 40 kg/m3이며, 두께가 2 내지 4mm인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며, 원단층(20)의 촉감을 향상시키고,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폴리우레탄 폼에 형성된 열린 셀(OPEN CELL)구조로 인해 흡음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통기성필름층(30)은 전술한 기재층(10)과 전술한 원단층(20) 사이에 개재되어 기재층(10)과 원단층(20)을 접착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통기성필름층(30)은 폴리에틸렌 수지를 필름형태로 용융성형하고, 핀치 롤(PINCH ROLL) 공정을 통해 10 내지 100㎛ 두께로 형성되며, 직경이 0.1 내지 2mm의 기공이 형성하는데, 기공사이에 간격은 1 내지 40mm로 유지된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통기성필름층(30)은 10 내지 104 cc/cm2/sec의 통기성을 가지게 되며, 통기성필름층(30)에 형성된 기공으로 인해 흡음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는 우레탄폼층(11)과, 상기 우레탄폼층(11)의 양면에 적층되는 보강재층(12)과, 상기 보강재층(12)에 각각 적층되는 필름층(13 또는 14)과, 상기 필름층(13 또는 14)에 각각 적층되는 부직포층(15)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10), 상기 기재층(10)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원단층(20) 및 상기 기재층(10)과 상기 원단층(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기재층(10)과 상기 원단층(20)을 접착시키는 핫멜트필름층(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술한 우레탄폼층(11)은 반경질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는데, 반경질 폴리우레탄 폼에 형성된 열린 셀(OPEN CELL) 구조는 보온성과 겉보기 비중을 낮추는 특성을 나타내며, 흡음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보강재층(12)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우레탄폼층(11)의 양면에 접착되는데, 길이가 50 내지 80mm 인 유리섬유를 그물구조로 형성하여, 50 내지 300g/m2의 면밀도를 갖는 매트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매트형태의 보강재층(12)은 청정재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필름층(13 또는 14)은 전술한 보강재층(12)의 양측에 형성되는데, 양측 모두 통기성필름으로 형성되거나, 일측은 통기성필름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차수필름으로 형성되며, 전술한 우레탄폼층(11)에 전술한 보강재층(12)을 접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가 천정재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전술한 보강재층(12)과 전술한 부직포층(15)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통기성필름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필름형태로 용융성형하고, 핀치롤(PINCH ROLL) 공정을 통해 10 내지 100㎛ 두께로 형성되며, 직경이 0.1 내지 2mm의 기공이 형성되는데, 기공사이에 간격은 1 내지 40mm로 유지된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통기성필름은 10 내지 104 cc/cm2/sec의 통기성을 가지게 되며, 통기성필름에 형성된 기공으로 인해 흡음효과가 향상된다.
이때, 전술한 통기성필름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 또는 내열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부직포층(15)은 전술한 필름층(13 또는 14)의 양측에 접착되는데, 폴리에스터 고분자를 이용해 면밀도가 30 내지 70g/m2의 스펀본드 부직포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천정재의 외관품질을 개선하고 물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원단층(20)은 전술한 기재층(10)의 상부면에 적층되며, 텍스타일층(21)과, 전술한 텍스타일층(21)의 하부면에 적층되는 폴리우레탄폼층(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전술한 텍스타일층(21)은 부직포 및 니트소재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형성되는 텍스타일층(21)은 천정재를 실내에 적용할 때에 텍스타일층이 차량 내부 방향으로 설치되며, 차량 내부의 외관 품질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폴리우레탄폼층(22)은 밀도가 20 내지 40 kg/m3이며, 두께가 2 내지 4mm인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며, 원단층(20)의 촉감을 향상시키고,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폴리우레탄 폼에 형성된 열린 셀(OPEN CELL)구조로 인해 흡음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핫멜트필름층(40)은 전술한 기재층(10)과 전술한 원단층(20)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따른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의 제조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단,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습식법과 건식법 두가지로 나뉘며, 실시예 1,2는 습식법을 적용하고, 실시예 3 내지 5는 건식법을 적용한다.
습식법은 액상 접착제를 이용하여 우레탄폼층(11)에 보강재층(12)을 접착하는 방법이며, 건식법은 폴리에틸렌 파우더를 이용하여 우레탄폼층(11)과 보강재층(12)을 접착하는 방법이다.
<실시예 1>
7mm 두께인 반경질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며 밀도가 32kg/m3인 우레탄폼층(11)을 제조하고, 액상 접착제 30g/m2을 우레탄폼층(11)에 도포하고, 우레탄폼층(11)의 양면에 면밀도가 120g/m2인 유리섬유 매트로 이루어진 보강재층(12)을 접착하고, 양측의 보강재층(12)에 일측에는 30㎛ 두께의 통기성필름을 적층하고, 보강재층(12)의 타측에는 30㎛ 두께의 차수필름을 적층하고, 통기성필름과 차수필름 상에 면밀도가 50 g/m2인 스펀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진 부직포층(15)을 적층하여 기재층(10)을 형성하고, 기재층(10)의 상부면에 면밀도가 220g/m2인 니트소재로 구성된 텍스타일층(21)과 텍스타일층(21) 하부면에 밀도가 30kg/m3이고 두께가 3mm인 폴리우레탄폼층(22)을 적층하여 원단층(20)을 형성하고, 기재층(10)과 원단층(20) 사이에 개제된 30㎛의 핫멜트필름층(40)으로 기재층(10)과 원단층(20)을 접착하여 차량용 천정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기재층(10)과 원단층(20) 사이에 핫멜트필름층(40)을 대체하는 30㎛ 두께의 통기성필름으로 이루어진 통기성필름층(30)을 개재하여 차량용 천정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양측의 보강재층(12) 일측에 적층되는 30㎛의 통기성필름을 30㎛ 두께의 차수필름으로 대체하여 차량용 천정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와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차량용 천정재의 흡음율을 표준 잔향실 1/3 축소 크기인 간이 잔향실(SRC, Semi Reverberation Chamber)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08076845877-pat00001
또한, 실시예 1,2와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차량용 천정재를 차량에 장착한 후에 주행실험을 실시하여 음성인지 지수(AI, Articulation Index)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08076845877-pat00002
<실시예 3>
7mm 두께인 반경질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며 밀도가 32kg/m3인 우레탄폼층(11)을 제조하고, 폴리에틸렌 파우더로 이루어진 접착제 30g/m2을 우레탄폼층(11)에 도포하고, 우레탄폼층(11)의 양면에 면밀도가 120g/m2인 유리섬유 매트로 이루어진 보강재층(12)을 접착하고, 양측의 보강재층(12)에는 30㎛ 두께의 차수필름을 적층하고, 양측의 차수필름 상에 면밀도가 50 g/m2인 스펀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진 부직포층(15)을 적층하고 열압착롤러를 통과시켜서 예열한 후에, 냉각롤러로 냉각하는 공정을 통해 기재층(10)을 형성하고, 기재층(10)의 상부면에 면밀도가 220g/m2인 니트소재로 구성된 텍스타일층(21)과 텍스타일층(21) 하부면에 밀도가 30kg/m3이고 두께가 3mm인 폴리우레탄폼층(22)을 적층하여 원단층(20)을 형성하고, 기재층(10)과 원단층(20) 사이에 개제된 30㎛의 통기성필름층(30)으로 기재층(10)과 원단층(20)을 접착하여 차량용 천정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양측의 보강재층(12)에 적층되는 30㎛ 두께의 차수필름층 중에 일측을 30㎛ 두께의 통기성필름으로 대체하여 차량용 천정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양측의 보강재층(12)에 적층되는 30㎛ 두께의 차수필름을 30㎛ 두께의 통기성필름으로 대체하여 차량용 천정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30㎛ 두께의 통기성필름을 대신 30㎛ 두께의 핫멜트필름으로 대체하여 차량용 천정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내지 5와 비교예 2를 통해 제조된 차량용 천정재의 흡음율을 표준 잔향실 1/3 축소 크기인 간이 잔향실(SRC, Semi Reverberation Chamber)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112008076845877-pat00003
또한, 실시예 3 내지 5와 비교예 2를 통해 제조된 차량용 천정재를 차량에 장착한 후에 주행실험을 실시하여 음성인지 지수(AI, Articulation Index)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112008076845877-pat00004
표 1 내지 4에 나타낸 것처럼 차수필름이나 핫멜트필름층(40)을 통기성 필름과 통기성필름층(30)으로 대체하게 되면, 차량용 천정재의 흡음율이 월등하게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고흡음성 청정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4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를 나타낸 분해시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에 개재되는 통기성 필름의 표면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와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의 흡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와 비교에 1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의 음성인지 지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내지 5와 비교예 2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의 흡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 내지 5와 비교에 2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의 음성인지 지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기재층 20 ; 원단층
11 ; 우레탄폼층 21 ; 텍스타일층
12 ; 보강재층 22 ; 폴리우레탄폼층
13, 14 ; 필름층 30 ; 통기성필름층
15 ; 부직포층 40 ; 핫멜트필름층

Claims (17)

  1. 우레탄폼층(11)과, 상기 우레탄폼층(11)의 양면에 적층되는 보강재층(12)과, 상기 보강재층(12)에 각각 적층되는 필름층(13,14)과, 상기 필름층(13,14)에 각각 적층되는 부직포층(15)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10);
    상기 기재층(10)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원단층(20); 및
    상기 기재층(10)과 상기 원단층(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기재층(10)과 상기 원단층(20)을 접착시키는 통기성필름층(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13,14)은 양측 모두 통기성필름 또는 차수필름으로 형성되거나, 일측은 통기성필름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차수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필름은 폴리올레핀계 또는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필름형태로 용융성형한 후에 핀치롤 공정을 통해 기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 또는 내열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단층(20)은 부직포 및 니트소재로 제조된 텍스타일층(21)과, 상기 텍스타일층(21)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폴리우레탄폼층(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폼층(11)은 밀도가 25 내지 50kg/m3이며, 두께가 5 내지 10 밀리미터인 반경질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층(12)은 유리섬유 매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필름층(30)은 폴리에틸렌 수지를 필름형태로 용융성형한 후에 핀치롤 공정을 통해 기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10. 우레탄폼층(11)과, 상기 우레탄폼층(11)의 양면에 적층되는 보강재층(12)과, 상기 보강재층(12)에 각각 적층되는 필름층(13,14)과, 상기 필름층(13,14)에 각각 적층되는 부직포층(15)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10);
    상기 기재층(10)의 일측면에 적층되는 원단층(20); 및
    상기 기재층(10)과 상기 원단층(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기재층(10)과 상기 원단층(20)을 접착시키는 핫멜트필름층(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13,14)은 양층 모두 통기성필름으로 형성되거나, 일측은 통기성필름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차수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필름은 폴리올레핀계 또는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필름형태로 용융성형한 후에 핀치롤 공정을 통해 기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 또는 내열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원단층(20)은 부직포 및 니트소재로 제조된 텍스타일층(21)과, 상기 텍스타일층(21)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폴리우레탄폼층(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폼층(11)은 밀도가 25 내지 50kg/m3이며, 두께가 5 내지 10 밀리미터인 반경질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층(12)은 유리섬유 매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KR1020080109610A 2008-11-06 2008-11-06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KR100949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610A KR100949783B1 (ko) 2008-11-06 2008-11-06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610A KR100949783B1 (ko) 2008-11-06 2008-11-06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9783B1 true KR100949783B1 (ko) 2010-03-30

Family

ID=42183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610A KR100949783B1 (ko) 2008-11-06 2008-11-06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78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220B1 (ko) * 2011-10-11 2013-08-30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패널
KR101306321B1 (ko) 2011-10-11 2013-09-09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KR101306324B1 (ko) * 2011-10-11 2013-09-09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KR101324790B1 (ko) 2011-10-27 2013-10-31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CN105291496A (zh) * 2014-07-23 2016-02-03 Nvh韩国株式会社 形成有树脂增强层的高强度汽车内饰用顶棚材料
US20170253007A1 (en) * 2016-03-04 2017-09-07 Hyundai Motor Company Head liner for vehicle
KR20200083786A (ko) * 2018-12-28 2020-07-09 엠텍 주식회사 친환경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5169A (ja) 2001-01-18 2002-07-31 Kasai Kogyo Co Ltd 車両用吸音材
WO2003053675A1 (fr) 2001-12-20 2003-07-03 Meisei & Company, Ltd. Tapis absorbant les bruits et interceptant l'eau
JP2003280666A (ja) 2002-03-25 2003-10-02 Kasai Kogyo Co Ltd 車両用吸音材
JP2008150005A (ja) 2006-12-20 2008-07-03 Kasai Kogyo Co Ltd 自動車の室内天井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5169A (ja) 2001-01-18 2002-07-31 Kasai Kogyo Co Ltd 車両用吸音材
WO2003053675A1 (fr) 2001-12-20 2003-07-03 Meisei & Company, Ltd. Tapis absorbant les bruits et interceptant l'eau
JP2003280666A (ja) 2002-03-25 2003-10-02 Kasai Kogyo Co Ltd 車両用吸音材
JP2008150005A (ja) 2006-12-20 2008-07-03 Kasai Kogyo Co Ltd 自動車の室内天井材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220B1 (ko) * 2011-10-11 2013-08-30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패널
KR101306321B1 (ko) 2011-10-11 2013-09-09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KR101306324B1 (ko) * 2011-10-11 2013-09-09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KR101324790B1 (ko) 2011-10-27 2013-10-31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CN105291496A (zh) * 2014-07-23 2016-02-03 Nvh韩国株式会社 形成有树脂增强层的高强度汽车内饰用顶棚材料
US20170253007A1 (en) * 2016-03-04 2017-09-07 Hyundai Motor Company Head liner for vehicle
CN107150637A (zh) * 2016-03-04 2017-09-12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顶篷
CN107150637B (zh) * 2016-03-04 2021-06-2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顶篷
KR20200083786A (ko) * 2018-12-28 2020-07-09 엠텍 주식회사 친환경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KR102204332B1 (ko) 2018-12-28 2021-01-20 엠텍 주식회사 친환경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783B1 (ko)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EP2889407B1 (en) Melt-blown nonwoven fabric and use thereof
KR101306324B1 (ko) 자동차용 고흡음성 천정재
WO2006101175A1 (ja) 不織布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4381941B2 (ja) 自動車内装天井材用の積層部材
JP2004217052A (ja) 車両用内装材及び車両用内装材の製造方法
KR101324790B1 (ko)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KR101131605B1 (ko)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JP2002144976A (ja) 車両用成形天井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55615B1 (ko) 자동차용 저중량 흡음형 대쉬 패드
KR101582647B1 (ko)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다층구조 흡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4054795A1 (ja) 積層表皮材および内装材用積層体
KR101561186B1 (ko)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6082456A (ja) 自動車内装天井材用の積層部材
WO2020194788A1 (ja) 積層吸音材
KR101302220B1 (ko)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패널
KR101549060B1 (ko)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의 제조방법
KR20150118221A (ko)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31120A (ko) 방수기능을 갖는 고강성 자동차용 루프 패널 패드 및 그 제조방법
WO2020255500A1 (ja) 積層吸音材
JP2007001271A (ja) 内張材及び車両用天井材
JP3730177B2 (ja) 多孔質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06321B1 (ko)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KR101744932B1 (ko) 차량용 복합 기재 및 이의 제조 방법
JP3773044B2 (ja) 多孔質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