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5864A - 산화염모제용 제1제 및 산화염모제 - Google Patents

산화염모제용 제1제 및 산화염모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5864A
KR20130035864A KR1020120092773A KR20120092773A KR20130035864A KR 20130035864 A KR20130035864 A KR 20130035864A KR 1020120092773 A KR1020120092773 A KR 1020120092773A KR 20120092773 A KR20120092773 A KR 20120092773A KR 20130035864 A KR20130035864 A KR 20130035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hair dye
mass
hair
d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0512B1 (ko
Inventor
아키라 도요다
다카시 니시야마
겐고 마에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르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르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르본
Publication of KR20130035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5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5Amino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1Aromatic amines, i.e. where the amino group is directly linked to the aromatic nucle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2Direct dyes
    • A61K2800/4324Direct dyes in 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광견뢰성이 우수한 진한 주황색의 색미(色味)를 띤 색조로 염색할 수 있는 산화염모제용 제1제 및 산화염모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산화염모제를 얻기 위한 산화염모제용 제1제에 있어서, 산화염료로서 파라메틸아미노페놀, 파라아미노페놀 및 5-아미노오르토크레졸을 함유시키고, 또한, (파라메틸아미노페놀의 함유량/파라아미노페놀의 함유량)에 의해 산출되는 비를 0.20 미만으로 한다.

Description

산화염모제용 제1제 및 산화염모제{FIRST AGENT FOR OXIDATION HAIR DYE AND OXIDATION HAIR DYE THEREOF}
본 발명은, 산화염료를 함유하는 산화염모제용 제1제 및 이 제1제에 산화염모제용 제2제가 혼합된 산화염모제에 관한 것이다.
모발을 착색하기 위해 사용되는 산화염모제는, 모발 내에 침투시킨 산화염료를 산화중합에 의해 염착(染着)시킨다. 산화염모제는, 산성 염모료 등의 다른 헤어-컬러링제에 비하여 모발의 색 유지를 장기간 지속시킨다. 그리고, 산화염모제는, 산화염료의 선정, 조합에 의해 발색이 상이한 것이 알려져 있다. 염료 중간체인 파라아미노페놀과, 커플러인 5-아미노오르토크레졸을 조합하면, 산화염모제는 주황색으로 발색한다. 그 조합의 산화염료를 함유하면서, 파라메틸아미노페놀도 함유하는 산화염모제는,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되어 있다(특허문헌 1의 제0074단락, 특허문헌 2의 제0078단락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9839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98396호 공보
그런데, 염모 후의 퇴색 억제 향상은 항상 요구되고 있고, 일상 생활에서 받는 일광에 의한 퇴색의 억제 향상(내광견뢰성의 향상)이 요구된다. 또한, 주황색이나 주황색을 섞어서 생기는 색(적색, 보라색, 갈색 등의 다양한 색을 만드는 데 주황색이 사용됨)로 염색하는 경우에는, 진한 주황색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모발을 내광견뢰성이 우수한 진한 주황색이나 주황색을 섞어서 생기는 색으로 염색할 수 있는 산화염모제용 제1제 및 산화염모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파라아미노페놀 및 5-아미노오르토크레졸의 산화염료의 조합에, 파라메틸아미노페놀을 더 조합한 경우에, 주황색의 내광견뢰성이 향상되는 지견을 얻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파라아미노페놀과 파라메틸아미노페놀의 양을 소정비로 하면, 주황색의 내광견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주황색의 염색이 진해지는 경향이 있는 지견을 얻었다. 이상의 지견으로부터,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산화염모제용 제1제는, 파라메틸아미노페놀, 파라아미노페놀 및 5-아미노오르토크레졸을 함유하는 것으로서, (상기 파라메틸아미노페놀의 함유량/상기 파라아미노페놀의 함유량)에 의해 산출되는 비 PMAP/PAP가 0.2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MAP/PAP는, 0.01 이상 0.15 미만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화염모제는, 본 발명에 따른 산화염모제용 제1제와, 산화제가 배합된 산화염모제용 제2제가 혼합된 것이다.
본 발명의 산화염모제용 제1제를 사용한 염모 처리에 따르면, 내광견뢰성이 우수한 진한 주황색이나 주황색을 섞어서 생기는 색으로 염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산화염모제용 제1제, 산화염모제용 제2제 및 산화염모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이하에 설명한다.
(산화염모제용 제1제)
본 실시형태의 산화염모제용 제1제(이하, 단순히 「제1제」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는, 산화염료를 함유하는 것이다(본 실시형태의 제1제로서 전형적인 것은, 물의 배합량이 70 질량% 이상의 것임). 또한, 공지된 제1제 원료를 임의 원료로 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1제에 배합하여도 좋다.
상기 제1제는, 파라메틸아미노페놀, 파라아미노페놀 및 5-아미노오르토크레졸을 산화염료로서 함유한다. 이들 산화염료에 의해 주황색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1제에 있어서, (파라메틸아미노페놀의 함유량/파라아미노페놀의 함유량)에 의해 산출되는 비 PMAP/PAP는 0.20 미만이다. 이 0.20 미만으로 함으로써 주황색이 진해지는 경향이 있다. 그 PMAP/PAP가 0.01 이상 0.15 미만이라면, 내광견뢰성이 우수한 진한 주황색으로 하는 데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제에 있어서, (5-아미노오르토크레졸의 함유량/파라아미노페놀의 함유량)에 의해 산출되는 비 PAOC/PAP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0.5 이상 5 이하이다.
파라메틸아미노페놀, 파라아미노페놀 및 5-아미노오르토크레졸 이외의 산화염료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본 실시형태의 제1제에 임의로 함유시켜도 좋다. 이 함유에 의해, 주황색이나 주황색을 섞어서 생기는 색을 포함한 여러 가지 색조로 염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파라메틸아미노페놀 및 파라메틸아미노페놀 이외의 염료 중간체를 본 실시형태의 제1제에 함유시키는 경우, 그 염료 중간체로서는, 톨루엔-2,5-디아민, 니트로파라페닐렌디아민, 파라페닐렌디아민, 톨루엔-3,4-디아민, 파라니트로오르토페닐렌디아민 등의 페닐렌디아민 유도체; 오르토아미노페놀 등의 페놀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5-아미노오르토크레졸 이외의 커플러를 본 실시형태의 제1제에 함유시키는 경우, 그 커플러로서는, 메타페닐렌디아민 등의 페닐렌디아민 유도체; 5-(2-히드록시에틸아미노)-2-메틸페놀, 메타아미노페놀 등의 아미노페놀 유도체; 레조르신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1제에 있어서의 산화염료의 배합 농도는, 예컨대 0.05 질량% 이상 2.5 질량%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1제에 임의 배합하는 원료는, 공지된 제1제 원료와 동일하다. 이 임의 배합하는 원료로서는, 예컨대, 알칼리제, 고급 알코올,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다가 알코올, 탄화수소, 유지(油脂), 산화방지제, 킬레이트제, 직접 염료이다.
알칼리제는, 산화염모제에 포함되는 산화제의 작용을 촉진시키고, 모발을 팽윤시켜 모발에 대한 염료의 침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염색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알칼리제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금속 수산화물;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륨 등의 금속 탄산염; 인산나트륨 등의 금속 인산염; 암모니아; 탄산암모늄, 탄산수소암모늄, 황산암모늄 등의 암모늄염; 모노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의 알칸올아민; 아르기닌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 등을 들 수 있다.
알칼리제를 배합하는 경우에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칼리제를 배합하면 되고, 본 실시형태의 제1제에 있어서의 알칼리제의 배합량은, 예컨대 pH가 8.5 이상 12.5 이하가 되는 양이다.
상기 제1제용 원료로서의 고급 알코올은, 예컨대, 세타놀, 이소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옥틸도데칸올, 미리스틸알코올을 들 수 있다.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고급 알코올을 제1제에 배합하면 되고, 고급 알코올의 배합 농도는, 적절히 설정되는 것이지만, 예컨대 2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이다.
상기 제1제용 원료로서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테트라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1종 또는 2종 이상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제1제에 배합하면 되고,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배합 농도는, 예컨대 0.1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이다.
상기 제1제용 원료로서의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예컨대, 장쇄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디장쇄 알킬디메틸암모늄염, 트리장쇄 알킬모노메틸암모늄염, 벤잘코늄형 4급 암모늄염, 모노알킬에테르형 4급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1종 또는 2종 이상의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제1제에 배합하면 되고,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배합 농도는, 예컨대 0.1 질량% 이상 3 질량% 이하이다.
상기 제1제용 원료로서의 다가 알코올은,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을 들 수 있다.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다가 알코올을 제1제에 배합하면 되고, 다가 알코올의 배합 농도는, 예컨대 0.1 질량% 이상 3 질량% 이하이다.
상기 제1제 원료로서의 탄화수소는, 예컨대, 유동 파라핀, 스쿠알렌, 폴리부텐, 오조케라이트, 파라핀, 세레신, 바셀린, 미세정질 왁스를 들 수 있다. 1종 또는 2종 이상의 탄화수소를 제1제에 배합하면 되고, 탄화수소의 배합 농도는, 예컨대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이다.
상기 제1제 원료로서의 유지는, 예컨대, 경화유, 아몬드유, 아보카도유, 올리브유, 시어버터유, 달맞이꽃유, 동백유, 땅콩유, 로즈힙유를 들 수 있다.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유지를 제1제에 배합하면 되고, 유지의 배합 농도는, 예컨대 0.1 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이다.
상기 제1제용 원료로서의 산화방지제는, 예컨대, 아스코르브산, 아황산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제용 원료로서의 킬레이트제는, 예컨대,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및 그의 염, 디에틸렌트리아민오아세트산 및 그의 염, 히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 및 그의 염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1제의 제형은, 예컨대, 액상, 크림상, 겔상이다. 제1제의 점도는, 예컨대, B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25℃, 12 rpm으로 계측한 60초 후의 값이 10000 mPa·s 이상 60000 mPa·s 이하이다.
(산화염모제용 제2제)
본 실시형태의 산화염모제용 제2제(이하, 단순히 「제2제」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는, 산화제가 배합된 것이다(본 실시형태의 제2제로서 전형적인 것은, 물의 배합량이 70 질량% 이상의 것임). 또한, 공지된 제2제 원료를 임의 원료로 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2제에 배합하여도 좋다.
제2제에 배합되는 상기 산화제로서는, 예컨대, 과산화수소, 브롬산염, 과탄산염, 과붕산염을 들 수 있다. 제2제에 있어서의 산화제의 배합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0.3 질량% 이상 9 질량%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2제에 임의 배합하는 공지된 제2제 원료로서는, 고급 알코올(배합 농도는, 예컨대 2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 비이온 계면활성제(배합 농도는, 예컨대 0.5 질량% 이상 6 질량% 이하), 양이온 계면활성제(배합 농도는, 예컨대 0.1 질량% 이상 3 질량% 이하),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유, 산화방지제, 킬레이트제 등이다.
제2제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액상, 크림상, 겔상을 들 수 있다.
(산화염모제)
본 실시형태의 산화염모제는, 본 실시형태의 제1제와 제2제를 혼합한 것이다. 이 제1제와 제2제의 혼합비는, 예컨대, 제1제:제2제=1:0.4~2이다.
산화염모제에 있어서의 파라메틸아미노페놀의 함유량은, 예컨대 0.0005 질량% 이상 0.050 질량% 이하이면 좋고, 0.004 질량% 이상 0.03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며, 0.004 질량% 이상 0.02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0.0005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내광견뢰성이 보다 우수하고, 0.050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산화염모제를 염가로 하는 데 적합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산화염모제의 사용시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액상, 크림상, 왁스상, 겔상, 폼상(거품상)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산화염모제의 점도는, 사용시의 모발에의 도포, 흘러내림 등의 취급성(모발에의 도포의 용이성이나, 도포한 후의 제제의 흘러내리기 어려움)를 고려하면, 크림상이 좋다.
본 실시형태의 산화염모제의 pH는, 예컨대 8.0~12.0으로서, 양호한 염색성과 두피에 대한 자극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9.0~11.0이며, 9.5~10.5가 좋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제)
하기 표 1~3에 나타내는 산화염료 농도의 제1제를 물에 배합한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의 제1제를 조제하였다. 이들 제1제에는, 표 1~3에 나타내는 산화염료 이외에 25 질량% 암모니아수를 1.2 질량%, 에틸렌디아민히드록시에틸삼아세트산삼나트륨이수염을 0.09 질량%, L-아스코르브산을 0.15 질량% 및 무수 아황산나트륨을 0.3 질량%가 되도록 배합하였다.
(제2제)
상기 제1제와 혼합하여 산화염모제를 얻기 위한 공통 제2제를, 35 질량% 과산화수소수가 5.7 질량%, 히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이 0.12 질량%가 되도록 물에 배합하여 조제하였다.
(산화염모제)
상기 조제한 제1제와 제2제를 질량비 1:1로 혼합하여 산화염모제를 얻었다.
(염모 처리)
2개의 모속(毛束)(뷰락스사 제조「BM-YK」: 약 1 g, 약 10 cm의 야크모 모속)을 산화염모제 60 g과 함께 유리관 내에 수용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하였다. 그 후, 온수로 모속으로부터 산화염모제를 씻어내고, 모속을 빗질하면서 온풍으로 건조시켰다. 이상으로써 염모 처리 상태가 되었다.
(농염성)
염모 처리한 모속에 대해서, 기준 모속(표 1에 있어서는 비교예 1c를 기준으로 하고, 표 2에 있어서는 비교예 2b를 기준으로 함)에 비하여 주황색의 농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이 하였다.
○: 「기준」으로 한 모속과 동등한 주황색의 농도.
×: 「기준」으로 한 모속보다 주황색이 흐림.
(샴푸 처리)
염모 처리한 1개의 모속을, 80 g의 3 질량% 샴푸(밀본사 제조 샴푸 「DEESSE’S NEU WillowLuxe」) 수용액과 함께 유리 용기에 침지하였다. 그리고, 그 모속을 수용한 유리 용기를, 40℃, 30분의 조건으로, 항온 진탕기를 사용하여 진탕시켰다. 그 후, 온수로 모속으로부터 샴푸를 씻어내고, 모속을 빗질하면서 온풍으로 건조시켰다. 이 건조시킨 모속의 명도 L*을, 분광측색계(코니카미놀타센싱사 제조 「CM-600d」)를 사용하여 측정 부위를 바꾸면서 3회 측정하고, 그 명도 L*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일광 노출)
표 1a~1c 및 비교예 1a~1c의 1군, 실시예 2a~2c 및 비교예 2a~2b의 1군, 참고예 1~2의 1군에 대해서, 각각 별도의 일정으로 일광 하에 노출시켰다. 이 때의 노출 조건은, 실내의 창유리에 모속을 붙인 7일간 방치로 하였다. 이 노출 후의 모속의 명도 L*의 평균값을, 상기 샴푸 처리 후의 평균값과 동일하게 하여 산출하였다.
농염성 및 내광견뢰성의 평가 결과를, 배합한 염료와 함께 하기 표 1~3에 나타낸다. 또한, 표 안의 「ΔL*」은, 「(샴푸 처리 후 또는 일광 노출 후의 모속의 명도 L*)-(염모 처리를 행하지 않은 야크모 모속의 명도 L*)」에 의해 산출되는 값이다. 또한, 「ΔL*비(일광 노출 후/샴푸 후)」는, 샴푸 후의 ΔL*에 대한 일광 노출 후의 ΔL*의 비이며, 값이 클수록 퇴색이 억제되어 있던 것(내광견뢰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표 1에 있어서는, 파라메틸아미노페놀을 함유하는 실시예 1a~1c의 ΔL*비가 파라메틸아미노페놀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c에 비하여 높은 값이기 때문에, 파라메틸아미노페놀의 배합에 의해 내광견뢰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파라메틸아미노페놀 함유량/파라아미노페놀 함유량(PMAP/PAP)」이 0.20 미만인 실시예 1a~1c의 농염성은, PMAP/PAP가 0.20 이상인 비교예 1a~1b보다도 우수하기 때문에, PMAP/PAP가 0.20 미만이면, 주황색을 진하게 하는데 유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02
표 2에 있어서는, 표 1과 마찬가지로, 파라메틸아미노페놀의 함유에 따른 내광견뢰성의 향상과, PMAP/PAP가 0.20 미만인 것에 따른 진한 주황색화의 우위성(진한 주황색으로 염색할 수 있는 우위성)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표 3에 있어서는, ΔL*비는, 참고예 2쪽이 참고예 1보다 높은 값이다. 이것은, 커플러로서 5-아미노오르토크레졸을 배합하지 않은 참고예 1에서는, 파라메틸아미노페놀을 배합하여도 내광견뢰성이 향상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Claims (3)

  1. 파라메틸아미노페놀, 파라아미노페놀 및 5-아미노오르토크레졸을 함유하는 산화염모제용 제1제로서, (상기 파라메틸아미노페놀의 함유량/상기 파라아미노페놀의 함유량)에 의해 산출되는 비 PMAP/PAP가 0.2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염모제용 제1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MAP/PAP가 0.01 이상 0.15 미만인 산화염모제용 제1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산화염모제용 제1제와, 산화제가 배합된 산화염모제용 제2제가 혼합된 산화염모제.
KR1020120092773A 2011-09-30 2012-08-24 산화염모제용 제1제 및 산화염모제 KR101780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15949A JP6110058B2 (ja) 2011-09-30 2011-09-30 酸化染毛剤用第1剤及び酸化染毛剤
JPJP-P-2011-215949 2011-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864A true KR20130035864A (ko) 2013-04-09
KR101780512B1 KR101780512B1 (ko) 2017-10-10

Family

ID=4843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773A KR101780512B1 (ko) 2011-09-30 2012-08-24 산화염모제용 제1제 및 산화염모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110058B2 (ko)
KR (1) KR101780512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1124B2 (ja) * 1992-09-29 1999-09-20 ホーユー株式会社 染毛剤組成物
DE10048733A1 (de) * 2000-09-29 2002-04-18 Henkel Kgaa Oxidationsfärbemittel mit 2-Amino-5-methylphenol
JP4083702B2 (ja) * 2004-04-09 2008-04-30 ホーユー株式会社 酸化染毛剤組成物
JP4083701B2 (ja) * 2004-04-09 2008-04-30 ホーユー株式会社 酸化染毛剤組成物
JP4083703B2 (ja) * 2004-04-14 2008-04-30 ホーユー株式会社 酸化染毛剤組成物
EP1820488A3 (en) * 2006-02-16 2010-09-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colouring compositions
JP6063106B2 (ja) 2009-05-11 2017-01-18 ホーユー株式会社 固体状染毛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染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10058B2 (ja) 2017-04-05
JP2013075847A (ja) 2013-04-25
KR101780512B1 (ko) 201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9192B2 (en) Hair colouring compositions, kits, method, and use thereof
CN103379894B (zh) 包含1-己基/庚基-4,5-二氨基吡唑和1,3-苯二胺及其衍生物的氧化性染色组合物
CN103491937B (zh) 包含1-己基/庚基-4,5-二氨基吡唑和2-氨基苯酚及其衍生物的氧化性染色组合物
CN103533919B (zh) 包含1-己基/庚基-4,5-二氨基吡唑和1,3-苯二酚及其衍生物的氧化性染色组合物
US9889083B2 (en) 2-part hair cosmetic
JP2020158483A (ja) 液状染毛剤組成物
JP5872265B2 (ja) 酸化染毛料第1剤
JP4080443B2 (ja) 染毛剤組成物
JP5037749B2 (ja) 低水分・揮発性有機化合物非含有ヘア・ライトナーおよび染色組成物
KR20130106295A (ko) 산화 염모제
AU2005277201B2 (en) A high aqueous oxidation haircolor system
JP6081078B2 (ja) 酸化染毛剤
KR20130035864A (ko) 산화염모제용 제1제 및 산화염모제
JP7033391B2 (ja) 毛髪用染毛剤
KR102424754B1 (ko) 산화 염모제용 제 1 제, 및 산화 염모제를 사용한 염모 방법
KR20130084244A (ko) 산화 염모제용 제1 제
KR100754122B1 (ko)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JP5935718B2 (ja) 毛髪変色剤
CN105392467A (zh) 氧化性染发剂组合物
JP6081077B2 (ja) 酸化染毛剤
JP2017203016A (ja) 酸化染毛用第1剤、酸化染毛剤、及び染毛処理方法
JP3892866B2 (ja) 染毛剤組成物
JP2013100254A (ja) 酸化染毛剤用第1剤
KR20120138655A (ko) 산화 염모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