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2668A - 차량용 선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선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2668A
KR20130032668A KR1020110096410A KR20110096410A KR20130032668A KR 20130032668 A KR20130032668 A KR 20130032668A KR 1020110096410 A KR1020110096410 A KR 1020110096410A KR 20110096410 A KR20110096410 A KR 20110096410A KR 20130032668 A KR20130032668 A KR 20130032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vehicle
gear
roof
ca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5191B1 (ko
Inventor
강인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6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191B1/ko
Publication of KR20130032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5Winding tubes, e.g. telescopic tubes or conically shaped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0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 B60J7/0015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roller bl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차량용 선루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는, 차량의 루프에 형성된 개구부 상에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루프 글라스와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빛의 유입을 조절하도록 개구부에 대응하여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어 루프 글라스의 내측을 개방 또는 차폐시키는 블라인드와 블라인드의 후방에 설치되어 블라인드의 개폐작동에 의해 회전하며, 블라인드를 감아주는 롤러부재와 루프의 내측 후방에 장착되어 블라인드와 연결되고, 블라인드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부와 루프 글라스와 루프 사이를 기준으로 루프의 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루프 글라스를 전후방향으로 이동 시키는 기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선루프{A SUN ROOF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선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루프 글라스와 블라인드를 각각 개폐하는 차량용 선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루프는 루프 패널에 개구부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차실 내를 밝게 해주고 심리적으로 공간을 크게 하여 승객에게 해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환기가 잘되게 하여 차실 내의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갖는 것으로서 근래에는 많은 차량에 적용되고 있는 편의사항이다.
즉, 차량의 루프 패널에는 선루프 장치가 구비되는 경우가 있는 바, 이러한 선루프 장치는 차량의 루프 패널 일부를 개폐하는 장치로서, 외부의 빛이 투과될 수 있는 글라스부와, 빛을 차단하는 차단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글라스부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전동 모터 등을 이용하여 버튼의 ON/OFF 작동으로 개폐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많다.
통상, 선루프 장치를 개폐할 때, 전동 모터 등을 이용하여 글라스부를 개폐하며, 이 경우 차량의 실내 측에 구비되는 차단부도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루프 장치는 글라스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 전동모터와 차단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 전동 모터로 작동되는 바, 차량의 루프 패널 실내측 후방에 두 개의 모터를 구동함에 따라, 차량의 실내 패키지 레이아웃에 불리하며, 원가가 과다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의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루프 글라스와 블라인드를 각각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선루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는, 차량의 루프에 형성된 개구부 상에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루프 글라스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빛의 유입을 조절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여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어 상기 루프 글라스의 내측을 개방 또는 차폐시키는 블라인드와, 상기 블라인드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블라인드의 개폐작동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블라인드를 감아주는 롤러부재와, 상기 루프의 내측 후방에 장착되어 상기 블라인드와 연결되고, 상기 블라인드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루프 글라스와 루프 사이를 기준으로 상기 루프의 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루프 글라스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선루프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루프의 내측 후방 중앙에 장착되며, 상기 블라인드와 기어유닛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하나의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를 사이에 두고 일단이 상기 블라인드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기어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블라인드와 기어유닛을 회전시키는 복수개의 케이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선루프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케이블은 상기 하나의 구동모터를 기준으로 서로 교차하면서 회전하여 상기 블라인드와 기어유닛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선루프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케이블은 일단이 상기 블라인드의 우측과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좌측의 상기 기어유닛과 연결되며, 좌측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케이블과, 일단이 상기 블라인드의 좌측과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우측의 상기 기어유닛과 연결되며,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케이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선루프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은 그 형상이 상기 피니언 기어과 맞물리는 나선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선루프에 있어서, 상기 기어유닛은 상기 블라인드와 루프 사이를 기준으로 상기 루프의 전방 양측에 각각 고정되게 장착되며, 상기 케이블이 전후방향으로 작동됨에 따라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에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장착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는 래크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선루프에 있어서, 상기 래크 기어는 상기 케이블이 전방향으로 회전할 시,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후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루프 글라스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선루프에 있어서, 상기 래크 기어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며 후방향으로 회전할 시, 상기 래크 기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전방 단부에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는 하나의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루프 글라스와 블라인드를 각각 개폐함으로써, 실내 패키지 레이아웃이 유리하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의 블라인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의 블라인드와 루프 글라스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1)는 차량의 루프(1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내로 유입되는 일사량을 조절하며, 실내온도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실내 환기를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차량용 선루프(1)는 비가 오는 날씨에 차량의 실내로 빗물이 유입되는 염려 없이 실내 환기가 가능하고, 차량의 냉난방 작동 상태에서 냉기와 온기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실내 환기가 가능하다.
이러한 차량용 선루프(1)는 개폐방식에 따라 틸트형과 슬라이드형으로 나뉘며, 그 구동 방식에 따라 전동식과 수동식으로 나뉜다.
또한, 차량용 선루프(1)는 차량의 루프(10)에 루프 글라스(100)가 구비되며, 루프 글라스(100)로부터 햇볕 등이 차량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운전자가 선택에 따라 루프 글라스(100)의 개방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차량용 선루프(1)에는 루프 글라스(100)의 내측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개방 또는 차폐시키는 블라인드(110)가 설치된다.
이러한 블라인드(110)는 차량의 주행중에 운전자가 원하는 일정량의 햇빛을 유입시켜 차량의 적당한 실내 밝기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블라인드(110)는 펼침 또는 감김의 방식이 마련되며, 천재질로 구성되어 전자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루프 글라스(100)를 개방 또는 차폐시킨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1)는 하나의 구동 모터(131)를 이용하여 차량의 루프 글라스(100)와 블라인드(110)를 각각 개폐함으로써, 실내 패키지 레이아웃이 유리하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1)는 기본적으로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루프 글라스(100)와 블라인드(110), 롤러부재(120), 작동부(130) 및 기어유닛(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루프 글라스(100)는 차량의 루프(10)에 형성된 개구부(11) 상에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블라인드(110)는 차량의 루프(10)에 형성된 개구부(11)를 통해 외부로부터 빛의 유입을 조절하도록 개구부(1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으며,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어 루프 글라스(100)의 내측을 개방 또는 차폐시킨다.
이러한 블라인드(110)는 개방될 때, 차량 루프(10)의 후방으로 감겨지고, 폐쇄 시에는 차량 루프(10)의 전방으로 풀어지며 루프 글라스(100)의 내측을 개폐함으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며, 차량의 실내 밝기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부재(120)는 블라인드(110)의 후방에 설치되어 블라인드(110)의 개폐작동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고, 블라인드(110)의 개방 시, 블라인드(110)를 감아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블라인드(110)의 폐쇄 시에는 롤러부재(120)에 감겨있던 블라인드(110)를 풀어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작동부(130)는 차량 루프(10)의 내측 후방에 장착되어 블라인드(110)와 연결되고, 블라인드(11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작동부(130)는 하나의 구동 모터(131)와 복수개의 케이블(133, 135)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나의 구동 모터(131)는 루프(10)의 내측 후방 중앙에 장착되며, 블라인드(110)와 뒤에서 설명될 기어유닛(140)에 복수개의 케이블(133, 135)을 통해 구동력을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케이블(133, 135)은 구동 모터(131)를 사이에 두고 일단이 블라인드(110)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기어유닛(140)에 연결되며, 복수개의 케이블(133, 135)의 장력에 의해 블라인드(110)와 기어유닛(140)을 회전시킨다.
즉, 상기 복수개의 케이블(133, 135)은 하나의 구동 모터(131)를 기준으로 서로 교차하면서 주행하여 블라인드(110)와 기어유닛(140)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복수개의 케이블(133, 135)은 제1 케이블(133)과 제2 케이블(1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케이블(133)은 도면을 기준으로 일단이 블라인드(110)의 우측과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좌측의 기어유닛(140)과 연결되며, 좌측방향으로 주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케이블(135)은 도면을 기준으로 할 때, 일단이 블라인드(110)의 좌측과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우측의 기어유닛(140)과 연결되며, 우측방향으로 주행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133, 135)은 그 형상이 기어유닛(140)과 맞물리도록 하기 위하여 나선형으로 꼬여진 형상을 이루며, 제1 및 제2 케이블(133, 135)의 소재는 외력에 의해 크기나 형태가 변하지 않는 강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기어유닛(140)은 루프 글라스(100)와 차량의 루프(10) 사이를 기준으로 루프(10)의 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작동부(130)의 작동에 의해 루프 글라스(1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기어유닛(140)은 피니언 기어(141)와 래크 기어(143)를 갖는다.
상기 피니언 기어(141)는 블라인드(110)와 차량의 루프(10) 사이를 기준으로 그 루프(10)의 전방 양측에 각각 고정되게 장착되며, 제1 및 제2 케이블(133, 135)이 전후방향으로 주행함에 따라 제1 및 제2 케이블(133, 135)과 맞물리며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래크 기어(143)는 루프(10)의 양측에 장착된 피니언 기어(141)에 각각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장착되며, 피니언 기어(141)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래크 기어(143)는 제1 및 제2 케이블(133, 135)이 전방향으로 회전할 시, 피니언 기어(141)의 회전에 의해 후방향으로 이동하며 루프 글라스(100)를 개방한다.
또한, 상기 래크 기어(143)에는 스토퍼(145)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45)는 래크 기어(143)가 피니언 기어(141)와 맞물리며 후방향으로 이동할 시, 래크 기어(143)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전방 단부에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의 작동 및 작용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하기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의 블라인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의 블라인드와 루프 글라스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개방 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구동 모터(131)가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131)는 작동되어 구동력을 발생하게 되고, 그 구동력은 구동 모터(131)를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적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 케이블(133, 135)로 전달되며, 구동력에 의해 제1 및 제2 케이블(133, 135)은 주행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블라인드(110)의 전방 양측과 연결된 제1 및 제2 케이블(133, 135)의 일단은 차량의 루프(10)를 기준으로 후방향으로 주행하게 되며, 이에 따라, 블라인드(110)는 개방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블라인드(110)는 후방향으로 이동하며 개방됨에 따라, 블라인드(110)의 후방에 장착된 롤러부재(120)가 블라인드(110)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하면서 후방향으로 회전하는 블라인드(110)를 감아준다.
반대로,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133, 135)의 일단이 후방향으로 이동하여 블라인드(110)를 개방하게 되면서, 제1 및 제2 케이블(133, 135)의 다른 일단은 전방향으로 주행하여 기어유닛(140)의 피니언 기어(141)에 연결된다.
그러면, 상기 피니언 기어(141)는 전방향으로 주행하려는 제1 및 제2 케이블(133, 135)과 맞물리며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 기어(141)가 회전하면서, 피니언 기어(141)와 대응하여 맞물려 있던 래크 기어(143)는 차량의 루프(10)를 기준으로 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기어유닛(140)과 연결된 루프 글라스(100)는 개방 상태가 된다.
또한, 기어유닛(140)의 래크 기어(143)가 후방향으로 이동하여 루프 글라스(100)를 개방함에 있어서, 래크 기어(143)와 피니언 기어(141)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래크 기어(143)의 전방부에 스토퍼(145)가 설치된다.
이와 반대로, 운전자가 폐쇄 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되면, 피니언 기어(141)와 연결된 제1 및 제2 케이블(133,135)의 다른 일단은 후방향으로 주행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피니언 기어(141)는 개방 상태와는 반대로 회전하게 되고, 래크 기어(143)는 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래크 기어(143)와 연결된 루프 글라스(100)는 폐쇄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133, 135)의 다른 일단이 후방향으로 주행하게 되면서, 블라인드(110)의 양측과 연결된 제1 및 제2 케이블(133, 135)의 일단은 전방향으로 주행하게 되므로, 블라인드(110)도 폐쇄 상태가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1)는 하나의 구동 모터(131)를 이용하여 차량의 루프 글라스(100)와 블라인드(110)를 각각 개폐함으로써, 실내 패키지 레이아웃이 유리하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차량용 선루프 10...루프
11...개구부 100...루프 글라스
110...블라인드 120...롤러부재
130...작동부 131...구동 모터
133...제1 케이블 135...제2 케이블
140...기어유닛 141...피니언 기어
143...래크기어 145...스토퍼

Claims (8)

  1. 차량의 루프에 형성된 개구부 상에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루프 글라스;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빛의 유입을 조절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여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어 상기 루프 글라스의 내측을 개방 또는 차폐시키는 블라인드;
    상기 블라인드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블라인드의 개폐작동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블라인드를 감아주는 롤러부재;
    상기 루프의 내측 후방에 장착되어 상기 블라인드와 연결되고, 상기 블라인드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루프 글라스와 루프 사이를 기준으로 상기 루프의 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루프 글라스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어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루프의 내측 후방 중앙에 장착되며, 상기 블라인드와 기어유닛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하나의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를 사이에 두고 일단이 상기 블라인드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기어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블라인드와 기어유닛을 회전시키는 복수개의 케이블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케이블은 상기 하나의 구동모터를 기준으로 서로 교차하면서 회전하여 상기 블라인드와 기어유닛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케이블은,
    일단이 상기 블라인드의 우측과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좌측의 상기 기어유닛과 연결되며, 좌측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케이블; 및
    일단이 상기 블라인드의 좌측과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우측의 상기 기어유닛과 연결되며,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케이블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은 그 형상이 상기 피니언 기어과 맞물리는 나선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유닛은,
    상기 블라인드와 루프 사이를 기준으로 상기 루프의 전방 양측에 각각 고정되게 장착되며, 상기 케이블이 전후방향으로 작동됨에 따라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에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장착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는 래크 기어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 기어는 상기 케이블이 전방향으로 회전할 시,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후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루프 글라스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 기어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며 후방향으로 회전할 시, 상기 래크 기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전방 단부에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KR1020110096410A 2011-09-23 2011-09-23 차량용 선루프 KR101305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410A KR101305191B1 (ko) 2011-09-23 2011-09-23 차량용 선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410A KR101305191B1 (ko) 2011-09-23 2011-09-23 차량용 선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668A true KR20130032668A (ko) 2013-04-02
KR101305191B1 KR101305191B1 (ko) 2013-09-12

Family

ID=48435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410A KR101305191B1 (ko) 2011-09-23 2011-09-23 차량용 선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1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311B1 (ko) 2016-08-03 2018-06-11 윤명균 개폐 조절이 용이한 선루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17456A1 (de) 1992-05-26 1993-12-02 Trw Repa Gmbh Sicherheitsgurt-Rückhaltesystem
JP2688342B2 (ja) * 1995-11-24 1997-12-10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サンルーフ構造
JP2007223440A (ja) 2006-02-22 2007-09-06 Aisin Seiki Co Ltd サンルーフ装置
KR20080051431A (ko) * 2006-12-05 2008-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동기어를 이용한 선루프자동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5191B1 (ko)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9210B2 (en) Roof rack assembly and hood light-blocking fabric assembly that are capable of photovoltaic generation
KR101240988B1 (ko) 차량용 파노라마루프 장치
KR20130066158A (ko) 차량의 선루프용 구동장치
US6857693B2 (en) Sun screen for a motor vehicle
KR101394724B1 (ko) 자동차의 파노라마 선루프용 롤블라인드 시스템
US20190181796A1 (en) Roof rack assembly and hood light-blocking fabric assembly that are capable of photovoltaic generation
JP5586959B2 (ja) 自動車のグレージングルーフ、対応する組立の方法、および対応する車両
KR101383009B1 (ko) 롤러형 바를 이용한 롤 블라인드 장치
US20120138241A1 (en) Individually operative roll blind type panorama roof
KR101305191B1 (ko) 차량용 선루프
US8708404B2 (en) Sunroof utilizing two independent motors
CN104527390B (zh) 两厢汽车驾驶室防晒装置
JP2008137628A (ja)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US7086682B2 (en) Device for obturation of an aperture for an automotive vehicle
CN108312817B (zh) 电动遮光罩和天窗的结构
CN105034775A (zh) 一种带天窗汽车的防晒装置
CN105034780A (zh) 一种汽车防晒装置
CN207449596U (zh) 车窗及汽车
CN215793528U (zh) 一种车用遮光帘和车辆
JP3233095U (ja) 車両用サンバイザー
KR20150118642A (ko) 차량의 선루프 제어 방법
KR200495759Y1 (ko) 차량 햇빛 가리개
KR100997248B1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JP2010143248A (ja) サンバイザー装置
CN114274748A (zh) 一种汽车天窗布置结构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