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2614A -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2614A
KR20130032614A KR1020110096326A KR20110096326A KR20130032614A KR 20130032614 A KR20130032614 A KR 20130032614A KR 1020110096326 A KR1020110096326 A KR 1020110096326A KR 20110096326 A KR20110096326 A KR 20110096326A KR 20130032614 A KR20130032614 A KR 20130032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ice
ice maker
temperature
pro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이경수
이진희
탁윤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10096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2614A/ko
Publication of KR20130032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4Rotating 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는, 제빙기의 이젝터를 회전시켜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제빙기용 모터의 모터 보호 장치에 있어서, 모터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 모터 구동부에서 모터로 입력되는 전류의 세기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및 제빙기의 이빙 동작 시 모터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 구동 제어 신호를 모터 구동부로 발생시키며, 모터의 기동 시간 이후에 모터로 입력되는 전류의 세기가 일정 시간 이상 동안 기 설정된 전류 세기를 초과하는 경우 모터를 보호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APPARATUS FOR PROTECTING ICEMAKER MOTOR}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터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빙기용 모터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하는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보관할 수 있는 냉장실 및 음식물을 냉동 보관할 수 있는 냉동실을 구비하며, 냉동실(또는 냉장실)에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제빙기를 구비한다.
도 1은 종래의 제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제빙기(10)는 아이스 트레이(11), 이젝터(13), 제빙기 제어 박스(15), 측면 가이드(17), 아이스 뱅크(19), 급수관(21), 급수컵(23), 및 만빙 레버(25)를 포함한다.
종래의 제빙기(10)에 있어서, 아이스 트레이(11)는 급수관(21) 및 급수컵(23)을 통해 제빙수를 공급받아 제빙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아이스 트레이(11)에는 온도 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아이스 트레이(11) 내의 제빙수의 온도를 체크한다. 아이스 트레이(11)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즉, 제빙수가 완빙되는 온도)로 내려가면, 제빙기 제어 박스(15) 내의 모터(미도시)가 이젝터(13)를 정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아이스 트레이(11) 내의 얼음을 밀어 올린다. 이젝터(13)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된 이젝터 축(13-1) 및 이젝터 축(13-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이젝터 핀(13-2)을 포함한다.
이때, 이젝터(13)를 회전시키기 전에, 아이스 트레이(11) 내부에 설치된 히터(미도시)를 동작시켜 아이스 트레이(11)의 내측면과 단단히 결합되어 있는 얼음을 살짝 녹여준다. 이 경우,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11)의 내측면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젝터 핀(13-2)에 의해 이빙된 얼음은 이젝터 핀(13-2)에 의해 밀어 올려져 측면 가이드(17)를 타고 아이스 뱅크(19)로 수용되게 된다. 그 후, 이젝터(1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이젝터(13)를 홈 위치(시작 위치)로 복귀시킨다.
여기서, 아이스 트레이(11) 내의 얼음을 이빙시킬 때의 온도(즉, 이빙 개시 온도)는 -10℃ 이하의 낮은 온도로 설정하게 되는데, 그 결과 히터(미도시)를 동작시키더라도 아이스 트레이(11) 내의 얼음이 살짝 녹지 않고 아이스 트레이(11)의 내측면 및 이젝터(13)에 단단히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빙 개시 온도는 아이스 트레이(11) 내의 제빙수가 완빙되어 이빙을 위해 히터(50)를 동작시킬 때의 온도를 말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히터(50)는 아이스 트레이(110)의 하부에 결합되기 때문에, 히터(50)를 동작시킨다 하더라도 아이스 트레이(110)의 하단 부위(a)에 부착된 얼음만 살짝 녹게 되고 아이스 트레이(110)의 상단 부위(b)에 형성된 얼음은 녹지 않아 아이스 트레이(110)의 내측면에 단단히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빙수가 얼게 되면 부피가 팽창하기 때문에 아이스 트레이(11) 내의 얼음이 이젝터(13)에도 붙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빙 개시 온도(또는 완빙 온도)가 -10 ℃ 이하의 낮은 온도로 설정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이젝터(13)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11)에서 분리시키지 못하며, 이젝터 핀(13-2)이 얼음에 막혀 정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이젝터(13)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가 구속되어 과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모터(미도시)가 내의 코일들이 서로 들러 붙어 코일 간의 절연 상태가 파괴될 수 있고, 모터(미도시)의 온도가 상승하여 심한 경우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미도시)가 구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빙기(10) 내의 이빙 개시 온도를 높이면 되지만, 이빙 개시 온도를 높이는 경우 아이스 트레이(110) 내의 얼음이 많이 녹을 수 있고, 제빙실 내의 온도가 올라가 전력 소모가 심해지며, 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빙기의 이빙 동작 시 제빙기의 이빙 개시 온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모터가 구속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는, 제빙기의 이젝터를 회전시켜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제빙기용 모터의 모터 보호 장치에 있어서, 모터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 상기 모터 구동부에서 상기 모터로 입력되는 전류의 세기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및 상기 제빙기의 이빙 동작 시 상기 모터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 구동 제어 신호를 상기 모터 구동부로 발생시키며, 상기 모터의 기동 시간 이후에 상기 모터로 입력되는 전류의 세기가 일정 시간 이상 동안 기 설정된 전류 세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를 보호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는, 제빙기의 이젝터를 회전시켜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제빙기용 모터의 모터 보호 장치에 있어서, 모터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 상기 모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및 상기 제빙기의 이빙 동작 시 상기 모터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 구동 제어 신호를 상기 모터 구동부로 발생시키며, 상기 모터의 이빙 동작 시 상기 모터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를 보호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빙기의 이빙 동작 시 모터로 입력되는 전류의 세기 또는 모터의 온도를 감지하여 모터의 구속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제빙기의 이빙 개시 온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모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제빙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로 입력되는 전류의 세기와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100)는 마이콤(102), 모터 구동부(104), 모터(106), 및 전류 감지부(108)를 포함한다. 여기서, 마이콤(102), 모터 구동부(104), 및 전류 감지부(108)는 냉장고 제어부(150)에 설치될 수 있고, 모터(106)는 제빙기 제어박스(16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마이콤(102)은 모터 구동부(104)로 모터 구동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모터(106)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빙기(170)의 아이스 트레이 내의 제빙수가 완빙이 된 경우, 마이콤(102)은 아이스 트레이의 하부에 형성된 히터(미도시)를 일정 시간 동작시킨 후, 모터 구동부(104)를 통해 모터(106)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고, 다시 모터(106)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이젝터를 원 위치시킨다. 여기서는 마이콤(102)이 모터(106) 및 히터(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마이콤(102)은 모터(106) 및 히터(미도시)뿐만 아니라 냉장고 및 제빙기의 전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마이콤(102)은 전류 감지부(108)의 전류 감지 결과에 따라 모터(106)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모터 구동부(104)는 마이콤(102)의 모터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 구동 신호를 발생시켜 모터(106)를 동작시킨다. 모터 구동부(104)는 모터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106)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모터 구동부(104)는 모터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106)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모터(106)는 모터 구동부(104)의 모터 구동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이젝터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모터(106)는 DC 모터, 스텝 모터, AC 모터 등 다양한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전류 감지부(108)는 모터 구동부(104)에서 모터(106)로 입력되는 모터 구동 신호의 전류 세기를 감지한다. 전류 감지부(108)는 모터(106)로 입력되는 전류의 세기를 감지하여 마이콤(102)으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100)에 있어서, 마이콤(102)은 모터(106)의 기동 시간이 지난 후, 모터(106)로 입력되는 전류의 세기가 일정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전류 세기를 초과하는 경우, 모터(106)가 구속된 것으로 판단하여 모터(106)를 일정 시간 정지시키거나 모터(106)를 일정 시간 현재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모터(106)의 구속을 해제하여 과전류로 인해 모터(106)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모터(106) 내의 코일들이 서로 들러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모터(106)의 온도가 상승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아이스 트레이 내의 제빙수가 완빙되어 모터(106)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이 아이스 트레이의 내측면 상단 부위(또는 이젝터)에 단단히 붙어 있으면, 이젝터 핀이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에서 분리시키지 못하며, 이젝터 핀이 얼음에 막혀 정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모터(106)가 구속되어 모터(106)에 일정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전류 세기를 초과하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경우, 마이콤(102)은 모터(106)를 정지시키고 일정 시간 후에 다시 동작시키거나, 모터(106)를 일정 시간 현재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즉, 역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다시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로 입력되는 전류의 세기와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터(106)의 동작 시간은 기동 시간과 운전 시간으로 나눌 수 있다. 기동 시간은 모터(106)가 처음 동작하여 정상 운전할 때까지의 시간을 말하고, 운전 시간은 기동 시간 이후 모터(106)가 정상 운전할 때의 시간을 말한다. 여기서, 기동 시간은 모터(106)의 종류 및 구동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동 시간은 0.1 ~ 0.5초 이내로 설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동 시간에 모터(106)에 흐르는 기동 전류는 운전 시간에 모터(106)에 흐르는 운전 전류 보다 2배에서 많게는 6배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경우, 기동 전류는 모터(106)의 구속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전류 세기를 초과할 수 있다. 그러나, 기동 전류는 모터(106)를 처음 동작할 때 발생하는 전류이므로 전류의 세기가 기설정된 전류 세기를 초과하더라도 마이콤(102)은 모터(106)가 구속된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즉, 마이콤(102)은 기동 시간에는 모터(106)로 입력되는 전류의 세기가 기설정된 전류 세기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기동 시간 이후에만 모터(106)로 입력되는 전류의 세기가 기설정된 전류 세기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마이콤(102)은 기동 시간 이후에 모터(106)로 입력되는 전류의 세기가 일정 시간 이상 기설정된 전류 세기를 초과하는 경우, 모터(106)가 구속된 것으로 판단하여 모터(106)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빙기의 모터(106)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이빙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모터(106)에는 약 20 ~ 100 mA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마이콤(102)은 기동 시간 이후에 모터(106)에 흐르는 전류가 일정 시간 이상 기설정된 전류 세기(예를 들어, 100 mA)를 초과하는 경우, 모터(106)가 구속된 것으로 판단하여 모터(106)를 오프시키는 모터 구동 제어 신호를 모터 구동부(104)로 전달하여 모터(106)를 정지시킨다. 그 후, 마이콤(102)은 아이스 트레이의 하부에 형성된 히터를 일정 시간 다시 가동시킬 수 있다. 이때, 마이콤(102)은 히터의 온도를 한 단계 높여 동작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마이콤(102)은 일정 시간(예를 들어, 아이스 트레이의 내측면 등에 견고히 붙은 얼음이 어느 정도 녹기 까지 걸리는 시간) 후에 다시 모터(106)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빙 동작을 계속 수행한다. 이때, 마이콤(102)은 모터(106)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모터(106)의 구속을 해제시킨 후, 일정 시간 후에 다시 모터(106)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빙 동작을 계속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모터(106)에 흐르는 전류가 일정 시간 이상 기설정된 전류 세기를 초과할 때만 모터(106)가 구속된 것으로 판단하는 이유는, 기동 시간 이후에 노이즈의 유입으로 순간적으로 모터(106)에 흐르는 전류가 기설정된 전류 세기를 초과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이콤(102)은 노이즈 등으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모터(106)에 흐르는 전류가 일정 시간 이상 기설정된 전류 세기를 초과할 때만 모터(106)가 구속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도 3 과 같이, 모터 구동부(104) 및 전류 감지부(108)가 냉장고 제어부(150)에 설치된 경우, 모터 구동부(104)와 모터(106) 간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약 0.5 ~ 1.5m), 모터 구동부(104)에서 모터(106)로 전송되는 모터 구동 신호에 노이즈가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106) 동작의 정확성이 떨어져 모터(106)가 오동작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콤(102), 모터 구동부(104), 및 전류 감지부(108)를 제빙기 제어박스(160)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 구동부(104)와 모터(106) 간의 거리가 짧아져 모터 구동 신호에 노이즈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모터(106)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마이콤(102)은 모터(106) 및 제빙기(1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마이콤(102)은 냉장고 제어부(150)에 설치되는 마이콤과는 별도의 마이콤으로서, 모터(106) 및 제빙기(170)의 동작 제어를 위해 제빙기 제어박스(160) 내에 별도로 설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200)는 마이콤(202), 모터 구동부(204), 모터(206), 및 온도 감지부(208)를 포함한다. 여기서, 온도 감지부(208)는 모터(206)의 온도를 감지하여 마이콤(202)으로 전달한다. 온도 감지부(208)는 예를 들어, 써미스터(Thermistor) 또는 바이메탈(Bimeta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200)에 있어서,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아이스 트레이 내의 제빙수가 완빙되어 모터(206)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이 아이스 트레이의 내측면 상단 부위에 단단히 붙어 있으면, 이젝터 핀이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에서 분리시키지 못하며, 이젝터 핀이 얼음에 막혀 정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모터(206)가 구속되어 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모터(206)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를 초과할 수 있다.
마이콤(202)은 온도 감지부(208)를 통해 이빙 동작 시 모터(206)의 온도를 확인하여, 모터(206)의 온도가 일정 시간 이상 동안 기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모터(206)를 정지시킨 후 일정 시간 후에 다시 모터(206)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빙 동작을 계속 수행한다. 이때, 마이콤(202)은 모터(206)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모터(206)의 구속을 해제시킨 후, 일정 시간 후에 다시 모터(206)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빙 동작을 계속 수행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모터(206)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는 모터(206)의 온도가 처음 모터(206)의 온도에서 1 ~ 2 ℃ 정도 상승하나, 모터(206)가 구속되었을 때는 모터(206)의 온도가 처음 모터(206)의 온도에서 30 ~ 70 ℃ 정도까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모터(206)의 구속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설정 온도로는 모터(206)가 처음 동작했을 때의 모터(206)의 온도에서 예를 들어, 30 ~ 40 ℃를 초과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마이콤(202) 및 모터 구동부(204)가 냉장고 제어부(250)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이콤(202) 및 모터 구동부(204)를 제빙기 제어박스(260) 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2, 202 : 마이콤 104, 204 : 모터 구동부
106, 206 : 모터 108 : 전류 감지부
150, 250 : 냉장고 제어부 160, 260 : 제빙기 제어박스
170, 270 : 제빙기 208 : 온도 감지부

Claims (8)

  1. 제빙기의 이젝터를 회전시켜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제빙기용 모터의 모터 보호 장치에 있어서,
    모터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
    상기 모터 구동부에서 상기 모터로 입력되는 전류의 세기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및
    상기 제빙기의 이빙 동작 시 상기 모터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 구동 제어 신호를 상기 모터 구동부로 발생시키며, 상기 모터의 기동 시간 이후에 상기 모터로 입력되는 전류의 세기가 일정 시간 이상 동안 기 설정된 전류 세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를 보호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기동 시간 이후에 상기 모터로 입력되는 전류의 세기가 일정 시간 이상 동안 기 설정된 전류 세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모터를 다시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기동 시간 이후에 상기 모터로 입력되는 전류의 세기가 일정 시간 이상 동안 기 설정된 전류 세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모터를 다시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상기 모터 구동부, 및 상기 전류 감지부는,
    상기 모터와 함께 제빙기 제어 박스 내에 설치되는,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
  5. 제빙기의 이젝터를 회전시켜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제빙기용 모터의 모터 보호 장치에 있어서,
    모터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
    상기 모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및
    상기 제빙기의 이빙 동작 시 상기 모터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 구동 제어 신호를 상기 모터 구동부로 발생시키며, 상기 모터의 이빙 동작 시 상기 모터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를 보호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이빙 동작 시 상기 모터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모터를 다시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이빙 동작 시 상기 모터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모터를 다시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상기 모터 구동부, 및 상기 온도 감지부는,
    상기 모터와 함께 제빙기 제어 박스 내에 설치되는,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


KR1020110096326A 2011-09-23 2011-09-23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 KR20130032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326A KR20130032614A (ko) 2011-09-23 2011-09-23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326A KR20130032614A (ko) 2011-09-23 2011-09-23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614A true KR20130032614A (ko) 2013-04-02

Family

ID=48435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326A KR20130032614A (ko) 2011-09-23 2011-09-23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26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500502A (ja) 冷蔵庫用製氷機及びその検査方法
US20150096310A1 (en) Ice maker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439460B1 (ko) 제빙기
JP4334518B2 (ja) 冷蔵庫
JP2008020158A (ja) 冷蔵庫
KR101161123B1 (ko) 냉장고용 제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86076B1 (ko)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0119576A1 (zh) 冰箱及冰箱的控制方法
KR20130032614A (ko) 제빙기용 모터 보호 장치
JP2011220629A (ja) 自動製氷機を備えた冷蔵庫
US7201007B2 (en) Automatic ice making device
JP4705790B2 (ja) 自動製氷機の制御方法
KR20150068277A (ko) 제빙기와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JP5052213B2 (ja) 自動製氷機の運転方法
JP2012077947A (ja) 冷蔵庫
JP6575910B2 (ja) 製氷機
JP4749886B2 (ja) 製氷機
KR20060108103A (ko) 제빙기
JP4740072B2 (ja) 冷蔵庫
JP6131173B2 (ja) 自動製氷機、及びこれを備えた冷蔵庫
JP6176724B2 (ja) 冷蔵庫
JP5656820B2 (ja) 冷蔵庫
JP2007085566A (ja) 冷蔵庫
JP2006017411A (ja) 製氷機
JP4855094B2 (ja) 製氷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