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277A - 제빙기와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제빙기와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277A
KR20150068277A KR1020140090430A KR20140090430A KR20150068277A KR 20150068277 A KR20150068277 A KR 20150068277A KR 1020140090430 A KR1020140090430 A KR 1020140090430A KR 20140090430 A KR20140090430 A KR 20140090430A KR 20150068277 A KR20150068277 A KR 20150068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water
making
ice tray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이경수
채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ublication of KR20150068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4Level of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제빙기와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아이스 트레이, 및 아이스 트레이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고, 급수부는, 아이스 트레이 내의 제빙수가 제빙 완료된 경우, 아이스 트레이로 제빙수를 추가 공급한다.

Description

제빙기와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ICE MAKER, METHOD FOR CONTROLLING ICE MAKER, AND REFRIGERATOR WITH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빙기와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 및 음식물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을 구비한다. 이때,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는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제빙기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제빙이 완료되는 경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빙 히터를 동작시켜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의 내벽과 분리시킨 후 이빙하였다. 이빙 히터는 일반적으로 U 자형의 시즈 히터(Sheath Heater)가 사용된다. 이 경우, 이빙 히터를 통해 아이스 트레이를 가열하는데 많은 전력이 소모되게 된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12-0030686호(2012.03.29)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제빙기와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아이스 트레이;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의 제빙수가 제빙 완료된 경우,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 제빙수를 추가 공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아이스 트레이;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의 제빙수가 제빙 완료된 경우,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 추가 공급되는 제빙수를 수용하기 위한 연장부가 형성된다.
상기 추가 공급된 제빙수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과 열 교환하여 상기 얼음을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내벽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추가 공급된 제빙수는, 현재 제빙 싸이클이 완료된 후 다음 제빙 싸이클에서 제빙수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제빙수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중심부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제빙수는, 상기 급수부가 급수 단계에서 공급하는 제빙수의 수온보다 높은 수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빙기는, 상기 급수부 또는 상기 급수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추가 제빙수의 수온을 기 설정된 온도로 높이는 수온 상승용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제빙수의 공급 라인 중 일부가 상기 제빙기가 장착되는 냉장고의 열이 발생되는 부위에 연결되고, 상기 냉장고의 열이 발생되는 부위에서 열을 전달받아 제빙수의 수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제빙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어 제빙수의 수위를 측정하고, 상기 제빙수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를 초과하는 경우 급수 중단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추가 제빙수의 급수 시간 또는 급수 횟수가 기 설정된 시간 또는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추가 제빙수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터;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 상부로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급수부;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빙수가 추가 공급된 후 기 설정된 이빙 미완료 조건에 따라 구동되는 이빙 히터를 포함한다.
상기 이빙 히터는, 상기 추가 공급된 제빙수가 상기 얼음을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내벽에서 분리시키지 못하는 경우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이빙 히터는, 상기 추가 공급된 제빙수의 양이 기 설정된 양 미만인 경우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이빙 히터는, 상기 추가 제빙수에 따른 온도 변화가 기 설정된 온도 값 미만인 경우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이빙 히터는, 상기 추가 제빙수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미만인 경우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이빙 히터는, 상기 이젝터가 회전하기 시작하고 기 설정된 시간에 기 설정된 위치에 미도달한 경우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 제어 방법은, 아이스 트레이 내의 제빙수가 제빙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빙수가 제빙 완료된 경우,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로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중심부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로 추가 제빙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단계는, 제빙 싸이클의 급수 단계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 공급하는 제빙수의 수온보다 높은 수온을 가지는 제빙수를 추가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높은 수온을 가지는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제빙기가 장착되는 냉장고의 열이 발생되는 부위에서 열을 전달받아 제빙수의 수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추가 공급된 제빙수가 기 설정된 양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 공급된 제빙수가 기 설정된 양 미만인 경우, 이빙 히터를 구동시켜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공급된 제빙수가 기 설정된 양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추가 공급된 제빙수가 기 설정된 양 이상인 경우, 이젝터를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젝터가 구동된 후 기 설정된 시간에 기 설정된 위치에 미도달한 경우, 이빙 히터를 구동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추가 제빙수에 따른 온도 변화가 기 설정된 온도 값 미만인 경우 이빙 히터를 구동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단계 이후에, 기 설정된 이빙 미완료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빙 미완료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이빙 히터를 구동시켜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 제어 방법은, 아이스 트레이 내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빙수가 제빙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빙수가 제빙 완료된 경우, 이빙 히터는 구동시키지 않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로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단계 이후에, 기 설정된 이빙 미완료 조건에 따라 상기 이빙 히터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제빙수를 공급하는 단계에서의 제빙수의 수온보다 높은 수온을 가지는 제빙수를 추가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높은 수온을 가지는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제빙기가 장착되는 냉장고의 열이 발생되는 부위에서 열을 전달받아 제빙수의 수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빙이 완료된 경우 아이스 트레이 내로 제빙수를 추가 공급함으로써, 이빙 히터를 구동시키지 않고도 이빙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이빙 히터의 구동에 따른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 공급된 제빙수가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 이빙 히터를 보조적으로 동작시켜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의 내벽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이빙 히터는 기 설정된 특수한 조건에서만 보조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이빙 히터의 사용을 줄일 수 있고, 그로 인해 이빙 히터로 인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빙기와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빙기(100)는 아이스 트레이(102), 급수부(104), 이젝터(106), 및 이빙 히터(108)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젝터(106)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된 이젝터 축(106-1) 및 이젝터 축(106-1)에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젝터 핀(106-2)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는 내부에 제빙수를 수용하는 제빙 공간을 구비한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격벽이 형성되어 제빙 공간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분리된 각 제빙 공간은 각 이젝터 핀(106-2)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측은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종단에는 연장부(102-1)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02-1)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종단에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연장부(102-1)는 제빙이 완료된 상태에서 아이스 트레이(102)로 제빙수가 추가 공급되는 경우, 추가 공급된 제빙수를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다.
급수부(104)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부로 제빙수를 공급한다. 급수부(104)는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제빙수가 제빙 완료된 경우,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부로 제빙수를 추가 공급할 수 있다. 추가 공급된 제빙수는 아이스 트레이(102) 및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과 열 교환하여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벽에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추가 공급된 제빙수는 예를 들어, 5℃~ 30℃로 제빙 완료 시 아이스 트레이(102) 또는 얼음의 온도(약 - 8℃ ~ - 15℃) 보다 높기 때문에,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벽에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급수부(104)는 아이스 트레이(102)로 제빙수를 추가 공급할 때, 제빙을 위해 공급하는 제빙수(즉, 이빙 완료 후 급수 단계에서 새로 제빙을 하기 위해 공급하는 제빙수)의 수온 보다 높은 수온의 제빙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 공급된 제빙수로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벽에서 효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급수부(104)의 내부 또는 급수부(104)의 일측에는 수온 상승용 히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수온 상승용 히터(미도시)는 제빙 완료 시점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온 상승용 히터(미도시)는 제빙 완료 시점에 동작하여 추가로 공급되는 제빙수의 수온을 높일 수 있다. 또는, 수온 상승용 히터(미도시)는 제빙 완료 예상 시점 보다 기 설정된 시간 이전에 미리 동작하여 추가로 공급되는 제빙수의 수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급수부(104)의 제빙수 공급 라인(일측이 급수부(104)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빙수의 수원과 연결되어 급수부(104)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라인) 중 일부가 제빙기(100)가 장착되는 냉장고의 열(예를 들어, 상온 이상의 열)이 발생되는 부위(예를 들어, 냉장고의 냉각 싸이클 중 압축기 또는 응축기에 연결되는 냉매 파이프, 이슬 방지 히터 등)에 접촉 (또는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냉장고의 상온 이상의 열이 발생되는 부위에서 열을 전달받아 추가 제빙수의 수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로 제빙수를 추가 공급할 때, 추가 제빙수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길이 방향에서 아이스 트레이(102)의 중심부에 공급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중심부로 공급된 추가 제빙수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양단부로 퍼지게 된다. 이 경우, 추가 제빙수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전체 영역으로 공급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아이스 트레이(102)의 전체 영역에서 비슷한 온도(또는 열 에너지)의 추가 제빙수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가 제빙수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양단부에서 각각 공급될 수도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에는 아이스 트레이(102)로 공급되는 제빙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수위 센서(미도시)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상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수위 센서(미도시)는 아이스 트레이(102)로 추가 제빙수가 공급되는 경우, 추가 제빙수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추가 제빙수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를 초과하는 경우, 수위 센서(미도시)는 급수부(104)로 급수 중단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급수부(104)는 추가 제빙수의 급수 횟수를 확인하여 추가 제빙수의 급수 횟수가 기 설정된 급수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추가 제빙수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이때, 급수부(104)는 1회 급수 시 기 설정된 양의 추가 제빙수를 아이스 트레이(102)로 공급할 수 있다.
이젝터(106)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젝터(106)는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제빙수가 제빙 완료된 경우,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이젝터(106)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취출하여 이빙시킬 수 있다. 이젝터(106)에 의해 이빙된 얼음은 아이스 트레이(102) 하부에 형성된 아이스 뱅크(미도시)에 저장되게 된다.
이빙 히터(108)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빙 히터(108)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빙 히터(108)는 U 자형의 씨즈 히터, 코드 히터, 면상 히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빙 히터(108)의 종류 및 형상 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빙 히터(108)는 일반적인 이빙 히터와는 달리 제빙이 완료되고 이빙 단계가 시작될 때 동작하지 않는다. 이빙 히터(108)는 이빙 단계가 개시된 후 기 설정된 이빙 미완료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동작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이빙 히터는 제빙이 완료되고 이빙 단계가 시작될 때 동작하여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벽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빙 히터(108)는 제빙이 완료되고 이빙 단계가 시작될 때 동작하지 않는다. 이는 제빙 완료 후 아이스 트레이(102)로 추가 공급된 제빙수가 이빙 히터(108)를 대신하여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벽에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이빙 동작(또는 단계)은 제빙이 완료된 후 이빙 히터의 구동과 함께 시작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빙 동작은 제빙이 완료된 후 (이빙 히터(108)의 구동 없이) 제빙수의 추가 공급과 함께 시작할 수 있다.
이빙 히터(108)는 추가 공급된 제빙수가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벽에서 분리시키지 못하여 이빙이 완료되지 못하는 경우에 동작할 수 있다. 즉, 이빙 히터(108)는 추가 공급된 제빙수가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에 보조적으로 동작하여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벽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빙 히터(108)는 기 설정된 특수한 조건에서만 보조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이빙 히터(108)의 사용을 줄일 수 있고, 그로 인해 이빙 히터(108)로 인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빙 히터(108)는 아이스 트레이(102) 내로 제빙수가 추가 공급된 후 이젝터(106)가 회전 동작하기 전에(또는 이젝터(106)의 회전 동작과 함께) 동작하여 아이스 트레이(102)를 가열 할 수도 있다. 즉, 이빙 히터(108)는 추가 공급된 제빙수와 함께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벽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이빙 히터(108)는 독자적으로 동작하여 아이스 트레이(102)를 가열하는 경우보다 동작 시간이 짧아도(또는 가열 온도가 낮아도)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빙 히터(108)는 아이스 트레이(102) 내로 제빙수가 추가 공급된 후 이젝터(106)가 회전 동작하기 전이라도 무조건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추가 공급된 제빙수의 양이 기 설정된 양 미만인 경우에만 동작할 수도 있다. 즉, 이빙 히터(108)는 추가 공급된 제빙수의 양이 기 설정된 양보다 작아서 추가 공급된 제빙수만으로는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벽에서 분리시킬 수 없을 경우에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아이스 트레이(102) 내로 제빙수가 추가 공급된 후, 추가 제빙수에 따른 온도 변화가 기 설정된 온도 값 미만인 경우, 이빙 히터(108)가 동작하여 아이스 트레이(102)를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빙수를 추가 공급한 시점부터 일정 시간(예를 들어, 1 ~ 5초 등)이 경과한 후, 추가 제빙수에 따른 온도 변화(예를 들어, 아이스 트레이(102)의 온도 변화 또는 얼음의 온도 변화 등)가 기 설정된 온도 값(예를 들어, 3℃ 등) 미만인 경우, 이빙 히터(108)가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이빙 히터(108)는 추가 제빙수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미만인 경우, 동작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빙기 제어 장치(150)는 수위 센서(151), 온도 센서(153), 위치 센서(155), 히터 제어부(157), 급수 제어부(159), 및 이젝터 제어부(161)를 포함한다.
수위 센서(151)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연장부(102-1)에 형성될 수 있다. 수위 센서(151)는 급수부(104)에 의해 제빙수가 추가 공급되는 경우, 추가 공급되는 제빙수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수위 센서(151)는 추가 공급되는 제빙수의 수위가 아이스 트레이(102)에서 수위 센서(151)가 설치된 위치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수위 센서(151)를 통해 추가 공급되는 제빙수의 양이 기 설정된 양만큼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수위 센서(151)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연장부(102-1)에서 추가 공급되는 제빙수의 양이 기 설정된 양에 도달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위 센서(151)는 추가 공급되는 제빙수가 아이스 트레이(102)에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수위 센서(151)는 추가 제빙수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를 초과하는 경우, 급수부(104)로 급수 중단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수위 센서(151)는 아이스 트레이(102)에서 높이를 달리하여 여러 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수위 센서(151)는 추가 공급되는 제빙수의 양이 기 설정된 양만큼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수위 센서(151)는 추가 공급되는 제빙수가 기 설정된 수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온도 센서(153)는 아이스 트레이(102)에 형성될 수 있다. 온도 센서(153)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도 센서(153)는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의 온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온도 센서(153)는 아이스 트레이(102) 내로 제빙수가 추가 공급되는 경우, 추가 제빙수에 따른 온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153)는 급수부(104)에서 공급되는 추가 제빙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때, 온도 센서(153)는 급수부(104)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위치 센서(155)는 이젝터(106)의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위치 센서(155)는 이젝터(106)를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예를 들어, 모터 또는 상기 모터와 연동된 기어 등)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위치 센서(155)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 센서(155)가 이젝터(106)의 위치를 감지할 때, 위치 센서(155)는 이젝터 핀(106-2)의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고, 이젝터 축(106-1)의 회전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위치 센서(155)는 이젝터(106)가 홈 위치(또는 시작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젝터(106)는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이빙시킬 때, 홈 위치에서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여 다시 홈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위치 센서(155)는 이젝터(106)가 회전하기 시작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다시 홈 위치로 돌아오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이젝터(106)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홈 위치로 돌아오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 센서(155)는 이젝터(106)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기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히터 제어부(157)는 이빙 히터(108)의 동작을 제어한다. 히터 제어부(157)는 제빙 완료 후 이빙 단계를 시작할 때 이빙 히터(108)를 구동시키지 않고, 이빙 단계의 시작 후 기 설정된 이빙 미완료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에 이빙 히터(108)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 제어부(157)는 수위 센서(151)의 감지 결과, 추가 공급되는 제빙수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이빙 히터(108)를 구동시킬 수 있다. 즉, 아이스 트레이(102) 내로 추가 공급된 제빙수의 양이 작아 추가 공급된 제빙수만으로는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벽에서 분리시킬 수 없는 경우, 히터 제어부(157)는 이빙 히터(108)를 구동시켜 아이스 트레이(102)를 가열할 수 있다. 여기서는, 수위 센서(151)를 통해 추가 공급되는 제빙수의 양을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빙 완료 후 제빙수의 추가 공급에 따른 급수 횟수 및 급수 시간 등을 이용하여 추가 공급되는 제빙수의 양을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히터 제어부(157)는 이빙 개시 후 온도 센서(153)의 감지 결과, 아이스 트레이(102)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미만인 경우, 이빙 히터(108)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빙 개시 후에 아이스 트레이(102)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미만인 경우, 제빙수의 추가 공급에도 불구하고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이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벽에서 분리되지 못할 수 있으므로, 히터 제어부(157)는 이빙 히터(108)를 구동시켜 아이스 트레이(102)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히터 제어부(157)는 아이스 트레이(102) 내로 제빙수가 추가 공급된 후, 추가 제빙수에 따른 온도 변화가 기 설정된 온도 값 미만인 경우, 이빙 히터(108)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히터 제어부(157)는 추가 제빙수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미만인 경우, 이빙 히터(108)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 제어부(157)는 이젝터(106)가 회전하기 시작한 후 위치 센서(155)의 감지 결과, 이젝터(106)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다시 홈 위치로 돌아오지 못한 경우, 이빙 히터(108)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젝터(106)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홈 위치로 돌아오지 못한 경우,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이 이빙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히터 제어부(157)는 이빙 히터(108)를 구동시켜 아이스 트레이(102)를 가열할 수 있다.
급수 제어부(159)는 급수부(104)의 동작을 제어한다. 급수 제어부(159)는 제빙 싸이클이 시작되는 경우, 아이스 트레이(102)로 제빙수를 공급하도록 급수부(104)를 제어할 수 있다. 급수 제어부(159)는 제빙이 완료된 경우, 아이스 트레이(102)로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도록 급수부(104)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급수 제어부(159)는 급수 횟수 및 급수 시간 등을 체크하여 추가 공급되는 제빙수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급수 제어부(159)는 추가 공급된 제빙수의 양이 기 설정된 양 미만인 경우, 히터 제어부(157)로 그 사실을 알릴 수 있다. 급수 제어부(159)는 아이스 트레이(102)로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경우, 수온 상승용 히터(미도시)를 통해 추가 공급되는 제빙수의 수온을 높일 수 있다. 이때, 급수 제어부(159)는 추가 공급되는 제빙수의 수온을 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 급수 제어부(159)는 아이스 트레이(102)로 제빙수를 추가 공급할 때, 추가 제빙수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양단부 및 아이스 트레이(102)의 중심부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로 추가 공급된 제빙수는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이 이빙되어 현재 제빙 싸이클이 완료된 경우, 다음 제빙 싸이클에서 제빙수로 사용되어 제빙될 수 있다. 즉, 추가 공급된 제빙수는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이 이빙될 때, 얼음이 있던 공간에 남아 있게 되므로 다음 제빙 싸이클에서 제빙수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제빙 싸이클은 아이스 트레이(102)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 단계,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제빙수를 얼리는 제빙 단계, 및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빙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젝터 제어부(161)는 이젝터(106)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젝터 제어부(161)는 아이스 트레이(102) 내로 제빙수가 추가 공급된 후, 이젝터(106)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젝터 제어부(161)는 아이스 트레이(102) 내로 제빙수가 추가 공급되고 이빙 히터(108)가 구동된 후, 이젝터(106)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전술한 제빙기 제어 장치(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에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들이 상기 방법과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아이스 트레이(102) 내로 제빙수를 공급한다(S 101). 즉, 제빙 싸이클이 시작되는 경우, 급수부(104)는 급수 제어부(159)의 제어에 따라 아이스 트레이(102) 내로 제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제빙수가 제빙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03). 제빙 완료 여부는, 예를 들어, 아이스 트레이(102) 내로 제빙수를 공급한 후 경과한 시간을 통해 확인 할 수도 있고, 아이스 트레이(102)의 온도를 통해 확인 할 수도 있다. 또한, 그 이외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빙 완료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단계 S 103의 확인 결과,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제빙수가 제빙 완료된 경우, 급수부(104)는 아이스 트레이(102) 내로 제빙수를 추가 공급한다(S 105).
다음으로, 추가 공급된 제빙수의 양이 기 설정된 양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 107). 예를 들어, 수위 센서(151)가 추가 공급되는 제빙수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추가 공급된 제빙수의 양이 기 설정된 양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급수 제어부(159)가 급수 횟수 및 급수 시간 등을 체크함으로써, 추가 공급된 제빙수의 양이 기 설정된 양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양은 추가 공급된 제빙수로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분리시킬 수 있을 정도의 양을 말한다.
단계 S 107의 확인 결과, 추가 공급된 제빙수의 양이 기 설정된 양 미만인 경우, 이빙 히터(108)를 구동시켜 아이스 트레이(102)를 가열한다(S 109). 다음으로, 이젝터(106)를 구동시켜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이빙시킨다(S 111).
단계 S 107의 확인 결과, 추가 공급된 제빙수의 양이 기 설정된 양 미만이 아닌 경우, 이젝터(106)를 구동시켜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이빙시킨다(S 111). 이때, 이젝터(106)는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구동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전술한 제빙기 제어 장치(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에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들이 상기 방법과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아이스 트레이(102) 내로 제빙수를 공급한다(S 201). 즉, 제빙 싸이클이 시작되는 경우, 급수부(104)는 급수 제어부(159)의 제어에 따라 아이스 트레이(102) 내로 제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제빙수가 제빙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203). 제빙 완료 여부는, 예를 들어, 아이스 트레이(102) 내로 제빙수를 공급한 후 경과한 시간을 통해 확인 할 수도 있고, 아이스 트레이(102)의 온도를 통해 확인 할 수도 있다. 또한, 그 이외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빙 완료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단계 S 203의 확인 결과,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제빙수가 제빙 완료된 경우, 아이스 트레이(102) 내로 제빙수를 추가 공급한다(S 205).
다음으로, 이젝터(106)를 구동시킨다(S 207). 즉, 이젝터(106)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이빙하기 시작한다. 이젝터(106)는 제빙수를 추가 공급한 시점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한 후 구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기 설정된 이빙 미완료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209). 예를 들어, 온도 센서(153)를 통해 아이스 트레이(102)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미만인 경우,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이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벽에서 분리되지 못하여 이빙이 미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센서(155)를 통해 이젝터(106)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기 설정된 위치에 미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젝터(106)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기 설정된 위치에 미도달한 경우, 이젝터(106)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기 설정된 위치까지 회전하지 못한 것이므로 이빙이 미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 209의 확인 결과, 기 설정된 이빙 미완료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이빙 히터(108)를 구동시켜 아이스 트레이(102)를 가열한다(S 211). 추가 공급된 제빙수가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벽에서 분리시키지 못하여 이빙이 미완료된 경우, 이빙 히터(108)를 구동시켜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벽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제빙기
102 : 아이스 트레이
104 : 급수부
106 : 이젝터
106-1 : 이젝터 축
106-2 : 이젝터 핀
108 : 이빙 히터
150 : 제빙기 제어 장치
151 : 수위 센서
153 : 온도 센서
155 : 위치 센서
157 : 히터 제어부
159 : 급수 제어부
161 : 이젝터 제어부

Claims (29)

  1. 아이스 트레이;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의 제빙수가 제빙 완료된 경우,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제빙기.
  2. 아이스 트레이;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의 제빙수가 제빙 완료된 경우,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 추가 공급되는 제빙수를 수용하기 위한 연장부가 형성되는, 제빙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추가 공급된 제빙수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과 열 교환하여 상기 얼음을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내벽에서 분리시키는, 제빙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추가 공급된 제빙수는,
    현재 제빙 싸이클이 완료된 후 다음 제빙 싸이클에서 제빙수로 사용되는, 제빙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추가 제빙수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중심부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되는, 제빙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추가 제빙수는,
    상기 급수부가 급수 단계에서 공급하는 제빙수의 수온보다 높은 수온을 가지는, 제빙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상기 급수부 또는 상기 급수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추가 제빙수의 수온을 기 설정된 온도로 높이는 수온 상승용 히터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제빙수의 공급 라인 중 일부가 상기 제빙기가 장착되는 냉장고의 열이 발생되는 부위에 연결되고,
    상기 냉장고의 열이 발생되는 부위에서 열을 전달받아 제빙수의 수온을 상승시키는, 제빙기.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어 제빙수의 수위를 측정하고, 상기 제빙수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를 초과하는 경우 급수 중단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위 센서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추가 제빙수의 급수 시간 또는 급수 횟수가 기 설정된 시간 또는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추가 제빙수의 공급을 중단하는, 제빙기.
  11.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터;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 상부로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급수부;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빙수가 추가 공급된 후 기 설정된 이빙 미완료 조건에 따라 구동되는 이빙 히터를 포함하는, 제빙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이빙 히터는,
    상기 추가 공급된 제빙수가 상기 얼음을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내벽에서 분리시키지 못하는 경우 구동되는, 제빙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이빙 히터는,
    상기 추가 공급된 제빙수의 양이 기 설정된 양 미만인 경우 구동되는, 제빙기.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이빙 히터는,
    상기 추가 제빙수에 따른 온도 변화가 기 설정된 온도 값 미만인 경우 구동되는, 제빙기.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이빙 히터는,
    상기 추가 제빙수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미만인 경우 구동되는, 제빙기.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이빙 히터는,
    상기 이젝터가 회전하기 시작하고 기 설정된 시간에 기 설정된 위치에 미도달한 경우 구동되는, 제빙기.
  17.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18. 아이스 트레이 내의 제빙수가 제빙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빙수가 제빙 완료된 경우,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로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빙기 제어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중심부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로 추가 제빙수를 공급하는, 제빙기 제어 방법.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단계는,
    제빙 싸이클의 급수 단계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 공급하는 제빙수의 수온보다 높은 수온을 가지는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제빙기 제어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높은 수온을 가지는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제빙기가 장착되는 냉장고의 열이 발생되는 부위에서 열을 전달받아 제빙수의 수온을 상승시키는, 제빙기 제어 방법.
  22.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추가 공급된 제빙수가 기 설정된 양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 공급된 제빙수가 기 설정된 양 미만인 경우, 이빙 히터를 구동시켜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제어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추가 공급된 제빙수가 기 설정된 양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추가 공급된 제빙수가 기 설정된 양 이상인 경우, 이젝터를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젝터가 구동된 후 기 설정된 시간에 기 설정된 위치에 미도달한 경우, 이빙 히터를 구동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제어 방법.
  24.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추가 제빙수에 따른 온도 변화가 기 설정된 온도 값 미만인 경우 이빙 히터를 구동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제어 방법.
  25.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단계 이후에,
    기 설정된 이빙 미완료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빙 미완료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이빙 히터를 구동시켜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제어 방법.
  26. 아이스 트레이 내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빙수가 제빙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빙수가 제빙 완료된 경우, 이빙 히터는 구동시키지 않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로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빙기 제어 방법.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단계 이후에,
    기 설정된 이빙 미완료 조건에 따라 상기 이빙 히터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제어 방법.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제빙수를 공급하는 단계에서의 제빙수의 수온보다 높은 수온을 가지는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제빙기 제어 방법.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높은 수온을 가지는 제빙수를 추가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제빙기가 장착되는 냉장고의 열이 발생되는 부위에서 열을 전달받아 제빙수의 수온을 상승시키는, 제빙기 제어 방법.
KR1020140090430A 2013-12-10 2014-07-17 제빙기와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500682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3264 2013-12-10
KR1020130153264 2013-1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277A true KR20150068277A (ko) 2015-06-19

Family

ID=53515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430A KR20150068277A (ko) 2013-12-10 2014-07-17 제빙기와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82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276A (ko) * 2017-05-31 2018-12-10 주식회사 대창 트위스트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90000231A (ko) * 2017-06-22 2019-01-02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00101723A (ko) 2019-02-20 2020-08-28 주식회사 대창 제빙모듈, 냉장고 및 제빙모듈과 냉장고를 연결하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276A (ko) * 2017-05-31 2018-12-10 주식회사 대창 트위스트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90000231A (ko) * 2017-06-22 2019-01-02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00101723A (ko) 2019-02-20 2020-08-28 주식회사 대창 제빙모듈, 냉장고 및 제빙모듈과 냉장고를 연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70727B (zh) 制冰器、具有该制冰器的冰箱及该冰箱的供冰方法
JP2007278548A (ja) 自動製氷装置
KR101446790B1 (ko) 제빙기
KR20070119271A (ko) 냉장고와 이를 이용한 제빙방법
KR20070064207A (ko)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45705A (ko)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50068277A (ko) 제빙기와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JP4994087B2 (ja) 自動製氷機の運転方法
KR101718019B1 (ko) 제빙기용 절전 장치 및 제빙기의 절전 방법
JP5052240B2 (ja) 製氷機の運転方法
JP2008020158A (ja) 冷蔵庫
KR100756994B1 (ko) 냉장고용 제빙기
JP7162339B2 (ja) 冷蔵庫
KR101389674B1 (ko)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빙 완료 판단 방법
JP6385638B2 (ja) 冷蔵庫
KR100672392B1 (ko) 제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각 장치, 그리고 이의 제어방법
KR20060039094A (ko) 냉장고 자동제빙기의 급수호스 히터 제어방법
KR20150132969A (ko) 제빙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60681A1 (zh) 制冷电器
JP2002267303A (ja) 冷蔵庫
JP2012077947A (ja) 冷蔵庫
JP2007212133A (ja) 自動製氷装置及びこの自動製氷装置を備えた冷蔵庫
JP5848081B2 (ja) 自動製氷機の運転方法
KR20170100879A (ko) 고효율 제빙기 제어장치 및 제빙 시스템
KR101197147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및 그 온도이상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