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4207A -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4207A
KR20070064207A KR1020050124880A KR20050124880A KR20070064207A KR 20070064207 A KR20070064207 A KR 20070064207A KR 1020050124880 A KR1020050124880 A KR 1020050124880A KR 20050124880 A KR20050124880 A KR 20050124880A KR 20070064207 A KR20070064207 A KR 20070064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ice making
tray
ejecto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4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8171B1 (ko
Inventor
이남기
정경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4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171B1/ko
Priority to US11/611,340 priority patent/US7810346B2/en
Priority to EP06126231.7A priority patent/EP1798500B1/en
Priority to CN200610170075XA priority patent/CN1982813B/zh
Publication of KR20070064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4Rotating 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6Multiple ice moulds or tray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적은 양의 에너지로 제빙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분리할 수 있는 제빙장치와 냉장고 및 이들의 이빙 및 제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얼음을 얼리는 제빙실이 적어도 1개열(列) 이상 형성되며,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빙 트레이와; 상기 각 제빙실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빙실에서 제빙된 얼음을 배출하는 이젝터와; 상기 제빙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얼음을 제빙 트레이에서 분리시키는 분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는 제빙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얼음의 배출을 위하여 얼음의 자중에 의해 발생하는 힘 및 이젝터가 미는 힘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히터의 작동시간이 짧아질 수 있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냉장고, 제빙장치, 배출,

Description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Ice maker &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의 제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빙장치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에서 회전축이 제빙 트레이의 한쪽 변에 구비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에서 제빙 트레이가 나란한 두 개의 제빙실을 가지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이젝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제빙 트레이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제빙트레이 및 이젝터가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제빙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이젝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제빙 트레이가 회전한 상 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상태에서 이젝터가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제빙 트레이 및 이젝터가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제빙 트레이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제빙 트레이가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른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그리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이다.
* 도면의 주요한 부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 제빙장치 102 : 축
104 : 히터 106 : 구동장치
108 : 급수부 110 : 제빙트레이
112 : 제빙실 114 : 구획판
116 : 단위실 120 : 아이스 뱅크
122 : 얼음 150 : 이젝터
152 : 축 154 : 이젝터 핀
160 : 이젝터 구동부 162 : 구동기어
164 : 종동기어 262 : 무게추
264 : 암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적은 양의 에너지로 제빙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분리할 수 있는 제빙장치와 냉장고 및 이들의 이빙 및 제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분되고, 상기 냉장실은 음식물과 야채를 신선하고 오래 보관할 수 있도록 대략 3~4℃ 온도로 유지되고, 상기 냉동실은 육고기와 음식물 등을 얼린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영하의 온도로 유지된다.
최근 냉장고에는 사용자의 별다른 조작없이 제빙에 관한 일련의 과정들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편리하게 얼음을 얻을 수 있게 하는 제빙장치와, 얼음 또는 물을 냉장고 외부에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디스펜서(dispenser) 등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들이 냉장고에 부가되고 있다. 도 1과 도 2에는 일반적인 냉장고용 제빙장치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제빙장치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인 제빙장치(10)는,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실을 형성하는 제빙 트레이(11), 상기 제빙 트레이(11)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빙실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12), 상기 제빙 트레이(11)의 하면에 장착된 히터(17), 상기 제빙 트레이(11)에서 생성된 얼음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이젝터(ejector)(14), 상기 이젝터(14)를 구 동하는 구동장치(13), 상기 제빙 트레이(11)에서 생성된 얼음을 받아 저장하는 아이스 뱅크(ice bank)(20), 그리고 상기 아이스 뱅크(20)에 채워진 얼음의 양을 감지하는 만빙 감지 장치(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급수부(12)는 냉장고 외부의 급수원(미도시)에 연결되고, 상기 제빙이 요구되면 상기 제빙 트레이(11) 내로 물을 공급한다. 상기 제빙 트레이(11)는 대략 반원통형 단면을 가지며, 그 내면에는 상기 제빙 트레이(11)에서 일정 크기의 얼음이 여러 개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빙실을 여러 개의 단위실로 분리하는 구획판들을 가진다.
상기 히터(1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빙 트레이(11)의 하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빙 트레이(11)를 가열하여 상기 얼음을 녹여줌으로써 상기 얼음을 상기 제빙 트레이(11)로부터 분리시켜준다.
상기 이젝터(14)는 상기 제빙 트레이(11)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서 수직하게 돌출된 다수의 이젝터 핀(14a)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이젝터 핀(14a)은 상기 구획판들에 의해 구획된 각 단위실에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이젝터 핀(14a)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각 단위실 내의 얼음이 상기 제빙 트레이(11)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제빙 트레이(11)에서 얼음이 배출되는 쪽에는 상기 이젝터(14)의 회전축 근처까지 슬라이드(16)가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빙 트레이(11)로부터 배출된 얼음은 상기 슬라이드(16)를 타고 미끄러진 후 상기 제빙장치(10)의 아래에 배치된 아이스 뱅크(20)에 저장된다.
상기, 만빙 감지 장치(15)는 상기 구동장치(13)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아이스 뱅크(20)에 채워진 얼음의 양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아이스 뱅크(20)가 얼음으로 가득 차면, 상기 만빙 감지 장치(15)는 충분히 하강하지 못하며, 이에 의해 상기 아이스 뱅크(20)의 만빙 여부가 감지된다.
상술한 일반적인 냉장고용 제빙장치는, 상기 얼음을 상기 제빙 트레이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히터, 이젝터, 그리고 이젝터를 위한 구동장치를 필요로 한다. 그리고, 아이스 뱅크의 만빙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만빙 감지 장치와 이를 위한 구동장치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구성 요소가 많고 복잡하며, 제작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더해, 일반적인 냉장고용 제빙장치에서는 상기 아이스 뱅크의 만빙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만빙 감지 장치가 회전하여야 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빙 트레이 옆에 상기 만빙 감지 장치의 회전을 위한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야 했다. 따라서, 상기 제빙 트레이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게 설계될 수밖에 없었으며, 이에 의해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양의 얼음을 생산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나아가, 일반적인 냉장고용 제빙장치는, 상기 이젝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빙 트레이 내의 얼음을 퍼내기 전에 상기 히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빙 트레이를 충분히 가열해 주어야 한다. 그래야만 상기 이젝터와 구동장치의 손상 없이 상기 얼음을 상기 제빙 트레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히터를 장시간 가열해야만 하며, 이에 의해 많은 양의 에너지가 소비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얼 음이 과도하게 녹기 때문에 상기 얼음이 이젝터에 의해 배출될 때 물도 함께 튀겨져 나오게 된다. 상기 제빙 트레이로부터 튀겨져 나온 물은 상기 아이스 뱅크 내로 유입된 후 상기 아이스 뱅크 내의 얼음들을 결속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아이스 뱅크 내의 얼음을 냉장고의 디스펜서 등으로 자동 배출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양의 얼음을 생산할 수 있도록 제빙장치의 구조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빙을 위한 제빙장치의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빙을 위해 필요한 해빙 량을 최소화하여 이빙 시 제빙장치로부터의 낙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얼음을 얼리는 제빙실이 적어도 1개열(列) 이상 형성되며,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빙 트레이와; 상기 각 제빙실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빙실에서 제빙된 얼음을 배출하는 이젝터와; 상기 제빙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얼음을 제빙 트레이에서 분리시키는 분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는 제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얼음을 얼리는 제빙실이 적어도 1개열(列) 이상 형성되며,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빙 트레이와; 상기 각 제빙실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고정되어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에 의하여 상 기 제빙실에서 제빙된 얼음을 배출하는 이젝터와; 상기 제빙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얼음을 제빙 트레이에서 분리시키는 분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빙 트레이의 제빙실에 얼음을 얼리는 제빙단계와; 제빙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빙완료 판단단계와; 얼음을 제빙실에서 분리하는 분리단계와; 제빙실의 얼음을 제빙실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단계와; 상기 제빙 트레이 및 이젝터가 초기위치로 복귀되는 복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빙 트레이의 제빙실에 얼음을 얼리는 제빙단계와; 제빙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빙완료 판단단계와; 제빙 트레이를 회전하는 회전단계와; 얼음을 제빙실에서 분리하는 분리단계와; 분리된 얼음을 제빙실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단계와; 얼음의 배출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배출완료 판단단계와; 제빙 트레이 및 이젝터가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복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가 적용되는 냉장고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실, 예를 들어 냉장실(1)과 냉동실(2)을 가진다. 상기 냉각실들은 증발기(4), 압축기(3), 그리고 상기 증발기(4) 주변의 냉기를 상기 냉각실들에 공급하는 냉각팬(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냉각실들은 하나의 증발기(4)와 하나의 냉각팬(5)에 의해 냉각되거나, 다수의 증발기와 냉각팬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2)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가 제공되며, 상기 제빙장치(100)의 아래에는 상기 제빙장치(100)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받아 저장하는 아이스 뱅크(120)가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는 일반적인 제빙 장치와는 달리 제빙 트레이가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얼음의 자중을 이빙 시에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얼음을 상기 제빙 트레이로부터 분리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에는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에 의한 얼음의 배출을 돕는 분리장치 및 배출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분리장치 및 배출장치는, 상기 얼음과 제빙 트레이의 경계에 열 또는 운동 에너지를 독립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가하여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 시 얼음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돕는다.
도 4 내지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빙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을 받아 얼음을 생산하는 제빙실(112)은 예를 들어 상부가 개방된 반 원통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빙실(1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빙 트레이(109)에 하나가 구비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빙 트레이(110)에 두 개가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제빙실(112)은 상기 제빙 트레이(110)에 여러 개가 구비될 수도 있고, 반 원통 형상이 아닌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에는 큰 회전 반경을 요구하는 종래의 만빙 감지 장치와 같은 구성 요소들이 없다. 따라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의 제빙 트레이(110)는 그 폭을 종래보다 훨씬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제빙실(112)을 나란히 배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번에 많은 양의 얼음을 생산할 수 있다.
상기 제빙실(112)은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다수의 구획판(114)들에 의해 다수의 단위실(116)로 나뉘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제빙 트레이(110)는 한번에 여러 개의 얼음 조각을 만들 수 있다.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회전 시 상기 얼음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각 구획판(114)들은 예를 들어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회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종래의 제빙 트레이는 이젝터에 의해 배출된 얼음을 제빙 장치 아래에 배치된 아이스 뱅크로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드가 필요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를 회전시켜 상기 제빙 트레이(110) 내의 얼음을 상기 아이스 뱅크(120)로 배출한다. 따라서, 상기 제빙 트레이(110)에는 종래의 슬라이드에 대응하는 구성요소가 제공되지 않아도 무방하므로 제빙 트레이(110)의 구조가 단순하다.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일측에는 상기 제빙실(112)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108)가 구비된다. 상기 급수부(108)는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되며, 상기 제빙 트레이(110) 내의 얼음이 이빙된 상태에서 제빙이 요구될 때 상기 제빙실(112)에 소정 량의 물을 공급한다.
상기 제빙 트레이(110)는 예를 들어,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에 배치된 축(10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변에 배치된 축(102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축(102)이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한쪽 변에 배치된 경우에는 제빙 트레이(110)의 회전 반경이 커지게 된다.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회전을 위해,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일측에는 구동장치(106)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장치(106) 내에는 상기 축(102)과 실질적으로 동축을 이루는 구동축(미도시)과 연결된 구동부품(미도시)들이 구비되고, 상기 제빙 트레이(110)는 상기 구동축과 연결된다. 상기 구동장치(130)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빙 트레이(110)에 장착될 수 있는 부품들과 상기 구동장치(106)를 연결하는 배선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구동장치(106)의 구동부품은 정/역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동장치(106)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를 소정의 각도씩, 예를 들어 180°또는 90°씩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텝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빙 트레이(110)는 상기 구동장치(106)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다양한 형상과 제빙 용량을 가진 제빙 트레이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켜줄 수 있을 뿐만 아니 라, 1회 제빙 량을 적절히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빙 트레이(110)에, 얼음이 제빙 트레이(110)에서 분리될 수 있게 가열하는 분리수단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분리수단으로서는 열을 이용하여 얼음과 제빙 트레이(110)를 분리하는 히터(104)가 적용된다.
상기 히터(104)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에 물리적으로 접촉되도록 장착되거나, 상기 제빙 트레이(110)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 내지 도 8에는 상기 히터(104)가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바닥면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히터(104)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일면, 예를 들면 바닥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히터(104)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 내에 내장되거나,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내면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적어도 일부가 전기가 인가되었을 때 발열 가능한 저항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히터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일측에는 제빙 트레이(110)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제빙완료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온도센서(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한 제빙장치(100)에는 제빙실(112)에서 제빙된 얼음을 배출하는 이젝터(1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젝터(15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발명의 제빙장치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젝터는 상기 제빙실에 회 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빙실에서 제빙된 얼음을 밀어서 아이스 뱅크(120)로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이젝터(150)는 상기 제빙장치(100)의 각 제빙실(112)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빙장치(100)에 제빙실(112)이 단일하게 형성되었다면 상기 제빙실(11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빙실(112)이 2개열(列)이상 구비되었다면 상기 각 제빙실(11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도7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이젝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이젝터(150)는 축(152)과, 이젝터 핀(154), 그리고, 이젝터 구동부(1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축(152)은 상기 제빙실(112)의 상부에 제빙실(112)의 종축을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양단이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152)은 상기 제빙실(112)을 횡단면으로 보았을 때 그 중앙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젝터 핀(154)은 상기 축(152)에 소정간격마다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축(152)이 회전할 때 상기 제빙실(112) 내부를 지나가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이젝터 핀(154)이 돌출되는 방향은 상기 축(152)에 수직한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빙실(112) 내부에 얼음이 얼려져 있을경우, 상기 이젝터 핀(154)이 지나가면서 얼음을 밀어 얼음이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축(152)을 회전시키는 이젝터 구동부(16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젝터 구동부(160)는 구동장치(106)의 회전력을 이용 하여 상기 이젝터(150)의 축(152)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젝터 구동부(160)는, 상기 구동장치(106)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기어(162)와, 상기 이젝터(150)에 축결합되고 상기 구동기어(162)에 치합되는 종동기어(1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동기어(162)는 상기 구동장치(106)의 구동축에 직접 축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구동장치(106)에 기어등의 부품으로서 치합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기어(162)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축(102)에 축결합되어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동장치의 회전력을 단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클러치(미도시)등의 부품등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되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과는 별도로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장치(106)가 회전되고, 상기 제빙 트레이(110)가 구동장치(106)의 회전력에 따라 회전되며,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축(102)에 결합된 구동기어(162)도 같이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구동기어(162)에 치합된 종동기어(164)가 회전하며 그에 따라 상기 축(152)과 이젝터 핀(154)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젝터 핀(154)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얼음이 일측으로 가압되어 제빙실(112)의 벽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기 제빙실(112)에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본발명의 제빙장치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0은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제빙 트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구성중, 제빙 트레이(110)와, 구동장치(106)와, 히터(104)등의 구성요소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와 상이한 부분인 이젝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젝터(250)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빙장치(100)의 각 제빙실(112)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빙장치(100)에 제빙실(112)이 단일하게 형성되었다면 상기 제빙실(11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빙실(112)이 2개열(列)이상 구비되었다면 상기 각 제빙실(11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이젝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이젝터(250)는 축(252)과, 이젝터 핀(254), 그리고, 관성 구동부(2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축(252)과 이젝터 핀(154)은 그 형상 및 기능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관성 구동부(260)는 상기 축(252)의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 비교적 무거운 무게를 가지는 구성요소가 위치되어 상기 제빙 트레이(110)가 회전할 때 자중에 의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축(252)을 제빙 트레이(110)에 대하여 상 대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관성 구동부(260)는 무게추(262)와, 일단은 상기 축(252)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무게추(262)에 연결된 암(2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무게추(262)는 무거운 것일수록 상기 제빙실(112)의 얼음을 배출하는 효과가 향상되나, 이는 제품의 용량 및 크기에 따라 변하게 되는 수치이고,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속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무게추의 무게에 대해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암(264)은 상기 무게추(262)를 이젝터(250)의 축(252)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곳에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상기 이젝터(250)의 축(252)에 가해지는 회전력은 상기 암(264)이 길면 길수록 커지나, 이는 제품의 용량 및 크기에 따라 변하게 되는 수치이고, 당업자라면 최적의 암(264)의 길이를 도출하는데 어려움이 없을것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암의 길이에 대해서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관성 구동부(260)는 상기 이젝터(250)의 축(252)의 일단에만 형성될 수 있고,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제빙 트레이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따라서, 상기 제빙 트레이(11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이젝터(250)의 암(264) 및 무게추(262)는 항상 중력방향을 향하려고 하므로 상기 이젝터(150)를 회 전시키려는 힘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제빙실(112)에 얼음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빙 트레이(110)가 회전을 하면 상기 이젝터 핀(254)이 얼음에 지지되어 축(252)이 회전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상기 무게추(262)는 축(252)의 중심부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점점 멀어져 간다.
도13 및 도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제빙 트레이 및 이젝터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따라서, 상기 무게추(262)의 질량과 상기 무게추(262)에서부터 축(252)의 중심부까지의 거리(d)에 의해서 상기 이젝터(250)를 회전하려는 회전력(M)이 발생되며 그에 따라 상기 이젝터 핀(254)이 상기 얼음(122)을 일측방향으로 가압하여 밀어내려는 힘을 작용시켜 얼음(122)이 이동되어 아이스 뱅크(120)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얼음이 이빙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센서는 상기 이젝터(250)가 회전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이젝터(150)가 회전하면 상기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얼음(122)이 이빙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센서는 상기와 같이 이젝터(250)의 회전을 감지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가지 다른 방식으로 얼음(122)의 이빙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도 설명하였다시피,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지 않은 제빙장치의 다른 구성요소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본발명의 제빙장치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빙트레이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구성중, 제빙 트레이(110)와, 구동장치(106)와, 히터(104)등의 구성요소는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제빙장치와 상이한 부분인 이젝터(35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젝터(350)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상기 제빙장치(100)의 각 제빙실(112)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빙장치(100)에 제빙실(112)이 단일하게 형성되었다면 상기 제빙실(112)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빙실(112)이 2개열(列)이상 구비되었다면 상기 각 제빙실(112)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이젝터는 축(352)과, 이젝터 핀(354)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빙장치에 적용되는 이젝터(350)와 전술한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이젝터(150,250)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이젝터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데 반하여,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이젝터(350)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젝터의 축(352)은 상기 제빙 트레이(110)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전하지 않는 기타의 구성물로부터 지지되는 지지부(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각 제빙실(112) 상측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축(352)은 위에서 설명하였다시피 고정되게 구비되며, 제빙 트레이(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이젝터 핀(354)은 상기 축(352)에 소정간격을 따라 일측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젝터 핀(354)은 상기 제빙 트레이(110)가 회전하면서 제빙실(112)의 내부로 고정된 이젝터 핀(354)이 들어가게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제빙 트레이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따라서, 상기 이젝터 핀(354)이 상기 제빙실(112)의 내부에 있는 얼음(122)을 가압하게 되어 얼음(122)이 밀리게 되어 제빙실(112)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제빙 트레이(110)는 최초의 수평상태로부터 90°미만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빙 트레이(110)가 90°미만으로 회전하면 상기 히터(104)가 얼음(122)과 제빙실(112) 사이를 녹일때 발생하는 해빙수가 제빙 트레이(110)에서 떨어지지 않고 제빙실(112) 내에 남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빙 트레이가 90°미만으로 회전되더라도 상기 이젝터 (150)가 얼음(122)을 배출하는데 도움을 주므로 얼음 배출에 불리한 점이 없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예들의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6은 본발명의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른 제1실시예는 제빙단계(S110), 제빙완료 판단단계(S120), 분리단계(S130), 배출단계(S140), 그리고 복귀단계(S1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빙단계(S110)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제빙실(112)에 얼음(122)이 얼려지는 단계이다. 상기 제빙단계(S110)의 후에는 제빙완료 판단단계(S120)가 시행된다.
상기 제빙완료 판단단계(S120)는 상기 제빙실(112)에 얼음(122)이 완전히 얼려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제빙 트레이(110)의 온도를 측정하여 소정온도 이하이면 제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분리단계(S130)가 시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제빙실(112)에서 얼려진 얼음(122)은 제빙실(112)의 벽면에 붙어있는데, 상기 분리단계(S130)에서는 이렇게 제빙실(112)의 벽면에 들러붙은 얼음(122)을 떼어내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얼음(122)을 제빙실(112)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히터(104) 를 사용하여 상기 얼음을 가열함으로써 얼음(122)이 제빙실(112)에 들러붙은 부분을 녹임으로써 얼음을 분리하는 방법을 쓰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 이외에도 물리력등을 사용해서 얼음을 분리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분리단계(S130)에서 상기 얼음(122)을 제빙실(112)로부터 완전히 분리할 수도 있으나, 상기 얼음(122)의 일부 부위만 분리시킬 수도 있다. 이에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단계(S130)가 완료되면 배출단계(S140)가 시행된다.
상기 배출단계(S140)는 상기 제빙실(112)의 얼음(122)을 제빙실(112)의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배출되는 얼음(122)은 아이스 뱅크(120)로 이동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단계(S140)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 및 이젝터(150)를 회전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배출단계(S140)는 상기 이젝터(150)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제빙장치에서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만 회전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얼음(122)의 배출이 완료되면 제빙 트레이(110) 및 이젝터(150)가 초기위치로 복귀되는 복귀단계(S150)가 시행되고, 상기 복귀단계(S150)후에는 다시 제빙단계(S110)가 시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단계(S130)에 대해서 좀 더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실시예들 에서는 상기 분리단계(S130)에서 얼음(122)을 제빙실(112)로부 터 분리하는 수단으로서 히터(104)가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여기서는 상기 히터(104)의 작동시간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얼음(122)이 녹을수록 얼음(122)이 제빙실(112) 벽면에 붙는 결합력은 약해진다. 따라서, 상기 히터(104)는 이러한 결합력이 상기 제빙 트레이(110)가 회전함에 따라 얼음(122)의 자중으로 인해 하부로 작용되는 힘 및 상기 이젝터(150)에 의해 밀어짐으로써 가해지는 힘보다 작을때 까지 상기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히터(104)가 가열됨에 따라 상기 얼음(122)의 제빙실(112) 벽면에 들러붙은 경계면중 일부가 녹게됨에 따라 얼음(122)이 제빙실(112) 벽면에 붙는 결합력이 약해지게 되고, 거기에 더하여 상기 제빙 트레이(110)가 회전함에 따라 얼음(122)에 자중으로 인한 무게로 하부로 힘이 작용되며, 이에 더하여 이젝터 핀(154)이 상기 얼음(122)을 밀어내는 힘이 작용된다.
그러므로, 상기 얼음(122)의 제빙실(112)의 벽면에 들러붙은 경계면이 전부 다 녹지 않더라도 자중 및 이젝터(150)에 의해 작용되는 힘으로써 얼음(122)의 제빙실(112)의 벽면에 들러붙은 부분중 아직 녹지 않은 부분을 떼어내게 되어 상기 얼음(122)이 제빙실(1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히터(104)가 상기 제빙 트레이(110)를 가열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빙 트레이(110)는 서서히 가열되면서 상기 얼음(122)과의 경계면을 녹이게 된다. 그런데, 상기 경계면 중 히터(104)와 인접한 부분은 빨리 그리고 많이 녹는 반면, 상기 히터(104)와 떨어진 부분은 늦게 그리고 적게 녹는다. 따라서, 상 기 경계면에 국부적으로 과도한 해빙이 발생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얼음(122)이 필요 이상 과도하게 녹는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얼음(122)과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경계면에 공급되는 열 에너지의 공급 방법 및 시간 등을 적절히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빙 트레이(110)와 얼음의 경계에 짧은 시간에 높은 에너지를 가할 것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빙 트레이(110)를 가열하는 히터(104)에 순간적으로 높은 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히터(104)는 순간적으로 고온으로 발열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빙 트레이(110) 또한 순간적으로 가열되면서, 상기 얼음(122)과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경계면을 적어도 일부 녹이게 된다. 이때, 상기 제빙 트레이(110)가 이미 회전한 상태이거나 회전한다면, 상기 경계면이 국부적으로 과도하게 해빙되기 전에 상기 얼음이 자중 또는 이젝터(150)의 힘에 의해 상기 제빙 트레이(110)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얼음의 과도한 해빙에 의해 제빙 트레이(110)의 회전 시 물이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빙 트레이(110)가 필요 이상 가열되어 전력의 과다하게 낭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얼음(122)이 자중으로써 하측으로 작용되는 힘은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회전각도에 의해 달라지게 되고, 상기 이젝터(150)가 얼음을 밀어내는 힘은 구동장치(106)의 회전력에 의해 달라지는 값이며, 당업자라면 이들 값에 대하여 자명하게 알 수 있는 사항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기 히터의 발열시간 또는 발열량을 특정하지는 않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히터의 작동시간이 제어되면, 얼음이 녹아 발생하는 물이 최소화 될 수 있고, 얼음(122)의 제빙실(112)의 벽면에 들러붙은 부분을 전부 녹이는 방식에 비하여 히터(104)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히터(104)가 작동되는 시간은 컨트롤부에 미리 셋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의 제2실시예는 제빙단계(S210), 제빙완료 판단단계(S220), 회전단계(S230), 분리/배출단계(S240), 배출완료 판단단계(S250), 그리고 복귀단계(S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빙단계(S210) 및 제빙완료 판단단계(S220)는 전술한 제빙장치의 제어방법의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빙완료 판단단계(S220)에서 얼음의 제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회전단계(S230)가 시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단계(S230)는 제빙 트레이(110)가 회전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회전이 완료되면 얼음을 제빙실(112)에서 분리하는 분리/배출단계(S240)가 시행될 수 있다.
상기 분리/배출단계(S240)는 제빙실(112)의 벽면에 들러붙은 얼음(122)을 떼 어내는 단계 및 제빙실(112)에서 분리된 얼음(122)을 제빙실(112)의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분리/배출단계(S240)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일반적으로, 상기 얼음(122)을 제빙실(112)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히터를 사용하여 상기 얼음(122)을 가열함으로써 제빙실에 들러붙은 얼음(122)의 외측면을 녹임으로써 얼음을 분리하는 방법을 쓴다.
여기서, 상기한 제빙장치의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회전단계(S230)에서 제빙 트레이(110)가 회전하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관성 구동부(260)로 인해 이젝터 핀(354)이 얼음(122)을 밀고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제빙 트레이(110)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얼음(122)이 자중으로 인해 하측으로 떨어지려는 힘이 작용되고 있는 상태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히터(104)가 작동되어 얼음(122)을 녹이게 되면, 얼음(122)이 제빙실(112) 벽면에 붙는 결합력이 이젝터(350)에 의해 밀려지는 힘과 자중으로 인해 작용하는 힘보다 작아지는 순간 상기 얼음(122)이 제빙실(112)에서 분리되게 된다.
분리된 얼음(122)은 상기 이젝터 핀(354)에 의해 계속 밀리게 되어 제빙실(112)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얼음(122)의 분리와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분리/배출단계(S240)의 후에는 얼음(122)의 배출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배출완료 판단단계(S250)가 시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완료 판단단계(S250)는 상기 이젝터(250)의 회전여부로 배출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젝터(250)가 회전되었으면 얼음(122)의 배출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이젝터(250)가 회전되지 않았으면 얼음(122)의 배출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이젝터(250)의 회전유무 검출은 이젝터(250)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완료 판단단계(S250)는 상기 이젝터(250)가 소정각도로 회전되었을 때 이를 판단하여 이젝터(250)가 회전되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완료 판단단계(S250)에서 얼음(122)의 배출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상기 분리단계(S240)에서 작동된 히터(104)의 작동을 중지한다.
따라서, 상기 히터(104)는 자연적으로 얼음(122)이 제빙실(112) 벽면에 붙는 결합력이 상기 제빙 트레이(110)가 회전함에 따라 얼음(122)의 자중으로 인해 하부로 작용되는 힘 및 상기 이젝터(250)에 의해 밀어짐으로써 가해지는 힘보다 작아지는 순간까지 작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히터(104)의 작동시간이 최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얼음이 녹아 발생하는 물이 최소화 될 수 있고, 얼음(122)의 제빙실(112)의 벽면에 들러붙은 부분을 전부 녹이는 방식에 비하여 히터(104)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히터(104)의 작동시간을 따로 설정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히터(104)가 작동중지 된후에 제빙 트레이(110) 및 이젝터(250)가 초기위치로 복귀단계(S270)가 시행되고, 상기 복귀단계(S270)후에는 다시 제빙단계(S210)가 시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종래의 구조에서는 얼음의 배출을 위하여 제빙장치의 일측면에 얼음배출을 위한 공간을 남겨두어야 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빙장치에 따르면 제빙 트레이가 회전하면서 확보되는 공간을 이용하여 얼음을 배출하므로 그만큼 제빙공간을 늘릴 수 있어 제빙량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얼음의 배출을 위하여 얼음의 자중에 의해 발생하는 힘 및 이젝터가 미는 힘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히터의 작동시간이 짧아질 수 있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히터의 작동시간 짧아지므로 히터의 가열에 의해 녹는 얼음의 양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그에 따라 낙수를 최소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 가 있다.

Claims (18)

  1. 얼음을 얼리는 제빙실이 적어도 1개열(列) 이상 형성되며,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빙 트레이;
    상기 각 제빙실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빙실에서 제빙된 얼음을 배출하는 이젝터;
    상기 제빙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얼음을 제빙 트레이에서 분리시키는 분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빙장치.
  2. 얼음을 얼리는 제빙실이 적어도 1개열(列) 이상 형성되며,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빙 트레이;
    상기 각 제빙실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고정되어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빙실에서 제빙된 얼음을 배출하는 이젝터;
    상기 제빙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얼음을 제빙 트레이에서 분리시키는 분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장치는 상기 얼음을 가열하는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얼음과 제빙실 사이에 작용하는 결합력이 이젝터가 얼음을 밀어내는 힘보다 작을 때까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얼음이 과도하게 녹아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시 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얼음과 상기 제빙 트레이의 경계에 짧은 시간 동안 높은 에너지를 가하여 상기 얼음이 상기 제빙 트레이에 붙어있는 경계면을 적어도 일부 녹이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빙 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는,
    상기 제빙실의 길이방향을따라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축;
    상기 축에 소정간격마다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축의 회전을 따라 제빙실내의 얼음을 밀어내는 이젝터 핀;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력으로 상기 이젝터를 회전시키는 이젝터 구동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 구동부는,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기어;
    상기 이젝터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8.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는,
    상기 제빙실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축;
    상기 축에 소정간격마다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축의 회전을 따라 제빙실내의 얼음을 밀어내는 이젝터 핀;
    상기 제빙 트레이가 회전할 때 자중으로써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축을 상기 제빙 트레이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키는 관성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구동부는,
    무게추;
    일단은 상기 축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무게추에 연결된 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가 회전하였는지를 측정하는 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는,
    상기 제빙실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제빙 트레이의 상측에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고정되도록 위치되는 축;
    상기 축에 소정간격마다 제빙실을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에 의해 제빙실내의 얼음을 밀어내는 이젝터 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12. 제빙 트레이의 제빙실에 얼음을 얼리는 제빙단계;
    제빙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빙완료 판단단계;
    얼음을 제빙실에서 분리하는 분리단계;
    제빙실의 얼음을 제빙실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단계;
    상기 제빙 트레이 및 이젝터가 초기위치로 복귀되는 복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단계는,
    상기 제빙 트레이와 이젝터가 회전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단계는 상기 제빙 트레이가 회전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15. 제빙 트레이의 제빙실에 얼음을 얼리는 제빙단계;
    제빙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빙완료 판단단계;
    제빙 트레이를 회전하는 회전단계;
    얼음을 제빙실에서 분리하는 분리단계;
    분리된 얼음을 제빙실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단계;
    얼음의 배출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배출완료 판단단계;
    제빙 트레이 및 이젝터가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복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완료 판단단계는 상기 이젝터의 회전여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완료 판단단계에서 배출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분리단계가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2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단계는 히터를 사용하여 얼음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50124880A 2005-12-16 2005-12-16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08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880A KR100808171B1 (ko) 2005-12-16 2005-12-16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611,340 US7810346B2 (en) 2005-12-16 2006-12-15 Icemak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06126231.7A EP1798500B1 (en) 2005-12-16 2006-12-15 Icemak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0610170075XA CN1982813B (zh) 2005-12-16 2006-12-18 制冰机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880A KR100808171B1 (ko) 2005-12-16 2005-12-16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207A true KR20070064207A (ko) 2007-06-20
KR100808171B1 KR100808171B1 (ko) 2008-03-03

Family

ID=37876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4880A KR100808171B1 (ko) 2005-12-16 2005-12-16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10346B2 (ko)
EP (1) EP1798500B1 (ko)
KR (1) KR100808171B1 (ko)
CN (1) CN198281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5228A2 (en) * 2007-09-13 2009-03-19 Lg Electronics Inc. Power transmission assembly and ice-making assembly using the same
KR20110038370A (ko) * 2009-10-08 2011-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41568A1 (de) * 2008-08-26 2010-03-0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Eisbereiter
CN102770727B (zh) * 2010-02-23 2014-11-26 Lg电子株式会社 制冰器、具有该制冰器的冰箱及该冰箱的供冰方法
US8408016B2 (en) * 2010-04-27 2013-04-0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Ice maker with rotating ice mold and counter-rotating ejection assembly
KR20110135124A (ko) * 2010-06-10 2011-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및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된 냉장고
JP2012073010A (ja) * 2010-09-30 2012-04-12 Nidec Sankyo Corp 製氷装置
KR20120082990A (ko) * 2011-01-17 2012-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US8844313B2 (en) * 2011-05-24 2014-09-30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making assembly with bimetallic actuating element and refrigeration appliance incorporating same
US20130104586A1 (en) * 2011-10-31 2013-05-02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hot water dispenser and related control system
US9032744B2 (en) * 2013-01-14 2015-05-19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maker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S2791727T3 (es) 2014-02-24 2020-11-05 Lg Electronics Inc Dispositivo para fabricación de hielo, refrigerador que incluye dispositivo para fabricación de hielo, y método para controlar el refrigerador
US20160216020A1 (en) * 2015-01-28 2016-07-28 Harold Safrin Automated Ice Cube Makers with Interchangeable Trays for Making Stylized Ice Cubes
DE102015002424B4 (de) * 2015-02-26 2022-02-24 Emz-Hanauer Gmbh & Co. Kgaa Kühl- oder/und Gefriergerät mit einem Eisbereitungsmodul
KR101863241B1 (ko) 2017-06-08 2018-05-31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얼음 제조 장치
KR102140712B1 (ko) 2017-12-12 2020-08-19 옵토이엔지(주) 얼음량 감지 장치 및 방법
CN108253676B (zh) * 2017-12-14 2020-03-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制冰机的控制方法
US10890367B2 (en) * 2018-07-03 2021-01-1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ouble row barrel ice maker with overhead extraction
EP4123245A1 (en) * 2018-11-16 2023-01-25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CN110307692B (zh) * 2019-06-11 2021-03-02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冰箱制冰的控制方法、控制装置和冰箱
CN110412068B (zh) * 2019-08-02 2021-12-31 新疆大学 一种测试矿区粉尘加速冰川消融的实验方法
CN112460875A (zh) * 2020-11-27 2021-03-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制冰时间调节方法、装置、存储介质及冰箱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2468A (en) * 1962-12-14 1965-05-11 Erling B Archer Automatic ice cube freezing apparatus
US3182464A (en) * 1962-12-14 1965-05-11 Erling B Archer Automatic ice making devices
US3662564A (en) 1969-10-17 1972-05-16 Whirlpool Co Ice maker construction
US3702543A (en) 1970-05-22 1972-11-14 Whirlpool Co Ice making apparatus
US3779033A (en) 1972-04-17 1973-12-18 Whirlpool Co Harvest auger for ice maker
JPS5084851U (ko) * 1973-12-06 1975-07-19
JPS5151057Y2 (ko) * 1973-12-27 1976-12-08
US4697432A (en) * 1986-07-24 1987-10-06 Emhart Industries, Inc. Ice maker system
US4756165A (en) * 1987-08-03 1988-07-12 Whirlpool Corporation Single revolution ice maker
US5123260A (en) 1991-10-28 1992-06-23 Wilshire Corporation Thrust bearing for auger type ice maker
US5582754A (en) * 1993-12-08 1996-12-10 Heaters Engineering, Inc. Heated tray
KR100202064B1 (ko) * 1996-08-31 1999-06-15 전주범 제빙기의 제빙그릇 이빙장치
US6112540A (en) * 1998-04-07 2000-09-05 Varity Automotive, Inc. Ice maker
US6637217B2 (en) * 2000-12-30 2003-10-28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for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3279221A (ja) 2002-03-22 2003-10-02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EP1482261B1 (en) 2003-05-28 2014-01-01 LG Electronics, Inc. Ice supply system
EP1491833A1 (en) 2003-06-25 2004-12-29 Lg Electronics Inc. Ice bank of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20050027357A (ko) * 2003-09-15 2005-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급속제빙장치 및 방법
KR100510698B1 (ko) 2003-09-17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용 디스펜서
KR100565621B1 (ko) * 2003-09-19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565624B1 (ko) 2003-09-25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제빙기용 이젝터의 회전 제어장치
KR100693578B1 (ko) 2003-11-27 200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아이스 메이커
US7146820B2 (en) * 2004-09-24 2006-12-12 Molex Incorporated Ice maker for refrigera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5228A2 (en) * 2007-09-13 2009-03-19 Lg Electronics Inc. Power transmission assembly and ice-making assembly using the same
WO2009035228A3 (en) * 2007-09-13 2009-05-14 Lg Electronics Inc Power transmission assembly and ice-making assembly using the same
US8650899B2 (en) 2007-09-13 2014-02-18 Lg Electronics Inc. Power transmission assembly and ice-making assembly using the same
KR20110038370A (ko) * 2009-10-08 2011-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82813A (zh) 2007-06-20
EP1798500B1 (en) 2017-09-27
EP1798500A3 (en) 2014-01-15
US7810346B2 (en) 2010-10-12
EP1798500A2 (en) 2007-06-20
KR100808171B1 (ko) 2008-03-03
US20070151282A1 (en) 2007-07-05
CN1982813B (zh)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171B1 (ko)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593934B2 (ja) アイスメーカーを備えた冷蔵庫
KR20180080021A (ko) 제빙장치,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제빙방법
US7210299B2 (en) Rotary type ice maker and method for making ice using the same
KR101601653B1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00137637A (ko) 제빙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182276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70119271A (ko) 냉장고와 이를 이용한 제빙방법
KR100786076B1 (ko)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94587A (ko)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83504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6131457B2 (ja) 製氷装置および冷蔵庫
WO2018163332A1 (ja) 自動製氷機及び冷凍冷蔵庫
KR100781287B1 (ko) 제빙 장치 및 이의 얼음량 감지 방법, 그리고 냉장고
KR101483028B1 (ko) 냉장고 제빙기의 제어 방법
KR100565607B1 (ko)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KR100672392B1 (ko) 제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각 장치, 그리고 이의 제어방법
KR100662445B1 (ko) 제빙장치
JP2002340455A (ja) 自動製氷装置を備えた冷蔵庫とその制御方法
KR100621241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의 제빙방법
KR100565500B1 (ko) 제빙기의 제어방법
KR20050024702A (ko) 냉장고용 급속제빙기
KR20080001004A (ko) 냉장고와 이를 이용한 제빙방법
KR100565615B1 (ko) 냉장고의 제빙기
KR100600726B1 (ko) 냉장고의 제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