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019B1 - 제빙기용 절전 장치 및 제빙기의 절전 방법 - Google Patents

제빙기용 절전 장치 및 제빙기의 절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019B1
KR101718019B1 KR1020100063618A KR20100063618A KR101718019B1 KR 101718019 B1 KR101718019 B1 KR 101718019B1 KR 1020100063618 A KR1020100063618 A KR 1020100063618A KR 20100063618 A KR20100063618 A KR 20100063618A KR 101718019 B1 KR101718019 B1 KR 101718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ing
time
power
m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881A (ko
Inventor
이호연
김성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3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019B1/ko
Priority to US13/175,729 priority patent/US20120000216A1/en
Publication of KR20120002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12Temperature of ice tr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기용 절전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빙기용 절전 장치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기설정된 제빙 단계와 이빙/급수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제빙기; 및 상기 제빙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빙 단계가 수행되는 동안에 상기 제빙기로의 전원을 차단하는 절전 모듈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빙 단계를 수행하는 동안에 제빙기로의 전원을 차단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빙기용 절전 장치 및 제빙기의 절전 방법{POWER SAVING APPARATUS FOR ICE MAKER AND POWER SAVING METHOD OF ICE MAKER}
본 발명은 제빙기용 절전 장치 및 제빙기의 절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빙 단계를 수행하는 동안에 제빙기로의 전원을 차단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제빙기용 절전 장치 및 제빙기의 절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하여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내부에 냉장실과 냉각실이 격벽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냉장고 본체와, 냉각실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냉동사이클 장치와, 상기 본체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된다.
근래에 들어, 냉장고 본체의 하단에 냉각실이 구비되고, 냉각실의 상단에 냉장실이 구비되며, 냉각실과 냉장실 각각을 개폐하는 도어들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하단의 냉각실은 슬라이딩 개폐 타입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이 위치되는 도어의 내측에는 냉각실로부터 일정 온도 이하의 냉기를 제공 받아 외부로부터 급수된 물을 얼음으로 제조하는 제빙기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얼음은 도어에 설치되는 디스펜서에 의하여 도어를 개방하지 아니하고 외부에서 인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빙기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작동되는 전자 기기로서, 개략적으로 급수되는 물이 저장되는 일정 형상의 수납홈들이 형성된 아이스 트레이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급수되어 냉기에 의하여 얼려진 얼음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여 아이스 트레이의 수납홈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이빙시키는 이빙 장치와, 상기 이빙된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의 하방에 위치되는 저빙 공간으로 인출하는 인출 장치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수납홈들에 급수를 실시하는 급수 장치와, 상기 이빙 장치, 상기 인출 장치 및 상기 급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박스와, 상기 제어 박스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구비한다.
종래의 제어빙기를 사용하여 얼음을 제조하는 경우에, 초기 제어 단계를 거친다(S1). 즉, 전원부는 제어 박스로 전원을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 박스에는 상시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를 이루고, 상기 제어 박스는 이빙, 인출, 급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대기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어, 외부의 스위치로부터 상기 제어 박스로 제빙 개시를 위한 전기적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어 유닛은 급수 장치를 사용하여 아이스 트레이의 수납홈들에 일정량의 물을 급수한다. 상기의 급수 단계가 완료되면, 아이스 트레이에 급수된 물은 냉각실로부터 제공되는 냉기에 일정 시간 노출되어 얼음으로 제조되는 제빙 단계(제빙 제어)가 실시된다(S2).
제빙기에 설치되는 만빙 센서에 의하여 만빙이 감지되어(S3) 만빙으로 판단되면(S4), 제어 유닛은 이빙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된 얼음을 이빙시키고(S5), 이빙된 이후에, 인출 장치 또는 이젝터를 사용하여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분리하여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얼음이 배출된 이후에, 제어 유닛은 다시 급수 장치를 사용하여 급수를 제어한다(S6).
여기서, 상기와 같이 급수되어 얼음이 제조되고 이 제조된 얼음이 배출되는 일련의 공정은 크게, 얼음이 어는 제빙 단계와, 상기 제빙 단계 이후의 만빙, 이빙, 인출, 급수와 같은 후속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종래의 전원부는 상기의 제빙 단계와, 후속 단계에 이르기 까지 제빙기의 제어 유닛으로 상시 전원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제빙 단계와 같이 급수된 물이 냉각실로부터 제공되는 냉기에 장시간 노출되는 동안, 제빙기는 실질적으로 동작 또는 구동되지 않고 대기 중인 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종래에는 제빙기가 대기 중인 동안에도 제어 유닛으로 전원이 상시 공급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련의 얼음 제조 단계에서, 실질적으로 제빙기가 작동되지 않고 대기되는 제빙 단계에서 제빙기로의 전원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저감하도록 한 제빙기용 절전 장치 및 제빙기의 절전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준 제빙 시간을 설정하여 기준 제빙 시간 동안 제빙기로의 전원을 차단함과 아울러, 기준 제빙 시간이 경과 하더라도 제빙 온도가 설정된 기준 제빙 온도에 이르는 경우에 제빙기로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제빙기용 절전 장치 및 제빙기의 절전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제빙기용 절전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빙기용 절전 장치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기설정된 제빙 단계와 이빙/급수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제빙기; 및 상기 제빙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빙 단계가 수행되는 동안에 상기 제빙기로의 전원을 차단하는 절전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빙기는 상기 제빙 단계의 시작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절전 모듈은, 상기 스위치로부터 시작 신호를 전송 받은 시점으로부터 제빙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로부터 측정되는 제빙 시간을 전송 받아 상기 측정되는 제빙 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제빙 시간에 포함되면, 상기 제빙기로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빙기는 상기 제빙 단계의 시작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빙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절전 모듈은, 상기 스위치로부터 시작 신호를 전송 받은 시점으로부터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상기 측정된 제빙 시간을 전송 받아 상기 측정된 제빙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제빙 온도와 동일하면, 상기 제빙기로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기는 상기 제빙 단계의 시작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빙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절전 모듈은, 상기 스위치로부터 시작 신호를 전송 받은 시점으로부터 제빙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로부터 측정되는 제빙 시간을 전송 받아 상기 측정되는 제빙 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제빙 시간을 벗어나면, 상기 측정되는 제빙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제빙 온도와 동일한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측정되는 제빙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제빙 온도와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빙기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을 해제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절전 모듈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정보 저장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정보 저장부에는 상기 전원이 차단되기 전 일정 시간 동안에 상기 제빙기에서의 만빙, 이빙, 급수의 정보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제빙기의 절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비기의 절전 방법은, 제빙 단계 또는 상기 제빙 단계 이후의 이빙/급수 단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빙 단계이면, 상기 제빙 단계가 수행되는 동안에 제빙기로의 전원을 차단한다.
여기서, 타이머를 사용하여, 상기 제빙 단계가 수행되는 제빙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제빙 시간이 기설정된 제빙 시간에 포함되면 상기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측정된 제빙 시간이 상기 기설정된 제빙 시간을 벗어 나면 상기 전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제빙 단계에서의 제빙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제빙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제빙 온도에 이르기 전까지 상기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측정된 제빙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제빙 온도에 이르면 상기 전원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타이머를 사용하여, 상기 제빙 단계가 수행되는 제빙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제빙 시간이 상기 기설정된 제빙 시간을 벗어 나면,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제빙 단계에서의 제빙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제빙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제빙 온도를 벗어나면, 상기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측정된 제빙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제빙 온도에 이르면 상기 전원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정보 저장부를 사용하여,
상기 전원이 차단되기 전 일정 시간 동안에 상기 제빙기에서의 만빙, 이빙, 급수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의 제빙기 동작 흐름의 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절전 장치와 제빙기와의 전기적 연결ㅇ관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따르는 제빙기의 절전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따르는 제빙기의 절전 방법을 보여주는 타임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따르는 제빙기의 절전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따르는 제빙기의 절전 방법을 보여주는 타임 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따르는 제빙기의 절전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따르는 제빙기의 절전 방법을 보여주는 타임 차트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빙기용 절전 장치와, 제빙기의 절전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 하여, 본 발명의 제빙기용 절전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빙기용 절전 장치(600)는 제빙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빙기(100)는 서로 구획되는 냉각실과 냉장실을 갖는 냉장고(미도시)에 설치되어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설치된다. 그리고, 냉각실에서의 냉기는 냉각실과 냉장실을 서로 연결하는 덕트를 통하여 제빙기(1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빙기(100)는 일정량의 물을 아이스 트레이에 급수 받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급수된 물은 제빙 단계에서 일정 시간 동안 냉각실에서 제공되는 냉기에 노출되어 얼음으로 제조된다. 그리고, 만빙됨이 감지되면, 이빙 장치(110)는 상기 얼음이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이빙시킨다. 그리고, 인출 장치(120)를 사용하여 상기 이빙된 얼음을 물리적으로 힘을 가하거나, 아이스 트레이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아이스 뱅크에 인출되어 저장되도록 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마치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는 다시 물이 급수되는 단계를 통하여 급수되어 진다.
이러한 제빙기(100)는 개략적으로 상기에 언급된 이빙 장치(110)와 인출 장치(12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빙기(100)는 스위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200)는 상기 제빙기(100)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제빙 단계를 개시할 있도록 한다.
상기 제빙기(100)는 외부의 전원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부(300)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기(300)는 타이머(400) 및 온도 센서(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타이머(400)는 상기 스위치(2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제빙 단계가 개시되는 시점으로부터 제빙 시간(t)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온도 센서(500)는 상기 제빙 단계에서의 어는 얼음의 제빙 온도(T)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절전 장치(600)는, 제빙 단계가 수행되는 동안에 전원을 제빙기(100)로 제공하지 않고, 제빙 단계 수행 이후에 제빙기(100)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전 장치(600)는 전원부(300)로부터 제빙기(100)로 인가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620)와, 타이머(400)와 온도 센서(500) 및 차단부(6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610)와, 상기 제어부(6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정보 저장부(6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610)는 상기 타이머(400)로부터 측정되는 제빙 시간(t)을 실시간으로 전송 받을 수 있고, 상기 온도 센서(500)로부터 측정되는 제빙 온도(T)실시간으로 전송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10)에는 얼음을 얼리는데 소요되는 기준 제빙 시간(ts)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얼음이 어는 기준 제빙 온도(Ts)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10)에는 상기 기준 제빙 시간(ts)과 기준 제빙 온도(Ts) 중 어느 하나 만이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되는 기준 제빙 시간(ts)과 기준 제빙 온도(Ts)는 다수의 제빙 실험으로 얻어진 경험치일 수도 있고, 시뮬레이션등의 수치 해석을 통한 계산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절전 장치의 제어부(610)는 크게 3가지의 실시로 설명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절전 방법을 설명함에 포함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절전 장치(600)를 사용한 제빙기(100)의 절전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 1실시예>
도 2 내지 도 4를 참조 하여, 본 발명의 절전 방법의 제 1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 절전 장치(600)는 측정되는 제빙 시간(t)이 기설정된 기준 제빙 시간(ts)에 이르지 않으면, 제빙기(10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측정되는 제빙 시간(t)이 기설정된 기준 제빙 시간(ts)에 이르거나 경과하면, 제빙기(100)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먼저, 제빙 단계 또는 상기 제빙 단계 이후의 이빙/급수 단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빙 단계 여부는 제빙 단계를 개시하기 위하여 작동되는 스위치(200)의 작동 상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스위치(200)의 작동(S100)이 온(ON)상태이면, 상기 스위치(200)는 제빙기(100)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신호를 전송 받은 제빙기(100)는 제빙 단계를 개시한다(S200). 여기서, 상기 스위치(200)의 작동은 사용자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절전 장치(600)의 제어부(610)는 상기 스위치(200)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어부(610)는 전원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차단부(620)를 사용하여 상기 제빙기(1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S300). 물론, 상기 차단부(620)는 상기 제빙기(100)로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타이머(400)는 상기 제빙 단계가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측정하고(S400), 상기 측정된 시간을 상기 제어부(6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된 시간을 제빙 시간이라 한다.
상기 제어부(610)는 상기 측정된 제빙 시간(t)을 타이머(400)로부터 전송 받고, 상기 측정된 제빙 시간(t)이 기설정된 기준 제빙 시간(ts)에 이르렀는지 또는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S410). 따라서, 상기 제어부(610)는 상기 측정된 제빙 시간(t)이 기준 제빙 시간(ts)에 이르거나 경과하면, 제빙 단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S420), 차단부(620)를 사용하여 전원 차단을 해제하고, 전원을 제빙기(100)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S500).
이에 따라, 제빙기(100)를 구성하는 이빙 장치 및 인출 장치에 일정의 전원이 공급된다.
그리고, 제빙기(100) 내에 포함되는 만빙 감지기(미도시)는 얼음의 상태가 만빙이 되었는지를 감지하고(S600), 만빙 여부를 판단한다(S610).
여기서, 만빙이 된 경우에, 이빙 단계가 실시(S620)됨에 따라 이빙 장치(110)는 만빙이 된 얼음을 이빙시킨다.
그리고, 인출 장치(120)는 이빙된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아이스 버킷으로 인출되어 저장되도록 하고, 이어, 급수 장치(미도시)는 상기 얼음이 인출된 아이스 트레이에 일정량의 물을 급수한다(S700).
물론, 상기 측정된 제빙 시간(t)이 기준 제빙 시간(ts)에 이르거나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 제어부(610)는 제빙 단계가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전원의 차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제 1실시예에서는 제빙 단계(T1)와 제빙 이외의 단계(만빙 감지, 이빙/인출 단계 및 급수를 실시하는 단계, T2)를 일련의 얼음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설명하였고, 상기 급수 단계 이후에 제빙 단계가 루프 타입으로 반복 실시될 수 있다.
<제 2실시예>
도 1, 도 5 내지 도 6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절전 방법의 제 2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 절전 장치(600)는 측정되는 제빙 온도가 기설정된 제빙 온도(T)에 이르지 않으면, 제빙기(10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을 유지하고, 측정되는 제빙 온도(T)가 기설정된 제빙 온도(Ts)에 이르면, 제빙기(100)로 전원을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먼저, 스위치(200)의 작동 여부(S100)를 통하여, 제빙 단계 또는 상기 제빙 단계 이후의 이빙/급수 단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위치(200)의 작동이 온(ON)상태이면, 상기 스위치(200)는 제빙기(100)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신호를 전송 받은 제빙기(100)는 제빙 단계를 개시한다(S200). 여기서, 상기 스위치(200)의 작동은 사용자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10)는 상기 스위치(200)의 작동에 의하여 발생된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이어, 절전 장치(600)의 제어부(610)는 전원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차단부(620)를 사용하여 상기 제빙기(1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S300). 물론, 상기 차단부(620)는 상기 전원의 공급을 차단할 수도 있지만, 상기 전원부(300)의 작동을 중지할 수 있는 장치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도 센서(500)는 상기 제빙 단계가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제빙 온도(T)를 측정하고(S400'), 상기 측정된 제빙 온도(T)를 상기 제어부(61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610)는 상기 측정된 제빙 온도(T)가 기설정된 기준 제빙 온도(Ts)에 이르렀는지를 판단한다(S410'). 따라서, 상기 제어부(610)는 상기 측정된 제빙 온도(T)가 기준 제빙 온도(Ts)에 이르면, 제빙 단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S420), 차단부(610)를 사용하여 전원부(3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차단을 해제하고, 상기 전원을 제빙기(1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500).
이에 따라, 제빙기(100)를 구성하는 이빙 장치(110) 및 인출 장치(120)에 일정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제빙기(100) 내에 포함되는 만빙 감지기(미도시)는 얼음의 상태가 만빙이 되었는지를 감지하고(S600), 만빙이 되었는지를 판단한다(S610).
그리고, 만빙이 된 경우에, 이빙 장치는 만빙이 된 얼음을 이빙시키고(S620), 인출 장치(120)는 이빙된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아이스 버킷으로 인출되어 저장되도록 한다. 이어, 급수 장치(미도시)는 상기 얼음이 인출된 아이스 트레이에 일정량의 물을 급수하게 된다(S700).
물론, 상기 측정된 제빙 온도(T)가 기준 제빙 온도(Ts)에 이르지 않은 경우에, 제어부(610)는 제빙 단계가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전원의 차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의 제 1실시예에서는 제빙 단계(T1)와 제빙 이외의 단계(만빙 감지, 이빙/인출 단계 및 급수를 실시하는 단계, T2)를 일련의 얼음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설명하였고, 상기 급수 단계 이후에 제빙 단계가 루프 타입으로 반복 실시될 수 있다.
<제 3실시예>
도 1, 도 7 내지 도 8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절전 방법의 제 3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 절전 장치(600)는 측정되는 제빙 시간(t)이 기설정된 기준 제빙 시간(ts)을 경과하면 전원을 차단한다. 이때, 본 발명은 기준 제빙 시간(ts)이 경과하더라도 제빙 온도가 정상적(기준 제빙 온도와 동일한 경우)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제빙 완료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먼저, 스위치(200)의 작동 여부(S100)를 통하여, 제빙 단계 또는 상기 제빙 단계(T1) 이후의 이빙/급수 단계(T2)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위치(200)의 작동이 온(ON)상태이면, 상기 스위치(200)는 제빙기(100)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신호를 전송 받은 제빙기(100)는 제빙 단계를 개시한다(S200). 여기서, 상기 스위치(200)의 작동은 사용자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10)는 상기 스위치(200)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이어, 절전 장치(600)의 제어부(610)는 전원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차단부(620)를 사용하여 상기 제빙기(1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S300). 물론, 상기 차단부(620)는 상기 전원의 공급을 차단할 수도 있지만, 상기 전원부(300)의 작동을 중지할 수 있는 장치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타이머(400)는 제빙 단계가 수행되는 동안의 제빙 시간(t)을 측정하고(S400), 상기 측정된 제빙 시간(t)을 제어부(61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도 센서(500)는 제빙 단계가 수행되는 동안의 제빙 온도(T)를 측정하고(S400'), 상기 측정된 제빙 온도(T)를 제어부(610)로 전송한다.
이어, 상기 제어부(610)는 상기 측정되는 제빙 시간(t)이 기설정된 기준 제빙 시간(ts)에 이르렀는지 또는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고(S410), 상기 측정된 제빙 시간(t)이 기준 제빙 시간(ts)에 이르거나 경과하면, 제빙기(100)로의 전원 공급을 재개한다(S411).
그리고, 상기 제어부(610)는 상기 측정되는 제빙 온도(T)가 기준 제빙 온도(Ts)에 이르렀는지를 판단한다(S410').
여기서, 상기 제어부(610)는 측정되는 제빙 온도(T)가 기준 제빙 온도(Ts)와 동일해지면, 제빙이 완료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420).
따라서, 상기 제어부(610)는 실질적으로 제빙 온도(T)가 기준 제빙 온도(Ts)에 이른 시간을 제빙이 완료되는 시간으로 산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610)는 정보 저장부(630)에, 상기와 같이 판단된 제빙 완료시 까지의 시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만일,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준 제빙 시간(ts)과, 실질적으로 제빙이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tf)이 일정의 오차 시간 범위를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610)는 상기 오차 시간 범위를 저장할 수 있다(S430).
따라서, 급수 단계 이후에, 다시 제빙 단계가 개시되면, 상기 제어부(610)는 정보 저장부(630)로부터 상기 오차 시간 범위를 독취하여 이를 기초로 기설정된 기준 제빙 시간 정보를 다시 보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정된 기준 제빙 시간 정보를 새로운 기준 제빙 시간으로 재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빙 완료가 판단(S420)된 이후에, 제빙기(100) 내에 포함되는 만빙 감지기(미도시)는 얼음의 상태가 만빙이 되었는지를 감지하여 만빙 여부를 판단한다(S610).
만빙이 된 경우에, 제어부(610)는 이빙 장치(110)를 사용하여 만빙이 된 얼음을 이빙시키고(S620), 인출 장치(120)를 사용하여 이빙된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아이스 버킷으로 인출되어 저장시킨다. 이어, 급수 장치(미도시)는 상기 얼음이 인출된 아이스 트레이에 일정량의 물을 급수하게 된다(S700).
상기 제 3실시예는 제빙 시간(t)이 기준 제빙 시간(ts)을 만족하더라도 제빙되는 얼음의 제빙 온도(T)가 기준 제빙 온도(Ts)에 이르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제어부(610)는 기준 제빙 시간(ts) 동안 전원을 차단하되, 기준 제빙 시간에 이르면 전원을 제빙기(100)로 공급함과 아울러, 추가적으로 제빙 완료의 판단을 제빙 온도(T)가 기준 제빙 온도(Ts)에 이름을 통하여 실시한다.
예컨대, 제빙 시간이 기준 제빙 시간에 이르거나 경과하는 시점에서의 제빙 온도가 기준 제빙 온도를 만족 하면, 기설정된 기준 제빙 온도의 보정이 필요없지만,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제빙 시간이 기준 제빙 시간에 이르거나 경과하는 시점에서의 제빙 온도가 기준 제빙 온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제빙 온도가 기준 제빙 온도에 이를 때까지의 오차 시간 범위 시간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제어부는 제빙 단계가 일정 회수 반복될 때마다, 상기 오차 시간 범위를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오차 시간 범위가 적용된 새로운 기준 제빙 시간을 산출하여 재설정하여 단계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제 3실시예에서는 제빙 단계(T1)와 제빙 이외의 단계(만빙 감지, 이빙/인출 단계 및 급수를 실시하는 단계, T2)를 일련의 얼음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설명하였고, 상기 급수 단계 이후에 제빙 단계가 루프 타입으로 반복 실시될 수 있다.
100 : 제빙기
200 : 스위치
300 : 전원부
400 : 타이머
500 : 온도 센서
600 : 절전 장치
610 : 제어부
620 : 차단부
630 : 정보 저장부
t : 제빙 시간
ts : 기준 제빙 시간
T : 제빙 온도
Ts : 기준 제빙 온도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급수된 물을 냉기에 노출시켜 얼음으로 만드는 제빙 단계를 수행하는 제빙기의 절전을 구현하는 제빙기용 절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빙 단계가 개시되는 시점부터 제빙 시간(t)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지는 타이머;
    제빙 온도(T)를 측정하도록 형성되는 온도 센서;
    상기 타이머로부터 측정되는 제빙 시간(t)을 전송받아 상기 제빙 시간(t)이 기준 제빙 시간(ts)에 이르기 전까지(t<ts) 상기 제빙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빙 시간(t)이 상기 제빙 기준 시간(ts)에 이르거나 상기 기준 제빙 시간을 경과하면(t≥ts) 상기 전원의 차단을 해제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 및
    상기 제빙 온도(T)가 기준 제빙 온도(Ts)와 동일해지는(T=Ts) 제빙 완료 시간(tf), 상기 기준 제빙 시간(ts)과 상기 제빙 완료 시간(tf)의 오차 범위를 저장하도록 형성되는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제빙 시간(ts)과 상기 제빙 완료 시간(tf)의 오차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 제빙 시간(ts)을 보정하며, 보정된 값을 새로운 기준 제빙 시간으로 재설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용 절전 장치.
  4. 삭제
  5. 삭제
  6. 급수된 물을 냉기에 노출시켜 얼음으로 만드는 제빙 단계를 수행하는 제빙기의 절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빙 단계 또는 상기 제빙 단계 이후의 이빙/급수 단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빙 단계이면 상기 제빙 단계가 개시되는 시점부터 제빙 시간(t)을 측정하고, 제빙 온도(T)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빙 시간이 기준 제빙 시간(ts)에 이르기 전까지(t<ts) 상기 제빙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빙 시간(t)이 상기 기준 제빙 시간에 이르거나 상기 기준 제빙 시간을 경과하면(t≥ts) 전원의 차단을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제빙 온도(T)가 기준 제빙 온도(Ts)와 동일해지는(T=Ts) 제빙 완료 시간(tf)과 상기 기준 제빙 시간(ts)을 비교하고, 상기 기준 제빙 시간(ts)과 상기 제빙 완료 시간(tf)의 오차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 제빙 시간(ts)을 보정하며, 보정된 값을 새로운 기준 제빙 시간으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절전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00063618A 2010-07-01 2010-07-01 제빙기용 절전 장치 및 제빙기의 절전 방법 KR101718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618A KR101718019B1 (ko) 2010-07-01 2010-07-01 제빙기용 절전 장치 및 제빙기의 절전 방법
US13/175,729 US20120000216A1 (en) 2010-07-01 2011-07-01 Ice maker of refrigerator and power saving method of ice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618A KR101718019B1 (ko) 2010-07-01 2010-07-01 제빙기용 절전 장치 및 제빙기의 절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881A KR20120002881A (ko) 2012-01-09
KR101718019B1 true KR101718019B1 (ko) 2017-04-04

Family

ID=45398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618A KR101718019B1 (ko) 2010-07-01 2010-07-01 제빙기용 절전 장치 및 제빙기의 절전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000216A1 (ko)
KR (1) KR1017180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4981B2 (en) * 2013-12-12 2019-01-08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cemaker, process for controlling same and making ice
KR102279393B1 (ko) * 2014-08-22 2021-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DE102014221318A1 (de) * 2014-10-21 2016-04-21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sbereiter
CN104819614A (zh) * 2015-04-27 2015-08-05 刘菊霞 一种Mini智能冷藏盒及其制冷方法
CN112771327A (zh) * 2018-10-02 2021-05-07 Lg电子株式会社 冰箱
JP7469789B2 (ja) * 2019-12-25 2024-04-17 アクア株式会社 製氷機及び製氷機を備えた冷蔵庫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8761A (ja) * 2003-12-24 2005-07-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製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6625A (ja) * 1992-04-21 1993-11-09 Fujitsu General Ltd 電気冷蔵庫
JP3017915B2 (ja) * 1994-02-28 2000-03-13 株式会社東芝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の動作記憶装置
US7188479B2 (en) * 2004-10-26 2007-03-13 Whirlpool Corporation Ice and water dispenser on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WO2008051469A2 (en) * 2006-10-20 2008-05-02 Scotsman Group Llc Method and system for logging cycle history of an ice-making machine that is accessible to the user for service diagnosi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8761A (ja) * 2003-12-24 2005-07-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製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00216A1 (en) 2012-01-05
KR20120002881A (ko) 201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019B1 (ko) 제빙기용 절전 장치 및 제빙기의 절전 방법
US6955056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68251B1 (ko)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WO20090172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water to icemaker of refrigerator by fixed volume
EP1589305A1 (en) Ice-Making Apparatus
US7100379B2 (en) Water suppl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ice maker
KR20180052285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CN113970220A (zh) 冰箱及其制冰控制方法
US2011008374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supply amount and refrigerator using the same
KR100756993B1 (ko) 자동 제빙기의 급수 제어장치 및 급수 제어방법
KR20080108187A (ko) 냉장고용 제빙기 및 그 제어방법
JP5359143B2 (ja) 冷蔵庫
KR20090099908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952656B1 (ko) 냉장고의 만빙 감지방법
KR100636553B1 (ko) 자동 제빙기의 급수 제어 장치 및 급수 제어 방법
KR101652585B1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0389417B1 (ko) 자동제빙기의 제어장치
KR20160088665A (ko) 냉장고 제어 방법
JP5262244B2 (ja) 冷蔵庫
KR20080108188A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40068730A1 (en) Refrigerator and ice making method thereof
JP2004020112A (ja) 冷却貯蔵庫
KR101672054B1 (ko) 냉장고용 제빙기의 제어방법
KR100248633B1 (ko) 급속제빙장치 및 그 방법
KR101500732B1 (ko)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빙 완료 판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