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0006A -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0006A
KR20130030006A KR1020110093478A KR20110093478A KR20130030006A KR 20130030006 A KR20130030006 A KR 20130030006A KR 1020110093478 A KR1020110093478 A KR 1020110093478A KR 20110093478 A KR20110093478 A KR 20110093478A KR 20130030006 A KR20130030006 A KR 20130030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extract
composition
hair los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3217B1 (ko
Inventor
강길성
이성표
김태수
Original Assignee
(주)미스바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스바알텍 filed Critical (주)미스바알텍
Priority to KR1020110093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217B1/ko
Publication of KR20130030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4Orobanchaceae (Broom-rap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효과를 갖는 샴푸, 헤어토닉 형태의 제품 등 두발제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육종용(Cistanche tubulosa)추출물, 나이아신(Niacin으로 불리며 Nicotinamide 또는 Nicotinic Acid를 포함한다), 해조추출물(다시마와 미역 포자엽 후코이단), 새싹추출물(다채, 홍화, 완두의 새싹)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여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효과를 가지며, 헤어토닉 형태로 두피에 발라두는 제품이나 샴푸 등과 같이 씻어내는 제품 등에 사용되는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체 구성 성분 100중량% 대비하여 육종용(Cistanche tubulosa)추출물, 나이아신(Niacin으로 불리며 Nicotinamide 또는 Nicotinic Acid를 포함), 해조추출물(다시마와 미역 포자엽 후코이단) 및 새싹추출물(다채, 홍화, 완두 새싹)을 0.01중량% ~ 30중량%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AND PROMOTING HAIR GROWTH}
본 발명은 두발제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효과를 갖는 샴푸, 헤어토닉 형태의 제품 등과 같은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과도하게 서구화된 식습관, 스트레스, 생활습관 등으로 인해서 남성의 약 1/3이 경미하게나마 탈모증을 나타내며 상당한 탈모로 고민하는 남성이 전체의 약 1/5정도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제공한 자료에 의하면 특히 20~30대 남성의 탈모인구는 2001년 약 60,000명에서 20008년 약 81,000명으로 30%이상 급증했다. 여성도 남성형 탈모증 (Male pattern baldness, MPB)으로 고민하는 이들이 남성의 1/5에 달한다. 특히 여성들은 임신과 출산으로 인해 유발된 탈모증도 상당한 형편이다. 여성 탈모인구는 같은 기간 사이에 40%이상 급증했다. 여성형 탈모는 스트레스와 남성호르몬 안드로겐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초기에는 두피가 건조해지거나 당기고 비듬이 생기거나 가려움증 등이 나타나며 정수리부터 머리숱이 줄기 시작해 머리 전체적으로 숱이 줄어든다.
특히, 젊은 여성에게 나타나는 여성탈모는 주로 스트레스에 의한 것으로 오랫동안 정신적 자극을 받으면서 몸속에 쌓인 독소가 두피 세포조직을 상하게 하여 탈모가 된 경우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분비되는 코르티솔 호르몬(Cortisol homon)은 탈모를 부추기는 주요한 원인이 되며, 50대 이후 노화와 함께 나타나는 '갱년기 여성탈모'는 남성호르몬이 주요한 원인이다.
폐경 이후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하면서 상대적으로 남성호르몬(안드로겐)의 분비량이 늘면서 모발이 엷어지고 머리숱이 줄어드는 것이다. 여성에게 발생하는 탈모는 남성형탈모처럼 완전한 대머리로 진행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를 방치하면 정수리 부분에 두피가 훤히 드러나 보일 정도로 심각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모낭과 모공이 심각한 수준으로 손상된 탈모는 치료가 어렵고 외적 콤플렉스가 될 수 있으므로 탈모증상 초기에 치료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탈모증 환자는 피부과에 내원하는 전체 환자 중 약 1-3%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안드로겐성 탈모증(Androgenetic alopecia) 혹은 남성형 탈모증(Male pattern baldness)는 백인 남성과 여성의 약 50%, 한국인 남성의 14.1%, 여성의 5.6%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Paik JH, Yoon JB, Sim WY, Kim BS, Kim NI. The prevalence and types of androgenetic alopecia in Korean men and women. Br J Dermatol 2001;145:95-99). 이는 정상 노화의 과정으로 간주될 만큼 흔한 질환으로(Olsen EA. Patterned hair loss in men and women. In: Olsen EA, editors. Disorders of hair growth. 2nd ed. New York:McGraw-Hill; 2003:321-362) 연령과 유전적 소인, 남성 호르몬이 중요한 인자로 생각되고 있다 (Olsen EA, Messenger AG, Shapiro J, Bergfeld WF, Hordinsky MK, Robert JL, et al. Evaluation and treatment of male and female pattern hair loss. J Am Acad Dermatol 2005;52:301-311, Hoffmann R. Male androgenetic alopecia. Clin Exp Dermatol 2002;27:373-382). 안드로겐성 탈모증에서의 탈모는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으로부터 5α-reductase의 작용에 의해 생성되는 DHT(dihydrotestosterone)이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임상적으로 두피의 전두부 및 두정부의 모발이 연모로 변하여 점차 가늘어지고 모낭의 점진적인 소형화(miniaturization)를 일으켜 휴지기 모발의 비율이 증가하며, 성장기 기간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탈모된 두피는 일광화상, 물리적 충격, 자외선에 의한 손상에 더 취약하게 되며, 정신적으로도 안드로겐 탈모증은 자아 및 사회 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안드로겐 탈모증에 대한 치료 방향은 탈모초기의 경미한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치료하고자 하는 경향으로 바뀌고 있다.
탈모증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제품들로는 의약품으로서 미국 식품의약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의 승인을 받고 사용되고 있는 경구용 finasteride(Drake L, Hordinsky M, Fieldler V, Swinehart J, Unger WP, Cotterill PC, et al. The effects of finasteride on scalp skin and serum androgen levels in men with androgenetic alopecia. J Am Acad Dermatol 1999;41:550-554)와 minoxidil 도포제 (Olsen EA, Dunlap FE, Funicella T, Koperski JA, Swinehart JM, Tschen EH, et al.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5% topical minoxidil versus 2% topical minoxidil and placebo in the treatment of androgenetic alopecia in men. J Am Acad Dermatol 2002;47:377-385)가 있고,의약외품은 각종 한방추출물 제제, Glyceryl pantadecanoate 제제, Cytopurine제제, Hinokitiol 제제 등이 있으며, 화장품으로서 혈행촉진제, 국소자극제 등을 주성분으로 함유한 Hair Tonic 류와 각종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샴푸 제형 등이 있다.
이외에도 많은 탈모 예방 및 방지제 혹은 발모제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제품들의 사용 결과가 언제나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어서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하겠다.
현재까지 상업화되어 시장에 나와 있는 각종 제품들의 탈모증의 치료와 예방에 관한 효과는 의약품의 경우 제품을 꾸준히 사용하는 동안 약간의 유효율을 나타내지만 사용을 중단하면 다시 탈모가 원래대로 진행되고, 두피에 도포하는 의약외품의 경우 미약한 효과가 있는 정도이지만 이 제품들 역시 사용을 중단하면 다시 탈모가 급격히 진행되는 경우가 많고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탈모방지와 예방을 주장하는 샴푸형태의 의약외품들은 매일 사용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탈모방지 효과가 아주 미약하거나 그 효과는 실제 비듬가려움 치료와 경감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화장품인 샴푸이면서도 음성적으로 탈모방지와 육모효과를 주장하는 제품들은 효과가 매우 미흡한 형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천연물을 주재료로 함유하면서 매일 사용하기 편리한 샴푸형태 또는 간단히 두피에 발라두는 헤어토닉형태의 제품이면서도 탈모방지와 육모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은, 전체 구성 성분 100중량% 대비하여 육종용(Cistanche tubulosa)추출물, 나이아신(Niacin으로 불리며 Nicotinamide 또는 Nicotinic Acid를 포함), 해조추출물(다시마와 미역 포자엽 후코이단) 및 새싹추출물(다채, 홍화, 완두 새싹)을 0.01중량% ~ 3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샴푸 또는 두피에 바르는 헤어토닉 제품 등과 같은 두발제품 조성물을 사용하면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의 일실시예에 의한 육종용 추출분말 제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의 일실시예에 의한 캉카엑기스의 C3H마우스에 있어서 발모율 증가작용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의 일실시예에 의한 육종용 추출물을 도포하고 14일째, C3H마우스의 등부위 촬영화상을 나타낸 도면대용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의 일실시예에 의한 국소도포제 16주 사용 후 평균 탈락 모발수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의 일실시예에 의한 샴푸형태제품을 16주 사용 후 평균 탈락 모발수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의 일실시예에 의한 국소도포제 16주 사용 후 평균 모발 수 증가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의 일실시예에 의한 국소도포제 16주 사용 후 평균 모발 굵기 증가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의 일실시예에 의한 국소도포제 16주 사용 후 평균 성장기모 수를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의 일실시예에 의한 샴푸형태제품 16주 사용 후 평균 모발 수 증가를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의 일실시예에 의한 샴푸형태제품 16주 사용 후 평균 모발 굵기 증가를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의 일실시예에 의한 샴푸형태제품 16주 사용 후 평균 성장기모 수를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되어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효과를 주는 성분은 다음과 같다.
● 혈행촉진 및 혈관확장작용을 하는 육종용(Cistanche tubulosa)추출물을 함유한다.
육종용(Cistanche tubulosa)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육종용 추출물(Cistanche tubulosa Extract)은 열당과의 식물인 육종용(Cistanche tubulosa)을 함수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분말이다. 추출공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육종용 추출물 분말은 정량할 때 에키나코사이드를 25.0%이상, 악테오사이드를 9.0%이상 그리고 페닐에타노이드배당체를 50.0%이상 포함한다. 본 추출물 분말은 수용성이며 그 규격은 하기의 [표 1]과 같다.
성상 차색~담차색의 분말로 약간의 특유한 냄새가 있다.
에키나코사이드 함량 25.0% 이상 HPLC
악테오사이드 함량 9.0% 이상 HPLC
페닐에타노이드배당체 50.0% 이상 UV
건조감량 10.0% 이하 위생시험법, 1g, 105℃, 2시간
순도시험 -
(1)중금속 10ppm 이하
(2)비소 1ppm 이하
일반 생균수 1×03개/g 이하 위생시험법, 표준한천배지
진균수 1×02개/g 이하 위생시험법, 포테토 덱스트로스한천배지, 클로람페니콜 첨가
대장균수 음성 위생시험법, BGLB배지
조성 성분(육종용 추출물) 함유량(100%)
본 발명의 육종용 추출물은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조성물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3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 비듬과 가려움의 억제를 위해 또는 육모(育毛) 또는 발모(發毛)에 필수적인 두피의 혈행촉진을 위해서는 나이아신(Niacin으로 불리며 Nicotinamide 또는 Nicotinic Acid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0242858, 강길성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은 나이아신만을 효능성분으로 사용했던 이전 발명(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0242858, 강길성 등)의 기술에 비해 현저하게 증강된 항비듬 및 항가려움 효과와 더불어 하기의 실시예의 효과에서 볼 수 있듯이 상당 수준의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나이아신은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조성물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3중량%, 바람직하게는 0.1 2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 두피와 모근의 면역기전을 강화하여 건강한 모발의 유지와 생성을 위해 해조추출물(다시마와 미역 포자엽 후코이단)을 함유한다.
현재 갈조류 중에서 다시마나 미역포자엽(생식체)에서 추출한 후코이단이 주요생리 활성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다시마 및 미역포자엽에서 추출된 후코이단을 채용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후코이단의 구성 성분 중 가장 중요한 황산기의 함유량이 일본기준인 13%를 훨씬 능가하는 함유량 27%와 후코이단 순도가 85%이상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해조추출물(다시마와 미역 포자엽 후코이단)의 특성은 하기의 [표 2]와 같다.
[표 2]는 해조추출물(다시마와 미역 포자엽 후코이단)의 특성과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특 성
원료의 특성 연회색(백색)분말로 약간의 해조(海藻) 특유의 약간의 풍미 외에 이미, 이취가 없음.
수용성으로 PH505~6.0, 4~50℃에서 12개월 보존 후 물질 변형없음
안전성 후코이단은 해조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식품으로서 오랫동안 애용되어 온 것으로 동물실험 등으로도 안정성이 이미 확인된 것임
용도 및 적용 영양 보조식품, 건강지향의 각종식품, 의약품 및 식품 기초 원료 연구시료, 기능성 COSMRTIC 제품 원료
표시 다시마 추출물(Fuco-Ⅰ), 미역 포자엽 추출물(고급 Fuco-Ⅱ, 중급 Fuco-Ⅲ)
포장 500g, 1kg(500g/2) HDPE Film/Bag
함량분석
항목 규격 시험 방법
성상 연회색 분말, 약간의 해조취외에 이미, 이취가 없음 육안검사 및 관능검사
수분 5% 이하 상압 건조법
회분 26.3% 이하
건식 회화법
단백질 2.7 이하 Lowry법
총당 80% 이상 Fucoidan 60.3%(폐놀황산법)
황산기 27.9%(Dodgson 산법)
우론산 8.9% 일본원료에는 우론산을 Fucoidan 총 당에 포함됨
당조성 Rhamnose 0.7
Fueose 18.7
Xylose 0.3
Mannose 1.0
Galactose 16.5
GC 방법
본 발명에서 다시마후코이단은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조성물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6중량%, 바람직하게는 0.1 2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 두피세포의 영양보급을 활성화하기 위해 새싹추출물 (다채, 홍화, 완두 새싹)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새싹"이라 함은 알파파, 다채, 완두를 3일 동안 발아시킨 후 식물공장에 파종시키고 7일째 수확한 새싹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새싹씨의 원산지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국내산 새싹씨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새싹추출물은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조성물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2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10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하기에는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조성물 비교예(기준조성)와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서 특징적으로 함유하는 육종용(Cistanche tubulosa) 추출물, 나이아신 (Niacin으로 불리며 Nicotinamide 또는 Nicotinic Acid를 포함한다.), 해조추출물(다시마와 미역 포자엽 후코이단), 새싹추출물 (다채, 홍화, 완두 새싹)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의해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효과가 현저해짐을 확인하였다.
대표적인 제품의 제형으로는 헤어토닉 형태의 제품(국소도포제)과 샴푸를 실시예로 본 발명의 효과를 시험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은 예로 든 2가지 형태의 제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헤어토닉 형태의 제품 (국소도포제)
본 발명에 따른 헤어토닉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구성성분을 함유한다:
1. 두피보호제 및 두피활성제
본 발명에서는 이 목적의 물질로서 판토테닐알콜 및 그 유도체,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 감광소, 비타민에이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2. 두피청량제 및 두피국소자극제
본 발명에서는 엘-멘톨 및 그 유도체, 바닐릴알킬에테르류, 고추추출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3. 보습제
본 발명에서는 히아루론산과 그 유도체, 글리세린, 요소, 피롤리돈카르복실레이트와 그 유도체, 프로필렌글리콜, 핵실렌글리콜, 1,5-펜탄디올, 1,2-헥산디올 등의 폴리올류, 디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세린 등 축합 또는 중합된 다가알코올류를 사용할 수 있다.
4. 가용화제
본 발명에서는 폴리옥시에칠렌(60)경화피마자유(POE(60) Hydrogenated Caster Oil) 등 피마자유 유래 계면활성제와 각종 지방산소르베이트류를 사용할 수 있다.
5. 향료
스킨케어용으로 개발된 각종 향료(Fragrance)를 함유한다.
6. 안정제
금속이온 봉쇄의 목적으로 에데토산과 그 염류 등 각종 킬레이트화합물류, 인산계화합물류, 방부목적으로 안식향산과 그 염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7. 산도조정제
구연산과 피롤리돈카르복시산 등의 유기산을 사용한다.
8. 용제
에탄올과 순수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원료 / 조성 기준조성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순수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에탄올 40 40 40 40 40 40
글리세린 0.3 0.3 0.3 0.3 0.3 0.3
폴리옥시에칠렌(60)경화피마자유 0.5 0.5 0.5 0.5 0.5 0.5
소르비탄 올레이트 0.3 0.3 0.3 0.3 0.3 0.3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5 0.5 0.5 0.5 0.5 0.5
l-멘톨 0.15 0.15 0.15 0.15 0.15 0.15
육종용 추출물 - 1.0 - - - 1.0
나이아신 - 0.5 - - 0.5
해조추출물(다시마와 미역포자엽 후코이단) - 1.0 - 1.0
새싹추출물 - 1.0 1.0
d-판테놀 0.2 0.2 0.2 0.2 0.2 0.2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구연산 pH5.5~6.5량 pH5.5~6.5량 pH5.5~6.5량 pH5.5~6.5량 pH5.5~6.5량 pH5.5~6.5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상기 [표 3]은 헤어토닉형태의 제품을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의 제품은 투명 또는 반투명 현탁액 상태의 외관을 띠며, 액성은 pH 4.5~7.7를 나타내지만 바람직하게는 25℃에서 pH 5.5~6.5의 약산성으로 조정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색소를 사용하여 색상을 발현시킬 수도 있다.
샴푸 형태의 제품
본 발명에 따른 샴푸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구성성분을 함유한다.
1. 세정제
본 발명에서는 대부분의 음이온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주로 알킬황산염류와 카아복실레이트류와 단백계 또는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들이 사용된다.
이들은 탄소수 C8-C22인 알킬라디칼을 갖거나 에칠렌옥사이드(Ethylene oxide, EO)가 부가된 경우 부가몰수는 1-12로 주로 나트륨염, 암모늄염, 트리에탄올염 등의 형태로 사용된다. 그 배합량은 단품 또는 조합품으로써 실제량(활성량을 기준)으로 4 내지 3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5%이다.
보조세정제 또는 순한 세정용 세정제는 양이온성계면활성제로써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아미도프로필베타인 등 베타인계와 코코암포카르복시글리시네이트 등 이미다졸계와 라우아민옥사이드 등의 알킬아민옥사이드류가 사용될 수 있고, 코카미도프로필셀테인 등의 설테인계 등의 계면활성제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들의 탄소사슬의 길이 역시 C8-C22이고 단품 또는 조합품으로써 실제량으로 1.5 내지 10% 배합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가 사용된다.
특히, 음이온세정제와의 처방중의 배합비가 2:1 내지 3:1비로 조정될 때 제품에서 항자극 효과와 컨디셔닝 효과가 나타난다.
2. 점증 및 기포 안정제
일반적으로 알킬아민옥사이드류나 알카놀아미드류를 사용하지만 본 발명의 계에서는 C8-C24 인 알카놀아미드류 중에서도 모노에탄올아미드 또는 디에탄올아미드를 사용하는데, 특히, 바람직하게는 라우린산디에탄올아미드, 코카미드디에탄올아미드, 라우로일디에탄올아미드 또는 코카미드모노에탄올아미드가 단품 또는 조합품으로써 1 내지 7%의 함량으로 배합한다.
3. 폴리머형 컨디셔너
폴리쿼터늄-7과 폴리쿼터늄-10과 폴리쿼터늄-11과 폴리쿼터늄-22와 구아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가 단품 또는 조합품으로써 0.1 내지 1.5% 사용가능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12 내지 0.7%량으로 배합한다.
4. 보습제
1,2-핵산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과 헥실렌글리콜 등 폴리올류와 젖산나트륨과 피롤리돈카아복시산나트륨염(PCA-Na)이 단품 또는 조합품으로써 0.3 내지 3.5% 사용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함량을 배합한다.
5. 유탁제 또는 펄화제
유탁제로는 폴리아크릴레에트유탁제류를 현탁제로 사용할 수 있고, 펄화제로는 글리콜스테아레이트류를 주로 사용하고 함량은 0 내지 3%이다.
6. 컨디셔너
탄소수 C10-C22 인 알킬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와 디알킬디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와 트리알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를 단품 또는 조합품으로써 절대량 0.1 내지 3.0%을 사용한다.
7. 모발윤기부여 및 촉감향상제
또다른 윤기부여제와 모발코팅제는 실리콘화합물인 디메치콘(Dimethicone)과 아모디메치콘(Amodimethicone, Aminosilicone)을 단품 또는 조합품으로써 절대량 0.1 내지 4.5% 배합가능하다. 디메치콘의 중합도는 점도로 표시하여 5,000cps-Gum까지를 포함한다.
모발의 광택유지와 제품중에 틱소트로피(Thixotropy)를 주기 위해 지방알콜이 사용되는데 주로 세칠알코올과 스테아릴알콜과 베헤닐알콜(Behenyl alcohol)을 단품 또는 조합품으로 0.15 내지 3.5% 사용가능하다.
8. 기타
단백계 모발영양제와 피부나 모발에 대한 보호기능이 있는 동식물성 추출물도 필요에 따라 혼용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실시예에 기재된 비율은 생성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다.
원료 / 조성 기준조성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순수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15.0 15.0 15.0 15.0 15.0 15.0
코마미도프로필베타인 3.0 3.0 3.0 3.0 3.0 3.0
코카미드디이에이 3.0 3.0 3.0 3.0 3.0 3.0
폴리쿼터늄-10 0.3 0.3 0.3 0.3 0.3 0.3
양이온화가수분해단백질 0.2 0.2 0.2 0.2 0.2 0.2
프로필렌글리콜 1.0 1.0 1.0 1.0 1.0 1.0
EDTA-2Na 0.05 0.05 0.05 0.05 0.05 0.05
육종용 추출물 - 1.0 - - - 1.0
나이아신 - 0.5 - - 0.5
해조추출물(다시마와 미역포자엽 후코이단) - 1.0 - 1.0
새싹추출물 - 1.0 1.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구연산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소금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상기 [표 4]는 샴푸형태의 제품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샴푸는 점성이 있는 투명액체 또는 점성이 있는 진주광택의 반투명액체 또는 점성이 있는 현탁액 또는 점성이 있는 진주광택의 불투명액체로 발현될 수 있다.
제품의 액성은 pH 4.5~7.5로 얻어지지만, 바람직하게는 25℃에서 pH 5.5~7.0으로 조정한다.
제품의 점성은 최종 효능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25℃에서 3,000~10,000 mPa로 조정한다.
육종용 추출물의 효능
육종용 추출물(Cistanche tubulosa Extract)의 양모, 육모, 탈모방지효과는 C3H마우스의 등 부위 피부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확인하였다.
1. 방법
8주령의 수컷 C3H마우스를 이용하여 그의 등 부분을 전동 이발기 및 면도기로 털을 깎았다. 그 후 2일 후 부터 등부분의 피부에 70%에탄올(control), 캉카엑기스 1% 및 2%의 각 피험시료 (1마리당 0.2mL)을 1일 1회, 주5일, 28일간 도포하였다.
도포개시 후 14일째에 등부위 피부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NIH image로 털 깎은 부분 및 발모부의 면적을 측정하였다. 발모촉진효과는 하기의 식에 의해 산출된 발모율(%)를 지표로 하여 평가하였다. 또 도포개시 후 28일째(시험최종일)에 등 부분의 털을 채취하여 털 길이를 측정하였다.
* 발모촉진효과
[발모율(%)]= [발모부의 면적] / [털 깎은 부분의 면적] × 100
2. 결과
육종용 추출물 1% 및 2% 군은, 2주간 도포에 의해, control군과 비교하여 발모율의 증가가 인정되었다.
도 2는 캉카엑기스의 C3H마우스에 있어서 발모율 증가작용(평균치±표준편차, n=4-5, *: p<0.05)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육종용 추출물 2% 도포군에 있어서 유의한 작용이 인정되어 촬영화상에 있어서도 명백하였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최종일(도포개시 후 28일째)의 털 길이를 측정한 결과, 육종용 추출물 2% 도포군에 있어서 유의한 촉진작용이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육종용 추출물은 성장기를 조기에 유도하는 작용이 인정되어 양모, 육모, 탈모방지효과가 확인되었다.
실시예에서 확인된 양모, 육모, 탈모방지효과
본 발명의 개발연구에서 육종용(Cistanche tubulosa)추출물, 나이아신(Niacin으로 불리며 Nicotinamide 또는 Nicotinic Acid를 포함한다.), 해조추출물(다시마와 미역 포자엽 후코이단), 새싹추출물(다채, 홍화, 완두의 새싹)을 주성분으로 하는 헤어토닉형태의 제품(국소도포제)과 샴푸형태 제품의 양모 및 탈모 방지 효과와 이상반응을 확인하여 새로운 탈모증의 치료제 또는 개선제로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 양모 및 탈모 방지 효과대상 및 방법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제품의 효과평가 과정에서 무작위 배정, 이중 맹검(double blind), 위약 대조군(placebo-controlled) 연구로 효과시험을 진행하였다.
1. 시험대상
병원 피부과를 방문한 Hamilton-Norwood 분류에 의한 Ⅱ에서 V단계의 남성형 탈모증 환자 또는 Ludwig 분류법 I, Ⅱ형에 해당하는 여성형 탈모증을 가진 19세이상 만 55세 이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시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두부 및 전신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는 대상에서 제외하였으며 시험 개시 전 최소 4주간 탈모증 치료를 위해 염화칼퓨로늄 함유제, minoxidil제제, 육모제, 부신피질 호르몬제, 자외선 치료, 면역억제제등의 기타 약제를 사용하지 않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하는 환자들에게 임상연구 내용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하고 피험자의 자유의사에 따라 동의서를 받았다.
2. 시험제품
시험제품1) 헤어토닉형태의 제품(국소 도포제)은,
미황색 또는 연한 갈색의 투명한 액체이며 주요성분은 육종용(Cistanche tubulosa) 추출물, 나이아신 (Niacin으로 불리며 Nicotinamide 또는 Nicotinic Acid를 포함한다.), 해조추출물(다시마와 미역 포자엽 후코이단), 새싹추출물 (다채, 홍화, 완두 새싹)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물과 에탄올을 혼합하여 용제로 사용하였다.
시험제품2) 샴푸형태의 제품은,
미황색 또는 연한 갈색의 투명하고 점성이 있는 액체이며 주요성분은 역시 육종용(Cistanche tubulosa) 추출물, 나이아신 (Niacin으로 불리며 Nicotinamide 또는 Nicotinic Acid를 포함한다.), 해조추출물(다시마와 미역 포자엽 후코이단), 새싹추출물 (다채, 홍화, 완두 새싹)이거나 이들의 혼합물이고 계면활성제와 모발컨디셔닝제와 함께 물을 혼합매로 사용하였다.
시험제품의 주요 성분을 제외하고 외관, 향기가 동일한 용제를 기준조성제품(위약)으로 사용하였다.
시험제품시험과 기준조성제품은 동일한 모양의 용기에 담아 각각 시험군과 대조군의 자원자들에게 사용하게 하고
시험제품1) 헤어토닉형태의 제품(국소도포제)는 총 16주간 아침, 저녁으로 하루 2회 탈모 부위에 도포하도록 하였다.
시험제품2) 샴푸형태의 제품은 총 16주간 매일 아침1회 머리를 세발하는데 일반샴푸와 다르게 거품을 낸 후 3분 이상 헹구지 않고 두피에서 마사지한 뒤 헹구도록 하였다.
3. 유효성 평가 방법
1) 세발 시 탈모수
모든 자원자에게 제공된 기구를 이용하여 치료 0주, 16주에 각 방문일 이전 -11일부터 -1일까지 격일로 5회 수집하여 세발시 탈모수 감소량과 감소량을 기저값으로 나눈 세발시 탈모수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2) 포토트리코그램(Phototrichogram) 에 의한 평가
첫 방문 시 자원자의 탈모 부위(정중 가르마 부위)에 검은 점을 문신한 후 그 점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삭모를 시행하였다.
3일 뒤 포토트리코그램 영상을 얻기 위해 삭모부위를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였다. 빛의 산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삭모 부위에 물을 한 방울 떨어뜨리고 카메라를 두피에 밀착시켜 새로 자란 모발을 가로로 눕힌 상태에서 촬영하였다.
촬영 배율 및 렌즈와 두피 사이의 거리는 늘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치료 16주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삭모를 시행하고 3일 후 포토트리코그램을 촬영을 시행하였다.
이후 포토트리코그램 영상을 분석하여 하기와 같은 생물학적 변수를 구하였다.
- 처음 방문 시와 치료 16주에 평가한 전체 모발 수(total hair count, number/cm2 ) : 삭모반 1cm2내에 있는 모발의 수
- 처음 방문 시와 치료16주에 평가한 성장기 모발 수(anagen hair count, number/cm2 ) : 삭모반 1cm2내에 있는 성장기 모발의 수
- 처음 방문 시와 치료 16 주에 평가한 모발의 굵기에 대한 수치(mean hair diameter ㎛) : 모발의 굵기는 삭모반 1cm2내에 있는 경모의 평균으로 정의하였다.
즉, 모발의 굵기를 각각 측정한 후 굵기가 40㎛ 이상인 모발을 경모로 간주하고 이 경모들의 평균을 각 방문 시의 평균 모발의 굵기로 정의하였다.
3) 본 발명이 평가한 임상증상의 개선도
치료시작 시와 치료8주 및 16주에 가려움, 두피 피지량, 비듬의 정도, 홍반의 정도에 대하여 시험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증상의 변화 정도를 '악화', '변화 없음', '호전'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4) 시험참여자(피험자) 자신의 제제 만족도 비교
'국소도포제 실시예 5' 및 '샴푸형태제품 실시예 5'와 각각의 기준조성의 제제 만족도는 피험자 자신이 느끼는 만족도(효과)에 대하여 치료시작 시와, 8주 및 16주에 '악화', '변화 없음', '약간 효과가 있다', '효과가 있다', '확실하게 효과가 있다'의 5개 단계로 나누어 피험자 자신이 평가하는 것이다.
5개 단계 중 '약간 효과가 있다', '효과가 있다' 및 '확실하게 효과가 있다'를 '효과 있음'으로 분류하여 결과적으로, 총 3개의 단계로 분류한 후 각 단계에서의 피험자 수를 확인하고 두 군을 비교했다.
각각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국소도포제 실시예 1~4' 및 '국소도포제 기준조성'의 효과 비교와 '샴푸형태제품 실시예 1~4' 및 '샴푸형태제품 기준조성'의 효과 비교는 비교적 소수의 참여자 군에서 8주간 약식으로 평가하였다.
4. 통계분석
각 군내에서 모발 생물학적 변수의 0주 값과 16주 값을 paired t-test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각 군에서 치료 후 상기 변수의 변화값(16주값-0주값)을 구하고, t-test혹은 chi-square test를 실시하여 각 변수의 변화값을 군 간 비교하였다. P-value 0.05 미만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하였다.
B. 결과
1. 피험자 정보
[표 5]는 헤어토닉형태(국소도포제) 제품의 평가자 특성(Characteristic of volunteers)을 나타낸 것이며, [표 6]은 샴푸형태 제품의 평가자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표 5] 및[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2형태의 시험제품 모두 총 100명 (남성: 74명, 여성: 26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였으나 각각 27명과 16명이 개인적인 이유로 중도 탈락하여 73명과 84명이 연구를 종료하였다.
배경인자로 성별, 연령, 수축기, 이완기 혈압, 맥박, 치료전 두피의 비듬, 가려움, 피지량, 홍반의 정도를 비교해 보았을 때 시험군과 대조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인원수 연령
국소도포제 실시예 5 사용군 43 32.8±10.9
국소도포제 기준조성 사용군 41 33.5±5.5
  인원수 연령
샴푸 실시예 5 사용군 33 38.8±8.9
샴푸 기준조성 사용군 40 41.7±8.9
2. 유효성 평가
1) 세발 시 탈모수 감소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형태의 시험제품 모두 시험 16주 후에 시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세발 시 탈모수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각각 시험군에서 더 큰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시험군과 대조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포토트리코그램에 의한 평가
도 6(P=0.0223) 및 도 7(P=0.03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형태의 시험제품 모두 시험 16주 후, 시험군에서는 전체 모발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군간의 비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치였다. 성장기 모발수, 모발의 굵기의 유의한 증가는 없었다. 대조군에서는 모발의 굵기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전체 모발수, 성장기 모발 수의 유의미한 증가가 있었다.
또한, 도 8에는 국소도포제 사용 16주 후 평균 성장기모 수(p=0,0193)를 나타내었고, 도 9에는 샴푸형태제품 16주 사용 후 평균 모발 수 증가(P=0.0305)를 나타내었으며, 도 10에는 샴푸형태제품 16주 사용 후 평균 모발 굵기 증가를 나타내었고, 도 11에는 샴푸형태제품 16주 사용 후 평균 평균 성장기모 수(p=0,0188)를 나타내었다.
3) 연구자가 평가한 임상증상의 개선도 평가
2형태의 시험제품 전부에서 가려움, 두피 피지량, 비듬의 정도, 홍반의 네가지 평가 항목 모두에서 호전을 보이는 피험자는 없었고, 일부 피험자에서 악화되었다고 판단되기는 하였으나, 8주보다 16주에서 악화되었다고 판단한 피험자의 수는 줄어들었다.
[표 7]은 국소도포제 효능시험에서 개선 효과에 대한 본 발명자 등의 관찰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표 8]은 샴푸 효능시험에서 개선 효과에 대한 본 발명자 등의 관찰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7] 및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군간의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국소도포제 실시예5 사용군 국소도포제기준조성 사용군 p-value
(N=43), N (%) (N=41), N(%)  
8 주  
악화됨 2 (6.1) 1(2.5)
변화 없음 31 (93.9) 39(97.5) 0.4861
비듬 ( Dandruff ) 개선됨 0 (0.0) 0(0.0)
16 주
악화됨 2(6.1) 1(2.5)
변화 없음 31(93.9) 39(97.5) 0.3227
  개선됨 0(0.0) 0(0.0)  
8 주  
악화됨 8(24.2) 4(10.0)
변화 없음 25(75.8) 35(87.5) 0.1864
가려움( Itching ) 개선됨 0(0.0) 1(2.5)
16 주
악화됨 4(12.1) 1(2.5)
변화 없음 29(87.9) 39(97.5) 0.1686
  개선됨 0(0.0) 0(0.0)  
8 주  
악화됨 7(21.2) 12(30.0)
변화 없음 26(78.8) 28(70.0) 0.3944
피지량( Sebum ) 개선됨 9(0.0) 0(0.0)
16 주
악화됨 5(15.2) 6(15.0)
변화 없음 28(84.9) 34(85.0)
  개선됨 0(0.0) 0(0.0)  
8 주  
악화됨 0(0.0) 0(0.0)
변화 없음 33(100.0) 40(100.0) -
습진( Erythema ) 개선됨 0(0.0) 0(0.0)
16 주
악화됨 0(0.0) 0(0.0)
변화 없음 33(100.0) 40(100.0) -
  개선됨 0(0.0) 0(0.0)  
샴푸 실시예5 사용군
(N=33), N (%)
샴푸기준조성 사용군 (N=40), N(%) p-value



비듬 ( Dandruff )
8 주
악화됨
변화 없음
개선됨
16 주
악화됨
변화 없음
개선됨

2 (6.1)
31 (93.9)
0 (0.0)

2(6.1)
31(93.9)
0(0.0)

1(2.5)
39(97.5)
0(0.0)

1(2.5)
39(97.5)
0(0.0)


0.5861



0.5861



가려움( Itching )
8 주
악화됨
변화 없음
개선됨
16 주
악화됨
변화 없음
개선됨

8(24.2)
25(75.8)
0(0.0)

4(12.1)
29(87.9)
0(0.0)

4(10.0)
35(87.5)
1(2.5)

1(2.5)
39(97.5)
0(0.0)


0.1864



0.1686



피지량( Sebum )
8 주
악화됨
변화 없음
개선됨
16 주
악화됨
변화 없음
개선됨

7(21.2)
26(78.8)
9(0.0)

5(15.2)
28(84.9)
0(0.0)

12(30.0)
28(70.0)
0(0.0)

6(15.0)
34(85.0)
0(0.0)


0.3944



1.0000



습진( Erythema )
8 주
악화됨
변화 없음
개선됨
16 주
악화됨
변화 없음
개선됨

0(0.0)
33(100.0)
0(0.0)

0(0.0)
33(100.0)
0(0.0)

0(0.0)
40(100.0)
0(0.0)

0(0.0)
40(100.0)
0(0.0)


-



-
4) 시험참여자(피험자) 자신의 제제만족도 비교 평가
2가지 형태의 시험제품 전부를 기준조성제품과 비교하여 각각의 시험참여자(피험자)의 군을 구성하여 시험한 결과는 하기의 [표 9] 및 [표 10]과 같았다.
[표 9]는 국소도포제 효능시험에서 참여자 자신의 모발상태에 대한 개선효과 평가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표 10]은 샴푸 효능시험에서 참여자 자신의 모발상태에 대한 개선효과 평가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각각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국소도포제 실시예 1~4 사용군' 및 '국소도포제 기준조성 사용군', '샴푸형태제품 실시예 1~4 사용군' 및 '샴푸형태제품 기준조성 사용군'의 8주간 약식 평가결과도 모두 일정한 정도의 양모 및 탈모 방지 효과를 실감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1 사용군 실시예2 사용군 실시예3 사용군 실시예4 사용군 기준조성 사용군
(N=10),
N (%)
(N=12),
N (%)
(N=12),
N (%)
(N=13),
N (%)
(N=11),
N(%)
8 주
악화됨 0(0.0) 1(8.3) 0(0.0) 0(0.0) 1(2.4)
변화 없음 7(70.0) 8(66.7) 8(66.7) 10(76.9) 8(72.7)
개선됨 3(30.0) 3(25.0) 4(33.3) 3(23.1) 2(18.1)
  실시예1
사용군
실시예2
사용군
실시예3
사용군
실시예4
사용군
기준조성
사용군
(N=13),
N (%)
(N=11),
N (%)
(N=13),
N (%)
(N=11),
N (%)
(N=10),
N (%)
8 주
악화됨 0(0.0) 0(0.0) 1(7.7) 1(9.1) 0(0.0)
변화 없음 10(76.9) 9(81.8) 9(68.2) 8(72.7) 9(90.0)
개선됨 3(23.1) 2(18.2) 3(23.1) 2(81.8) 1(10.0)
또한, [표 11]은 국소도포제 효능시험에서 시험참여자 자신의 모발상태에 대한 개선효과 평가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표 12]는 샴푸 효능시험에서 시험참여자 자신의 모발생태에 대한 개선효과 평가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하기의 [표 11] 및 [표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국소도포제 실시예 5 사용군'과 '국소도포제 기준조성 사용군'의 비교, '샴푸형태제품 실시예 5 사용군'과 '샴푸형태제품 기준조성 사용군'의 평가에서 전반적으로 2 제품의 시험군에서 '효과있음'으로 응답한 피험자의 비율이 위약군보다 높았다.
또한, 군간의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국소도포제 실시예5 사용군 국소도포제 기준조성 사용군 p-value
(N=43), N (%) (N=41), N(%)
8 주
악화됨 1(2.3) 1(2.4)
변화 없음 21(48.8) 29(70.7) 0.4373
개선됨 21(48.8) 11(26.8)
16 주
악화됨 1(2.3) 2(48.8)
변화 없음 15(34.9) 28(68.6) 0.8214
개선됨 27(62.8) 11(26.8)  
  CTP/PDG(N=33) Control(N=40) p-value
N (%) N(%)
8 주
악화됨 2(6.1) 3(7.5)
변화 없음 20(60.6) 27(67.5) 0.4572
개선됨 11(33.3) 10(25.0)
16 주
악화됨 3(9.1) 2(5.0)
변화 없음 20(60.6) 27(67.5) 0.9219
개선됨 10(30.3) 11(27.5)

Claims (8)

  1. 전체 구성 성분 100중량% 대비하여 육종용(Cistanche tubulosa)추출물, 나이아신(Niacin으로 불리며 Nicotinamide 또는 Nicotinic Acid를 포함), 해조추출물(다시마와 미역 포자엽 후코이단) 및 새싹추출물(다채, 홍화, 완두 새싹)을 0.01중량% ~ 3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
  2. 전체 구성 성분 100중량% 대비하여 육종용(Cistanche tubulosa)추출물, 나이아신(Niacin으로 불리며 Nicotinamide 또는 Nicotinic Acid를 포함), 해조추출물(다시마와 미역 포자엽 후코이단) 및 새싹추출물(다채, 홍화, 완두 새싹)을 각각 0.01중량% ~ 10중량%씩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종용(Cistanche tubulosa)추출물 및 상기 나이아신(Niacin으로 불리며 Nicotinamide 또는 Nicotinic Acid를 포함)이 0.01중량% ~ 2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종용(Cistanche tubulosa)추출물 및 상기 해조추출물(다시마와 미역 포자엽 후코이단)이 0.01중량% ~ 2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종용(Cistanche tubulosa)추출물 및 상기 새싹추출물(다채, 홍화, 완두 새싹)이 0.01중량% ~ 2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아신(Niacin으로 불리며 Nicotinamide 또는 Nicotinic Acid를 포함) 및 상기 새싹추출물(다채, 홍화, 완두 새싹)이 0.01중량% ~ 2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아신(Niacin으로 불리며 Nicotinamide 또는 Nicotinic Acid를 포함) 및 상기 해조추출물(다시마와 미역 포자엽 후코이단)이 0.01중량% ~ 2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추출물(다시마와 미역 포자엽 후코이단) 및 상기 새싹추출물(다채, 홍화, 완두 새싹)이 0.01중량% ~ 2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
KR1020110093478A 2011-09-16 2011-09-16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 KR101383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478A KR101383217B1 (ko) 2011-09-16 2011-09-16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478A KR101383217B1 (ko) 2011-09-16 2011-09-16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006A true KR20130030006A (ko) 2013-03-26
KR101383217B1 KR101383217B1 (ko) 2014-04-10

Family

ID=4817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478A KR101383217B1 (ko) 2011-09-16 2011-09-16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21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20870A (zh) * 2015-11-26 2016-04-27 澳宝化妆品(惠州)有限公司 一种含豌豆芽提取物的头发护理组合物
KR20160135532A (ko) * 2015-05-18 2016-11-28 (주)애니닥터헬스케어 비듬제거와 탈모방지 개선 및 모발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
WO2017052269A1 (ko) * 2015-09-23 2017-03-30 (주)애니닥터헬스케어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및 항염증 조성물
KR101951283B1 (ko) * 2017-11-13 2019-02-22 양미경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약학 또는 화장료 조성물
CN111920736A (zh) * 2020-08-21 2020-11-13 滁州植兀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防脱发组合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207A (ko) 2018-07-29 2020-02-06 이은선 두발 영양보충제와 샴프를 분리수용하는 혼합 토출 용기
KR102398183B1 (ko) 2020-08-21 2022-05-17 한옥수 황토 지장수와 과일 발효액을 이용한 새싹 보리 및 새싹 밀의 재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196B1 (ko) * 2002-07-13 2005-03-10 김우영 탈모방지 또는 발모에 효과적인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4269430A (ja) 2003-03-10 2004-09-30 Ichimaru Pharcos Co Ltd 毛髪処理用組成物及び損傷毛用毛髪化粧料
JP3830960B1 (ja) * 2005-08-12 2006-10-11 建仁 河乃 育毛物質
KR100769260B1 (ko) * 2006-08-25 2007-10-22 주식회사 태웅이엘에스 희토원소를 함유하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5532A (ko) * 2015-05-18 2016-11-28 (주)애니닥터헬스케어 비듬제거와 탈모방지 개선 및 모발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
WO2017052269A1 (ko) * 2015-09-23 2017-03-30 (주)애니닥터헬스케어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및 항염증 조성물
CN105520870A (zh) * 2015-11-26 2016-04-27 澳宝化妆品(惠州)有限公司 一种含豌豆芽提取物的头发护理组合物
KR101951283B1 (ko) * 2017-11-13 2019-02-22 양미경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약학 또는 화장료 조성물
CN111920736A (zh) * 2020-08-21 2020-11-13 滁州植兀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防脱发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217B1 (ko) 201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5547B1 (en) Hair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KR101383217B1 (ko)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
KR20090088894A (ko) 쪽풀 추출물 분말과 그 제조 방법 및 그 쪽풀 추출물 분말의 용도
JP3495712B2 (ja) 食品組成物
KR20130069512A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15969B1 (ko) 찔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CN105555285B (zh) 用于促进生发及毛发生长的组合物
JP6490342B2 (ja) 不知火菊抽出物を含む抗皮膚老化剤
JPH09208484A (ja) 活性酸素消去剤及びそれを含む組成物
KR20130038925A (ko) 헤스페레틴의 신규 용도
KR101564255B1 (ko)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3509706B1 (en) Method for increasing lipolysis using a composition comprising bioactive nelumbo nucifera (lotus) extract
JP4169814B2 (ja) リュウゼツラン又はサイザル抽出物含有皮膚外用剤
KR102373929B1 (ko)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샴푸 및 에센스 제형의 두피케어용 화장품 조성물
KR20140115228A (ko) 생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09956B1 (ko)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혈행 개선용 조성물
KR100909729B1 (ko) 남실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5445B1 (ko) 5-아미노레불린산, 5-아미노레불린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과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93040B1 (ko) 발모·육모용 외용 조성물
KR0154210B1 (ko) 두발 화장품 조성물
KR101138237B1 (ko) 미용소금 복합체,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미용용품
JP7222483B2 (ja) クサソテツ抽出物を調製する方法
JP4707734B2 (ja) サイザル抽出物含有皮膚外用剤
KR101817187B1 (ko) 네오헤스페리딘의 신규의 용도
JP2017088538A (ja) 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