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796A - 개폐기구 - Google Patents

개폐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796A
KR20130029796A KR1020137000406A KR20137000406A KR20130029796A KR 20130029796 A KR20130029796 A KR 20130029796A KR 1020137000406 A KR1020137000406 A KR 1020137000406A KR 20137000406 A KR20137000406 A KR 20137000406A KR 20130029796 A KR20130029796 A KR 20130029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moving plate
casing
arm
sl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0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0266B1 (ko
Inventor
야스히로 미쓰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44114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3002979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9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9Sliding mechanism with two degree of freedom, e.g. translation in two different dir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65Detail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one or more lifting 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이른바 풀 플랫으로 개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개폐기구에 관한 것으로, 제1 케이싱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제2 케이싱에 고정되는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제1 슬라이드 기구를 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 중간부재와, 상기 중간부재에 제2 슬라이드 기구를 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대해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개폐기구{OPENING/C10SING MACHANISM}
본 발명은 개폐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이른바 풀 플랫(pu11 flat)으로 개방할 수 있는 개폐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기로 대표되는 휴대단말장치는 숫자 패드 등이 설치된 제1 케이싱, 이 액정표시장치 등이 설치되고 제1 케이싱에 대해 개폐가능한 제2 케이싱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1 케이싱에 대해 제2 케이싱을 개폐시키는 구조로서는,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힌지 기구로 접속하여 제1 케이싱에 대해 제2 케이싱을 회전시켜 개폐하는 타입(폴더 타입)과 제1 케이싱에 대해 제2 케이싱을 슬라이드시킴으로써 개폐하는 타입(슬라이드 타입)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휴대단말장치의 다기능화가 진행되고 있고, 또한 지상 디지털방송을 수신가능한 장치도 제공되고 있으며, 액정표시장치의 대형화도 진행되고 있다. 또한, 다기능화에 따라 휴대단말장치에 대해 입력처리를 하는 키보드의 키의 갯수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이 때문에 키보드도 대형화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휴대단말장치는 휴대성의 향상이 항상 요구된다는 점에서, 액정표시장치 및 키보드의 대형화에는 한계가 있다.
상기한 폴더 타입의 휴대단말장치에서는 접은 상태에서는 액정표시장치는 숨은 상태가 되어, 접은 상태에서는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단말장치에서는 상기한 폴더 타입의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지만, 열린 상태에서는 필연적으로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이 포개어지는 부분이 발생하여,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개방한 상태에서,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이 동일 평면상(풀 플랫)이 되는 개폐기구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2 참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닫은 상태에서도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한편,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개방한 상태에서는 두 케이싱에 포개어지는 부분이 없이 스페이스의 유효한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9-059102호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9-071588호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개폐기구는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1개 또는 2개의 링크(여결 아암)로 접속하고 있지만, 상기와 같이 제2 케이싱이 제1 케이싱 상에서 슬라이드하는 구성이므로, 이 연결 아암이 짧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케이싱에 대한 제2 케이싱의 승강시에 연결 아암이 회전함에 따라, 제2 케이싱이 제1 케이싱에 대해 상하로 이동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연결 아암이 짧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승강조작시에 대향하는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의 각 모서리부에는 두 케이싱이 충돌하지 않도록 만곡된 도피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인용문헌 1의 도 4 참조). 이 때문에, 이 도피부를 형성한 부분에는 액정표시장치나 키보드를 설치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스페이스의 이용효율이 저하해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1 케이싱에 대해 제2 케이싱이 승강할 때에 연결 아암은 제2 케이싱의 단부에만 접속된 구성이므로, 연결 아암에 대해 제2 케이싱이 회전할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회전한 경우에는, 제2 케이싱은 연결 아암과의 연결 위치를 중심으로 기울어 버려, 수평상태를 유지한 개폐를 실시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개량된 유용한 개폐 기구 제공하는 것을 총괄적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목적은 제1 및 제2 케이싱의 스페이스의 이용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동작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개폐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개폐기구는,
제1 케이싱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제2 케이싱에 고정되는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제1 슬라이드 기구를 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 중간부재와,
상기 중간부재에 제2 슬라이드 기구를 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대해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를 일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된 아암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아암의 90°이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승강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강하함에 따라 상기 제1 케이싱의 상면과 상기 제2 케이싱의 상면이 동일한 면이 된 때에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대한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변위를 규제하는 덜걱거림 방지기구를 형성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덜걱거림 방지기구를 상기 아암의 상기 타단부측에 형성된 제1 캠부와, 그 제1 캠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캠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형성된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캠부와 상기 제2 캠부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대한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닫힘 방향의 이동이 규제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 기구의 일부가 상기 스토퍼와 걸어맞춤함으로써 열림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드부와의 사이에 탄성 부가수단을 설치한 구성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 케이싱에 개폐동작을 위한 데드 스페이스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제1 케이싱에 대해 제2 케이싱을 안정적으로 개폐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개폐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개폐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개폐기구의 슬라이드 완료상태를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개폐기구의 슬라이드 완료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개폐기구의 열린 상태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개폐기구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중간부재 및 슬라이드부재의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중간부재 및 슬라이드부재의 근방을 내측에서 본 상태를 확대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중간부재 및 슬라이드부재의 근방을 하부에서 본 상태를 확대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는 닫힌 상태의 전자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b은 닫힌 상태의 개폐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8c는 닫힌 상태의 전자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9a는 슬라이드 완료상태의 전자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b는 슬라이드 완료상태의 개폐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9c는 슬라이드 완료상태의 전자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10a는 열린 상태의 전자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b는 열린 상태의 개폐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0c는 열린 상태의 전자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11a는 닫힌 상태의 승강기구 및 덜걱거림 방지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b는 슬라이드 완료상태의 승강기구 및 덜걱거림 방지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c는 열린 상태의 승강기구 및 덜걱거림 방지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개폐기구(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개폐기구(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개폐기구(1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a는 슬라이드 완료상태의 개폐기구(10)를 도 1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b는 슬라이드 완료상태의 개폐기구(10)의 평면도이고, 도 4a는 열린 상태의 개폐기구(10)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b는 열린 상태의 개폐기구(10)의 평면도이다(또한, 슬라이드 완료상태 및 열린 상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
이 개폐기구(10)는, 예를 들어,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1 케이싱(2)과 제2 케이싱(3)을 갖는 전자기기(1)에 설치되어, 제1 케이싱(2)에 대해 제2 케이싱(3)을 도 8a에 나타낸 포개어진 상태(이하, 이 상태를 닫힌 상태라고 한다)와 도 10a에 나타낸 풀 플랫 상태(이하, 이 상태를 열린 상태라고 한다)의 사이에서 개폐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하, 개폐기구(10)의 구성에 대해 주로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폐기구(10)는 대략적으로는 고정 플레이트(20), 이동 플레이트(30), 중간부재(40), 슬라이드부재(50), 승강기구(60), 덜걱거림 방지기구(70) 및 토션 스프링(80) 등을 갖는 구성이다.
고정 플레이트(20)는 전자기기(1)의 고정측인 제1 케이싱(2)에 고정된다. 이 고정 플레이트(20)는 금속판(예를 들어, 스테인리스)을 프레스 가공한 것으로서, 본체부(21)와 ㄷ자형 아암(22)을 일체로 형성한 구성이다.
본체부(21)는 도면 중의 X1. X2 방향으로 연장하는 판형상 부분이다.
이 본체부(21)의 양측부에는 제1 슬라이드 스토퍼(2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슬라이드 스토퍼(23)는 후술하는 중간부재(40)의 스토퍼 클로(45)와 협동하여, 고정 플레이트(20)에 대한 중간부재(40)의 슬라이드를 규제한다.
또한, 본체부(21)의 Y2 방향측의 중앙 근방에 형성된 1쌍의 돌출부분에는 각각 스프링 고정용 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본체부(21)의 소정 위치에는 고정 플레이트(20)를 제1 케이싱(2)에 고정하는 고정 나사(도시 생략)가 삽입통과하는 고정용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ㄷ자형 아암(22)은 본체부(21)의 양측부에 도면 중의 화살표 Y2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a, 도 4b 및 도 5에서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ㄷ자형 아암(22)은 ㄷ자형으로 접어구부려져 형성됨으로써, 내측에 공간부(22a)(도 5에 나타냄)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부(22a)의 내부에는 가이드부재(28)가 설치된다. 가이드부재(28)는, 예를 들어, 인서트 성형을 이용하여 공간부(22a) 내에 고정된다.
이 가이드부재(28)는 수지를 U자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다. 따라서, 가이드부재(28)의 중앙 부분에는 화살표 Y1, Y2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라이드 흠(28a)(도 6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재(28)는 마찰계수가 적고, 내마모성이 뛰어난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부재(28)의 재료로서 마찰계수가 적고 내마모성이 뛰어난 폴리아세탈(POM)을 이용하고 있다.
다음으로, 이동 플레이트(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동 플레이트(30)는 전자기기(1)의 이동측인 제2 케이싱(3)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 이동 플레이트(30)도 고정 플레이트(20)와 마찬가지로 금속판(예를 들어, 스테인리스)을 프레스 가공한 것이다. 이동 플레이트(30)는 본체부(31), 연장 아암(32), 수평 연장부(33)를 일체로 형성한 구성이다.
본체부(31)는 도면 중의 X1, X2 방향으로 연장하는 판형상 부분이다. 이 본체부(31)의 소정 위치에는 이동 플레이트(30)를 제2 케이싱(3)에 고정하는 고정 나사(도시 생략)가 삽입통과하는 고정용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연장 아암(32)은 본체부(3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연장 아암(32)은 본체부(31)로부터 도면 중의 화살표 Y1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장 아암(32)은 본체부(31)에 대해 직각으로 접어 구부러진 구성이다. 또한, 연장 아암(32)은 후술할 승강 아암(61)을 축 지지하는 축 지지핀(67)이 장착되는 축지지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수평 연장부(33)는 연장 아암(32)의 일부(Y1 방향 측의 일부분)를 직각으로 접어 구부림으로써,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수평 연장부(33)의 소정 위치에도 고정용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용 구멍(34)은 이동 플레이트(30)를 제2 케이싱(3)에 고정하는 고정 나사(도시 생략)가 삽입통과된다. 또한, 수평 연장부(33)에는 후술할 덜걱거림 방지기구(70)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중간부재(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간부재(40)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판을 일체로 성형한 것이다. 이 중간부재(40)는, 도 1~도 4a, 도 4b에 더하여 도 5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41), 슬라이딩부(42), 샤프트 고정부(43) 및 스토퍼 클로(45) 등을 가진 구성이다.
베이스부(41)는 수직으로 기립하여 슬라이드 방향(도면 중 화살표 Y1, Y2 방향)으로 연장하는 판형상 부재이다. 이 베이스부(41)의 하부는 직각으로 절곡됨으로써 슬라이딩부(42)를 형성하고 있다. 이 슬라이딩부(42)는 수평방향으로 연장하고, 베이스부(41)와 마찬가지로 Y1, Y2 방향으로 연장하는 구성이다.
또한, 베이스부(41)의 Y1 방향 단부 및 Y2 방향 단부는 일부가 직각으로 절곡됨으로써, 샤프트 고정부(43)를 형성하고 있다. 이 베이스부(41)의 양단부에 형성된 샤프트 고정부(43)는 서로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 고정부(43)는 슬라이딩부(42)에 대해 도면 중의 화살표 Z1, Z2 방향으로 이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샤프트 고정부(43)에는 샤프트구멍(43a)이 형성되어 있다. 후술할 슬라이드 샤프트(57)는 이 샤프트구명(43a)에 삽입통과됨으로써 샤프트 고정부(43)에 장착된다.
스토퍼 클로(45)는 샤프트 고정부(43)의 일부를 하방을 향해 잘라 세운 구성이다. 따라서, 스토퍼 클로(45)는 슬라이딩부(42)의 하면보다 하방으로(Z2 방향으로) 돌출한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의 중간부재(40)는 제1 슬라이드 기구(90)를 통하여 고정 플레이트(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슬라이드 기구(90)는 고정 플레이트(20)에 형성된 ㄷ자형 아암(22), 가이드부재(28) 등과, 중간부재(40)에 형성된 슬라이딩부(4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ㄷ자형 아암(22)에는 가이드부재(28)가 설치되지만, 가이드부재(28)에는 Y1, Y2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라이드 홈(28a)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재(40)에 형성된 슬라이딩부(42)는 가이드부재(28)의 슬라이드 흠(28a)에 삽입된다. 이때, 샤프트 고정부(43)와 슬라이딩부(42)의 사이가 이간되어 있으므로, 샤프트 고정부(43)가 ㄷ자형 아암(22)로 맞닿지 않는다.
도 6은 중간부재(40)의 슬라이딩부(42)가 ㄷ자형 아암(22)에 장착된 가이드부재(28)의 슬라이드 홈(28a)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재(28)는 마찰계수가 적고, 내마모성이 뛰어난 수지재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간부재(40)는 제1 슬라이드 기구(90)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20)(ㄷ자형 아암(22))을 따라 슬라이드 방향(Y1, Y2 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한 구성이 된다.
이와 같이, 중간부재(40)는 ㄷ자형 아암(22)을 따라 Y1, Y2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그러나, 중간부재(40)의 Y1 방향에 대한 슬라이드는 중간부재(40)에 형성된 스토퍼 클로(45)가 고정 플레이트(20)(본체부(21))에 형성된 제1 슬라이드 스토퍼(23)와 맞닿음으로써 규제된다(도 6 참조).
또한, 중간부재(40)의 Y2 방향의 슬라이드는 중간부재(40)의 Y2 방향 측 단부에 형성된 샤프트 고정부(43)와 베이스부(41)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부(도 1 및 도 6 참조. 이하, 이 단차부를 스토퍼부(46)라고 한다)가 ㄷ자형 아암(22)의 Y2 방향 단부에 형성된 제2 슬라이드 스토퍼(24)와 맞닿음으로써 규제된다. 도 8b는 스토퍼부(46)가 제2 슬라이드 스토퍼(24)와 맞닿고, 이로써 중간부재(40)의 Y2 방향의 슬라이드가 규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슬라이드부재(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슬라이드부재(50)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판을 일체로 성형한 것이다. 이 슬라이드 부재(50)는, 도 1-도 4a, 도 4b에 더하여 도 5, 도 7에서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51), 저판부(52) 및 회전 스토퍼(53) 등을 가진 구성이다.
본체부(51)는 화살표 Y1 방향 및 Y2 방향 측의 측부가 개구한 직육면체 형상이고, 그 내부에는 가이드부재(58)가 장착된다. 이 가이드부재(58)는, 예를 들어, 인서트 성형을 이용하여 본체부(51) 내에 고정된다.
이 가이드부재(58)는 수지를 직육면체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다. 또한, 가이드부재(58)에는 슬라이드 방향(Y1, Y2 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샤프트구멍(58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샤프트구멍(58a)에는 후술할 슬라이드 샤프트(57)가 슬라이드가능한 구성으로 삽입통과된다. 이 가이드부재(58)는 마찰계수가 적고, 내마모성이 뛰어난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부재(28)의 재료로서 POM를 이용하고 있다.
저판부(52)는 본체부(51)의 외측 측벽의 하부에 내측으로 수펑하게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7 참조). 이 저판부(52)는 슬라이드부재(50)의 하면을 지지하므로, 이로써 가이드부재(58)를 슬라이드부재(50) 내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51)의 내측 측벽에는 축지지구멍(5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축지지구멍(55)에는 후술할 승강 아암(61)(승강기구(60)의 일부를 구성한다)의 상부를 축지지하는 축지지핀(67)이 고정된다.
또한, 회전 스토퍼(53)는 본체부(51)의 내측 측벽의 하부에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5~도 7 참조). 이 회전 스토퍼(53)는 토션 스프링 (80)의 단부(82)가 장착함과 함께 후술할 승강 아암(61)의 불필요한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회전 스토퍼(53)의 스토퍼 기능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슬라이드부재(50)는 제2 슬라이드 기구(100)를 통하여 중간부재(4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슬라이드 기구(100)는 슬라이드 샤프트(57) 및 가이드부재(58)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중간부재(40)는 베이스부(41)의 Y1, Y2 방향 측의 양측부의 외측에 직각으로 절곡된 샤프트 고정부(43)를 갖고 있다. 이 1쌍의 샤프트 고정부(43)는 서로 대향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각각 샤프트 구멍(43a)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샤프트(57)는 이 1쌍의 샤프트 고정부(43)의 샤프트구멍(43a)에 장착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샤프트(57)가 중간부재(40)에 장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샤프트(57)는 슬라이드 방향(Y1, Y2 방향)으로 연장하는 구성이 된다. 또한, 슬라이드 샤프트(57)를 중간부재(40)에 장착할 때에, 슬라이드부재(50)를 슬라이드 샤프트(57)에 장착한다.
구체적인 조립방법으로는, 먼저 가이드부재(58)가 고정된 슬라이드부재(50)를 중간부재(40)의 1쌍의 샤프트 고정부(43)의 사이에 위치결정한다. 다음으로, 어느 한 회전 스토퍼(53)(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Y2 방향 측 샤프트 고정부(43))로부터 슬라이드 샤프트(57)를 샤프트구멍(43a)에 삽입한다. 그 다음, 샤프트구멍(43a)에 삽입한 슬라이드 샤프트(57)를 가이드부재(58)의 샤프트구멍(58a) 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가이드부재(58)의 Y1 방향 단부로부터 돌출한 슬라이드 샤프트(57)를 Y1 방향 측의 샤프트 고정부(43)의 샤프트구멍(43a)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샤프트 고정부(43)와 슬라이드 샤프트(57)를 고정한다. 또한, 고정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용접, 코킹 등의 여러 가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58)는 상기와 같이 마찰계수가 적고, 내마모성이 뛰어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샤프트(57) 및 샤프트구멍(58a)의 직경은 슬라이드 샤프트(57)를 가이드부재(58)가 슬라이드가능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부재(50)는 제2 슬라이드 기구(슬라이드 샤프트(57), 가이드부재(58))를 통하여 중간부재(4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 구성이다.
다음으로, 숭강기구(60)에 대하여 설명한다. 승강기구(60)는 상기한 슬라이드부재(50)에 대해 이동 플레이트(30)를 승강시키는(화살표 Z1, Z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 승강기구(60)는 이동 플레이트(30)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된 1쌍의 승강 아암(61)으로 구성된다.
승강 아암(61)은 메탈 아암부(63)와 수지 아암부(64)로 구성된다. 메탈 아암부(63)는 수지 아암부(64)의 홈부(65) 내에 설치된 구성이다. 이 승강 아암(61)은 수지 아암부(64)의 성형시에 메탈 아암부(63)를 인서트 성형하여도 되고, 또한, 메탈 아암부(63)와 수지 아암부(64)를 별개로 형성한 후 이를 조합함으로써 형성하여도 된다.
승강 아암(61)은 그 상단부 근방 위치 및 하단부 근방 위치에 축지지 핀(67, 68)을 삽입통과하는 축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축지지핀(67)은 승강 아암(61)의 상단부의 축구멍을 삽입통과한 후, 이동 플레이트(30)의 연장 아암(32)에 형성된 축지지구멍(36)에 고정된다. 이로써, 승강 아암(61)은 이동 플레이트(30)에 대해 축지지핀(67)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접속된 상태가 된다.
또한, 축지지핀(68)은 승강 아암(61)의 하단부의 축구멍을 삽입통과한 후, 슬라이드부재(50)의 내측 측벽에 형성된 축지지구멍(55)에 고정된다. 이로써, 승강 아암(61)은 슬라이드부재(50)에 대해 축지지핀(68)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접속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이동 플레이트(30)와 슬라이드부재(50)의 사이에 하단부가 슬라이드부재(50)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고, 상단부가 이동 플레이트(30)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된 승강 아암(61)을 형성함으로써, 이동 플레이트(30)는 슬라이드부재(50)에 대해 승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 플레이트(30)가 슬라이드부재(50)에 대해 상승한 상태에서, 승강 아암(61)의 수평방향(Y1, Y2 방향)에 대한 각도(θ)(도 1 및 도 11a에 나타낸다)가 90°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θ≤90°). 따라서, 이동 플레이트(30)가 승강할 때, 승강 아암(61)의 회전 각도는 90°이하가 된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 플레이트(30)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된 승강 아암(61)의 장착 위치를 슬라이드 방향으로 어긋나게(즉, 쉬프트하여) 설치한 구성이다. 여기서, 화살표 X1 방향 측에 위치하는 승강 아암(61)을 특히 승강 아암(61R)으로 하고, X2 방향 측에 위치하는 승강 아암(61)을 특히 승강 아암(61L)으로 한다(도 2, 도 3b, 도 4b 및 도 11a~도 11c에 나타낸다).
각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 아암(61R)의 설치위치에 대해, 승강 아암(61L)의 설치위치는 도면 중의 화살표 Y1 방향으로 어긋난(쉬프트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는, 승강 아암(61R)의 설치위치와 승강 아암(61L)의 설치위치는 도면 중의 화살표 △Y로 나타낸 치수만큼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슬라이드부재(50)에 대해 이동 플레이트(30)를 지지하기 위해 이동 플레이트(30)의 양측에 설치된 승강 아암(61)의 위치를 어긋나게 함으로써, 합계 2개의 승강 아암(61)(승강 아암(61R, 61L))으로 이동 플레이트(30)를 슬라이드부재(50)에 대해 수평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만약 각 승강 아암(61R, 61L)을 어긋나게 하지 않고(쉬프트하지 않고) 배치한 경우를 상정해 본다. 즉, 도 2, 도 3b, 도 4b 및 도 11(A)에서 △Y=0으로 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를 측면에서 보면, 각 승강 아암(61R, 61L)은 포개어진 상태가 되어, 이로써 승강 아암(61R, 61L)이 이동 플레이트(30)에 접속하는 위치도 포개어져 버린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이동 플레이트(30)는 승강 아암(61R, 61L)의 접속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구성이 되고, 이동 플레이트(30)는 매우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승강 아암(61R)의 설치위치에 대해 승강 아암(61L)의 설치위치가 어긋난(쉬프트한) 구성이므로, 승강 아암(61R)이 이동 플레이트(30)에 접속하는 위치와 승강 아암(61L)이 이동 플레이트 (30)에 접속하는 위치도 어긋난(쉬프트한) 구성이 된다.
이로써, 이동 플레이트(30)는 각 승강 아암(61R, 61L)에 대한 회전이 규제되고, 각 승강 아암(61R, 61L)의 회전에 의해 이동 플레이트(30)가 승강하는 경우, 이동 플레이트(30)는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승강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2개의 적은 부품수의 승강 아암(61R, 61L)으로 이동 플레이트(30)를 수평으로 안정된 상태로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 플레이트(30)의 측부에 각각 1개의 승강 아암(61R, 61L)을 설치함과 함께, 그 설치위치를 어긋나게 함으로써, 부품수의 삭감과 이동 플레이트(30)의 동작의 안정화를 도모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승강 아암(61)의 설치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동 플레이트(30)의 양측에 각각 복수의 승강 아암을 배치함으로써, 이동 플레이트(30)의 승강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덜걱거림 방지기구(7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승강기구(60)에 의해 이동 플레이트(30)는 슬라이드부재(50)에 대해 승강하지만, 덜걱거림 방지기구(70)는 이동 플레이트(30)가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에 있을 때의 불필요한 변위를 규제하는 것으로, 이동 플레이트(30)의 덜걱거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플레이트(30)가 강하함에 따라 제1 케이싱(2)과 제2 케이싱(3)이 풀 플랫이 된 열린 상태가 된 때(제1 케이싱(2)의 상면(2a)과 제2 케이싱(3)의 상면(3a)이 동일한 면이 되었을 때)에, 승강 아암(61)의 회전을 규제하는 기능 등을 발휘한다.
덜걱거럼 방지기구(70)는 브라켓(71), 제2 캠부(72), 스프링(73), 샤프트(74) 및 승강 아암(61)에 형성된 제1 캠부(69), 그리고 상기한 슬라이드부재(50)에 형성된 회전 스토퍼(53)로 구성되어 있다.
브라켓(71)은 금속판을 절곡형성한 것으로서, 샤프트(74)를 축지지하는 것이다. 이 브라켓(71)은 이동 플레이트(30)에 형성된 수평 연장부(33)에 고정된다. 스프링(73)은 와셔(75)가 장착된 샤프트(74)에 삽입 통과된 후, 브라켓(71)에 장착된다.
나아가, 제2 캠부(72)는 샤프트(74)의 화살표 Y2 방향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73)의 탄성력은 샤프트(74)를 화살표 Y2 방향으로 가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캠부(72)는 스프링(73)의 탄성력에 의해, 화살표 Y2 방향으로 가압된다.
제1 캠부(69)는 승강 아암(61)을 구성하는 수지 아암부(64)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캠부(69)는 수지 아암부(64)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캠부(69)는 만곡 형상을 갖는 만곡부(69a)와 평평한 편평부(69b)로 구성되어 있다(도 11a, 도 11b, 도 11c 참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캠부(69)와 제2 캠부(72)는 서로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2 캠부(72)에는 스프링 (73)에 의해 화살표 Y2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고 있으므로, 제2 캠부(72)의 선단부는 제1 캠부(69)에 압접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승강 아암(61)을 구성하는 메탈 아암부(63)의 하단부는 수지 아암부(64)가 노출한 구성이다. 메탈 아암부(63)의 수지 아암부(64)로부터 노출한 부분에는, 도 11a, 도 11b,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 면평부(6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하단 펀평부(63a)는 이동 플레이트(30)가 상승한 상태에서, 회전 스토퍼(53)의 상면에 면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6, 도 11a 참조).
다음으로, 토션 스프링(8O)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토션 스프링(8O)의 일단부(81)는 스프링 고정용 나사(29)를 이용하여 고정 플레이트(20)에 고정된다. 또한, 토션 스프링(80)의 타단부(82)는 스프링 고정용 나사(59)를 이용하여 슬라이드부재(50)에 고정된다. 따라서, 토션 스프링(8O)은 고정 플레이트(20)와 슬라이드부재(50)의 사이에 설치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폐기구(10)는 중간부재(40)가 제1 슬라이드 기구(90)를 통하여 고정 플레이트(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슬라이드부재(50)가 제2 슬라이드 기구(100)를 통하여 중간부재(4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토션 스프링(80)을 고정 플레이트(20)와 슬라이드부재(50)의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고정 플레이트(20)에 대해 중간부재(40) 및 슬라이드부재(50)의 모두에 탄성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구성에 의하면, 고정 플레이트(20)와 중간 부재(40), 그리고 중간부재(40)와 슬라이드부재(50)의 사이에 각각 탄성 부가수단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토션 스프링(80)은 고정 플레이트(20)가 닫힌 상태에 위치한 경우에는, 슬라이드부재(50)에 화살표 Y2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또한, 슬라이드부재(50)가 Y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토션 스프링(8O)의 단부(81)의 위치와 단부(82)의 위치가 근접하고, X1, X2 방향으로 수평으로 배열되는 위치를 넘으면, 토션 스프링(80)은 슬라이드부재(50)에 화살표 Y1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폐기구(10)는 이른바 세미오토 기구의 개폐기구를 구성한다.
다음으로, 상기한 구성의 개폐기구(10)의 동작에 대하여, 주로 도 8a, 8b, 8c-도 11a, 11b, 11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a, 8b, 8c는 닫힌 상태의 개폐기구(10)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1)를 나타낸다. 닫힌 상태에서는, 도 8a,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케이싱(3)은 제1 케이싱(2)의 상부와 포개어진 상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20)가 닫힌 상태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토션 스프링(8O)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부재(50)는 고정 플레이트(20)를 화살표 Y2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로써, 슬라이드부재(50)는 제2 슬라이드 기구(100)에 의해 화살표 Y2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중간 부재(40)의 샤프트 고정부(43)와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 토션 스프링(8O)의 탄성력은 중간부재(40)에도 가해지고, 중간부재(40)는 화살표 Y2 방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중간부재(40)는 제1 슬라이드 기 구(90)에 의해 화살표 Y2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지만, 스토퍼부(46)가 제2 슬라이드 스토퍼(24)에 맞닿음으로써 슬라이드가 규제된다.
나아가, 승강기구(60)를 구성하는 승강 아암(61)은 제1 캠부(69)에 덜걱거림 방지기구(70)의 제2 캠부(72)가 압압함으로써 측면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도 11a에 화살표 B2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이동 플레이트(30)는 상승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이동 플레이트(30)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승강 아암(61)을 구성하는 메탈 아암부(63)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단 편평부(63a)는 회전 스토퍼(53)의 상면에 면접촉한 상태가 된다(도 6, 도 11a 참조). 이와 같이, 하단 편평부(63a)가 회전 스토퍼(53)와 면접촉함으로써, 승강 아암(61)의 반시계방향(도 11a, 11c에 화살표 B2로 나타낸 방향)에 대한 회전이 규제된다. 이로써, 이동 플레이트(30)가 닫힌 상태로부터 Y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따라서, 도 8a,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케이싱(2)과 제2 케이싱(3)이 포개어진 상태로부터, 제2 케이싱(3)이 화살표 Y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제1 케이싱(2)과 제2 케이싱(3)의 사이에 덜걱거림이 발생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이 닫힌 상태로부터 이동 플레이트(30)(제2 케이싱(3))를 열기 위해 이동 플레이트(30)(제2 케이싱(3))를 화살표 Y1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로써, 중간부재(40)는 제1 슬라이드 기구(90)에 의해 ㄷ자형 아암(22)에 대해 Y1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슬라이드부재(50)는 제2 슬라이드 기구(100)에 의해 중간부재(40)에 대해 Y1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또한, 이때의 중간부재(40) 및 슬라이드부재(50)의 슬라이드는 대략 동시에 행해진다.
토션 스프링(8O)은 상기와 같이 세미오토 기구를 구성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이동 플레이트(30)를 토션 스프링(8O)의 각 단부(81, 82)가 X1, X2 방향으로 수평으로 배열되는 위치를 넘는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키면, 그 후는 토션 스프링(8O)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 플레이트(30)(슬라이드 부재(50))는 Y1 방향으로 자동으로 슬라이드한다.
도 9a, 도 9b, 도 9c는 중간부재(40) 및 슬라이드부재(50)가 Y1 방향에 대한 이동한도까지 슬라이드한 상태를 나타낸다(이하, 이 상태를 슬라이드 완료상태라고 한다). 이 슬라이드 완료상태에서는, 중간부재 (40)는 스토퍼 클로(45)가 제1 슬라이드 스토퍼(23)와 맞닿음으로써 Y1 방향에 대한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슬라이드부재(50)는 그 Y1 방향의 단부가 중간부재(40)의 Y1 방향 측 샤프트 고정부(43)와 맞닿음으로써 Y1 방향에 대한 이동이 규제된다.
그러나, 닫힌 상태로부터 슬라이드 완료상태에 이를 때까지의 사이에는, 제2 케이싱(3)은 제1 케이싱(2)의 상부와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제2 캠부(72)에 의해 승강 아암(61)은 상기한 반시계방향으로 가압된다. 이 때문에, 승강 아암(61)이 시계방향(Bl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따라서 이동 플레이트(30)는 상승 위치를 유지한다. 따라서, 닫힌 상태로부터 슬라이드 완료상태에 이를 때까지, 제2 케이싱(3)은 상하방향의 이동(Z1, Z2 방향에 대한 이동)을 수반하지 않고, 수평하게 슬라이드한다.
여기서, 닫힌 상태로부터 슬라이드 완료상태에 이르기까지의 고정 플레이트(20)에 대한 슬라이드부재(50)의 슬라이드 거리에 주목해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슬라이드 기구(90)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20)에 대해 중간부재(40)가 Y1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나아가 제2 슬라이드 기구(100)에 의해 중간부재(40)에 대해 슬라이드부재(50)가 Y1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고정 플레이트(20)에 대한 중간부재(40)의 슬라이드량을 L1로 하고, 중간부재(40)에 대한 슬라이드부재(50)의 슬라이드량을 L2로 한 경우, 고정 플레이트(20)에 대한 슬라이드부재(50)의 슬라이드량(L)은 L=L1+L2가 되어, 슬라이드량을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a,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완료상태에서는, 제1 케이싱(2)에 대해 제2 케이싱(3)이 포개어지는 부분이 거의 없거나 흑은 전혀 없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제2 케이싱(3)이 슬라이드 완료 위치까지 슬라이드 하면, 제2 케이싱(3)은 제1 케이싱(2)에 의해 지지되지 않으므로, 제2 케이싱(3)의 무게는 승강기구(60)에 인가된다. 이 때문에 승강 아암(61)은 제2 케이싱(3)의 자체 중량을 구동원으로 하여 시계방향(B1 방향)으로의 회전을 개시한다. 이에 대하여 도 11a, 도 11b, 도 11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슬라이드 완료상태의 승강기구(60) 및 덜걱거림 방지기구(70)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a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제2 캠부(72)의 선단부는 제1 캠부(69)의 만곡부(69a)를 압접한 상태이다.
그런데, 덜걱거림 방지기구(70)를 구성하는 스프링(73)의 탄성력은 제2 케이싱(3)의 자체 중량이 인가된 때에는, 승강 아암(61)이 B1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 정도의 탄성력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의 개폐상태가 되면, 승강 아암(61)은 B1 방향으로의 회전을 개시하고, 이에 따라 이동 플레이트(30)는 하강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 완료상태의 승강 아암(61)의 수평방향(Y1, Y2 방향)에 대한 각도(θ)(도 1 및 도 11a에 나타낸다)는 90°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 아암(61)이 B1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이동 플레이트(30)는 상방(Z1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포함하지 않고, 하강만을 실시하는 동작이 된다. 이로써, 제1 케이싱(2)에 대한 제2 케이싱(3)의 동작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1b는 승강 아암(61)이 열린 위치를 향해 회전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한 하단 편평부(63a)는 승강 아암(61)의 반시계방향(B2 방향)의 회전은 규제하지만, 시계방향(B1 방향)의 회전은 허용하는 구성이다.
도 10 및 도 11c는 이동 플레이트(30)가 닫힌 상태까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닫힌 상태에서, 승강 아암(61)의 측면부(61a)는 덜걱거림 방지기구(70)를 구성하는 회전 스토퍼(53)와 맞닿는다. 측면부(61a)가 회전 스토퍼(53)와 걸어맞춤(맞닿음)함으로써, 승강 아암(61)의 그 이상의 B1 방향(열림 방향)의 회전이 규제된다.
나아가, 승강 아암(61)이 닫힌 상태의 위치까지 회전하면, 덜걱거림 방지기구(70)를 구성하는 제2 캠부(72)의 선단부는 제1 캠부(69)의 만곡부(69a)를 넘어 편평부(69b)와 걸어맞춤한다. 편평부(69b)는 평평한 형상이므로, 편평부(69b)가 제2 캠부(72)와 걸어맞춤함으로써 승강 아암(61)의 B2 방향(닫힘 방향)으로의 회전도 규제된다. 따라서, 이동 플레이트(30)는 덜걱거림 방지기구(70)에 의해 닫힌 상태로 덜걱거림이 발생하지 않고 걸어고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를 향할 때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은 상기한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를 향할 때의 동작의 반대 동작이 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폐기구(10)에 의하면, 고정 플레이트(20)에 대한 슬라이드부재(50)의 슬라이드 거리(L)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슬라이드 완료상태에서 제1 케이싱(2)과 제2 케이싱(3)의 포개어지는 부분을 실질적으로 없앨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케이싱(2, 3)에 그 개폐동작을 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고, 제1 및 제2 케이싱(2, 3)의 스페이스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폐기구(10)는 닫힌 상태로부터 슬라이드 완료상태에 이를 때까지, 제2 케이싱(3)(제1 케이싱(2))은 수평이동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제2 케이싱(3)(제1 케이싱(2))의 슬라이드에 있어, 상하방향(Z1, Z2 방향)에 대한 이동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안정적인 슬라이드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폐기구(10)에서는 중간부재(40)는 ㄷ자형 아암(22) 상에서 슬라이드하고, 슬라이드부재(50)는 중간부재(40) 상에서 슬라이드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20)에 대해 슬라이드하는 중간부재(40) 및 슬라이드부재(50)를 ㄷ자형 아암(22)의 상부에 집약적으로 배치함으로써, 개폐기구(10)의 폭 방향(X1, X2 방향)에 대한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본 국제출원은 2010년 7월 9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0-156781호에 근거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일본특허출원 제2010-156781호의 모든 내용을 여기에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1 전자기기
2 제1 케이싱
3 제2 케이싱
10 개폐기구
20 고정 플레이트
21 본체부
22 ㄷ자형 아암
23 제1 슬라이드 스토퍼
24 제2 슬라이드 스토퍼
26 고정용 클로
28 가이드부재
29 스프링 고정용 나사
30 이동 플레이트
31 본체부
32 연장 아암
33 수평 연장부
36 축지지구멍
40 중간부재
41 베이스부
42 슬라이딩부
43 샤프트 고정부
45 스토퍼 클로
46 스토퍼부
50 스토퍼
51 본체부
53 회전 스토퍼
55 축지지구멍
57 슬라이드 샤프트
58 가이드부재
59 스프링 고정용 나사
60 승강기구
61 승강 아암
63 메탈 아암부
63a 하단 편평부
64 수지 아암부
67, 68 축지지핀
69 제1 캠부
70 덜걱거림 방지기구
71 브라켓
72 제2 캠부
73 스프링
74 샤프트
80 토션 스프링
90 제1 슬라이드 기구
100 제2 슬라이드 기구

Claims (5)

  1. 제1 케이싱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제2 케이싱에 고정되는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제1 슬라이드 기구를 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 중간부재와,
    상기 중간부재에 제2 슬라이드 기구를 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대해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개폐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는
    일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된 아암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아암의 90°이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승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정으로 하는 개폐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강하함에 따라 상기 제1 케이싱의 상면과 상기 제2 케이싱의 상면이 동일한 면이 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대한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변위를 규제하는 덜걱거림 방지기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상기 타단부측에 형성된 제1 캠부와, 그 제1 캠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캠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캠부와 상기 제2 캠부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대한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닫힘 방향의 이동을 규제함과 함께, 상기 승강기구의 일부가 상기 스토퍼와 걸어맞춤함으로써 열림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강하함에 따라 상기 제1 케이싱의 상면과 상기 제2 케이싱의 상면이 동일한 면이 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대한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변위를 규제하는 덜걱거림 방지기구를 형성한 것을 특정으로 하는 개폐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사이에 탄성부가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정으로 하는 개폐기구.
KR1020137000406A 2010-07-09 2011-06-30 개폐기구 KR1014102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56781 2010-07-09
JP2010156781A JP5420486B2 (ja) 2010-07-09 2010-07-09 開閉装置
PCT/JP2011/065036 WO2012005162A1 (ja) 2010-07-09 2011-06-30 開閉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796A true KR20130029796A (ko) 2013-03-25
KR101410266B1 KR101410266B1 (ko) 2014-07-02

Family

ID=4544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0406A KR101410266B1 (ko) 2010-07-09 2011-06-30 개폐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14822B2 (ko)
EP (1) EP2592523B1 (ko)
JP (1) JP5420486B2 (ko)
KR (1) KR101410266B1 (ko)
CN (1) CN103026314B (ko)
WO (1) WO20120051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99226B2 (ja) * 2010-05-17 2014-10-01 三菱製鋼株式会社 開閉装置
US9727295B2 (en) 2013-12-17 2017-08-08 Lenovo (Singapore) Pte. Ltd. Extendable display mechanism
CN111630244B (zh) * 2017-12-08 2022-08-23 沃尔夫冈.赫尔德 用于家具的挡板
CN111107191B (zh) * 2018-10-25 2021-08-3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滑轨结构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3949B2 (ja) * 2005-12-12 2012-06-2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スライド型移動通信端末機
EP2009972A4 (en) * 2006-09-22 2011-09-28 Panasonic Corp MOBILE TERMINAL
JP4752797B2 (ja) * 2007-03-22 2011-08-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開閉装置
JP4599374B2 (ja) * 2007-05-31 2010-12-15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4772014B2 (ja) 2007-08-30 2011-09-14 ソニー エリクソン モバイ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携帯情報端末
JP5009099B2 (ja) * 2007-08-30 2012-08-22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携帯情報端末
JP4729545B2 (ja) * 2007-09-13 2011-07-2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機
JP2009158630A (ja) * 2007-12-26 2009-07-16 Nitto Electric Works Ltd 合成樹脂製のスライドレール装置
WO2009110454A1 (ja) * 2008-03-05 2009-09-11 京セラ株式会社 開閉式小型電子機器
JP5102688B2 (ja) * 2008-04-23 2012-12-19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機器の開閉装置並びに携帯機器
KR101463818B1 (ko) 2008-05-14 2014-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TWI362209B (en) * 2008-10-08 2012-04-11 Htc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05162A1 (ja) 2012-01-12
CN103026314A (zh) 2013-04-03
EP2592523A4 (en) 2014-01-08
KR101410266B1 (ko) 2014-07-02
JP2012018609A (ja) 2012-01-26
US20130108196A1 (en) 2013-05-02
CN103026314B (zh) 2016-05-04
US8714822B2 (en) 2014-05-06
JP5420486B2 (ja) 2014-02-19
EP2592523B1 (en) 2015-04-29
EP2592523A1 (en)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4014B1 (en) Opening/closing device
KR101530937B1 (ko) 개폐장치
CN107632661B (zh) 便携式信息设备
CN107632662B (zh) 便携式信息设备
US8537542B2 (en) Electronic device
US9091105B2 (en) Opening/closing device
KR101410266B1 (ko) 개폐기구
US9094490B2 (en) Cover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8428663B2 (en) Slide rotation device, slide rotation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EP2509287A1 (en) Slide-tilt mechanism
CN109424631B (zh) 原稿压接板开闭装置及具备该装置的事务机器
JP5807943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KR101303133B1 (ko) 틸트기구 및 슬라이드장치
JP2011227370A5 (ko)
JP4898584B2 (ja) 携帯端末
JP4062322B2 (ja) 回転支持機構および携帯端末
CN103453006A (zh) 开合结构及其使用的铰链
JP5598776B2 (ja) ヒンジ装置
JP5124060B2 (ja) スライド回転ヒンジ
TWI396801B (zh) 滑蓋機構及具有滑蓋機構的手持裝置
JP2015180113A (ja) 開閉装置
JP2011199336A (ja) スライ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40618

Effective date: 201503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