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273A - 패널 지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패널 지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273A
KR20130029273A KR1020110092603A KR20110092603A KR20130029273A KR 20130029273 A KR20130029273 A KR 20130029273A KR 1020110092603 A KR1020110092603 A KR 1020110092603A KR 20110092603 A KR20110092603 A KR 20110092603A KR 20130029273 A KR20130029273 A KR 20130029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unit
main frame
rotating
w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5632B1 (ko
Inventor
김근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폼
Priority to KR1020110092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632B1/ko
Publication of KR20130029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7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simultaneously tying two fac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5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wedge-shap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패널 지지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패널 지지 어셈블리는,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을 구성하는 다수의 패널이 연결부분에서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패널에 걸쳐 횡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웰라(Waler); 및 웰라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패널 중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패널 및 제2 패널에 결합되는 웰라 고정유닛을 포함하되, 웰라 고정유닛은, 웰라의 일측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은 막히도록 마련되는 메인프레임; 제1 패널의 둘레에 마련된 제1 프로파일에 삽입되도록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 제2 패널의 둘레에 마련된 제2 프로파일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의 타측에서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상대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제1 패널 및 제2 패널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메인프레임에 대한 회전부의 결합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에 마련되는 간격조절부; 및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부의 일측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삽입되되, 삽입 진행에 따라 삽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부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웰라가 제1 패널 및 제2 패널에 밀착되기 위한 힘을 발생시키는 결합 웨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패널이 연결부분에서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웰라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패널에 고정시킴으로써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널 지지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패널 지지 어셈블리{Panel supporting assembly}
본 발명은 패널 지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패널이 연결부분에서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웰라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패널에 고정시킴으로써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널 지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기타의 고층건물을 건축할 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는 일반적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제작된 다수의 패널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형성하게 된다.
즉 다수의 패널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결하고, 이러한 상태 하에서 패널들을 대향하도록 직립시켜 조성되는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가 양생됨에 따라 건축물을 이루는 벽체 또는 기둥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다수의 패널을 횡방향으로 연결한 후에는 웰라(Waler)를 사용하여 패널들이 그 연결부분에서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즉, 웰라를 사용하지 않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면압에 의해 패널들이 그 연결부분에서 상호 조금씩 어긋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평면을 이루지 못하게 되는바 이러한 문제를 처음부터 방지할 수 있도록 웰라를 설치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웰라가 사용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웰라(W)는 사각 강관 또는 원형 강관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어 다수의 패널(P)에 걸쳐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 배치된다. 또한, 이러한 웰라(W)를 고정시키기 위하여서는 패널(P)의 종방향 프로파일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핀홀에 브래킷(B)을 대고 이를 볼트 및 너트로 고정시킴으로써 웰라(W)가 설치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웰라(W) 및 웰라(W) 고정방법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브래킷(B)이 시계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조금씩 움직일 수 있게 됨에 따라 웰라(W)를 견고하게 고정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즉, 웰라(W)는 패널(P)의 일측면에 완전히 밀착되어야 비로소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되는데 종래의 웰라(W) 및 웰라(W) 고정방법은 웰라(W)가 패널(P)에 완전히 밀착되지 못함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시 패널(P)의 연결부분이 조금씩 어긋나게 되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웰라(W)가 패널(P)의 일측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면서도 작업과정을 단순화시킴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웰라(W) 고정유닛 또는 방법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KR20-0414943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패널이 연결부분에서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웰라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패널에 고정시킴으로써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널 지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을 구성하는 다수의 패널이 연결부분에서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패널에 걸쳐 횡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웰라(Waler); 및 상기 웰라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패널 중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패널 및 제2 패널에 결합되는 웰라 고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웰라 고정유닛은, 상기 웰라의 일측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은 막히도록 마련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제1 패널의 둘레에 마련된 제1 프로파일에 삽입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제2 패널의 둘레에 마련된 제2 프로파일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상대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제1 패널 및 상기 제2 패널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한 상기 회전부의 결합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마련되는 간격조절부;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부의 일측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삽입되되, 삽입 진행에 따라 삽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웰라가 상기 제1 패널 및 상기 제2 패널에 밀착되기 위한 힘을 발생시키는 결합 웨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지지 어셈블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제1 단위프레임; 상기 제1 단위프레임의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 단위프레임; 상기 웰라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단위프레임의 일단부 및 상기 제2 단위프레임의 일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3 단위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강성을 향상시키며 상기 웰라가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단위프레임, 상기 제2 단위프레임 및 상기 제3 단위프레임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의 내부에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삽입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 브래킷은, 판재 형상의 브래킷 바디; 및 상기 브래킷 바디의 중앙 부분에서 표면으로부터 호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웰라는, 상기 브래킷 바디에 의해 일측면이 지지되는 사각 강관 또는 상기 삽입홈에 일측부가 삽입 지지되는 원형 강관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제1 회전바디; 상기 제1 회전바디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 회전바디; 및 상기 결합 웨지가 삽입되기 위한 웨지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회전바디의 일단부 및 상기 제2 회전바디의 일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잇다.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간격조절공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다수의 간격조절공 중 어느 하나의 간격조절공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간격조절공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는 헤드와, 상기 간격조절공을 따라 관통 삽입되되 상기 간격조절공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간격조절공 지름의 7/10 내지 9/10에 해당하는 지름을 가지는 바디를 포함하는 볼트;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바디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간격조절공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는 너트를 포함하여, 상기 결합 웨지의 삽입 진행에 따라 상기 바디가 상기 간격조절공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부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웨지는, 상기 결합 웨지의 삽입시 타격수단을 사용하여 타격할 수 있도록 일단부에 마련되는 제1 타격부; 상기 결합 웨지의 분리시 타격수단을 사용하여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타격부로부터 이격된 타단부에 마련되는 제2 타격부; 및 상기 제1 타격부 및 상기 제2 타격부를 상호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제1 회전바디; 상기 제1 회전바디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 회전바디; 상기 결합 웨지가 삽입되기 위한 웨지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배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 회전바디 및 상기 제2 회전바디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디; 및 상기 결합 웨지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상기 연결바디에 마련되되, 상기 경사부의 경사도와 동일한 경사도를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연결바디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안내 웨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파일 및 상기 제2 프로파일은 각각, 프로파일 바디; 상기 프로파일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로파일 바디의 일측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그루브; 및 상기 프로파일 바디의 일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합판이 안착되는 안착단턱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일단부에는 각각, 상기 그루브에 삽입고정되기 위한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웰라 및 웰라를 패널에 고정시키는 웰라 고정유닛을 포함하여 다수의 패널이 연결부분에서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웰라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패널에 고정시킴으로써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도 1은 종래의 웰라가 사용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일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웰라 고정유닛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웰라 고정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웰라 고정유닛의 삽입 브래킷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웰라 고정유닛의 결합 웨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웰라 고정유닛의 회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결합 웨지의 삽입 진행에 따라 회전부가 회전하는 원리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사각 강관으로 마련되는 웰라를 사용하여 패널에 웰라를 결합하는 원리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2는 원형 강관으로 마련되는 웰라를 사용하여 패널에 웰라를 결합하는 원리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일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웰라 고정유닛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웰라 고정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웰라 고정유닛의 삽입 브래킷의 부분확대도이며, 도 5는 도 2의 웰라 고정유닛의 결합 웨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웰라 고정유닛의 회전부의 사시도이며, 도 7은 결합 웨지의 삽입 진행에 따라 회전부가 회전하는 원리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지지 어셈블리(100)는 다수의 패널(P1, P2)에 걸쳐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웰라(110)와, 웰라(110)를 패널(P1, P2)에 고정시키는 웰라 고정 유닛(130)을 포함한다.
웰라(110)는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을 구성하는 다수의 패널(P1, P2)이 연결부분에서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패널(P1, P2)에 걸쳐 횡 방향을 길게 배치되는 중공 사각 형상 또는 중공 원통 형상의 금속성 부재이다.
후술하는 웰라 고정 유닛(130)에 의해 웰라(110)는 패널(P1, P2)의 배면에 밀착 고정되며 이에 따라 다수의 패널(P1, P2)을 사용하여 구성된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더라도 타설시 발생하는 면압에 의해 패널(P1, P2)이 그 연결부분에서 서로 조금씩 어긋나는(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웰라 고정 유닛(130)은 웰라(11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구성이다.
웰라 고정 유닛(130)은 메인프레임(140)과, 메인프레임(140)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150)와, 메인프레임(140)에 대하여 상대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160)와, 메인프레임(140)에 대한 회전부(160)의 결합위치를 조절하는 간격조절부(170)와, 메인프레임(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회전부(160)의 회전을 단속함으로써 웰라(110)가 패널 지지 어셈블리(10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 웨지(180)를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40)은 웰라(110)의 일측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은 막히도록 마련된 구성으로, 판재 형상의 제1 단위프레임(141)과, 제1 단위프레임(141)의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판재 형상의 제2 단위프레임(142)과, 제1 단위프레임(141)의 일단부 및 제2 단위프레임(142)의 일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판재 형상의 제3 단위프레임(143)과, 제1 단위프레임(141)·제2 단위프레임(142)·제3 단위프레임(143)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의 내부에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 브래킷(144)을 포함한다.
제1 단위프레임(141), 제2 단위프레임(142) 및 제3 단위프레임(14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40)의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은 막히도록 상호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의 메인프레임(140)을 이루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1 단위프레임(141), 제2 단위프레임(142) 및 제3 단위프레임(143)의 내부에는 웰라(110)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공간이 형성된다.
삽입 브래킷(144)은 제1 단위프레임(141), 제2 단위프레임(142) 및 제3 단위프레임(143)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을 따라, 즉 메인프레임(140)의 길이방향 내부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수 개가 마련되는 구성이다.
삽입 브래킷(14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 형상의 브래킷 바디(145)와, 브래킷 바디(145)의 중앙 부분에서 표면으로부터 호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삽입홈(146)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삽입 브래킷(144)의 형상을 독특하게 한 것은 웰라(110)가 사각 강관 또는 원형 강관 중 어느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본 실시예의 웰라 고정 유닛(130)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종래에는 사각 강관의 웰라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브래킷과 원형 강관의 웰라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브래킷을 별도로 제작하고, 웰라의 유형에 맞추어 이러한 브래킷을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었는데 이와 같은 방법은 작업을 불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웰라의 유형에 맞는 브래킷이 없는 경우에는 이를 별도로 구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게 되어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브래킷 바디(145) 및 삽입홈(146)을 포함하는 삽입 브래킷(144)을 별도로 마련함으로써 전술한 문제를 간단히 해결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본 실시예의 사용방법 부분에서 좀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고정부(150)는 제1 패널(P1)의 둘레에 마련된 제1 프로파일(P11)의 그루브(P11b)에 삽입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40)의 일측에 고정되는 구성이다. 고정부(150)는 메인프레임(140)의 일측 상하면에 각각 고정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며, 일단부에 삽입돌기(151)가 형성되어 그루브(P11b)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회전부(160)는 메인프레임(140)의 타측에서 메인프레임(140)에 대하여 상대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회전부(160)는 제1 회전바디(161)와, 제1 회전바디(161)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 회전바디(162)와, 제1 회전바디(161) 및 제2 회전바디(162)를 상호 연결하는 제1 연결부(163)를 포함한다.
제1 회전바디(161)는 메인프레임(140)의 상면에 배치되는 구성이고, 제2 회전바디(162)는 제1 회전바디(16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메인프레임(140)의 하면에 배치되는 구성이며, 제1 연결부(163)는 결합 웨지(180)가 삽입될 수 있는 웨지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메인프레임(140)의 배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 회전바디(161) 및 제2 회전바디(162)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다.
제1 회전바디(161) 및 제2 회전바디(162)의 일단부에는 각각 삽입돌기(161a, 162a)가 형성되어 제2 패널(P2)의 둘레에 마련된 제2 프로파일(P21)의 그루브(P21b)에 삽입되거나 삽입해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회전바디(161) 및 제2 회전바디(162)에는 각각 한 쌍의 관통공(161b, 161c, 162b, 162c)이 형성되며, 관통공(161b, 161c, 162b, 162c)을 따라서는 제1 연결부(163) 및 제2 연결부(164)가 각각 삽입 고정되어 전술한 웨지 삽입공간을 형성하거나 회전부(160) 전체를 메인프레임(140)에 대하여 상대 회전운동가능하게 결합하게 된다.
도 3에는 볼트 및 너트로 마련되는 제1 연결부(163)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연결부(163)의 유형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260)는 제1 회전바디(261) 및 제2 회전바디(262)와, 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디(263)와, 연결바디(263)의 내측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안내 웨지(2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안내 웨지(264)는 후술하는 결합 웨지(180)의 경사부(183)에 대응하는 경사도를 갖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결합 웨지(180)는 안내 웨지(264)를 따라 안내되면서 웨지 삽입공간을 따라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회전부(260)는 전술한 실시예의 회전부(160)에 비해 결합 웨지(180)의 삽입 편의가 도모되며 견고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간격조절부(170)는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메인프레임(140)에 대한 회전부(160)의 결합위치를 결정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간격조절부(170)는 메인프레임(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는 다수의 간격조절공(171, 172, 173, 174)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즉, 정형화된 크기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아닌 비 정형화된 크기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 사이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각목(SB, 도 11 참조)을 끼우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간격조절부(170)는 바로 이러한 경우 서로 이격된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의 간격에 대응하여 메인프레임(140)에 대한 회전부(160)의 결합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각목(SB)이 끼워지지 않은 일반적인 경우 회전부(160)는 첫 번째 간격조절공(171)을 따라 체결되는 제2 연결부(164)에 의하여 메인프레임(140)에 결합되며, 각목(SB)이 끼워지는 경우 회전부(160)는 각목(SB)의 두께에 따라 다른 간격조절공(172 또는 173 또는 174)을 따라 체결되는 제2 연결부(164)에 의해 메인프레임(140)에 결합된다. 물론 간격조절공(171, 172, 173, 174)은 끼워지는 각목(SB)의 개수 또는 두께에 대응할 수 있도록 2개 또는 5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결합 웨지(180)는 메인프레임(14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웨지 삽입공간을 통해 삽입됨으로써 회전부(160)의 회전을 단속하는 구성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웨지(180)는 제1 타격부(181)와, 제1 타격부(181)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2 타격부(182)와, 제1 타격부(181) 및 제2 타격부(182)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부(183)를 포함한다.
제1 타격부(181)는 결합 웨지(180)의 삽입시 망치 등의 타격수단을 사용하여 이를 타격할 수 있도록 결합 웨지(180)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구성이며, 제2 타격부(182)는 결합 웨지(180)의 분리시 망치 등의 타격수단을 사용하여 이를 타격할 수 있도록 결합 웨지(180)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제1 타격부(181) 및 제2 타격부(182)는 각각 웨지 삽입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높이(HH1, HH2)를 갖도록 마련되는데, 이는 결합 웨지(180)를 메인프레임(140)에 맞대어 놓은 상태에서 회전부(160)를 메인프레임(140)에 결합시키면 결합 웨지(180)가 웨지 삽입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결합 웨지(180)를 따로 보관하고 필요시에만 이를 웨지 삽입공간에 끼우는 방식에 따라 패널 체결유닛(100)을 사용하게 되면 결합 웨지(180)의 분실 위험이 그만큼 높아지게 되는바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타격부(181) 및 제2 타격부(182)의 높이(HH1, HH2)를 조절하도록 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제1 타격부(181) 및 제2 타격부(182)의 높이(HH1, HH2)는 변경될 수도 있다.
경사부(183)는 결합 웨지(180)의 삽입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도록 제1 타격부(181) 및 제2 타격부(182)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경사부(183)는 제1 타격부(181)의 일측 및 제2 타격부(182)의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제1 경사부(183a)와, 제1 타격부(181)의 타측 및 제2 타격부(182)의 타측을 상호 연결하는 제2 경사부(183b)를 포함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된다. 즉, 제1 경사부(183a) 및 제2 경사부(183b)의 사이에는 부재가 채워지지 않은 중공부(183c)가 형성된다.
중공부(183c)는 제1 타격부(181) 및 제2 타격부(182)가 마련된 지점을 제외한 제1 경사부(183a) 및 제2 경사부(183b)가 마련된 결합 웨지(180)의 중앙부분에만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는 결합 웨지(180)의 전체적인 강성을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즉, 타격수단이 타격하는 제1 타격부(181) 및 제2 타격부(182)에는 많은 힘이 급격하게 가해지게 되므로 중공부(183c)를 형성시키지 않도록 하며, 그다지 큰 힘이 작용하지 않는 경사부(183)가 형성된 지점에만 중공부(183c)를 형성시킴으로써 결합 웨지(180)의 전체적인 강성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무게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제2 연결부(164)는 다수의 간격조절공(171, 172,173, 174)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삽입되어 회전부(160)를 메인프레임(140)에 결합시키는 구성이다.
제2 연결부(164)는 헤드(H) 및 바디(BB)를 갖는 볼트(B)와, 간격조절공(171, 172, 173, 174)을 따라 삽입되어 메인프레임(140)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바디(BB)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너트(N)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드(H)는 간격조절공(171, 172, 173, 174)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마련되며, 너트(N) 또한 간격조절공(171, 172, 173, 174)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마련되어 회전부(160)가 메인프레임(140)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바디(BB)는 특별한 크기로 조절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바디(BB)는 간격조절공(171, 172,173, 174) 지름의 7/10 내지 9/10에 해당하는 지름을 갖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바디(BB)의 지름을 특정하는 것은 바디(BB)의 기능에 따른 것이다. 즉, 결합 웨지(180)의 삽입 초기에는 회전부(160)가 메인프레임(140)에 대하여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바디(BB)가 간격조절공(171, 172,173, 174)에 의해 특별한 구속을 받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결합 웨지(180)의 삽입 완료시에는 바디(BB)가 간격조절공(171, 172,173, 174)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하면서(도 8 참조) 메인프레임(140) 및 이에 삽입된 웰라(110)를 압박하여 웰라(110)가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의 배면에 밀착될 수 하기 위해 바디(BB)의 지름을 특정한다.
이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패널 지지 어셈블리(100)의 사용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사각 강관으로 마련되는 웰라를 사용하여 패널에 웰라를 결합하는 원리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접하도록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을 배치한 후에는 패널(P1, P2)에 걸쳐 횡 방향으로 웰라(110)를 배치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웰라(110)는 중공 사각 강관으로 마련되며, 이러한 웰라(110)는 메인프레임(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브래킷 바디(145)의 상면에 의하여 지지되게 된다.
웰라(110)를 배치한 후에는 웰라(110)의 일측부를 웰라 고정 유닛(130)의 메인프레임(140)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이때 고정부(150)의 삽입돌기(151)는 제1 패널(P1)의 제1 프로파일(P11)의 그루브(P11b)에 삽입된 상태가 되며, 회전부(160)는 결합 웨지(180)를 충분히 삽입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메인프레임(14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준비된다.
다음으로 망치 등의 타격수단을 사용하여 결합 웨지(180)의 제1 타격부(181)를 타격하게 되면 결합 웨지(180)가 웨지 삽입공간을 따라 점진적으로 삽입되게 되는데, 이때 결합 웨지(180)의 삽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부(160)가 자연스럽게 회전하면서(도 7 참조) 삽입돌기(162a)가 제2 패널(P2)의 제2 프로파일(P21)의 그루브(P21b)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패널 체결유닛(100)은 결합 웨지(180)의 삽입 진행에 따라 회전부(160)가 자연스럽게 제2 그루브(P21b)에 삽입되므로 작업의 편의가 도모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결합 웨지(180)를 삽입하기 위해 제1 타격부(181)를 타격하는 힘(F)은 결합 웨지(180)를 미는 힘(F1)으로 작용하는 동시에 메인프레임(140) 및 이에 삽입된 웰라(110)가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에 밀착되도록 하는 힘(F2)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힘(F2)에 따라 제2 연결부(164)를 구성하는 바디(BB)는 간격조절공(171)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면서 회전부(160)의 회전을 단속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패널 체결유닛(100)은 결합 웨지(180)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웰라(110)가 패널(P1, P2)에 밀착되도록 하는 힘(F2)이 자연스럽게 유도되므로 작업의 편의가 도모될 뿐만 아니라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합 웨지(180)가 끝까지 삽입되면 메인프레임(140) 및 이에 삽입된 웰라(110)는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므로 콘크리트 타설에 따라 면압이 발생하더라도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이 편평한 평면을 이루게 된다.
웰라(110)가 패널(P1, P2)에 고정되도록 한 후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조물을 시공하며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패널 체결유닛(100)을 분리한다.
이때 결합 웨지(180)의 망치 등을 사용하여 제2 타격부(182)를 타격하게 되면 결합 웨지(180)가 분리됨과 동시에 회전부(160)가 결합 웨지(180)의 분리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회전함으로써 제2 패널(P2)의 그루브(P21b)로부터 삽입해제될 수 있게 된다.
비 정형화된 크기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 사이에 각목(SB)을 개재시키는 경우에는 메인프레임(140)에 대한 회전부(160)의 결합위치만을 변경한 후 전술한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도 12는 원형 강관으로 마련되는 웰라를 사용하여 패널에 웰라를 결합하는 원리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강관으로 마련되는 웰라(120)는 삽입 브래킷(144)의 삽입홈(146)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된다. 즉,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사각 강관으로 마련되는 웰라(1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웰라(110)의 일측면이 삽입 브래킷(144)의 브래킷 바디(145)에 의해 지지되고, 본 실시예와 같이 원형 강관으로 마련되는 웰라(12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웰라(120)의 일측부가 이에 대응되는 호형상을 갖는 삽입홈(146)에 삽입 지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웰라(120)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은 전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패널 지지 어셈블리(100)는 웰라(110, 120) 및 웰라(110, 120)를 패널(P1, P2)에 고정시키는 웰라 고정유닛(130)을 포함하여 다수의 패널(P1, P2)이 연결부분에서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패널 지지 어셈블리 110 : 웰라
130 : 웰라 고정 유닛 140 : 메인프레임
150 : 고정부 160 : 회전부
170 : 간격조절부 180 : 결합 웨지

Claims (9)

  1.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을 구성하는 다수의 패널이 연결부분에서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패널에 걸쳐 횡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웰라(Waler); 및
    상기 웰라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패널 중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패널 및 제2 패널에 결합되는 웰라 고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웰라 고정유닛은,
    상기 웰라의 일측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은 막히도록 마련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제1 패널의 둘레에 마련된 제1 프로파일에 삽입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제2 패널의 둘레에 마련된 제2 프로파일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상대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제1 패널 및 상기 제2 패널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한 상기 회전부의 결합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마련되는 간격조절부;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부의 일측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삽입되되, 삽입 진행에 따라 삽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웰라가 상기 제1 패널 및 상기 제2 패널에 밀착되기 위한 힘을 발생시키는 결합 웨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지지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제1 단위프레임;
    상기 제1 단위프레임의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 단위프레임;
    상기 웰라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단위프레임의 일단부 및 상기 제2 단위프레임의 일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3 단위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강성을 향상시키며 상기 웰라가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단위프레임, 상기 제2 단위프레임 및 상기 제3 단위프레임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의 내부에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삽입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지지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브래킷은,
    판재 형상의 브래킷 바디; 및
    상기 브래킷 바디의 중앙 부분에서 표면으로부터 호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웰라는,
    상기 브래킷 바디에 의해 일측면이 지지되는 사각 강관 또는 상기 삽입홈에 일측부가 삽입 지지되는 원형 강관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지지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제1 회전바디;
    상기 제1 회전바디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 회전바디; 및
    상기 결합 웨지가 삽입되기 위한 웨지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회전바디의 일단부 및 상기 제2 회전바디의 일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지지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간격조절공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다수의 간격조절공 중 어느 하나의 간격조절공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지지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간격조절공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는 헤드와, 상기 간격조절공을 따라 관통 삽입되되 상기 간격조절공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간격조절공 지름의 7/10 내지 9/10에 해당하는 지름을 가지는 바디를 포함하는 볼트;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바디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간격조절공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는 너트를 포함하여,
    상기 결합 웨지의 삽입 진행에 따라 상기 바디가 상기 간격조절공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지지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웨지는,
    상기 결합 웨지의 삽입시 타격수단을 사용하여 타격할 수 있도록 일단부에 마련되는 제1 타격부;
    상기 결합 웨지의 분리시 타격수단을 사용하여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타격부로부터 이격된 타단부에 마련되는 제2 타격부; 및
    상기 제1 타격부 및 상기 제2 타격부를 상호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지지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제1 회전바디;
    상기 제1 회전바디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 회전바디;
    상기 결합 웨지가 삽입되기 위한 웨지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배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 회전바디 및 상기 제2 회전바디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디; 및
    상기 결합 웨지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상기 연결바디에 마련되되, 상기 경사부의 경사도와 동일한 경사도를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연결바디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안내 웨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지지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파일 및 상기 제2 프로파일은 각각,
    프로파일 바디;
    상기 프로파일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로파일 바디의 일측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그루브; 및
    상기 프로파일 바디의 일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합판이 안착되는 안착단턱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일단부에는 각각, 상기 그루브에 삽입고정되기 위한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지지 어셈블리.
KR1020110092603A 2011-09-14 2011-09-14 패널 지지 어셈블리 KR101295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603A KR101295632B1 (ko) 2011-09-14 2011-09-14 패널 지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603A KR101295632B1 (ko) 2011-09-14 2011-09-14 패널 지지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273A true KR20130029273A (ko) 2013-03-22
KR101295632B1 KR101295632B1 (ko) 2013-08-12

Family

ID=48179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603A KR101295632B1 (ko) 2011-09-14 2011-09-14 패널 지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6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73350A (zh) * 2022-04-18 2022-06-28 重庆拓达建设(集团)有限公司 用于高层建筑的组合式铝模板
CN115182579A (zh) * 2022-07-04 2022-10-14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外梁模板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05990C1 (en) * 1992-02-27 1993-02-11 Paschal-Werk G. Maier Gmbh, 7619 Steinach, De Clamp used in concrete shuttering - is tightened by wedge and has projections engaging groves in frame members
JPH0742840U (ja) * 1993-12-31 1995-08-11 岡部株式会社 枠付パネルの連結用クランプ
DE10082877D2 (de) * 1999-09-23 2002-10-10 Peri Gmbh Spannschloßvorrichtu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73350A (zh) * 2022-04-18 2022-06-28 重庆拓达建设(集团)有限公司 用于高层建筑的组合式铝模板
CN114673350B (zh) * 2022-04-18 2023-09-26 重庆拓达建设(集团)有限公司 用于高层建筑的组合式铝模板
CN115182579A (zh) * 2022-07-04 2022-10-14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外梁模板组
CN115182579B (zh) * 2022-07-04 2024-01-12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外梁模板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632B1 (ko) 2013-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513B1 (ko) 슬라브 패널 및 그의 설치 시스템, 슬라브 패널의 조립 및 해체 방법
WO2006009633A2 (en) Construction block system
KR101279811B1 (ko) 패널지지 어셈블리
JP2014105425A (ja) 補強壁施工方法
CN104350222B (zh) H型条及利用该h型条和非金属制模具框的模具设置方法
KR101295632B1 (ko) 패널 지지 어셈블리
KR101302520B1 (ko) 콘크리트 벽체 시공구조
JP2005180172A (ja) 円形型枠用の型枠要素
KR101891322B1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KR101152588B1 (ko) 에스알씨 기둥용 상단판넬
KR20080073930A (ko) 조립식 거푸집의 슬래브패널구조
KR101327784B1 (ko) 높이 조절용 데크 플레이트
KR101247679B1 (ko) 패널 체결유닛
JP5198668B1 (ja) 柱脚用接合金具及び建築構造体
US20040217254A1 (en) Textured brick wall form panel
CN111851743A (zh) 一种混凝土木牌楼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190266B1 (ko) 슬라이딩이 가능한 옹벽 거푸집용 지지빔
JP6856435B2 (ja) 位置調整用治具
JP2005213852A (ja) ガードレール用の基礎ブロック
JP3951785B2 (ja) コンクリート造架構における梁受け材兼用ダンパ
CN219993111U (zh) 一种主体墙垛结构
CN113374246B (zh) 支模架结构及其施工方法
JP4705365B2 (ja) 基礎構築用の支持具及びその取付構造
KR101091767B1 (ko) 접합유리 방음벽
KR102004130B1 (ko) 보시공용 보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