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3513B1 - 슬라브 패널 및 그의 설치 시스템, 슬라브 패널의 조립 및 해체 방법 - Google Patents

슬라브 패널 및 그의 설치 시스템, 슬라브 패널의 조립 및 해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3513B1
KR101073513B1 KR1020090089589A KR20090089589A KR101073513B1 KR 101073513 B1 KR101073513 B1 KR 101073513B1 KR 1020090089589 A KR1020090089589 A KR 1020090089589A KR 20090089589 A KR20090089589 A KR 20090089589A KR 101073513 B1 KR101073513 B1 KR 101073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main beam
slab panel
drop
beam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2203A (ko
Inventor
홍영근
Original Assignee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강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9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513B1/ko
Priority to PCT/KR2010/000962 priority patent/WO2011037304A1/ko
Publication of KR20110032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6Dropheads supporting the concrete after removal of the shuttering; Connecting means on beams specially adapted for drop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04G11/54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of extensible type, with or without adjustable supporting shoes, fishplate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브 패널과 그의 설치 시스템, 슬라브 패널 조립 및 해체 방법을 개시하며, 설치 시스템은 고정을 위한 상부의 제 1 위치와 해체를 위한 하부의 제 2 위치에 고정헤드를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드랍 헤드, 상기 드랍 헤드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드랍 헤드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부로 꺾어진 채널을 이루는 제 1 연장부가 양측면에 형성되고 길이 방향 양단이 상기 드랍 헤드의 상기 고정헤드와 결합되어서 상기 고정헤드의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간의 승하강에 따라 유동되며 장방형의 슬라브 패널의 일측 모서리가 상기 제 1 연장부와 결합되는 메인빔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둘 이상의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가 하나 이상의 상기 드랍 헤드와 결합되어 길이 방향의 레일을 이루고, 상기 레일이 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드랍 헤드의 상기 고정헤드가 상기 제 2 위치로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브 패널은 모서리가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의 채널에 결합되어서 가이드됨으로써 상기 레일을 이루는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들 사이에 조립 및 해체되며,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에 상기 슬라브 패널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와 조립된 상기 드랍헤드의 상기 고정헤드가 상기 제 1 위치로 승강되면 상기 슬라브 패널이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에 조립된 상태로 상부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브 패널 및 그의 설치 시스템, 슬라브 패널의 조립 및 해체 방법{Slab panel and system for constructing the panel and method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 panel}
본 발명은 슬라브 패널 및 그의 설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식으로 이용 가능한 슬라브 패널과 견고하면서 간단하게 상기 슬라브 패널을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슬라브 패널 및 그의 설치 시스템 그리고 슬라브 패널의 조립 및 해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슬라브 패널은 다층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하여 만들어지는 벽면 거푸집의 상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슬라브 패널은 벽면 거푸집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슬라브 패널은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해체되어야 한다.
슬라브 패널은 설치 시스템에 의하여 설치되며, 설치 시스템은 슬라브 패널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천정 높이에 해당하는 만큼의 일정 높이에 설치해야 하므로 견고해야하고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해야 한다.
그리고, 슬라브 패널의 설치 시스템은 구조가 간단하여서 작업자 누구나 쉽게 조립하고 해체할 수 있도록 제작될 필요성이 있고 조립 및 해체에 시간이 적게 소요될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9291호는 벽체 거푸집과 테크 지지바 연결용 연결구에 관하여 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02049호는 천장판 시스템에 관하여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들은 슬라브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들의 구조가 복잡하고, 슬라브 패널의 조립 및 해체도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복잡한 구조들로 인해 제작 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며 용이하게 슬라브 패널을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는 슬라브 패널 설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슬라브 패널을 쉽게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는 슬라브 패널 조립 및 해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슬라브 패널 설치 시스템에 이용 가능한 슬라브 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패널 설치 시스템은,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고정헤드를 포함하며 고정을 위한 상부의 제 1 위치와 해체를 위한 하부의 제 2 위치에 상기 고정헤드를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드랍 헤드; 상기 드랍 헤드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드랍 헤드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부로 꺾인 채널을 이루는 제 1 연장부가 양측면에 형성되고 길이 방향 양단이 상기 드랍 헤드의 상기 고정헤드와 결합되어서 상기 고정헤드의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간의 승하강에 따라 유동되며 장방형의 슬라브 패널의 일측 모서리가 상기 연장부와 결합되는 메인빔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둘 이상의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가 하나 이상의 상기 드랍 헤드와 결합되어 길이 방향의 레일을 이루고 상기 레일이 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드랍 헤드의 상기 고정헤드가 상기 제 2 위치로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브 패널은 모서리가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의 채널에 결합되어서 가이드됨으로써 상기 레일을 이루는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들 사이에 조립 및 해체되며,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에 상기 슬라브 패널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와 조립된 상기 드랍헤드의 상기 고정헤드가 상기 제 1 위치로 승강되면 상기 슬라브 패널이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에 조립된 상태로 상부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드랍 헤드는, 수직 방향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의 하부에 상기 수직프레임을 관통하면서 양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 잠금핀,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승하강 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이 삽입되고 상기 잠금핀이 통과할 수 있는 제 1 관통구를 가지며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의 단부와 결합을 위하여 외측 상부로 기울어지면서 돌출된 제 2 연장부가 각 변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헤드; 및 상기 고정헤드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이 삽입되는 제 2 관통구를 가지며, 테이핑면을 저면에 갖는 테이핑블록이 상기 제 2 관통구의 일단의 양측면에 구성되고, 상기 제 2 관통구는 상기 테이핑블록이 구성된 가이드 영역과 그에 연통된 해체 영역으로 구분되는 잠금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고정헤드와 상기 잠금헤드가 상기 스토퍼와 상기 잠금핀 사이의 제 1 위치로 승강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관통구의 상기 가이드 영역으로 상기 수직프레임이 위치되도록 상기 잠금헤드가 수평이동됨으로써 상기 잠금핀이 상 기 테이핑블록의 상기 테이핑면을 지지하여 상기 고정헤드와 상기 잠금헤드가 상기 스토퍼와 상기 잠금핀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관통구의 상기 해체영역으로 상기 수직프레임이 위치되도록 상기 잠금헤드가 수평이동됨으로써 상기 고정헤드와 상기 잠금헤드가 상기 수직프레임에 가이드되어 상기 제 2 위치인 상기 베이스 상부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 프레임의 상기 상판의 평면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단면은 장방형상을 가지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꼭지점이 상기 상판의 변에 대응되도록 상기 상판과 상기 수직프레임이 평면적으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승하강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하부에 상기 수직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용접으로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을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에 일단이 용접된 조인트 체인; 상기 조인트 체인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원형의 관통구가 형성된 조인트 핀; 및 상기 조인트 핀의 상기 관통구에 삽입고정되는 스프링 코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빔; 및 상기 메인빔의 양단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메인빔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빔은 양쪽 측벽의 중심부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상부로 꺾어져서 상기 채널을 형성하는 상기 제 1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장부를 기준으로 상부에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공을 갖는 상체와 상기 제 1 연장부를 기준으로 하부에 구성되며 적어 도 하나 이상의 중공을 갖는 하체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빔 헤드는 상기 메인빔의 단부와 용접으로 결합되는 면을 가지며 상기 면의 반대쪽으로 상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가 형성된 단부에는 상기 드랍 헤드의 상기 제 2 연장부와 결합되는 턱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와 상기 드랍헤드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레일의 일단에 서브빔 어셈블리가 상기 레일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더 구성되고, 상기 서브빔 어셈블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빔; 및 상기 서브빔의 양단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서브빔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빔은 사각형의 중공이 형성되는 사각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양측벽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외측으로 각각 꺾어지는 제 3 연장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서브빔 헤드는 상기 서브빔의 길이 방향 단부와 용접되는 면을 가지며 상기 면의 반대쪽으로 상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을 이루는 면에서 하부로 연장된 턱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드랍 헤드의 단부와 결합되는 조인트; 및 상단이 상기 조인트와 결합되고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서퍼터를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는 상단에 상기 드랍 헤드의 하단부와 나사결합을 위한 플레이트가 구성되고 소정 높이 간격으로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랍 헤드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조인트 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 헤드는 상기 드랍 헤드의 단부를 가이드하는 조인트 가드; 상기 조인트 가드가 상면에 구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저면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 헤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단이 용접된 조인트 체인; 상기 조인트 체인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원형의 관통구가 형성된 조인트 핀; 및 상기 조인트 핀의 상기 관통구에 삽입고정되는 스프링 코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패널은 서로 평행하게 떨어져 배치되는 한 쌍의 장변 메인 프레임, 한 쌍의 상기 장변 메인 프레임의 단부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용접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단변 메인 프레임, 및 상기 장변 메인 프레임 사이에 상기 단변 메인 프레임과 나란히 배치되고 단부가 상기 장변 메인 프레임의 측벽과 용접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장병형상의 프레임; 및 상기 장변 메인 프레임과 상기 단변 메인 프레임 및 상기 서브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이들과 나사 결합되는 패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장변 메인 프레임과 상기 단변 메인 프레임은,소정 높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 양단 하부에 직각으로 모딴부분이 형성되고, 내면의 상부에 복수 개의 미세한 요철이 소정폭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변의 하부에 내측으로 꺾어진 단부가 형성된 외벽, 및 상기 외벽의 내면과 일체로 형성되면서 중공을 형성하고 상부면에 나사공이 형성된 융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패널 조립 방법은, 수직으로 승하강하며 네 변부에 외측 상부로 연장된 제 1 연장부가 형성된 고정헤드를 포함하며 하강한 해체 위치에 상기 고정헤드가 배치된 드랍헤드를 지지부재 상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 지부재와 그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드랍헤드를 일 방향으로 배열하면서 메인빔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 단부와 상기 고정헤드의 상기 제 1 연장부를 서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드랍헤드 사이에 양 측면으로 상부로 꺾어져서 채널을 이루는 제 2 연장부가 형성된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를 조립하여 레일을 형성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타설할 영역에 대하여 상기 레일이 복수개 형성되는 단계; 한 쌍의 상기 레일 사이에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의 상기 채널에 장방형상의 슬라브 패널의 모서리가 결합되는 상태로 상기 슬라브 패널을 배치한 후 상기 슬라브 패널을 상기 채널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에 조립하는 단계;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에 상기 슬라브 패널이 조립된 후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가 체결된 상기 드랍헤드의 상기 고정헤드를 고정위치로 승강시키면 상기 고정헤드의 승강에 연동하여서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가 상승하여 상기 슬라브 패널을 상부로 세팅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일이 설치된 영역에 대하여 상기 슬라브 패널을 상부로 세팅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할 영역에 대한 상기 슬라브 패널의 설치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지면에 지지되는 서퍼터를 설치하고, 상부에 플레이트를 갖고 소정 높이 간격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조인트를 상기 서퍼터 상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서퍼터의 하단과 상기 조인트의 상단은 핀결합되고, 상기 서퍼터의 상단은 상기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드랍헤드의 하부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랍 헤드와 상기 조인트 사이에 조인트 헤드를 더 결합하며, 상기 조인트 헤드는 상기 드랍 헤드의 단부를 가이드하는 조인트 가드; 상기 조인트 가드가 상면에 구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저면에 용접으로 구성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할 영역 중 복수 개의 상기 레일이 형성된 영역의 주변 영역에 지지봉과 지지블록에 의하여 지지되는 일반 패널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브 패널을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레일의 단부에 이격된 레일에 포함된 상기 드랍헤드의 상기 고정헤드 사이와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의 상기 채널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서브빔 어셈블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으로 조립한 슬라브 패널을 해체하는 방법은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 상기 슬라브 패널이 설치된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와 조립된 상기 드랍헤드의 상기 고정헤드를 상기 해체 위치로 하강시키고, 상기 고정헤드의 하강을 상기 레일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드랍헤드의 상기 고정헤드의 하강에 연동하여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가 하강되면, 상기 레일에 배치된 상기 슬라브 패널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이드하여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로부터 탈피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견고하게 슬라브 패널을 설치할 수 있으며, 슬라브 패널의 조립이 용이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는 해체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브 패널 설치 시스템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자 누구나 쉽게 조립하고 해체할 수 있으며 설치 및 해체에 시간이 적게 소요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슬라브 패널이 이용될 수 있어서 슬라브 패널의 조립 및 해체가 보다 손쉬워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슬라브 패널 설치'는 슬라브 패널의 조립과 해체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패널 설치 시스템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사시도이다.
콘크리트를 타설할 영역은 재래식 처리 구간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구성되는 슬라브 패널(2)이 설치되는 구간으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패널(2)이 설치되는 구간에는 슬라브 패널(2)이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각각 복수의 열을 이루며 배치된다. 그리고, 재래식 처리 구간에 는 일반패널(200)이 설치된다.
메인빔 어셈블리들(4)은 드랍 헤드(8)에 의하여 서로의 단부가 연결되어서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이어진다. 복수 개가 연결된 메인빔 어셈블리들(4)은 평행하게 이격된 복수 개의 레일 세트를 이룬다. 그리고, 메인빔 어셈블리들(4)은 평행하게 인접한 다른 메인빔 어셈블리들(4)과 슬라브 패널(2)의 조립을 가이드한다. 슬라브 패널(2)이 메인빔 어셈블리들(4)에 조립되는 방법은 후술한다.
그리고,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메인빔 어셈블리들(4)의 일방향 단부에는 서브빔 어셈블리(6)가 교차되게 설치되며, 서브빔 어셈블리(6)는 한 쌍의 메인빔 어셈블리들(4) 사이 또는 한 쌍의 드랍 헤드들(8) 사이에 메인빔 어셈블리들(4)이 이어지는 방향과 교차되게 조립된다. 그리고, 서브빔 어셈블리들(6) 상부에는 일반 패널(200)이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슬라브 패널(2)은 장방형상으로 규격화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후술되는 도 3참조), 슬라브 패널(2)이 배치되고 남은 공간이 슬라브 패널(2)의 규격보다 좁은 경우에는 해당 공간에 맞는 크기의 보강 구조물이 필요하다. 즉, 메인빔 어셈블리들(4)의 길이와 슬라브 패널(2) 간의 길이 차이에 의하여 생성되는 여유 공간에는 도 2와 같이 일반 패널(200)이 이용될 수 있고, 일반 패널(200)은 프레임을 갖지 않는 장방형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재래식 처리 구간에도 일반 패널(200)이 이용될 수 있고, 재래식 처리 구간에는 일반 패널(200)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 구조물이 필요하며, 보강 구조물은 상부의 일반 패널(200)을 지지하는 지지 블록(도 49의 504)과 그를 지지하는 지지 봉(도 49의 5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슬라브 패널(2)과 메인빔 어셈블리들(4) 및 서브 어셈블리들(6)은 콘크리트를 타설할 소정 높이의 공간에 설치되며, 이들의 지지는 드랍 헤드(8)와 그의 하부 구조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드랍 헤드(8)는 하부에 높이 방향으로 설치된 조인트(10)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조인트(10)는 하단부의 서퍼터(12)와 결합된다. 조인트(10)와 서퍼터(12)는 소정 높이를 갖는 파이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조인트(10)는 상단에 드랍 헤드(8)의 단부와 나사결합을 위한 플레이트(10a)가 구성되고 소정 높이 간격으로 관통공(10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서퍼터(12)는 상단에 결합체(14)가 구성되며 하단에는 바닥과 접하면서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15)가 형성된다.
조인트(12)의 하단은 서퍼터(12)의 상단의 중공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서퍼터(12)는 결합체(14)에 의하여 상단이 조인트(12)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결합에 의하여 서퍼터(12)는 조인트(12)를 지지할 수 있다.
결합체(14)는 서퍼터(12)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는 관통공과 조인트(12)에 형성된 관통공(10b)을 관통하는 핀과 핀의 양단을 조임하는 나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서 보다 다양한 구조를 갖는 것이 채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브 패널(2)과 이들을 설치하는 슬라브 패널 설치 시스 템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들 및 이들의 결합 관계를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슬라브 패널(2)>
도 3은 슬라브 패널(2)의 사시도이며, 이를 참조하면 슬라브 패널(2)은 도 3과 같이 프레임(2a)과 패널(26)이 조립되어 구성된다.
프레임(2a)은 소정 높이를 갖는 네 변이 장방형 테두리를 이룬다.
그리고, 패널(26)은 도 4의 사시도와 같이 프레임(2a)의 상단에 삽입될 수 있는 면적의 장방형상의 판재로 구성되며, 폴리우드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패널(26)에는 하부의 프레임(2a)과 조립을 위한 관통공(28)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a)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도 5의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의 프레임(2a)은 장변 메인 프레임(20)과 단변 메인 프레임(21)을 포함하며, 이들이 장방형상으로 배치되고 용접에 의하여 각 단부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장변 메인 프레임(20)이 평행하게 떨어져서 배치되고, 이들 한 쌍의 장변 메인 프레임(20)의 양단에는 한 쌍의 단변 메인 프레임(21)이 이들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각각 배치된다. 결국 한 쌍의 장변 메인 프레임(20)과 한 쌍의 단변 메인 프레임(21)은 장방형상의 프레임(2a)을 이룬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되는 장변 메인 프레임(20)의 길이 방향 단부와 단변 메인 프레임(21)의 길이 방향 단부 그리고 장변 메인 프레임(20)의 내벽과 서브 프 레임(22)의 길이 방향 단부는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대향되는 장변 메인 프레임(20)의 사이에는 서브 프레임(22)이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장변 및 단변 메인 프레임(20, 21) 및 서브 프레임(22)의 상면에는 관통공들(24, 22a)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들 관통공들(24, 22a)은 패널(26)의 관통공(28)과 형성되는 위치가 동일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서 프레임(2a)과 그의 상부에 배치되는 패널(26)은 리벳과 같은 결합 부재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2a)을 이루는 장변 메인 프레임(20)과 단변 메인 프레임(21)은 도 6과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장변 메인 프레임(20)과 단변 메인 프레임(21)의 도 8의 관점에서 평면도는 도 7에 도시되고 배면도는 도 8에 도시되며 측면도는 도 9에 도시된다. 장변 메인 프레임(20)과 단변 메인 프레임(21)은 길이가 다를 뿐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구조는 상술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같이 설명하고, 장변 메인 프레임(20)의 설명으로 단변 메인 프레임(21)의 설명을 대신한다.
장변 메인 프레임(20)은 소정 높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방형상의 외벽(30)을 가지며, 외벽(30)은 프레임(2a)의 외면을 이루는 면이다.
외벽(30)의 양단 하부에는 직각으로 모딴부분(3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외벽(30)의 내면 상부에는 복수 개의 미세한 요철(32)이 소정 폭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장변 메인 프레임(20)이 연장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외벽(30)의 내면 하 부에는 내측으로 꺾어진 단부(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외벽(30)의 요철(32)과 단부(34)가 형성된 사이의 내벽에는 중공을 형성하면서 중앙에 길이 방향 채널(37)이 형성된 다수의 융기부(36)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융기부(36)는 외벽(30)과 일체로 형성되며, 각 융기부(36) 사이에 형성된 채널(37)의 꼭지부는 연장되어서 외벽(30)의 내면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최상위 융기부(36)는 외벽(30)의 내면과 직교하는 상부면(38)을 가지며, 상면에 이어지는 수직면은 서브 프레임(22)의 단부와 용접이 가능하도록 편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융기부(36)의 상부면(38)에는 다수의 나사공(24)들이 중앙과 양단에 각각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외벽(30)의 상부의 요철(32)은 패널(26)의 측벽과 맞닿아서 패널(26)의 유동이나 들뜸을 억제하기 위한 구조이며, 융기부(36)는 상부에 패널(26)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이다.
그리고, 내벽(30)과 융기부(36)가 중공을 가지면서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이로써 장변 메인 프레임(20)은 휨이나 뒤틀림에 강성을 갖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한 구조는 장변 메인 프레임(20)이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장변 메인 프레임(20)과 단변 메인 프레임(21)의 단부는 경사지게 커팅처리됨이 바람직하다. 단부가 커팅 처리됨에 따라서 장변 메인 프레임(20)과 단변 메인 프레임(21)이 직각으로 맞닿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커팅각은 45˚가 바람직하나, 서로 합하여 직각을 이루는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서브 프레임(22)은 나란히 이격된 한 쌍의 장변 메인 프레임(20) 사이에 단변 메인 프레임(21)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장변 메인 프레임(20)의 외벽(30)에 일체로 형성되는 융기부(36)의 수직면에 용접에 의하여 단부가 결합된다. 상술한 서브 프레임(22)은 도 10과 같이 실시될 수 있으며, 도 10은 서브 프레임(22)의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22)은 로마자 'I'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소정 길이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서브 프레임(22)은 상면에 관통공(22a)이 형성된다. 즉, 서브 프레임(22)은 상면과 하면을 가지며, 상면과 하면이 수직벽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되는 형상을 갖는다.
서브 프레임(22)은 장변 메인 프레임(20)과 단변 메인 프레임(21)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2a)을 보강하는 구조물이며, 장변 메인 프레임(20)들 사이에 용접으로 결합됨으로써 프레임(2a)이 휨이나 뒤틀림에 저항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서브 프레임(22)이 하나의 프레임(2a) 내에 설치되는 수량은 장변 메인 프레임(20)의 길이와 제작자의 필요에 따라서 가변될 수 있다.
도 3의 프레임(2a)에 설치되는 장변 및 단변 메인 프레임(20, 21)과 서브 프레임(22) 및 패널(26)들의 배치 및 결합 관계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다. 이들 도면 중, 도 11은 프레임(2a)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프레임(2a)의 정면도이며, 도 13은 프레임(2a)의 측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서 숨겨진 부품은 파선으로 표시하였으며, 이는 배치 관계를 보다 명확히 이해하기 위한 것이 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패널(26)은 장변 메인 프레임(20) 및 단변 메인 프레임(22)의 상면(38)에 놓여져서 조립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서브 프레임(22)은 패널(26)의 하부에 접하도록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이들 간의 보다 상세한 결합 관계는 도 13의 A13의 확대 단면도인 도 14를 참조하여 알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패널(26)의 관통공(28)과 장변 또는 단변 메인 프레임(20, 21)의 관통공(24)이 리벳 결합을 위하여 연통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면의 이해를 위하여 리벳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이는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는 것에 해당된다.
<메인빔 어셈블리(4)>
도 15는 메인빔 어셈블리(4)의 사시도이며, 메인빔 어셈블리(4)는 메인빔(40)과 메인빔 헤드(42)를 포함한다.
메인빔 어셈블리(4)는 메인빔(40)의 길이 방향 양단에 용접으로 메인빔 헤드(42)가 결합된 구성을 가지며, 메인빔(40)의 길이 방향 단부에 메인빔 헤드(42)가 배치되어 용접으로 결합된 상세 구성은 도 16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도 16은 메인빔 어셈블리(4)의 일단을 확대한 부분 정면도이다.
먼저, 메인빔 어셈블리(4)에 포함되는 메인빔(40)의 상세 구성을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도 17은 메인빔(40)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며, 도 18은 메인빔(40)의 측면도이다.
메인빔(4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양쪽 측벽의 중심부에 측면으로 연장되어 상부로 꺾어진 연장부(44)가 형성됨으로써 채널(46)이 형성되고, 연장부(44)가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부에는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세 개의 독립된 중공(48a, 48b, 48c)이 형성된 상체(50)가 형성되며, 연장부(44)가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하부에는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두 개의 독립된 중공(52a, 52b)들이 형성된 하체(54)가 형성된다. 상체(50)와 하체(54)는 일체로 형성되며, 하체(54)의 하부 면에는 단부가 오무려진 채널(56)이 형성된다.
상체(50)는 단부가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중공(48a)과 그 상부에 형성되며 단부가 장방형상을 갖는 중공(48b) 그리고 그 상부에 형성되며 단부가 역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중공(48c)을 포함하며 오목한 측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하체(54)는 단부가 역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중공(52a, 52b)들을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역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에서, 연장부(44)는 슬라브 패널(2)의 단변 메인 프레임(21)의 하측 단부(34)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도 19를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빔(40)의 상체(50)와 하체(54)에 형성되는 중공(48a, 48b, 48c, 52a, 52b)들은 하중에 의하여 메인빔(40)이 휘어지거나 비틀려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구조에 해당된다.
메인빔(40)의 상체(50)는 길이 방향 단부가 수직면을 가지며, 메인빔(40)의 하체(54)는 메인빔(40)이 연장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커팅처리된다. 메 인빔(40)의 하체(54)의 커팅처리는 후술되는 드랍 헤드(8)와 결합될 때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메인빔(40)의 상체(50)의 길이 방향 단부에는 메인빔 헤드(42)가 용접으로 결합된다.
한편, 메인빔 헤드(42)는 도 20 내지 도 21에 도시되며, 도 20는 메인빔 헤드(42)의 정면도이고, 도 21은 메인빔 헤드(42)의 측면도이다.
도 20의 정면도에 나타난 면은 메인빔(40)의 상체(50)의 길이 방향 단부와 용접되는 면이며, 상기 용접되는 면의 반대 쪽에는 상측에 두 개의 중공(62a, 62b)이 형성되고 중공의 하부에는 개구(60)가 형성된다. 두 개의 중공(62a, 62b)은 단면이 삼각형상을 갖는 가로방향의 관통구이다. 그리고, 개구(60)가 형성된 면의 단부에는 턱(64)이 형성되고, 메인빔 헤드(42)의 개구(60)가 형성된 면은 턱(64)이 형성된 면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빔 어셈블리(4)는 일정 길이 연장된 메인빔(40)과 그의 단부에 용접으로 결합된 메인빔 헤드(4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메인빔 어셈블리(4)가 드랍 헤드(8)에 의하여 결합되는 구조는 드랍 헤드(8)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서브빔 어셈블리(6)>
도 22는 서브빔 어셈블리(6)의 사시도이며, 서브빔 어셈블리(6)는 서브빔(70)과 서브빔 헤드(72)를 포함한다.
서브빔 어셈블리(6)는 서브빔(70)의 길이 방향 양단에 용접으로 서브빔 헤드(72)가 결합된 구성을 가지며, 서브빔(70)의 길이 방향 단부에 서브빔 헤드(72)가 배치되어 용접으로 결합된 상세 구성은 도 23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도 23은 서브빔 어셈블리(6)의 일단을 확대한 부분 정면도이다.
먼저, 서브빔 어셈블리(6)에 포함되는 서브빔(70)의 상세 구성을 도 24를 차조하여 설명하며, 도 24는 서브빔(70)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서브빔(7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사각형의 중공이 형성되는 사각형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양측벽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외측으로 각각 꺾어지는 연장부(74)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채널(76)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장부(74)의 상부에는 인접하는 서브빔(70)과 결합에 이용될 수 있는 관통공(78)이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상술한 바에서, 서브빔(70)이 사각형의 중공을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 것은 하중에 의하여 휘어지거나 비틀리는 현상을 억제하기 우한 보강 구조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서브빔(70)의 길이 방향 단부에는 서브빔 헤드(72)가 용접으로 결합된다.
서브빔 헤드(72)는 도 25 내지 도 26에 도시되며, 도 25는 서브빔 헤드(72)의 정면도이고, 도 26은 서브빔 헤드(72)의 측면도이다.
도 25의 정면도에 나타난 평면(80)은 서브빔(70)의 길이 방향 단부와 용접되는 면이며 하측에 개구(8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서브빔 헤드(72)는 가로 방 향 중공(84)을 가지며, 중공은 평면(80), 평면(80)에 직교하는 면(86) 및 평면(80)에 경사진 면(88)에 의하여 형성되며, 평면(80)에 직교하는 면(86)과 경사진 면(88)이 만나는 위치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단부(89)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단부(89)는 평면(80)이 아래로 연장된 것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드랍 헤드(8)>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드랍 헤드(8)의 사시도이다.
도 27의 드랍 헤드(8)는 승하강 프레임(124)과 고정헤드(106) 및 잠금헤드(108)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승하강프레임(124)은 도 28에 구체적인 도면이 예시되고, 고정헤드(106)는 도 33에 구체적인 도면이 예시되며, 잠금헤드(108)는 도 36에 구체적인 도면이 예시된다.
먼저, 승하강 프레임(124)의 구성에 대하여 도 27 내지 도 32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28은 승하강 프레임(124)의 정면도이고, 도 29은 상판(102)의 평면도이며, 도 30는 수직프레임(100)의 정면도(A) 및 측면도(B)이고, 도 31은 베이스(110)의 평면도이며, 도 32는 고정프레임(112)의 정면도이다.
승하강 프레임(124)은 수직프레임(100), 상판(102), 스토퍼(104), 잠금핀(118), 베이스(110) 및 고정프레임(112)을 포함한다.
먼저, 상판(102)은 도 29와 같이 평면적으로 정방형상을 가지며 그의 저면에 수직프레임(100)의 단부가 용접으로 결합된다. 평면적으로 상판(102)은 하부의 수 직프레임(100)과 꼭지점의 위치가 엇갈리도록 구성된다. 즉, 수직프레임(100)의 각 꼭지점이 상판(102)의 각 변의 중앙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술한 배치 관계의 설명을 위하여 도 29에 수직프레임(100)이 파선으로 도시되었다.
상술한 상판(102)은 후술되는 도 38을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메인빔 어셈블리(4)와 슬라브 패널(2) 사이의 드랍 헤드(8)가 배치되는 공간의 상부를 커버하는 용도로 이용되며, 그 면적은 메인빔 어셈블리(4)와 슬라브 패널(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상판(102)의 저면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수직프레임(100)은 고정헤드(106)와 잠금헤드(108)의 수직 승하강을 보장하는 한편 잠금 위치에서 고정헤드(106)를 잠금헤드(108)로 지지하는 구조와 해체 위치에서 하강된 고정헤드(106)와 잠금헤드(108)를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직프레임(100)은 사각빔 또는 파이프 구조를 가지며, 서로 상대되는 두 변에 스토퍼(104)가 설치된다. 스토퍼(104)는 상판(102)의 소정 거리 이격된 아래쪽에 위치된다.
그리고, 수직프레임(100)의 스토퍼(104)가 형성된 하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잠금핀(118)이 관통하여 삽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토퍼(104) 및 잠금핀(118)의 구성을 도 28과 도 30의 (A) 및 (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토퍼(104)는 일면이 수직프레임(100)의 측벽에 용접되고 용접된 면에 이어져서 꺾어져서 수평 방향으로 수정 폭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잠금핀(118)은 원형 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스토퍼(104)가 용접된 수직프레임(100)의 두 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에 삽입되며 수직프레임(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관통된 양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잠금핀(118)의 돌출 높이는 스토퍼(104)보다 낮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잠금핀(118)은 용접점(119)에 의하여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직 프레임(100)의 하단에는 베이스(110)가 구성되며, 베이스(110)도 수직프레임(100)의 하단부와 용접으로 결합된다. 베이스(110)은 잠금핀(118)과 이격되며, 이들의 이격된 거리는 드랍 헤드(8)가 해체 상태일때 고정페드(106)과 잠금헤드(108)이 잠금핀(118) 하부로 하강되어서 베이스(110) 상부에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8 및 도 31을 참조하면, 베이스(110)는 상면의 중앙에 수직프레임(100)의 단부가 용접으로 결합되며, 저면의 중앙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에 고정프레임(112)의 상단이 용접에 의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베이스(110)는 네 모서리에 대응하여 나사공(120)이 형성되고 네 변의 중앙에 호(122)가 형성된다. 도 31은 이해를 위하여 고정 프레임(112)을 파선으로 도시하여 나타냈다.
그리고, 베이스(110)의 하부에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는 고정프레임(112)은 도 32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도 32는 고정프레임(112)의 정면도이고, 고정프레임(112)은 관통공(123)이 형성된다.
상술한 베이스(110)에는 금속 재질의 조인트 체인(114)이 용접으로 일단이 연결될 수 있고, 조인트 체인(114)의 타단에는 원통형 조인트 핀(116)의 일단이 연결된다. 조인트 핀(116)의 타단에는 원형의 관통구(122)가 형성되고, 이 관통구(122)에 스프링 코터(120, Spring Cotter)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 코터(120)는 코터 핀의 일종으로 핀이 관통구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통칭한다.
조인트 체인(114)은 조인트 핀(116)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것이고, 조인트 핀(116)은 고정프레임(112)이 하부의 조인트(10)의 중공에 삽입되면 고정프레임(112)의 관통구와 그에 연통되는 조인트(10)의 관통구에 삽입하고 스프링 코터(120)를 관통구(122)에 삽입하여 그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승하강 프레임(124)이 구성되며, 승하강 프레임(124)의 수직프레임(100)의 스토퍼(104)와 잠금핀(118) 사이에는 도 27과 같이 고정헤드(106)와 잠금헤드(108)가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고정헤드(106)의 구성을 도 33 내지 도 35를 살펴본다. 도 33은 고정헤드(106)의 사시도이며, 도 34는 고정헤드(106)의 평면도이며, 도 35는 고정헤드(106)의 측면도이다.
고정헤드(106)는 일체로 결합된 플레이트(130)와 그 하부의 바디(132)로 구성되며, 플레이트(130)와 바디(132)는 수직프레임(100)이 관통되는 관통구(134)가 연통되는 구성을 갖는다. 관통구(134)는 잠금핀(118)이 통과할 수 있는 확장영 역(135)을 갖는다. 결국, 관통구(134)는 평면적으로 십자형상을 갖는다.
중앙에 상술한 관통구(134)가 형성된 플레이트(130)는 정방형상을 가지며 각 변의 중앙에는 상측으로 기울어진 연장부(136)가 일체로 형성되고 각 모서리에 대응하여 관통구(138)가 형성된다. 연장부(136)는 소정 폭이 플레이트(130)의 변부와 이어지는 직사각형상을 가지며 외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소정 높이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한편, 잠금헤드(108)는 도 36 및 도 37로써 구성을 살펴볼 수 있고, 도 36은 잠금헤드(108)의 평면도 및 36A 부분 단면과 36B 부분 단면을 같이 도시한 것이고, 도 37은 잠금헤드(108)의 정면도이다.
잠금헤드(108)는 중앙에 장방형 관통구(140)가 형성되고, 관통구(140)의 양측에는 테이핑블록(142)이 고정된다. 테이핑블록(142)은 관통구(140)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저면에 테이핑면(144)이 형성되고 두꺼운 길이 방향 단부가 관통구(140)의 장방향 측면에 맞닿아 고정된다. 여기에서 테이핑블록(142)은 잠금헤드(108)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잠금헤드(108)의 관통구(140)는 테이핑블록(142) 사이 공간인 가이드 영역과 테이핑블록(142)이 구성되지 않은 넓은 공간인 해체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테이핑블록(142) 사이 공간인 가이드 영역은 수직프레임(100)이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폭을 가지며, 테이핑블록(142)이 구성되지 않은 해체 영역은 잠금핀(118)이 통과할 수 있는 폭과 길이를 갖는다.
상술한 잠금헤드(108)는 도 27의 A26 방향으로 관통구(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될 수 있으며, 이송될 때 잠금헤드(108)의 테이핑블록(142)의 테이핑면(144)과 잠금핀(118)이 서로 맞닿게되고, 그 결과 잠금핀(118)에 의하여 테이핑블록(142)이 일체로 결합된 잠금헤드(108)을 상부로 밀어올리게된다. 잠금헤드(108)이 상부로 밀어 올려지면 잠금헤드(108)의 상부에 결합된 고정헤드(106)가 스토퍼(104)와 잠금헤드(108) 사이에 고정된다. 즉, 도 39의 상태에서 도 38의 상태로 잠금헤드(108)가 이동됨에 따라서 고정헤드(106)가 스토퍼(104) 밑에 고정된다.
상술한 고정헤드(106)의 잠금 상태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도 38 상태의 잠금헤드(108)를 도 39 상태로 위치를 이동시킨다. 그러면, 잠금헤드(108)의 관통구(140) 중 상술한 해체 영역에 수직프레임(100)이 위치하게되고, 이 상태에는 잠금헤드(108)의 이송을 방해하는 부품이 하부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잠금헤드(108)는 하강하며, 잠금헤드(108)이 하강하면 그에 연동하여 고정헤드(106)이 수직프레임(100)을 따라 하강한다.
고정헤드(106)와 잠금헤드(108)이 하강된 상태는 도 40에 대응된다.
도 40의 상태는 초기에 슬라브 패널(2)을 장착하거나 또는 슬라브 패널(2)을 해체하기 위한 상태이며, 고정헤드(106)가 하강되면 고정헤드(106)에 도 41 및 도 42와 같이 조립된 메인빔 어셈블리(4)의 일단이 하강된다.
메인빔 어셈블리(4)는 상술한 설명과 같이 양단이 드랍 헤드(8)와 체결되며, 상기 체결은 메인빔 어셈블리(4)의 일단에 결합된 메인빔 헤드(42)의 단부(64)가 드랍 헤드(8)에 조립된 고정헤드(106)의 연장부(136)에 걸려서 이루어진다.
참고로, 도 41은 드랍 헤드(8)와 메인빔 어셈블리(4) 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42은 메인빔 어셈블리(4) 사이에 드랍 헤드(8)가 구성되는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42에서 드랍 헤드(8)의 고정프레임(112)은 조인트(10) 상단에 삽입됨으로써 드랍 헤드(8)가 조인트(10) 상부에 결합됨을 알 수 있으며, 이때 드랍 헤드(8)의 베이스(110)와 조인트(10) 상부의 플레이트(10a)는 각각 형성되어 연통되는 관통구를 이용하여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43은 드랍 헤드(8)와 서브빔 어셈블리(6) 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서브빔 어셈블리(6)는 상술한 설명과 같이 양단이 드랍 헤드(8)와 체결되며, 상기 체결은 서브빔 어셈블리(6)의 일단에 결합된 서브빔 헤드(72)의 단부(89)가 드랍 헤드(8)에 조립된 고정헤드(106)의 연장부(136)에 걸려서 이루어진다.
<조인트 헤드>
한편, 상술한 조인트(10)는 단부에 조인트 헤드(44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조인트 헤드(440)를 이용하는 경우 승하강 프레임(124)의 베이스(110)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12)는 사용되지 않는다.
조인트 헤드(440)의 사시도는 도 44에 도시되고 평면도는 도 45에 도시되며 측면도는 도 46에 도시된다.
조인트 헤드(440)는 승하강 프레임(124)의 베이스(110)의 평면 구조와 실질 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442)를 기준으로 상부에는 조인트 가드(444)가 구성되고, 하부에는 고정 프레임(446)이 구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442)는 승하강 프레임(124)와 같이 조인트 체인(448)의 일단이 베이스 플레이트(442)에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고, 조인트 체인(448)의 타단에 조인트 핀(450)이 연결될 수 있으며, 조인트 핀(450)의 단부에는 관통구(452)가 형성되고, 이 관통구(452)에 스프링 코터(454)가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조인트 가드(444)는 베이스 플레이트(442)와 연통되는 관통구(460)를 가지며 베이스 플레이트(442)의 각 모서리에 배치되는 용접피스들(462)을 포함하며, 각 용접피스(462)는 베이스 플레이트(442)의 해당 면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각 용접피스(462)의 상부에는 'ㄱ' 형태로 꺾어진 가드(464)가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며, 가드(464)는 볼록한 면의 모서리가 베이스 플레이트(442) 및 용접피스(462)의 모서리에 정렬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가드(464)의 내부 공간은 승하강 프레임(124)를 수용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정 프레임(446)에는 조인트(10)에 형성된 본체의 관통구(10b)와 결합을 위한 관통구(456)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인트 헤드(440)가 구성됨으로써 조인트 헤드(440)는 조인트(10) 상단에 결합되어서 드랍 헤드(8)와 조인트(10) 간의 체결에 이용될 수 있다.
<조립 및 해체>
- 조립 -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패널(2) 및 그의 설치 시스템에 의하여 슬라브 패널(2)이 조립될 수 있고 도 47 내지 도 51과 같이 해체될 수 있다.
먼저, 슬라브 패널(2)의 조립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7 내지 도 49는 도 1의 A1-A1 부분의 단면에 해당하는 조립 순서도이고, 도 50 및 도 51은 도 1의 A2-A2 부분의 단면에 해당하는 조립 순서도이다.
큰크리트를 양생하기 위하여 슬라브 패널(2)이 조립되어야 하며, 먼저 도 1 및 도 2와 같이 슬라브 패널(2)을 조립할 영역에 서퍼터(12)와 조인트(10)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드랍 헤드(8)를 설치한다.
드랍 헤드(8) 사이에는 메인빔 어셈블리(4)가 설치되며, 도 47과 같이 고정헤드(106)와 잠금헤드(108)이 하강된 상태에서 메인빔 어셈블리(4)를 조립한다. 도 47의 드랍 헤드(8)는 도 40의 상태에 대응된다.
이때, 나란히 평행한 메인빔 어셈블리(4) 사이에는 슬라브 패널(2)이 조립될 수 있으며, 슬라브 패널(2)은 메인빔 어셈블리(4)의 길이 방향 일단에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즉 이격된 한 쌍의 메인빔 어셈블리(4)의 서로 대응하는 측면은 슬라브 패널(2)을 조립하여 슬라이딩하는 채널을 이룬다. 도 47의 상태에 대응되는 도면이 도 50이며, 도 47은 하강된 드랍 헤드(8) 사이에 메인빔 어셈블리(4)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50은 도 47에 대응되는 상태에서 메인빔 어셈블리(4) 사이에 슬라브 패널(2)이 조립됨을 도시한다.
메인빔 어셈블리(4)에 슬라브 패널(2)의 조립이 완료되면, 드랍 헤드(8)의 고정헤드(106)와 잠금헤드(108)을 도 39의 상태로 승강시키고, 잠금헤드(108)를 도 38의 상태로 잠근다.
모든 메인빔 어셈블리(4)를 드랍 헤드(8)에 조립하면 도 48의 상태로 된다. 도 48의 상태에 대응되는 도면이 도 51이다.
그 후, 슬라브 패널(2)이 조립된 주변 영역은 도 49와 같이 일반 패널(200)을 이용하여 마감 처리한다. 이때 일반 패널(200)은 하부의 지지 블록(504)와 지지봉(506)에 의하여 지지되며, 지지블록(504)은 재래의 일반 패널(200)을 지지하는 통상의 블록체로 구성될 수 잇고, 지지봉(506)도 통상의 수직 지지봉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브 패널(2)이 조립된 후 그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양생된다.
-해체-
콘크리트(500)의 양생이 완료되면, 그 후 슬라브 패널(2)은 도 52 내지 도 도 56과 같이 해체될 수 있다.
도 52 내지 도 54는 도 1의 A1-A1 부분의 단면에 해당하는 해체 순서도이고, 도 55 및 도 56은 도 1의 A2-A2 부분의 단면에 해당하는 해체 순서도이다.
도 52는 콘크리트(500)가 양생된 상태의 도면이고, 슬라브 패널(2)의 해체를 위하여 먼저 슬라브 패널(2) 주변을 마감 처리한 일반 패널(200)을 제거한다. 일반 패널(200)의 제거는 지지봉(506)과 지지블록(504)를 제거한 후 일반 패널(200)을 콘크리트(500)로부터 뜯어냄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3은 일반 패널(200)이 제거된 상태의 도면이며, 도 53의 상태에 대응되는 도면이 도 55이다.
이 후, 도 38과 같이 잠금 상태의 드랍 헤드(8)의 잠금헤드(108)을 도 39와 같이 해체 상태로 변환시키고, 드랍 헤드(8)의 고정헤드(106)와 잠금헤드(108)를 도 40의 상태와 같이 하강시킨다.
그러면, 드랍 헤드(8)의 고정헤드(106)와 잠금헤드(108)를 하강시키면, 메인빔 어셈블리(4)는 도 54와 같이 다운된다. 메인빔 어셈블리(4)의 해체는 도 54와 같이 일단부에서 점차적으로 해감이 바람직한다.
도 54와 같이 메인빔 어셈블리(4)가 다운되면, 도 56과 같이 슬라브 패널(2)은 자체 중량에 의하여 콘크리트(500)로부터 이탈되어 메인빔 어셈블리(4) 상에 안착된다.
상술한 도 54 및 도 56과 같이 메인빔 어셈블리(4)를 순차적으로 다운시키고, 메인빔 어셈블리(4)가 다운된 상태에서 슬라브 패널(2)은 설치될 때 이송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이드되어서 메인빔 어셈블리(4)로부터 해체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패널 설치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1의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패널(2)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패널(26)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프레임(2a)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장변 메인 프레임(20)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장변 메인 프레임(20)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장변 메인 프레임(20)의 배면도이다
도 9는 장변 메인 프레임(20)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서브 프레임(22)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프레임(2a)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프레임(2a)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프레임(2a)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13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메인빔 어셈블리(4)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메인빔 어셈블리(4)의 일단을 확대한 부분 정면도이다.
도 17은 메인빔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8은 메인빔(40)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슬라브 패널(2)의 하단부의 지지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은 메인빔 헤드(42)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메인빔 헤드(42)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서브빔 어셈블리(6)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서브빔 어셈블리(6)의 일단을 확대한 부분 정면도이다.
도 24는 서브빔(70)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25는 서브빔 헤드(72)의 정면도이다.
도 26은 서브빔 헤드(72)의 측면도이다.
도 27은 드랍 헤드(8)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승하강 프레임(124)의 정면도이다.
도 29는 상판(102)의 평면도이다.
도 30은 수직프레임(100)의 정면도(A) 및 측면도(B)이다.
도 31은 베이스(110)의 평면도이다.
도 32는 고정프레임(112)의 정면도이다.
도 33은 고정헤드(106)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고정헤드(106)의 평면도이다.
도 35는 고정헤드(106)의 측면도이다.
도 36은 잠금헤드(108)의 평면도 및 36A 부분 단면과 36B 부분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은 잠금헤드(108)의 정면도이다.
도 38은 잠금헤드(108)가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드랍 헤드(8)의 정면도이다.
도 39는 잠금헤드(108)가 해체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드랍 헤드(8)의 정면도이다.
도 40은 고정헤드(106)와 잠금헤드(108)가 해체된 상태의 드랍 헤드(8)의 정면도이다.
도 41은 드랍 헤드(8)와 메인빔 어셈블리(4) 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42는 메인빔 어셈블리(4) 사이에 드랍 헤드(8)가 구성되는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43은 드랍 헤드(8)와 서브빔 어셈블리(6) 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4는 조인트 헤드(440)의 사시도이다.
도 45는 조인트 헤드(440)의 평면도이다.
도 46은 조인트 헤드(440)의 측면도이다.
도 47 내지 도 51은 슬라브 패널(2)이 조립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47 내지 도 49는 도 1의 A1-A1 부분의 단면에 해당하는 조립 순서도이고,
도 50 및 도 51은 도 1의 A2-A2 부분의 단면에 해당하는 조립 순서도이다.
도 52 내지 도 56은 슬라브 패널(2)이 해체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52 내지 도 54는 도 1의 A1-A1 부분의 단면에 해당하는 해체 순서도이고,
도 55 및 도 56은 도 1의 A2-A2 부분의 단면에 해당하는 해체 순서도이다.

Claims (17)

  1.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고정헤드를 포함하며 고정을 위한 상부의 제 1 위치와 해체를 위한 하부의 제 2 위치에 상기 고정헤드를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드랍 헤드;
    상기 드랍 헤드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드랍 헤드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부로 꺾어진 채널을 이루는 제 1 연장부가 양측면에 형성되고, 길이 방향 양단이 상기 드랍 헤드의 상기 고정헤드와 결합되어서 상기 고정헤드의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간의 승하강에 따라 유동되며, 장방형의 슬라브 패널의 일측 모서리가 상기 연장부와 결합되는 메인빔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둘 이상의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가 하나 이상의 상기 드랍 헤드와 결합되어 길이 방향의 레일을 이루고, 상기 레일이 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드랍 헤드의 상기 고정헤드가 상기 제 2 위치로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브 패널은 모서리가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의 채널에 결합되어서 가이드됨으로써 상기 레일을 이루는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들 사이에 조립 및 해체되며,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에 상기 슬라브 패널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와 조립된 상기 드랍헤드의 상기 고정헤드가 상기 제 1 위치로 승강되면 상기 슬라브 패널이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에 조립된 상태로 상부로 설치되며,
    상기 드랍 헤드는,
    수직 방향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의 하부에 상기 수직프레임을 관통하면서 양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 잠금핀,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승하강 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이 삽입되고 상기 잠금핀이 통과할 수 있는 제 1 관통구를 가지며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의 단부와 결합을 위하여 외측 상부로 기울어지면서 돌출된 제 2 연장부가 각 변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헤드;
    상기 고정헤드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이 삽입되는 제 2 관통구를 가지며, 테이핑면을 저면에 갖는 테이핑블록이 상기 제 2 관통구의 일단의 양측면에 구성되고, 상기 제 2 관통구는 상기 테이핑블록이 구성된 가이드 영역과 그에 연통된 해체 영역으로 구분되는 잠금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헤드와 상기 잠금헤드가 상기 스토퍼와 상기 잠금핀 사이의 제 1 위치로 승강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관통구의 상기 가이드 영역으로 상기 수직프레임이 위치되도록 상기 잠금헤드가 수평이동됨으로써 상기 잠금핀이 상기 테이핑블록의 상기 테이핑면을 지지하여 상기 고정헤드와 상기 잠금헤드가 상기 스토퍼와 상기 잠금핀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관통구의 상기 해체영역으로 상기 수직프레임이 위치되도록 상기 잠금헤드가 수평이동됨으로써 상기 고정헤드와 상기 잠금헤드가 상기 수직프레임에 가이드되어 상기 제 2 위치인 상기 베이스 상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패널 설치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프레임의 상기 상판의 평면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단면은 장방형상을 가지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꼭지점이 상기 상판의 변에 대응되도록 상기 상판과 상기 수직프레임이 평면적으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슬라브 패널 설치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에 일단이 용접된 조인트 체인;
    상기 조인트 체인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원형의 관통구가 형성된 조인트 핀; 및
    상기 조인트 핀의 상기 관통구에 삽입고정되는 스프링 코터;를 더 포함하는 슬라브 패널 설치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하부에 상기 수직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용접으로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을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슬라브 패널 설치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빔; 및
    상기 메인빔의 양단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메인빔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빔은 양쪽 측벽의 중심부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상부로 꺾어져서 상기 채널을 형성하는 상기 제 1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장부를 기준으로 상부에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공을 갖는 상체와 상기 제 1 연장부를 기준으로 하부에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공을 갖는 하체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빔 헤드는 상기 메인빔의 단부와 용접으로 결합되는 면을 가지며 상기 면의 반대쪽으로 상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가 형성된 단부에는 상기 드랍 헤드의 상기 제 2 연장부와 결합되는 턱이 형성되는 슬라브 패널 설치 시스템.
  7.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고정헤드를 포함하며 고정을 위한 상부의 제 1 위치와 해체를 위한 하부의 제 2 위치에 상기 고정헤드를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드랍 헤드;
    상기 드랍 헤드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드랍 헤드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부로 꺾어진 채널을 이루는 제 1 연장부가 양측면에 형성되고, 길이 방향 양단이 상기 드랍 헤드의 상기 고정헤드와 결합되어서 상기 고정헤드의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간의 승하강에 따라 유동되며, 장방형의 슬라브 패널의 일측 모서리가 상기 연장부와 결합되는 메인빔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둘 이상의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가 하나 이상의 상기 드랍 헤드와 결합되어 길이 방향의 레일을 이루고, 상기 레일이 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드랍 헤드의 상기 고정헤드가 상기 제 2 위치로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브 패널은 모서리가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의 채널에 결합되어서 가이드됨으로써 상기 레일을 이루는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들 사이에 조립 및 해체되며,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에 상기 슬라브 패널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와 조립된 상기 드랍헤드의 상기 고정헤드가 상기 제 1 위치로 승강되면 상기 슬라브 패널이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에 조립된 상태로 상부로 설치되며,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와 상기 드랍헤드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레일의 일단에 서브빔 어셈블리가 상기 레일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더 구성되고,
    상기 서브빔 어셈블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빔; 및
    상기 서브빔의 양단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서브빔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빔은 사각형의 중공이 형성되는 사각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양측벽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외측으로 각각 꺾어지는 제 3 연장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서브빔 헤드는 상기 서브빔의 길이 방향 단부와 용접되는 면을 가지며 상기 면의 반대쪽으로 상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을 이루는 면에서 하부로 연장된 턱이 형성되는 슬라브 패널 설치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드랍 헤드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조인트; 및
    상단이 상기 조인트와 결합되고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서퍼터를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는 상단에 상기 드랍 헤드의 하단부와 나사결합을 위한 플레이트가 구성되고 소정 높이 간격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슬라브 패널 설치 시스템.
  9.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고정헤드를 포함하며 고정을 위한 상부의 제 1 위치와 해체를 위한 하부의 제 2 위치에 상기 고정헤드를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드랍 헤드;
    상기 드랍 헤드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드랍 헤드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부로 꺾어진 채널을 이루는 제 1 연장부가 양측면에 형성되고, 길이 방향 양단이 상기 드랍 헤드의 상기 고정헤드와 결합되어서 상기 고정헤드의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간의 승하강에 따라 유동되며, 장방형의 슬라브 패널의 일측 모서리가 상기 연장부와 결합되는 메인빔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둘 이상의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가 하나 이상의 상기 드랍 헤드와 결합되어 길이 방향의 레일을 이루고, 상기 레일이 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드랍 헤드의 상기 고정헤드가 상기 제 2 위치로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브 패널은 모서리가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의 채널에 결합되어서 가이드됨으로써 상기 레일을 이루는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들 사이에 조립 및 해체되며,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에 상기 슬라브 패널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와 조립된 상기 드랍헤드의 상기 고정헤드가 상기 제 1 위치로 승강되면 상기 슬라브 패널이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에 조립된 상태로 상부로 설치되며,
    상기 드랍 헤드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조인트 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 헤드는,
    상기 드랍 헤드의 단부를 가이드하는 조인트 가드;
    상기 조인트 가드가 상면에 구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저면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슬라브 패널 설치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헤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단이 용접된 조인트 체인;
    상기 조인트 체인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원형의 관통구가 형성된 조인트 핀; 및
    상기 조인트 핀의 상기 관통구에 삽입고정되는 스프링 코터;를 더 포함하는 슬라브 패널 설치 시스템.
  11. 서로 평행하게 떨어져 배치되는 한 쌍의 장변 메인 프레임, 한 쌍의 상기 장변 메인 프레임의 단부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용접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단변 메인 프레임, 및 상기 장변 메인 프레임 사이에 상기 단변 메인 프레임과 나란히 배치되고 단부가 상기 장변 메인 프레임의 측벽과 용접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장병형상의 프레임; 및
    상기 장변 메인 프레임과 상기 단변 메인 프레임 및 상기 서브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이들과 나사 결합되는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장변 메인 프레임과 상기 단변 메인 프레임은,
    소정 높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 양단 하부에 직각으로 모딴부분이 형성되고 내면의 상부에 복수 개의 미세한 요철이 소정폭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변의 하부에 내측으로 꺾어진 단부가 형성된 외벽, 및
    상기 외벽의 내면과 일체로 형성되면서 중공을 형성하고 상부면에 나사공이 형성된 융기부를 포함하는 슬라브 패널.
  12. 수직으로 승하강하며 네 변부에 외측 상부로 연장된 제 1 연장부가 형성된 고정헤드를 포함하며 하강한 해체 위치에 상기 고정헤드가 배치된 드랍헤드를 지지부재 상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지부재와 그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드랍헤드를 일 방향으로 배열하면서 메인빔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 단부와 상기 고정헤드의 상기 제 1 연장부를 서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드랍헤드 사이에 양 측면으로 상부로 꺾어져서 채널을 이루는 제 2 연장부가 형성된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를 조립하여 레일을 형성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타설할 영역에 대하여 상기 레일이 복수개 형성되는 단계;
    한 쌍의 상기 레일 사이에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의 상기 채널에 장방형상의 슬라브 패널의 모서리가 결합되는 상태로 상기 슬라브 패널을 배치한 후 상기 슬라브 패널을 상기 채널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에 조립하는 단계;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에 상기 슬라브 패널이 조립된 후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가 체결된 상기 드랍헤드의 상기 고정헤드를 고정위치로 승강시키면 상기 고정헤드의 승강에 연동하여서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가 상승하여 상기 슬라브 패널을 상부로 세팅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일이 설치된 영역에 대하여 상기 슬라브 패널을 상부로 세팅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할 영역에 대한 상기 슬라브 패널의 설치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슬라브 패널 조립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지면에 지지되는 서퍼터를 설치하고, 상부에 플레이트를 가지면서 소정 높이 간격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조인트를 상기 서퍼터 상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서퍼터의 하단과 상기 조인트의 상단은 핀결합되고, 상기 서퍼터의 상단은 상기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드랍헤드의 하부와 나사결합되는 슬라브 패널 조립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랍 헤드와 상기 조인트 사이에 조인트 헤드를 더 결합하며,
    상기 조인트 헤드는,
    상기 드랍 헤드의 단부를 가이드하는 조인트 가드;
    상기 조인트 가드가 상면에 구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저면에 용접으로 구성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슬라브 패널 조립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할 영역 중 복수 개의 상기 레일이 형성된 영역의 주변 영역에 지지봉과 지지블록에 의하여 지지되는 일반 패널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슬라브 패널 조립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 패널을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레일의 단부에 이격된 레일에 포함된 상기 드랍헤드의 상기 고정헤드 사이와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의 상기 채널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서브빔 어셈블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슬라브 패널 조립 방법.
  17. 청구항 12의 방법으로 설치된 슬라브 패널을 해체하는 방법에 있어서,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 상기 슬라브 패널이 설치된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와 조립된 상기 드랍헤드의 상기 고정헤드를 상기 해체 위치로 하강시키고, 상기 고정헤드의 하강을 상기 레일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드랍헤드의 상기 고정헤드의 하강에 연동하여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가 하강되면, 상기 레일에 배치된 상기 슬라브 패널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이드하여 상기 메인빔 어셈블리로부터 탈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슬라브 패널 해체 방법.
KR1020090089589A 2009-09-22 2009-09-22 슬라브 패널 및 그의 설치 시스템, 슬라브 패널의 조립 및 해체 방법 KR101073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589A KR101073513B1 (ko) 2009-09-22 2009-09-22 슬라브 패널 및 그의 설치 시스템, 슬라브 패널의 조립 및 해체 방법
PCT/KR2010/000962 WO2011037304A1 (ko) 2009-09-22 2010-02-17 슬라브 패널 및 그의 설치 시스템, 슬라브 패널의 조립 및 해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589A KR101073513B1 (ko) 2009-09-22 2009-09-22 슬라브 패널 및 그의 설치 시스템, 슬라브 패널의 조립 및 해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203A KR20110032203A (ko) 2011-03-30
KR101073513B1 true KR101073513B1 (ko) 2011-10-17

Family

ID=43796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589A KR101073513B1 (ko) 2009-09-22 2009-09-22 슬라브 패널 및 그의 설치 시스템, 슬라브 패널의 조립 및 해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73513B1 (ko)
WO (1) WO201103730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891B1 (ko) 2013-09-30 2015-04-2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래브 거푸집 구조
KR101642881B1 (ko) * 2015-06-29 2016-07-27 (주)화인폼 콘크리트 양생 중 거푸집패널 조기 회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바닥 거푸집패널 지지장치
KR20180136749A (ko) 2017-06-15 2018-12-26 (주)혜성산업개발 슬라브 패널 시스템
KR20200017849A (ko) 2018-08-09 2020-02-19 서보산업 주식회사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거푸집 및 이의 설치와 해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83592B (zh) * 2011-09-01 2014-04-16 吴方伯 一种建筑用楼板底模板及其施工方法
CN102409854A (zh) * 2011-09-22 2012-04-11 深圳汇林达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方法
ITPD20110315A1 (it) * 2011-10-05 2013-04-06 Faresin Building Division S P A Attrezzatura perfezionata per l'esecuzione di getti orizzontali per la realizzazione di solai
EP2759658A1 (en) * 2013-01-24 2014-07-30 Faresin Building Division S.p.A. Apparatus for performing horizontal castings to provide floor slabs
SG11201506462SA (en) * 2013-02-18 2015-09-29 Doka Gmbh Stripping head and formwork system
CN104675145B (zh) * 2015-02-15 2016-09-07 泰博混凝土模板与支撑(陕西)有限公司 一种浇筑混凝土楼板及梁底模板支撑体系
KR101951830B1 (ko) * 2016-09-26 2019-05-10 김성기 서포터를 이용한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설치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CN107558650B (zh) * 2017-08-01 2023-05-12 浙江未来加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整体式卫生间吊顶结构及其安装方法
CN113015833B (zh) * 2018-11-29 2023-09-22 Peri欧洲公司 Alphadeck-大面积平板模板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492Y1 (ko) 2002-07-09 2002-10-09 김재연 슬래브용 거푸집 지지장치
KR100655243B1 (ko) * 2004-09-01 2006-12-11 금강공업 주식회사 천장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구조
KR100859160B1 (ko) 2007-03-29 2008-09-19 구자환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801475A (nl) * 1988-06-08 1990-01-02 Bbe Beleggingsmaatschappij Bou Steunconstructie voor de bekistingsplaten of -panelen van een te storten betonvloer.
FR2821104B1 (fr) * 2001-02-22 2004-02-13 Alphi Structure modulaire de soutien d'un coffrage d'une dalle ou analogue
KR200291493Y1 (ko) * 2002-07-09 2002-10-09 김재연 벽거푸집과 슬래브거푸집 연결구조
KR200292763Y1 (ko) * 2002-07-31 2002-10-25 강명환 일체형 알루미늄 단위 거푸집판넬
KR100826556B1 (ko) * 2005-03-17 2008-04-30 권대용 슬라브용 패널구조체
KR20080084130A (ko) * 2007-03-15 2008-09-19 (주) 콘스텍 슬라브 시공용 데크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492Y1 (ko) 2002-07-09 2002-10-09 김재연 슬래브용 거푸집 지지장치
KR100655243B1 (ko) * 2004-09-01 2006-12-11 금강공업 주식회사 천장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구조
KR100859160B1 (ko) 2007-03-29 2008-09-19 구자환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891B1 (ko) 2013-09-30 2015-04-2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래브 거푸집 구조
KR101642881B1 (ko) * 2015-06-29 2016-07-27 (주)화인폼 콘크리트 양생 중 거푸집패널 조기 회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바닥 거푸집패널 지지장치
KR20180136749A (ko) 2017-06-15 2018-12-26 (주)혜성산업개발 슬라브 패널 시스템
KR20200017849A (ko) 2018-08-09 2020-02-19 서보산업 주식회사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거푸집 및 이의 설치와 해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37304A1 (ko) 2011-03-31
KR20110032203A (ko)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513B1 (ko) 슬라브 패널 및 그의 설치 시스템, 슬라브 패널의 조립 및 해체 방법
KR101452940B1 (ko) 들뜸방지 탈형 데크 플레이트
WO2016085187A1 (ko) 트러스거더 고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트러스거더 간의 결합구조
CN101460690A (zh) 板材模板系统
JP2020084759A (ja) 組立式梁型枠
KR101076562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WO2017039212A1 (ko)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KR101679346B1 (ko) 슬라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가설 구조 및 방법
KR20170013011A (ko) 더블 월 피씨들의 접합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접합구조
KR101947431B1 (ko) 슬라브 패널 시스템
JP5512112B2 (ja) 床構造およびユニット式建物の施工方法
JP5839164B2 (ja) 建屋の建設方法
KR101327784B1 (ko) 높이 조절용 데크 플레이트
JP6019176B2 (ja) ユニット建物の連結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KR20170050143A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CN214531306U (zh) 一种无扰动承重墙新增门洞结构
JP2012193599A (ja) ユニット建物の連結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JP5245104B2 (ja) ボイラ内足場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107268B1 (ko) 슬래브 거푸집용 드롭헤드 어셈블리
KR100569598B1 (ko) 건축용벽체 가시설 거푸집의 지지구조
KR101360287B1 (ko) 조립식 갱폼
KR101420626B1 (ko) 프리캐스트패널을 이용한 구조물
KR101295632B1 (ko) 패널 지지 어셈블리
KR102534830B1 (ko) Pit층 멀티 서포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it층의 시공방법
KR20100101384A (ko) 슬래브 속에 매설되는 개방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