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8682A - 기준 전압 회로 - Google Patents

기준 전압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8682A
KR20130028682A KR1020120099110A KR20120099110A KR20130028682A KR 20130028682 A KR20130028682 A KR 20130028682A KR 1020120099110 A KR1020120099110 A KR 1020120099110A KR 20120099110 A KR20120099110 A KR 20120099110A KR 20130028682 A KR20130028682 A KR 20130028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ircuit
reference voltage
current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카즈 스기우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8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6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30Regulators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se-emitter voltages of two bipolar transistors operating at different current densiti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과제) 온도 의존성이 적은 저전압 (1.25 V 이하) 의 정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 전압 회로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두 개의 PN 접합을 갖고, 어느 PN 접합에 기초한 전압 (Vk) 과, 두 개의 PN 접합의 전압의 차에 기초한 전류 (Ik) 를 출력하는 밴드 갭 전압 발생 회로와, 전압 (Vk) 을 분압하는 분압 회로를 구비하고, 분압 회로는 입력하는 전류 (Ik) 에 의해 분압 전압을 보정하여, 기준 전압으로서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기준 전압 회로{REFERENCE VOLTAGE CIRCUIT}
본 발명은, 온도 의존성이 적은 정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 전압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온도 의존성이 적은 정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 전압 회로로서, 실리콘의 밴드 갭 값과 거의 동일한 전압을 발생시키는 밴드 갭 기준 전압 회로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도 4 는, 종래의 밴드 갭 기준 전압 회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종래의 밴드 갭 기준 전압 회로는, PN 접합 (401) 과, PN 접합 (402) 과, R1 이라는 저항값을 갖는 저항 (403) 과, 트랜지스터 (404) 와, 트랜지스터 (405) 와, 트랜지스터 (406) 와, 저항 (403) 과 동종 (동일한 온도특성) 의 저항이고 R2 라는 저항값을 갖는 저항 (407) 과, PN 접합 (408) 과, 앰프 (409) 를 구비하고 있다. PN 접합 (401) 과 PN 접합 (402) 은, 실효적인 면적비 (예를 들어, 애노드·캐소드 접합 면적비) 가 1:K1 의 관계로 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404) 와 트랜지스터 (405) 는, 게이트 소스 간 전압이 동일하므로, 치수비에 기초한 전류가 흐른다. 예를 들어, 치수비를 1:1 로 하면, 트랜지스터 (404) 와 트랜지스터 (405) 에는 거의 동일한 전류가 흐른다. 여기서, 트랜지스터 (404) 와 트랜지스터 (405) 의 전류가 거의 동일한 것을 전제로 한다. 앰프 (409) 는, 전압 (VA) 과 전압 (VB) 이 동일해지는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404) 와 트랜지스터 (405) 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한다. 이 때, 트랜지스터 (405) 에 흐르는 전류 (Ib) 는, (1) 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Ib=VT×{ln(K1)}/R1…(1)
여기서, VT 는 열전압이고, kT/q 로 나타낸다. 단, q 는 단위 전자 전하, k 는 볼츠만 상수, T 는 절대 온도이다.
트랜지스터 (406) 에는, 전류 (Ib) 에 기초한 전류가 흐른다. 여기서, 트랜지스터 (405) 와 트랜지스터 (406) 의 치수비가 1:1 이고, PN 접합 (408) 에 발생하는 전압을 전압 Vpn3 으로 하면, 기준 전압 (Vref) 은 (2) 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Vref=Vpn3+(R2/R1)×VT×{ln(K1)}…(2)
전압 Vpn3 이 대략 -2.0 mV/℃ 의 부 (負) 의 온도 특성을 갖기 때문에, 제 1 항은 부의 온도 특성을 나타낸다. 열전압 (VT) 이 정 (正) 의 온도 특성을 갖기 때문에, 제 2 항은 정의 온도 특성을 나타낸다. (2) 식을 T 에 관해서 미분하고, 이것이 제로가 되는 조건을 구하면, (3) 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R2/R1)×(k/q)×{ln(K1)}=0.002…(3)
따라서, (3) 식을 만족하도록 (R2/R1) 을 설정하면, 온도 의존성이 없는 기준 전압 (Vref) 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온도 의존성이 적은 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 전압 회로가 얻어진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305150호
그러나, 종래의 밴드 갭 기준 전압 회로에서는, 기준 전압 (Vref) 은 식 (2) 와 (3) 으로부터 대략 1.25 V 이다. 따라서, 동작 전압을 이것에 의해 제한되는 전압 이하로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 온도 의존성이 적고, 보다 낮은 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 전압 회로를 실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준 전압 회로는, 두 개의 PN 접합을 갖고, PN 접합에 기초한 전압 (Vk) 과, 두 개의 PN 접합의 전압의 차에 기초한 전류 (Ik) 를 출력하는 밴드 갭 전압 발생 회로와, 전압 (Vk) 을 분압하는 분압 회로를 구비하고, 분압 회로는 입력되는 전류 (Ik) 에 의해 분압 전압을 보정하여, 기준 전압으로서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기준 전압 회로에 의하면, 온도 의존성이 적고, 낮은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 전압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의 기준 전압 회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 는, 제 2 실시형태의 기준 전압 회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 은, 제 3 실시형태의 기준 전압 회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 는, 종래의 밴드 갭 기준 전압 회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은, 본 실시형태의 기준 전압 회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기준 전압 회로는, 밴드 갭 전압 발생 회로 (100) 와 분압 회로 (101) 를 구비하고 있다. 밴드 갭 전압 발생 회로 (100) 는, 두 개의 PN 접합 (실효적인 면적비, 예를 들어, 애노드·캐소드 접합 면적비가 1:K1 인 관계) 의 전압에 기초하여, 전압 (Vk) 및 전류 (Ik) 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분압 회로 (101) 는, 밴드 갭 전압 발생 회로 (100) 로부터 입력되는 전압 (Vk) 및 전류 (Ik) 에 기초하여, 기준 전압 (Vref) 을 출력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에, 제 1 실시형태의 기준 전압 회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밴드 갭 전압 발생 회로 (100) 는, PN 접합 (401 및 402) 과, 저항 (403) 과, 트랜지스터 (404 및 405) 와, 앰프 (409) 와, 트랜지스터 (11) 를 구비하고 있다. 분압 회로 (101) 는, 앰프 (12), 저항 (13 및 14) 을 구비하고 있다.
트랜지스터 (404) 와 PN 접합 (401) 은, 전원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405) 와 저항 (403) 과 PN 접합 (402) 은, 전원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앰프 (409) 의 반전 입력 단자는, 트랜지스터 (404) 와 PN 접합 (401) 의 접속점과 접속된다. 앰프 (409) 의 비반전 입력 단자는, 트랜지스터 (405) 와 저항 (403) 의 접속점과 접속된다. 앰프 (409) 의 출력 단자는, 트랜지스터 (404) 와 트랜지스터 (405) 와 트랜지스터 (11) 의 게이트 단자와 접속된다.
여기서, PN 접합에 기초한 전압 (Vk) 으로서, PN 접합 (401) 에 발생하는 전압 (VA) 을 사용한다. 또, PN 접합에 기초한 전류 (Ik) 로서, 트랜지스터 (404) 및 트랜지스터 (405) 와 게이트 단자가 공통으로 접속된 트랜지스터 (11) 가 흘리는 전류를 사용한다.
앰프 (12) 는, 비반전 입력 단자에 전압 (Vk) 이 입력되고, 출력 단자와 반전 입력 단자가 접속된다. 저항 (13 및 14) 은, 앰프 (12) 의 출력 단자와 접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저항 (13) 과 저항 (14) 의 접속점은, 트랜지스터 (11) 의 드레인 단자와 접속되고, 기준 전압 회로의 출력 단자와 접속된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의 기준 전압 회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앰프 (409) 는, 전압 (VA) 과 전압 (VB) 이 동일해지도록, 트랜지스터 (404) 와 트랜지스터 (405) 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한다.
트랜지스터 (405) 에 흐르는 전류 (Ib) 는, PN 접합 (401) 에 발생하는 전압 (Vpn1) 과 PN 접합 (402) 에 발생하는 전압 (Vpn2) 의 전압의 차를, 저항 (403) 의 저항값 (R1) 으로 나눈 값이 된다. 즉, 트랜지스터 (405) 에는, 두 개의 PN 접합의 전압의 차에 기초한 전류 (Ib) 가 흐른다.
여기서, 트랜지스터 (11) 와 트랜지스터 (405) 는, 게이트 소스 간 전압이 동일하므로, 치수비에 기초한 전류가 흐른다. 예를 들어, 치수비를 1:1 로 하면, 트랜지스터 (11) 와 트랜지스터 (405) 는 거의 동일한 전류 (Ib) 가 흐른다. 요컨대, 트랜지스터 (11) 에는, 두 개의 PN 접합의 전압의 차에 기초한 전류 (Ib) 에 동일한 전류 (Ik) 가 흐른다.
트랜지스터 (11) 에 흐르는 전류 (Ik) 는, (4) 식으로 나타낸다.
Ik=VT×{ln(K1)}/R1…(4)
여기서, VT 는 열전압이고, kT/q 로 나타낸다. 단, q 는 단위 전자 전하, k 는 볼츠만 상수, T 는 절대 온도이다.
전압 (Vref) 은, 저항 (13) 의 저항값을 R3, 저항 (14) 의 저항값을 R4 로 하면, (5) 식으로 나타낸다.
Vref=Ik×(R3×R4)/(R3+R4)+Vk×R3/(R3+R4)={R3/(R3+R4)}×{(R4/R1)×VT×{ln(K1)}+Vk}…(5)
(5) 식에 있어서, (R4/R1)×VT×{ln(K1)} 은, 열전압 (VT) 이 정의 온도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정의 온도 특성을 나타낸다. 또, Vk 는, Vpn1 이 대략 -2.0 mV/℃ 의 부의 온도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부의 온도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R4/R1) 을, 적당하게 설정하면, (5) 식의 {(R4/R1)×VT×{ln(K1)}+Vk} 는, 온도 의존성이 적은 것으로서 얻어진다. 그리고, {R3/(R3+R4)} 를 적절히 설정하기만 하면, 기준 전압 (Vref) 은, (5) 식의 {(R4/R1)×VT×{ln(K1)}+Vk} 를 분압한 것으로서, 절대값을 자유롭게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기준 전압 회로의 기준 전압 (Vref) 은, 저전압 (1.25 V 이하) 에서 온도 의존성이 적은 전압으로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기준 전압 회로의 동작 전압의 저감도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기준 전압 회로에 있어서, 전압 (Vk) 을 앰프 (12) 에 의해 임피던스 변환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전압 (Vk) 의 임피던스가 낮은 경우에는, 전압 (Vk) 을 직접 저항 (14) 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기준 전압 회로에 있어서, PN 접합에 기초한 전압 (Vk) 으로서, PN 접합 (401) 에 발생하는 전압 (VA) 을 사용했지만, 전압 (VB) 이어도 되고, 다른 전압이어도 된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기준 전압 회로에 있어서, 전압 (VB) 을 발생시키는 회로로서, 접지로부터 PN 접합 (402) 과 저항 (403) 의 순서로 직렬로 접속된 회로 구성으로 했지만, 반대로 접속되어 있어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 2 실시형태>
도 2 에, 제 2 실시형태의 기준 전압 회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밴드 갭 전압 발생 회로 (100) 는, PN 접합 (401 및 402) 과, 저항 (403) 과, 트랜지스터 (21, 22, 23, 24, 25, 27) 와, PN 접합 (26) 과, 트랜지스터 (11) 를 구비하고 있다.
PN 접합 (401 및 402) 과 저항 (403) 은, 제 1 실시형태의 기준 전압 회로 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트랜지스터 (21 및 22) 와 트랜지스터 (23, 24 및 25) 는, 커런트 미러 회로를 구성한다. 트랜지스터 (27) 및 트랜지스터 (25) 와 PN 접합 (26) 은, 전원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27) 및 트랜지스터 (11) 는, 커런트 미러 회로를 구성한다.
커런트 미러 회로는, PN 접합 (401 과 402) 및 저항 (403) 에 동일한 전류를 흘리므로, 전압 (VA) 과 전압 (VB) 이 동일해진다.
여기서, PN 접합에 기초한 전압 (Vk) 으로서, PN 접합 (401) 에 발생하는 전압 (VA) 을 사용한다. 또, PN 접합에 기초한 전류 (Ik) 로서, PN 접합 (26) 과 트랜지스터 (23) 및 트랜지스터 (24) 와 게이트 단자가 공통으로 접속된 트랜지스터 (25) 가 흘리는 전류를 사용한다.
이상 설명한 도 2 에 나타내는 구성을 한 제 2 실시형태의 기준 전압 회로에 의해서도, 제 1 실시형태의 기준 전압 회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기준 전압 회로에 있어서, 전압 (Vk) 을 앰프 (12) 에 의해 임피던스 변환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전압 (Vk) 의 임피던스가 낮은 경우에는, 전압 (Vk) 을 직접 저항 (14) 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제 2 실시형태의 기준 전압 회로에 있어서, PN 접합에 기초한 전압 (Vk) 으로서, PN 접합 (401) 에 발생하는 전압 (VA) 을 사용했지만, 전압 (VB) 이어도 되고, 다른 전압이어도 된다.
또, 제 2 실시형태의 기준 전압 회로에 있어서, 전압 (VB) 을 발생시키는 회로로서, 접지로부터 PN 접합 (402) 과 저항 (403) 의 순서로 직렬로 접속된 회로 구성으로 했지만, 반대로 접속되어 있어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 3 실시형태>
도 3 에, 제 3 실시형태의 기준 전압 회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밴드 갭 전압 발생 회로 (100) 는, 전류원 (31a 및 31b) 과, PN 접합 (401 및 402) 과, 트랜지스터 (33a 및 33b) 와, 저항 (34a 및 34b) 과, 앰프 (39a 및 39b) 와, 트랜지스터 (35 및 11) 를 구비하고 있다.
전류원 (31a) 과 PN 접합 (401) 은, 전원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그 접속점은 앰프 (39a) 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앰프 (39a) 는, 출력 단자가 트랜지스터 (33a) 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되고, 반전 입력 단자가 트랜지스터 (33a) 의 소스 단자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35, 33a), 저항 (34a) 은, 전원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35 와 11) 는, 커런트 미러 접속된다.
전류원 (31b) 과 PN 접합 (402) 은, 전원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그 접속점은 앰프 (39b) 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앰프 (39b) 는, 출력 단자가 트랜지스터 (33b) 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되고, 반전 입력 단자가 트랜지스터 (33b) 의 소스 단자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11, 33b), 저항 (34b) 은, 전원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33a) 와 저항 (34a) 은, PN 접합 (401) 에 발생하는 전압 (Vpn1) 에 기초하는 전류 (Ia) 를 흐르게 한다. 트랜지스터 (33b) 와 저항 (34b) 은, PN 접합 (402) 에 발생하는 전압 (Vpn2) 에 기초하는 전류 (Ib) 를 흐르게 한다.
여기서, PN 접합에 기초한 전압 (Vk) 으로서, PN 접합 (401) 에 발생하는 전압 (VA) 을 사용한다. 또, 두 개의 PN 접합의 전압의 차에 기초한 전류 (Ik) 로서, 전류 (Ia) 에서 전류 (Ib) 를 뺀 전류를 사용한다. 상기 서술한 것으로부터, 전류 (Ia) 에서 전류 (Ib) 를 뺀 전류 (Ik) 는, 두 개의 PN 접합의 전압의 차에 기초한 전류가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도 3 에 나타내는 구성을 한 제 3 실시형태의 기준 전압 회로에 의해서도, 제 1 실시형태의 기준 전압 회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의 기준 전압 회로에 있어서, 전압 (Vk) 을 앰프 (12)에 의해 임피던스 변환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전압 (Vk) 의 임피던스가 낮은 경우에는, 전압 (Vk) 을 직접 저항 (14) 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제 3 실시형태의 기준 전압 회로에 있어서, PN 접합에 기초한 전압 (Vk) 으로서, PN 접합 (401) 에 발생하는 전압 (VA) 을 사용했지만, 전압 (VB) 이어도 되고, 다른 전압이어도 된다.
100 : 밴드 갭 전압 발생 회로
101 : 분압 회로
12, 31a, 32b, 409 : 앰프

Claims (3)

  1. 두 개의 PN 접합의 전압의 차에 기초한 정전압을 출력하는 기준 전압 회로로서,
    상기 PN 접합의 어느 하나에 기초한 전압 (Vk) 과, 상기 두 개의 PN 접합의 전압의 차에 기초한 전류 (Ik) 를 출력하는 밴드 갭 전압 발생 회로와,
    상기 전압 (Vk) 을 분압하는 분압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분압 회로는, 입력하는 상기 전류 (Ik) 에 의해 분압 전압을 보정하여, 기준 전압으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전압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압 회로는,
    전압 (Vk) 과 접지 사이에 접속된 복수의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저항의 접속점에 상기 전류 (Ik) 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전압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압 회로는,
    전압 (Vk) 이 일방의 입력 단자에 입력되고, 출력 단자가 타방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 앰프와,
    상기 앰프의 출력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복수의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저항의 접속점에 상기 전류 (Ik) 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전압 회로.
KR1020120099110A 2011-09-09 2012-09-07 기준 전압 회로 KR201300286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97357A JP2013058155A (ja) 2011-09-09 2011-09-09 基準電圧回路
JPJP-P-2011-197357 2011-09-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682A true KR20130028682A (ko) 2013-03-19

Family

ID=47829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110A KR20130028682A (ko) 2011-09-09 2012-09-07 기준 전압 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063201A1 (ko)
JP (1) JP2013058155A (ko)
KR (1) KR20130028682A (ko)
CN (1) CN102999078A (ko)
TW (1) TW2013240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77973A (zh) * 2015-07-08 2015-10-14 北京兆易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低压低功耗的带隙基准电路
CN106055002B (zh) * 2016-07-04 2017-10-31 湖南国科微电子股份有限公司 低压输出的带隙基准电路
CN107728690B (zh) * 2016-08-10 2020-02-28 晶豪科技股份有限公司 能隙参考电路
JP7086562B2 (ja) * 2017-10-31 2022-06-20 シナプ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バンドギャップリファレンス回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74782B (en) * 2002-04-30 2004-02-01 Realtek Semiconductor Corp Fast start-up low-voltage bandgap voltage reference circuit
TWI361967B (en) * 2008-04-21 2012-04-11 Ralink Technology Corp Bandgap voltage reference circuit
TWI399631B (zh) * 2010-01-12 2013-06-21 Richtek Technology Corp 可快速啟動的低電壓能隙參考電壓產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63201A1 (en) 2013-03-14
CN102999078A (zh) 2013-03-27
JP2013058155A (ja) 2013-03-28
TW201324073A (zh) 201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7825B2 (ja) 基準電圧発生回路
EP3091418B1 (en) Circuit arrangement for the generation of a bandgap reference voltage
US110929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voltage generation
TWI570537B (zh) Reference voltage circuit
JP2006262348A (ja) 半導体回路
JP2014086000A (ja) 基準電圧発生回路
US8461914B2 (en) Reference signal generating circuit
TW201525647A (zh) 帶隙參考電壓產生電路
KR102544302B1 (ko) 밴드갭 레퍼런스 회로
KR20130028682A (ko) 기준 전압 회로
TWI402655B (zh) 定電流電路
CN102385413A (zh) 低压带隙基准电压产生电路
KR20190071590A (ko) 전류 생성 회로
CN202257343U (zh) 低压带隙基准电压产生电路
KR20120031888A (ko) 기준 전류 생성 회로, 기준 전압 생성 회로, 및 온도 검출 회로
KR20130069416A (ko) 기준 전류 발생 회로 및 기준 전압 발생 회로
JP6136480B2 (ja) バンドギャップリファレンス回路
KR101000858B1 (ko) 밴드 갭 기준 전압 발생기
JP2016057962A (ja) 基準電圧回路及び電源回路
JP2015014875A (ja) バンドギャップ基準電圧回路
KR20120113592A (ko) 전류 보상을 이용한 기준 전원 발생기
US20100321093A1 (en) Reference voltage output circuit
US20110215855A1 (en) Voltage generating circuit
JP2017211897A (ja) 基準電圧生成回路及び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