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8153A - 와이어 소 - Google Patents

와이어 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8153A
KR20130028153A KR1020137005203A KR20137005203A KR20130028153A KR 20130028153 A KR20130028153 A KR 20130028153A KR 1020137005203 A KR1020137005203 A KR 1020137005203A KR 20137005203 A KR20137005203 A KR 20137005203A KR 20130028153 A KR20130028153 A KR 20130028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obbin
traverse
tens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6904B1 (ko
Inventor
가츠히코 아베
도시키 나가이
Original Assignee
코마츠 엔티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마츠 엔티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코마츠 엔티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8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4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tools other than rotary type, e.g. reciprocating tools
    • B28D5/045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tools other than rotary type, e.g. reciprocating tools by cutting with wires or closed-loop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8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saw-blades of endless cutter-type, e.g. chain saws, i.e. saw chains, strap s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not covered b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B23D45/00 - B23D55/00
    • B23D57/003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aw wir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57/0061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aw wir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guiding or feeding saw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6Grinders for cutting-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6Grinders for cutting-off
    • B24B27/0633Grinders for cutting-off using a cutt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547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wire-lik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Abstract

와이어 소는 워크 가공용 와이어(12)가 걸쳐지는 복수의 가공용 롤러(11A, 11B)와, 가공용 롤러(11A, 11B) 사이에 와이어(12)를 공급하도록 회전하는 공급측의 보빈(13A, 13B)과, 가공용 롤러(11A, 11B) 사이의 와이어(12)를 권취하도록 회전하는 권취측의 보빈(13B, 13A)을 구비한다. 와이어는 양 보빈(13A, 13B)을 각각 회전축선의 방향을 따라 트래버스 동작시키는 한 쌍의 트래버스 구조(16)와, 가공용 롤러(11A, 11B)와 양 보빈(13A, 13B) 사이의 와이어(12)의 장력을 각각 검출하는 한 쌍의 센서(18)와, 센서(18)에 의한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와이어(12)의 장력을 조정하도록, 보빈(13A, 13B)을 각각 이동시키는 한 쌍의 장력 조정 기구(17)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와이어 소{WIRE SAW}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반도체 재료, 자성 재료, 세라믹스 등의 취성(脆性) 재료로 이루어지는 워크를 와이어에 의해 절단하도록 한 와이어 소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와이어 소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이 종래 구성에 있어서는, 와이어가 걸쳐지는 복수의 가공용 롤러와, 그 가공용 롤러 사이에 와이어를 공급하도록 회전하는 공급측의 보빈(bobbin)과, 가공용 롤러 사이의 와이어를 권취하도록 회전하는 권취측의 보빈을 구비하고 있다. 공급측의 보빈 및 권취측의 보빈에는, 그들 보빈을 회전축선의 방향을 따라 트래버스 동작시키기 위한 트래버스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가공용 롤러와 공급측의 보빈 및 권취측의 보빈 사이에는, 와이어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댄서 롤러(dancer roller)식 장력 조정 장치, 및 와이어의 주행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 롤러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공용 롤러 사이에서 와이어가 주행되면서, 지립(砥粒)을 포함하는 슬러리가 그 와이어 상에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와이어에 대하여 워크가 가압되어서, 워크가 절단된다.
일본국 특개평4-135158호 공보
이 종래 구성에 있어서는, 트래버스 기구에 의해 양 보빈을 그 회전축선의 방향을 따라 트래버스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보빈에 대향하는 위치에, 보빈의 회전축선의 방향을 따라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트래버스 롤러를 포함하는 트래버스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이 종래 구성에 있어서는, 가공용 롤러와 양 보빈 사이에, 와이어의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 조정 장치, 및 와이어의 주행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부품수가 많아져서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가공용 롤러와 양 보빈 사이에, 장력 조정 장치 및 복수의 가이드 롤러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어, 와이어 소 전체가 대형이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와이어가 가공용 롤러와 양 보빈 사이에서, 복수의 가이드 롤러에 의해 주행 방향이 전환되면서 주행되기 때문에, 와이어에 꼬임이 생기기 쉽고, 이너셔의 문제가 생기거나, 와이어의 단선율이 높아지거나 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착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그 목적은, 장력 조정 장치나 복수의 가이드 롤러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와이어 소 전체를 소형으로 할 수 있으며, 가이드 롤러에 의해 와이어에 꼬임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가이드 롤러에 의한 이너셔의 문제나 와이어의 단선율을 저감할 수 있는 와이어 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워크 가공용 와이어가 걸쳐지는 복수의 가공용 롤러와, 그 와이어를 상기 가공용 롤러 사이에 공급하도록 회전하는 공급측의 보빈과, 상기 가공용 롤러 사이의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도록 회전하는 권취측의 보빈을 구비한 와이어 소를 제공한다. 와이어 소는, 상기 공급측의 보빈 및 상기 권취측의 보빈을 각각 그 회전축선의 방향을 따라 트래버스 동작시키는 한 쌍의 트래버스 기구와, 상기 가공용 롤러와 상기 공급측의 보빈 및 상기 권취측의 보빈과의 사이의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각각 검출하기 위한 한 쌍의 센서와, 그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정하도록 상기 공급측의 보빈 및 상기 권취측의 보빈을 각각 이동시키는 한 쌍의 장력 조정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와이어 소에 있어서는, 보빈을 그 회전축선의 방향을 따라 트래버스 동작시키는 트래버스 기구와, 와이어의 장력을 검출하는 장력 조정 기구를 각 보빈에 일체로 부설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구성과는 달리, 가공용 롤러와 각 보빈 사이에, 댄서 롤러식 장력 조정 장치 및 복수의 가이드 롤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그들을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양 보빈을 가공용 롤러에 근접해서 배치할 수 있으며, 와이어 소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음과 함께, 와이어 소 전체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가공용 롤러와 양 보빈과의 사이의 복수의 가이드 롤러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가 가이드 롤러에 안내되어서 주행하는 것에 수반하여, 와이어에 꼬임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가이드 롤러에 의한 이너셔의 문제나 와이어의 단선율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와이어로부터 발생하는 음파를 감지해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검출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와이어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검출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각 트래버스 기구는 상기 공급측의 보빈 및 상기 권취측의 보빈 중, 대응하는 한쪽의 보빈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당해 지지판에 고정된 트래버스용 너트와, 당해 트래버스용 너트에 작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함과 함께, 상기 보빈의 회전축선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트래버스용 볼 나사와, 당해 트래버스용 볼 나사를 회전시켜서, 상기 지지판을 상기 트래버스용 볼 나사를 따라 이동시키는 트래버스용 모터를 구비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각 장력 조정 기구는, 상기 한 쌍의 트래버스 기구 중, 한쪽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당해 지지대에 고정된 조정용 너트와, 당해 조정용 너트에 작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함과 함께, 상기 가공용 롤러 중 하나를 향해서 연장되는 조정용 볼 나사와, 당해 조정용 볼 나사를 회전시켜서, 상기 지지대를 상기 조정용 볼 나사를 따라 상기 가공용 롤러 중 하나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접근 및 이간시키는 조정용 모터를 구비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의 와이어 소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와이어 소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3-3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이하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와이어 소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와이어 소에 있어서는, 프레임(도시 생략) 상에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가공용 롤러(11A, 11B)가 수평면 내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가공용 롤러(11A, 11B)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고리 형상 홈(11a)이 소정의 피치로 형성되며, 이 가공용 롤러(11A, 11B)의 고리 형상 홈(11a) 내에 와이어(12)가 배치되도록 가공용 롤러(11A, 11B) 사이에는 와이어(12)가 걸쳐져 있다. 가공용 롤러(11A, 11B)를 사이에 두는 양측 위치의 하방에 있어서 프레임 상에는, 한 쌍의 보빈(13A, 13B)이 지지 장치(14A, 14B)를 통해서, 가공용 롤러(11A, 11B)의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12)가 가공용 롤러(11A, 11B) 사이에 있어서 소정의 사이클로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가공용 롤러(11A, 11B) 및 보빈(13A, 13B)이 소정 사이클로 왕복 회전된다. 가공용 롤러(11A, 11B) 및 보빈(13A, 13B)이 정회전할 때, 보빈(13A, 13B) 중, 한쪽의 보빈(13A)이 공급측의 보빈으로서, 가공용 롤러(11A, 11B) 사이에 와이어(12)를 공급하도록 작용함과 함께, 다른 쪽의 보빈(13B)이 권취측의 보빈으로서, 가공용 롤러(11A, 11B) 사이로부터 사용이 끝난 와이어(12)를 권취하도록 작용한다. 가공용 롤러(11A, 11B) 및 보빈(13A, 13B)이 역회전할 때, 보빈(13A)은 권취측의 보빈으로서 작용하고, 보빈(13B)은 공급측의 보빈으로서 작용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화살표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좌측의 보빈(13A)이 공급측의 보빈으로 되고, 우측의 보빈(13B)이 권취측의 보빈으로 되어 있다.
상기 양 가공용 롤러(11A, 11B) 사이의 와이어(12)의 상방에는 새들(도시 생략)이 선택적으로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 새들의 하면에는 지지판(15)이 설치되어, 워크(W)가 지지판(15)에 점착되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가공용 롤러(11A, 11B) 및 보빈(13A, 13B)의 회전에 수반하여, 가공용 롤러(11A, 11B) 사이에서 와이어(12)가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지립을 포함하는 슬러리가 그 와이어(12) 상에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새들을 하강시킴으로써 워크(W)가 와이어(12)에 가압되어서, 그 워크(W)가 절단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보빈(13A, 13B)의 지지 장치(14A, 14B)의 각각에는, 보빈(13A, 13B) 중, 대응하는 한쪽의 보빈을 그 회전축선의 방향을 따라 트래버스 동작시키기 위한 트래버스 기구(16)와, 그 보빈(13A) 또는 보빈(13B)을 와이어(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서 와이어(12)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력 조정 기구(17)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 상에 있어서, 가공용 롤러(11A)와 보빈(13A) 사이, 및 가공용 롤러(11B)와 보빈(13B) 사이에는, 와이어(12)에 대향하도록, 와이어(12)의 장력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18)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센서(18)는, 와이어(12)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들 센서(18)는, 와이어(12)의 진동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음파를 감지하여, 와이어(12)의 장력을 검출하는 음파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센서(18)에 의한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장력 조정 기구(17)에 의해 보빈(13A, 13B)이 가공용 롤러(11A, 11B)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와이어(12)의 장력이 소정값이 되도록 조정된다.
다음으로, 지지 장치(14A, 14B)의 트래버스 기구(16) 및 장력 조정 기구(17)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장력 조정 기구(17)에 있어서, 지지대(21)가 가이드 레일(도시 생략)을 통해서 선택적으로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프레임 상에 지지되고, 그 지지대(21) 상에 트래버스 기구(16)를 통해서 보빈(13A, 13B) 중, 대응하는 한쪽이 지지되어 있다. 장력 조정 기구(17)는, 프레임 상에 배치된 조정용 모터(22)와, 조정용 모터(22)에 연결되며, 또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조정용 볼 나사(23)와, 조정용 볼 나사(23)에 작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함과 함께, 지지대(21)에 고정되는 조정용 너트(24)를 구비한다. 조정용 모터(22)가 회전함으로써, 조정용 볼 나사(23) 및 조정용 너트(24)를 통해서 지지대(21)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서, 보빈(13A, 13B)이 와이어(12)의 장력을 조정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각 트래버스 기구(16)에 있어서, 지지판(25)이 가이드 레일(도시 생략)을 통해서 가공용 롤러(11A, 11B)의 회전축선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대(21) 상에 지지되어 있다. 각 지지판(25) 상에는, 보빈(13A, 13B) 중, 대응하는 한쪽을 양단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스핀들 장치(26, 27)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각 지지판(25) 상에는, 스핀들 장치(26)를 회전시켜서, 보빈(13A, 13B) 중 대응하는 한쪽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용 모터(28)가 지지되어 있다. 각 지지대(21) 상에는 트래버스용 모터(29)가 배치되며, 트래버스용 모터(29)에는, 가공용 롤러(11A, 11B)의 회전축선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트래버스용 볼 나사(30)가 연결되어 있고, 트래버스용 볼 나사(30)에는, 지지판(25)에 고정되는 트래버스용 너트(31)가 나사 결합하고 있다. 트래버스용 모터(29)의 회전에 의해, 트래버스용 볼 나사(30) 및 트래버스용 너트(31)를 통해서 지지판(25)이 왕복 이동되어서, 보빈(13A, 13B)이 회전축선의 방향을 따라 트래버스 동작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와이어 소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 와이어 소의 운전시에는, 와이어(12)가 가공용 롤러(11A, 11B) 사이에 있어서 소정의 사이클로 왕복 운동하도록, 가공용 롤러(11A, 11B) 및 보빈(13A, 13B)이 소정 사이클로 왕복 회전된다. 가공용 롤러(11A, 11B) 및 보빈(13A, 13B)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한쪽의 보빈(13A)은 가공용 롤러(11A, 11B) 사이에 와이어(12)를 공급하는 공급측 보빈으로서 작용함과 함께, 다른 쪽의 보빈(13B)은 가공용 롤러(11A, 11B) 사이의 와이어(12)를 권취하는 권취측 보빈으로서 작용한다. 이때, 보빈(13A, 13B)의 지지 장치(14A, 14B)에 있어서, 트래버스 기구(16)의 트래버스용 모터(29)에 의해, 보빈(13A, 13B)이 각각, 그 회전축선의 방향을 따라 트래버스 동작된다. 이 트래버스 동작에 의해, 와이어(12)의 장력이 변동하는 것이 억제된 상태에서, 공급측의 보빈(13A)으로부터 와이어(12)가 공급됨과 함께에, 권취측의 보빈(13B)에 가공용 롤러(11A, 11B) 사이의 와이어(12)가 균일한 감김 피치로 권취된다.
그리고, 상기 가공용 롤러(11A, 11B) 및 보빈(13A, 13B)의 회전에 수반하여, 가공용 롤러(11A, 11B) 사이에 걸쳐진 와이어(12)가 그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진다. 이 상태에서, 지립을 포함하는 슬러리가 와이어(12) 상에 공급되고, 새들이 하강됨으로써 워크(W)가 와이어(12)에 가압되어서, 그 워크(W)가 절단된다. 이때, 가공용 롤러(11A)와 보빈(13A) 사이, 및 가공용 롤러(11B)와 보빈(13B) 사이에 있어서, 각각 센서(18)에 의해 와이어(12)의 장력이 검출된다. 그리고, 그 센서(18)에 의한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장력 조정 기구(17)의 조정용 모터(22)에 의해, 보빈(13A, 13B)이 가공용 롤러(11A, 11B)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간시켜져서, 와이어(12)의 장력이 소정값이 되도록 조정된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이 와이어 소는 보빈(13A, 13B)을 각각 그 회전축선의 방향을 따라 트래버스 동작시키는 두 개의 트래버스 기구(16)와, 가공용 롤러(11A)와 보빈(13A) 사이, 및 가공용 롤러(11B)와 보빈(13B) 사이에 있어서, 각각 와이어(12)의 장력을 검출하기 위한 두 개의 센서(18)와, 그 센서(18)에 의한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보빈(13A, 13B)을 각각 이동시켜서, 와이어(12)의 장력을 조정하는 두 개의 장력 조정 기구(17)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트래버스 기구(16)와 장력 조정 기구(17)를 일체로 설치해서, 보빈(13A, 13B)의 지지 장치(14A, 14B)의 각각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구성과는 달리, 가공용 롤러(11A)와 보빈(13A) 사이, 및 가공용 롤러(11B)와 보빈(13B) 사이에, 댄서 롤러식 장력 조정 장치 및 복수의 가이드 롤러를 배치할 필요는 없고, 그 배치를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는 없다. 이 때문에, 부품수를 줄여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음과 함께, 보빈(13A, 13B)을 가공용 롤러(11A, 11B)에 근접해서 배치할 수 있어, 와이어 소 전체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가공용 롤러(11A, 11B)와 보빈(13A, 13B) 사이의 복수의 가이드 롤러가 생략되기 때문에, 와이어(12)의 주행 방향이 가이드 롤러에 의해 전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이드 롤러에 의해 와이어(12)에 꼬임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가이드 롤러에 의한 이너셔의 문제를 방지하고, 와이어(12)의 단선율을 저감할 수 있다.
(2) 이 와이어 소에 있어서는, 상기 센서(18)가, 와이어(12)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와이어(12)로부터 발생하는 음파를 감지해서 와이어(12)의 장력을 검출하는 음파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센서(18)의 설치 위치에 관한 제약이 적고, 센서(18)는, 비접촉 상태에서 와이어(12)의 장력을 적정하게 검출할 수 있다. 게다가, 센서(18)가 와이어(12)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되기 때문에, 센서(18)가 슬러리에 의해 더럽혀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3) 이 와이어 소에 있어서는, 보빈(13A, 13B)의 회전축선이 가공용 롤러(11A, 11B)의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공용 롤러(11A, 11B)와 보빈(13A, 13B) 사이의 가이드 롤러를 생략할 수 있어, 부품수를 저감할 수 있으며, 가이드 롤러에 의한 이너셔의 문제를 없애고, 와이어 단선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빈(13A, 13B)을 가공용 롤러(11A, 11B)에 근접해서 배치할 수 있어, 배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어서, 와이어 소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변경예)
또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변경해서 구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빈(13A, 13B)의 회전축선을 가공용 롤러(11A, 11B)의 회전축선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보빈(13A, 13B)과 가공용 롤러(11A, 11B) 사이에 가이드 롤러를 배치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18)로서 음파 센서와는 상이한 센서, 예를 들면 광학 센서를 사용해도 된다.
11A, 11B…가공용 롤러, 12…와이어, 13A, 13B…보빈, 14A, 14B…지지 장치, 16…트래버스 기구, 17…장력 조정 기구, 18…센서, 21…지지대, 22…조정용 모터, 23…조정용 볼 나사, 24…조정용 너트, 25…지지판, 26, 27…스핀들 장치, 28…회전용 모터, 29…트래버스용 모터, 30…트래버스용 볼 나사, 31…트래버스용 너트, W…워크

Claims (4)

  1. 워크 가공용 와이어가 걸쳐지는 복수의 가공용 롤러와,
    그 와이어를 상기 가공용 롤러 사이에 공급하도록 회전하는 공급측의 보빈(bobbin)과,
    상기 가공용 롤러 사이의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도록 회전하는 권취측의 보빈을 구비한 와이어 소(wire saw)에 있어서,
    상기 공급측의 보빈 및 상기 권취측의 보빈을 각각 그 회전축선의 방향을 따라 트래버스 동작시키는 한 쌍의 트래버스 기구와,
    상기 가공용 롤러와 상기 공급측의 보빈 및 상기 권취측의 보빈과의 사이의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각각 검출하기 위한 한 쌍의 센서와,
    그 센서에 의한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정하도록 상기 공급측의 보빈 및 상기 권취측의 보빈을 각각 이동시키는 한 쌍의 장력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와이어로부터 발생하는 음파를 감지해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와이어로부터 이간한 위치에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소.
  3. 제 1 항에 있어서,
    각 트래버스 기구는 상기 공급측의 보빈 및 상기 권취측의 보빈 중, 대응하는 한쪽의 보빈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당해 지지판에 고정된 트래버스용 너트와, 당해 트래버스용 너트에 작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함과 함께, 상기 보빈의 회전축선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트래버스용 볼 나사와, 당해 트래버스용 볼 나사를 회전시켜서, 상기 지지판을 상기 트래버스용 볼 나사를 따라 이동시키는 트래버스용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소.
  4. 제 3 항에 있어서,
    각 장력 조정 기구는, 상기 한 쌍의 트래버스 기구 중, 한쪽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당해 지지대에 고정된 조정용 너트와, 당해 조정용 너트에 작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함과 함께, 상기 가공용 롤러 중 하나를 향해서 연장되는 조정용 볼 나사와, 당해 조정용 볼 나사를 회전시켜서, 상기 지지대를 상기 조정용 볼 나사를 따라 상기 가공용 롤러 중 하나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접근 및 이간시키는 조정용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소.
KR1020137005203A 2011-07-29 2012-07-19 와이어 소 KR101336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67025 2011-07-29
JP2011167025A JP5150756B2 (ja) 2011-07-29 2011-07-29 ワイヤソー
PCT/JP2012/068388 WO2013018556A1 (ja) 2011-07-29 2012-07-19 ワイヤソ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153A true KR20130028153A (ko) 2013-03-18
KR101336904B1 KR101336904B1 (ko) 2013-12-04

Family

ID=47629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203A KR101336904B1 (ko) 2011-07-29 2012-07-19 와이어 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150756B2 (ko)
KR (1) KR101336904B1 (ko)
CN (1) CN103079762B (ko)
TW (1) TWI408020B (ko)
WO (1) WO20130185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42676B1 (en) * 2013-09-02 2017-11-08 Toyo Advanced Technologies Co., Ltd. Wire saw device
DE102016211883B4 (de) * 2016-06-30 2018-02-08 Siltronic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Wiederaufnahme des Drahtsägeprozesses eines Werkstückes nach einer unplanmäßigen Unterbrechung
WO2018087619A1 (en) 2016-11-10 2018-05-17 Meyer Burger (Switzerland) Ag Wire saw
TWI713832B (zh) * 2017-04-28 2020-12-21 友達晶材股份有限公司 晶圓切片機及其收放線裝置與晶圓切片的方法
EP3476513B1 (en) 2017-10-26 2022-02-23 Precision Surfacing Solutions GmbH Wire saw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4007B2 (ja) * 1990-09-25 2000-08-07 株式会社日平トヤマ ワイヤーソー装置におけるリール駆動装置
JPH05177627A (ja) * 1991-12-24 1993-07-20 Mitsubishi Materials Corp スライシングマシン
JP2000141362A (ja) * 1998-11-11 2000-05-23 Tokyo Seimitsu Co Ltd ワイヤソーの加工液交換制御装置
JP2003039301A (ja) * 2001-07-25 2003-02-13 Nippei Toyama Corp ワイヤソー
DE10296690B4 (de) * 2001-07-31 2008-05-08 Neomax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intermagneten
JP2004122287A (ja) * 2002-10-02 2004-04-22 Ishii Hyoki Corp 停電時ワイヤ断線防止機構付きワイヤソー
JP4411062B2 (ja) * 2003-12-25 2010-02-10 株式会社アライドマテリアル 超砥粒ワイヤソー巻き付け構造、超砥粒ワイヤソー切断装置および超砥粒ワイヤソーの巻き付け方法
JP5177701B2 (ja) * 2009-02-16 2013-04-10 コマツNtc株式会社 トラバース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00109487A (ko) * 2009-03-31 2010-10-08 코마츠 엔티씨 가부시끼가이샤 피가공물 절단방법 및 피가공물 절단용 와이어의 권취 폭 변경장치
CN102107226B (zh) * 2010-12-24 2012-07-11 玉溪玉杯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直进式拉丝机中金属丝张力检测及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79762B (zh) 2015-03-25
WO2013018556A1 (ja) 2013-02-07
KR101336904B1 (ko) 2013-12-04
JP5150756B2 (ja) 2013-02-27
JP2013027965A (ja) 2013-02-07
TWI408020B (zh) 2013-09-11
TW201304892A (zh) 2013-02-01
CN103079762A (zh) 201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904B1 (ko) 와이어 소
JP5514229B2 (ja) ワイヤソー装置およびワイヤソー装置を動作させる方法
KR101548058B1 (ko) 선재 조출 장치 및 선재 조출 방법
WO2009098721A1 (en) Machine for wire cutting stone material
JP5675462B2 (ja) ワイヤソー及びワイヤソーにおけるローラ位置合わせ方法
JP6256870B2 (ja) ワイヤソー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745498B1 (ko) 탄성사용 권취시스템, 탄성사용 권취기 및 탄성사의권취방법
JP4873622B2 (ja) 線材の巻取装置および繰出装置
RU2392214C1 (ru) Раскладчик намоточного станка
KR101490633B1 (ko) 루퍼 장치
JPH11165251A (ja) 固定砥粒ワイヤソーのワイヤ列変位制御方法及び装置
CN108639846A (zh) 一种绕线机
JPH11245159A (ja) ワイヤソーのトラバース装置
JP5250376B2 (ja) ワイヤ巻取り装置およびワイヤソー
JP4098948B2 (ja) ワイヤ式切断加工装置
KR101224142B1 (ko) 와이어 권취 장치
KR101879584B1 (ko)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
KR101123727B1 (ko) 마그네틱 홀더 부착형 와이어 쏘우 머시인
KR20090062068A (ko) 더블 쏘우 와이어 잉곳 절단장치
CN113195390B (zh) 卷绕机
CN203210537U (zh) 一种多线切割机的排线辅助机构
WO20170627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a wire saw
JP2014136274A (ja) シングルワイヤソー
JP2014104565A (ja) シングルワイヤソー
JP2014108467A (ja) シングルワイヤソ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