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7977A - 표시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표시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7977A
KR20130027977A KR1020117030310A KR20117030310A KR20130027977A KR 20130027977 A KR20130027977 A KR 20130027977A KR 1020117030310 A KR1020117030310 A KR 1020117030310A KR 20117030310 A KR20117030310 A KR 20117030310A KR 20130027977 A KR20130027977 A KR 20130027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cd display
display
light
light guide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3279B1 (ko
Inventor
타케시 와카바야시
카즈토 이시다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79768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3002797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7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2Function characteristic reflectiv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22Function characteristic diffrac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LCD 표시기 유닛(10)이, 설정 온도 표시부(6a-1)나 현재 온도 표시부(6a-2)로 이루어지는 표시부를 구비한 LCD 표시기(6)와, LCD 표시기(6)의 후면측에 배치한 확산 시트(7)와, 확산 시트의 후면측에 배치한 반사 테두리체(8)와, 반사 테두리체(8)에 의해 외주부가 덮히도록 반사 테두리체(8)의 후면측에 배치한 도광판(20)과, 도광판(20)의 후면측에 배치한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을 갖고서 구성하고,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의 외주부에서의 예를 들면 앞면측의 우변 외주부에 LCD 표시기(6)의 광원으로서의 LED(9a)를 실장하고, LED(9a)로부터의 조사광을, 도광판(20)의 측벽면부(20a)에 입광시킴에 의해, LCD 표시기(6)의 표시부에 조사 가능하게 구성하였다.

Description

표시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UNIT}
본 발명은, 온도 조절기, 타이머 또는 디지털 패널미터 등의 표시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전자 기기 중 예를 들면 온도 조절기는, 온도 제어 대상을 소정의 제어 온도에 대응하여 가열하기 위한 히터의 전원을 그 현재 온도가 제어 온도에 대응하여 설정된 설정 온도와의 관계에서 소정의 온도일 때에는 ON 또는 OFF로 함에 의해, 온도 제어 대상인 워크의 온도를 제어하는 경우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온도 조절기는, 여러 대를 외부 기기측의 제어 패널 등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전자 기기로서 구성되어 있고, 당해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성하는 제어 기판이나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 등을 전자 기기 몸체 내에 수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온도 조절기 중에는, 전자 기기 몸체의 전부측(前部側)에 LCD 표시기 유닛을 배치하여, 당해 표시기에 열판 등의 가열하는 목표 온도 및 현재 온도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부를 구비한 온도 조절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3을 참조).
그리고, 이런 종류의 온도 조절기에서의 표시부로서, 최근에는, 온도 조절기의 전체 구조의 소형화나 표시 기능의 향상 등 때문에, LCD 표시기 유닛을 채용한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LCD 표시기 유닛은, 전자 기기 몸체의 앞면부에 배설하여 목표 온도나 현재 온도를 표시하는 LCD 표시기를 갖음과 함께, LCD 표시기의 배면에 백라이트를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수단을 갖고서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표시부를 구비한 온도 조절기는, 이러한 LED 표시기 유닛 및 백라이트 수단을 전자 기기 몸체 내에 수용하여 구성하게 된다.
그래서, LCD 표시기의 배면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수단으로서, 특허 문헌 4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백라이트 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이러한 백라이트 모듈은, 전기적인 인터페이스를 취하기 위한 플렉시블 기판이나 실장 핀 등을 브레이크 열압착이나 솔더링 등의 전기적 접속이 필요하고, 조립 공정수 증가나 부품 비용 상승의 수반을 막을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종래에 있어서의 이런 종류의 표시부를 구비한 온도 조절기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구조를 갖고서 구성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전자 기기로서의 온도 조절기(1)는, 전자 기기 몸체(2)의 앞면부에 설정 온도치 등을 표시하기 위한 LCD 표시기(6)의 표시부로서 표시 영역부(6a)를 표출시키고 있음과 함께 제어 유닛 등을 조작하는 조작 버튼(3)을 배설하고, 또한, 전자 기기 몸체(2) 내에 후술하는 제어 유닛 등을 수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런 종류의 종래의 온도 조절기(1)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런트 케이스(2a)와 리어 케이스(2b)로 이루어지는 전자 기기 몸체(2)를 갖고서 구성하고 있다. 프런트 케이스(2a)의 앞면부는, 개구창 또는 당해 개구창을 투명 수지로 막은 폐쇄창 등에 의해 형성되는 표시창(2a-1)이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된 또는 표시창부를 투명 수지로 형성된 표시창 커버(4)가 부착되어 있다. 프런트 케이스(2a)의 후부측에는, 지지 테두리체(2a-2)가 늘어나서 형성되어 있다. 지지 테두리체(2a-2)에는, 프런트 케이스(2a) 앞면부의 배면측부터 후방에 걸쳐서, 중앙부가 개구창 또는 당해 개구창을 투명 수지로 막은 폐쇄창 등에 의해 형성된 표시 시트(5), 앞면에 표시 영역부(6a)를 갖는 LCD 표시기(6), 확산 시트(7), 반사판(8), LCD 표시기(6)의 백라이트 광원으로서의 LED(9a) 및 LCD 구동 제어나 온도 조절 제어 등 행하는 제어 회로를 실장한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이, 순차적으로 감합(嵌合) 병치(竝置)되어 있다. LCD 표시기(6)와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은, 프런트 케이스(2a) 내에서 상하 한 쌍 배치된 고무 커넥터(11)를 통하여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취하고 있다. 여기서, LCD 표시기(6), 확산 시트(7), 반사판(8) 및 LED(9a)를 갖는 LCD 표시기 제어 기판(9), 또는 고무 커넥터(11)나 표시 시트(5)를 포함하여, LCD 표시기 유닛(10)이 구성되어 있게 된다.
또한, 리어 케이스(2b)는, 앞면부 및 후면부가 개구한 상자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후면 개구부에 외부 기기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단자대(12)를 돌출 상태로 설치함과 함께, 내부에는 단자대(12)를 통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 기판군(13)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리어 케이스(2b)에는, LCD 표시기 유닛(10)이 제어 유닛 기판군(13)에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취한 상태에서 수용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온도 조절기(1)는, 공장 등에 설치된 제어 패널 등에 설치되고, 프런트 케이스(2a)의 앞면부에 마련한 조작 버튼(3)을 조작함에 의해, LCD 표시기(6)의 표시 영역부(6a)에서의 설정 온도 표시부(6a-1)에 설정 온도를 디지털 표시한다(도 1 참조). 와 함께 이러한 설정 온도에 의거하여 가동하고 있는 히터 등의 외부 기기에서의 온도 제어 대상인 워크의 가열 상태를 나타내는 현재 온도를 표시 영역부(6a)에서의 현재 온도 표시부(6a-2)에 디지털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표시 영역부(6a)에서의 설정 온도 표시부(6a-1) 및 현재 온도 표시부(6a-2)의 디지털 표시는, LCD 표시기(6)의 후부측에 배설되어 마찬가지로 LCD 표시기 유닛(10)을 구성하는 LCD 표시기 제어 기판(9) 등의 제어에 의해 행하여진다. 즉, LCD 표시기 유닛(10)은, 우선, 조작 버튼(3)의 조작 신호를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이 받아서, LCD 표시기(6)에 설정 온도를 디지털 표현시켜서, 표시 영역부(6a)에서의 설정 온도 표시부(6a-1)의 표시 문자를 LED(9a)의 조명에 의해 투과 표시하여, 설정 온도를 디지털 표시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외부 기기에서의 워크의 가열 상태를 나타내는 현재 온도 신호를 제어 유닛 기판군(13)을 통하여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이 받은 경우에, LCD 표시기(6)에 현재 온도를 디지털 표현시켜서, 마찬가지로 표시 영역부(6a)의 현재 온도 표시부(6a-2)에 LED(9a)의 조명에 의해 표시 문자를 투과 표시하여 현재 온도를 디지털 표시한다.
이와 같이, LCD 표시기(6)가 설정 온도나 현재 온도를 표시 영역부(6a)에 현출(顯出) 표시하기 위해, 온도 조절기(1)는, LCD 표시기(6)의 후면을 조명하는 백라이트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에는, LCD 표시기(6)에서의 표시 영역부(6a)의 디지털 표시 부분에 대향하도록, LED(9a)가 실장되어 있다. 그리고, LED(9a)의 점등에 의해 조사된 LED(9a)의 광선을, 반사판(8)으로 표시 영역부(6a) 밖으로의 확산을 방지하면서 확산 시트(7)에 표시 영역부(6a) 전체에 미치도록 확산하여, LCD 표시기(6)가 생성한 디지털 표시를 표시 영역부(6a)에 표시하고, 작업자가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2003-37370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국 특개2005-77892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국 특개2008-263145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국 특개2010-2484호 공보
그런데, 온도 조절기(1)는, 외부 기기측의 제어 패널에 설치하는 것을 고려하여, 전자 기기 몸체(2)의 외형 형상이, 세상의 요청에 의해, 24㎜각(角), 32㎜각, 48㎜각, 72㎜각 및 96㎜각으로 한정되어 있음과 함께, 깊이(奧行) 치수에서는 가능한 한 작은 쪽이 설치 점유 공간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외형적으로 한정되어 있는 온도 조절기(1)는, 예를 들어 기능이나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어도 가능한 한 내부 구조를 소형화할 것이 요구되게 된다. 이러하기 때문에,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에 실장된 LED(9a)와 LCD 표시기(6)는 근접하여 설치하여야 하게 된다. 이 결과, LED(9a)의 조사광(照射光)은, LCD 표시기(6)에 대해 스폿광(光)이 되어 버린다.
이러하기 때문에, LED(9a)로부터 발하여지는 광선을 백라이트로서, 예를 들어 확산 시트(7) 및 반사판(8)을 통하여 표시 영역부(6a)의 표시 문자에 조사하여도, 표시 영역부(6a)에 표시되는 표시 문자는, 부분적으로 조도에 명암의 얼룩이 생기고, 작업자가 본 때에 표시된 숫자가 밝은 곳과 어두운 곳이 나오는 명암 얼룩이 있는 숫자 표시가 되어 버려, 작업자가 표시 문자를 보는 것을 어렵게 한다.
이러한 사태를 피하기 위해, LED(9a)는 광량이 높은 휘도의 것을 사용하면 좋다는 생각이 상기되지만, LED(9a)로서 광량이 높은 휘도의 것으로 하면, 조사 범위가 점점 좁은 스폿광으로 되어 버린다. 이 결과, LCD 표시기(6)에의 광량을 전체에 평균적으로 행하기 위해, LCD 표시기(6)와 LED(9a) 사이에 존재하는 확산 시트(7)는 확산성이 강한 것을 사용하면 좋다는 생각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확산 시트(7)는, 확산성을 강하게 한 경우에는 역으로 광의 투과율을 낮게 하여 버리게 되기 때문에, LCD 표시기(6)에의 LED(9a)의 평균 광량이 떨어져 버리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확산 시트(7)를 확산성이 강하고 게다가 투과율이 낮은 구조에 하기 위해서는, 복수장의 시트를 겹쳐서 구성하는 것이 되어, 확산 시트(7)는, 고비용이 됨과 함께, LCD 표시기(6)에의 평균 광량 증가 대책과 스폿광 완화 대책이 트레이드-오프의 관계가 되고, 양자의 조정은 설계상 곤란성을 수반하게 된다.
그리고, LED(9a)에 의한 LCD 표시기(6)에 조사되는 평균 광량의 증가와 스폿광 완화와의 밸런스가 서로 제한 조건이 되어, LED(9a)의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에의 실장 개수는, LCD 표시기(6)의 LCD 면적이 넓어지면 넓어질수록 이에 비례하여, 많게 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즉, 광량이 높은 고휘도의 LED를 사용할 수가 없게 되어, LED의 사용 개수를 삭감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결과로서, LED의 사용 개수가 증가하여 버리고, 특히 LCD 표시기(6)가 대형의 것인 경우에는, 그 영향이 크고, 평균 광량의 증가와 스폿광 완화를 밸런스시키는 제한 조건이 한층 엄해지고, 게다가, LED의 사용 개수의 증가는, LED(9a)의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부품의 갯수 경감에 의한 비용 저감이나 전력량의 삭감 과제에 대해 지장이 되지 않을 수가 없게 된다.
또한, 스폿광을 완화하기 위해,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에 실장된 LED(9a)와 LCD 표시기(6)의 거리를 길게 하여, LCD 표시기(6)를 광원인 LED(9a)로부터 멀리한다는 대책은, 예를 들면 반사판(8)의 두께 방향의 치수를 크게 함에 의해 답할 수 있지만, 이러한 대책의 결과, 온도 조절기(1)의 중요 달성 조건인 소형화에 어긋나는 것으로 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은, LED에 의한 LCD 표시기에 조사되는 평균 광량의 증가와 스폿광 완화를 동시에 달성함과 함께, 소형화의 요청에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한 온도 조절기 등의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표시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는, 프런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로 구성하는 전자 기기 몸체에 LCD 표시기 유닛을 수용함과 함께, LCD 표시기 유닛의 표시부를 프런트 케이스에 마련한 앞면 개구부에 표출하도록 배치하여 구성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로서, LCD 표시기 유닛이, 표시부를 구비한 LCD 표시기와, LCD 표시기의 후면측에 배치한 확산 시트와, 확산 시트의 후면측에 배치한 반사 테두리체과, 반사 테두리체에 의해 외주부가 덮히도록 반사 테두리체의 후면측에 배치한 도광판과, 도광판의 후면측에 배치한 LCD 표시기 제어 기판을 갖고서 구성함과 함께, LCD 표시기 제어 기판의 외주부에 LCD 표시기의 광원으로서의 LED를 실장하고, LED로부터의 조사광을 도광판의 측벽면부(側壁面部)에 입광시킴에 의해, LCD 표시기의 표시부에 조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LCD 표시기 제어 기판의 외주부에 실장한 LED의 광선은, 도광판의 측벽면부측부터 입광한 후, 도광판에서의 확산 시트와 대향하는 도광면부(導光面部)측으로 유도하여 LCD 표시기측으로 도출함으로써 표시부를 조사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 LED가 발하는 광선의 표시부에의 도달 조사 거리가 길어져서, 스폿광을 완화할 수 있고, 투과율이 높고 비용상 유리한 박형의 확산 시트를 채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량이 많은 고휘도의 LED를 사용함에 의한 LED의 사용 갯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달성하게 되고, 게다가, 조립 공수를 저감하는 것에도 이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명의 하나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광판의 LCD 표시기 제어 기판에 대면하는 면부(面部)에, 잔주름 또는 도트 등으로 구성하는 광굴절부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LED로부터의 광선을 도광판의 측면벽부로부터 조사한 경우, 도광판의 LCD 표시기 제어 기판에 대면하는 면부에 시행한 잔주름이나 도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굴절부를 통하여, LED로부터의 광선이 표시부에 도달하게 되어, 표시부에 도출되는 광의 면균성(面均性)을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하나의 실시의 형태는, LCD 표시기 제어 기판에서의 도광판에 대면하는 부위에, 백색 반사면부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백색 반사면부의 작용에 의해, 도광판에서의 반사판과의 대향면부터 표시부에 사출되는 광량을 증가시키게 되어,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문자는 보다 명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명의 하나의 실시의 형태는, 백색 반사면부를 필름형상 시트를 LCD 표시기 제어 기판에 부착함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백색 반사면부를 필름형상 시트에 의해 구성함에 의해, LED의 광선을 효율적으로 표시부에 도출시키도록 하였다고 하여도, 장치 전체의 소형화에의 요청에 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명의 하나의 실시의 형태는, 백색 반사면부를 LCD 표시기 제어 기판에 인쇄함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백색 반사면부를 LCD 표시기 제어 기판에 인쇄함에 의해 구성하였기 때문에, LED의 광선을 효율적으로 표시부에 도출시키도록 하였다고 하여도, 장치 전체의 소형화에의 요청에 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에서는, LCD 표시기 제어 기판의 외주부에 실장한 LED의 광선은, 도광판의 측벽면부측부터 입광한 후, 도광판에서의 확산 시트와 대향하는 도광면부측으로 유도하여 LCD 표시기측으로 도출함으로써 표시부를 조사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 LED가 발하는 광선의 표시부에의 도달 조사 거리가 길어져서, 스폿광을 완화할 수 있고, 투과율이 높고 비용상 유리한 박형의 확산 시트를 채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량이 많은 고휘도의 LED를 사용함에 의한 LED의 사용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달성하게 되고, 게다가, 조립 공수를 저감하는 것에도 이어지게 된다.
도 1은 표시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로서의 일반적인 온도 조절기를 표시부측에서 묘화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표시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로서의 온도 조절기의 하나의 실시예에 관해, 분해하여 묘화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의 온도 조절기의 LCD 표시기 유닛을 포함하는 주요부를 확대하여 묘화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온도 조절기에서의 LCD 표시기 유닛을 포함하는 주요부를 묘화한 횡단면도.
도 5는 LED로부터 조사된 광선을 도광판의 측벽면부로부터 도광면부측에 효율적으로 도입하도록 한 본 발명에 관한 한 실시예로서의 도트를 형성한 도광판의 LCD 표시기 제어 기판에 대면하는 면부측에서 LED와 함께 묘화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도광판의 LCD 표시기 제어 기판에 대면하는 면부에 형성한 도트의 설치 밀도의 설정 상태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종래의 표시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로서의 온도 조절기를 분해하여 묘화한 사시도.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는, LED에 의한 LCD 표시기에 조사되는 평균 광량의 증가와 스폿광 완화를 동시에 달성함과 함께, 소형화의 요청에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의 1에 관해, 상기 종래의 기술에 대응하는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나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온도 조절기의 외관 구성에 관해 설명하면, 전자 기기로서의 온도 조절기(1)는, 전자 기기 몸체(2)의 앞면부에 설정 온도치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로서의 표시 영역부(6a) 또는 제어 유닛 등을 조작하는 복수개의 조작 버튼(3)을 배설함과 함께, 전자 기기 몸체(2) 내에 후술하는 LCD 표시기 유닛(10) 등을 수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온도 조절기(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런트 케이스(2a)와 리어 케이스(2b)로, 예를 들면 앞면이 가로로 길다란 사각형의 직육면체를 나타낸 전자 기기 몸체(2)를 갖고서 구성하고 있다. 프런트 케이스(2a)의 앞면부는, 개구창 또는 당해 개구창을 투명 수지로 막은 폐쇄창 등에 의해 형성된 표시창(2a-1)이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는 표시창부를 투명 수지로 형성된 표시창 커버(4)가 부착되어 있다. 프런트 케이스(2a)의 후부측에는, 지지 테두리체(2a-2)가 늘어나 형성되어 있다. 지지 테두리체(2a-2)에는, 프런트 케이스(2a) 앞면부의 배면측부터 후방에 걸쳐서, 중앙부가 개구창 또는 당해 개구창을 투명 수지로 막은 폐쇄창 등에 의해 형성된 표시 시트(5), LCD 표시기(6), 확산 시트(7), 반사 테두리체(8), LCD 표시기(6)의 백라이트 광원으로서의 LED(9a) 및 LCD 구동 제어나 온도 조절 제어 등을 행하는 제어 회로를 실장한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이, 순차적으로 감합 병치되어, LCD 표시기 유닛(10)을 구성하고 있다. LCD 표시기(6)의 표시 영역부(6a)는 표시창(2a-1)으로부터 외부에 현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LCD 표시기 제어 기판(9)과 LCD 표시기(6)는, 프런트 케이스(2a) 내에서 상하 한 쌍 배치된 고무 커넥터(11)를 통하여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취하고 있다.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은, 전체 형상이 예를 들면 개략 정육각형을 나타내고 있고, 그 외주부에서의 앞면측의 우변 외주부에는, 한 쌍의 LED(9a)가 종렬로 서로 작은 간극으로써 나열하도록 실장되어 있다. 또한, LED(9a)는, 이 실시예에서는,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의 우측 변부에 실장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하는 것이 아니고,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의 외주부에서의 앞면측의 좌변 외주부 또는 상변 외주부나 하변 외주부에 실장하는 경우도 있다.
반사 테두리체(8)는, 개구부벽(8a)을 갖도록 액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벽(8a)은, 백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그리고, 반사 테두리체(8)의 후면측에는,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투명 합성 수지판으로 이루어지는 도광판(20)이, 예를 들면 계합(係合)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결과, 도광판(20)의 외주부 앞면측은, 반사 테두리체(8)에 의해 덮히여 있음과 함께, 도광판(20)의 후면측에는,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이 배치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도광판(20)은, LED(9a)로부터 사출된 광선을, 측벽면부(20a)로부터 내부에 입광시켜서, 도광판(20)의 CD 표시기 제어 기판(9)에 대면하는 면부(20d)에 형성한 잔주름이나 도트 등으로 구성하는 광굴절부에 에 의해, LCD 표시기(6)에 대치하고 있는 도광면부(20b)에 광의 면균성을 갖고서 도달시키고, 또한, 확산 시트(7)를 통하여 LCD 표시기(6)의 표시부인 표시 영역부(6a)를 조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도광판(20)의 외주부(外周部)측으로부터 외부로 도망치려고 하는 광선은, 반사 테두리체(8)의 백색으로 착색한 개구부벽(8a)에 의해 도광판(20)측으로 이끌어 넣어지게 된다. 또한, LED(9a)는, 상기한 바와 같이,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에 실장한 상태에서 도광판(20)의 측벽면부를 조사하기 때문에, 횡방향으로 조사시키는 타입의 것을 사용하게 된다.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에는, 도광판(20)에 대면하도록, 백색 반사면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백색 반사면부(21)는,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에 필름형상 시트를 부착하던지, 또는,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에 인쇄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구성하고 있고, 도광판(20)으로부터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측에 도망치는 광선을, 재차 도광판(20)측으로 이끌어 넣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광판(20)에서의 LED(9a)가 대향한 측단면부(20c)로부터 직사광이 확산 시트(7) 등에 조사되어 버리는 것이 생각되는데, 이러한 직사광이 누광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는, 도광판(20)에서의 측벽면부(20c)를 반사 테두리체(8)의 측벽부(8b)에 대향시켜서, 당해 직사광을 차광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리어 케이스(2b)는, 앞면부 및 후면부가 개구한 상자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후면 개구부에 외부 기기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단자대(12)를 돌출 상태로 설치함과 함께, 내부에는 단자대(12)를 통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 기판군(13)을 수용하고 있다. 또한, 리어 케이스(2b)에는, LCD 표시기 유닛(10)이 제어 유닛 기판군(13)에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취한 상태로 수용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온도 조절기(1)는, 공장 등에 설치된 제어 패널 등에 설치되어, 프런트 케이스(2a)의 앞면부에 마련한 조작 버튼(3)을 조작함에 의해, LCD 표시기(6)의 표시 영역부(6a)에서의 설정 온도 표시부(6a-1)에 설정 온도를 디지털 표시한다. 와 함께 이러한 설정 온도에 의거하여 가동하고 있는 가열 처리 장치 등의 외부 기기에서의 가열 상태를 나타내는 현재 온도를 표시 영역부(6a)에서의 현재 온도 표시부(6a-2)에 디지털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표시 영역부(6a)에서의 설정 온도 표시부(6a-1) 및 현재 온도 표시부(6a-2)의 디지털 표시는, LCD 표시기(6)의 후부측에 배설된 마찬가지로 LCD 표시기 유닛(10)을 구성하는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의 제어에 의해 행하여진다. 즉, LCD 표시기 유닛(10)은, 우선, 조작 버튼(3)의 조작 신호를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이 받아서, LCD 표시기(6)에 설정 온도를 디지털 표현시켜서, 표시 영역부(6a)에서의 설정 온도 표시부(6a-1)의 표시 문자를 LED(9a)의 조명에 의해 투과 표시하고, 설정 온도를 디지털 표시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외부 기기에서의 열판 등의 워크의 가열 상태를 나타내는 현재 온도 신호를 제어 유닛 기판군(13)을 통하여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이 받은 경우에, LCD 표시기(6)에 현재 온도를 디지털 표현하여, 표시 영역부(6a)의 현재 온도 표시부(6a-2)에 LED(9a)의 조명에 의해 표시 문자를 투과 표시하여 현재 온도를 디지털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LCD 표시기(6)가 설정 온도나 현재 온도를 표시 영역부(6a)에 현출 표시하기 위해, 온도 조절기(1)는, LCD 표시기(6)의 후면을 조명하는 백라이트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들의 백라이트 수단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실시예에서는,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에 실장된 LED(9a)가 방사하는 광선은, 도광판(20)의 하나의 단변측의 측벽면부(20a)로부터 입광하여, 도광면부(20b)에 도달하게 된다. 이 결과, LED(9a)에 의한 조명광은, 확산 시트(7) 및 반사 테두리체(8)에서의 백색의 개구부벽(8a)의 작용에 의해, LCD 표시기(6)를 조명하여 표시 영역부(6a)에 표시 문자를 투과 표시하여, 작업자가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LED(9a)는, 백색광을 사용함에 의해, 같은 전류치의 것이라도, 타색의 것보다도 조도를 높게 하여 표시 영역부(6a)의 표시 문자를 명확하게 표시시킬 수 있지만, 단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색광이나 녹색광 등의 색이 있는 LED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온도 조절기(1) 등에서는, 표시 영역부(6a)에서, 설정 온도 표시부(6a-1)에 표시되는 표시 문자는 녹색으로 함과 함께, 현재 온도 표시부(6a-2)에 표시되는 표시 문자는 적색으로 하는 것이 널리 행하여지고 있는데, 이러한 요청에 답하기 위해서는, 이 실시예의 변형례로서, 확산 시트(7)를 예를 들면 상하 색나눔하여, 상부측 반부(半部)를 적색(현재 온도 표시용)으로 하고 하부측 반부를 녹색(설정 온도 표시용)으로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그 밖의 변형례로서, 상하 한 쌍의 LED(9a)중, 상측을 적색등(赤色燈)(현재 온도 표시용), 하측을 녹색등(설정 온도 표시용)으로 함에 의해 색나눔하는 경우도 생각된다. 이 경우, 반사 테두리체(8)에 격벽부를 마련함에 의해, 양(兩) 색의 혼합되지 않고서 표시 영역부(6a)에 표시 문자를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도광판(20)에서의 도광면부(20b)에 관해, 광학 특성을 고려하여 광의 면균성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구성의 한 실시예를, 도 5와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광판(20)의 측벽면부(20a)로부터 입광한 광은, 기본 광학 특성으로서 도 5와 같이 계면에 입사각(R)으로 닿는 경우, 입사각(R)이 도광판 재료로 규정되는 임계각보다 크면 전반사하여 계면으로부터 밖으로 나가지 않기 때문에, 면부(20d)와 윗면(20b)이 요철이 없는 평활면에서 형성된 경우에는 면부(20d)와 윗면(20b)을 왕복하면서 도광판 내부를 진행하게 된다. 그 결과, 윗면(20b)측의 밖으로 나가는 광의 광량은 적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에 대면하는 면부(20d)에 도트(20d-1)를 마련하여 윗면(20b)에 대해 임계각보다 작은 입사각(R)의 광을 생성함에 의해, 윗면(20b)측의 밖으로 광이 나가도록 한다. 윗면(20b)측의 밖으로 나가는 광은 면부(20d)에 마련한 도트(20d-1)에서의 요철의 양(量)(단위면적당의 밀도)으로 조정할 수 있는데, 윗면(20b)측의 밖으로 나가는 광을 윗면 내에서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도 6과 같이 광량이 많은 LED에 가까운 측일수록 요철의 양을 적게(단위면적당의 밀도를 작게) 하고, 광량이 적은 LED로부터 먼 측 및 LED와 LED의 사이는 요철의 양을 많게(단위면적당의 밀도를 크게) 함으로써 최적화는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의 외주부에 실장한 LED(9a)의 광선은, 도광판(20)의 하나의 단변측의 측벽면부(20a)측부터 입광한 후, 도광판(20)에서의 반사 테두리체(8)와 대향하는 도광면부(20b)측으로 확대하여 LCD 표시기(6)측으로 도출함으로써, 표시부인 표시 영역부(6a)을 조사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 LED(9a)가 발하는 광선의 표시 영역부(6a)에의 도달 조사 거리가 길어져서, 스폿광을 완화할 수 있고, 확산 시트(7)로서 투과율이 높고 비용상 유리한 박형의 것을 채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LED(9a)는 광량이 많은 고휘도의 것을 사용함에 의해 사용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고, 게다가, 조립 공수를 저감하는 것에도 이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실시예에서의 LED(9a)는, 도광판(20)의 하나의 단변측의 측벽면부(20a)를 조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LED(9a)로부터 발하여지는 광선을 표시부로서의 표시 영역부(6a)에 도달하기 까지의 거리를 길게 할 수가 있어서, 스폿광을 완화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광량이 많은 고휘도의 LED를 사용함에 의한 LED(9a)의 사용 개수를 더욱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실시예는, 도광판(20)의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에 대면하는 면부(20d)에 도트(20d-1) 등으로 구성하는 광굴절부를 마련함에 의해, 도광판(20)의 도광면부(20b)에의 광의 면균성을 달성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도광면부(20b)에의 광의 면균성을 달성하기 위해, 도트(20d-1) 등으로 구성하는 광굴절부는,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에 대면하는 면부(20d) 외에 도광판을 구성하는 다른 면부에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실시예는,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에서의 도광판(20)에 대면하는 부위에, 백색 반사면부(21)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백색 반사면부(21)의 작용에 의해, 도광판(20)에서의 반사 테두리체(8)와의 대향면부인 도광면부(20b)로부터 표시부로서의 표시 영역부(6a)에 사출되는 광량을 증가시키게 되어, 표시 영역부(6a)에 표시되는 표시 문자는 보다 명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실시예는, 백색 반사면부를 필름형상 시트를 LCD 표시기 제어 기판에 부착함에 의해 구성하거나,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에 인쇄함에 의해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LED(9a)의 광선을 효율적으로 표시부로서의 표시 영역부(6a)에 도출시키도록 하였다고 하여도, 장치 전체의 소형화에의 요청에 답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LED에 의한 LCD 표시기에 조사되는 평균 광량의 증가와 스폿광 완화를 동시에 달성함과 함께, 소형화의 요청에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온도 조절기, 타이머 또는 디지털 패널미터 등의 표시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 등에 알맞다.
1 : 온도 조절기
2 : 전자 기기 몸체
2a : 프런트 케이스
2a-1 : 표시창
2a-2 : 지지 프레임
2b : 리어 케이스
4 : 표시부 커버
6 : LCD 표시기
6a : 표시 영역부(표시부)
6a-1 : 설정 온도 표시부
6a-2 : 현재 온도 표시부
7 : 확산 시트
8 : 반사 테두리체
8b : 측벽부
9 : LCD 표시기 제어 기판
9a : LED
10 : LCD 표시기 유닛
20 : 도광판
20a : 측벽면부
20b : 도광면부
20c : 측단부
20d : LCD 표시기 제어 기판(9)에 대면하는 면부
20d-1 : 도트(광 굴절부)
21 : 백색 반사면부

Claims (5)

  1. 프런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로 구성하는 전자 기기 몸체에 LCD 표시기 유닛을 수용함과 함께, 그 LCD 표시기 유닛의 표시부를 상기 프런트 케이스에 마련한 앞면 개구부에 표출하도록 배치하여 구성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로서, 상기 LCD 표시기 유닛이, 상기 표시부를 구비한 LCD 표시기와, 그 LCD 표시기의 후면측에 배치한 확산 시트와, 그 확산 시트의 후면측에 배치한 반사 테두리체와, 그 반사 테두리체에 의해 외주부가 덮히도록 반사 테두리체의 후면측에 배치한 도광판과, 그 도광판의 후면측에 배치한 LCD 표시기 제어 기판을 갖고서 구성함과 함께, 그 LCD 표시기 제어 기판의 외주부에 LCD 표시기의 광원으로서의 LED를 실장하고, LED로부터의 조사광을 도광판의 측벽면부에 입광시킴에 의해, LCD 표시기의 표시부에 조사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상기 LCD 표시기 제어 기판에 대면하는 면부에, 잔주름 또는 도트 등으로 구성하는 광굴절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LCD 표시기 제어 기판에서의 상기 도광판에 대면하는 부위에, 백색 반사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반사면부를, 필름형상 시트를 상기 LCD 표시기 제어 기판에 부착함에 의해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반사면부를, 상기 LCD 표시기 제어 기판에 인쇄함에 의해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20117030310A 2011-03-08 2011-03-23 표시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1403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50850 2011-03-08
JP2011050850A JP5348158B2 (ja) 2011-03-08 2011-03-08 表示部を備えた電子機器
PCT/JP2011/056910 WO2012120698A1 (ja) 2011-03-08 2011-03-23 表示部を備えた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977A true KR20130027977A (ko) 2013-03-18
KR101403279B1 KR101403279B1 (ko) 2014-06-02

Family

ID=46797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310A KR101403279B1 (ko) 2011-03-08 2011-03-23 표시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520970B1 (ko)
JP (1) JP5348158B2 (ko)
KR (1) KR101403279B1 (ko)
CN (1) CN103189787B (ko)
WO (1) WO20121206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2429A (ja) * 2014-02-28 2015-09-07 オムロ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制御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1928B2 (ja) * 1995-05-22 2002-03-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晶ユニット投光装置
JPH09147618A (ja) * 1995-11-20 1997-06-06 Sharp Corp 照明装置
JP2003037370A (ja) 2001-07-25 2003-02-07 Omron Corp 電子機器
JP2005077892A (ja) 2003-09-02 2005-03-24 Omron Corp 電子機器、温度調節器、表示検査装置および表示補正方法
JP2006047391A (ja) * 2004-07-30 2006-02-16 Canon Inc 表示装置及び撮像装置
US7515220B2 (en) * 2005-04-01 2009-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JP4679985B2 (ja) * 2005-07-07 2011-05-11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2007179751A (ja) * 2005-12-26 2007-07-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平面発光装置、及び平面発光装置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2008263145A (ja) * 2007-04-13 2008-10-30 Omron Corp 温度調節器等の電子機器
JP5022312B2 (ja) 2008-06-18 2012-09-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607287B1 (ko) * 2008-11-07 2016-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광판,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279B1 (ko) 2014-06-02
EP2520970A1 (en) 2012-11-07
WO2012120698A1 (ja) 2012-09-13
EP2520970B1 (en) 2018-06-06
JP5348158B2 (ja) 2013-11-20
JP2012189650A (ja) 2012-10-04
EP2520970A4 (en) 2014-05-07
CN103189787A (zh) 2013-07-03
CN103189787B (zh)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7682B2 (ja) 液晶表示装置のバックライトデバイス及びこれを利用した液晶表示装置
JP5011151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機器
JP4765837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4816437B2 (ja) 光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11106081B2 (en) Light-emitting mechanism and backlight module
WO2011093119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テレビ受信装置
KR101185523B1 (ko) 일체형 도광판이 구비된 led 평판조명장치
CN103115284A (zh) 背光单元和具有该背光单元的显示装置
JP2012118440A (ja) 液晶表示装置
EP2530370A1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JP2007011359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KR101403279B1 (ko) 표시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
CN210864273U (zh) 发光机构及背光模块
JP3941543B2 (ja) コード読取装置
KR102425442B1 (ko) 표시 장치
JP2009098312A (ja) 液晶表示装置
JP2013182854A (ja) 照明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US8777471B2 (en) Electronic equipment provided with display portion
KR1024217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40005A (ko) 이중 표시기능을 갖는 백라이트 유닛
TWI551923B (zh) A backlight unit and a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backlight unit, and controls the machine
JP3663328B2 (ja) 液晶表示装置
JP2020024314A (ja) 表示装置
JP2005043833A (ja) 液晶表示装置
JP2012054042A (ja) 光源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6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