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7460A - 냉동 사이클 장치 - Google Patents

냉동 사이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7460A
KR20130027460A KR1020127022754A KR20127022754A KR20130027460A KR 20130027460 A KR20130027460 A KR 20130027460A KR 1020127022754 A KR1020127022754 A KR 1020127022754A KR 20127022754 A KR20127022754 A KR 20127022754A KR 20130027460 A KR20130027460 A KR 20130027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torage
heating operation
temperature
compressor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아키 야마모토
히로카즈 가모다
사토시 도쿠라
다카시 스기오
마사토시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27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4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F25B47/022Defrosting cycles hot gas defro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06Cooling of compressor or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5Compression system with heat exchange between particular parts of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24Storage receiver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1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5Power, e.g. by voltage or current
    • F25B2700/151Power, e.g. by voltage or current of the compressor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1Temperatures of a heat storage recei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5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5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 F25B2700/21152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at the discharge side of the compres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냉매 배관을 거쳐서 접속된 압축기(6)와 실내 열교환기(16)와 팽창 밸브(12)와 실외 열교환기(14)를 갖는 냉동 사이클 장치에, 압축기(6)에서 발생한 열을 축적하는 축열 장치를 마련하고, 축열조(32)에 수용된 축열재(36)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인 경우, 압축기(6)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내 열교환기(16)와 팽창 밸브(12)와 실외 열교환기(14)를 통과시키는 제 1 난방 운전에서, 축열재(36)의 온도가 소정 온도를 초과한 경우에 압축기(6)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내 열교환기(16)와 축열 열교환기(34)를 통과시키는 제 2 난방 운전으로 전환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냉동 사이클 장치{REFRIGERATION CYCLE DEVICE}
본 발명은 압축기에서 발생한 열을 축적하는 축열재를 수용하는 축열조와, 축열재의 축열로 열교환을 실행하는 축열 열교환기를 구비한 냉동 사이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히트 펌프식 공기 조화기에 의한 난방 운전시, 실외 열교환기에 착상(着霜)된 경우에는, 난방 사이클에서 냉방 사이클로 사방 밸브를 전환하여 제상(除霜)을 실행하고 있다. 이 제상 방식에서는, 실내 팬은 정지하지만, 실내기로부터 냉기가 서서히 방출되므로 난방감이 상실되는 결점이 있다.
그래서, 실외기에 마련된 압축기에 축열 장치를 마련하여, 난방 운전 중에 축열조에 비축된 압축기의 폐열을 이용하여 제상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도 7은 이와 같은 제상 방식을 채용한 냉동 사이클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실외기에 마련된 압축기(100)와 사방 밸브(102)와 실외 열교환기(104)와 모세관(capillary tube; 106)과, 실내기에 마련된 실내 열교환기(108)를 냉매 배관으로 접속하는 동시에, 모세관(106)을 바이패스하는 제 1 바이패스 회로(110)와, 압축기(100)의 토출측으로부터 사방 밸브(102)를 거쳐서 실내 열교환기(108)에 이르는 배관에 일단을 접속하고 타단을 모세관(106)으로부터 실외 열교환기(104)에 이르는 배관에 접속한 제 2 바이패스 회로(11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 1 바이패스 회로(110)에는 이방 밸브(114)와 역지 밸브(116)와 축열 열교환기(118)가 마련되고, 제 2 바이패스 회로(112)에는 이방 밸브(120)와 역지 밸브(12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압축기(100)의 주위에는 축열조(124)가 마련되어 있고, 축열조(124)의 내부에는, 축열 열교환기(118)와 열교환하기 위한 축열재(126)가 충전되어 있다.
이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 제상 운전시에는, 2개의 이방 밸브(114, 120)가 열리고,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의 일부는 제 2 바이패스 회로(112)로 흐르며, 나머지 냉매는 사방 밸브(102)와 실내 열교환기(108)로 흐른다. 또한, 실내 열교환기(108)를 흐른 냉매는 난방에 이용된 후, 약간의 냉매가 모세관(106)을 통해 실외 열교환기(104)로 흐르는 한편, 나머지 대부분의 냉매는 제 1 바이패스 회로(110)에 유입되고, 이방 밸브(114)를 통해 축열 열교환기(118)로 흘러서 축열재(126)로부터 열을 빼앗아, 역지 밸브(116)를 통과한 후, 모세관(106)을 통과한 냉매와 합류하여 실외 열교환기(104)로 흐른다. 그 후, 실외 열교환기(104)의 입구에서 제 2 바이패스 회로(112)를 흘러 온 냉매와 합류하여, 냉매가 지닌 열을 이용해서 제상을 실행하고, 또한 사방 밸브(102)를 통과한 후, 압축기(100)에 흡입된다.
이 냉동 사이클 장치에 있어서는, 제 2 바이패스 회로(112)를 마련함으로써, 제상시에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핫 가스(hot gas)를 실외 열교환기(104)로 인도하는 동시에, 실외 열교환기(104)에 유입하는 냉매의 압력을 높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상 능력을 높일 수 있으며, 극히 단시간에 제상을 완료할 수 있다.
일본 공개 특허 제 평3-31666 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는, 제상 운전을 실행하지 않는 통상의 난방 운전의 경우, 2개의 이방 밸브(114, 120)는 폐쇄되고, 압축기(100)의 운전에 의해, 축열재(126)에 열이 축적되어 그 온도가 상승한다.
그러나, 축열재(126)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면, 축열재(126) 자체의 변질(예컨대, 산화)이나 축열재(126)의 수분 비등을 야기하여, 축열재(126)가 열화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갖는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압축기에서 발생한 열을 축적하는 축열재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냉동 사이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냉매 배관을 거쳐서 접속된 압축기, 실내 열교환기, 팽창 밸브 및 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에서 발생한 열을 축적하는 축열재를 수용하는 축열조 및 축열재의 축열로 열교환을 실행하는 축열 열교환기를 갖는 축열 장치를 구비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로서, 축열재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인 경우에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내 열교환기와 팽창 밸브와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시키는 제 1 난방 운전에서, 축열재의 온도가 소정 온도를 초과한 경우에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내 열교환기와 축열 열교환기를 통과시키는 제 2 난방 운전으로 전환하는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난방 운전 중에는, 압축기와 실내 열교환기와 팽창 밸브와 실외 열교환기가 이용되며, 그동안, 축열 장치의 축열재에는 압축기에서 발생한 열이 축적된다. 컨트롤러는, 축열재의 온도가 소정 온도를 초과하면, 축열 열교환기를 이용한 제 2 난방 운전으로 전환하고, 제 2 난방 운전 중, 축열 열교환기가 축열재의 축열에 의해 열교환을 실행함으로써 축열재의 온도가 내려간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에 의한 제어에 의해, 축열재가 지나치게 고온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서는 수분 증발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축열재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열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공기 조화기의 통상 난방시(제 1 난방 운전시)의 동작 및 냉매의 흐름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3은 도 1의 공기 조화기의 제상·난방시의 동작 및 냉매의 흐름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4는 도 1의 공기 조화기의 제 2 난방 운전시의 동작 및 냉매의 흐름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5는 제 1 난방 운전과 제 2 난방 운전의 전환 제어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실내 열교환기와 팽창 밸브를 접속하는 냉매 배관으로부터 분기하여 축열 열교환기에 이르는 냉매 배관에 마련된 전자 밸브의 개폐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6은 전자 밸브를 개폐하기 위해서 축열재의 온도를 상승시와 하강시에 다른 온도로 설정한 경우의 설명도,
도 7은 종래의 냉동 사이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본 발명은 냉매 배관을 거쳐서 접속된 압축기, 실내 열교환기, 팽창 밸브 및 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에서 발생한 열을 축적하는 축열재를 수용하는 축열조 및 축열재의 축열로 열교환을 실행하는 축열 열교환기를 갖는 축열 장치를 구비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로서, 축열재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인 경우에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내 열교환기와 팽창 밸브와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시키는 제 1 난방 운전에서, 축열재의 온도가 소정 온도를 초과한 경우에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내 열교환기와 축열 열교환기를 통과시키는 제 2 난방 운전으로 전환하는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난방 운전에서 제 2 난방 운전으로의 전환이 실행된다. 제 1 난방 운전 중에는, 압축기에서 발생한 열이 축열재에 축적되는 한편, 제 2 난방 운전 중에는, 축열 열교환기가 축열재의 축열에 의해 열교환을 실행함으로써 축열재의 온도가 내려간다. 이에 의해, 축열재가 지나치게 고온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서는 수분 증발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축열재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내 열교환기와 팽창 밸브를 접속하는 냉매 배관으로부터 분기하여 축열 열교환기에 이르는 냉매 배관에, 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개폐되는 전자 밸브를 더 구비하고, 컨트롤러는 전자 밸브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제 1 난방 운전에서 제 2 난방 운전으로 전환한다.
바람직하게는, 컨트롤러는 제 2 난방 운전에서 전자 밸브를 제 1 소정 시간만큼 개방 상태로 하고, 그 후 전자 밸브를 제 2 소정 시간만큼 폐쇄 상태로 하도록 전자 밸브를 개폐 제어한다. 여기서, 제 2 소정 시간은 전형적으로는 상기 제 1 소정 시간보다 길다. 이에 의해, 비교적 큰 사이즈의 전자 밸브를 사용하여 원하는 난방 운전을 유지할 수 있다.
전자 밸브의 제 1 소정 시간의 개방 상태와 제 2 소정 시간의 폐쇄 상태를 1주기로 하여 전자 밸브의 개폐 제어를 소정 주기 반복한다. 이에 의해, 축열재의 열화를 야기하지 않는 온도까지 축열재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냉동 사이클 장치는, 예컨대, 상기 축열재의 온도를 검출하는 축열재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축열재 온도 센서가 검출한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난방 운전에서 상기 제 2 난방 운전으로 전환한다.
냉동 사이클 장치는, 다른 예로서, 상기 압축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압축기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압축기 온도 센서가 검출한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난방 운전에서 상기 제 2 난방 운전으로 전환한다.
냉동 사이클 장치는,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토출 냉매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토출 냉매 온도 센서가 검출한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난방 운전에서 상기 제 2 난방 운전으로 전환한다.
냉동 사이클 장치는,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축열조 자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축열조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축열조 온도 센서가 검출한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난방 운전에서 상기 제 2 난방 운전으로 전환한다.
냉동 사이클 장치는,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압축기의 운전 전류를 검출하는 운전 전류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운전 전류 센서가 검출한 상기 압축기의 운전 전류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난방 운전에서 상기 제 2 난방 운전으로 전환한다.
또한, 상기 제 2 난방 운전 중, 상기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는 상기 제 1 난방 운전 중과 비교하여 내려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정 온도를 제 1 소정 온도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 2 난방 운전 중에 상기 축열재의 온도가 상기 제 1 소정 온도보다 낮은 제 2 소정 온도를 밑돌면, 상기 제 1 난방 운전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1 소정 온도와 제 2 소정 온도에 차이를 둠으로써, 제 1 난방 운전과 제 2 난방 운전이 서로 빈번하게 전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동 사이클 장치는, 상기 제 2 난방 운전으로 전환되고서부터의 경과 시간을 적어도 계시(計時) 가능한 타이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 2 난방 운전 중, 상기 타이머에 의해 계시되는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이 되면, 상기 제 1 난방 운전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사이클 장치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공기 조화기는 냉매 배관에서 서로 접속된 실외기(2)와 실내기(4)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실외기(2)의 내부에는 압축기(6)와 사방 밸브(8)와 스트레이너(strainer; 10)와 팽창 밸브(12)와 실외 열교환기(14)가 마련되고, 실내기(4)의 내부에는 실내 열교환기(16)가 마련되며, 이들은 냉매 배관을 거쳐서 서로 접속됨으로써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압축기(6)와 실내 열교환기(16)는 사방 밸브(8)가 마련된 제 1 배관(18)을 거쳐서 접속되고, 실내 열교환기(16)와 팽창 밸브(12)는 스트레이너(10)가 마련된 제 2 배관(20)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팽창 밸브(12)와 실외 열교환기(14)는 제 3 배관(22)을 거쳐서 접속되고, 실외 열교환기(14)와 압축기(6)는 제 4 배관(24)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제 4 배관(24)의 중간부에는 사방 밸브(8)가 배치되어 있으며, 압축기(6)의 냉매 흡입측에 있어서의 제 4 배관(24)에는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를 분리하기 위한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2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압축기(6)와 제 3 배관(22)은 제 5 배관(28)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으며, 제 5 배관(28)에는 제 1 전자 밸브(3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압축기(6)의 주위에는 축열조(32)가 마련되고, 축열조(32)의 내부에는 축열 열교환기(34)가 마련되는 동시에, 축열 열교환기(34)와 열교환하기 위한 축열재(예컨대, 에틸렌글리콜 수용액)(36)가 충전되어 있으며, 축열조(32)와 축열 열교환기(34)와 축열재(36)로 축열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 2 배관(20)과 축열 열교환기(34)는 제 6 배관(38)을 거쳐서 접속되고, 축열 열교환기(34)와 제 4 배관(24)은 제 7 배관(40)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으며, 제 6 배관(38)에는 제 2 전자 밸브(42)가 마련되어 있다.
실내기(4)의 내부에는 실내 열교환기(16)에 더하여, 송풍 팬(도시하지 않음)과 상하 블레이드(도시하지 않음)와 좌우 블레이드(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고, 실내 열교환기(16)는 송풍 팬에 의해 실내기(4)의 내부에 흡입된 실내 공기와, 실내 열교환기(16)의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실행하여, 난방시에는 열교환에 의해 데워진 공기를 실내에 내뿜는 한편, 냉방시에는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실내에 내뿜는다. 상하 블레이드는 실내기(4)로부터 내뿜어지는 공기의 방향을 필요에 따라서 상하로 변경하고, 좌우 블레이드는 실내기(4)로부터 내뿜어지는 공기의 방향을 필요에 따라서 좌우로 변경한다.
또한, 압축기(6), 송풍 팬, 상하 블레이드, 좌우 블레이드, 사방 밸브(8), 팽창 밸브(12), 전자 밸브(30, 42) 등은 컨트롤러(48)(도 4 참조, 예컨대 마이크로 컴퓨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압축기(6), 송풍 팬, 상하 블레이드, 좌우 블레이드, 사방 밸브(8), 팽창 밸브(12)의 운전 혹은 동작은 컨트롤러(48)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되는 동시에, 2개의 전자 밸브(30, 42)는 컨트롤러(48)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개폐된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사이클 장치에 있어서, 각 부품의 상호의 접속 관계와 기능을, 난방 운전시의 경우를 예로 들어 냉매의 흐름과 함께 설명한다.
압축기(6)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배관(18)을 통해 사방 밸브(8)로부터 실내 열교환기(16)에 도달한다. 실내 열교환기(16)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16)를 나와 제 2 배관(20)을 통과하고, 팽창 밸브(12)로의 이물 침입을 방지하는 스트레이너(10)를 통과하여 팽창 밸브(12)에 도달한다. 팽창 밸브(12)에서 감압된 냉매는 제 3 배관(22)을 통해 실외 열교환기(14)에 도달하고, 실외 열교환기(14)에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한 냉매는 제 4 배관(24)과 사방 밸브(8)와 어큐뮬레이터(26)를 통과하여 압축기(6)의 흡입구로 되돌아온다.
또한, 제 1 배관(18)의 압축기(6) 토출구와 사방 밸브(8) 사이에서 분기한 제 5 배관(28)은 제 1 전자 밸브(30)를 거쳐서 제 3 배관(22)의 팽창 밸브(12)와 실외 열교환기(14) 사이에 합류하고 있다.
또한, 내부에 축열재(36)와 축열 열교환기(34)를 수납한 축열조(32)는 압축기(6)에 접하여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압축기(6)에서 발생한 열을 축열재(36)에 축적하고, 제 2 배관(20)으로부터 실내 열교환기(16)와 스트레이너(10) 사이에서 분기한 제 6 배관(38)은 제 2 전자 밸브(42)를 거쳐 축열 열교환기(34)의 입구로 도달하며, 축열 열교환기(34)의 출구로부터 나온 제 7 배관(40)은 제 4 배관(24)에 있어서의 사방 밸브(8)와 어큐뮬레이터(26) 사이에 합류한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되는 공기 조화기의 통상 난방시의 동작 및 냉매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 2를 참조하면서 통상 난방시의 동작을 설명한다.
통상 난방 운전시, 제 1 전자 밸브(30)와 제 2 전자 밸브(42)는 폐쇄되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6)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배관(18)을 통해 사방 밸브(8)로부터 실내 열교환기(16)에 도달한다. 실내 열교환기(16)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16)를 나와, 제 2 배관(20)을 통해 팽창 밸브(12)에 도달하고, 팽창 밸브(12)에서 감압된 냉매는 제 3 배관(22)을 통해 실외 열교환기(14)에 도달한다. 실외 열교환기(14)에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한 냉매는 제 4 배관(24)을 통해 사방 밸브(8)로부터 압축기(6)의 흡입구로 되돌아온다.
또한, 압축기(6)에서 발생한 열은 압축기(6)의 외벽으로부터 축열조(32)의 외벽을 거쳐서 축열조(32)의 내부에 수용된 축열재(36)에 축적된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되는 공기 조화기의 제상·난방시의 동작 및 냉매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 3을 참조하면서 제상·난방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면 중, 실선 화살표는 난방에 공급하는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으며, 파선 화살표는 제상에 제공하는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통상 난방 운전 중에 실외 열교환기(14)에 착상하고, 착상된 서리가 성장하면, 실외 열교환기(14)의 통풍 저항이 증가하여 풍량이 감소하고, 실외 열교환기(14) 내의 증발 온도가 저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사이클 장치인 공기 조화기에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실외 열교환기(14)의 배관 온도를 검출하는 배관 온도 센서(44)가 마련되어 있으며, 비착상시에 비해, 증발 온도가 저하한 것을 배관 온도 센서(44)로 검출하면, 컨트롤러(48)로부터 통상 난방 운전에서 제상·난방 운전으로의 지시가 출력된다.
통상 난방 운전에서 제상·난방 운전으로 이행하면, 제 1 전자 밸브(30)와 제 2 전자 밸브(42)는 개방 제어되고, 상술한 통상 난방 운전시의 냉매의 흐름에 더하여, 압축기(6)의 토출구로부터 나온 기상 냉매의 일부는 제 5 배관(28)과 제 1 전자 밸브(30)를 통과하고, 제 3 배관(22)을 통과하는 냉매에 합류하여, 실외 열교환기(14)를 가열하며, 응축하여 액상화한 후, 제 4 배관(24)를 통해 사방 밸브(8)와 어큐뮬레이터(26)를 거쳐서 압축기(6)의 흡입구로 되돌아온다.
또한, 제 2 배관(20)에 있어서의 실내 열교환기(16)와 스트레이너(10) 사이에서 분류한 액상 냉매의 일부는 제 6 배관(38)과 제 2 전자 밸브(42)를 거쳐, 축열 열교환기(34)에서 축열재(36)로부터 흡열하여 증발, 기상화하고, 제 7 배관(40)을 통해 제 4 배관(24)을 통과하는 냉매에 합류하며, 어큐뮬레이터(26)로부터 압축기(6)의 흡입구로 되돌아온다.
어큐뮬레이터(26)로 되돌아오는 냉매에는 실외 열교환기(14)로부터 되돌아오는 액상 냉매가 포함되어 있지만, 이것에 축열 열교환기(34)로부터 되돌아오는 고온의 기상 냉매를 혼합함으로써, 액상 냉매의 증발이 촉진되어, 어큐뮬레이터(26)를 통과하여 액상 냉매가 압축기(6)로 되돌아오는 일이 없어져서, 압축기(6)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상·난방 개시시에 서리의 부착에 의해 빙점 아래가 된 실외 열교환기(14)의 온도는 압축기(6)의 토출구로부터 나온 기상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0도 부근에서 서리가 융해하고, 서리의 융해가 끝나면, 실외 열교환기(14)의 온도는 다시 상승하기 시작한다. 이 실외 열교환기(14)의 온도 상승을 배관 온도 센서(44)에서 검출하면, 제상이 완료했다고 판단하고, 컨트롤러(48)로부터 제상·난방 운전에서 통상 난방 운전으로의 지시가 출력된다.
<제 1 난방 운전과 제 2 난방 운전의 전환 제어>
여기서, 도 2에 도시되는 통상 난방 운전에 주목하면, 제상 운전을 실행하지 않는 통상 난방 운전의 경우, 2개의 전자 밸브(30, 42)는 폐쇄된 상태로 압축기(6)는 운전되고, 압축기(6)에서 발생한 열은 축열재(36)에 축적되므로, 그 온도는 서서히 상승한다.
그러나, 축열재(36)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면, 축열재(36) 자체의 변질(예컨대, 산화)이나 축열재(36)의 수분 비등을 야기하고, 축열재(36)가 열화할 우려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제 1 난방 운전과 제 2 난방 운전의 전환 제어를 컨트롤러(48)가 실행하는 것에 의해, 축열재(36)의 열화를 방지하고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1 난방 운전은 도 2에 도시되는 통상 난방 운전을 말하며, 통상 난방 운전시, 제 1 전자 밸브(30)와 제 2 전자 밸브(42)는 폐쇄되어 있으므로, 압축기(6)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16)와 팽창 밸브(12)와 실외 열교환기(14)를 통과하여 압축기(6)로 되돌아온다. 이때, 제 2 전자 밸브(42)는 폐쇄되어 있으므로, 냉매는 축열 열교환기(34)를 흐르는 일은 없으며, 축열조(32)에 수용된 축열재(36)의 온도는 압축기(6)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서서히 상승한다.
한편, 제 2 난방 운전은 도 4에 도시되는 난방 운전을 말하며, 제 2 난방 운전시, 제 1 전자 밸브(30)는 폐쇄되는데 반해, 제 2 전자 밸브(42)는 개방된다. 따라서, 압축기(6)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16)와 축열 열교환기(34)를 통과하여 압축기(6)로 되돌아온다. 이때, 축열 열교환기(34)를 흐르는 냉매는 난방을 위한 실내 열교환기(16)에서 열교환을 실행하여 그 온도가 저하되어 있으므로, 축열재(36)에 축적된 열을 회수하기 때문에, 축열조(32)에 수용된 축열재(36)의 온도는 서서히 저하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축열재(36)의 온도를 검출하는 축열재 온도 센서(46)를 마련하고, 축열재 온도 센서(46)의 검출 온도에 근거하여 제 2 전자 밸브(42)를 컨트롤러(48)로 제어하여 제 1 난방 운전과 제 2 난방 운전을 적절히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축열재 온도 센서(46)의 검출 온도가 소정 온도(예컨대, 90℃) 이하인 동안에, 제 1 난방 운전을 실행하여 축열재(36)에 축열하는 한편, 축열재 온도 센서(46)의 검출 온도가 상기 소정 온도를 초과하면, 제 1 난방 운전에서 제 2 난방 운전으로 전환하고, 이에 의해서 축열재(36)의 온도를 저하시키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소정 온도를 90℃로 설정하고 있지만, 이것은 축열재(36)의 수분의 비점을 고려하여 선택된 온도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난방 운전 중에는, 압축기(6)와 실내 열교환기(16)와 팽창 밸브(12)와 실외 열교환기(14)가 이용되며, 그동안, 축열 장치의 축열재(36)에는 압축기(6)에서 발생한 열이 축적된다. 컨트롤러(48)는, 축열재(36)의 온도가 소정 온도를 초과하면, 축열 열교환기(34)를 이용한 제 2 난방 운전으로 전환하고, 제 2 난방 운전 중, 축열 열교환기(34)가,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의 열과 축열재(36)에 축적된 열을 교환함으로써, 축열재(36)의 온도가 내려간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48)에 의한 제어에 의해, 축열재(36)가 지나치게 고온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수분 증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축열재(36)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난방 운전 동안은 압축기(6)의 운전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축열재(36)의 온도가 보다 빨리 저하하도록 하고 있다.
<전환 제어의 변형예>
도 5는 상술한 전환 제어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축열재 온도 센서(46)의 검출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인 경우, 앞의 설명과 동일한 제 1 난방 운전을 실행하는 한편, 축열재 온도 센서(46)의 검출 온도가 소정 온도를 초과하면, 제 2 전자 밸브(42)의 개폐를 따르는 제 2 난방 운전을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2 전자 밸브(42)가 폐쇄된 상태의 제 1 난방 운전시, 축열재 온도 센서(46)의 검출 온도가 전술한 소정 온도를 초과하면, 제 2 난방 운전으로 이행하고, 컨트롤러(48)는 압축기(6)의 운전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제어 신호를 부여함으로써 제 2 전자 밸브(42)를 우선 제 1 소정 시간(약 1초간)만큼 개방한다. 또한, 제 1 소정 시간 경과 후, 컨트롤러(48)는 제어 신호를 부여함으로써, 제 2 전자 밸브(42)를 제 2 소정 시간(약 20초간)만큼 폐쇄한다.
여기서, 제 1 소정 시간과 제 2 소정 시간의 합계를 1주기로 하면, 제 2 난방 운전에서는, 제 2 전자 밸브(42)의 개폐가 예컨대 10주기 실행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이 10주기 동안을 제 2 난방 운전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제 2 난방 운전에 있어서, 제 2 전자 밸브(42)의 개폐를 몇 주기 반복할지는 적절히 선택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소정 시간은 제 2 전자 밸브(42)의 사이즈에 주로 의존하지만, 통상 제 2 소정 시간은 제 1 소정 시간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제 1 소정 시간은 1초로 설정되고, 제 2 소정 시간은 20초로 설정된다. 이 경우, 제 2 난방 운전과 제 1 난방 운전을 10주기 반복한다고 하면, 제 2 난방 운전과 제 1 난방 운전의 전환 제어를 210초간 실행한 후, 제 1 난방 운전으로의 전환이 실행된다. 이 경우, 컨트롤러(48)는 제어 신호에 있어서의 온(ON)의 횟수를 카운트하고 있으며, 온(ON) 횟수가 10회가 되면 제 1 난방 운전으로의 전환을 실행한다. 또한, 대체적으로, 컨트롤러(48)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481)를 내장하고 있으며, 제 2 난방 운전으로 전환되고 나서 210초를 카운트하면 제 1 난방 운전으로의 전환을 실행해도 상관없다. 또한, 10주기 반복하기 전에 축열재 온도 센서(46)의 검출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가 되면, 제 1 난방 운전의 계속 운전으로의 전환을 실행해도 상관없다.
또한, 제 2 전자 밸브(42)를 개폐하기 위한 축열재 온도 센서(46)의 검출 온도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축열재(36)의 온도의 상승시와 하강시에서 다른 온도로 설정함으로써, 제 2 전자 밸브(42)의 개폐의 빈번한 반복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제 1 소정 온도(예컨대, 90℃)와 제 1 소정 온도보다 낮은 제 2 소정 온도(예컨대, 85℃)를 설정하고, 축열재(36)의 온도가 제 1 소정 온도 이하인 경우 제 2 전자 밸브(42)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고, 축열재(36)의 온도가 제 1 소정 온도를 초과하면, 제 2 전자 밸브(42)를 개방 제어하는 한편, 축열재(36)의 온도가 제 2 소정 온도 이하가 되면, 제 2 전자 밸브(42)를 폐쇄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축열재(36)의 온도에 따라 제 2 전자 밸브(42)를 개폐하기 위한 축열재 온도 센서(46)를 대신하여, 압축기(6)의 온도를 검출하는 압축기 온도 센서나, 압축기(6)로부터 토출된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토출 냉매 온도 센서나, 축열조(32) 자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축열조 온도 센서나, 압축기(6)의 운전 전류를 검출하는 운전 전류 센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것은 다음의 이유에 의한다.
·압축기 온도 센서 : 압축기(6)의 온도는 축열재(36)의 온도와 밀접하게 상관하며, 압축기(6)의 온도가 높아지면, 축열재(36)의 온도도 높아진다.
·토출 냉매 온도 센서 : 압축기(6)로부터 토출된 냉매의 온도는 축열재(36)의 온도와 밀접하게 상관하며, 토출 냉매의 온도가 높아지면, 축열재(36)의 온도도 높아진다.
·축열조 온도 센서 : 축열조(32)의 온도도 기본적으로는 축열재(36)의 온도와 상관하며, 축열조(32)의 온도가 높아지면, 축열재(36)의 온도도 높아진다.
·운전 전류 센서 : 압축기(6)의 운전 전류가 커지면, 축열재(36)의 온도도 높아진다.
또한, 축열재 온도 센서(46)를 대신하여, 압축기 온도 센서, 토출 냉매 온도 센서, 축열조 온도 센서를 사용한 경우도,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온도의 상승시와 하강시에서 다른 온도로 설정함으로써, 제 2 전자 밸브(42)의 개폐의 빈번한 반복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축열재 온도 센서(46)를 대신하여, 압축기(6)의 운전 전류를 검출하는 운전 전류 센서를 사용한 경우, 운전 전류 센서의 검출 전류가 소정 전류 이하인 경우, 제 1 난방 운전을 실행하여 축열재(36)에 축열하는 한편, 운전 전류 센서의 검출 전류가 소정 전류를 초과하면, 제 1 난방 운전에서 제 2 난방 운전으로 전환하여 축열재(36)를 냉각한다.
혹은, 제 2 전자 밸브(42)가 폐쇄된 상태의 제 1 난방 운전시, 운전 전류 센서의 검출 전류가 소정 전류를 초과하면, 압축기(6)의 운전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제 2 전자 밸브(42)를 개방 제어하여 제 2 난방 운전으로 이행하고, 제 2 난방 운전을 제 1 소정 시간 계속하고, 또한 제 1 소정 시간 경과 후, 제 2 전자 밸브(42)를 폐쇄 제어하여 제 2 난방 운전에서 제 1 난방 운전으로 이행하고[단, 압축기(6)의 운전 주파수는 감소한 상태를 유지], 제 1 난방 운전을 제 2 소정 시간 계속하며, 이것을 소정 회수(예컨대, 10 주기) 반복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각종 온도 센서를 사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운전 전류의 상승시와 하강시에 다른 전류로 설정함으로써, 제 2 전자 밸브(42)의 개폐의 빈번한 반복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변형예도 포함함)에 있어서는, 각종 센서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제 1 난방 운전과 제 2 난방 운전의 전환 제어를 실행하고 있다. 또한, 특히, 제 2 난방 운전에서 제 1 난방 운전으로의 전환 제어는 타이머(481)에 의한 계시 결과에 근거해도 좋은 것을 설명했다. 타이머(481)의 계시 결과에 의한 전환은 이하와 같은 사고 방식에 근거해도 상관없다.
즉, 축열재(36)의 조성과 양이 결정되면, 축열재(36)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이 되고 나서 이 소정 온도를 다시 밑돌 때까지의 시간은 어느 정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축열재의 비등 방지라고 하는 목적을 달성하려면, 제 1 난방 운전에서 제 2 난방 운전으로는 정밀도 양호하게 전환할 필요가 있지만, 제 2 난방 운전에서 제 1 난방 운전으로의 변환 정밀도는 그다지 문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축열재(36)의 조성과 양은 변화하지 않으므로, 압축기(6)의 운전 후에 축열재(36)가 소정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과, 소정 온도에 도달한 후, 확실히 소정 온도 이하가 될 때까지의 시간을 미리 실험 등으로 구한다. 그리고, 컨트롤러(48)는 소정 온도 이상이 된 시점에서, 이 구해진 시간을 타이머(481)에 설정하고, 타임 아웃시에 제 2 난방 운전에서 제 1 난방 운전으로의 전환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축열재(36)의 온도 상승시와 하강시에 온도차를 설정한 경우도, 축열재의 조성과 양이 결정되면, 도 6에 도시되는 제 1 소정 온도(예컨대, 90℃)에 도달한 후, 제 2 소정 온도(예컨대, 85℃)로 되돌아올 때까지의 시간은 거의 정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사이클 장치는, 압축기에서 발생한 열을 축적하는 축열재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공기 조화기, 냉장고, 급탕기, 히트 펌프식 세탁기 등에 유용하다.
2 : 실외기 4 : 실내기
6 : 압축기 8 : 사방 밸브
10 : 스트레이너 12 : 팽창 밸브
14 : 실외 열교환기 16 : 실내 열교환기
18 : 제 1 배관 20 : 제 2 배관
22 : 제 3 배관 24 : 제 4 배관
26 : 어큐뮬레이터 28 : 제 5 배관
30 : 제 1 전자 밸브 32 : 축열조
34 : 축열 열교환기 36 : 축열재
38 : 제 6 배관 40 : 제 7 배관
42 : 제 2 전자 밸브 44 : 배관 온도 센서
46 : 축열재 온도 센서 48 : 컨트롤러
481 : 타이머

Claims (13)

  1. 냉매 배관을 거쳐서 접속된 압축기, 실내 열교환기, 팽창 밸브 및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한 열을 축적하는 축열재를 수용하는 축열조 및 상기 축열재의 축열로 열교환을 실행하는 축열 열교환기를 갖는 축열 장치를 구비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열재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인 경우에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팽창 밸브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시키는 제 1 난방 운전에서, 상기 축열재의 온도가 상기 소정 온도를 초과한 경우에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축열 열교환기를 통과시키는 제 2 난방 운전으로 전환하는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팽창 밸브를 접속하는 냉매 배관으로부터 분기하여 상기 축열 열교환기에 이르는 냉매 배관에, 상기 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개폐되는 전자 밸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 밸브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난방 운전에서 상기 제 2 난방 운전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 2 난방 운전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밸브를 제 1 소정 시간만큼 개방 상태로 하고, 그 후 상기 전자 밸브를 제 2 소정 시간만큼 폐쇄 상태로 하도록 상기 전자 밸브를 개폐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소정 시간은 상기 제 1 소정 시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밸브의 상기 제 1 소정 시간의 개방 상태와 상기 제 2 소정 시간의 폐쇄 상태를 1주기로 하여, 상기 전자 밸브의 개폐 제어를 소정 주기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재의 온도를 검출하는 축열재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축열재 온도 센서가 검출한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난방 운전에서 상기 제 2 난방 운전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압축기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압축기 온도 센서가 검출한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난방 운전에서 상기 제 2 난방 운전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토출 냉매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토출 냉매 온도 센서가 검출한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난방 운전에서 상기 제 2 난방 운전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조 자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축열조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축열조 온도 센서가 검출한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난방 운전에서 상기 제 2 난방 운전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운전 전류를 검출하는 운전 전류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운전 전류 센서가 검출한 상기 압축기의 운전 전류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난방 운전에서 상기 제 2 난방 운전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난방 운전 중, 상기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는 상기 제 1 난방 운전 중과 비교하여 내려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온도를 제 1 소정 온도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 2 난방 운전 중에 상기 축열재의 온도가 상기 제 1 소정 온도보다 낮은 제 2 소정 온도를 밑돌면, 상기 제 1 난방 운전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난방 운전으로 전환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적어도 계시 가능한 타이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 2 난방 운전 중, 상기 타이머에 의해 계시되는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이 되면, 상기 제 1 난방 운전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KR1020127022754A 2010-03-01 2010-03-01 냉동 사이클 장치 KR201300274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01359 WO2011108019A1 (ja) 2010-03-01 2010-03-01 冷凍サイクル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460A true KR20130027460A (ko) 2013-03-15

Family

ID=4454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754A KR20130027460A (ko) 2010-03-01 2010-03-01 냉동 사이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130027460A (ko)
CN (1) CN102782423B (ko)
BR (1) BR112012021194A2 (ko)
WO (1) WO20111080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2249B (zh) * 2013-03-29 2017-02-15 日本空调系统股份有限公司 车辆用空调装置
JP2015001326A (ja) * 2013-06-14 2015-01-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温水生成装置
AU2014401283A1 (en) * 2014-07-17 2017-02-02 Electrolux (Hangzhou) Home Appliance Co., Ltd. Heat pump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968B2 (ja) * 1985-07-19 1995-04-10 株式会社東芝 ヒ−トポンプ
JPH081340B2 (ja) * 1986-07-11 1996-01-10 株式会社東芝 冷凍サイクル
JPS63148063A (ja) * 1986-12-08 1988-06-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ヒ−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の除霜制御装置
JPS63143473A (ja) * 1986-12-08 1988-06-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ヒ−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の除霜制御装置
JPS63156980A (ja) * 1986-12-19 1988-06-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ヒ−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
JP2503637B2 (ja) * 1989-03-22 1996-06-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用圧縮機
JP2526716B2 (ja) * 1990-06-19 1996-08-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3010934B2 (ja) * 1992-08-28 2000-02-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04020097A (ja) * 2002-06-18 2004-01-22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冷凍空調統合蓄熱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21194A2 (pt) 2016-05-17
CN102782423B (zh) 2015-03-25
WO2011108019A1 (ja) 2011-09-09
CN102782423A (zh)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4189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CN102523754B (zh) 制冷循环装置
US10767912B2 (en)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EP2428753B1 (en) Air conditioner
JP2011122767A (ja)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冷媒量検出方法
CN103998877B (zh) 空气调节机
KR20130103712A (ko) 공기 조화기
EP2623897B1 (en) Refrigeration cycle equipment
JP2013104623A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11153784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20130027460A (ko) 냉동 사이클 장치
JP5287820B2 (ja) 空気調和機
JP4869320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給湯機
JP2015048988A (ja) アキュムレータ及び冷凍装置
JP5287821B2 (ja) 空気調和機
JP3895935B2 (ja) 氷蓄熱式空気調和装置
JP5927500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12037130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5927502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5310696B2 (ja) 空気調和機
JP2012077938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3036650A (ja) 冷凍装置
JP2013104586A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