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3697A -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3697A
KR20130023697A KR1020110086646A KR20110086646A KR20130023697A KR 20130023697 A KR20130023697 A KR 20130023697A KR 1020110086646 A KR1020110086646 A KR 1020110086646A KR 20110086646 A KR20110086646 A KR 20110086646A KR 20130023697 A KR20130023697 A KR 20130023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elt conveyor
auxiliary
coupled
ch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7490B1 (ko
Inventor
이태연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6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490B1/ko
Publication of KR20130023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Chutes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 관한 것으로, 제1벨트 컨베이어의 단부에 배치되어 제1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낙하되는 이송물을 제2벨트 컨베이어로 안내하는 덕트부와, 덕트부에 장착되고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하는 안내부 및 덕트부에 장착되고 안내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는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하여 제2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CHUTE FOR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을 방지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쓰이는 연료나 원료와 같은 이송물은 복수개의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원하는 장소로 이송된다.
벨트 컨베이어의 길이가 무한대로 될 수 없기 때문에, 벨트 컨베이어와 벨트 컨베이어 사이에는 슈트(chute)가 구비된다.
슈트는 어느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에서 이송된 이송물이 다른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덕트 형상을 하여 벨트 컨베이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70904호(2008.11.21 등록, 발명의 명칭: 댐퍼 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의 슈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을 방지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벨트 컨베이어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낙하되는 이송물을 제2벨트 컨베이어로 안내하는 덕트부; 상기 덕트부에 장착되고,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하는 안내부; 및 상기 덕트부에 장착되고, 상기 안내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는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부는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의 상방에 위치되는 상판; 상기 상판과 연결되고,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의 단부를 감싸는 측판; 및 상기 측판과 연결되어 이송물을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로 안내하는 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부는 상기 덕트부에 내장되고 상하부가 개구된 가이드통; 상기 가이드통에 결합되고, 상기 측판을 관통하는 가이드롤러; 및 상기 측판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롤러를 지지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부는 상기 가이드통에 결합되고,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하는 보조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안내부는 상기 가이드통에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고정대; 상기 보조고정대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보조회전바; 상기 보조회전바에 결합되어 이송물을 유도하는 보조안내판; 및 상기 보조고정대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조회전바를 회전시키는 보조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측판에 결합되는 장착판; 및 상기 장착판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통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는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하여 제2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는 안내부 외에 추가로 보조안내부가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함으로써, 이송물의 집중 편적을 유도하여 제2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을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안내부가 좌측으로 사행된 제2벨트 컨베이어에 이송물을 낙하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보조안내부의 구동에 의해 이송물이 제2벨트 컨베이어의 좌측에 집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안내부가 우측으로 사행된 제2벨트 컨베이어에 이송물을 낙하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보조안내부의 구동에 의해 이송물이 제2벨트 컨베이어의 우측에 집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안내부가 좌측으로 사행된 제2벨트 컨베이어에 이송물을 낙하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서 보조안내부의 구동에 의해 이송물이 제2벨트 컨베이어의 좌측에 집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안내부가 우측으로 사행된 제2벨트 컨베이어에 이송물을 낙하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서 보조안내부의 구동에 의해 이송물이 제2벨트 컨베이어의 우측에 집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1)에는 덕트부(10), 안내부(20) 및 이동부(30)가 구비된다.
덕트부(10)는 제1벨트 컨베이어(100)의 단부에 배치되어, 제1벨트 컨베이어(100)에서 낙하되는 이송물(80)을 제2벨트 컨베이어(200)로 안내한다.
안내부(20)는 덕트부(10)에 장착된다. 이러한 안내부(20)는 이송물(80)의 낙하지점을 조절한다. 이동부(30)는 덕트부(10)에 장착되고, 안내부(20)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이동부(30)의 구동에 따라 안내부(20)가 이동되면서 이송물(80)의 낙하지점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1)에는 감지부(40) 및 제어부(50)가 더 구비된다.
감지부(40)는 제2벨트 컨베이어(200)의 사행을 감지한다. 감지부(40)는 제2벨트 컨베이어(200)의 이송벨트(210) 양측 방향으로 각각 배치된다.
감지부(40)는 이송벨트(210)의 사행 경로상에 배치되고, 이송벨트(210)가 사행되면, 이송벨트(210)가 감지부(40)를 밀어낸다.
이때, 감지부(40)는 이송벨트(210)의 사행 정도에 따라 이송벨트(210)의 접촉을 감지하도록 복수개가 배치되어, 이송벨트(210)의 사행 정도를 제어부(5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2개의 감지부(4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 보다 이송벨트(210)의 측방향으로 근접 배치되고, 이송벨트(210)가 이들 감지부(40)에 순차적으로 도달됨에 따라 이송벨트(210)의 사행 정도를 예측 할 수 있다.
한편, 지속적인 실험을 통해, 이송벨트(210)가 하나의 감지부(40)를 밀어내는 힘의 크기에 따라 이송벨트(210)의 사행 상태를 예측 가능하다.
제어부(50)는 감지부(4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이동부(30)의 구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이송벨트(210)의 사행 정도에 따라 이동부(30)가 구동되어 안내부(20)가 이동되면, 이송벨트(210)의 편적으로 인해 이송벨트(210)의 사행이 해소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부(10)에는 상판(11), 측판(12) 및 하판(13)이 구비된다.
상판(11)은 제1벨트 컨베이어(100)의 단부 상방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판(11)은 제1벨트 컨베이어(100)의 보다 큰 폭을 갖는다.
측판(12)은 상판(11)과 연결되고, 제1벨트 컨베이어(100)의 단부를 감싼다. 이러한 측판(12)의 일측면에는 제1벨트 컨베이어(100)가 삽입되도록 삽입홀(15)이 형성된다.
하판(13)은 측판(12)의 저면과 연결되어 이송물(80)을 아래에 위치되는 제2벨트 컨베이어(200)로 안내한다. 이를 위해 하판(13)에는 이송물(80) 배출을 위한 배출홀(16)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20)에는 가이드통(21), 가이드롤러(22) 및 가이드레일(23)이 구비된다.
가이드통(21)은 덕트부(10)에 내장된다. 이러한 가이드통(21)은 상하부가 개구된 형상을 한다.
따라서, 제1벨트 컨베이어(100)에서 낙하되는 이송물(80)은 가이드통(21)의 상부로 투입되고, 가이드통(21)의 하부로 배출된다.
가이드롤러(22)는 가이드통(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가이드롤러(22)는 측판(12)의 수평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홀(18)을 관통하여 덕트부(10) 외부에 배치된다.
가이드레일(23)은 측판(12)의 외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가이드레일(23)은 가이드홀(18)의 하방에 위치되어 가이드롤러(22)를 지지한다. 따라서, 가이드롤러(22)는 가이드레일(23)을 따라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20)에는 보조안내부(24)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보조안내부(24)는 가이드통(21)에 결합되고, 이송물(80)의 낙하지점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안내부(24)에는 보조고정대(241), 보조회전바(242), 보조안내판(243) 및 보조실린더(244)가 구비된다.
보조고정대(241)는 가이드통(21)에 결합되고, 측판(12)에 형성되는 보조홀(19)을 관통하여 덕트부(10) 외부로 돌출된다.
예를 들어, 보조고정대(241)에는 가이드통(2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보조홀(19)을 관통하는 제1고정대(241a) 및 제1고정대(241a)에 결합되고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고정대(241b)가 구비된다.
보조회전바(242)는 보조고정대(241)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예를 들어, 보조회전바(242)는 가이드통(21)의 하방에 위치되어 가이드통(21)의 하부 개구된 부분을 가로지르며, 제2고정대(241b)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보조안내판(243)은 보조회전바(242)에 결합되어 이송물(80)을 유도한다. 예를 들어, 보조안내판(243)에는 보조회전바(242)를 감싸며 단면이 삼각형 형상을 하는 삼각대(243a) 및 삼각대(243a)의 저면에 결합되는 유도판(243b)이 구비된다.
따라서, 가이드통(21)에서 배출된 이송물(80)은 삼각대(243a)에 의해 분배된 후 유도판(243b)을 따라 흘러내려 낙하지점이 조절된다.
보조실린더(244)는 보조고정대(241)에 고정 설치되고, 제어부(50)의 제어의 의해 길이가 가변된다.
예를 들어, 보조고정대(241)의 제2고정판(241b)에는 제3고정판(241c)이 결합되고, 보조실린더(244)는 제3고정판(241c)에 결합된다. 이때, 보조회전바(242)의 단부에 결합되는 보조브라켓(245)이 보조실린더(244)에 핀 결합된다.
따라서, 보조실린더(244)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보조브라켓(245) 및 이와 결합된 보조회전바(242)의 회전방향이 변경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30)에는 장착판(31) 및 실린더(32)가 구비된다.
장착판(31)은 측판(12)에 결합된다. 이러한 장착판(31)은 제1벨트 컨베이어(100)와 마주보는 측판(12)의 외측에 고정 설치된다.
실린더(32)는 장착판(31)에 고정 설치되고, 측판(12)을 관통하여 가이드통(21)과 연결된다. 이러한 실린더(32)는 제어부(50)의 신호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어 가이드통(21)을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벨트 컨베이어(100)의 단부가 덕트부(10)에 삽입되고, 제1벨트 컨베이어(100)에서 이송되는 이송물이 덕트부(10)의 하방에 배치되는 제2벨트 컨베이어(200)로 낙하된다.
이때, 덕트부(10)에는 이동부(30)의 실린더(32)의 길이가 변화됨에 따라 덕트부(10) 내부에서 이동되어 이송물(80)의 낙하지점을 조절하는 안내부(20)가 구비된다.
안내부(20)에는 이송물(80)이 유입된 후 배출되도록 상하부가 개구된 가이드통(21), 가이드통(21)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가이드롤러(22) 및 측판(12)에 설치되어 가이드롤러(22)를 지지하는 가이드레일(23)이 구비된다.
이때, 가이드통(21)에는 가이드통(21)에서 배출되는 이송물(80)의 낙하지점을 조절하는 보조안내부(24)가 설치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감지부(40)가 이송벨트(210)의 좌측 사행을 감지하면, 제어부(50)의 신호에 의해 실린더(32)의 길이가 줄어들어 가이드통(21)이 좌측으로 이동된다(도 2 참조).
그리하면, 이송물(80)이 이송벨트(210)의 좌측으로 낙하되어 편적되므로, 이송벨트(210)의 사행이 해소된다.
만일, 감지부(40)가 이송벨트(210)의 과도한 좌측 사행을 감지하면, 제어부(50)의 신호에 의해 보조실린더(244)의 길이가 줄어든다(도 3 참조).
그리하면, 보조회전바(24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송물(80)은 보조안내판(243)의 경사면을 따라 낙하되어 이송벨트(210)의 좌측방향에 집중적으로 편적된다.
한편, 감지부(40)가 이송벨트(210)의 우측 사행을 감지하면, 제어부(50)의 신호에 의해 실린더(32)의 길이가 늘어나 가이드통(21)이 우측으로 이동된다(도 4 참조).
그리하면, 이송물(80)이 이송벨트(210)의 우측으로 낙하되어 편적되므로, 이송벨트(210)의 사행이 해소된다.
만일, 감지부(40)가 이송벨트(210)의 과도한 우측 사행을 감지하면, 제어부(50)의 신호에 의해, 보조실린더(244)의 길이가 늘어난다(도 5 참조).
그리하면, 보조회전바(242)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송물(80)은 보조안내판(243)의 경사면을 따라 낙하되어 이송벨트(210)의 우측방향에 집중적으로 편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덕트부 11 : 상판
12 : 측판 13 : 하판
20 : 안내부 21 : 가이드통
22 : 가이드롤러 23 : 가이드레일
24 : 보조안내부 30 : 이동부
31 : 장착판 32 : 실린더
40 : 감지부 50 : 제어부

Claims (7)

  1. 제1벨트 컨베이어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낙하되는 이송물을 제2벨트 컨베이어로 안내하는 덕트부;
    상기 덕트부에 장착되고,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하는 안내부; 및
    상기 덕트부에 장착되고, 상기 안내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의 상방에 위치되는 상판;
    상기 상판과 연결되고,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의 단부를 감싸는 측판; 및
    상기 측판과 연결되어 이송물을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로 안내하는 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덕트부에 내장되고 상하부가 개구된 가이드통;
    상기 가이드통에 결합되고, 상기 측판을 관통하는 가이드롤러; 및
    상기 측판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롤러를 지지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가이드통에 결합되고,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하는 보조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안내부는
    상기 가이드통에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고정대;
    상기 보조고정대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보조회전바;
    상기 보조회전바에 결합되어 이송물을 유도하는 보조안내판; 및
    상기 보조고정대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조회전바를 회전시키는 보조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측판에 결합되는 장착판; 및
    상기 장착판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통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20110086646A 2011-08-29 2011-08-29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277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646A KR101277490B1 (ko) 2011-08-29 2011-08-29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646A KR101277490B1 (ko) 2011-08-29 2011-08-29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697A true KR20130023697A (ko) 2013-03-08
KR101277490B1 KR101277490B1 (ko) 2013-06-21

Family

ID=48175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646A KR101277490B1 (ko) 2011-08-29 2011-08-29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4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517B1 (ko) * 2012-10-29 2014-03-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이송물 감지장치
KR102408418B1 (ko) * 2021-12-17 2022-06-14 (주)지엔티 슈트의 디플렉터 연동형 컨베이어용 사행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997B1 (ko) * 2014-07-29 2016-03-28 현대제철 주식회사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707B1 (ko) * 2001-11-26 2008-05-14 주식회사 포스코 하부폭 변형이 가능한 슈트장치
KR100812158B1 (ko) * 2001-12-20 2008-03-1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사행에 따른 편적 방지 기능을 갖는 선회슈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517B1 (ko) * 2012-10-29 2014-03-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이송물 감지장치
KR102408418B1 (ko) * 2021-12-17 2022-06-14 (주)지엔티 슈트의 디플렉터 연동형 컨베이어용 사행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7490B1 (ko) 201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490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20120121547A (ko) 벨트 컨베이어의 편적 방지장치
KR20130046565A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20120110321A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208914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KR101237062B1 (ko) 슈트 감지장치
KR10139988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슈트
KR101129283B1 (ko) 원료 수송용 벨트컨베이어
KR10138801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581545B1 (ko) 슈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KR101415831B1 (ko) 원료 공급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
KR10134433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29574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200169337Y1 (ko) 벨트 컨베어 사행 조정장치
KR102077915B1 (ko)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장치
KR101399880B1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KR101657397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20140042081A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291530B1 (ko) 이송물 공급장치
KR101605230B1 (ko) 텐션 웨이트 균형조절 장치
KR20180136631A (ko)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
KR20150125081A (ko) 슈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KR102177869B1 (ko) 벨트컨베이어
KR10135554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37751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방지용 텐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