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997B1 -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 - Google Patents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997B1
KR101606997B1 KR1020140096410A KR20140096410A KR101606997B1 KR 101606997 B1 KR101606997 B1 KR 101606997B1 KR 1020140096410 A KR1020140096410 A KR 1020140096410A KR 20140096410 A KR20140096410 A KR 20140096410A KR 101606997 B1 KR101606997 B1 KR 101606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gate
chute
pair
bel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4330A (ko
Inventor
이태연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6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997B1/ko
Publication of KR20160014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utes (AREA)

Abstract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는, 이송물을 하부로 전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슈트와, 슈트 하부에 이송경로를 갖도록 결합되고, 한 쌍의 평행한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이송경로를 개폐하는 한 쌍의 댐퍼 게이트를 구비하여 슈트로부터 전달된 이송물을 하부 벨트 컨베이어로 전달하는 댐퍼 게이트부, 및 한 쌍의 댐퍼 게이트를 하부 벨트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이송물의 낙하방향을 조절하는 댐퍼 게이트 이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CHUTE APPARATUS WITH DOUBLE GATE}
본 발명은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에서 쓰이는 연료 또는 원료는 이송 할 때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수송을 하는데, 이 과정에서 다수개의 슈트와 벨트 컨베이어를 통과하여 하부공정으로 이송된다.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수송물이 슈트를 통과하여 하부벨트 컨베이어에 안착 될 때 벨트 컨베이어의 중앙부위에 실리지 않고 일측으로 실려 편적현상이 발생하여 사행된 벨트 컨베이어가 슈트의 측면이나 기타 설비와 간섭되어 벨트 사이드부의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슈트를 통해 수송물을 하부 벨트 컨베이어로 전달할 때, 슈트 하부에 구비된 게이트를 개폐함으로써 수송물을 하부로 전달하게 되는데, 종래의 경우 슈트 내의 수송물이 하중에 의해 눌려져 고착되거나 겨울철 동결 등의 이유로 인해 게이트의 개폐가 원활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2816(2000.11.27 등록, 투 웨이 슈트의 댐퍼내의 수송물 막힘 방지장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슈트를 통하여 하부 벨트 컨베이어로 이송물을 이송시, 슈트의 이송경로 내측에 한 쌍의 댐퍼 게이트를 설치하여, 이송물의 하중에 의해 이송물이 고착되거나 겨울철 동결 등의 이유로 인해 게이트의 개폐가 원활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부 벨트 컨베이어 상의 이송물의 편적으로 인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물을 하부로 전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슈트; 상기 슈트 하부에 이송경로를 갖도록 결합되고, 한 쌍의 평행한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이송경로를 개폐하는 한 쌍의 댐퍼 게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슈트로부터 전달된 이송물을 하부 벨트 컨베이어로 전달하는 댐퍼 게이트부; 및 한 쌍의 상기 댐퍼 게이트를 상기 하부 벨트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이송물의 낙하방향을 조절하는 댐퍼 게이트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댐퍼 게이트는 부채꼴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은 부채꼴 형상의 상기 댐퍼 게이트의 두 반지름이 만나는 중심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댐퍼 게이트 이동부는, 상기 하부 벨트 컨베이어의 좌측 사행 이동 또는 우측 사행 이동에 따라, 한 쌍의 상기 댐퍼 게이트를 상기 하부 벨트 컨베이어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이동 또는 우측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댐퍼 게이트부는, 한 쌍의 상기 댐퍼 게이트가 한 쌍의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댐퍼 게이트의 중심과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탑재되고, 상기 댐퍼 게이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동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부는, 일단이 상기 댐퍼 게이트의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동력부가 길이방향으로 신축 운동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해 상기 댐퍼 게이트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킬 수 있다.
상기 댐퍼 게이트 이동부는, 상기 하부 벨트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이 같이 이동하도록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을 연결시키는 대차 프레임; 상기 대차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레일 상에서 활주하는 바퀴; 및 상기 대차 프레임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제2 동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 게이트 이동부는, 상기 대차 프레임의 이동에 연동되어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이 이동시, 상기 지지프레임에 힌지결합된 상기 댐퍼 게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슈트의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게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동력부는, 일단이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상기 대차 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슈트의 외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제2 동력부가 길이방향으로 신축 운동함으로써 상기 슈트에 대해 상기 대차 프레임을 상기 하부 벨트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직선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슈트를 통하여 하부 벨트 컨베이어로 이송물을 이송시, 슈트의 이송경로 내측에 한 쌍의 댐퍼 게이트를 설치하여, 이송물의 하중에 의해 이송물이 고착되거나 겨울철 동결 등의 이유로 인해 게이트의 개폐가 원활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한 쌍의 댐퍼 게이트를 하부 벨트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이동시킴으로써, 이송물의 낙하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하부 벨트 컨베이어 상의 이송물의 편적으로 인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의 댐퍼 게이트부 및 댐퍼 게이트 이동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에서 한 쌍의 댐퍼 게이트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하여 슈트의 이송경로를 개폐하는 작동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에서 한 쌍의 댐퍼 게이트가 슈트 내에서 작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의 댐퍼 게이트부 및 댐퍼 게이트 이동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1000)는 슈트(100), 한 쌍의 댐퍼 게이트(210)를 구비한 댐퍼 게이트부(200), 및 댐퍼 게이트 이동부(300)를 포함한다.
벨트 컨베이어의 이송물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상부 벨트 컨베이어 이송물이 슈트를 통과하여 하부 벨트 컨베이어에 안착 될 때, 슈트 하부에 구비된 게이트를 개폐함으로써 이송물을 하부로 전달하게 되는데, 슈트 내의 이송물이 자체 하중에 의해 눌려지거나 겨울철 동결 등의 이유로 인해 슈트 내에 고착될 경우, 게이트의 개폐가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송물이 슈트를 통과하여 하부 벨트 컨베이어에 안착 될 때, 하부 벨트 컨베이어의 중앙부위에 실리지 않고 일측으로 실려 편적현상이 발생하여, 사행된 하부 벨트 컨베이어가 슈트의 측면이나 기타 설비와 간섭되어 벨트 사이드부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슈트(100)를 통하여 하부 벨트 컨베이어(500)로 이송물을 이송시, 슈트(100)의 이송경로 내측에 한 쌍의 댐퍼 게이트(210)를 구비한 댐퍼 게이트부(200)를 설치함으로써, 이송물의 하중에 의해 이송물이 고착되거나 겨울철 동결 등으로 게이트의 개폐가 원활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한 쌍의 댐퍼 게이트(210)를 하부 벨트 컨베이어(500)의 폭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이동시킴으로써, 이송물의 낙하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하부 벨트 컨베이어(500) 상의 이송물의 편적으로 인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10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슈트(100)는 상부 벨트 컨베이어(미도시)나 호퍼(미도시) 또는 빈(미도시) 등으로부터 이송물을 제공받아, 이송물을 하부로 전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슈트(100)의 하부에는 슈트(100) 내의 이송물을 하부 벨트 컨베이어(500)로 전달하는 이송경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경로에는 이송물의 이송을 필요에 따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댐퍼 게이트(210)가 설치될 수 있다.
댐퍼 게이트부(200)는 슈트(100) 내의 이송경로를 개폐함으로써 슈트(100)로부터 전달된 이송물을 하부 벨트 컨베이어(5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댐퍼 게이트부(200)는 한 쌍의 댐퍼 게이트(21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1000)에서 한 쌍의 댐퍼 게이트(210)가 가상의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함으로서 슈트(미도시)의 이송경로를 개폐하는 작동원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1000)에서 한 쌍의 댐퍼 게이트(210)가 슈트(100) 내에서 작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한 쌍의 댐퍼 게이트(210)는 한 쌍의 평행한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슈트(미도시)의 이송경로를 개폐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 게이트(210)는 부채꼴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부재이다. 이 경우, 가상의 회전축은 부채꼴 형상의 댐퍼 게이트(210)의 두 반지름이 만나는 중심을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댐퍼 게이트(210)가 평행한 각각의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100)의 이송경로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슈트(100) 하부에 구비된 게이트를 개폐하여 이송물을 하부로 전달하고자 할 때, 슈트(100) 내의 이송물이 자체 하중에 의해 눌려지거나 겨울철 동결 등의 이유로 인해 슈트(100) 내에 고착되더라도, 게이트의 개폐가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댐퍼 게이트부(200)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20) 및 제1 동력부(2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한 쌍의 지지프레임(220)은 한 쌍의 댐퍼 게이트(210)가 한 쌍의 가상의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그에 상응하는 댐퍼 게이트(210)의 중심과 힌지결합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댐퍼 게이트(210)가 그에 상응하는 하나의 지지프레임(220)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축(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100) 내의 이송경로를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다.
이 경우, 댐퍼 게이트(210)의 중심은 지지프레임(220)의 단부에 힌지결합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220)은 후술할 대차 프레임(310)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동력부(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20) 상에 탑재되어, 그에 상응하는 댐퍼 게이트(21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동력부(230)는 유압식 액츄에이터와 같은 유압식 동력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동력부(230)의 일단은 그에 상응하는 댐퍼 게이트(210)의 상단에 힌지결합될 수 있으며, 제1 동력부(230)의 타단은 지지프레임(220) 상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압식 동력방식의 제1 동력부(230)가 그 길이방향으로 신축 운동함으로써, 고정된 상태의 지지프레임(220)에 대해 부채꼴 형상의 댐퍼 게이트(210)를 회전축(즉, 힌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의 호가 서로 대향하여 접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댐퍼 게이트(210)를 이용하여, 한 쌍의 댐퍼 게이트(210)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함으로써, 슈트(100) 내의 이송물이 자체 하중에 의해 눌려지거나 겨울철 동결 등의 이유로 인해 슈트(100) 내에 고착되더라도, 개폐장치의 파손 없이 슈트(100)의 이송경로를 보다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부채꼴 형상의 댐퍼 게이트(210)가 유압식 동력방식의 제1 동력부(230)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록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예를 들어 제1 동력부(230)는 댐퍼 게이트(210)의 중심에 결합된 회전샤프트(미도시)와 상기 회전샤프트를 회전시킴으로써 댐퍼 게이트(210)를 회전이동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모터(미도시)는 지지프레임(220)에 지지되어 회전샤프트(미도시)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댐퍼 게이트 이동부(300)는 한 쌍의 댐퍼 게이트(210)를 하부 벨트 컨베이어(500)의 폭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 이동시켜, 이송물의 낙하방향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즉, 댐퍼 게이트 이동부(300)는, 하부 벨트 컨베이어(500)의 좌측 사행 이동 또는 우측 사행 이동에 따라, 한 쌍의 댐퍼 게이트(210)를 하부 벨트 컨베이어(50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이동 또는 우측 이동시킴으로써, 하부 벨트 컨베이어(500)에 사행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물이 슈트(100)를 통과하여 하부 벨트 컨베이어(500)에 안착 될 때, 하부 벨트 컨베이어(500)의 중앙부위에 실리지 않고 일측으로 실려 편적현상이 발생하여, 사행된 하부 벨트 컨베이어(500)가 슈트(100)의 측면이나 기타 설비와 간섭되어 벨트 사이드부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댐퍼 게이트 이동부(300)는, 대차 프레임(310)과 바퀴(320)와 레일(360) 및 제2 동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대차 프레임(310)은 하부 벨트 컨베이어(500)의 폭방향으로 한 쌍의 댐퍼 게이트(210)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20)이 같이 이동하도록 이들 지지프레임(220)을 일체화시키는 부재이다.
예를 들어, 대차 프레임(310)은 판형상의 한 쌍의 지지프레임(220)으로부터 연장되는 사각형 프레임일 수 있다. 이 경우, 사각형상을 갖는 대차 프레임(310)의 중심부에는 슈트(10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대차 프레임(3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10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각각의 지지프레임(220)으로부터 연장되어 사각형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바퀴(320)는 사각형의 대차 프레임(310)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바퀴(320)가 레일(360) 상을 따라 활주할 수 있다.
이 경우, 총 4개의 바퀴(320)가 한 쌍의 레일(360)을 따라 활주할 수 있다. 그러나, 바퀴(320)와 레일(360)의 개수 및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2 동력부(330)는 대차 프레임(310)에 이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장치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동력부(330)는 상술한 제1 동력부(230)와 유사하게 유압식 액츄에이터와 같은 유압식 동력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동력부(330)의 일단은 지지프레임(220) 또는 대차 프레임(3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동력부(330)의 타단은 슈트(100)의 외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슈트(100)의 외측면에는 그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부(350)가 설치될 수 있어, 제2 동력부(330)의 타단이 상기 지지부(350) 상에 고정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압식 동력방식의 제2 동력부(330)가 그 길이방향으로 신축 운동함으로써, 고정된 상태의 슈트(100)에 대해 대차 프레임(310)을 하부 벨트 컨베이어(500)의 폭방향으로 직선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레일(360)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 프레임(310)을 이용하여,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댐퍼 게이트(210)를 하부 벨트 컨베이어(500)의 폭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 이동시킬 수 있어, 슈트(100)로부터 전달되는 이송물의 낙하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편적현상 등의 이유로 하부 벨트 컨베이어(500)에 사행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물이 슈트(100)를 통과하여 하부 벨트 컨베이어(500)에 안착 될 때, 하부 벨트 컨베이어(500)의 중앙부위에 실리지 않고 일측으로 실려 편적현상이 발생하여, 사행된 하부 벨트 컨베이어(500)가 슈트(100)의 측면이나 기타 설비와 간섭되어 벨트 사이드부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댐퍼 게이트 이동부(300)는 가이드 게이트(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게이트(340)는, 대차 프레임(310)의 좌측 또는 우측 이동에 연동되어 한 쌍의 지지프레임(220)이 이동시, 지지프레임(220)에 힌지결합된 부채꼴 댐퍼 게이트(210)의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부 벨트 컨베이어(50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슈트(100)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게이트(340)는 그 중심부를 통해 부채꼴의 댐퍼 게이트(21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된 중공부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 게이트(340)는 개방된 중공부를 갖는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게이트(340)는 슈트(100)의 양측에 설치되어, 개방된 중공부를 통해 슈트(10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대차 프레임(310)의 좌측 또는 우측 이동에 연동되어, 댐퍼 게이트(210)가 가이드 게이트(340)에 가이드되어 슈트(100) 내부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벨트 컨베이어(50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하부 벨트 컨베이어(500)의 좌측과 우측에는 사행 감지 센서(60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사행 감지 센서(600)는 벨트의 사행진행 방향을 감지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이, 사행 감지 센서(600)를 통해 벨트의 사행진행 방향을 감지함으로써 대차 프레임(310)의 진행 방향을 결정할 수 있어, 한 쌍의 댐퍼 게이트(210)를 하부 벨트 컨베이어(500)의 폭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 이동시켜, 이송물의 낙하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1000)는, 슈트(100)를 통하여 하부 벨트 컨베이어(500)로 이송물을 이송시, 슈트(100)의 이송경로 내측에 한 쌍의 댐퍼 게이트(210)를 구비한 댐퍼 게이트부(200)를 설치함으로써, 이송물의 하중에 의해 이송물이 고착되거나 겨울철 동결 등으로 게이트의 개폐가 원활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한 쌍의 댐퍼 게이트(210)가 하부 벨트 컨베이어(500)의 폭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 이동됨으로써, 이송물의 낙하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하부 벨트 컨베이어(500) 상의 이송물의 편적으로 인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0: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
100: 슈트
200: 댐퍼 게이트부
210: 댐퍼 게이트
220: 지지프레임
230: 제1 동력부
300: 댐퍼 게이트 이동부
310: 대차 프레임
320: 바퀴
330: 제2 동력부
340: 가이드 게이트
350: 지지부
360: 레일
400: 하부 슈트
500: 하부 벨트 컨베이어
600: 사행 감지 센서

Claims (8)

  1. 이송물을 하부로 전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슈트;
    상기 슈트 하부에 이송경로를 갖도록 결합되고, 한 쌍의 평행한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이송경로를 개폐하는 한 쌍의 댐퍼 게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슈트로부터 전달된 이송물을 하부 벨트 컨베이어로 전달하는 댐퍼 게이트부; 및
    한 쌍의 상기 댐퍼 게이트를 상기 하부 벨트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이송물의 낙하방향을 조절하는 댐퍼 게이트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 게이트부는,
    한 쌍의 상기 댐퍼 게이트가 한 쌍의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댐퍼 게이트의 중심과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탑재되고, 상기 댐퍼 게이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동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 게이트 이동부는,
    상기 하부 벨트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이 같이 이동하도록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을 연결시키는 대차 프레임;
    상기 대차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레일 상에서 활주하는 바퀴; 및
    상기 대차 프레임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제2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게이트는 부채꼴 형상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은 부채꼴 형상의 상기 댐퍼 게이트의 두 반지름이 만나는 중심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게이트 이동부는,
    상기 하부 벨트 컨베이어의 좌측 사행 이동 또는 우측 사행 이동에 따라, 한 쌍의 상기 댐퍼 게이트를 상기 하부 벨트 컨베이어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이동 또는 우측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력부는,
    일단이 상기 댐퍼 게이트의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동력부가 길이방향으로 신축 운동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해 상기 댐퍼 게이트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게이트 이동부는,
    상기 대차 프레임의 이동에 연동되어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이 이동시, 상기 지지프레임에 힌지결합된 상기 댐퍼 게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슈트의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게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력부는,
    일단이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상기 대차 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슈트의 외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제2 동력부가 길이방향으로 신축 운동함으로써 상기 슈트에 대해 상기 대차 프레임을 상기 하부 벨트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직선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
KR1020140096410A 2014-07-29 2014-07-29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 KR101606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410A KR101606997B1 (ko) 2014-07-29 2014-07-29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410A KR101606997B1 (ko) 2014-07-29 2014-07-29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330A KR20160014330A (ko) 2016-02-11
KR101606997B1 true KR101606997B1 (ko) 2016-03-28

Family

ID=55351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410A KR101606997B1 (ko) 2014-07-29 2014-07-29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9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13047A1 (de) * 2019-05-17 2020-11-19 King Arthur Industries Co., Ltd. Quantitativer Materialzufuhrmechanism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8537Y2 (ja) * 1992-02-20 1997-03-12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ダンパー付き収納バケット
KR101277490B1 (ko) * 2011-08-29 2013-06-21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JP2013148404A (ja) * 2012-01-18 2013-08-01 Daiho Constr Co Ltd 汚染土壌搬出設備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016Y1 (ko) * 1987-04-07 1990-02-10 이창열 호퍼(Hopper)용 개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8537Y2 (ja) * 1992-02-20 1997-03-12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ダンパー付き収納バケット
KR101277490B1 (ko) * 2011-08-29 2013-06-21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JP2013148404A (ja) * 2012-01-18 2013-08-01 Daiho Constr Co Ltd 汚染土壌搬出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330A (ko)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9486B2 (en) Right angle transfer
ES2783284T3 (es) Sistemas transportadores ajustables
CN105564885A (zh) 可变角度的输送带装置
KR101606997B1 (ko)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
EP2010441A2 (en) Conveyor diverter
KR20060001881A (ko) 원료이송벨트컨베이어용 무빙커버
CN110606347A (zh) 传输机及运货小车
US10683174B2 (en) Rotary discharge assembly for grain conveying apparatus
KR101129280B1 (ko) 벨트 컨베이어
US1982824A (en) Unloading mechanism for belt conveyers
KR101167171B1 (ko) 슈트 개폐장치
RU2016109481A (ru) Тележка для перегрузки материалов
JP2012020810A (ja) ベルトコンベヤ
KR101294916B1 (ko) 운송물 처리장치
KR20020049179A (ko) 수송 컨베이어의 2방향 슈트 댐퍼장치
TW202017831A (zh) 型鋼輸送橫移系統
KR20190134118A (ko) 벨트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씰 커버장치
KR20190134119A (ko) 벨트 컨베이어용 지퍼형 커버장치
KR101320658B1 (ko) 트리퍼카의 주행밀림 방지장치
CN103350857B (zh) 皮带输送机
KR102213979B1 (ko)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KR102133110B1 (ko)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KR20160006324A (ko) 벨트컨베이어의 수송물 편적방지장치
JP4530985B2 (ja) 粉粒体搬送用フローコンベヤの排出口構造
KR200410441Y1 (ko) 원료이송벨트컨베이어용 무빙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