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707B1 - 하부폭 변형이 가능한 슈트장치 - Google Patents
하부폭 변형이 가능한 슈트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29707B1 KR100829707B1 KR1020010073703A KR20010073703A KR100829707B1 KR 100829707 B1 KR100829707 B1 KR 100829707B1 KR 1020010073703 A KR1020010073703 A KR 1020010073703A KR 20010073703 A KR20010073703 A KR 20010073703A KR 100829707 B1 KR100829707 B1 KR 1008297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ute
- belt conveyor
- falling
- rectangular plate
- trans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02—Chutes of straight form
- B65G11/026—Chutes of straight form for bul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u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강산업용 원료 또는 연료의 수송물을 이송하기 위한 상부벨트 컨베이어와 하부벨트 컨베이어 사이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슈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상부벨트 컨베이어의 배출부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이 관통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담퍼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슈트부; 상기 상부슈트부를 관통하여 낙하하는 수송물이 통과하도록 상기 상부슈트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역전된 절두원추형상의 원형슈트와, 상기 원형슈트의 하부 외주연을 따라서 고정설치된 고정링에 연속하여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원형상의 배출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직사각형 판재와, 상기 직사각형 판재의 하부 외주연에 고정설치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접철부; 상기 접철부와 상기 하부벨트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직사각형 판재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슈트부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의 낙하량이 많은 경우에 상기 접철부의 배출부의 직경은 확대되고 상기 상부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의 낙하량이 적은 경우에 상기 접철부의 배출부의 직경은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서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형슈트, 고정링, 접철부, 스프링
Description
도 1는 일반적인 슈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는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슈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슈트장치의 고정링과 직사각형 판재의 결합부위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슈트장치가 벨트 컨베이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슈트장치의 접철부의 하단부가 확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슈트장치의 접철부의 하단부가 축소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4 : 하부슈트
17 : 직사각형 판재
19 : 스프링
20 : 결합핀
27 : 원형슈트
본 발명은 상부벨트 컨베이어와 하부벨트 컨베이어 사이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슈트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슈트장치의 담파에 충돌하여 낙하하는 수송물이 하부벨트 컨베이어에 편기 또는 편적되어 하부벨트 컨베어이가 사행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송물의 양에 따라 접철되어 슈트장치의 하부폭을 변경시킴으로써 수송물이 편기 또는 편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하부폭 변형이 가능한 슈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사용하는 연료 또는 원료인 철광석 또는 석탄을 대량으로 수송하기 위하여 벨트 컨베이어가 이용된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상부벨트 컨베이어(10)에 의해서 이송되는 철광석 또는 석탄과 같은 수송물(15)은 슈트(11)를 통해서 하부벨트 컨베이어(10-1)로 낙하된다. 이때, 낙하하는 수송물(15)의 낙하강도 및 낙하분포를 조정하기 위하여 슈트(11)에는 조정레베(16)에 의해서 위치조정되는 담파(13)가 제공된다. 따라서, 수송물(15)의 종류, 수분함유량 및 비중과 슈트장치내 설비상태 또는 수송물의 낙하각도 등에 의하여 낙하하는 수송물(15)이 하부벨트 컨베이어(10-1) 상에 편적 또는 편기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슈트(11)의 조정레버(16)를 조작하여 담파(13)에 의해서 수송물(15)은 하부벨트 컨베이어(10-1)의 중앙부위로 낙하하도록 유도된다.
그러나, 수송물(15)의 낙하량이 과다한 경우에는 담파(13)에 의해서 수송물의 낙하분포가 조정되지 못하고 수송물(15)이 하부벨트 컨베이어(10-1) 상에 편적됨으로써 하부벨트 컨베이어(10-1)가 사행하였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벨트 컨베이어(10-1)가 수송물의 낙하 등에 의하여 사행되는 경우에는 롤러스탠드(19)가 경사진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을 조정하기 위하여,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서 롤러스탠드(19)를 평행한 상태로 복귀시키거나 또는 가이드 롤러(23)에 의해서 벨트 컨베이어의 양측면이 가이드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안전사고발생을 야기시키고 또한 롤러스탠드(19)의 베어링축이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충격력에 견디지 못하고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이 발생되면 벨트 컨베이어의 손상과, 설비파손과, 수송물의 낙광으로 인한 환경오염발생과, 벨트 컨베이어의 기동정지에 따른 조업지연 등을 야기시킴으로써 설비가동효율이 저하되어 철강제품의 원가상승의 원인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수송되는 수송물의 수송량에 따라서 하부폭이 변결될 수 있도록 접철식 슈트를 이용하여 낙하하는 수송물을 하부벨트 컨베이어의 중앙부분으로 유도함으로써 수송물의 편기 또는 편적으로 인한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을 방지하고 그 결과 설비손상을 방지하고 수송물의 낙광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또한 설비가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부폭 변형이 가능한 슈트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철강산업용 원료 또는 연료의 수송물을 이송하기 위한 상부벨트 컨베이어와 하부벨트 컨베이어 사이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슈트장치는 상기 상부벨트 컨베이어의 배출부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이 관통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담퍼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슈트부; 상기 상부슈트부를 관통하여 낙하하는 수송물이 통과하도록 상기 상부슈트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역전된 절두원추형상의 원형슈트와, 상기 원형슈트의 하부 외주연을 따라서 고정설치된 고정링에 연속하여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원형상의 배출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직사각형 판재와, 상기 직사각형 판재의 하부 외주연에 고정설치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접철부; 상기 접철부와 상기 하부벨트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직사각형 판재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슈트부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의 낙하량이 많은 경우에 상기 접철부의 배출부의 직경은 확대되고 상기 상부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의 낙하량이 적은 경우에 상기 접철부의 배출부의 직경은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서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고 동일 구성은 동일 도면번호를 채택한다.
먼저, 상부벨트 컨베이어(10)에 의해서 수송되는 철강산업용 원료 또는 연료와 같은 수송물은 본 발명에 따른 슈트장치를 관통하여 하부벨트 컨베이어(10-1)에 낙하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하부폭 변형이 가능한 슈트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부벨트 컨베이어(10)의 배출단에 설치되는 상부슈트부와 하부벨트 컨베이어(10-1)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슈트부와, 상기 상부슈트부와 하부슈트부 사이에 설치되는 접철부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슈트부는 상부벨트 컨베이어(10)의 풀리(12)를 수용하도록 상부벨트 컨베이어(10)의 배출단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슈트(11)를 갖는다. 상부벨트 컨베이어(1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슈트(11)의 일측면에는 담파(13)가 제공되고, 담파(13)는 조정레버(16)의 조작에 의해서 조정된다.
상기 접철부는 슈트(11)의 하부에 위치하는 원형슈트(27)를 갖는다. 원형슈트(27)의 상단부는 슈트(11) 하부의 배출단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직경을 갖는다. 원형슈트(27)는 그의 직경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전된 절두원추형상으로 제작된다. 원형슈트(27) 하부의 외주연에는 원형의 고정링(18)이 고정설치된다. 고정링(18)에는 복수개의 직사각형 판재(17)가 결합핀(22)을 통해서 결합된다. 직사각형 판재(17)들은 고정링(18)에 현수된 상태로 서로에 대해 중첩되도록 설치된다. 즉, 직사각형 판재(17)의 상단부에는 하부링크(21)가 부착되어 있고 이러한 하부링크(21)의 상부에는 결합핀(22)을 통해서 상부링크(20)가 연결된다. 상부링크(20)의 상부에는 고정링(18)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링크 상부의 관통구에 고정링(18)을 삽입시킴으로써 직사각형 판재(17)는 현수된 상태로 고정링(18)에 결합된다.
한편, 고정링(18)을 따라서 현수되어 있는 직사각형 판재(17)들의 하부 외측면에는 탄성부재(19)가 고정설치된다. 바람직하게 탄성부재(19)는 스프링일 수 있다. 즉, 직사각형 판재(17) 각각의 외측면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형상의 가이드판(26)이 부착되어 있고 스프링(19)을 가이드판(26)의 구멍에 관통시킴으로써 직사각형 판재(17)의 외측면은 스프링(19)에 의해서 감싸진다. 따라서, 스프링(19)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직사각형 판재(17)의 하부직경은 그의 상부직경보다 작게 유지된다. 이러한 직사각형 판재(17)의 하부직경은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부벨트 컨베이어(10)로부터 낙하되는 수송물의 낙하량이 과량인 경우에 확대된다.
한편, 상기 하부슈트부는 하부벨트 컨베이어(10-1)의 상부에 설치되는 소정형상의 하부슈트(14)를 갖는다. 하부슈트(14)의 상부에는 직사각형 판재(17)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14-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벨트 컨베이어(10)의 배출부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은 상부슈트부의 슈트(11)와 절첩부의 원형슈트(27) 및 직사각형 판재(17)와, 하부슈트(14)를 관통하여 하부벨트 컨베이어(10-1)로 낙하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부폭 변형이 가능한 슈트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철강산업용 연료 또는 원료와 같은 수송물을 이송하기 위하여 상부벨트 컨베이어(10)를 가동한다. 그리고, 상부벨트 컨베이어(10)의 배출부에 위치하는 상부슈트부의 풀리(12)에서 낙하하는 수송물(15)은 접철부의 원형슈트(27) 및 직사각형 판재(17)와 하부슈트부를 관통하여 하부벨트 컨베이어(10-1) 상에 안착된다.
이때, 상부벨트 컨베이어(10)의 배출부에서 낙하하는 수송물(15)의 낙하량이 과다한 경우에 직사각형 판재(17)의 하부의 직경이 확대되어 상기 접철부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수송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접철부 하단부의 최대직경(A; 도 7 참조)이 스프링(19)에 의해서 제한되므로 수송물(15)이 과다하게 낙하하여도 하부벨트 컨베이어(10-1) 상에 안착되는 수송물(15)의 안착량은 제한된다. 또한 최대직경을 갖는 접철부 하단부가 하부슈트부에 형성된 홈(14-1)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수송물이 하부벨트 컨베이어(10-1) 상에서 편기 또는 편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철부 하단부를 통해서 수송물이 배출되므로 접철부 하단부의 직경은 스프링(19)의 복원력에 의하여 축소된다.
한편, 상부벨트 컨베이어(10)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의 낙하량이 적은 경우에는 도 8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접철부 하단부는 최소직경(B)을 유지하며, 이러한 접철부 하단부가 하부슈트부에 형성된 홈(14-1) 내에 위치하므로 수송물이 하부벨트 컨베이어(10-1) 상에서 편기 또는 편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의 낙하량이 과다한 경우에도 하부벨트 컨베이어 상에 안착되는 수송물의 안착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또한 낙하하는 수송물이 하부벨트 컨베이어의 중앙부위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하부벨트 컨베이어가 사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설비 가동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낙광에 의한 환경오염을 제거하며 벨트 컨베이어와 설비의 수명을 연장시킴으로써 원가절감 등의 효과가 있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Claims (3)
- 철강산업용 원료 또는 연료의 수송물(15)을 이송하기 위한 상부벨트 컨베이어(10)와 하부벨트 컨베이어(10-1) 사이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슈트장치에 있어서,상기 상부벨트 컨베이어(10)의 배출부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15)이 관통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담퍼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슈트부;상기 상부슈트부를 관통하여 낙하하는 수송물(15)이 통과하도록 상기 상부슈트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역전된 절두원추형상의 원형슈트(27)와, 상기 원형슈트(27)의 하부 외주연을 따라서 고정설치된 고정링(18)에 연속하여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원형상의 배출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직사각형 판재(17)와, 상기 직사각형 판재(17)의 하부 외주연에 고정설치된 탄성부재(19)로 이루어진 접철부;상기 접철부와 상기 하부벨트 컨베이어(10-1)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직사각형 판재(17)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14-1)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슈트부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벨트 컨베이어(10)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15)의 낙하량이 많은 경우에 상기 접철부의 배출부의 직경은 확대되고 상기 상부벨트 컨베이어(10)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15)의 낙하량이 적은 경우에 상기 접철부의 배출부의 직경은 상기 탄성부재(19)의 복원력에 의해서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폭 변형이 가능한 슈트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직사각형 판재(17)의 하부 외측면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판(26)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19)는 상기 가이드판(26)의 구멍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폭 변형이 가능한 슈트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직사각형 판재(17)의 상단부에는 일정 크기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링크(20)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고정링(18)을 상기 링크(20)의 관통구에 관통시킴으로써 상기 직사각형 판재(17)는 상기 고정링(18)에 현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폭 변형이 가능한 슈트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73703A KR100829707B1 (ko) | 2001-11-26 | 2001-11-26 | 하부폭 변형이 가능한 슈트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73703A KR100829707B1 (ko) | 2001-11-26 | 2001-11-26 | 하부폭 변형이 가능한 슈트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42887A KR20030042887A (ko) | 2003-06-02 |
KR100829707B1 true KR100829707B1 (ko) | 2008-05-14 |
Family
ID=29571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73703A KR100829707B1 (ko) | 2001-11-26 | 2001-11-26 | 하부폭 변형이 가능한 슈트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2970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0734B1 (ko) * | 2018-12-17 | 2020-03-19 |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 연속식 하역기의 센트럴슈트 |
KR20200046547A (ko) * | 2018-10-25 | 2020-05-07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용 슈트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7490B1 (ko) * | 2011-08-29 | 2013-06-21 | 현대제철 주식회사 |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50861Y1 (ko) * | 1995-10-24 | 1999-07-15 | 이기동 | 벨트 컨베이어 슈트 |
-
2001
- 2001-11-26 KR KR1020010073703A patent/KR10082970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50861Y1 (ko) * | 1995-10-24 | 1999-07-15 | 이기동 | 벨트 컨베이어 슈트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6547A (ko) * | 2018-10-25 | 2020-05-07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용 슈트장치 |
KR102110685B1 (ko) * | 2018-10-25 | 2020-05-13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용 슈트장치 |
KR102090734B1 (ko) * | 2018-12-17 | 2020-03-19 |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 연속식 하역기의 센트럴슈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42887A (ko) | 2003-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29707B1 (ko) | 하부폭 변형이 가능한 슈트장치 | |
KR20090059619A (ko) | 벨트용 컨베이어 롤러의 탄성장치 | |
WO2000043300A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veying packages in a manner minimizing jams | |
KR100960998B1 (ko) | 컨베이어 롤러 스탠드 | |
JPH06234411A (ja) | サイズの異なる物品のための線形供給器 | |
US5404991A (en) | Article orienting device | |
KR200331979Y1 (ko) | 스테커의 편적 및 낙광 방지장치 | |
TWI820387B (zh) | 承接板、轉運部滑槽、搬運裝置以及搬運方法 | |
KR100779648B1 (ko) | 과다낙광 조절장치 | |
KR100794745B1 (ko) | 낙광 방지용 원료이송장치 | |
KR200176544Y1 (ko) | 텐션 웨이트 낙하방지장치 | |
KR100977775B1 (ko) | 조광조 트리퍼의 벨트 보호장치 | |
CN207192218U (zh) | 一种垃圾炉渣缓冲装置 | |
KR100729095B1 (ko) | 에이프런 피더 슈트의 댐퍼 장치 | |
KR101016322B1 (ko) | 이송 벨트 가이드 장치 | |
KR100815800B1 (ko) |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 |
JP5321220B2 (ja) | コイル反転装置 | |
KR200212828Y1 (ko) | 하역기 셔틀 하부 낙광방지용 컨베이어형 주름 스커트 장치 | |
KR20020041925A (ko) |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용 캐리어 스탠드 | |
KR200205982Y1 (ko) | 리크레이머의 편적방지용 댐퍼장치 | |
JP2015063368A (ja) | 豆類の搬送装置 | |
KR101223111B1 (ko) | 벨트콘베이어의 운송물 낙하 방지 장치 | |
KR20020039566A (ko) |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 | |
KR100524610B1 (ko) | 슈트의 호울 개폐장치 | |
KR200155669Y1 (ko) | 벨트 컨베이어의 뒤집힘 방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