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2968A -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2968A
KR20130022968A KR1020110086044A KR20110086044A KR20130022968A KR 20130022968 A KR20130022968 A KR 20130022968A KR 1020110086044 A KR1020110086044 A KR 1020110086044A KR 20110086044 A KR20110086044 A KR 20110086044A KR 20130022968 A KR20130022968 A KR 20130022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rt
fixing
case
dispose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현
노정호
허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6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2968A/ko
Priority to EP12162163A priority patent/EP2562597A1/en
Priority to US13/546,319 priority patent/US20130050660A1/en
Priority to CN2012103010701A priority patent/CN102955345A/zh
Publication of KR20130022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9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with means for compensating for changes in temperature o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rmal stabili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G02B7/18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comprising means for aligning the optical axis
    • G02B7/1824Manual alignment
    • G02B7/1825Manual alignment made by screws, e.g. for laser mirr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프로젝터가 개시된다. 본 프로젝터는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부, 투사부를 지지하는 케이스, 곡률을 가지는 반사면이 투사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광을 반사하는 반사 미러, 반사면의 외측 영역에서 반사 미러의 중심 축 상에 배치되어, 반사 미러를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 및 반사면의 외측 영역에서 제1 고정부를 중심으로 삼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반사 미러를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제2 및 제3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젝터 {Projector}
본 발명은 프로젝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젝터 내부의 온도 상승으로 프로젝터 내부에 구비된 반사 미러의 열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터(projector), 프로젝션 시스템(projection system) 등은 입력받은 영상신호를 광원(예를 들어, LED 또는 램프)에서 방출되는 빛을 이용하여 스크린(screen)에 투영시켜 화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로 회의실의 프레젠테이션(presentation), 극장의 영사기, 가정의 홈시어터(home theater) 등을 구현하는데 이용된다.
종래의 프로젝터는 투사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스크린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영상을 투사하였다. 이러한 프로젝터의 경우, 투사 거리 내로 사람이 지나가면 스크린에 투영된 영상의 일부가 가려지고, 좁은 실내에서 대형 화면을 표시하는데 일정한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초단초점 프로젝터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초단초점 프로젝터는 근접 투사를 위해 스크린으로 영상을 투사하기 전에 화면의 배율과 영상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반사 미러를 이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반사 미러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프로젝터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면 열적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반사 미러의 곡률 및 각도가 변경되어 스크린에 투영된 영상이 왜곡되고 화질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프로젝터 내부의 온도 상승으로 프로젝터 내부에 구비된 반사 미러의 열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반사 미러의 소정 위치에 케이스와 연결되는 고정부를 형성하여 프로젝터 내부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반사 미러의 열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로젝터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는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부, 상기 투사부를 지지하는 케이스, 곡률을 가지는 반사면이 상기 투사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광을 반사하는 반사 미러, 상기 반사면의 외측 영역에서 상기 반사 미러의 중심 축 상에 배치되어, 상기 반사 미러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반사면의 외측 영역에서 상기 제1 고정부를 중심으로 삼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반사 미러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제2 및 제3 고정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반사 미러는, 오목하게 형성된 굴절 면을 가지는 비구면 미러이며, 상기 반사면은, 상기 굴절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반사 미러에서 상기 반사면의 외측 영역의 상단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반사면의 외측 영역에서 좌측 하단부 및 우측 하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고정부를 중심으로 삼각형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반사 미러의 가장자리에서 곡률이 변경되는 지점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2 고정부와 연결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3 고정부와 연결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3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 미러의 연결 각도는 상기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 돌출부 사이의 연결 상태, 상기 제3 고정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의 연결 상태에 의해 조정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반사 미러에서 상기 반사면의 외측 영역의 하단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반사면의 외측 영역에서 좌측 상단부 및 우측 상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고정부를 중심으로 역 삼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반사면의 외측 영역에서 좌측 상단부의 모서리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반사면의 외측 영역에서 우측 상단부의 모서리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연결되는 제1 돌출부, 상기 제2 고정부와 연결되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3 고정부와 연결되는 제3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제3 돌출부와 상기 제3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 미러의 연결 각도는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의 연결 상태,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의 연결 상태, 상기 제3 고정부와 상기 제3 돌출부 사이의 연결 상태에 의해 조정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 고정부는, 각각 상기 반사면의 외측 영역에 형성된 홀 및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 미러의 배면과 상기 케이스는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반사 미러의 배면과 상기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반사 미러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서 상기 반사 미러와 접촉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반사 미러의 소정 위치에 케이스와 고정되는 고정부를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젝터 내부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반사 미러의 열적 변형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 투사부에서 투사되는 빔이 닿는 영역의 휨과 기울어짐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반사 미러를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반사 미러를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 미러와 케이스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6a 내지 도 6f는 반사 미러를 고정하는 다양한 체결 위치에 따른 열적 변형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로젝터(100)는 투사부(110), 반사 미러(120) 및 케이스(130)를 포함하며, 스크린(10) 전면에 배치되어 근접 투사가 가능한 초단초점 프로젝터일 수 있다.
투사부(110)는 영상을 투사한다. 구체적으로, 투사부(110)는 램프 또는 LED와 같은 광원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미도시)에 기저장된 영상을 스크린(10)으로 투사할 수 있다.
이 경우, 투사부(110)는 대향 배치된 반사 미러(120)로 화상에 따른 광을 투사하고, 반사 미러(120)는 투사된 광을 반사하여 스크린(10)에 결상되도록 할 수 있다.
반사 미러(120)는 곡률을 가지는 반사면이 투사부(110)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광을 반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반사 미러(120)는 오목하게 형성된 굴절 면을 가지는 비구면 미러일 수 있으며, 반사면은 굴절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반사 미러(120)의 일 면(즉, 투사부(110)를 향하도록 배치된 면)에는 알루미늄, 은 등의 금속 부재층, 고 반사성 부재층, 또는 유전체 다층막 등을 이용하여 투사된 영상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투사부(110)에서 투사된 영상은 반사면을 통해 반사되어 스크린(10)으로 투사되게 된다.
여기에서, 투사부(110)에서 투사되는 영상이 반사면 상에서 닿는 영역을 유효면(미도시)이라 할 수 있다.
즉, 반사 미러(120)의 반사면의 오목한 정도, 투사부(110)와의 거리, 투사부(110)에 기울어진 정도 등을 이용하여, 투사부(110)에 의해 투사된 영상이 스크린(10)에 투영되는 배율 및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반사 미러(120)는 케이스(130)와 고정되는 제1 내지 제3 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는 반사면의 외측 영역에서 반사 미러(120)의 중심 축 상에 배치되어, 반사 미러(120)를 케이스(130)에 고정시키며, 제2 및 제3 고정부는 반사면의 외측 영역에서 제1 고정부를 중심으로 삼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반사 미러(120)를 케이스(1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외측 영역이란, 반사면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고정부는 반사 미러(120)에서 반사면의 외측 영역의 상단 중심부에 배치되고, 제2 및 제3 고정부는 반사면의 외측 영역에서 좌측 하단부 및 우측 하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제1 고정부를 중심으로 삼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고정부 내지 제3 고정부는 이등변 삼각형 또는 정 삼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제2 및 제3 고정부는 반사 미러(120)의 가장자리에서 곡률이 변경되는 지점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제1 고정부는 반사 미러(120)에서 반사면의 외측 영역의 하단 중심부에 배치되고, 제2 및 제3 고정부는 반사면의 외측 영역에서 좌측 상단부 및 우측 상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제1 고정부를 중심으로 역삼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고정부 내지 제3 고정부는 이등변 역삼각형 또는 정 역삼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제2 고정부는 반사면의 외측 영역에서 좌측 상단부의 모서리 지점에 배치되고, 제3 고정부는 반사면의 외측 영역에서 우측 상단부의 모서리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고정부는 반사면의 외측 영역에 형성된 홀 및 홀을 관통하여 케이스(130)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홀 및 연결 부재는 나사 홈 및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반사 미러(120)를 케이스(1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 고정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케이스(130)는 투사부(110)와 반사 미러(120)를 지지한다. 이를 위해, 케이스(130)는 고정부와 연결되기 위한 돌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사 미러(120)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 돌출부와 고정부 사이에 탄성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3 고정부가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경우, 케이스(130)는 제2 고정부와 연결되는 제1 돌출부(미도시) 및 제3 고정부와 연결되는 제2 돌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각 돌출부는 제2 및 제3 고정부의 연결 부재와 연결되기 위한 홀을 가지며, 제1 고정부의 연결 부재는 케이스에 구비된 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30)는 제1 돌출부와 제2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미도시) 및 제2 돌출부와 제3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 미러(120)의 연결 각도는 제2 고정부 및 제1 돌출부 사이의 연결 상태, 제3 고정부와 제2 돌출부 사이의 연결 상태에 의해 조정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1 내지 제3 고정부가 역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경우, 케이스(130)는 제1 고정부와 연결되는 제1 돌출부(미도시), 제2 고정부와 연결되는 제2 돌출부(미도시) 및 제3 고정부와 연결되는 제3 돌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각 돌출부는 제1 내지 제3 고정부의 연결 부재와 연결되기 위한 홀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30)는 제1 돌출부와 제1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미도시), 제2 돌출부와 제2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미도시) 및 제3 돌출부와 제3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 미러(120)의 연결 각도는 제1 고정부 및 제2 돌출부 사이의 연결 상태, 제2 고정부와 제2 돌출부 사이의 연결 상태, 제3 고정부와 제3 돌출부 사이의 연결 상태에 의해 조정 가능하게 된다.
이들 실시 예에서, 연결 상태란, 고정부의 홀 및 돌출부(또는 케이스)의 홀을 관통하는 연결 부재의 조임 정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연결 부재의 조임 정도에 의해 반사 미러의 반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내지 제3 고정부가 삼각형 형상을 갖는 경우, 제1 고정부 및 제3 고정부에 마련된 연결 부재를 제2 고정부에 마련된 연결 부재보다 더 조여, 반사 미러가 우측 상 방향의 반사 각도를 갖게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특징은 제1 내지 제3 고정부가 역 삼각형 형상을 갖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 투사부(110) 및 반사 미러(120)는 케이스(130)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투사부와 반사 미러를 고정하는 내부 케이스를 별도로 구비하고, 내부 케이스를 하우징하는 별도의 외부 케이스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반사 미러(120)의 중심 축 상에 제1 고정부가 마련되고, 제1 고정부를 기준으로 삼각형 또는 역 삼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제2 및 제3 고정부가 마련됨은 전술한 바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제1 내지 제3 고정부를 이용하여 반사 미러(120)를 케이스(130)에 고정시키면, 프로젝터(10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여도 반사 미러(120)의 열적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내지 제3 고정부의 위치에 대해, 도 2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반사 미러를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배치된 제1 내지 제3 고정부를 이용하여 케이스에 고정된 반사 미러를 도시하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 미러의 정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반사 미러(200)의 중심 상단부에 제1 고정부(210)가 배치되고, 제1 고정부(210)를 중심으로 삼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반사 미러(200)의 좌측 하단부 및 우측 하단부 각각에 제2 고정부(220) 및 제3 고정부(23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고정부(210, 220, 230) 각각은 반사 미러(200)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구비된 홀 및 홀을 관통하는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반사 미러(200)를 케이스(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홀 및 홀을 관통하는 연결 부재는 나사 홈 및 나사일 수 있다.
케이스(300)는 제2 고정부(220)와 연결되는 제1 돌출부(310) 및 제3 고정부(230)와 연결되는 제2 돌출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310)는 제2 고정부(220)의 홀을 관통하는 연결 부재와 연결되기 위한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돌출부(320)는 제3 고정부(230)의 홀을 관통하는 연결 부재와 연결되기 위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300)는 제1 고정부(210)의 홀을 관통하는 연결 부재와 연결되기 위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돌출부(310, 320)의 홀은 나사 홈일 수 있다.
한편, 도 2b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반사 미러(200)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반사 미러(200)에는 투사부(도 1의 110)에서 투사된 영상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면(240)을 포함하고, 투사부(도 1의 110)에서 투사된 영상은 반사면(240)에 닿아 유효면(250)을 형성하며 스크린(도 1의 10)으로 반사된다.
제1 고정부(210)(구체적으로, 홀)는 반사면(240)의 외측 영역에서 상단 중심부에 배치되며, 제2 고정부(220)는 제1 고정부(210)를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반사면(240)의 외측 영역에서 좌측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고정부(230)는 제1 고정부(210)를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반사면(240)의 외측 영역에서 우측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반사면(240)의 중심에서 교차하는 가로 기준축(260)과 세로 기준축(270)을 기준으로, 제1 고정부(210)는 반사면(240)의 외측 영역에서 세로 기준축(270) 상에 배치되며, 제2 고정부(220)는 반사면(240)의 외측 영역에서 세로 기준축(270)의 좌측, 가로 기준축(26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고정부(230)는 반사면(240)의 외측 영역에서 세로 기준축(270)의 우측, 가로 기준축(26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고정부(220)와 제1 고정부(210) 사이의 간격과 제3 고정부(230)와 제1 고정부(210) 사이의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210)를 중심으로, 제1 고정부(210), 제2 고정부(220) 및 제3 고정부(230)가 배치된 위치는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제2 고정부(220)와 제1 고정부(210) 사이의 간격, 제3 고정부(230)와 제1 고정부(210) 사이의 간격 및 제2 고정부(220)와 제3 고정부(230) 사이의 간격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210)를 중심으로, 제1 고정부(210), 제2 고정부(220) 및 제3 고정부(230)가 배치된 위치는 정삼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고정부(210, 220, 230)는 반사면(240)의 외측 영역에 형성된 홀을 통해 반사 미러(200)와 케이스(300)를 고정하며, 이는 투사부(도 1의 110)에서 투사되어 스크린(10)에 반사되는 영상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220) 및 제3 고정부(230)는 반사 미러(200)의 가장자리에서 곡률이 변경되는 지점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반사 미러(200)에서 곡률이 변경되는 지점이 아니라도 제2 고정부(220) 및 제3 고정부(230)는 제1 고정부(210)를 기준으로 삼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고정부(210)는 케이스(300)에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 역시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케이스(300)가 제1 고정부(210)와 연결되는 별도의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돌출부(310, 320)가 케이스(300)의 하측면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 역시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제1 및 제2 돌출부(310, 320)는 케이스의 좌우 측면 또는 후면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반사 미러를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배치된 제1 내지 제3 고정부를 이용하여 케이스에 고정된 반사 미러를 도시하며,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사 미러의 정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반사 미러(400)의 중심 하단부에 제1 고정부(410)가 배치되고, 제1 고정부(410)를 중심으로 역 삼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반사 미러(200)의 좌측 상단부 및 우측 상단부 각각에 제2 고정부(420) 및 제3 고정부(43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고정부(410, 420, 430) 각각은 홀 및 홀을 관통하는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반사 미러(200)를 케이스(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홀 및 홀을 관통하는 연결 부재는 나사 홈 및 나사일 수 있다.
케이스(500)는 제1 고정부(420)와 연결되는 제1 돌출부(510), 제2 고정부(420)와 연결되는 제2 돌출부(420) 및 제3 고정부(430)와 연결되는 제3 돌출부(53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510)는 제1 고정부(410)의 홀을 관통하는 연결 부재와 연결되기 위한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돌출부(520)는 제2 고정부(420)의 홀을 관통하는 연결 부재와 연결되기 위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돌출부(530)는 제3 고정부(430)의 홀을 관통하는 연결 부재와 연결되기 위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돌출부(310, 320)의 홀은 나사 홈일 수 있다.
한편, 도 3b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반사 미러(400)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반사 미러(400)에는 투사부(도 1의 110)에서 투사된 영상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면(440)을 포함하고, 투사부(도 1의 110)에서 투사된 영상은 반사면(440)에 닿아 유효면(450)을 형성하며 스크린(도 1의 10)으로 반사된다.
제1 고정부(410)(구체적으로, 홀)는 반사면(440)의 외측 영역에서 하단 중심부에 배치되며, 제2 고정부(420)는 제1 고정부(410)를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반사면(440)의 외측 영역에서 좌측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고정부(430)는 제1 고정부(410)를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반사면(440)의 외측 영역에서 우측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반사면(440)의 중심에서 교차하는 가로 기준축(460)과 세로 기준축(470)을 기준으로, 제1 고정부(410)는 반사면(440)의 외측 영역에서 세로 기준축(470) 상에 배치되며, 제2 고정부(420)는 반사면(440)의 외측 영역에서 세로 기준축(470)의 좌측, 가로 기준축(46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고정부(430)는 반사면(440)의 외측 영역에서 세로 기준축(470)의 우측, 가로 기준축(46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고정부(420)와 제1 고정부(410) 사이의 간격과 제3 고정부(430)와 제1 고정부(410) 사이의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410)를 중심으로 제1 고정부(410), 제2 고정부(420) 및 제3 고정부(430)가 배치된 위치는 역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제2 고정부(420)와 제1 고정부(410) 사이의 간격, 제3 고정부(430)와 제1 고정부(410) 사이의 간격 및 제2 고정부(420)와 제3 고정부(430) 사이의 간격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410)를 중심으로 제1 고정부(410), 제2 고정부(420) 및 제3 고정부(430)가 배치된 위치는 역 정삼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고정부(410, 420, 430)는 반사면(440)의 외측 영역에 형성된 홀을 통해 반사 미러(400)와 케이스(500)를 고정하며, 이는 투사부(도 1의 110)에서 투사되어 스크린(10)에 반사되는 영상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420)는 반사면(440)의 외측 영역에서 좌측 상단부의 모서리 지점에 배치되고, 제3 고정부(430)는 반사면(440)의 외측 영역에서 우측 상단부의 모서리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410)를 기준으로 반사 미러(400)의 좌측 상단 및 우측 상단으로 가상의 선이 존재한다고 할 때, 제2 고정부(420) 및 제3 고정부(430)에 구비된 홀의 중심이 가상의 선과 접하도록 제2 고정부(420) 및 제3 고정부(430)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제2 고정부(420) 및 제3 고정부(430)가 좌측 상단부의 모서리 지점 및 우측 상단부의 모서리 지점에 각각 배치되지 않아도, 제2 고정부(420) 및 제3 고정부(430)는 제1 고정부(410)를 기준으로 역 삼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돌출부(510, 520, 530)가 케이스(500)의 하측 및 좌우측면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 역시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제1 내지 제3 돌출부(510, 520, 530)는 케이스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 미러와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단면도는 제1 고정부(510)가 반사 미러(500)의 중심 상단부에 배치되는 경우, 반사 미러(500)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반사 미러(500)와 케이스(6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에 따라, 제2 고정부 및 제3 고정부는 도시하지 않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미러(500)의 배면과 케이스(600)는 이격될 수 있다. 즉, 반사 미러(500)는 케이스(600)와 이격 배치되도록 제1 내지 제3 고정부를 통하여 케이스(6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반사 미러(500)의 배면과 케이스 사이에 공간에 배치되어 반사 미러를 지지하는 지지부(620) 및 지지부 상에서 반사 미러와 접촉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완충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완충부(630)는 고무, 스펀지(sponge) 등과 같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물질 외에도 탄성력을 갖는 다른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삼각형 또는 역 삼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된 제1 내지 제3 고정부를 통해, 프로젝터의 내부 온도 상승에 따른 반사 미러의 열적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은 전술한 바 있다.
또한, 지지부는 완충부를 통해 반사 미러를 지지한다는 점에서, 반사 미러에 열적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지지부가 반사 미러에 대한 힘점으로 작용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고정부가 반사 미러의 중심 상단부에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 역시 일 예에 불과하다. 제1 고정부가 반사 미러의 중심 하단부에 배치되는 실시 예에서도, 반사 미러의 배면과 케이스는 이격될 수 있으며, 반사 미러의 배면과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반사 미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별도의 지지부가 구비됨이 없이 제1 내지 제3 고정부를 통하여 반사 미러는 케이스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반사 미러의 배면과 케이스 사이의 공간은 비어있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고정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의 연결 부재(511)는 반사미러의 외측 영역(513)에 구비된 홀과 케이스에 구비된 홀을 관통하여, 반사미러를 케이스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홀이 형성된 영역과 케이스 사이에는 탄성 부재(515)가 배치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탄성 부재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력이 있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반사 미러의 중심 상단부에 마련된 고정부에 대해서 도시하였지만, 다른 고정부 즉, 케이스에 마련된 돌출부와 연결되는 고정부도 이와 동일한 구성을 갖을 수 있다. 즉, 돌출부와 연결되는 고정부들은 돌출부와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f는 반사 미러를 고정하는 다양한 체결 위치에 따른 열적 변형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6a 내지 도 6f에 도시된 도면은 반사 미러에 반사되고 남은 빛의 복사 에너지와 프로젝터 내부 환경 조건에 의해 열이 흡수된 열 분포도에 따른 열적 변형 모드를 나타낸다. 여기서, 열적 변형은 반사 미러의 휜 정도, 기울 어진 정도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e 및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체결위치에서 반사 미러를 고정하는 경우, 도 6a 내지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체결 위치에서 반사 미러를 고정하는 경우에 비해 열적 변형량이 최소화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 : 스크린 100 : 프로젝터
110 : 투사부 120 : 반사 미러
130 : 케이스

Claims (13)

  1.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부;
    상기 투사부를 지지하는 케이스;
    곡률을 가지는 반사면이 상기 투사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광을 반사하는 반사 미러;
    상기 반사면의 외측 영역에서 상기 반사 미러의 중심 축 상에 배치되어, 상기 반사 미러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반사면의 외측 영역에서 상기 제1 고정부를 중심으로 삼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반사 미러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제2 및 제3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미러는, 오목하게 형성된 굴절 면을 가지는 비구면 미러이며,
    상기 반사면은, 상기 굴절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반사 미러에서 상기 반사면의 외측 영역의 상단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반사면의 외측 영역에서 좌측 하단부 및 우측 하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고정부를 중심으로 삼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반사 미러의 가장자리에서 곡률이 변경되는 지점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2 고정부와 연결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3 고정부와 연결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3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 미러의 연결 각도는 상기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 돌출부 사이의 연결 상태, 상기 제3 고정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의 연결 상태에 의해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반사 미러에서 상기 반사면의 외측 영역의 하단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반사면의 외측 영역에서 좌측 상단부 및 우측 상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고정부를 중심으로 역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반사면의 외측 영역에서 좌측 상단부의 모서리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반사면의 외측 영역에서 우측 상단부의 모서리 지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연결되는 제1 돌출부;
    상기 제2 고정부와 연결되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3 고정부와 연결되는 제3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
    상기 제3 돌출부와 상기 제3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 미러의 연결 각도는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의 연결 상태,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의 연결 상태, 상기 제3 고정부와 상기 제3 돌출부 사이의 연결 상태에 의해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고정부는, 각각 상기 반사면의 외측 영역에 형성된 홀 및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미러의 배면과 상기 케이스는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미러의 배면과 상기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반사 미러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서 상기 반사 미러와 접촉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KR1020110086044A 2011-08-26 2011-08-26 프로젝터 KR2013002296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044A KR20130022968A (ko) 2011-08-26 2011-08-26 프로젝터
EP12162163A EP2562597A1 (en) 2011-08-26 2012-03-29 Projector with reflector
US13/546,319 US20130050660A1 (en) 2011-08-26 2012-07-11 Projector
CN2012103010701A CN102955345A (zh) 2011-08-26 2012-08-22 投影仪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044A KR20130022968A (ko) 2011-08-26 2011-08-26 프로젝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968A true KR20130022968A (ko) 2013-03-07

Family

ID=45936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044A KR20130022968A (ko) 2011-08-26 2011-08-26 프로젝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050660A1 (ko)
EP (1) EP2562597A1 (ko)
KR (1) KR20130022968A (ko)
CN (1) CN10295534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72662A (zh) * 2013-09-10 2013-12-25 常熟市董浜镇华进电器厂 家庭投影幕
KR102046473B1 (ko) * 2017-03-08 2019-11-19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FR3064079B1 (fr) * 2017-03-17 2019-08-23 Valeo Comfort And Driving Assistance Dispositif de reflexion optique pour afficheur tete-haute de vehicule automobile, afficheur tete-haute et procede de reglage
JP2019056926A (ja) * 2018-12-17 2019-04-11 株式会社nittoh 曲面ミラーの調整装置
JP2019091073A (ja) * 2019-02-07 2019-06-13 株式会社nittoh 曲面ミラーの調整装置、及び投射光学系
JP3224066U (ja) 2019-09-10 2019-11-21 株式会社島津製作所 角度調整機構、またはそれを備えたフーリエ変換赤外分光光度計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9501A (ja) * 1997-05-21 1998-12-04 Canon Inc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モニタ
US6935747B2 (en) * 1999-04-27 2005-08-30 Optical Products Development Image enhancement and aberration corrections in a small real image projection system
JP3814460B2 (ja) * 2000-04-13 2006-08-30 三菱電機株式会社 反射鏡調整機構
JP3727543B2 (ja) * 2000-05-10 2005-12-14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2002207155A (ja) * 2001-01-05 2002-07-26 Canon Inc 光学素子の保持構造および光学素子の保持構造の形成方法
JP2002341229A (ja) * 2001-05-14 2002-11-27 Canon Inc ミラー素子の保持構造
JP3643810B2 (ja) * 2002-01-28 2005-04-27 三洋電機株式会社 背面投写型映像表示装置のミラー保持機構
JP3838983B2 (ja) * 2003-02-27 2006-10-25 Necビュ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装置
US7686458B2 (en) * 2004-08-18 2010-03-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upporting mechanism of reflector and projection apparatus
JP2007041529A (ja) * 2005-06-30 2007-02-15 Konica Minolta Opto Inc 投射光学系の製造方法及び投射光学系
US7255447B2 (en) * 2005-07-15 2007-08-14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projection mirror adjustment
JP4933083B2 (ja) * 2005-11-04 2012-05-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投写型映像表示装置とその投写光学ユニット
JP2008090257A (ja) * 2006-06-30 2008-04-17 Konica Minolta Opto Inc 投射ユニット
US20080002158A1 (en) * 2006-06-30 2008-01-03 Pentax Corporation Projection Device
WO2008152970A1 (ja) * 2007-06-14 2008-12-18 Konica Minolta Opto, Inc. 自由曲面光学素子、成形用金型及び光学装置
JP5541904B2 (ja) * 2009-11-13 2014-07-09 三菱電機株式会社 反射体の取付け構造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JP2011186434A (ja) * 2010-02-10 2011-09-22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投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62597A1 (en) 2013-02-27
CN102955345A (zh) 2013-03-06
US20130050660A1 (en)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9351B1 (en) Spherical image projection system using a convex reflecting image dispersing element
KR20130022968A (ko) 프로젝터
JP4289122B2 (ja) 反射型スクリーン及び表示装置
US84442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visible speckle in a projection visual display system
US7667893B2 (en) Microlens front projection screen
JP5427961B2 (ja) デスクトップ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2006317708A (ja) 空中浮遊映像投影装置
WO2018154849A1 (ja) 空中映像出力装置
US9453955B2 (en) Projection system
TWM577512U (zh) Short focal length projection anti-light curtain
JPH05150368A (ja) 反射型スクリーン
US11677915B2 (en) Image display device
GB2575864A (en) Deep view display screen
JP2013064876A (ja) 画像表示装置
JP2009145447A (ja) スクリーン及び投射システム
JP2019113726A (ja) スクリーン及び投影システム
JP2013061375A (ja) 画像表示装置
KR20120069180A (ko) 가변 되는 단초점 프로젝터용 반사스크린
WO2022209986A1 (ja) 表示装置
JP4954296B2 (ja) 透過型スクリーン、投写型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CN112255874A (zh) 一种折反射式侧向投影屏幕及投影系统
JP2004294496A (ja) 投影システム
JP2023003980A (ja) 空中映像表示装置
US20030048391A1 (en) Projection television having an improved mirror system
CN112255873A (zh) 一种全反射式侧向投影屏幕及投影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