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2362A -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2362A
KR20130022362A KR1020120013371A KR20120013371A KR20130022362A KR 20130022362 A KR20130022362 A KR 20130022362A KR 1020120013371 A KR1020120013371 A KR 1020120013371A KR 20120013371 A KR20120013371 A KR 20120013371A KR 20130022362 A KR20130022362 A KR 20130022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urrent
power switch
circui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1913B1 (ko
Inventor
지운훙 판
치엔푸 탕
아이작 와이 첸
Original Assignee
리치테크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치테크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리치테크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22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7/00Modulating pulses with a continuously-variable modulating signal
    • H03K7/08Duration or width modulation ; Duty cycl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9Devices or circuits for detecting current in a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6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with means for compensating against rapid load changes, e.g. with auxiliary current source, with dual mode control or with inductance vari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02M3/3351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with digital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02M3/3352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with galvanic isolation between input and output of both the power stage and the feedback loo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3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of the forward type
    • H02M3/3354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of the forward typ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2005/00013Delay, i.e. output pulse is delayed after input pulse and pulse length of output pulse is dependent on pulse length of input pulse
    • H03K2005/00019Variable de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에 있어서,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고, 제1신호가 제어 신호를 트리거시켜 전력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제2신호에 의하여 제어 신호를 종료시켜 전력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 지터링 전류 제한 신호를 제공하는 전류 제한 신호 발생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탐지기, 및 펄스 주파수 변조기, 전류 제한 신호 발생기 및 전류 탐지기에 연결되고, 전류 탐지 신호 및 전류 제한 신호를 비교하여 제2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를 제공할 수 있고, PFM 전원 공급기의 스위칭 주파수를 지터링시켜 PFM 전원 공급기의 EMI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및 방법{FREQUENCY JITTERING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PFM POWER SUPPLY}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의 제어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펄스 주파수 변조(Pulse Frequency Modulation,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은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의 설계 중에서 아주 중요한 문제로서, 현재 비교적 보편적으로 EMI를 개선하는 방법으로는 대역 확산(spread spectrum)이 있다. 대역 확산은 전원 공급기의 스위칭 주파수를 지터링(jitter)시켜 EMI를 개선한다.
종래의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전원 공급기에 있어서, 예를 들면 미국 등록 특허 제5,929,620호, 제6,249,876호 및 제7,289,582호에 있어서, 대부분은 발진기의 주파수를 지터링시켜 전원 공급기의 스위칭 주파수를 지터링시킴으로써 대역 확산의 목적을 이룬다.
PFM 전원 공급기는 주파수 변환 시스템으로서, PFM 전원 공급기가 주파수를 스위칭시키는 것은 부하에 의하여 변하기 때문에 EMI를 낮출 수 있으나, 고정 부하일 때에는, PFM 전원 공급기가 고정된 스위칭 주파수를 갖기 때문에 역시 EMI 문제가 존재하나, PFM 전원 공급기에 발진기가 없기 때문에 발진기의 주파수를 지터링시키는 것을 통하여 스위칭 주파수를 지터링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PFM 전원 공급기의 스위칭 주파수를 지터링시키고 나아가 PFM 전원 공급기의 EMI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고, 제1신호가 상기 제어 신호를 트리거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제2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종료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 지터링 전류 제한 신호를 제공하는 전류 제한 신호 발생기, 상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탐지기,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 전류 제한 신호 발생기 및 전류 탐지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류 탐지 신호 및 상기 전류 제한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고, 제1신호가 상기 제어 신호를 트리거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제2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종료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 상기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피드백 신호 및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1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신호를 일정 시간 딜레이시킨 후 다시 펄스 주파수 변조기로 입력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 및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의 딜레이 시간을 조절하는 딜레이 시간 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고, 제1신호가 상기 제어 신호를 트리거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제2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종료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 상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탐지기, 상기 전류 탐지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류 탐지 신호 및 전류 제한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신호를 일정 시간 딜레이시킨 후 다시 펄스 주파수 변조기로 입력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 및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의 딜레이 시간을 조절하는 딜레이 시간 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고, 제1신호가 상기 제어 신호를 트리거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제2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종료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 상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탐지기, 상기 전류 탐지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류 탐지 신호를 증폭하는 이득 회로, 상기 이득 회로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증폭된 전류 탐지 신호 및 전류 제한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및 상기 이득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이득 회로의 이득을 조절하는 이득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고, 제1신호가 상기 제어 신호를 트리거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제2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종료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 상기 PFM 전원 공급기의 출력단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에 연결되고, 상기 PFM 전원 공급기의 출력 전류가 임계치보다 낮아지면 상기 제1신호를 트리거시키는 영전류 탐지기,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 상기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에 연결되고, 기준 전압 및 상기 피드백 신호 간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제3 신호를 생성하는 오차 증폭기, 상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탐지기, 상기 오차 탐지기 및 상기 전류 탐지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류 탐지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신호를 일정 시간 딜레이시킨 후 다시 펄스 주파수 변조기로 입력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 및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의 딜레이 시간을 조절하는 딜레이 시간 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고, 제1신호가 상기 제어 신호를 트리거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제2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종료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 상기 PFM 전원 공급기의 출력단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에 연결되고, 상기 PFM 전원 공급기의 출력 전류가 임계치보다 낮아지면 상기 제1신호를 트리거시키는 영전류 탐지기,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 상기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에 연결되고, 기준 전압 및 상기 피드백 신호 간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제3 신호를 생성하는 오차 증폭기, 상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탐지기, 상기 전류 탐지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류 탐지 신호를 증폭하는 이득 회로,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 오차 증폭기 및 이득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증폭된 전류 탐지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및 상기 이득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이득 회로의 이득을 조절하는 이득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고, 제1신호가 상기 제어 신호를 트리거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제2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종료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 상기 PFM 전원 공급기의 출력단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에 연결되고, 상기 PFM 전원 공급기의 출력 전류가 임계치보다 낮아지면 상기 제1신호를 트리거시키는 영전류 탐지기,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 상기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피드백 신호를 증폭하는 이득 회로, 상기 이득 회로에 연결되고, 기준 전압 및 상기 증폭된 피드백 신호 간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제3 신호를 생성하는 오차 증폭기, 상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탐지기,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 전류 탐지기 및 오차 증폭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류 탐지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및 상기 이득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이득 회로의 이득을 조절하는 이득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고, 제1신호가 상기 제어 신호를 트리거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제2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종료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 상기 PFM 전원 공급기의 출력단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에 연결되고, 상기 PFM 전원 공급기의 출력 전류가 임계치보다 낮아지면 상기 제1신호를 트리거시키는 영전류 탐지기,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 상기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에 연결되고, 기준 전압 및 상기 피드백 신호 간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제3 신호를 생성하는 오차 증폭기, 상기 오차 탐지기에 연결되고, 톱니파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신호를 일정 시간 딜레이시킨 후 다시 펄스 주파수 변조기로 입력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 및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의 딜레이 시간을 조절하는 딜레이 시간 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고, 제1신호가 상기 제어 신호를 트리거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제2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종료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 상기 PFM 전원 공급기의 출력단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에 연결되고, 상기 PFM 전원 공급기의 출력 전류가 임계치보다 낮아지면 상기 제1신호를 트리거시키는 영전류 탐지기,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 상기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에 연결되고, 기준 전압 및 상기 피드백 신호 간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제3 신호를 생성하는 오차 증폭기, 톱니파 신호를 증폭하는 이득 회로,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 오차 증폭기 및 이득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증폭된 톱니파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및 상기 이득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이득 회로의 이득을 조절하는 이득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고, 제1신호가 상기 제어 신호를 트리거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제2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종료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 상기 PFM 전원 공급기의 출력단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에 연결되고, 상기 PFM 전원 공급기의 출력 전류가 임계치보다 낮아지면 상기 제1신호를 트리거시키는 영전류 탐지기,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 상기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피드백 신호를 증폭하는 이득 회로, 상기 이득 회로에 연결되고, 기준 전압 및 상기 증폭된 피드백 신호 간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제3 신호를 생성하는 오차 증폭기,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 및 오차 증폭기에 연결되고, 톱니파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및 상기 이득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이득 회로의 이득을 조절하는 이득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 상기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피드백 신호 및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제1신호를 생성하는 제1 비교기, 상기 비교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1신호를 수신하여 펄스 신호를 트리거 생성하는 클릭 회로, 상기 클릭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펄스 신호에 의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드라이버, 및 상기 클릭 회로에 연결되고, 지터링 고정 시간을 제공하여 상기 제어 신호의 고정 작업 시간 또는 고정 비작업 시간을 결정하는 고정 시간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방법은,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제1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트리거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온시키는 단계, (B) 제2신호에 의하여 상게 제어 신호를 종료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제1 또는 제2신호를 지터링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지터링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방법은,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 신호 및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제1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신호에 의하여 펄스 신호를 트리거시키는 단계, 및 상기 펄스 신호의 펄스 폭을 지터링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지터링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 제한 신호 발생기는, 기준 전압을 제1 전류로 전환시키는 제1 전압 전류 전환기, 상기 제1 전압 전류 전환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류를 반사하여 제2 전류를 생성하는 제1 전류 미러, 톱니파 신호를 생성하는 톱니파 발생기, 상기 톱니파 발생기에 연결되고 상기 톱니파 신호를 조절하는 카운터 또는 무작위 수 발생기, 상기 톱니파 발생기에 연결되고, 상기 톱니파 신호를 제3 전류로 전환시키는 제2 전압 전류 전환기, 상기 제2 전압 전류 전환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전류를 반사하여 제4 전류를 생성하는 제2 전류 미러, 및 상기 제1 및 제2 전류 미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및 제4 전류에 의하여 상기 지터링 전류 제한 신호를 생성하는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 제한 신호 발생기는, 기준 전압을 제1 전류로 전환시키는 전압 전류 전환기, 상기 전압 전류 전환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류를 반사하여 제2 전류를 생성하는 전류 미러, 상기 전류 미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류에 의하여 상기 전류 제한 신호를 생성하는 가변 저항, 및 상기 가변 저항에 연결되고, 상기 가변 저항의 저항값을 조절하여 상기 전류 제한 신호를 지터링시키는 저항값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항값 제어기는 카운터 또는 무작위 수 생성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 및 상기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에 연결되고, 기준 전압과 상기 피드백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1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딜레이 시간 제어기는 카운터 또는 무작위 수 생성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득 제어기는 카운터 또는 무작위 수 생성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시간 발생기는, 커패시턴스, 상기 커패시턴스에 연결되고, 충전 전류를 제공하여 상기 커패시턴스에 대하여 충전하여 충전 전압을 생성하는 전류 공급원, 및 상기 커패시턴스에 연결되고, 상기 충전 전압 및 임계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고정 시간을 결정하는 제2 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패시턴스, 충전 전압 또는 임계 전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여 상기 지터링 고정 시간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는, 상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류 탐지 신호 및 전류 제한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류 제한 신호를 지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는,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 신호 및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1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신호가 일정 시간 딜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제1신호의 딜레이 시간을 지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는, 상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류 탐지 신호 및 전류 제한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신호가 일정 시간 딜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제2신호의 딜레이 시간을 지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는, 상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류 탐지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상기 증폭된 전류 탐지 신호 및 전류 제한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류 탐지 신호의 이득을 지터링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는,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기준 전압 및 상기 피드백 신호 간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제3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류 탐지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신호가 일정 시간 딜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제2신호의 딜레이 시간을 지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는,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기준 전압 및 상기 피드백 신호 간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제3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류 탐지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상기 증폭된 전류 탐지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류 탐지 신호의 이득을 지터링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는,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기준 전압 및 상기 증폭된 피드백 신호 간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제3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3 신호 및 상기 전류 탐지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피드백 신호의 이득을 지터링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는,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기준 전압 및 상기 피드백 신호 간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제3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톱니파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신호가 일정 시간 딜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제2신호의 딜레이 시간을 지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는,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기준 전압 및 상기 피드백 신호 간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제3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톱니파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상기 증폭된 톱니파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톱니파 신호의 이득을 지터링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는,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기준 전압 및 상기 증폭된 피드백 신호 간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제3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톱니파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피드백 신호의 이득을 지터링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PFM 전원 공급기의 스위칭 주파수를 지터링시킬 수 있고, 나아가 PFM 전원 공급기의 EMI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위칭 주파수가 전류 제한 신호에 따라 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전류 제한 신호 발생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전류 제한 신호 발생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고정 시간 발생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 피크 전류 모드(peak current mode) PFM 전원 공급기에는 변압기(10)가 포함되고, 전력 스위치 M1은 변압기(10)의 1차 측 코일 Lp에 직렬 연결되며,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는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 Vg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 M1를 스위칭시켜 입력 전압 Vin을 출력 전압 Vo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에 있어서, 펄스 주파수 변조기(12)는 제1신호 S1 및 제2신호 S2에 의하여 제어 신호 Vg를 생성하고, 전류 탐지기(14)는 전력 스위치 M1의 전류 Ip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 Vcs를 생성하며,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16)는 출력 전압 Vo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 VFB를 생성하고, 비교기(20)는 피드백 신호 VFB 및 기준 전압 Vref를 비교하여 제1신호를 생성하며, 전류 제한 신호 발생기(18)는 지터링 전류 제한 신호 VL을 제공하고, 비교기(22)는 전류 제한 신호 VL 및 전류 탐지 신호 Vcs를 비교하여 제2신호 S2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류 탐지기(14)에는 전류 탐지 저항 Rcs가 포함되어 전력 스위치 M1에 직렬 연결되고, 전류 Ip가 흐름으로 인하여 전류 탐지 신호 Vcs를 생성하며, 펄스 주파수 변조기(12)에는 플립플롭(24)이 포함되어 신호 S1 및 S2에 의하여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Q를 생성하여, 케이스 드라이브(26)와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Q에 의하여 제어 신호 Vg를 생성할 수 있다.
펄스 주파수 변조기(12)에 있어서, 신호 S1 및 S2는 각각 플립플롭(24)의 설정단 S 및 재설정단 R에 입력되기 때문에, 펄스 주파수 변조 신호 Q는 제1신호 S1에 의해 트리거되고, 제2신호 S2에 의하여 턴오프되기 때문에, 전력 스위치 M1을 제어하여 턴온 시간을 시작 및 종료시키며, 나아가 전력 스위치 M1의 작업 시간(on-time)을 제어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출력 전압 Vo가 기준 전압 Vref보다 낮아질 때, 제1신호 S1은 논리 "1"로 전환되고, 전류 Ip는 상승하며, 전류 탐지 신호 Vcs가 전류 제한 신호 VL을 초과할 때까지 상승할 때, 제2신호 S2가 논리 "1"로 전환되기 때문에 신호 Q를 재설정하고, 나아가 전력 스위치 M1을 턴온시킨다. 전류 제한 신호 VL이 지터링되기 때문에, 신호 Q가 턴오프되는 시간도 지터링되며, 전력 스위치 M1의 스위칭 주파수의 지터링을 초래할 수 있다.
더욱 명확한 과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 전류 탐지 신호 Vcs의 상승 기울기가 불변하는 상황 하에서, 전류 제한 신호 VL이 VL1로부터 VL2로 증가할 때, 전류 탐지 신호 Vcs는 더욱 긴 시간을 소모하여야 전류 제한 신호 VL로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신호 Vg의 주기는 T1=1/f1로부터 T2=1/f2로 증가하는 바, 예를 들면, 오실로그래프(28 및 2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 즉 전력 스위치 M1의 스위칭 주파수는 f1로부터 f2로 낮아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만약 전류 제한 신호 VL을 감소시키면, 전력 스위치 M1의 스위칭 주파수는 증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류 제한 신호 VL을 지터링시키면 전력 스위치 M1의 스위칭 주파수를 지터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PFM 전원 공급기의 EMI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전류 제한 신호 발생기(18)의 제1실시예로서, 좌측의 전압 전류 전환기(30) 및 전류 미러(32)는 기본 전류 제한 신호 VL을 생성하고, 우측의 카운터(34), 톱니파 발생기(36), 전압 전류 전환기(38) 및 전류 미러(40)는 전류 제한 신호 VL로 하여금 지터링되도록 할 수 있다.
전압 전류 전환기(30)는 기준 전압 Vref1을 전류 I1로 전환시키고, 전류 미러(32)는 전류 I1을 반사시켜 전류 I2를 생성하며, 톱니파 발생기(36)는 톱니파 신호 Vra를 제공하고, 카운터(34)는 주파수 CLK에 의하여 카운팅 값 CNT를 생성하여 톱니파 발생기(36)로 전송하여 톱니파 신호 Vra를 조절하며, 전압 전류 전환기(38)는 톱니파 신호 Vra를 전류 I3으로 전환시키고, 전류 미러(40)는 전류 I3을 반사시켜 전류 I4를 생성하며, 전류 I2 및 I4는 지터링 전류 I5로 결합되고, 흐름 저항 Ro는 지터링 전류 제한 신호 VL을 생성할 수 있다.
주파수 CLK는 PFM 전원 공급기로부터 주기성 신호를 취득하여 생성하는 바, 예를 들면, 신호 Q, Vg 또는 VFB이다. 기타 실시예에 있어서, 카운터(34)는 기타 회로로 대체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무작위 수 발생기일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전류 제한 신호 발생기(18)의 제2실시예로서, 좌측의 회로는 도 3에서와 동일하고, 기타 부분의 회로는 가변 저항(42) 및 저항값 제어기(44)로 대체 사용될 수 있다. 가변 저항(42)에는 직렬된 저항 Radj 및 저항 Ro가 포함되고, 저항값 제어기(44)는 저항 Radj를 미세 조절하여 가변 저항(42)의 저항값을 개변시키고, 나아가 전류 제한 신호 VL로 하여금 지터링되도록 할 수 있다. 저항값 제어기(44)는 카운터 또는 무작위 수 발생기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는 제2신호 S2를 지터링시켜 스위칭 주파수를 지터링시키는 목적을 이루는 바, 또한 제1신호 S1을 지터링시켜 스위칭 주파수를 지터링시키는 목적을 이룰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신호 S1은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46)를 통하여 일정 시간 딜레이된 후에야 펄스 주파수 변조기(12)에 입력되며, 딜레이 시간 제어기(48)는 플립플롭(24)의 출력 Q에 의하여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46)의 딜레이 시간을 조절하기 때문에, 신호 Q의 트리거 시간을 지터링시키고, 나아가 전력 스위치 M1의 스위칭 주파수를 지터링시킬 수 있다. 딜레이 시간 제어기(48)는 카운터 또는 무작위 수 발생기로 구현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에 있어서, 딜레이 시간 제어기(48)는 기타 주기성 신호에 의하여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46)의 딜레이 시간을 조절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신호 Vg 또는 VFB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도 5의 지터링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로 대체할 할 수 있는 바, 제2신호 S2는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46)를 통하여 일정 시간 딜레이된 후에야 펄스 주파수 변조기(12)로 입력되고, 딜레이 시간 조절기(48)는 플립플롭(24)의 출력 Q에 의하여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46)의 딜레이 시간을 조절하기 때문에, 신호 Q의 재설정 시간을 지터링시키고, 나아가 전력 스위치 M1의 스위칭 주파수를 지터링시킬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는 전류 제한 신호 VL을 지터링시키는 것을 통하여 제2신호 S2를 지터링시키는 바, 또 전류 탐지 신호 Vcs를 지터링시키는 것을 통하여 제2신호 S2를 지터링시키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도 7의 실시예와 같이, 전류 탐지 신호 Vcs는 이득 회로(50)에 의하여 신호 Vcs_m으로 확대되고, 이득 제어기(52)는 제어 신호 Vg에 의하여 이득 회로(50)의 이득 Ki를 조절하기 때문에, 전류 탐지 신호 Vcs_m의 상승 기울기를 개변시키고, 나아가 제2신호 S2가 트리거되는 시간을 개변시키기 때문에, 신호 Q의 종료 시간을 개변시킬 수 있다. 이득 회로(50)의 이득 Ki가 지터링될 때, 전력 스위치 M1의 스위칭 주파수도 이에 따라 지터링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에 있어서, 이득 제어기(52)는 기타 주기성 신호에 의하여 이득 Ki를 조절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득 제어기(52)는 카운터 또는 무작위 수 발생기로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의사 공진(Quasi Resonant, QR) 모드 PFM 전원 공급기로서, 이는 영전류 탐지기(54)를 포함하여 PFM 전원 공급기의 출력 전류 Io를 탐지하고, 출력 전류 Io가 임계치로 낮아질 때 제1신호 S1을 트리거시켜 펄스 주파수 변조기(12)로 전송하고, 전류 탐지기(14)는 전력 스위치 M1의 전류 Ip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 Vcs를 생성하며,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16)는 출력 전압 Vo를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 VFB를 생성하며, 오차 증폭기(55)는 피드백 신호 VFB 및 기준 전압 Vref 사이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제3 신호 S3을 생성하고, 비교기(22)는 전류 탐지 신호 Vcs 및 제3 신호 S3을 비교하여 제2신호 S2를 생성하며, 펄스 주파수 변조기(12)는 도 1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바, 제1신호 S1이 신호 Q를 트리거시키고, 제2신호 S2 신호 Q를 재설정할 수 있다. 제2신호 S2를 지터링시키기 위하여,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46)는 제2신호 S2를 일정 시간 딜레이시킨 후에야 펄스 주파수 변조기(12)로 입력시키고, 딜레이 시간 제어기(48)는 제어 신호 Vg에 의하여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46)의 딜레이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46)의 딜레이 시간을 지터링시키는 것은 바로 신호 Q의 종료 시간을 지터링시키는 것으로서, 나아가 전력 스위치 M1의 스위칭 주파수를 지터링시킬 수 있다.
도 8에서의 제2신호 S2를 지터링시키는 방법은 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로 대체할 수 있는 바, 이득 회로(50)는 전류 탐지 신호 Vcs를 Vcs_m으로 증폭시키고, 이득 제어기(52)가 제어 신호 Vg에 의하여 이득 회로(50)의 이득 Ki를 지터링시켜 전류 탐지 신호 Vcs_m의 상승 기울기를 지터링시켜, 나아가 제2신호 S2가 트리거되는 시간을 지터링 하기 때문에, 신호 Q의 종료 시간을 지터링시켜 전력 스위치 M1의 스위칭 주파수가 따라서 지터링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에서의 전류 탐지 신호 Vcs_m의 상승 기울기를 지터링시키는 방법은 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로 대체할 수 있는 바, 이득 회로(50)는 피드백 신호 VFB를 VFB_m으로 증폭시키고, 이득 제어기(52)가 제어 신호 Vg에 의하여 이득 회로(50)의 이득 Ki를 지터링시켜 피드백 신호 VFB_m의 상승 기울기를 지터링시켜, 나아가 제2신호 S2가 트리거되는 시간을 지터링하기 때문에, 신호 Q의 종료 시간을 지터링시켜 전력 스위치 M1의 스위칭 주파수가 따라서 지터링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 있어서, 모두 전력 M1의 전류 Ip와 관련된 전류 탐지 신호 Vcs를 이용하여 제3 신호 S3과 비교하여 제2신호 S2를 생성하는 바, 기타 실시예에 있어서, 기타 톱니파 신호로 전류 탐지 신호 Vcs를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의 회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압 모드 구조의 QR 모드 PFM 전원 공급기로 대체할 수 있는 바, 그 중에서 비교기(22)가 내부에서 생성된 톱니파 신호 Vramp 및 제3 신호 S3를 비교하여 제2신호 S2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의 회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압 모드 구조로 대체할 수 있는 바, 그 중에서 이득 회로(50)는 톱니파 신호 Vramp를 증폭시켜 톱니파 신호 Vramp_m을 생성하고, 비교기(22)는 톱니파 신호 Vramp_m 및 제3 신호 S3을 비교하여 제2신호 S2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0의 회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압 모드 구조로 대체할 수 있는 바, 그 중에서 비교기(22)는 톱니파 신호 Vramp 및 제3 신호 S3을 비교하여 제2신호 S2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4의 실시예는 고정 작업 시간 또는 고정 비작업 시간(Constant On-Time or Constant Off-Time; COT) 모드 PFM 전원 공급기로서, 이의 펄스 주파수 변조기(12)에는 클릭 회로(56)가 포함되어 제1신호 S1이 트리거 생성하는 펄스 신호 S4를 수신하고, 펄스 신호 S4의 펄스 폭은 고정 시간 발생기(58)가 제공하는 고정 시간 Ton에 의해 결정되며, 이 고정 시간 Ton은 고정 시간 조절기(60)가 제어 신호 Vg를 미세 조절하여 지터링을 발생시키고, 게이트 드라이브(26)는 펄스 신호 S4에 의하여 제어 신호 Vg를 생성할 수 있다.
고정 시간 Ton의 길이를 지터링시키는 것을 통하여 전력 스위치 M1의 작업 시간 또는 비작업 시간이 따라서 지터링되기 때문에, 전력 스위치 M1의 스위칭 주파수를 지터링시킬 수 있다. 기타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시간 조절기(60)는 기타 주기성 신호에 의하여 고정 시간 Ton의 길이를 지터링시키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피드백 신호 VFB에 의한 것일 수 있다. 고정 시간 조절기(60)는 카운터 또는 무작위 수 발생기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고정 시간 발생기(58)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그 중에서 전류 공급원(62)이 충전 전류 Ic를 제공하여 커패시턴스 Cv에 대하여 충전을 진행하여 충전 전압 Vc를 생성하고, 비교기(64)는 충전 전압 Vc 및 전압 공급원(66)이 제공하는 임계 전압 Vb를 비교하여 고정 시간 Ton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고정 시간 조절기(60)는 커패시턴스 Cv, 충전 전류 Ic 및 임계 전압 Vb 중의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며, 고정 시간 Ton의 길이를 지터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변압기
12: 펄스 주파수 변조기
14: 전류 탐지기
16: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
18: 전류 제한 신호 발생기
20: 비교기
22: 비교기
24: 플립플롭
26: 게이트 드라이브
28: 제어 신호의 오실로그래프
29: 제어 신호의 오실로그래프
30: 전압 전류 전환기
32: 전류 미러
34: 카운터
36: 톱니파 발생기
38: 전압 전류 전환기
40: 전류 미러
42: 가변 저항
44: 저항값 제어기
46: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
48: 딜레이 시간 제어기
50: 이득 회로
52: 이득 제어기
54: 영전류 탐지기
55: 오차 증폭기
56: 클릭 회로
58: 고정 시간 발생기
60: 고정 시간 조절기
62: 전류 공급원
64: 비교기
66: 전압 공급원

Claims (37)

  1.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고, 제1신호가 상기 제어 신호를 트리거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제2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종료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
    지터링 전류 제한 신호를 제공하는 전류 제한 신호 발생기;
    상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탐지기;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 전류 제한 신호 발생기 및 전류 탐지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류 탐지 신호 및 상기 전류 제한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한 신호 발생기는,
    기준 전압을 제1 전류로 전환시키는 제1 전압 전류 전환기;
    상기 제1 전압 전류 전환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류를 반사하여 제2 전류를 생성하는 제1 전류 미러;
    톱니파 신호를 생성하는 톱니파 발생기;
    상기 톱니파 발생기에 연결되고 상기 톱니파 신호를 조절하는 카운터 또는 무작위 수 발생기;
    상기 톱니파 발생기에 연결되고, 상기 톱니파 신호를 제3 전류로 전환시키는 제2 전압 전류 전환기;
    상기 제2 전압 전류 전환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전류를 반사하여 제4 전류를 생성하는 제2 전류 미러; 및
    상기 제1 및 제2 전류 미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및 제4 전류에 의하여 상기 지터링 전류 제한 신호를 생성하는 저항
    을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한 신호 발생기는,
    기준 전압을 제1 전류로 전환시키는 전압 전류 전환기;
    상기 전압 전류 전환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류를 반사하여 제2 전류를 생성하는 전류 미러;
    상기 전류 미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류에 의하여 상기 전류 제한 신호를 생성하는 가변 저항; 및
    상기 가변 저항에 연결되고, 상기 가변 저항의 저항값을 조절하여 상기 전류 제한 신호를 지터링시키는 저항값 제어기
    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값 제어기는 카운터 또는 무작위 수 생성기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 및 상기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에 연결되고, 기준 전압과 상기 피드백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1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를 더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6.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고, 제1신호가 상기 제어 신호를 트리거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제2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종료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
    상기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피드백 신호 및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1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신호를 일정 시간 딜레이시킨 후 다시 펄스 주파수 변조기로 입력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 및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의 딜레이 시간을 조절하는 딜레이 시간 조절기
    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딜레이 시간 제어기는 카운터 또는 무작위 수 생성기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8.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고, 제1신호가 상기 제어 신호를 트리거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제2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종료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
    상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탐지기;
    상기 전류 탐지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류 탐지 신호 및 전류 제한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신호를 일정 시간 딜레이시킨 후 다시 펄스 주파수 변조기로 입력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 및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의 딜레이 시간을 조절하는 딜레이 시간 조절기
    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딜레이 시간 제어기는 카운터 또는 무작위 수 생성기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10.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고, 제1신호가 상기 제어 신호를 트리거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제2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종료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
    상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탐지기;
    상기 전류 탐지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류 탐지 신호를 증폭하는 이득 회로;
    상기 이득 회로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증폭된 전류 탐지 신호 및 전류 제한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및
    상기 이득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이득 회로의 이득을 조절하는 이득 제어기
    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기는 카운터 또는 무작위 수 생성기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12.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고, 제1신호가 상기 제어 신호를 트리거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제2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종료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
    상기 PFM 전원 공급기의 출력단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에 연결되고, 상기 PFM 전원 공급기의 출력 전류가 임계치보다 낮아지면 상기 제1신호를 트리거시키는 영전류 탐지기;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
    상기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에 연결되고, 기준 전압 및 상기 피드백 신호 간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제3 신호를 생성하는 오차 증폭기;
    상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탐지기;
    상기 오차 탐지기 및 상기 전류 탐지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류 탐지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신호를 일정 시간 딜레이시킨 후 다시 펄스 주파수 변조기로 입력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 및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의 딜레이 시간을 조절하는 딜레이 시간 조절기
    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딜레이 시간 제어기는 카운터 또는 무작위 수 생성기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14.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고, 제1신호가 상기 제어 신호를 트리거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제2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종료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
    상기 PFM 전원 공급기의 출력단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에 연결되고, 상기 PFM 전원 공급기의 출력 전류가 임계치보다 낮아지면 상기 제1신호를 트리거시키는 영전류 탐지기;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
    상기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에 연결되고, 기준 전압 및 상기 피드백 신호 간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제3 신호를 생성하는 오차 증폭기;
    상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탐지기;
    상기 전류 탐지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류 탐지 신호를 증폭하는 이득 회로;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 오차 증폭기 및 이득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증폭된 전류 탐지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및
    상기 이득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이득 회로의 이득을 조절하는 이득 제어기
    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기는 카운터 또는 무작위 수 생성기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16.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고, 제1신호가 상기 제어 신호를 트리거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제2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종료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
    상기 PFM 전원 공급기의 출력단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에 연결되고, 상기 PFM 전원 공급기의 출력 전류가 임계치보다 낮아지면 상기 제1신호를 트리거시키는 영전류 탐지기;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
    상기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피드백 신호를 증폭하는 이득 회로;
    상기 이득 회로에 연결되고, 기준 전압 및 상기 증폭된 피드백 신호 간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제3 신호를 생성하는 오차 증폭기;
    상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탐지기;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 전류 탐지기 및 오차 증폭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류 탐지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및
    상기 이득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이득 회로의 이득을 조절하는 이득 제어기
    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기는 카운터 또는 무작위 수 생성기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18.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고, 제1신호가 상기 제어 신호를 트리거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제2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종료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
    상기 PFM 전원 공급기의 출력단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에 연결되고, 상기 PFM 전원 공급기의 출력 전류가 임계치보다 낮아지면 상기 제1신호를 트리거시키는 영전류 탐지기;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
    상기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에 연결되고, 기준 전압 및 상기 피드백 신호 간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제3 신호를 생성하는 오차 증폭기;
    상기 오차 탐지기에 연결되고, 톱니파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신호를 일정 시간 딜레이시킨 후 다시 펄스 주파수 변조기로 입력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 및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딜레이 회로의 딜레이 시간을 조절하는 딜레이 시간 조절기
    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딜레이 시간 제어기는 카운터 또는 무작위 수 생성기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20.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고, 제1신호가 상기 제어 신호를 트리거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제2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종료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
    상기 PFM 전원 공급기의 출력단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에 연결되고, 상기 PFM 전원 공급기의 출력 전류가 임계치보다 낮아지면 상기 제1신호를 트리거시키는 영전류 탐지기;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
    상기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에 연결되고, 기준 전압 및 상기 피드백 신호 간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제3 신호를 생성하는 오차 증폭기;
    톱니파 신호를 증폭하는 이득 회로;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 오차 증폭기 및 이득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증폭된 톱니파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및
    상기 이득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이득 회로의 이득을 조절하는 이득 제어기
    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기는 카운터 또는 무작위 수 생성기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22.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고, 제1신호가 상기 제어 신호를 트리거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제2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종료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펄스 주파수 변조기;
    상기 PFM 전원 공급기의 출력단 및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에 연결되고, 상기 PFM 전원 공급기의 출력 전류가 임계치보다 낮아지면 상기 제1신호를 트리거시키는 영전류 탐지기;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
    상기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피드백 신호를 증폭하는 이득 회로;
    상기 이득 회로에 연결되고, 기준 전압 및 상기 증폭된 피드백 신호 간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제3 신호를 생성하는 오차 증폭기;
    상기 펄스 주파수 변조기 및 오차 증폭기에 연결되고, 톱니파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및
    상기 이득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이득 회로의 이득을 조절하는 이득 제어기
    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기는 카운터 또는 무작위 수 생성기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24.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
    상기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피드백 신호 및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제1신호를 생성하는 제1 비교기;
    상기 비교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1신호를 수신하여 펄스 신호를 트리거 생성하는 클릭 회로;
    상기 클릭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펄스 신호에 의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드라이버; 및
    상기 클릭 회로에 연결되고, 지터링 고정 시간을 제공하여 상기 제어 신호의 고정 작업 시간 또는 고정 비작업 시간을 결정하는 고정 시간 발생기
    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시간 발생기는,
    커패시턴스;
    상기 커패시턴스에 연결되고, 충전 전류를 제공하여 상기 커패시턴스에 대하여 충전하여 충전 전압을 생성하는 전류 공급원; 및
    상기 커패시턴스에 연결되고, 상기 충전 전압 및 임계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고정 시간을 결정하는 제2 비교기
    를 포함하고,
    상기 커패시턴스, 충전 전압 또는 임계 전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여 상기 지터링 고정 시간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26.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제1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트리거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온시키는 단계;
    (B) 제2신호에 의하여 상게 제어 신호를 종료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제1 또는 제2신호를 지터링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지터링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류 탐지 신호 및 전류 제한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류 제한 신호를 지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 신호 및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1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신호가 일정 시간 딜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제1신호의 딜레이 시간을 지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류 탐지 신호 및 전류 제한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신호가 일정 시간 딜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제2신호의 딜레이 시간을 지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방법.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류 탐지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상기 증폭된 전류 탐지 신호 및 전류 제한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류 탐지 신호의 이득을 지터링 증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방법.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기준 전압 및 상기 피드백 신호 간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제3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류 탐지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신호가 일정 시간 딜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제2신호의 딜레이 시간을 지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방법.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기준 전압 및 상기 피드백 신호 간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제3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류 탐지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상기 증폭된 전류 탐지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류 탐지 신호의 이득을 지터링 증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방법.
  3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기준 전압 및 상기 증폭된 피드백 신호 간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제3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력 스위치의 전류를 탐지하여 전류 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3 신호 및 상기 전류 탐지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피드백 신호의 이득을 지터링 증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방법.
  34.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기준 전압 및 상기 피드백 신호 간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제3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톱니파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신호가 일정 시간 딜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제2신호의 딜레이 시간을 지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방법.
  35.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기준 전압 및 상기 피드백 신호 간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제3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톱니파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상기 증폭된 톱니파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톱니파 신호의 이득을 지터링 증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방법.
  36.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기준 전압 및 상기 증폭된 피드백 신호 간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제3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톱니파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피드백 신호의 이득을 지터링 증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방법.
  37. 펄스 주파수 변조기가 주파수 지터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을 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 신호 및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제1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신호에 의하여 펄스 신호를 트리거시키는 단계; 및
    상기 펄스 신호의 펄스 폭을 지터링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지터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방법.
KR1020120013371A 2011-08-26 2012-02-09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및 방법 KR101321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0130691 2011-08-26
TW100130691A TWI445293B (zh) 2011-08-26 2011-08-26 Pfm電源供應器的頻率抖動控制電路及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324A Division KR101434944B1 (ko) 2011-08-26 2013-10-01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362A true KR20130022362A (ko) 2013-03-06
KR101321913B1 KR101321913B1 (ko) 2013-10-28

Family

ID=477435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371A KR101321913B1 (ko) 2011-08-26 2012-02-09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및 방법
KR1020130117324A KR101434944B1 (ko) 2011-08-26 2013-10-01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324A KR101434944B1 (ko) 2011-08-26 2013-10-01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479063B2 (ko)
KR (2) KR101321913B1 (ko)
CN (1) CN102957309B (ko)
TW (1) TWI4452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78489B (zh) 2011-10-25 2015-12-16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用于利用开关频率抖动减少电磁干扰的系统和方法
US8599581B2 (en) * 2012-02-16 2013-12-03 Fremont Micro Devices (Sz) Limited Primary-side regulated modulation controller with improved transient response and audile noise
TWI482409B (zh) * 2012-03-28 2015-04-21 Anpec Electronics Corp 恆定開啟時間產生電路及降壓型電源轉換器
CN103107719B (zh) 2013-02-19 2015-10-21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通过调节开关过程来减少电磁干扰的系统和方法
US8947125B2 (en) * 2013-02-21 2015-02-03 Qualcomm Incorporated Fast, low power comparator with dynamic bias background
US9246392B2 (en) 2013-03-13 2016-01-26 Power Integrations, Inc. Switched mode power converter controller with ramp time modulation
JP6131685B2 (ja) * 2013-04-03 2017-05-24 富士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TWI462442B (zh) * 2013-04-26 2014-11-21 Richtek Technology Corp 電源轉換電路的控制電路及相關的控制方法
TWI514737B (zh) 2013-07-23 2015-12-21 Leadtrend Tech Corp 在準諧振模式產生抖動的控制器以及在準諧振模式產生抖動的方法
CN104348352A (zh) * 2013-07-31 2015-02-11 通嘉科技股份有限公司 在准谐振模式产生抖动的控制器及方法
US9722490B2 (en) * 2013-09-05 2017-08-01 Intersil Americas LLC Smooth transition of a power supply from a first mode, such as a pulse-frequency-modulation (PFM) mode, to a second mode, such as a pulse-width-modulation (PWM) mode
TW201526508A (zh) * 2013-12-31 2015-07-01 Advanced Analog Technology Inc 準諧振反馳轉換器之零電流偵測裝置
KR102116148B1 (ko) * 2014-04-15 2020-06-08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스위치 제어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변환기
US9515556B2 (en) 2014-04-28 2016-12-06 Intersil Americas LLC Current pulse count control in a voltage regulator
CN105099164B (zh) * 2014-05-09 2018-03-23 台达电子企业管理(上海)有限公司 频率抖动控制电路及方法
US9680383B2 (en) * 2014-11-07 2017-06-13 Power Integrations, Inc. Input overvoltage protection using current limit
US9774248B2 (en) * 2014-11-10 2017-09-26 Power Integrations, Inc. Introducing jitter to a switching frequency by way of modulating current limit
CN104333216B (zh) * 2014-11-28 2017-04-12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开关电源控制器及其控制方法
US10637254B2 (en) * 2015-03-19 2020-04-28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Spread spectrum for switch mode power supplies
JP2016189655A (ja) * 2015-03-30 2016-11-04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04767372B (zh) * 2015-04-24 2017-12-19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控制电路、控制方法和应用其的反激式变换器
CN104779799B (zh) * 2015-04-28 2017-05-31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控制电路、控制方法和应用其的反激式变换器
TWI587619B (zh) * 2015-06-01 2017-06-11 立錡科技股份有限公司 電源轉換器及其中的開關控制單元
CN105048780A (zh) * 2015-07-28 2015-11-11 周海波 一种半桥驱动电路的电磁干扰与效率动态平衡装置
US10110126B2 (en) 2015-09-04 2018-10-23 Dailog Semiconductor (UK) Limit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for pulse frequency modulation (PFM) mode of a switching regulator
US10931196B2 (en) * 2015-09-10 2021-02-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oad transient and jitter of DC-DC converter
TWI565209B (zh) * 2015-12-22 2017-01-01 國立臺灣師範大學 類通用型前饋控制直流對直流電源轉換器及方法
TWI595342B (zh) * 2016-03-22 2017-08-11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控制模組、切換式電源供應裝置及切換式電源供應裝置之峰值電流模式控制方法
US10742118B2 (en) * 2016-08-03 2020-08-11 Apple Inc. Quasi-resonant power converter with reduced dynamic switching losses
US10505445B2 (en) 2016-08-08 2019-12-10 Apple Inc. Power converter with output voltage control
US11121573B1 (en) 2016-09-22 2021-09-14 Apple Inc. Low-profile power converter
US10148178B2 (en) 2016-09-23 2018-12-04 Apple Inc. Synchronous buck converter with current sensing
US10020722B2 (en) * 2016-10-14 2018-07-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pectrum modulation for switching circuits
KR102602386B1 (ko) * 2016-11-29 2023-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8318809B (zh) * 2017-01-16 2020-09-01 奇景光电股份有限公司 频率抖动的内建自我测试电路
IT201700022263A1 (it) * 2017-02-28 2018-08-28 St Microelectronics Srl Circuito di controllo, alimentatore, apparecchiatura e procedimento corrispondenti
US10291124B2 (en) * 2017-07-06 2019-05-14 Active-Semi (BVI) Inc. Spread spectrum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10199918B2 (en) * 2017-07-10 2019-02-05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ethod of forming a semiconductor device
US10243442B1 (en) 2017-11-22 2019-03-26 Power Integrations, Inc. Controller with frequency to on-time converter
US10340797B2 (en) * 2017-11-30 2019-07-02 Active-Semi, Inc. Regulator control integrated circuit having COT and valley current modes
TWI681612B (zh) * 2018-12-14 2020-01-01 通嘉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抖頻效果的電源控制器以及相關的控制方法
US10686375B1 (en) * 2019-01-31 2020-06-1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wer conversion with modulated switching
CN109861508B (zh) * 2019-02-26 2020-08-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抖频脉冲宽度调制波形的获取方法及装置、空调器
KR20210015432A (ko) * 2019-08-02 2021-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US11387732B2 (en) 2019-09-12 2022-07-12 Cirrus Logic, Inc. Efficient use of energy in a switching power converter
US11469661B2 (en) 2019-10-25 2022-10-11 Cirrus Logic, Inc. Multiphase inductive boost converter with multiple operational phases
US11463008B2 (en) 2019-11-22 2022-10-04 Cirrus Logic, Inc. Decreasing output droop in a power converter via an energy storage capacitor
US11953531B2 (en) 2020-05-20 2024-04-09 Cirrus Logic Inc. Sense resistor and method for forming same
CN115668721B (zh) 2020-05-20 2023-08-15 思睿逻辑国际半导体有限公司 功率转换器中的电流的随机化
US20210367514A1 (en) * 2020-05-20 2021-11-25 Cirrus Logic International Semiconductor Ltd. Load regulation of a power converter based on adjustable output voltage thresholds
US11522460B2 (en) 2020-07-24 2022-12-06 Cirrus Logic, Inc. Optimizing the control of a hysteretic power converter at low duty cycles
US11183849B1 (en) 2020-07-29 2021-11-23 Cirrus Logic, Inc. Control of power converter based on dynamic constraint factors
US11735942B2 (en) 2020-07-29 2023-08-22 Cirrus Logic Inc. Maintaining operation within a stable region of a power curve of a power converter
US11522440B2 (en) 2020-07-29 2022-12-06 Cirrus Logic, Inc. Use of shared feedback among two or more reactive schemes
CN116210134A (zh) 2020-08-14 2023-06-02 思睿逻辑国际半导体有限公司 具有双向电池理想化的电源架构
US11637493B2 (en) * 2020-11-23 2023-04-25 Robert S. Wrathall Electrical circuits for power factor correction by measurement and removal of overtones and power factor maximization
US11811321B2 (en) * 2021-05-04 2023-11-07 Richtek Technology Corporation Switching power converter circuit, clock generator circuit and clock generation method having spread spectrum
US11843317B2 (en) 2021-08-25 2023-12-12 Cirrus Logic Inc. Pseudo-bypass mode for power converters
TWI796013B (zh) * 2021-11-26 2023-03-11 通嘉科技股份有限公司 電源轉換器的電源控制器與控制方法
US11870347B2 (en) 2022-01-28 2024-01-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pread spectrum modulation of rising and falling edge delays for current mode switching converter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41308C1 (en) 1985-11-22 1987-02-05 Philips Patentverwaltung DC power supply generator e.g. for gas discharge lamp - obtains regulated DC from mains supply giving sinusoidal input to filter and rectifier
US5929620A (en) 1996-11-07 1999-07-27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Switching regulators having a synchronizable oscillator frequency with constant ramp amplitude
US6107851A (en) 1998-05-18 2000-08-22 Power Integrations, Inc. Offline converter with integrated softstart and frequency jitter
US6249876B1 (en) * 1998-11-16 2001-06-19 Power Integrations, Inc. Frequency jittering control for varying the switching frequency of a power supply
US6728117B2 (en) 2001-10-23 2004-04-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requency modulated self-oscillating switching power supply
KR100910857B1 (ko) 2002-10-29 2009-08-06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전자기 간섭 방지 방법 및 그 장치
JP4681830B2 (ja) * 2004-06-24 2011-05-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Pwm回路およびpwm回路制御方法
DE102005052702B4 (de) * 2005-11-04 2007-10-25 Infineon Technologies Ag Synchronisationsschaltung zur Synchronisation von PWM-Modulatoren
US8897039B2 (en) * 2007-06-12 2014-11-25 Bc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pulse frequency modulated switching mode power supplies
US7782036B1 (en) * 2008-01-07 2010-08-24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Adaptive on-time control for switching regulators
US9622192B2 (en) 2008-02-01 2017-04-11 Qualcomm Incorporated Virtual schedul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TWI455646B (zh) * 2008-02-05 2014-10-01 Richtek Technology Corp Current regulator and its control method
US9148060B2 (en) * 2008-03-03 2015-09-29 System General Corp. Switching controller with burst mode management circuit to reduce power loss and acoustic noise of power converter
JP2010081686A (ja) * 2008-09-24 2010-04-08 Panasonic Corp スイッチング制御回路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01552563B (zh) 2009-03-20 2011-09-14 Bcd半导体制造有限公司 一种开关电源中控制恒流输出的装置及方法
CN101562442B (zh) * 2009-03-30 2012-09-19 Bcd半导体制造有限公司 抖频电路及低频三角波发生器
JP5405891B2 (ja) * 2009-05-08 2014-02-05 スパンション エルエルシー 電源装置、制御回路、電源装置の制御方法
US8368370B2 (en) * 2009-11-10 2013-02-05 Power Integrations, Inc. Controller compensation for frequency jitter
KR101658783B1 (ko) * 2010-05-26 2016-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전류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기 및 전력 변환 방법
TWI433437B (zh) * 2011-02-01 2014-04-01 Richpower Microelectronics 用於切換式電源供應器的抖頻控制電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51089A1 (en) 2013-02-28
CN102957309A (zh) 2013-03-06
CN102957309B (zh) 2015-11-18
KR101321913B1 (ko) 2013-10-28
KR101434944B1 (ko) 2014-08-28
TW201310878A (zh) 2013-03-01
US9479063B2 (en) 2016-10-25
KR20130116234A (ko) 2013-10-23
TWI445293B (zh) 2014-07-11
US20170005647A1 (en)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913B1 (ko) Pfm 전원 공급기의 주파수 지터링 제어 회로 및 방법
US10601318B2 (en) Switching converter using pulse-frequency modulation and current-mode control
US10873263B2 (en) Systems and methods of overvoltage protection for LED lighting
US7902803B2 (en) Digital current mode controller
CN101213629B (zh) 利用相移的开关电源控制
US8582324B2 (en)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ler and method for output ripple reduction of a jittering frequency switching power supply
US6288524B1 (en) DC/DC converter and a controlling circuit thereof
US9065348B2 (en) Isolated switching mode power supply and the method thereof
US10826380B2 (en) Switching converter,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WI613883B (zh) 具快速暫態響應的固定導通時間轉換器
JP6024188B2 (ja) 電源装置の制御回路
US8148966B2 (en) Power supply control circuits including enhanced ramp pulse modulation
CN103516203B (zh) 直流对直流控制器与其操作方法
US9276473B1 (en) Voltage converting controller and method of voltage converting control
US9124254B2 (en) DC-DC converter control method and DC-DC converter control circuit
US20140340066A1 (en) Timing generator and timing signal generation method for power converter
US9236727B2 (en) Current mode step-down switching regulator
JP6030836B2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KR102506229B1 (ko) 스위칭 레귤레이터
CN112467976B (zh) 开关变换器及其控制电路和控制方法
JP2013027145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14696579A (zh) 功率变换器及其控制电路
CN110034677B (zh) 具有充电电流缩减的功率级电路
JP5578245B2 (ja) 定電流出力制御型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JP5928867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