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1496A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1496A
KR20130021496A KR1020110083757A KR20110083757A KR20130021496A KR 20130021496 A KR20130021496 A KR 20130021496A KR 1020110083757 A KR1020110083757 A KR 1020110083757A KR 20110083757 A KR20110083757 A KR 20110083757A KR 20130021496 A KR20130021496 A KR 20130021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bile terminal
camera
area
gh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3450B1 (ko
Inventor
이충건
이섭근
박종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3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450B1/ko
Priority to US13/532,696 priority patent/US8817160B2/en
Priority to EP12179802.9A priority patent/EP2563010B1/en
Publication of KR20130021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4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by the use of histogram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1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creasing the dynamic range of the image compared to the dynamic range of the electronic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Abstract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에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듀얼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영상의 프리뷰 이미지를 통해 고스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객체를 식별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고 성능의 HDR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그래픽스 혹은 사진학에서, 하이 다이내믹 레인지 이미징(High Dynaminc Range Imaging, HDRI)은 일반적으로 허용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다이내믹 레인지(DR)를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화상 처리 기법을 의미한다. 상기 HDRI는 처음에는 컴퓨터로 렌더링 된 이미지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 후 서2로 다른 노출 상태에서 찍은 여러 장의 사진으로부터 높은 다이내믹 레인지(DR)를 갖는 사진을 얻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HDR 영상을 획득할 때, 노출이 서로 다른 2장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두 번의 캡쳐(capture)를 수행한다. 상기 두 번의 캡쳐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 간격으로 인하여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첫째, 손 떨림에 의한 영상의 쉬프트(shift)가 발생함으로써, 이를 보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캡쳐되는 객체가 동적 객체인 경우, 상기 동적 객체의 위치 및 모양의 차이로 인해 고스트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다양한 전자 기기 분야에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매우 다양한 기능들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게되었다.
따라서, 이동 단말 환경에서 HDR 영상을 획득하여 처리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동 단말 환경에서 고성능의 HDR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제1 영상을 획득하는 제1 카메라; 상기 제1 카메라와 시점(view point)이 다른 제2 영상을 획득하는 제2 카메라; 및 HDR(High Dynamic Range) 동작 모드에 진입됨에 따라,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의 프리뷰 이미지(preview image)에 기초하여 HDR(High Dynamic Range) 영상 처리가 요구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프리뷰 이미지에 기초하여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객체를 식별하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의 프리뷰 이미지가 적어도 하나의 포화 영역(saturation area)를 포함하는 경우, 촬영 모드를 상기 HDR 동작 모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의 프리뷰 이미지와 제2 영상의 프리뷰 이미지가 중첩되는 경우, 차이(disparity)가 존재하는 경우에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하이라이트(Highlight), 텍스트(text), 음성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검출된 객체 사이의 거리에 따른 상기 검출된 객체의 차이(disparity)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이(disparity)를 포함하는 영상 및 상기 차이(disparitry)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캡쳐할 것인지를 질의하는 사용자 선택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를 재검출하고, 상기 재검출된 객체에 대하여 상기 인디케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는 과도 노출(over exposure)로 설정되고, 상기 제2 카메라는 부족 노출(under exposure)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제1 카메라를 통해 제1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카메라와 시점(view point)이 다른 제2 카메라를 통해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HDR(High Dynamic Range) 동작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의 프리뷰 이미지(preview image)에 기초하여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객체를 식별하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영상에서, 상기 제2 영상의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에 대응되는 제1 영역의 히스토그램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상에서, 상기 제2 영상의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 및 상기 영역의 근방 영역(proximate area) 사이에 존재하는 제2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중첩시키는 단계; 상기 제2 영상의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를 상기 제1 영상의 대응되는 영역으로 천이(shift)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이동 단말 환경에서 고성능의 HDR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이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듀얼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손 떨림에 의한 영상의 쉬프트(shift)가 발생함으로써, 이를 보정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듀얼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캡쳐되는 객체가 동적 객체인 경우에도 상기 동적 객체의 위치 및 모양의 차이로 인해 고스트가 발생하지 않고 고성능의 HDR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블럭 구성 중,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듀얼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각 영상을 합성하여 하나의 영상을 생성할 때 발생되는 고스트 현상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HDR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알려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이다.
도 8은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피사체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음을 알려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이동 단말기와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HDR 처리 여부가 변경될 수 있음을 알려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이다.
도 11은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홀 채움(Hole Filling) 처리가 수행될 수 있음을 알려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따라 홀 채움(Hole Filling)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2 내지 도 14를 통해 개시된 홀 채움(Hole Filling)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단말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동 단말기에 추가되거나 생략되는 기능에 따라 그 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이 추가될 수 있거나 일부 구성요소들이 생략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방송 관련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전자 기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범지구적 위성항법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은 지구를 공전하여 무선 항법 수신기들의 소정의 타입들이 지표면 또는 지표면 근처의 그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기준 신호들을 보내는 무선 항법위성 시스템들을 설명하기 위해 이용되는 용어이다. 상기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에는 미국에서 운영하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유럽에서 운영하는 갈릴레오(Galileo), 러시아에서 운영하는 GLONASS(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ite System), 중국에서 운영하는 COMPASS 및 일본에서 운영하는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등이 있다.
GNSS의 대표적인 예를 들면,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일 수 있다. 상기 GPS 모듈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상기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A/V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이렇게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이동 단말기(100)에 2개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에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트랙볼, 조이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40)의 센서들도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 실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 이동 단말기의 각도 변화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내장되거나 그 디스플레이 모듈(151) 상에 적층된 터치 센서를 포함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인식 가능한 근접거리 이내에서 물체의 유무 및 그 물체의 움직임이나 제스쳐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 변화, 방위 변화, 각도 변화 등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사용자의 피부(손)에 진동 또는 압력을 선택적으로 인가함으로써, 소정의 능동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압력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케이스(200)에 수용된 상태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를 케이스(200)에서 인출하지 않고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센싱부(140)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및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카메라(1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 LCD,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는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모듈(151) 상에 터치 센서가 적층되거나 그 디스플레이 모듈(151) 내에 터치 센서가 내장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이미지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 입력을 받는 입력 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제어부(180)의 터치신호 처리모듈(미도시)로 전송된다. 터치신호 처리모듈은 터치 신호로부터 터치점의 좌표를 산출하여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어느 지점이 터치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터치 센서가 정전식 터치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에,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포인터의 근접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영역 또는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근접 센서(141)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어폰잭(116)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잭(116)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근접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3)는 케이스로 수용되거나 상기 케이스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서로 다른 효과음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케이스에 대한 이동 단말기(100)의 수용 여부를 직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케이스 수용 여부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햅틱 패턴을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햅틱 패턴으로 이동 단말기(100)가 케이스에 수용되었는지를 직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제반 제어 동작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입/출력되는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터치 입력, 근접 입력 시에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효과음, 햅틱패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모듈 카드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전원은 이동 단말기(100)가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식별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모듈은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식별모듈은 인터페이스부(170)의 식별모듈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식별모듈에는 전화번호, 통화정보, 과금정보 등이 저장된다.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멀티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을 위한 신호 처리를 담당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바(Bar)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이미지를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는 방법으로 제작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_a, 121_b), 사용자 입력부의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 조작 유닛(131)과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제2 조작 유닛(132)과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사용자가 촉각의 변환를 느끼게 하면서 조작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조작 유닛들(131, 132)은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트랙볼, 조이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 및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전방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들(121,121')은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02)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전방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에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의 방송수신모듈(111)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이동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이동 단말기(100)가 케이스에 수용되어 잠금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 발생하는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조작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블럭 구성 중,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듀얼 카메라를 통해 수집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HDR 영상을 생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카메라(122_a), 제2 카메라(122_b), 제1 영상 처리부(182_a), 제2 영상 처리부(182_b)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151,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180)는 도 1을 통해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블럭 구성과 관계된 동작들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1 카메라(122_a) 및 제2 카메라(122_b)는 촬영자(본인) 또는 촬영 대상자인 피사체를 촬영하며, 상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영상 처리부(182_a, 182_b)는 제1 및 제2 카메라(122_a, 122_b)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처리하되, 촬영되는 피사체 영상 신호의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122_a, 122_b)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및 크기에 맞추어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 신호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설정된 방식으로 합성 또는 편집된 상태가 압축 또는 압축된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의 제어하에 표시되는 화면 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처리부(182_a, 182_b)에서 출력되는 듀얼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프리뷰 상태나 촬영된 영상의 합성 또는 편집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HDR 영상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1 카메라(122_a)를 통해 제1 영상을 수집하고, 제2 카메라(122_b)을 통해 제2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122_a) 및 제2 카메라(122_b)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카메라(122_a) 및 제2 카메라(122_b) 사이의 간격은 6cm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중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근거리에 위치하는 피사체(객체)들에 대해서는 시점(view point) 차이로 인하여 하나의 영상에서 상기 피사체가 차지하는 위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를 도 4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듀얼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각 영상을 합성하여 하나의 영상을 생성할 때 발생되는 고스트 현상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카메라(122_a)가 좌측 카메라이고, 제2 카메라(122_b)가 우측 카메라인 경우, 제1 카메라(122_a)를 통해 획득되는 제1 영상(LI, Left Image)과 제2 카메라(122_b)를 통해 획득되는 제2 영상(RI, Right Image)이 중첩되어 하나의 영상으로 편집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카메라(122_a, 122_b)를 통해 촬영되는 제1 및 제2 영상은 근거리 객체(OB1)와 원거리 객체(OB2)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원거리 객체(OB2)는 상기 제1 영상(LI) 및 제2 영상(RI) 내에서 모두 동일한 위치를 점유하지만, 상기 근거리 객체(OB1)는 상기 제1 영상(LI) 및 제2 영상(RI)에서 각각 다른 위치를 점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근거리 객체(OB1)는 상기 좌측 카메라(122_a)에 의한 좌측 영상(LI)에서는 우측으로 치우쳐서 존재하고, 상기 우측 카메라(122_b)에 의한 우측 영상(RI)에서는 좌측으로 치우쳐서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좌측 영상(LI)과 우측 영상(RI)을 이용하여 HDR 영상(CI, Converged Image)을 생성한다. 이 경우, 원 거리 객체(OB2)를 기준으로 상기 좌측 영상(LI) 및 우측 영상(RI)이 상호 중첩되거나, 어느 하나의 영상이 다른 하나의 영상으로 천이(shift)되는 경우, 상기 원 거리 객체(OB2)는 좌측 영상(LI)과 우측 영상(RI)이 일대일로 매칭될 수 있으나, 상기 근거리 객체(OB1)는 우측 카메라(122_b)에 의한 근거리 객체(OBR1)와 좌측 카메라(122_b)에 의한 근거리 객체(OBL1)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매칭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서는, 제1 카메라(122_a)에 의해 획득되는 제1 영상을 기준 영상으로 설정하고, 제2 카메라(122_b)에 의해 획득되는 제2 영상 중 특정 근거리 객체(HDR 처리가 요구되는 객체)를 제1 영상에 포함된 상기 특정 근거리 객체로 천이(shift)시킴으로써, 두 영상의 합성에 의해 생성되는 차이(displarity)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서는, 상기 특정 근거리 객체의 천이(Shift)로 인해 발생하는 홀(Hole)을 처리해야 하며, 상기 홀의 처리함으로써, 듀얼 카메라를 통해 생성된 영상을 통해 HRD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듀얼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DHR 영상을 생성하는 동작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6은 HDR 처리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카메라(122_a)를 통해 제1 영상을 획득하고(S110_a) 제2 카메라(122_b)를 통해 제2 영상을 획득한다(S110_b).
상기 제1 카메라(122_a)와 제2 카메라(122_b)는 소정의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간격은 6cm 내외일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카메라(122_a) 및 제2 카메라(122_b)에 대하여 노출 시간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카메라(122_a)에 대하여 과도 노출(Over Exposure)로 설정하고, 제2 카메라(122_b)에 대하여 부족 노출(Under Exposure)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과도 노출에 의한 제1 영상은 상기 부족 노출에 의한 제2 영상보다 상대적으로 입사되는 광량이 많은 상태에서 캡쳐되는 영상이고, 상기 제1 영상은 근거리 물체에 대한 정보를 주로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족 노출에 의한 제2 영상은 노출시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하여 주로 암부(Shadow)에 해당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획득됨에 따라 제어부(180)는 DHR 영상 처리를 위해 HDR 모드로 진입할지, 일반 촬영 모드로 진입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카메라(122_a)를 통해 획득되는 제1 영상을 기준 영상(reference image)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영상의 프리뷰 이미지를 분석하여(S121), HDR 영상 처리가 요구되는 환경인지를 먼저 판단할 수 있다(S122).
예를 들어, 상기 획득되는 기준 영상에서 적어도 일부 영역이 밝은색으로 포화(saturation)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기준 영상을 HDR 영상 처리가 요구되는 영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판단결과 HDR 영상 처리가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카메라 촬영 모드를 HDR 모드로 설정하고(S124), 그렇지 않으면 일반 모드로 설정한다(S123).
제어부(180)는 상기 HDR 모드에서 두 개의 카메라 노출 시간을 각각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카메라는 피사체 및 그 배경의 암부(Shadow)를 담기 위해 노출 시간을 "-" 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의 카메라는 명부(Highlight)를 담기 위해 노출 시간을 "+"로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5 를 참조하면, S120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촬영 모드가 HDR 모드인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획득된 제1 영상의 프리뷰 이미지와 제2 영상의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통해 HDE 영상 처리가 요구되는 객체를 검출한다(S130).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80)는 제1 영상의 프리뷰 이미지와 제2 영상의 프리뷰 이미지를 중첩하여 차이(disparity)가 존재하는 객체를 검출한다. 상기 차이(disparity)는 제1 영상의 원거리 객체(또는 배경) 및 제2 영상의 원거리 객체(또는 배경)을 기준으로 두 영상을 겹친 결과, 제1 영상의 근거리 객체와 제2 영상의 근거리 객체의 상대적 위치가 일대일로 매칭되지 않는 경우 차이(disparity)가 생긴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차이(disparity)는 이동 단말기(100)와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짧을수록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제1 카메라 영상과 제2 카메라 영상을 통해 상기 차이(disparity)가 발생되는 객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객체를 HDR 영상 처리가 요구되는 객체로 판단한다.
그런 후, 제어부(180)는 HDR 객체에 대한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S140).
상기 인디케이터(indicator)는, 프리뷰 이미지(preview image) 상에서 어떠한 객체가 HDR 처리가 요구되는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검출된 객체상에 직접 표시하거나, 경고 메시지 창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HDR 처리가 필요한 객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7은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알려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이고, 도 8은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피사체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음을 알려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영상은 제1 카메라(122_a)에서 획득된 제1 프리뷰 이미지와 제2 카메라(122_b)에서 획득된 제2 프리뷰 이미지에 기초하여 홀 채움(Hole Filling) 처리가 요구되는 객체(OB1, OB2) 즉, 고스트 발생 우려가 있는 객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인디케이터(I1,I2)를 상기 객체(OB1,OB2)에 직접 표시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객체(OB1,OB2)에 직접적으로 표시한 인디케이터와 함께 고스트(ghost)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I3)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스트 발생 우려가 있는 객체와 관련된 인디케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어떠한 객체에 대하여 홀 채움(Hole Filling) 처리가 필요한지를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스트 발생 우려가 존재하는 객체와 관련된 인디케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일정 정도의 고스트(ghost) 발생은 허용될 수 있는 경우도 존재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고스트를 제거하기 위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할지, 상기 고스트가 발생된 상태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듀얼 카메라(dual camera)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 고스트(ghost)가 발생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와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경우에 해당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프리뷰 이미지를 통해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를 검출하되,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검출된 객체에 대응되는 피사체 까지의 거리가 증가되면, 상기 검출된 객체에 대하여 고스트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음을 알려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1)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검출된 객체에 대하여 고스트가 발생하지 않을 적정 거리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이동 단말기와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HDR 처리 여부가 변경될 수 있음을 알려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이다.
도 9를 참조하면, d1 및 d2는 이동 단말기(10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 대상이 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d1 및 d2는 이동 단말기(100)의 카메라와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이동 단말기(100) 측면에서 d1 거리의 피사체는, 두 개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경우, 고스트가 발생될 확률이 놓은 피사체이고, d2 거리의 피사체는, 고스트가 발생될 확률이 d1 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피사체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100)와 피사체의 거리가 변경됨에 따라 고스트가 발생되는 객체의 종류가 변경되므로, 상기 거리 변경에 따라 상기 고스트가 발생되는 객체에 표시되는 인디케이터의 표시 또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도 9에서, 이동 단말기(100)와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d1인 경우, 객체 1 및 객체 2는 모두 고스트가 발생하므로, 상기 인디케이터를 객체 1 및 객체 2에 대하여 모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100)와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여 d2가 되는 경우, 객체 1은 고스트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어부(180)는, 거리가 d1 일때 표시했던 객체 1에 대한 인디케이터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객체 2는 여전히 고스트가 발생하므로 제어부(180)는 객체 2에 대해서는, 거리가 d1 일때 표시했던 인디케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1은 HDR 처리가 요구되는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HDR 처리가 진행될 수 있음을 알려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가 HDR 모드로 진입된 상태에서, 프리뷰 이미지를 통해 고스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고스트를 처리하는 과정(Hole filling)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고스트를 산출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시각에 의할 때, 상기 고스트가 인지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HDR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고스트 발생에 따른 홀 채움(Hole Filling) 처리를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2)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듀얼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환경에서, 상기 듀얼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프리뷰 이미지에 기초하여 HDR 처리가 요구되는지를 판단한 후,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제1 프리뷰 이미지와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제2 프리뷰 이미지에 기초하여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를 검출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동작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검출된 객체에 대하여 HDR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필요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따라 홀 채움(Hole Filling)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2 내지 도 14를 통해 개시된 홀 채움(Hole Filling)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를 천이(shift) 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제1 영상에서 고스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를 제1 객체로 가정하고,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제2 영상에서 고스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를 제2 객체라 가정한다.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는 동일한 피사체가 각각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통해 보여지는 이미지들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기준 영상(reference image)이라 가정할 때(도 16 참조),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중첩하면, 상기 제1 객체(도 16의 OB1)와 제2 객체(도 16의 OB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피사체이지만, 시점이 서로 다른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므로, 획득된 사진 영상에서 보여지는 이미지는 서로 겹쳐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영상을 기준 영상에 맞추어 보정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제1 카메라의 노출시간을 제2 카메라의 노출시간 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으며, 제1 영상의 밝기는 제2 영상의 밝기보다 밝다.
따라서,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합성 및 편집하여 상기 겹쳐지지 않는 제1 객체(도 16의 OB1)와 제2 객체(OB2)를 하나의 객체로 편집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서, 고스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와 제2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분석한다.
먼저 제어부(180)는, 제1 영상에서, 제2 영상의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에 대응되는 제1 영역의 히스토그램의 분포를 분석한다(S310).
그리고 제어부(180)는 이와 함께, 제2 영상에서, 상기 제2 영상의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과 그 근방 영역(proximate area)사이에 존재하는 제2 영역의 히스토그램의 분포를 분석한다(S320).
그런 후, 객체 천이(shift)로 인해 발생되는 홀(Hole)을 처리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2 영상의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를 제1 영상의 대응되는 영역으로 천이(shift) 시킨다(S211).
그런 후, 제어부(180)는, 상기 천이(shift)로 생성되는 홀(Hole)을 채운다(S211).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 분포와 제2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에 기초하여 상기 홀(Hole)을 채운다. 상기 홀(Hole)을 채우는 과정을 도 15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는 홀(Hole)을 처리하기 위하여 각 영상에서 히스토그램의 분포를 분석할 영역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영상(I1, 기준 영상)에서 제2 영상(I2)의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에 대응되는 제1 영역(51)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분석한다(S310).
상기 제1 영역(51)은 제1 영상과 제2 영상이 겹쳐졌을 때, 상기 제2 영상에서 상기 제1 영상의 제1 영역(51)에 대응되는 객체가 존재하게 될 영역이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영상(I2)에서, 제2 영상의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OB2)에 대응되는 영역(OB2가 차지하는 영역)과 그 근방영역(proximate area) 사이에 존재하는 제2의 영역(52)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분석한다(S320).
여기서 상기 제2 영역(52)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분석하는 이유는 제1 영상(I1)과 제2 영상(I2)은 노출 시간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밝기 분포 또한 서로 다르다. 또한, 제1 영상(I1)과 제2 영상(I2)이 겹쳐지고, 제2 객채(OB2)가 제1 객체(OB1)로 천이(shift) 되었을 때, 상기 제2 영역(52) 히스토그램의 분포가 상기 천이(shift)로 인해 생기는 홀(Hole)의 히스토그램의 분포와 가장 유사한 히스토그램의 분포를 가지기 때문이다.
그런 후 제어부(180)는 전술한 도 12에 도시된 S210 과정을 수행한다.
도 16은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겹쳤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예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영상(도 15의 I1)에서 고스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는 제1 객체(OB1)와 제2 영상(도 15의 I2)에서 고스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는 제2 객체(OB2)를 원거리 물체(60) 또는 배경 등을 기준으로 겹친다. 이에 따라 제1 객체(OB1)와 제2 객체(OB2)가 하나의 영상(I1+I2)에 존재할 수 있게 된다.
그런 후, 제2 객체(OB2)를 제1 객체(OB1)로 천이(shift)시킨다.
상기 천이(shift) 결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Hole)이 생성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도 13에서 설명한 제1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와 제2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참조하여 생성된 홀(Hole)을 채울 수 있다.
도 18은 상기 홀(Hole)이 채워진 모습을 나타낸 예시적인 화면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이동 단말기 122_a: 제1 카메라
122_b: 제2 카메라 151: 디스플레이부
180: 제어부

Claims (12)

  1. 디스플레이부;
    제1 영상을 획득하는 제1 카메라;
    상기 제1 카메라와 시점(view point)이 다른 제2 영상을 획득하는 제2 카메라; 및
    HDR(High Dynamic Range) 동작 모드에 진입됨에 따라,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의 프리뷰 이미지(preview image)에 기초하여 HDR(High Dynamic Range) 영상 처리가 요구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프리뷰 이미지에 기초하여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객체를 식별하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의 프리뷰 이미지가 적어도 하나의 포화 영역(saturation area)를 포함하는 경우, 촬영 모드를 상기 HDR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의 프리뷰 이미지와 제2 영상의 프리뷰 이미지가 중첩되는 경우, 차이(disparity)가 존재하는 경우에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하이라이트(Highlight), 텍스트(text), 음성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검출된 객체 사이의 거리에 따른 상기 검출된 객체의 차이(disparity)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차이(disparity)를 포함하는 영상 및 상기 차이(disparitry)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캡쳐할 것인지를 질의하는 사용자 선택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촬영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의 거리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를 재검출하고, 상기 재검출된 객체에 대하여 상기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는 과도 노출(over exposure)로 설정되고, 상기 제2 카메라는 부족 노출(under exposure)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의 배경 영상과 제2 영상의 배경 영상을 중첩시키고, 상기 제2 영상에서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가 상기 제1 영상에서 대응되는 영역으로 천이(shift)됨에 따라 생성되는 홀(hole)에 대하여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석 결과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에서, 상기 제2 영상의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에 대응되는 제1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분석하고, 상기 제2 영상에서, 상기 제2 영상의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근방 영역(proximate area) 사이에 존재하는 제2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분석하고, 상기 제2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 카메라를 통해 제1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카메라와 시점(view point)이 다른 제2 카메라를 통해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HDR(High Dynamic Range) 동작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의 프리뷰 이미지(preview image)에 기초하여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객체를 식별하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에서, 상기 제2 영상의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에 대응되는 제1 영역의 히스토그램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상에서, 상기 제2 영상의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 및 상기 영역의 근방 영역(proximate area) 사이에 존재하는 제2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중첩시키는 단계;
    상기 제2 영상의 고스트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객체를 상기 제1 영상의 대응되는 영역으로 천이(shift)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10083757A 2011-08-23 2011-08-23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843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757A KR101843450B1 (ko) 2011-08-23 2011-08-23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13/532,696 US8817160B2 (en) 2011-08-23 2012-06-25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2179802.9A EP2563010B1 (en) 2011-08-23 2012-08-09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757A KR101843450B1 (ko) 2011-08-23 2011-08-23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496A true KR20130021496A (ko) 2013-03-06
KR101843450B1 KR101843450B1 (ko) 2018-03-29

Family

ID=46796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757A KR101843450B1 (ko) 2011-08-23 2011-08-23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17160B2 (ko)
EP (1) EP2563010B1 (ko)
KR (1) KR1018434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920A (ko) * 2014-05-23 2015-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테레오 카메라, 이를 구비한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KR101597652B1 (ko) 2015-01-09 2016-02-26 (주)하이레벤 태양광 모듈의 세정용 차량
WO2020096192A1 (ko) * 2018-11-08 2020-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928797B2 (en) 2018-10-24 2024-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cquiring a synthesized im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9146A (ko) * 2013-01-04 2014-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통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102124188B1 (ko) 2013-03-13 2020-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를 처리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US9635268B2 (en) * 2013-03-13 2017-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thumbnail data
US9955084B1 (en) * 2013-05-23 2018-04-24 Oliver Markus Haynold HDR video camera
KR102089624B1 (ko) * 2013-09-02 2020-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를 합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313389B2 (en) 2013-11-08 2016-04-12 Htc Corporation Camer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N104937921B (zh) * 2013-12-06 2019-04-26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一种终端及图像处理方法、图像采集方法
US9906772B2 (en) * 2014-11-24 2018-02-27 Mediatek Inc. Method for performing multi-camera capturing control of an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apparatus
WO2017051808A1 (ja) 2015-09-25 2017-03-30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CN113660520A (zh) 2015-09-25 2021-11-16 麦克赛尔株式会社 显示装置和显示控制方法
KR20180027047A (ko) * 2016-09-05 201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Hdr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284761B2 (en) * 2016-11-17 2019-05-07 Motorola Mobility Llc Multi-camera capture of a high dynamic range image
US10122943B1 (en) 2017-05-05 2018-11-06 Motorola Mobility Llc High dynamic range sensor resolution using multiple image sensors
JP7030562B2 (ja) * 2018-02-28 2022-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182197B (zh) * 2018-11-13 2022-03-22 荷兰移动驱动器公司 相片拍摄方法、计算机程序、可读存储介质及电子装置
TWI692977B (zh) * 2018-11-13 2020-05-01 大陸商深圳市超捷通訊有限公司 相片拍攝方法、電腦程式、電腦可讀存儲介質及電子裝置
US11653101B2 (en) 2019-05-17 2023-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ing system for generating high dynamic range image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0905B2 (ja) * 1997-02-28 2005-03-2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方法及び撮像装置
JP2000050151A (ja) * 1998-07-28 2000-02-18 Olympus Optical Co Ltd 撮像装置
JP4245699B2 (ja) * 1998-09-16 2009-03-2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JP4240666B2 (ja) * 1999-08-06 2009-03-18 富士通株式会社 画像合成方法および画像表示方法
US7298402B2 (en) * 2000-10-26 2007-11-20 Olympus Corporation Image-pickup apparatus with expanded dynamic range capabilities
JP4511066B2 (ja) * 2001-03-12 2010-07-2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4208028A (ja) * 2002-12-25 2004-07-22 Minolta Co Ltd 撮像装置
WO2004112380A1 (ja) * 2003-06-17 2004-12-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情報生成装置、撮影装置および撮影方法
KR100859431B1 (ko) * 2003-12-26 2008-09-23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촬영 장치,촬영 시스템 및 반도체 집적회로
US20050219642A1 (en) * 2004-03-30 2005-10-06 Masahiko Yachida Imaging system, image data stream creation apparatus, image generation apparatus, image data stream generation apparatus, and image data stream generation system
JP2006025312A (ja) * 2004-07-09 2006-01-26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撮像装置、及び画像取得方法
JP2006140971A (ja) * 2004-11-15 2006-06-01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401949B2 (ja) * 2004-11-26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動画撮像装置及び動画撮像方法
JP4379918B2 (ja) * 2004-11-29 2009-12-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US7561731B2 (en) * 2004-12-27 2009-07-14 Trw Automotive U.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the dynamic range of a stereo vision system
JP4177826B2 (ja) * 2005-03-23 2008-11-05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7714890B2 (en) * 2005-04-26 2010-05-11 Olympus Imaging Corp. Image pickup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ixel reading using a shake determination
US7424218B2 (en) 2005-07-28 2008-09-09 Microsoft Corporation Real-time preview for panoramic images
JP4402025B2 (ja) * 2005-08-29 2010-01-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複眼撮像装置及び複眼撮像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WO2007032082A1 (ja) * 2005-09-16 2007-03-22 Fujitsu Limited 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JP4509917B2 (ja) * 2005-11-21 2010-07-21 株式会社メガチップス 画像処理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4567593B2 (ja) * 2005-12-27 2010-10-20 三星デジタル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影方法
WO2007077719A1 (ja) * 2005-12-27 2007-07-12 Kyocera Corporation 撮像装置およびその画像処理方法
US7623683B2 (en) * 2006-04-13 2009-11-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bining multiple exposure images to increase dynamic range
JP4671430B2 (ja) * 2006-06-02 2011-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GB0613352D0 (en) * 2006-07-05 2006-08-16 Ashbey James A Improvements in stereoscopic imaging systems
KR100843087B1 (ko) * 2006-09-06 2008-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311896B1 (ko) * 2006-11-14 2013-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영상의 변위 조정방법 및 이를 적용한 입체 영상장치
KR20080076628A (ko) * 2007-02-16 200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입체감 향상을 위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방법
US7729602B2 (en) 2007-03-09 2010-06-01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using multiple lenses and image sensors operable in a default imaging mode
KR101345303B1 (ko) * 2007-03-29 2013-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입체감 조정 방법 및 장치
CN101884213B (zh) * 2007-12-03 2012-09-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图像处理装置及方法、摄影装置、再生装置、集成电路
JP4544332B2 (ja) * 2008-04-07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US8259208B2 (en) * 2008-04-15 2012-09-04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ouch-based adjustments within imaging devices
US8724921B2 (en) * 2008-05-05 2014-05-13 Aptina Imaging Corporation Method of capturing high dynamic range images with objects in the scene
JP5230376B2 (ja) 2008-11-28 2013-07-10 三星電子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4735742B2 (ja) * 2008-12-18 2011-07-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ストロボ画像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339475B2 (en) * 2008-12-19 2012-12-25 Qualcomm Incorporated High dynamic range image combining
JP5407380B2 (ja) * 2009-02-03 2014-02-05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撮像機能を備えた携帯端末
US8111300B2 (en) * 2009-04-22 2012-02-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to selectively combine video frame image data
JP5226600B2 (ja) * 2009-04-28 2013-07-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変形装置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JP5483535B2 (ja) * 2009-08-04 2014-05-0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周辺認知支援装置
JP5683851B2 (ja) * 2009-08-20 2015-03-11 株式会社ザクティ 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5458865B2 (ja) * 2009-09-18 2014-04-0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604068B1 (ko) * 2009-09-22 2016-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고대비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JP5550305B2 (ja) * 2009-10-22 2014-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1661969B1 (ko) 2009-11-02 2016-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JP2011119930A (ja) * 2009-12-02 2011-06-16 Seiko Epson Corp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
US9020281B2 (en) * 2010-03-01 2015-04-28 Konika Minolta Advanced Layers, Inc. Ghost detection device and imaging device using the same, ghost detection method and ghost removal method
JP5445235B2 (ja) * 2010-03-09 2014-03-19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683025B2 (ja) * 2010-04-19 2015-03-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立体画像撮影装置および立体画像撮影方法
TW201228376A (en) * 2010-12-28 2012-07-01 Altek Corp Electronic apparatus,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5136669B2 (ja) * 2011-03-18 2013-02-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91336B2 (ja) * 2011-04-01 2015-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787648B2 (ja) * 2011-07-11 2015-09-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5812739B2 (ja) * 2011-07-23 2015-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RU2471231C1 (ru) * 2011-09-30 2012-12-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й Ти Ви групп" Способ поиска объектов в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сти изображений, полученных от стационарной видеокамеры
JP5898466B2 (ja) * 2011-11-11 2016-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610818B2 (en) * 2012-01-18 2013-12-17 Cisco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video stutter in high resolution progressive vide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920A (ko) * 2014-05-23 2015-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테레오 카메라, 이를 구비한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KR101597652B1 (ko) 2015-01-09 2016-02-26 (주)하이레벤 태양광 모듈의 세정용 차량
US11928797B2 (en) 2018-10-24 2024-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cquiring a synthesized image
WO2020096192A1 (ko) * 2018-11-08 2020-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933599B2 (en) 2018-11-08 2024-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450B1 (ko) 2018-03-29
US20130050519A1 (en) 2013-02-28
EP2563010A3 (en) 2013-09-25
US8817160B2 (en) 2014-08-26
EP2563010A2 (en) 2013-02-27
EP2563010B1 (en)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45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65408B1 (ko) 이동 단말기
KR10204770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23945B1 (ko) 전자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CN108391171B (zh) 视频播放的控制方法及装置、终端
CN108616776B (zh) 直播分析数据获取方法及装置
KR10206541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1901658A (zh) 评论信息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130010590A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CN114546227A (zh) 虚拟镜头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KR20120122314A (ko) 이동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025268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206359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177496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8448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60422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40100051A (ko) 이동 단말기
KR102058466B1 (ko) 이동 단말기
KR20140019978A (ko) 이동 단말기
KR101689170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정보 송신 방법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제공 방법
KR10170950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정보의 편집 방법
KR2015005005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CN111294513B (zh) 拍照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3007534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69059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전자 기기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