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0735A - 화상 처리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 휴대 단말, 및 화상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 휴대 단말, 및 화상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0735A
KR20130020735A KR1020137002877A KR20137002877A KR20130020735A KR 20130020735 A KR20130020735 A KR 20130020735A KR 1020137002877 A KR1020137002877 A KR 1020137002877A KR 20137002877 A KR20137002877 A KR 20137002877A KR 20130020735 A KR20130020735 A KR 20130020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ing
image data
symbol
image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2916B1 (ko
Inventor
요이치 히네
신 엔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킹 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11265A external-priority patent/JP4904426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2281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2069082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킹 짐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킹 짐
Publication of KR20130020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 in the plane of the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3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44Selective acquisitio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e.g. highlighted text, fiducial marks or predetermined fields
    • G06V30/1448Selective acquisitio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e.g. highlighted text, fiducial marks or predetermined fields based on markings or identifiers characterising the document or th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04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76Docu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04Mark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Abstract

<과제> 문서의 놓는 방법이나 카메라의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고, 또한 용지의 색이나 각부의 파쇄가 있었다고 해도 화상 보정이 가능하고 문서의 재현성이 높은 촬상 기술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 디지털 카메라나 스마트 폰 등의 카메라 부착 휴대전화로, 문서의 촬영을 할 때에 문서 용지에 위치 결정 심볼을 인쇄해 두고, 이 위치 결정 심볼을 기준으로 화상 처리를 행함으로써 용지의 색이나 각부의 파쇄가 있었다고 해도, 화상 보정(사다리꼴 보정)이 가능하고 문서의 재현성이 높은 화상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 휴대 단말, 및 화상 처리 방법{RECORDING MEDIA OF IMAGE PROCESSING PROGRAM, PORTABLE TERMINAL, AND IMAGE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콤팩트 디지털 카메라(Compact digital cameras)나 휴대전화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문서를 촬상하는 기술에 적용하기에 유효한 기술이다.
콤팩트한 디지털 카메라, 휴대전화나 스마트 폰에 탑재된 디지털 카메라는, 수백만 화소 이상의 고정밀도 촬영이 가능하게 되고 있어 풍경이나 인물 등의 촬영뿐만 아니라, 종이 문서, 메모나 명함 등을 촬영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대표적인 스마트 폰(Smart Phone)인 애플사의 아이폰(iPhone)(애플사가 허락을 받은 아이폰사의 등록상표)에서는, 탑재된 카메라로 촬영한 종이 매체의 표면 화상을 읽어들여 연속적인 화소의 변화로부터 당해 종이 매체의 엣지(edge)를 인식하고, 비스듬한 방향으로부터 촬영하고 있기 때문에 사다리꼴 상태로 되어 있는 엣지를 사각형(方形)으로 보정(사다리꼴 보정)하여, 종이 매체를 어디까지나 접사(接寫) 방식의 문서 스캐너로 읽어들인 것 같은 화상으로 마무리하는 스캐너 어플리케이션(scanner application)으로 불리는 어플리케이션이 여러 종류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카메라로 촬영한 문서의 화상을 보정하는 기술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개 2010-130181호 공보(특허 문헌 1)가 있다. 이 특허 문헌 1에서는, 청구항 7 및 단락 [0047]에 기재되어 있듯이, 퍼스널 컴퓨터(본체 PCB)의 키보드의 양측을 따라 마커(marker)로서의 적선(赤線) RL을 설치해 두고 촬상 화상의 화면 측 테두리와의 경사각을 보정 파라미터(Parameter)로서 사다리꼴 보정하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0-130181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은, 퍼스널 컴퓨터(본체 PCB)의 양측에 설치된 비스듬한 방향으로 촬영되는 적선 RL의 마커를 기준으로 사다리꼴 보정을 행하기 때문에, 사다리꼴 보정의 자동화를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은 있지만, 퍼스널 컴퓨터(본체 PCB)의 앞에 놓인 문서가, 퍼스널 컴퓨터(본체 PCB)에 대해서 정확한 위치에 놓이지 않으면 정확한 사다리꼴 보정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문서(DCM)가 조금이라도 비스듬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놓여 버린 경우, 기울어진 대로의 촬상 화상에 사다리꼴 보정을 하더라도, 화상으로서 재현된 문서(DCM)가 변형해 버려, 위화감이 있는 것으로 되어 버릴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전술한 문서의 엣지 부분을 인식하고 사다리꼴 보정을 행하는 종래 기술을 병용(倂用)하였다고 하여도, 복잡한 보정 계산을 행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문서가 그 용지색과 같은 계열색의 책상 위에 재치(載置)되어 있거나, 각부(角部)가 스테이플러(stapler)의 철침에 의하여 파쇄되거나 절곡되어 있으면, 엣지 부분의 인식률이 낮아져 정확한 문서의 재현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문서의 놓는 방법이나 카메라의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고, 또한 용지의 색이나 각부의 파쇄가 있었다고 하여도, 화상 보정이 가능하여 문서의 재현성이 높은 촬상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시스템은, 적어도 2곳의 소정 위치에, 다치화(多値化)된 도형으로 이루어진 심볼 코드(symbol code)에 의하여 형성된 위치 결정용 심볼을 가지는 촬상 대상물과, 당해 촬상 대상물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당해 촬상 수단이 촬상한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위치 결정용 심볼을 검출하고, 당해 위치 결정용 심볼을 기준으로 산출된 소정 영역을 제1 범위로서 인식하고, 당해 제1 범위에 있는 화상 데이터만을 절출하여 절출화상(切出畵像; cut-out image)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화상 취득 수단과, 당해 화상 취득 수단이 취득한 절출화상을 데이터로서 보존하는 화상 데이터 보존 수단으로 구성되는 화상 처리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촬상 대상물로서의 문서나 메모 그 자체에 위치 결정용 심볼(심볼 코드)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문서의 놓는 방법이나 카메라의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고, 또한 용지의 색이나 각부의 파쇄가 있었다고 하여도, 화상 보정이 가능하여 재현성이 높은 문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다치화(多値化)된 도형으로 이루어진 심볼 코드라는 것은, 환언하면, 출현부와 비출현부를 가지는 심볼 코드이다. 또한 위치 결정용 심볼은, 2곳 이상 있으면 외형을 인식할 수가 있고, 3곳 있으면 화상의 좌표를 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촬상시의 왜곡 대책으로서 정점(頂点) 검출용 셀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결정용 심볼이 4곳이면 촬상시에 비뚤어져도 외형을 알 수 있지만 방향을 알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방향 결정 심볼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촬상 대상물에는, 상기 제1 범위의 소정 위치에 당해 제1 범위의 방향을 인식하기 위한 방향 결정 심볼과, 상기 제1 범위 내 또는 제1 범위와는 다른 영역으로서 설치된 제2 범위를 가지고, 상기 화상 취득 수단 또는 화상 데이터 보존 수단에는, 미리 조합(照合)용 문자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당해 화상 취득 수단이, 상기 방향 결정 심볼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범위의 방향을 인식하고, 인식한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범위를 검출하고, 당해 제2 범위에 그려진 화상과 상기 문자 정보를 조합하고, 당해 화상이 문자임을 인식했을 때에, 당해 문자를 상기 제1 범위로부터 읽어낸 화상 데이터의 관련 정보로서 보존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범위로부터 읽어내지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관련 정보로서 제2 범위에 기재된 문자를 문자 정보로서 인식하여 기억해 둘 수가 있기 때문에, 당해 문자 정보를 화상 데이터의 인덱스(index)로서 사용할 수 있어 화상 데이터의 검색성을 높일 수가 있다. 제1 범위의 소정 위치라는 것은, 예를 들면, 제1 범위의 상부나 위치 결정용 심볼 중의 하나이다. 관련 정보라는 것은, 예를 들면 날짜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합용 문자 정보는, 영문자와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할 수가 있다. 제2 범위에 기재된 문자의 인식을 영숫자로 한정함으로써 인식률을 높여 처리를 고속화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촬상 대상물을 읽어내고, 읽어낸 화상으로부터 상기 위치 결정용 심볼을 적어도 3곳 검출하면 그 촬상 화상을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인도하도록 해도 좋다. 촬상 수단이 적어도 3곳의 위치 결정용 심볼을 검출함으로써 화상의 좌표를 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촬상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 수단에 인도함으로써 자동셔터를 실현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불필요한 조작 없이 최적인 타이밍에 화상 데이터의 취득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촬상 대상물상의 상기 제1 범위는,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당해 직사각형의 4정점에 각각 상기 위치 결정용 심볼이 배설(配設)되어 있고, 상기 화상 취득 수단은, 미리 기억되어 있던 각각의 위치결정용 심볼간의 기준 거리를 읽어내고,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각각의 위치결정용 심볼간의 거리가 상기 미리 기억된 각각의 위치결정용 심볼간의 기준 거리와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조합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촬상된 화상에 있어서의 각각의 위치결정용 심볼의 거리를 상기 각각의 위치결정용 심볼간의 기준 거리에 일치하도록 촬상된 화상을 보정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문서, 메모 등의 촬상 대상물 그 자체에 위치 결정용 심볼이 설치되어 있고, 이 위치결정용 심볼을 기준으로 화상 보정(사다리꼴 보정)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용지의 엣지의 인식을 행하는 경우에 비해서, 촬상 대처물(對處物)의 놓는 방법(방향, 위치나 그 장소)에 좌우되는 일 없이 화상 데이터의 취득 범위를 확실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촬상 대상물의 표면은, 전자적으로 복사하면 소정의 위치에 다른 위치와는 다른 형상으로 설치된 금지 심볼이 출현하는 인쇄 처리가 되어 있고, 상기 촬상 대상물을 촬상한 상기 촬상 수단은, 촬상 화상중에 상기 금지 심볼을 인식했을 때에는, 당해 촬상 화상을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인도하는 처리를 실행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적으로 복사한(카피(copy)한) 촬상 대상물을 촬상 수단으로 촬상하려고 하여도,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한 화상 처리를 행하지 않기 때문에, 부정한 전자 복사(카피)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촬상 대상물로서 특정할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화상 처리 시스템의 촬상 대상물로서, 적어도 2곳의 소정 위치에, 다치화(多値化)된 도형으로 이루어진 심볼 코드에 의하여 형성된 위치 결정용 심볼을 가진다.
본 발명의 촬상 대상물에 의하면, 적어도 2곳(예를 들면 좌상(左上)과 우하(右下))에, 특수한 형상의 위치 결정용 심볼을 설정함으로써 제1 범위에 기재된 자필 문자 등의 도형과 분명하게 구별함과 아울러, 그 범위를 확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위치 결정용 심볼에는, QR코드(일본국 상표 등록 제4075066호)로 이용되는 결정용 심볼과 같은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촬상 대상물에 있어서, 상기 다치화된 도형으로 이루어진 심볼 코드는, 출현부와 비출현부를 가지고, 상기 비출현부는, 상기 촬상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촬상 화상에서는 가시화되지 않는 다른 모양을 가지는 배경부(背景部)와 잠상부(潛像部)를 가지고, 당해 독취 대상물을 전자적으로 복사하고, 당해 복사물을 인쇄하면, 배경부와 잠상부가 출현한 복사물이 가시화된 상태로 재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 결정용 심볼의 도형중에 촬상 수단에서는 가시화되지 않고, 전자 복사(복사기에 의한 카피)에 의하여 가시적으로 출현하는 배경부와 잠상부를 설치해 둠으로써 복제된 촬상 대상물의 부정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전자 복사(복사기에 의한 카피)를 이용하여 복사된 촬상 대상물을 촬상한 경우에는, 위치 결정용 심볼의 배경부와 잠상부가 출현함으로써 위치 결정용 심볼의 도형 그 자체가 다른 형상의 것으로서 촬상 수단에 인식되어 버리게 된다. 그 때문에, 촬상 수단은 위치 결정용 심볼을 특정할 수가 없어 화상 취득 수단에 인도할 수가 없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위치 결정용 심볼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소정의 곳에, 촬상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촬상 화상에서는 가시화되지 않는 다른 모양을 가지는 배경부와 잠상부를 가지고, 당해 독취 대상물을 전자적으로 복사하고, 당해 복사물을 인쇄하면, 배경부와 잠상부가 출현한 금지 심볼이 가시화된 상태로 재현되도록 해도 좋다. 소정의 곳에 촬상 수단에서는 가시화되지 않고, 전자 복사(복사기에 의한 카피)에 의하여 가시적으로 출현하는 배경부와 잠상부를 설치해 둠으로써 복제된 촬상 대상물의 부정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촬상 수단이 가시적으로 출현하는 배경부와 잠상부, 즉 금지 심볼을 검출했을 때에는, 촬상 화상 데이터를 화상 취득 수단에 인도하지 않게 함으로써 부정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적어도 2곳의 소정 위치에, 다치화된 도형으로 이루어진 심볼 코드에 의하여 형성된 위치 결정용 심볼이 배설(配設)되고 촬상 대상물로서의 용지 위에 재치(載置)되는 투명 시트와, 당해 촬상 대상물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당해 촬상 수단이 상기 투명 시트를 개재하여 촬상한 용지 표면의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위치 결정용 심볼을 검출하고, 당해 위치 결정용 심볼을 기준으로 산출된 소정 영역을 제1 범위로서 인식하고, 당해 제1 범위에 있는 화상 데이터만을 절출하여 절출화상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화상 취득 수단과, 당해 화상 취득 수단이 취득한 절출화상을 데이터로서 보존하는 화상 데이터 보존 수단으로 구성되는 화상 처리 시스템으로 해도 좋다.
또, 본 발명은, 촬상 대상물로서의 용지 위에 첩부되고, 다치화된 도형으로 이루어진 심볼 코드에 의하여 형성된 위치 결정용 심볼로 이루어지는 2 이상의 씰(seal)편과, 당해 촬상 대상물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당해 촬상 수단이 촬상한 용지 표면의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씰편의 위치 결정용 심볼을 검출하고, 당해 위치 결정용 심볼을 기준으로 산출된 소정 영역을 제1 범위로서 인식하고, 당해 제1 범위에 있는 화상 데이터만을 절출하여 절출화상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화상 취득 수단과, 당해 화상 취득 수단이 취득한 절출화상을 데이터로서 보존하는 화상 데이터 보존 수단으로 구성되는 화상 처리 시스템으로 해도 좋다. 위치 결정용 심볼을 투명 시트에 배설하고, 또는 위치 결정용 심볼을 씰편으로 구성함으로써 촬상 대상물로서의 문서나 메모가 위치 결정용 심볼을 가지지 않는 경우에도, 화상 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특정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적어도 2곳의 소정 위치에, 다치화된 도형으로 이루어진 심볼 코드에 의하여 형성된 위치 결정용 심볼을 가지는 촬상 대상물의 표면을 촬상 수단으로 촬상하고, 그 원화상 데이터를 화상 취득 수단으로 처리하여, 화상 데이터 보존 수단에 등록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이, 적어도 상기 2곳의 소정 위치의 위치 결정용 심볼이 포함되도록 상기 촬상 대상물을 촬상하는 스텝(step)과, 상기 화상 취득 수단이, 촬상된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위치 결정용 심볼을 검출하고, 당해 위치 결정용 심볼을 기준으로 산출된 소정 영역을 제1 범위로서 인식하는 스텝과, 당해 제1 범위에 있는 화상 데이터만을 절출하여 절출화상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화상 데이터 보존 수단에 상기 절출화상을 데이터로서 보존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처리 방법이다.
또, 본 발명은, 화상 처리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로서 특정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적어도 2곳의 소정 위치에, 다치화된 도형으로 이루어진 심볼 코드에 의하여 형성된 위치 결정용 심볼을 가지는 촬상 대상물의 표면을 촬상 수단으로 촬상하고, 그 원화상 데이터를 화상 취득 수단으로 처리하여, 화상 데이터 보존 수단에 등록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에서 실행 가능한 화상 처리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로서, 상기 촬상 수단이, 적어도 상기 2곳의 소정 위치의 위치 결정용 심볼이 포함되도록 상기 촬상 대상물을 촬상하는 스텝과, 상기 화상 취득 수단이, 촬상된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위치 결정용 심볼을 검출하고, 당해 위치 결정용 심볼을 기준으로 산출된 소정 영역을 제1 범위로서 인식하는 스텝과, 당해 제1 범위에 있는 화상 데이터만을 절출하여 절출화상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화상 데이터 보존 수단에 상기 절출화상을 데이터로서 보존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처리 시스템에서 실행 가능한 화상 처리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이다.
또, 본 발명은, 촬상 수단에 의하여 촬상되고, 그 화상 데이터를 화상 취득 수단으로 처리하여, 데이터 보존 수단에 보존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촬상 대상물로서, 상기 촬상 대상물의 촬상 범위를 확정하기 위해서 적어도 2곳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다치화된 도형으로 이루어진 심볼 코드에 의하여 형성된 위치 결정용 심볼과, 상기 위치 결정용 심볼을 기준으로 해서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화상 데이터의 절출을 행하기 위한 제1 범위로 이루어지는 화상 처리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촬상 대상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촬상 대상물에 있어서, 상기 촬상 대상물에는, 상기 제1 범위의 소정 위치에 당해 제1 범위의 방향을 인식하기 위한 방향 결정 심볼과, 상기 제1 범위 내 또는 제1 범위와는 다른 영역으로서 설치되고, 상기 방향 결정 심볼과의 위치 관계로 그 방향이 인식됨과 아울러, 상기 화상 데이터 보존 수단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조합용 문자 정보와 조합하기 위한 문자가 기재되는 제2 범위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2곳의 소정 위치에, 다치화된 도형으로 이루어진 심볼 코드에 의하여 형성된 위치 결정용 심볼을 가지는 촬상 대상물과, 당해 촬상 대상물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촬상 수단에 의하여 촬상한 원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원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화상 처리 서버에 있어서, 당해 촬상 수단이 촬상한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위치 결정용 심볼을 검출하고, 당해 위치 결정용 심볼을 기준으로 산출된 소정 영역을 제1 범위로서 인식하고, 당해 제1 범위에 있는 화상 데이터만을 절출하여 절출화상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화상 취득 수단과, 당해 화상 취득 수단이 취득한 절출화상을 데이터로서 보존하는 화상 데이터 보존 수단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를 통한 화상 처리 시스템으로서 특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문서의 놓는 방법이나 카메라의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고, 또한 용지의 색이나 각부(角部)의 파쇄가 있었다고 하여도, 화상 보정이 가능하여 문서의 재현성이 높은 촬상 기술을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대상물로서의 메모 용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대상물로서의 메모 용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대상물로서의 메모 용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이용하는 카메라 부착 스마트 폰의 구성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를 네트워크로 이용했을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영 상태와 위치 결정 마크가 인쇄된 투명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대상물로서의 메모 용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에 이용하는 위치 결정 마크를 인쇄한 씰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의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을 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메모 용지(촬상 대상물)(DOC)의 표면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나듯이, 이 메모 용지(DOC)는, 상부에 설치된 철하기 위해서 남겨둔 종이의 여백(US)과 용지 본체로 구성되어 있다. 용지 본체의 상방(上方)에는 철하기 위해서 남겨둔 종이의 여백(US)을 따라 동일 도(圖)의 수평 방향 절취시작점(ML)이 설치되어 있고, 메모 용지 본체를 잘라낼 수 있게 되어 있어도 좋다.
메모 용지 본체의 표면에는 네 모서리 근방에 위치 결정용 심볼(M1 ~ M4)이 인쇄되어 있다. 4개의 위치 결정용 심볼 가운데, 좌상(M1), 좌하(M2) 및 우하(M3)의 위치 결정용 심볼은, 본 발명의 다치화된 도형으로 이루어진 심볼 코드에 대응하는 것이고, 4각형 모양의 굵은선(太線) 형상의 선도(線圖)(출현부)의 내부에 백지의 바탕색 부분의 영역(비출현부)으로 둘러싸인 채우기 인쇄의 사각형(출현부)이 배치되어 있다. 이 굵은선 형상은, 범용의 필기도구(연필, 볼펜, 사인펜)보다 굵은선으로 인쇄하도록 하여, 후술하는 제1 범위에 기술된 필기도구의 필적과는 명확하게 구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치 결정용 심볼은 칼라 코드(color code)로 해도 좋다.
용지 본체의 우상(右上)에는 상기 위치 결정용 심볼과는 다른 형상의 방향 결정 심볼(M4)이 인쇄되어 있다. 방향 결정 심볼(M4)은, 본 발명의 다치화된 도형으로 이루어진 심볼 코드에 대응하는 것이고, 상기 좌상(M1), 좌하(M2) 및 우하(M3)의 위치 결정용 심볼과는 다른 형상이다. 이와 같이, 4개의 심볼 중 1개만 그 형상을 다른 형상으로 함으로써 카메라(CAM)로 사정(査定)했을 때에, 메모 용지(DOC)의 정방향(正方向)을 검출할 수가 있게 되어 있다.
상기 4개의 위치 결정용 심볼(M1 ~ M4)에 둘러싸인 영역은, 제1 범위(AR1)로서 사용자가 자필의 문자, 도형, 기호, 그림 등을 묘화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 범위(AR1)가 원화상 데이터로서 이미지 로딩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제1 범위(AR1)를 4개의 위치 결정용 심볼(M1 ~ M4)에 둘러싸인 부분으로서 인식되도록 했지만, 위치 결정용 심볼은 반드시 4개 배치할 필요는 없고, 도 3에 나타나듯이, 좌상(M6)과 우하(M7) 에만 배치하여도 좋다. 즉, 좌상의 위치 결정 마커(M6)와 우하의 위치 결정 마커(M7)를 맺은 선을 대각선으로 하는 직사각형 영역을 제1 범위(AR1)라고 인식하여도 좋다.
또, 상기의 설명에서는, 4개의 위치 결정용 심볼(M1 ~ M4) 중, 우상의 심볼의 형상을 변경하여 방향 결정 심볼로 했지만, 이 방향 결정 심볼은 위치 결정용 심볼(M1 ~ M4) 외에, 도 1, 도 2의 M5로 나타나듯이 다른 부위에 인쇄하여도 좋다.
또한, 위치 결정용 심볼(M1)과 위치 결정용 심볼(M2)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로부터 제2 범위(AR2)를 인식하여도 좋다. 위치 결정용 심볼끼리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대신하여, 위치 결정용 심볼과 방향 결정 심볼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로부터 제2 범위(AR2)를 인식하여도 좋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철하기 위해서 남겨둔 종이의 여백(US)을 기준으로서 제2 범위(AR2)를 인식하여도 좋다.
도 1에 있어서, 제1 범위(AR1)의 방향 결정 심볼(M4)의 바로 옆 좌측 영역에는 제2 범위(AR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범위(AR2)는, 방향 결정 심볼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가지고 있고 방향 결정 심볼(M4)의 좌단 측변이 제2 범위의 우단 측변과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카메라(CAM)로 촬상한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방향 결정 심볼(M4)을 검출할 수 있으면, 제2 범위도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2 범위에 대해서, 도 1에서는 상세하게 나타나 있지 않지만, 도 3에 나타나듯이, 7세그먼트(segment)를 구성하는 직선편으로 이루어지는 기입 가이드가 연한 색(薄色)으로 인쇄되어 있다. 즉 7세그먼트를 구성하는 기입 가이드 부분 위를 필기도구로 덧그림으로써 각각의 세그먼트에 0~9까지의 숫자를 전광게시판의 숫자 표시와 같이 기술(記述)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7세그먼트의 기입 가이드를 설치함으로써 기입된 숫자의 인식률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7세그먼트의 기입 가이드를 설치하여 기입된 숫자의 인식이 용이하게 되는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1문자씩의 테두리를 연한 색으로 인쇄하여, 이 테두리 내에 기입된 숫자나 영문자를 문자 인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즉, 이 제2 범위(AR2)에 기입한 문자(영숫자)를 카메라(CAM)로 읽어내고, 메모리(MEM)에 기억되어 있는 문자 패턴(조합용 문자 정보)과 비교함으로써 문자 인식을 행할 수가 있다.
도 2에 나타나듯이, 용지 메모(DOC)의 방향 결정 심볼(M4)의 바로 아래 부분에는, 금지 심볼(AS1)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금지 심볼은 가시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인쇄, 예를 들면 지문인쇄(地紋印刷)가 되어 있고, 카피 장치 등으로 전자적으로 복사되었을 때에 가시적인 금지 심볼로서 나타나게 되어 있다. 또한 금지 심볼은, 제1 범위(AR1) 내의 소정 위치에 있으면 좋고,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나듯이, 좌하의 위치 결정용 심볼(M2)의 바로 위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지문인쇄를 출현화(가시화) 시킴으로써 프로그램에 의하여 적극적으로 금지 심볼로서 인식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메모 용지(DOC) 상에 금지 심볼이 존재하는 것을 인식한 단계에서, 중앙 처리장치(CPU)는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화상 처리를 중지하고, 디스플레이(DISP) 상에 「이 용지는 정규의 용지가 아닙니다」등의 표시를 행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도 4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이용하는 카메라 부착 스마트 폰(MP)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이 스마트 폰(MP)은, 예를 들면 애플사의 iPhone(아이폰사로부터 허락을 받은 등록상표)이다.
본체에는 홈 버튼(BTN)이 설치되어 있고, 디스플레이(DISP)에 표시되는 아이콘이나 메뉴를 홈 화면에 복귀시키거나 카메라(CAM)의 셔터로서 기능시키게 되어 있다.
스마트 폰(MP) 내부는, 중앙 처리장치(CPU)를 중심으로 메인 메모리(MM), 버스(BUS)를 개재하여 접속된 메모리유닛(MEM), 통신 인터페이스(TIF), 카메라(CAM), 전술의 버튼(BTN), 터치 패널(TPN)과 디스플레이(DISP)가 일체화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스피커(SPK)를 가지고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TIF)는, 도 5에 나타나듯이, 무선 전화 회선을 통해서 기지국(BS)을 경유하여 범용의 네트워크(NW)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 통신 인터페이스(TIF)는, 무선 LAN의 액세스 포인트(AP)와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어 몇 개의 통신 수단을 경유하여 네트워크에의 접속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메모리유닛(MEM)에는, 운영시스템(OS)과 함께, 화상 처리 응용 프로그램(APL), 원화상 데이터나 문자 정보를 보지(保持)하기 위한 사용자 데이터 영역(UDT)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술의 메모 용지(DOC)의 촬상 및 그 화상 처리는, 메모리유닛(MEM)의 화상 처리 응용 프로그램(APL)을 버스(BUS) 및 메인 메모리(MM)를 개재하여 중앙 처리장치(CPU)가 읽어들여 순차적으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처리를 도 6의 처리 흐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의 터치 패널(TPN)의 터치 조작에 의하여 본화상 처리 응용 프로그램(APL)이 선택·기동되면(스텝 601), 카메라(CAM)의 기능이 작동 상태로 되고, 촬상 대상물인 메모 용지(DOC)가 촬영되어, 이 촬영 화상에 대해서, 중앙 처리장치(CPU)가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읽어들여 도 2에서 설명한 금지 심볼의 유무를 판정한다(스텝 603). 이 금지 심볼의 판정은, 메모리유닛에 기록된 기준이 되는 금지 심볼의 화상 데이터를 읽어내고, 카메라(CAM)로부터의 원화상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행한다.
여기서, 금지 심볼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그 후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스텝 602로 돌아간다. 또한 이때 금지 심볼을 검출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전술과 같이, 디스플레이(DISP) 상에 「이 용지는 정규의 용지가 아닙니다」등의 표시를 행하여도 좋다.
금지 심볼이 검출되지 않았을 때에는, 중앙 처리장치(CPU)는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위치 결정용 심볼을 찾아낸다(스텝 604). 이 위치 결정용 심볼의 검색도, 메모리유닛에 기록된 기준이 되는 위치 결정용 심볼의 화상 데이터를 읽어내고, 카메라(CAM)로부터의 원화상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행한다.
위치 결정용 심볼을 검출했을 때에는, 그 단계에서의 원화상 데이터를 메모리유닛(MEM)에 보존한다(스텝 605). 이때의 당해 원화상 데이터의 채용을 결정하는 것을 통지하기 위한 셔터음을 스피커(SPK)로부터 출력시켜도 좋다. 또, 스텝 604에 있어서 위치 결정용 심볼을 인식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버튼(BTN) 조작에 의하여 셔터음을 발생시키고(스텝 611) 그 시점에서의 원화상 데이터를 메모리유닛(MEM)에 보존함과 아울러 위치 결정용 심볼의 검색을 계속하여도 좋다(스텝 612). 이 경우에도, 일정시간에 위치 결정용 심볼을 검출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당해 원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보지할지, 스텝 602에 복귀시켜 재차 촬영시킬지를 선택시키도록 해도 좋다(스텝 613).
스텝 605로 원화상 데이터를 보지했을 때는, 위치 결정용 심볼의 수를 카운트한다(스텝 606). 여기서, 3개의 위치 결정용 심볼만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이 3개의 위치로부터 나머지의 1개의 위치 결정용 심볼을 추정하고, 의사적(疑似的)으로 4개째의 위치 결정용 심볼을 추가 설정한다(스텝 610).
4개 모두의 위치 결정용 심볼(M1 ~ M4)이 확정되었을 때에는, 이 4개의 위치 결정용 심볼의 외각 테두리끼리를 잇는 4개의 가상선을 설정하고, 이 가상선으로 둘러싸이는 부분을 제1 범위로서 화상 절출을 행한다(스텝 607).
다음으로, 절출 화상에 대해서, 4변의 위치와 거리를 미리 메모리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 위치· 거리와 정합시키도록 사다리꼴 보정을 행하고(스텝 608), 보정 후의 화상을 메모 용지(DOC)의 재현 화상으로서 메모리유닛(MEM)에 보존한다(스텝 609).
또한 도 6에서는, 금지 심볼이(AS1), 용지 메모(DOC)의 방향 결정 심볼(M4)의 바로 아래 부분이나 좌하의 위치 결정용 심볼(M2)의 바로 위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여기서, 금지 심볼은, 도 2에 나타나듯이, 위치 결정용 심볼(예를 들면 M3)의 비출현부(흰 바탕 부분)에 지문(地紋)인쇄에 의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금지 심볼은, 다른 위치 결정용 심볼(예를 들면 M3)의 비출현부(흰 바탕 부분)에 지문인쇄에 의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위치 결정용 심볼(M3)과 금지 심볼(AS3)을 중첩 인쇄해 둠으로써 본메모 용지(DOC)가 카피 장치 등으로 전자적으로 복사되면, 이 복사물의 위치 결정용 심볼(M3)은 형상이 다른 것이 되어 버리기 때문에, 카메라(CAM)로 읽어낸 후의 화상 처리에 있어서, 중앙 처리장치(CPU)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위치 결정용 심볼(M3)로서 인식하지 않는 처리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제1 범위의 원화상 데이터의 처리를 행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금지 심볼을 위치 결정용 심볼의 비출현부(흰 바탕 부분)에 지문인쇄에 의하여 설치하는 경우, 금지 심볼을 인식할 필요가 없다. 그래서, 촬상 및 화상 처리는, 도 10에 나타내는 처리 흐름에 의하여 행할 수가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처리는, 도 6에 있어서의 금지 심볼의 유무를 판정 하는 처리(스텝 603)를 행하지 않고 위치 결정용 심볼을 찾아내는 처리(스텝 1004)가 행하여진다는 점에서, 도 6에 나타내는 처리 흐름과 다르다. 또한 도 10의 각 스텝의 부호의 말미 2자리의 숫자와 도 6의 각 스텝의 부호의 말미 2자리의 숫자는 대응하고 있고, 말미 2자리의 숫자가 같은 스텝은 같은 처리가 행하여지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술의 처리 흐름에서는, 4개의 위치 결정용 심볼의 모두를 이용하여 사다리꼴 보정을 행한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도 3으로 설명한 것처럼, 좌상의 위치 결정용 심볼(M6)과 우하의 위치 결정용 심볼(M7)만을 기준으로 하여 사다리꼴 보정을 실행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스텝 606에 있어서 2개의 위치 결정용 심볼만을 검출하면 좋다. 또, 나머지의 2개의 위치 결정용 심볼은 그 위치를 추정하여 의사 위치 결정용 심볼을 설정하여도 좋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스마트 폰(MP)으로 모든 처리를 행하는 경우로 설명했지만, 처리의 일부를 네트워크(NW)를 개재하여 접속된 서버(SV)에서 실행시켜도 좋다.
예를 들어, 카메라(CAM)에 의하여 메모 용지(DOC)의 촬영을 행한 후, 원화상 데이터를 일단 메모리유닛(MEM)에 보존함과 아울러, 통신 인터페이스(TIF) 및 네트워크(NW)를 개재하여 서버(SV)에 송신한다.
상기 원화상 데이터를 수신한 서버(SV)에서는 서버에 격납한 화상 처리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위치 결정용 심볼을 검출하고, 당해 위치 결정용 심볼을 기준으로 산출된 소정 영역을 제1 범위로서 인식하고, 당해 제1 범위에 있는 화상 데이터만을 절출하여 절출화상 데이터로서 서버(SV)에 보존하도록 해도 좋다.
*66서버(SV)에 보존한 화상 데이터는, 스마트 폰(MP)으로부터 네트워크(NW)를 개재하여 액세스 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메모 용지(DOC) 그 자체에 위치 결정용 심볼이나 방향 결정 심볼을 직접 인쇄한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투명의 플라스틱 시트(Plastic Sheet)(PL)에 위치 결정용 심볼이나 방향 결정 심볼을 인쇄 또는 인쇄한 씰(seal)을 붙여 두고 이 플라스틱 시트(PL)를 메모 용지(DOC) 위에 덮은 상태로 해서, 카메라(CAM)로 플라스틱 시트를 투과시켜 메모 용지(DOC)의 표면을 촬상하여도 좋다.
또, 도 9에 나타나듯이 위치 결정용 심볼이나 방향 결정 심볼을 인쇄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씰(seal)(SL)로서 제공하고, 이 씰(SL)의 이면에 점착면을 설치해 두어 범용의 메모 용지나 리포트 용지에 붙여도 좋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촬상 대상물은, 메모 용지(DOC)로서 설명했지만, A4사이즈 정도의 리포트 용지, 백지, 인쇄 끝난 문서로부터 명함 혹은 명함 사이즈의 메모 용지 등, 위치 결정용 심볼이나 방향 결정 심볼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크기의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비근접 촬영에 의한 문서 촬영을 행하는 화상 처리 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DOC 촬상 대상물(메모 용지)
AR1 제1 범위 AR2 제2 범위
US 철하기 위해서 남겨둔 종이의 여백
M1 ~ M4, M6, M7 위치 결정용 심볼(M4는 방향 결정 심볼)
M5 방향 규칙 심볼
AS1 ~ AS3 금지 심볼
MP 스마트 폰
CAM 카메라
PL 플라스틱 시트
SL 씰(seal)
CPU 중앙 처리장치
MM 메인 메모리
BUS 버스
MEM 메모리유닛
OS 운영시스템
APL 화상 처리 프로그램
UDT 유저 데이터 영역
TIF 통신 인터페이스
BTN 홈 버튼
TPN 터치 패널
DISP 디스플레이 패널
SPK 스피커
BS 기지국
AP 액세스 포인트

Claims (10)

  1. 적어도 2곳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다치화된 도형으로 이루어지는 심볼 코드에 의하여 형성된 위치 결정용 심볼을 가지는 촬상 대상물을 촬상 수단으로 촬상하여, 그 원화상 데이터를 중앙 처리장치로 처리하고, 화상 데이터 보존 수단에 등록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에서 실행 가능한 화상 처리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로서,
    상기 위치 결정용 심볼은, 용지 본체의 네 귀퉁이 근방 중의 적어도 2곳에 설치된 적어도 2종류의 형상의 상기 위치 결정용 심볼로서, 다치화된 도형으로 이루어지는 심볼 코드에 의하여 형성되고, 어느 것도 상기 용지 본체의 바탕색과 다른 색의 값으로 이루어지는 출현부와, 당해 용지 본체의 바탕색으로 이루어지는 비출현부를 가지고,
    제1 위치 결정용 심볼의 상기 출현부는, 상기 용지 본체의 귀퉁이로부터 뻗은 2변과 각각 평행한 2개의 직선부와, 당해 2개의 직선부의 단부끼리가 접하는 각부를 가지는 프레임 모양의 출현부를 포함하고, 제1 위치 결정용 심볼의 상기 비출현부는, 상기 프레임 모양의 출현부에 둘러싸인 바탕색의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제2 위치 결정용 심볼의 상기 출현부는, 상기 용지 본체의 귀퉁이로부터 뻗은 2변과 각각 평행한 2개의 직선부와, 당해 2개의 직선부의 단부끼리가 접하는 각부를 가지는, 직선부와 각부를 가지는 출현부와, 당해 직선부와 각부를 가지는 출현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출현부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결정용 심볼의 상기 비출현부는, 상기 직선부와 각부를 가지는 출현부와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출현부의 사이의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 처리장치에,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적어도 상기 2곳의 소정 위치의 위치 결정용 심볼을 포함하는 상기 촬상 대상물의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위치 결정용 심볼을 검출하는 스텝과,
    당해 위치 결정용 심볼을 기준으로 산출된 소정 영역을 제1 범위로서 인식하는 스텝과,
    당해 제1 범위에 있는 화상 데이터만을 절출하여 절출화상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화상 데이터 보존 수단에 상기 절출화상 데이터를 보존하는 스텝을 실행시키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용 심볼을 검출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2종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위치 결정용 심볼을 검출하고,
    상기 중앙 처리장치에, 상기 촬상 대상물의 제1 범위의 방향을 인식하기 위해서 상기 복수의 위치 결정용 심볼간의 위치 관계와 일치하도록 미리 기억된 각 위치 결정용 심볼의 기준 위치를 읽어내고, 당해 기준 위치에 기초하여 제1 범위의 방향을 인식하는 스텝을 더 실행시키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장치에, 상기 제1 범위와는 다른 제2 범위를 인식하고, 당해 제2 범위에 그려진 화상과 상기 화상 데이터 보존 수단에 미리 기억된 조합용 정보를 조합하고, 상기 조합용 정보에 해당한다고 인식했을 때에, 당해 화상을 상기 제1 범위로부터 읽어낸 화상 데이터의 관련 정보로서 보존하는 스텝을 더 실행시키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용 심볼을 검출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위치 결정용 심볼을 검출하고,
    상기 중앙 처리장치에, 미리 기억된 각 위치 결정용 심볼간의 기준 거리를 읽어내고, 상기 복수의 위치 결정용 심볼간의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와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조합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복수의 위치 결정용 심볼간의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에 일치하도록 촬상된 화상을 보정하는 스텝을 더 실행시키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결정용 심볼을 검출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4개의 위치 결정용 심볼을 검출하고,
    상기 취득하는 스텝에서는, 당해 제1 범위에 있는 화상 데이터만을 절출하여, 상기 4개의 위치 결정용 심볼의 근방을 정점으로 하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절출 화상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결정용 심볼을 검출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5개의 위치 결정용 심볼을 검출하고,
    상기 취득하는 스텝에서는, 당해 제1 범위에 있는 화상 데이터만을 절출하여, 상기 5개의 위치 결정용 심볼 중 4개의 위치 결정용 심볼의 근방을 정점으로 하는 직사각형이며, 다른 1개의 위치 결정용 심볼은, 상기 화상 취득 수단이 상기 촬상 대상물의 촬상 방향을 정의하기 위한 방향 결정용 심볼이 상기 절출 화상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장치에, 촬상된 상기 촬상 대상물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위치 결정 심볼이 복수 곳 검출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절출화상 데이터를 취득시키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장치에, 상기 절출 화상 데이터를 서버에 보존하는 스텝을 더 실행시키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화상 처리 프로그램이 인스톨(install)된 상기 화상 처리 시스템인 휴대단말.
  10. 적어도 2곳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다치화된 도형으로 이루어지는 심볼 코드에 의하여 형성된 위치 결정용 심볼을 가지는 촬상 대상물을 촬상 수단으로 촬상하여, 그 원화상 데이터를 중앙 처리장치로 처리하고, 화상 데이터 보존 수단에 등록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에서 실행 가능한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위치 결정용 심볼은, 용지 본체의 네 귀퉁이 근방 중의 적어도 2곳에 설치된 적어도 2종류의 형상의 상기 위치 결정용 심볼로서, 다치화된 도형으로 이루어지는 심볼 코드에 의하여 형성되고, 어느 것도 상기 용지 본체의 바탕색과 다른 색의 값으로 이루어지는 출현부와, 당해 용지 본체의 바탕색으로 이루어지는 비출현부를 가지고,
    제1 위치 결정용 심볼의 상기 출현부는, 상기 용지 본체의 귀퉁이로부터 뻗은 2변과 각각 평행한 2개의 직선부와, 당해 2개의 직선부의 단부끼리가 접하는 각부를 가지는 프레임 모양의 출현부를 포함하고, 제1 위치 결정용 심볼의 상기 비출현부는, 상기 프레임 모양의 출현부에 둘러싸인 바탕색의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제2 위치 결정용 심볼의 상기 출현부는, 상기 용지 본체의 귀퉁이로부터 뻗은 2변과 각각 평행한 2개의 직선부와, 당해 2개의 직선부의 단부끼리가 접하는 각부를 가지는, 직선부와 각부를 가지는 출현부와, 당해 직선부와 각부를 가지는 출현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출현부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결정용 심볼의 상기 비출현부는, 상기 직선부와 각부를 가지는 출현부와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출현부의 사이의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 처리장치가,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적어도 상기 2곳의 소정 위치의 위치 결정용 심볼을 포함하는 상기 촬상 대상물의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위치 결정용 심볼을 검출하는 스텝과,
    당해 위치 결정용 심볼을 기준으로 산출된 소정 영역을 제1 범위로서 인식하는 스텝과,
    당해 제1 범위에 있는 화상 데이터만을 절출하여 절출화상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화상 데이터 보존 수단에 상기 절출화상 데이터를 보존하는 스텝을 실행하는 화상 처리 방법.






KR1020137002877A 2010-09-21 2011-07-13 화상 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휴대 단말, 및 화상 처리 방법 KR1012929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11265A JP4904426B1 (ja) 2010-09-21 2010-09-21 画像処理システムとそれに用いる撮像対象物
JPJP-P-2010-211265 2010-09-21
JP2011022818A JP2012069082A (ja) 2011-02-04 2011-02-04 画像処理システムとそれに用いる撮像対象物
JPJP-P-2011-022818 2011-02-04
PCT/JP2011/065956 WO2012039185A1 (ja) 2010-09-21 2011-07-13 画像処理システムとそれに用いる撮像対象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774A Division KR101312838B1 (ko) 2010-09-21 2011-07-13 화상 처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촬상 대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735A true KR20130020735A (ko) 2013-02-27
KR101292916B1 KR101292916B1 (ko) 2013-08-02

Family

ID=45817514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878A KR101292925B1 (ko) 2010-09-21 2011-07-13 촬상 대상물, 화상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및 화상 처리 방법
KR1020127014774A KR101312838B1 (ko) 2010-09-21 2011-07-13 화상 처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촬상 대상물
KR1020127014679A KR101237158B1 (ko) 2010-09-21 2011-07-13 화상 처리 시스템과 그것에 사용하는 촬상 대상물
KR1020137002877A KR101292916B1 (ko) 2010-09-21 2011-07-13 화상 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휴대 단말, 및 화상 처리 방법
KR1020137003992A KR20130044325A (ko) 2010-09-21 2011-07-13 화상 처리 시스템과 그것에 사용하는 촬상 대상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878A KR101292925B1 (ko) 2010-09-21 2011-07-13 촬상 대상물, 화상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및 화상 처리 방법
KR1020127014774A KR101312838B1 (ko) 2010-09-21 2011-07-13 화상 처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촬상 대상물
KR1020127014679A KR101237158B1 (ko) 2010-09-21 2011-07-13 화상 처리 시스템과 그것에 사용하는 촬상 대상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992A KR20130044325A (ko) 2010-09-21 2011-07-13 화상 처리 시스템과 그것에 사용하는 촬상 대상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368781B2 (ko)
EP (4) EP2610784A3 (ko)
KR (5) KR101292925B1 (ko)
CN (9) CN103353937A (ko)
CA (4) CA2804300C (ko)
SG (4) SG187406A1 (ko)
TW (4) TWI428011B (ko)
WO (1) WO20120391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00742A1 (en) * 2010-09-21 2012-08-09 King Jim Co., Ltd.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ing Object Used For Same
EP2610784A3 (en) 2010-09-21 2014-04-30 King Jim Co., Ltd.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13200803A (ja) * 2012-03-26 2013-10-03 King Jim Co Ltd 携帯端末、シンボル用シート、補助具、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
WO2013166497A1 (en) * 2012-05-04 2013-11-07 University Of Rochester Method and device for preserving and imaging specimens while retaining information on the spatial orientation of specimens with respect to reference objects
FR2993082B1 (fr) 2012-07-05 2014-06-27 Holdham Surface imprimee et dispositif et procede de traitement d'images d'une telle surface imprimee
CN102855482A (zh) * 2012-08-16 2013-01-02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图片处理方法及装置
WO2014038007A1 (ja) 2012-09-05 2014-03-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9275278B2 (en) * 2013-02-15 2016-03-01 Fuji Xerox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and using off-center embedded media markers
US9071785B2 (en) * 2013-02-15 2015-06-30 Gradeable, Inc. Adjusting perspective distortion of an image
KR101491620B1 (ko) * 2013-03-20 2015-02-10 주식회사 톤스 광고 링크 표시 기능을 갖는 노트 및 이를 이용한 광고 표시 방법
EP2849002B1 (en) * 2013-09-12 2019-03-13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adjusting image formation
JP2015070426A (ja) * 2013-09-27 2015-04-1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4516923A (zh) * 2013-10-08 2015-04-15 王景弘 影像笔记方法及系统
CN104021546B (zh) * 2014-05-14 2016-11-23 北京理工大学 基于图像处理的工件标签在线快速定位方法
CN108780517A (zh) * 2016-03-25 2018-11-09 日本电气方案创新株式会社 个体计数装置、个体计数方法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JP6181893B1 (ja) * 2017-03-31 2017-08-16 株式会社Cygames 閲覧確認のための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方法
CN111032561B (zh) * 2017-09-05 2021-04-09 住友重机械搬运系统工程株式会社 起重机装置
KR102075847B1 (ko) * 2018-11-14 2020-02-10 망고슬래브 주식회사 디지털 메모 생성 및 저장 장치 및 방법
US11817207B1 (en) 2019-12-05 2023-11-14 INMAR Rx SOLUTIONS, INC. Medication inventory system including image based boundary determination for generating a medication tray stocking list and related methods
US11721432B1 (en) 2019-12-05 2023-08-08 INMAR Rx SOLUTIONS, INC. Medication inventory system including boundary outline based medication tray stocking list and related methods
CN111368820A (zh) * 2020-03-06 2020-07-0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文本标注方法、装置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4174A (ja) * 1988-10-13 1990-04-17 Toshiba Corp X線診断装置
JPH077616A (ja) * 1993-06-16 1995-01-10 Fuji Xerox Co Ltd 傾き検出装置
JPH07154617A (ja) * 1993-10-07 1995-06-16 Ricoh Co Ltd 機密文書管理機能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US5726435A (en) * 1994-03-14 1998-03-10 Nippondenso Co., Ltd. Optically readable two-dimensional code and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JPH07319347A (ja) * 1994-05-27 1995-12-0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EP0820618A1 (en) * 1995-04-10 1998-01-28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Two-camera system for locating and storing indicia on conveyed items
JPH10231038A (ja) * 1997-02-19 1998-09-02 Gakken Co Ltd ファクシミリ送信用キャリアシート
US7006257B1 (en) * 1999-11-19 2006-02-2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1189855A (ja) * 1999-12-28 2001-07-10 Canon Inc 複写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DK200000635A (da) * 2000-04-14 2001-10-15 Dipcard Com Aps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elektroniske postkort.
US6816630B1 (en) * 2000-05-22 2004-11-09 Electro-Sensors, In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processing data forms
US7068833B1 (en) * 2000-08-30 2006-06-27 Kla-Tencor Corporation Overlay marks, methods of overlay mark design and methods of overlay measurements
US6970267B1 (en) * 2001-01-12 2005-11-29 Scan-Optics Inc. Gray scale optical mark reader
JP2003015218A (ja) 2001-07-03 2003-01-15 Ricoh Co Ltd 投影型表示装置
GB2378073B (en) 2001-07-27 2005-08-31 Hewlett Packard Co Paper-to-computer interfaces
JP4637417B2 (ja) * 2001-09-14 2011-02-23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基準マーク部検索用標準線設定方法および基準マーク部検索方法
GB2384067A (en) * 2002-01-10 2003-07-16 Hewlett Packard Co Method of associating two record sets comprising a set of processor states and a set of notes
JP4251867B2 (ja) 2002-09-20 2009-04-08 株式会社リコー 2次元コード作成装置及び2次元コード作成装置を制御する方法
JP3981644B2 (ja) 2003-03-26 2007-09-26 株式会社オーエムアイ 原図転写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カメラ画像補正処理装置
JP4708186B2 (ja) * 2003-05-02 2011-06-22 豊 木内 2次元コード解読プログラム
US7280706B2 (en) * 2003-08-15 2007-10-09 Arcsoft, Inc. Better picture for inexpensive cameras
US20050213174A1 (en) 2004-02-27 2005-09-29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7646517B2 (en) 2004-02-27 2010-01-12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8023145B2 (en) 2004-02-27 2011-09-20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EP1696658B1 (en) 2004-08-06 2013-05-08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06074211A (ja) 2004-08-31 2006-03-16 Casio Comput Co Ltd デジタルカメラ装置とそ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違法撮影防止システム
JP2006074512A (ja) * 2004-09-02 2006-03-16 Casio Comput Co Ltd 撮影装置、撮影装置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DE102004054827A1 (de) * 2004-11-12 2006-05-24 Medlinq Softwaresysteme Gmbh Verfahren zur maschinellen Erfassung von auf Informationsträgern befindlichen Daten sowie Informationsträger hierfür
JP4755415B2 (ja) 2004-12-21 2011-08-24 株式会社アドイン研究所 カラー二次元コード
JP4323453B2 (ja) * 2005-03-30 2009-09-0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情報取得方法、及び情報取得プログラム
JP2006303920A (ja) 2005-04-20 2006-11-02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調整方法
JP2006318099A (ja) * 2005-05-11 2006-11-24 Oki Electric Ind Co Ltd 領収証発行システム
JP2007013482A (ja) * 2005-06-29 2007-01-18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541998B2 (ja) * 2005-09-01 2010-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715527B2 (ja) * 2006-01-18 2011-07-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影装置、撮影画像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670657B2 (ja) * 2006-01-24 2011-04-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A2640579C (en) * 2006-01-31 2015-08-04 Kenji Yoshida Image processing method
JP5314419B2 (ja) * 2006-03-16 2013-10-16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紙幣の真贋判定方法、及び紙幣の真贋判定装置
JP2007279828A (ja) * 2006-04-03 2007-10-25 Toshiba Corp 帳票処理装置、帳票様式作成装置、帳票、帳票処理用のプログラム、帳票様式作成用のプログラム
JP4135758B2 (ja) 2006-08-21 2008-08-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4327188B2 (ja) * 2006-09-01 2009-09-09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JP2008135916A (ja) 2006-11-28 2008-06-12 Seiko Epson Corp 複写装置の画像傾き補正方法、複写装置、および複写装置の製造方法
JP2008218737A (ja) * 2007-03-05 2008-09-18 Denso Corp 画像処理装置
JP2009130911A (ja) 2007-11-28 2009-06-11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ies Kk 紙、および紙の生成方法
TWI379247B (en) * 2008-08-22 2012-12-11 Primax Electronics Ltd A method for using image capture device to get images of documents
JP5117982B2 (ja) * 2008-10-07 2013-01-16 株式会社リコー 情報抽出装置、情報抽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0130181A (ja) 2008-11-26 2010-06-10 Konica Minolta Opto Inc 画像取得装置
GB2473228A (en) * 2009-09-03 2011-03-09 Drs Data Services Ltd Segmenting Document Images
EP2610784A3 (en) 2010-09-21 2014-04-30 King Jim Co., Ltd.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986A (ko) 2012-08-07
TWI428012B (zh) 2014-02-21
CA2817669A1 (en) 2012-03-29
US20120218446A1 (en) 2012-08-30
CN103353937A (zh) 2013-10-16
KR20130020736A (ko) 2013-02-27
KR101292916B1 (ko) 2013-08-02
US8368781B2 (en) 2013-02-05
CN103152538A (zh) 2013-06-12
KR101312838B1 (ko) 2013-09-27
CA2818718C (en) 2014-10-28
SG191666A1 (en) 2013-07-31
WO2012039185A1 (ja) 2012-03-29
EP2608513B1 (en) 2016-01-06
CN103179369A (zh) 2013-06-26
US8705068B2 (en) 2014-04-22
EP2610784A2 (en) 2013-07-03
TW201338523A (zh) 2013-09-16
TW201230789A (en) 2012-07-16
CA2804300A1 (en) 2012-03-29
EP2608513A4 (en) 2014-01-01
CN102769713A (zh) 2012-11-07
CN102668532A (zh) 2012-09-12
TW201338522A (zh) 2013-09-16
CN202433921U (zh) 2012-09-12
SG183788A1 (en) 2012-10-30
CA2818718A1 (en) 2012-03-29
TWI428011B (zh) 2014-02-21
EP2672428A2 (en) 2013-12-11
CN103179370A (zh) 2013-06-26
SG187406A1 (en) 2013-02-28
KR101237158B1 (ko) 2013-02-25
CA2804300C (en) 2015-04-21
CA2818714A1 (en) 2012-03-29
CN103281475A (zh) 2013-09-04
EP2680559A1 (en) 2014-01-01
TW201338524A (zh) 2013-09-16
CN103179370B (zh) 2017-04-19
EP2610784A3 (en) 2014-04-30
EP2608513A1 (en) 2013-06-26
KR20120085308A (ko) 2012-07-31
CN103324928A (zh) 2013-09-25
US20120069383A1 (en) 2012-03-22
TWI419556B (zh) 2013-12-11
KR101292925B1 (ko) 2013-08-02
EP2672428A3 (en) 2014-01-01
SG191665A1 (en) 2013-07-31
KR20130044325A (ko) 201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2916B1 (ko) 화상 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휴대 단말, 및 화상 처리 방법
JP4904426B1 (ja) 画像処理システムとそれに用いる撮像対象物
US8654218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ing object used for same
JP5602925B2 (ja) 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5651221B2 (ja) シンボル片、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5101740B2 (ja) 撮像対象物
JP5140773B2 (ja) 画像処理プログラム、携帯端末、及び画像処理方法
JP5140772B2 (ja) 画像処理プログラム、携帯端末、及び画像処理方法
JP5140777B2 (ja) 撮像対象物、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5602927B2 (ja) 撮像対象物、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5602926B2 (ja) 撮像対象物、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5140767B2 (ja) 撮像対象物
JP5140774B2 (ja) 透明シート
JP2012069082A (ja) 画像処理システムとそれに用いる撮像対象物
JP2014007768A (ja) 撮像対象物、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2130080A (ja) 画像処理プログラム、携帯端末、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2170145A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プログラム、携帯端末、画像処理方法、および透明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