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0671A - 길이방향 부재 및 이 부재 위에 배치된, 특히 트랜스미션 장착부로서 탄성 중합체 베어링을 포함하는 차체 - Google Patents

길이방향 부재 및 이 부재 위에 배치된, 특히 트랜스미션 장착부로서 탄성 중합체 베어링을 포함하는 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0671A
KR20130020671A KR1020127028086A KR20127028086A KR20130020671A KR 20130020671 A KR20130020671 A KR 20130020671A KR 1020127028086 A KR1020127028086 A KR 1020127028086A KR 20127028086 A KR20127028086 A KR 20127028086A KR 20130020671 A KR20130020671 A KR 20130020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longitudinal member
vehicle body
elastom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르나르트 로만
베르너 크라우트
그벤도린 쉬퍼리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06393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3002067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30020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6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방향 부재(1) 및 이 부재 위에 배치되어 차량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 중합체 베어링(3)을 포함하는 차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탄성 중합체 베어링(3)은 차체에 부착된 안정한 제 1 베어링부(4) 및 상기 부품에 연결된 안정한 제 2 베어링부(5)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어링부들 사이에 탄성 중합체 바디(6)가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 탄성 중합체 베어링(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길이방향 부재(1) 상의 수용 공동부(2) 내에 배치되고, 차체에 부착된 제 1 베어링부(4)는 공동부의 에지에 고정된 충돌 브릿지의 형태로 수용 공동부(2)에 걸쳐 있다.

Description

길이방향 부재 및 이 부재 위에 배치된, 특히 트랜스미션 장착부로서 탄성 중합체 베어링을 포함하는 차체{VEHICLE BODY COMPRISING A LONGITUDINAL MEMBER AND AN ELASTOMER BEARING ARRANGED THEREON, ESPECIALLY AS A TRANSMISSION MOUNTING}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부재 및 이 부재 위에 배치되어 자동차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 중합체 베어링을 포함하는 차체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부재 및 이 부재 위에 배치되어 자동차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 중합체 베어링을 포함하는 이러한 차체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 중합체 베어링은 고무 금속 베어링이고, 차체에 부착된 안정한 제 1 베어링부, 및 부품과 연결된 안정한 제 2 베어링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어링부들 사이에는 탄성 중합체 바디가 배치된다. 이러한 탄성 중합체 베어링은 다양한 실시예로, 유압 지지체로도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실제 조건 및 요구에 따라 선택되고 치수 설계된다.
이를 위해, 베어링 블록을 가진 탄성 중합체 베어링이 예컨대 트랜스미션 장착부로서 관련 길이방향 부재 상에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트랜스미션 장착부는 통상 기하학적 조건 및 진동 기술적 조건으로 인해 차체의 전단(front end) 내에 비교적 깊은 위치를 갖는다. 이 경우, 길이방향 부재의 프로파일 크기, 특히 프로파일 높이 및 그에 따라 길이방향 부재의 힘이 길이방향 부재 상에 배치된 트랜스미션 장착부의 깊은 위치에 의해 제한된다.
또한, 자동차의 뒤차축 디퍼런셜의 지지부가 공지되어 있고(DE 35 070 42 A1), 상기 뒤차축 디퍼런셜은 중앙 파이프 유닛을 통해 전방에 놓인, 2중 지지된 내연기관과 연결된다. 이 경우, 중앙 파이프와 연결된 뒤차축 디퍼런셜은 차체 측에서 측면으로 배치된 단일 베어링 부재를 통해 지지되고, 상기 베어링 부재는 디퍼런셜 하우징 내에 통합된 리세스 내에 지지됨으로써, 지지부가 구동 샤프트와 가능한 작은 간격을 두고 비틀림이 적은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길이방향 부재는 리세스를 가진 베어링 부재를 셸형으로 둘러쌀 수 있고, 상기 리세스는 길이방향 부재를 약화시킬 수 있다.
또한, 횡방향 지지체 내에 통합되며, 차량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베어링 축을 가진 트랜스미션 장착부가 공지되어 있다(DE 100 31 165 C2). 충돌의 경우, 트랜스미션은 의도적으로 충돌 베이스에 의해 후방으로 또는 상부로 변위되고, 트랜스미션 장착부의 중심은 트랜스미션의 상기 의도적인 변위를 방해하지 않도록 터져야 한다.
또한, 자동차의 차체 외각 바닥부가 공지되어 있으며(DE 199 09 726 B4), 상기 차체 외각 바닥부에 특히 콘솔이 통합되고, 상부로 장착되는 트랜스미션 장착부가 상기 콘솔 상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차체 상의 차량 부품, 특히 트랜스미션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DE 10 2006 041 094 A1), 상기 베어링 장치에서 탄성 베어링 부재는 수용 부품 내에 포함되고, 상기 수용 부품은 복잡한 장치 내에서 길이방향 부재와 연결된다.
또한, 특히 뒤차축에서의 베어링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DE 197 03 520 C1), 상기 베어링 장치에서는 베어링을 지지하기 위해 스크루 부품이 차체 외각의 일체형 부품일 수 있는 보울형 수용부 내에 나사 결합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탄성 중합체 베어링의 깊은 위치에서 길이방향 부재 힘의 증가가 가능하도록 차체를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탄성 중합체 베어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길이방향 부재 상의 수용 공동부 내에 배치되고, 차체에 부착된 제 1 베어링부가 충돌 브릿지 형태로 수용 공동부에 걸쳐 있음으로써 달성된다.
길이방향 부재 상의 공동부 내에 탄성 중합체 베어링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하는 것에 의해, 길이방향 부재 힘의 증가를 위해 비교적 큰 길이방향 부재 프로파일이 사용될 수 있고, 길이방향 부재 상에서 탄성 중합체 베어링의 비교적 깊은 위치가 얻어질 수 있다. 특히 충돌 시 수용 공동부에 의한 길이방향 부재의 약화는, 차체에 부착된 제 1 베어링부가 공동부 에지에 고정된 충돌 브릿지 형태로 수용 공동부에 걸쳐 있음으로써 방지된다. 따라서, 충돌의 경우 실질적으로 길이방향 부재를 따라 방해 없는 힘 전달이 이루어진다. 차체에 부착된 제 1 베어링부는 여기서 2중 기능을 위해, 즉 한편으로는 탄성 중합체 베어링의 베어링부로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수용 공동부에 걸쳐 있는 보강 충돌 브릿지로서 사용된다.
베어링 지점의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은 다양한 차량 부품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지지될 차량 부품은 트랜스미션이고, 각각 하나의 탄성 중합체 베어링이 트랜스미션 장착부로서 트랜스미션 양측에서 차체 구조의 2개의 마주 놓인 길이방향 부재에 부착된다. 특히 이러한 트랜스미션 장착부에서는 전단(front end)에서 깊은 위치가 고려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수용 공동부는 상부로부터 보울형으로 길이방향 부재 내에 형성된다.
충돌 브릿지 형태의 제 1 베어링부는 모자 프로파일의 형태인, 마주 놓인 에지 플랜지를 가지면서 상부로 아치형인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로 아치형인 프로파일은 대략 차량 횡방향으로 정렬된다. 수용 공동부는 특히 길이 방향으로, 충돌의 경우 힘 전달에 따라 커버되고, 마주 놓인 에지 플랜지로 길이방향 부재에 고정된다.
제 2 베어링부는 지지될 차량 부품, 특히 트랜스미션과의 연결을 위해 제 1 베어링부의 프로파일 아치로부터 길이방향 부재에 대해 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수용 공동부 내에 매립된 탄성 중합체 베어링과 공동부 바닥 사이의 자유 공간이 경우에 따라 제 2 베어링부에 대한 베어링 변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또는 하부로부터 폐쇄되는 탄성 중합체 베어링에서 간단한 조립을 보장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해, 탄성 중합체 베어링의 깊은 위치에서 길이방향 부재 힘의 증가가 가능한, 차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이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미션 장착부의 영역에 있는 길이방향 부재의 개략적인 길이방향 단면도.
도 2는 선행 기술에 따른, 도 1에 상응하는 베어링 지점.
도 3은 수용 공동부를 가진 구체적인 길이방향 부재의 사시도.
도 4는 탄성 중합체 베어링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인, 도 3에 상응하는 도면.
도 1에 따른 개략적인 길이방향 단면도에는 차체의 전단에 있는 길이방향 부재(1)의 섹션이 도시되며, 상기 섹션 내에 상부로부터 보울형 수용 공동부(2)가 형성된다.
트랜스미션 지지를 위해 수용 공동부(2) 내에 탄성 중합체 베어링이 고무-금속 베어링으로서 매립된다. 탄성 중합체 베어링은 길이방향 부재에 부착된 제 1 베어링부(4), 및 트랜스미션(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된 안정한 제 2 베어링부(5)로 이루어진다. 2개의 베어링부(4 및 5) 사이에는 탄성 중합체 바디(6)가 배치된다.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탄성 중합체 베어링(3)은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금속 플레이트로서 제 1 베어링부(4) 및 제 2 베어링부(5), 그리고 그 사이에 형성된 탄성 중합체 바디(6)로서 고무 블록을 포함한다.
제 1 베어링부(4)의 금속 플레이트는 충돌 브릿지 형태로 수용 공동부(2)에 걸쳐 있고, 마주 놓인 공동부 에지들에 측면으로 고정된다. 고정 수단(7)으로서, 예컨대 스크루 또는 리벳이 사용될 수 있다. 화살표 8에 따른 주행 방향에서, 정면 충돌 시 힘 전달은 반대로 화살표 9를 따라 이루어진다. 충돌의 경우, 충돌 브릿지 형태의 제 1 베어링부(4)에 의해, 길이방향 부재(1) 내에서 수용 공동부(2)에 의해 거의 방해받지 않는 힘 전달이 이루어진다.
선행 기술에 따른 도 2의 실시예에서, 길이방향 부재(1) 상에 베어링 블록(10)이 배치되고, 상기 베어링 블록 내에 탄성 중합체 베어링(3)이 배치된다. 여기서는 예컨대 이용될 수 있는 높이(11)가 길이방향 부재 프로파일의 비교적 낮은 높이(12) 및 그 위에 배치된 탄성 중합체 베어링(3)에 의해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서는 이용될 수 있는 높이(11)가 길이방향 부재의 힘 증가를 위해 길이방향 부재(1)의 프로파일 높이에 의해 모두 사용된다. 도 1 및 도 2에서, 트랜스미션 연결을 위한 높이는 동일한 높이(13)에 놓인다.
도 3의 사시도에는 상부로부터 형성된 수용 공동부(2)를 갖는 길이방향 부재(1)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4에는 트랜스미션 장착부로서 탄성 중합체 베어링(3)이 수용 공동부(2)에 장착된다. 탄성 중합체 베어링(3)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충돌 브릿지 형태의 제 1 베어링부(4)는, 마주 놓인 안정한 에지 플랜지(14, 15)를 가지면서 상부로 아치형인 프로파일로 형성되고, 상기 에지 플랜지들은 수용 공동부(2)의 양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스크루(16) 또는 경우에 따라 리벳에 의해 길이방향 부재(1)와 결합된다.
여기서, 제 2 베어링부(5)는 트랜스미션과의 연결을 위해 제 1 베어링부(4)의 프로파일 아치로부터 길이방향 부재(1)에 대해 횡방향으로 안내된다. 파선(17)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 다른 탄성 중합체 베어링 부재들이 하부로 수용 공동부(2) 내로 돌출될 수 있다.
1 : 길이방향 부재
2 : 수용 공동부
3 : 탄성 중합체 베어링
4, 5 : 베어링부
6 : 탄성 중합체 바디
14, 15 : 에지 플랜지

Claims (6)

  1.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부재(1) 및 이 부재 위에 배치되어 차량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 중합체 베어링(3)을 포함하는 차체로서,
    상기 탄성 중합체 베어링(3)은 차체에 부착된 안정한 제 1 베어링부(4) 및 상기 부품에 연결된 안정한 제 2 베어링부(5)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어링부들 사이에 탄성 중합체 바디(6)가 배치되는 것인 차체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합체 베어링(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길이방향 부재(1) 상의 수용 공동부(2) 내에 배치되고, 차체에 부착된 제 1 베어링부(4)는 공동부의 에지에 고정된 충돌 브릿지 형태로 상기 수용 공동부(2)에 걸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2. 제 1항에 있어서, 지지될 상기 차량 부품이 트랜스미션이고, 각각 하나의 탄성 중합체 베어링(3)이 트랜스미션 장착부로서 트랜스미션 양측에서 전단(front end) 내의 2개의 마주 놓인 길이방향 부재(1)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동부(2)가 상부로부터 보울형으로 상기 길이방향 부재(1)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4. 제 3항에 있어서, 충돌 브릿지 형태의 상기 제 1 베어링부(4)는, 마주 놓인 에지 플랜지(14, 15)를 가지면서 상부로 아치형인 프로파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로 아치형인 프로파일은 대략 차량 횡방향으로 정렬되며,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수용 공동부(2)를 적어도 길이 방향으로 커버하고, 상기 마주 놓인 에지 플랜지(14, 15)로 상기 길이방향 부재(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어링부(5)는 지지될 차량 부품, 특히 트랜스미션과의 연결을 위해 상기 제 1 베어링부(4)의 프로파일 아치로부터 상기 길이방향 부재(1)에 대해 횡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동부(2) 내에 매립된 상기 탄성 중합체 베어링(3)과 공동부 바닥 사이에 자유 공간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KR1020127028086A 2010-04-03 2011-03-30 길이방향 부재 및 이 부재 위에 배치된, 특히 트랜스미션 장착부로서 탄성 중합체 베어링을 포함하는 차체 KR201300206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13840.1 2010-04-03
DE102010013840A DE102010013840A1 (de) 2010-04-03 2010-04-03 Fahrzeugkarosserie mit einem Längsträger und einem daran angeordneten Elastomerlager, insbesondere als Getriebelager
PCT/EP2011/001596 WO2011120683A1 (de) 2010-04-03 2011-03-30 Fahrzeugkarosserie mit einem längsträger und einem daran angeordneten elastomerlager, insbesondere als getriebelag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671A true KR20130020671A (ko) 2013-02-27

Family

ID=44063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086A KR20130020671A (ko) 2010-04-03 2011-03-30 길이방향 부재 및 이 부재 위에 배치된, 특히 트랜스미션 장착부로서 탄성 중합체 베어링을 포함하는 차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02159B2 (ko)
EP (1) EP2555936B1 (ko)
KR (1) KR20130020671A (ko)
CN (1) CN103025556B (ko)
DE (1) DE102010013840A1 (ko)
WO (1) WO20111206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405152B1 (it) * 2011-02-21 2013-12-20 Automobili Lamborghini Spa Processo per fabbricare prodotti in materiale composito, nonché prodotti fabbricati con questo processo
FR2985458A1 (fr) * 2012-01-09 2013-07-1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fixation pour fixer un ensemble mecanique a une structure de caisse de vehicule optimisant performances choc et vibratoire
DE102015207703B3 (de) * 2015-04-27 2016-03-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arosserie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m Getriebelager
DE102016113197A1 (de) 2016-07-18 2018-01-1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Aufprallsicherung für ein Antriebsaggregat eines Fahrzeugs
FR3078027B1 (fr) * 2018-02-21 2020-02-07 Renault S.A.S. Longeron de vehicule automobile apte a etre equipe d'un palier elastomer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74325A5 (ko) * 1972-02-28 1973-10-12 Citroen Sa
DE2757645A1 (de) * 1977-12-23 1979-06-28 Tabbert Wohnwagenwerke Gmbh Anhaenger, insbesondere wohnanhaenger
DE3115394A1 (de) * 1981-04-16 1982-11-11 Dr.Ing.H.C. F. Porsche Ag, 7000 Stuttgart "trieb- und fahrwerksanordnung fuer kraftfahrzeuge, insb. mit vierradantrieb"
DE3507042A1 (de) 1985-02-28 1986-08-28 Dr.Ing.H.C. F. Porsche Ag, 7000 Stuttgart Getriebelagerung, insbesondere fuer ein hinterachsdifferential eines kraftfahrzeuges
DE19703520C1 (de) 1997-01-31 1998-05-20 Daimler Benz Ag Vorrichtung zur Festlegung eines Funktionsteiles einer Rohbaukarosserie eines Kraftfahrzeugs
DE19909726B4 (de) 1999-03-05 2005-11-10 Daimlerchrysler Ag Rohbaubodenteil eines Kraftfahrzeuges
US6113144A (en) * 1999-10-21 2000-09-05 Dana Corporation Two-piece upper control arm and spring mounting bracket
US6427795B1 (en) * 1999-10-29 2002-08-06 Caterpillar Elphinstone Pty. Ltd. Underground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DE10031165C2 (de) 2000-06-27 2002-04-25 Porsche Ag Vorrichtung zur Zwangsführung eines Motor- und/oder Getriebeaggregats bei einem Crashfall
JP4120372B2 (ja) * 2002-03-26 2008-07-16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防振支持装置
JP4429595B2 (ja) * 2002-12-11 2010-03-1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キャブ支持構造
US6692052B1 (en) * 2002-12-17 2004-02-17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Cab body mounting having a load sharing feature for limiting shearing stress in a fastener of the mounting
JP2006144931A (ja) * 2004-11-19 2006-06-08 Tokai Rubber Ind Ltd エンジンマウント
KR20060067354A (ko) 2004-12-15 2006-06-2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변속기마운트
DE102006004094B4 (de) 2005-02-04 2016-10-13 manroland sheetfed GmbH Folienführung für eine Prägeeinrichtung
US7275785B2 (en) * 2005-06-08 2007-10-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ar subframe attachment mount for hydroformed frame
EP1834862B1 (en) 2006-03-15 2010-05-05 Mazda Motor Corporation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JP4802783B2 (ja) * 2006-03-15 2011-10-26 マツダ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DE102006041094B4 (de) 2006-09-01 2015-04-02 Audi Ag Lagervorrichtung zur Lagerung einer Fahrzeugkomponente an einer Karosserie eines Fahrzeugs
DE202008003072U1 (de) 2008-03-04 2008-05-08 Anvis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m elastischen Lagern einer Motorgetriebeeinheit an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CN201396393Y (zh) * 2009-03-19 2010-02-03 尹学军 弹簧阻尼隔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25556A (zh) 2013-04-03
DE102010013840A1 (de) 2011-10-06
CN103025556B (zh) 2016-08-10
EP2555936B1 (de) 2014-03-19
WO2011120683A1 (de) 2011-10-06
US20130088047A1 (en) 2013-04-11
EP2555936A1 (de) 2013-02-13
US8702159B2 (en) 201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1996B2 (en) Vibration-damping device
EP1940655B1 (en) A motor vehicle with a rear end mounted battery box
US8376330B2 (en) Apparatus for elastically supporting an engine transmission unit
EP2392485B1 (en) Work vehicle
EP1038712B1 (en) Mount assembly for automotive power plant
CN110920752B (zh) 悬架副车架结构
KR20130020671A (ko) 길이방향 부재 및 이 부재 위에 배치된, 특히 트랜스미션 장착부로서 탄성 중합체 베어링을 포함하는 차체
CN108025632B (zh) 发动机悬置构造
RU2758728C2 (ru) Монобл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держки силовой установки, содержащее промежуточную опору
JP5061080B2 (ja) 防振ブッシュ
JP2008006981A (ja) 燃料タンクの支持装置
JP2008006981A5 (ko)
US20080047769A1 (en) Engine transmission carrier
JP6541614B2 (ja) 作業車
JP2009298316A (ja) パワートレイン支持装置
JP2001018663A (ja) ステアリングギヤボックスとパワートレインとの一体型マウンティング構造
JP4921860B2 (ja) 車両のエンジンマウント構造
CN112659877A (zh) 用于车辆的动力总成的安装系统
CN113247096A (zh) 搭载高压电池的车辆的车身
JP3767396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用パワーユニット支持機構
JP2019104431A (ja) 車両用のオイルパンガード
KR101705148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구조
KR102237071B1 (ko) 서브프레임 부시
JP2012061958A (ja) 車両用エンジンマウントの支持装置
CN219257464U (zh) 转向管柱的安装总成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