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0368A - 트레이 피더 및 이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트레이 피더 및 이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0368A
KR20130020368A KR1020110082969A KR20110082969A KR20130020368A KR 20130020368 A KR20130020368 A KR 20130020368A KR 1020110082969 A KR1020110082969 A KR 1020110082969A KR 20110082969 A KR20110082969 A KR 20110082969A KR 20130020368 A KR20130020368 A KR 20130020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buffer member
standby
feeder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0711B1 (ko
Inventor
송준근
이태영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2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711B1/ko
Priority to US13/542,277 priority patent/US9894818B2/en
Priority to CN201210290878.4A priority patent/CN102958341B/zh
Publication of KR20130020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22Supply arrangements for webs of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17/26Webs supplied from trays or like supports attached to the mach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2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3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 H05K13/0434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with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작업장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작업 능률을 높이는 트레이 피더 가 제공된다. 트레이 피더는, 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트레이를 격납하는 고정 매거진, 격납된 트레이를 승강 방식으로 인출하거나 인입하는 인출 부재, 고정 매거진 상부에 위치하며, 대기 중인 트레이를 지지하는 버퍼 부재 및 인출 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며, 트레이에 수납된 부품이 실장기에서 흡착될 수 있도록 지지된 트레이를 공급하는 피딩 부재를 포함 한다.

Description

트레이 피더 및 이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Tray feeder and parts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품 실장기에 부품을 공급하는 트레이 피더 및 부품 공급 방법으로서, 트레이를 지지하는 팔레트가 대기하는 장소인 버퍼 부재를 포함하는 트레이 피더 및 이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트레이 피더는 기판에 실장될 부품을 부품 실장기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부품을 수납하는 트레이, 트레이를 지지하는 팔레트 및 팔레트를 격납하는 매거진을 포함한다. 매거진에 격납된 팔레트를 이송 수단을 이용하여 부품 실장기의 작업 헤드가 위치한 피더부로 이송한 후, 작업 헤드는 트레이에 수납된 부품을 흡착하여 기판에 실장한다.
트레이 피더 중에서 매거진이 상하로 이동하며 트레이를 피더부로 이송하는 트레이 피더의 경우는 매거진이 상하로 이동하기 위해 트레이 피더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며, 그 결과 작업장 내에서 작업자의 시야가 좁아질 수 있다. 또한, 작업 헤드의 부품 흡착의 오류 등 작업 불량이 발생했을 때 작업자가 직접 오류를 수정하기에 공간 상의 제약을 일으킬 수 있다.
한편, 매거진은 고정되어 있으나 매거진에 격납된 팔레트를 피더부로 이송하기 위해 매거진의 측방에 이송부가 구비되고, 이 이송부 측방에 피더부가 설치된 트레이 피더의 경우는 트레이 피더가 길이 방향으로 길어지게 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장의 공간이 협소해지게 되고, 작업자의 움직임에 제약이 따르게 되어 작업 능률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작업장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작업 능률을 높이는 트레이 피더 및 이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피더는, 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트레이를 격납하는 고정 매거진, 상기 격납된 트레이를 승강 방식으로 인출하거나 인입하는 인출 부재, 상기 고정 매거진 상부에 위치하며, 대기 중인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버퍼 부재 및 상기 인출 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트레이에 수납된 상기 부품이 실장기에서 흡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된 트레이를 공급하는 피딩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은, 실장 작업이 수행될 부품을 수납하는 대기 트레이를 버퍼 부재에 대기 시키는 단계, 상기 실장 작업이 수행된 부품을 수납하는 완료 트레이를 피딩 부재로부터 상기 버퍼 부재로 인입시키는 단계, 상기 버퍼 부재로부터 상기 피딩 부재로 상기 대기 트레이를 인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버퍼 부재로 인입된 상기 완료 트레이를 상기 피딩 부재 하부에 위치한 인출 부재의 승강 작업을 통해 상기 버퍼 부재 하부에 위치한 고정 매거진에 격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작업장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작업 능률을 높이는 트레이 피더 및 이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하고 구체적인 본 발명의 효과들이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피더의 간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피더의 간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피더의 간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21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29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빈 트레이 보충 방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피더의 간략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피더(100)는 고정 매거진(150, 160), 버퍼 부재(140), 피딩 부재(190), 인출 부재(180) 및 보충 부재(105)를 포함한다.
고정 매거진(150, 160)은 트레이를 지지하는 팔레트가 격납되는 공간이다. 트레이는 기판에 실장될 부품을 수납하는 공간이며, 팔레트는 트레이를 지지하며 트레이가 이송 가능 하도록 한다. 이 팔레트는 고정 매거진(150, 160)에 형성된 복층 구조에 격납되어 층으로 놓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고정 매거진(150, 160)은 고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단 매거진(150) 및 하단 매거진(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매거진을 구성하는 매거진의 개수는 제한이 없다. 팔레트를 격납하는 매거진이 고정되어 있음으로 인해 매거진(150, 160)이 승강할 필요가 없으며, 트레이 피더(100)의 전체 높이(H1)가 낮아질 수 있다. 그 결과, 작업 공간 내에서 작업자의 시야가 확보될 수 있어 전체 작업 진행 상황 파악이 용이하며, 작업 상의 오류가 발행했을 경우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부품 실장기(미도시)의 작업 헤드가 부품 흡착을 하는 데 있어서 흡착 오류가 일어 날 경우, 트레이 피더(100) 전체 높이(H1)가 낮아 작업자는 트레이 피더(100)의 측면으로 이동하여 오류를 수정할 필요 없이, 용이하게 흡착 공간으로 접근하여 오류를 수정할 수 있다. 그 결과, 트레이 피더(100)의 측면으로 여분의 공간을 둘 필요가 없어 생산 라인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 매거진(150, 160)에 격납된 트레이에는 트레이 전 수납 위치에 부품이 수납된 트레이와 일부 수납 공간에만 부품이 수납된 트레이가 있을 수 있다. 기판에 부품을 실장하는 경우 트레이에 수납된 모든 부품을 한번에 기판에 실장할 수도 있으나, 일부 부품만을 기판에 우선 실장하고 나중에 다시 남아 있는 부품을 실장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 매거진에(150, 160)는 상기 언급한 수납 형태의 트레이가 격납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도면에 X자 해칭이 되어 있는 트레이(196)는 전 수납 공간에 부품이 수납된 트레이이고, 사선(우상에서 좌하방향) 해칭 및 점 해칭(197)은 일부 수납 공간에만 부품이 수납된 트레이를 나타낸 것이다. 즉, 해칭의 종류는 트레이에 수납된 부품의 수납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버퍼 부재(140)는 고정 매거진(150, 16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실장 작업이 수행되거나 수행될 트레이를 지지하는 팔레트가 대기하는 공간이다. 버퍼 부재(140)는 상단 버퍼 부재(110) 및 하단 버퍼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단 버퍼 부재(110)는 트레이 중에서 기판에 실장 작업이 수행될 트레이인 대기 트레이(196)가 임시 위치할 수 있으며, 하단 버퍼 부재는 트레이 중에서 실장 작업이 수행된 완료 트레이가 임시 위치할 수 있다.
도시된 바로는, 상단 버퍼 부재(196)에 위치한 대기 트레이(196)에 X자 해칭이 되어 있으나, 일부 수납 공간에만 부품이 수납된 트레이의 경우도 실장 작업이 수행될 예정이라면 대기 트레이로서 상단 버퍼 부재(196)에 대기할 수 있다. 즉, 대기 트레이와 완료 트레이를 구별하는 기준은 부품의 수납 정도가 아닌 실장 작업이 수행되었는가 아니면 수행될 예정인가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버퍼 부재(140)는 승강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승강 장치(120)를 통해서 버퍼 부재(140)는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버퍼 부재(140)가 승강이 가능함에 따라 후술할 피딩 부재(190) 및 인출 부재(180)와 버퍼 부재(140)의 높이를 맞추어 트레이를 서로에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는 다르게, 버퍼 부재는 복수의 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단에는 트레이가 지지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단을 구비함으로써, 복수 개의 트레이를 대기 시킬 수 있어,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피더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버퍼 부재에 대기하고 있는 트레이에 부품을 보충할 수 있다. 즉, 개구부를 통해 트레이에 새로운 부품을 보충할 수 있으며, 트레이에서 특정 부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의 위치는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어 버퍼 부재의 상부에 위치한 트레이 피더 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피딩 부재(190)는 부품 실장기의 작업 헤드가 트레이에 수납된 부품을 흡착하도록 팔레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피딩 부재(190)는 부품 실장기로 부품을 공급하는 작업 공간일 수 있다. 피딩 부재(190)는 상단 버퍼 부재(196)에 대기하는 대기 트레이(196)를 인입 장치를 이용하여 자신(190)으로 인입하여 작업 헤드에 부품을 공급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일부 수납 공간에만 부품이 수납된 트레이(197)가 피딩 부재에 놓여 있으며, 이 후 작업 헤드에 의해 부품이 흡착될 수 있다.
인출 부재(180)는 고정 매거진(150, 160)에 격납 되어 있는 팔레트를 인출하거나 실장 작업이 수행된 팔레트를 고정 매거진(150, 160)으로 인입할 수 있다. 인출 부재(180)는 인출 플레이트(170), 승강 장치(175) 및 인입/인출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승강 장치(175)를 통해 팔레트가 격납된 고정 매거진(150, 160) 내의 특정 높이로 이동한 후, 인입/인출 장치를 이용하여 격납된 팔레트를 인출한다. 이 후 인출된 팔레트를 버퍼 부재(14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실장이 완료된 팔레트를 버퍼 부재(140)로부터 인입/인출 장치를 통해 인입한 후, 승강 장치(175)를 이용하여 고정 매거진(150, 160)의 특정 높이로 이동한다. 이 후 팔레트를 자신의 자리로 인입시킬 수 있다.
인출 부재(180)는 피딩 부재(19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 결과 트레이 피더(100)의 길이 방향의 폭(L1)이 좁아질 수 있으며, 작업장 내에서 트레이 피더(100)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 들게 되고, 작업자의 이동도 자유로워질 수 있다. 또한, 고정 매거진(150, 160)에서 피딩 부재(190)까지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어 작업자가 부품 흡착의 오류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는 다르게, 인출 부재의 인출 플레이트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한 번에 복수 개의 트레이를 고정 매거진에서 인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인출 부재(180)와 피딩 부재(190) 간의 길이 차이(D1)가 도시되어 있는 데, 이 길이 차이(D1)는 트레이 피더(100) 전방에 위치한 부품 실장기의 작업 헤드의 이동 정도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작업 헤드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길어질수록 피딩 부재(190)는 전방으로 돌출될 필요가 없으며, 길이 차이(D1)는 0일 수 있다. 즉, 길이 차이(D1)가 0일 경우는 피딩 부재(190)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아 트레이 피더(100)의 폭이 더욱 좁아질 수 있다.
보충 부재(105)는 트레이에 수납된 부품이 모두 흡착되어 수납된 부품이 없는 빈 트레이를 지지하여 새로운 부품이 빈 트레이에 보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실장 작업의 결과로 인해 수납된 부품이 없는 빈 트레이를 인출 부재(180)를 통해 보충 부재(105)로 이송할 수 있다. 그 후, 작업자가 또는 자동으로 보충 부재(105)에 지지된 빈 트레이를 수거하여 부품을 보충한 후 다시 트레이 피더(1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충 부재(105)는 버퍼 부재(140)와 고정 매거진(150, 16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나, 설치 위치는 제한이 없다. 이렇게 보충 부재(105)가 버퍼 부재(140)와 고정 매거진(150, 160) 사이의 빈 공간에 위치함으로써, 트레이 피더(100)의 전체 높이 증가를 차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피더(100)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부품 공급 과정 전반을 제어하는 것으로, 팔레트의 이송 과정을 제어하고, 트레이에 수납된 부품의 위치 및 개수를 감시할 수 있다.
팔레트의 이송 과정을 제어 하는 경우는 버퍼 부재(140) 및 인출 부재(180)의 승강 시기 및 승강 정도를 제어하여 팔레트가 목적 장소에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부품이 어느 트레이에 수납되어 있는 지 여부 및 특정 트레이에 수납되어 있던 특정 부품의 흡착 완료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피더의 간략 단면도이다. 전술한 내용은 설명의 편의 상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피더(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정 매거진(250, 260), 버퍼 부재(240), 피딩 부재(290), 인출 부재(280), 보충 부재(205)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는 다르게 하단 버퍼 부재(230)에 실장 작업이 수행될 대기 트레이(296)가 임시 위치할 수 있다.
고정 매거진(250, 260)은 상단 매거진(250) 및 하단 매거진(260)을 포함하며, 고정 매거진(250, 260) 상부에 보충 부재(205)가 위치할 수 있다. 버퍼 부재(240)는 상단 버퍼 부재(210), 하단 버퍼 부재(230) 및 승강 장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장 작업이 수행되는 공간인 피딩 부재(290) 및 피딩 부재(290) 하부에 인출 부재(280)가 위치할 수 있다. 이 인출 부재(280)는 인출 플레이트(270), 승장 장치(275) 및 인입/인출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고정 매거진(250, 260)의 사용으로 트레이 피더(200)의 높이(H2)이가 낮으며, 피딩 부재의 하부에 인출 부재(280)가 위치하고 있어 폭(L2)이 좁아 작업장 내에서 부품의 흡착 오류 등의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도 피딩 부재(290)와 인출 부재(280) 간의 길이 차이(D2)가 0을 포함할 수 있어, 트레이 피더(200)의 폭을 더욱 좁힐 수 있다. 그 결과, 작업 공간 활용의 효율이 향상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피더의 간략 단면도이다. 전술한 내용은 설명의 편의 상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피더(30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정 매거진(350, 360), 버퍼 부재(340), 피딩 부재(390), 인출 부재(380), 보충 부재(305)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대기 트레이(396)가 하단 버퍼 부재(330)에 대기할 수 있다.
고정 매거진(350, 360)은 상단 매거진(350) 및 하단 매거진(360)을 포함하며, 고정 매거진(350, 360) 상부에 보충 부재(305)가 위치할 수 있다. 버퍼 부재(340)는 상단 버퍼 부재(310), 하단 버퍼 부재(330) 및 승강 장치(3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장 작업이 수행되는 공간인 피딩 부재(390) 및 피딩 부재(390) 하부에 인출 부재(380)가 위치할 수 있다. 이 인출 부재(380)는 인출 플레이트(370), 승장 장치(375) 및 인입/인출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버퍼 부재(340)의 일 구성 요소인 상단 버퍼 부재(310)는 승강 장치(320)를 통해 승강할 수 있다. 이렇게 상단 버퍼 부재(310)가 승강하면서 인출 부재(380)와 높이를 맞추어 완료 트레이를 인출 부재(38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피딩 부재(39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는 다르게 피딩 플레이트(385)뿐만 아니라 승강 장치(387)를 포함하며, 따라서 피딩 부재(390)는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할 수 있다. 피딩 부재(390)는 하강하면서 하단 버퍼 부재(330)와 높이를 맞춰 대기 트레이(396)를 피딩 부재(390)로 인입시킬 수 있다.
상기 살펴 보았듯이, 버퍼 부재(340) 전체가 아닌 상단 버퍼 부재(310)만 승강하고, 아울러 피딩 부재(390)가 승강함에 따라서, 트레이 피더(300)의 높이(H3)가 전술한 실시예들보다 더욱 낮아질 수 있다. 이렇게 트레이 피더(300)의 높이(H3)가 낮고, 폭(L3)이 좁아서 작업장 내에서 트레이 피더(300)가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 작업자의 시야 및 활동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부품의 흡착 오류 등의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도 피딩 부재(390)와 인출 부재(380) 간의 길이 차이(D3)가 0을 포함할 수 있어, 트레이 피더(300)의 폭을 더욱 좁힐 수 있다. 그 결과, 작업 공간 활용의 효율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에 대해서 살펴 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대기 트레이를 버퍼 부재에 대기 시킨다(S100). 피딩 부재에서 실장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실장 작업이 수행될 대기 트레이를 버퍼 부재에 대기 시킨다.
완료 트레이를 피딩 부재로부터 버퍼 부재로 인입시킨다(S200). 피딩 부재에 대기 트레이를 이송하기 전에 실장 작업이 완료된 완료 트레이를 피딩 부제에서 버퍼 부재로 이송시킨다.
버퍼 부재로부터 피딩 부재로 대기 트레이를 인입시킨다(S300). 피딩 부재에서 완료 트레이가 제거된 이 후, 버퍼 부재에 대기하고 있던 대기 트레이를 피딩 부재로 이송시킨다.
인출 부재를 통해 완료 트레이를 고정 매거진에 격납한다(S400). 피딩 부재에서 버퍼 부재로 이동한 완료 트레이를 인출 부재로 이송한 후, 인출 부재의 승강을 통해 고정 매거진 내의 특정 위치로 완료 트레이를 이동시킨다. 그 후, 완료 트레이를 인출 부재의 인입/인출 장치를 이용하여 고정 매거진에 격납한다.
상기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은 대기 트레이가 버퍼 부재에 미리 대기 상태로 있다는 전제하에 단 3번의 단계를 통해 부품 실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부품 실장 작업을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시간인 택트 타임(tack time)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을 각 실시예 별로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 다만, 빈 트레이를 보충하는 과정은 제외하고 설명하며, 도면에는 트레이 피더의 일 구성 요소인 보충 부재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피딩 부재(190)에는 실장 작업이 완료된 완료 트레이(197)가 위치하며, 상단 버퍼 부재(110)에는 대기 트레이(196)가 대기하고 있다. 피딩 부재(190)에 위치하던 완료 트레이(197)는 하단 버퍼 부재(130)로 이송되고, 버퍼 부재(140)는 하강하여 상단 버퍼 부재(110)와 피딩 부재(190)가 동일 선 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후, 상단 버퍼 부재(110)에 대기하던 대기 트레이(196)는 피딩 부재(190)로 이송되고, 하단 버퍼 부재(130)에 있던 완료 트레이(197)는 인출 부재(180)로 이동한다. 피딩 부재(190)로 이동된 대기 트레이(196)에는 실장 작업이 수행되고, 동시에 인출 부재(180)는 하강하여 고정 매거진(160) 내의 완료 트레이(197)의 자리로 이동한 후, 완료 트레이(197)를 고정 매거진(160)에 격납한다.
이어서, 인출 부재(180)는 고정 매거진(160)에서 실장 작업이 수행될 트레이(198)를 인출하여 상단 버퍼 부재(110)와 동일 선 상에 될 때까지 상승한다. 그 후, 인출된 트레이(198)를 상단 버퍼 부재(110)로 이송시켜 상단 버퍼 부재(110)에 대기 트레이(198)가 대기되도록 한다.
도 13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피딩 부재(280)에는 실장 작업이 완료된 완료 트레이(297)가 위치하며, 하단 버퍼 부재(230)에는 대기 트레이(296)가 대기하고 있다. 피딩 부재(290)에 위치하던 완료 트레이(297)는 상단 버퍼 부재(210)로 이송되고, 버퍼 부재(240)는 상승하여 하단 버퍼 부재(230)와 피딩 부재(290)가 동일 선 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후, 하단 버퍼 부재(230)에 대기하던 대기 트레이(296)는 피딩 부재(290)로 이송되어 실장 작업 수행되고, 버퍼 부재(240)는 상단 버퍼 부재(210)와 인출 부재(280)가 동일 선 상에 위치할 때가지 하강한다. 이 후, 상단 버퍼 부재(210)에 있던 완료 트레이(297)는 인출 부재(280)로 이동하며, 인출 부재(280)는 하강하여 고정 매거진(250) 내의 완료 트레이(297)의 자리로 이동한 후, 완료 트레이(297)를 고정 매거진(250)에 격납한다.
이어서, 인출 부재(280)는 고정 매거진(260)에서 실장 작업이 수행될 트레이(298)를 인출하여 하단 버퍼 부재(230)와 동일 선 상에 될 때까지 상승한다. 그 후, 인출된 트레이(298)를 하단 버퍼 부재(230)로 이송시켜 하단 버퍼 부재(230)에 대기 팔레트(298)가 대기되도록 한다.
도 21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21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피딩 부재(390)에는 실장 작업이 완료된 완료 트레이(397)가 위치하며, 하단 버퍼 부재(330)에는 대기 트레이(396)가 대기하고 있다. 피딩 부재(390)에 위치하던 완료 트레이(397)는 상단 버퍼 부재(310)로 이송되고, 피딩 부재(390)는 하강하여 하단 버퍼 부재(330)와 피딩 부재(390)가 동일 선 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후, 하단 버퍼 부재(330)에 대기하던 대기 트레이(396)는 피딩 부재(390)로 이송되고, 피딩 부재(390)는 상승하여 대기 트레이(396)는 실장 작업이 수행된다. 상단 버퍼 부재(310)는 하강하여 인출 부재(380)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고, 상단 버퍼 부재(310)에 위치하던 완료 트레이(397)는 인출 부재(380)로 이동한다. 완료 트레이(397)를 인입한 인출 부재(380)는 하강하여 고정 매거진(360) 내의 완료 트레이(397)의 자리로 이동한 후, 완료 트레이(397)를 고정 매거진(360)에 격납한다.
이어서, 인출 부재(380)는 고정 매거진(360)에서 실장 작업이 수행될 트레이(398)를 인출하여 하단 버퍼 부재(330)와 동일 선 상에 될 때까지 상승한다. 그 후, 인출된 트레이(398)를 하단 버퍼 부재(330)로 이송시켜 하단 버퍼 부재(330)에 대기 팔레트(398)가 대기되도록 한다.
이하, 실장 작업이 수행되는 것과 동시에 빈 트레이를 보충 부재를 이용하여 보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경우만을 설명하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도 이하 설명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가 가능하다.
도 29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빈 트레이 보충 방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29 내지 도 37을 참조하면, 피딩 부재(390)에는 트레이(400)가 놓여 실장 작업이 수행되고, 하단 버퍼 부재(330)에는 대기 트레이(410)가 대기하고 있다. 실장 작업이 종료된 완료 트레이(420)는 피딩 부재(390)에서 상단 버퍼 부재(310)로 이송되고, 피딩 부재(390)는 하강하여 하단 버퍼 부재(330)와 피딩 부재(390)가 동일 선 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후, 하단 버퍼 부재(330)에 대기하던 대기 트레이(410)는 피딩 부재(390)로 이송되고, 피딩 부재(390)는 상승하여 대기 트레이(410)는 실장 작업이 수행된다. 상단 버퍼 부재(310)는 하강하여 인출 부재(380)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고, 상단 버퍼 부재(310)에 위치하던 완료 트레이(420)는 인출 부재(380)로 이동한다. 여기서, 완료 트레이(420)는 여러 회(또는 한 번)의 실장 작업을 통해 수납된 부품이 없는 빈 트레이(420)이다.
완료 트레이(420)를 인입한 인출 부재(380)는 하강하여 보충 부재(305)와 동일 선 상에 위치한다. 그 후, 빈 트레이(420)는 보충 부재(305)로 이송되며, 작업자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 새로운 부품이 빈 트레이(420)에 보충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200, 300: 트레이 피더 140, 240, 340: 버퍼 부재
105, 205, 305: 보충 부재
150, 160, 250, 260, 350, 360: 고정 매거진
180, 280, 380: 인출 부재 190, 290, 390: 피딩 부재 110, 210, 310: 상단 버퍼 부재
120, 175, 220, 275, 320, 375, 387: 승강 장치
130, 230, 330: 하단 버퍼 부재 170, 270, 370: 인출 플레이트 196, 198, 296, 298, 396, 398, 410: 대기 트레이
197, 297, 397: 완료 트레이 400: 작업 전 트레이
420: 빈 트레이 385: 피딩 플레이트

Claims (34)

  1. 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트레이를 격납하는 고정 매거진;
    상기 격납된 트레이를 인출하거나 인입하는 인출 부재;
    상기 고정 매거진 상부에 위치하며, 대기 중인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버퍼 부재; 및
    상기 인출 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트레이에 수납된 상기 부품이 실장기에서 흡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된 트레이를 공급하는 피딩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인출 부재는 승강이 가능하여, 상기 인출된 트레이를 승강시킬 수 있는 트레이 피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중 빈 트레이에 상기 부품이 보충 가능하도록 상기 빈 트레이를 임시 지지하는 보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트레이 피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 부재는 상기 버퍼 부재와 상기 고정 매거진 사이에 위치한 트레이 피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피더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버퍼 부재에 대기 중인 트레이에 상기 부품을 보충할 수 있는 트레이 피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부재는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인출 플레이트 및 상기 인출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인출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인 트레이 피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부재는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복수의 단을 포함하는 트레이 피더.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부재는 상단 버퍼 부재 및 상기 상단 버퍼 부재 하부에 위치한 하단 버퍼 부재를 포함하는 트레이 피더.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부재는 승강하는 트레이 피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버퍼 부재는 상기 트레이 중 기판에 실장 작업이 수행될 대기 트레이가 임시 위치하며, 상기 하단 버퍼 부재는 상기 트레이 중 상기 실장 작업이 수행된 완료 트레이가 임시 위치하는 트레이 피더.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 부재는 상기 상단 버퍼 부재로부터 상기 대기 트레이를 인출하고, 상기 완료 트레이를 상기 하단 버퍼 부재로 인입하는 트레이 피더.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부재는 상기 고정 매거진에 격납된 상기 대기 트레이를 인출하여 상기 상단 버퍼 부재로 인입하고, 상기 하단 버퍼 부재로부터 상기 완료 트레이를 인출하여 상기 고정 매거진에 인입하는 트레이 피더.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 부재가 상기 대기 트레이를 인출하는 과정과 상기 인출 부재가 상기 완료 트레이를 인출하는 과정은 동시에 일어나는 트레이 피더.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버퍼 부재는 상기 트레이 중 실장 작업이 수행된 완료 트레이가 임시 위치하며, 상기 하단 버퍼 부재는 상기 트레이중 상기 실장 작업이 수행될 대기 트레이가 임시 위치하는 트레이 피더.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 부재는 상기 하단 버퍼 부재로부터 상기 대기 트레이를 인출하고, 상기 완료 트레이를 상기 상단 버퍼 부재로 인입하는 트레이 피더.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부재는 상기 고정 매거진에 격납된 상기 대기 트레이를 인출하여 상기 하단 버퍼 부재로 인입하고, 상기 상단 버퍼 부재로부터 상기 완료 트레이를 인출하여 상기 고정 매거진에 인입하는 트레이 피더.
  16.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버퍼 부재는 승강하는 트레이 피더.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버퍼 부재는 상기 트레이 중 기판에 실장 작업이 수행된 완료 트레이가 임시 위치하며, 상기 하단 버퍼 부재는 상기 트레이 중 상기 실장 작업이 수행될 대기 트레이가 임시 위치하는 트레이 피더.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 부재는 승강 하며, 상승한 후 상기 상단 버퍼 부재로 상기 완료 트레이를 인입하고, 하강한 후 상기 대기 트레이를 상기 하단 버퍼 부재에서 인출하는 트레이 피더.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버퍼 부재는 하강한 후, 상기 완료 트레이를 상기 인출 부재로 인입하는 트레이 피더.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부재는 상기 고정 매거진에 격납된 상기 대기 트레이를 인출하여 상기 하단 버퍼 부재로 인입하고, 상기 상단 버퍼 부재로부터 상기 완료 트레이를 인출하여 상기 고정 매거진에 인입하는 트레이 피더.
  21. 실장 작업이 수행될 부품을 수납하는 대기 트레이를 버퍼 부재에 대기 시키는 단계;
    상기 실장 작업이 수행된 부품을 수납하는 완료 트레이를 피딩 부재로부터 상기 버퍼 부재로 인입시키는 단계;
    상기 버퍼 부재로부터 상기 피딩 부재로 상기 대기 트레이를 인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버퍼 부재로 인입된 상기 완료 트레이를 상기 피딩 부재 하부에 위치한 인출 부재의 승강 작업을 통해 상기 버퍼 부재 하부에 위치한 고정 매거진에 격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완료 트레이 중 빈 트레이에 상기 부품을 보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부재는 상단 버퍼 부재 및 상기 상단 버퍼 부재 하부에 위치한 하단 버퍼 부재를 포함하는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트레이를 상기 버퍼 부재에 대기 시키는 단계는, 상기 인출 부재가 상기 고정 매거진에서 상기 대기 트레이를 인출하여 상승한 후, 상기 상단 버퍼 부재로 상기 대기 트레이를 인입하는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완료 트레이를 상기 피딩 부재로부터 상기 버퍼 부재로 인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대기 트레이를 인입한 상기 버퍼 부재가 상기 피딩 부재와 상기 하단 버퍼 부재가 동일 선상에 위치할 때까지 상승한 후, 상기 완료 트레이를 상기 하단 버퍼 부재로 인입시키는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 부재로 상기 대기 트레이를 인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상승한 버퍼 부재가 상기 피딩 부재와 상기 상단 버퍼 부재가 동일 선상에 위치할 때까지 하강한 후, 상기 대기 트레이가 상기 피딩 부재로 인입되는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완료 트레이를 상기 고정 매거진에 격납하는 단계는, 상기 대기 트레이가 상기 피딩 부재로 인입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완료 트레이를 상기 인출 부재로 인입하고, 상기 인출 부재가 하강한 후 상기 고정 매거진에 상기 완료 트레이를 인입하는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
  28.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트레이를 상기 버퍼 부재에 대기 시키는 단계는, 상기 인출 부재가 상기 고정 매거진에서 상기 대기 트레이를 인출하여 상승한 후, 상기 하단 버퍼 부재로 인입하는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완료 트레이를 상기 피딩 부재로부터 상기 버퍼 부재로 인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대기 트레이가 상기 하단 버퍼 부재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완료 트레이를 상기 상단 버퍼 부재로 인입시키는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 부재로 상기 대기 트레이를 인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버퍼 부재가 상기 피딩 부재와 상기 하단 버퍼 부재가 동일 선상에 위치할 때까지 상승한 후, 상기 대기 트레이가 상기 피딩 부재로 인입되는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완료 트레이를 상기 고정 매거진에 격납하는 단계는, 상기 버퍼 부재를 상기 인출 부재와 상기 상단 버퍼 부재가 동일 선상에 위치할 때까지 하강시키고, 상기 완료 트레이를 상기 인출 부재로 인입시키며, 상기 인출 부재가 하강한 후 상기 고정 매거진에 상기 완료 트레이를 인입하는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
  32.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트레이를 상기 버퍼 부재에 대기 시키는 단계는, 상기 인출 부재가 상기 고정 매거진에서 상기 대기 트레이를 인출하여 상승한 후, 상기 하단 버퍼 부재로 인입하는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 부재로 상기 대기 트레이를 인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피딩 부재가 하강한 후 상기 하단 버퍼 부재에 대기한 상기 대기 트레이를 상기 피딩 부재로 인입시키는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완료 트레이를 상기 고정 매거진에 격납하는 단계는, 상기 상단 버퍼 부재가 상기 인출 부재와 동일 선상에 위치할 때까지 하강하며, 상기 완료 트레이를 상기 인출 부재로 인입시키고, 상기 인출 부재가 하강한 후 상기 고정 매거진에 상기 완료 트레이를 인입하는 트레이 피더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
KR1020110082969A 2011-08-19 2011-08-19 트레이 피더 및 이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 KR101690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969A KR101690711B1 (ko) 2011-08-19 2011-08-19 트레이 피더 및 이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
US13/542,277 US9894818B2 (en) 2011-08-19 2012-07-05 Tray feeder and part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CN201210290878.4A CN102958341B (zh) 2011-08-19 2012-08-15 托盘送进器以及使用该托盘送进器的部件提供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969A KR101690711B1 (ko) 2011-08-19 2011-08-19 트레이 피더 및 이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368A true KR20130020368A (ko) 2013-02-27
KR101690711B1 KR101690711B1 (ko) 2016-12-29

Family

ID=47712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969A KR101690711B1 (ko) 2011-08-19 2011-08-19 트레이 피더 및 이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94818B2 (ko)
KR (1) KR101690711B1 (ko)
CN (1) CN10295834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703A1 (ko) * 2015-04-02 2016-10-0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트레이 피더 및 이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7586A1 (ja) * 2016-04-28 2017-11-0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部品実装機及びパレット入替方法
WO2017187612A1 (ja) * 2016-04-28 2017-11-0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部品実装機
JP6726114B2 (ja) * 2017-01-26 2020-07-2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パレット供給装置
EP3749078B1 (en) * 2018-01-29 2023-04-19 Fuji Corporation Tray-type component supply device
EP3806608B1 (en) * 2018-05-28 2023-08-23 Fuji Corporation Tape feeder
JP6908788B2 (ja) * 2018-07-19 2021-07-28 株式会社Fuji 部品供給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6246B1 (en) * 1998-12-15 2002-06-18 Advantest Corporation Device handler
KR20040000814A (ko) * 2002-06-25 2004-01-07 미래산업 주식회사 전자부품 공급장치용 버퍼
JP2004103670A (ja) * 2002-09-06 2004-04-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実装機における部品供給トレイ交換方法とその装置
KR20100111242A (ko) * 2009-04-06 2010-10-14 소니 주식회사 트레이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7974A (en) * 1986-01-24 1987-10-06 Trimedia Corporation Pallet-loading system
IT1255314B (it) * 1992-05-08 1995-10-31 Unita' per l'alimentazione di cassette a nastro per macchine automatiche.
JP3114427B2 (ja) * 1993-05-26 2000-12-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供給装置および電子部品供給方法
US5588797A (en) * 1994-07-18 1996-12-31 Advantek, Inc. IC tray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JP3301880B2 (ja) * 1995-01-17 2002-07-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装着方法及び装置
US5942012A (en) * 1995-06-09 1999-08-24 Tokyo Electron Limited Heat treatment apparatus
KR100496949B1 (ko) * 1997-02-17 2005-06-23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자부품 실장방법 및 장치
JPH10249650A (ja) * 1997-03-07 1998-09-22 Toshiba Corp トレイ部品供給装置
JP3757611B2 (ja) 1998-04-02 2006-03-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供給装置および電子部品供給方法
JP4425357B2 (ja) * 1998-06-30 2010-03-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部品実装装置
JP3491557B2 (ja) 1999-04-22 2004-0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供給用のトレイフィーダ
JP3518412B2 (ja) 1999-04-22 2004-04-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トレイフィーダによる電子部品の供給方法
CN100360274C (zh) * 2000-04-12 2008-01-0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供给零件用的托盘供料器及其零件的拾取方法
KR100437967B1 (ko) * 2001-06-22 2004-06-26 미래산업 주식회사 트레이 피더용 스택커
US6844717B2 (en) * 2001-10-12 2005-01-18 Techwing Co., Ltd. Test handler
CN1464312A (zh) 2002-06-07 2003-12-31 达司克科技股份有限公司 Ic测试处理机的机台配置及其加工流程
JP4425146B2 (ja) * 2002-12-02 2010-03-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
JP2004241595A (ja) * 2003-02-06 2004-08-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実装機
AU2003242260A1 (en) * 2003-06-06 2005-01-04 Advantest Corporation Transport device, electronic component handling device, and transporting method for electronic component handling device
EP1676475A1 (en) * 2003-10-24 2006-07-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KR101143138B1 (ko) * 2004-05-13 2012-05-08 파나소닉 주식회사 부품 공급용 플레이트 수용체 및 부품 공급 장치
JP4414314B2 (ja) 2004-09-29 2010-02-1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表面実装機
JP4450772B2 (ja) * 2005-06-30 2010-04-14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インスツルメンツ 電子部品装着装置
CN102249094B (zh) * 2010-05-18 2013-05-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上料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6246B1 (en) * 1998-12-15 2002-06-18 Advantest Corporation Device handler
KR20040000814A (ko) * 2002-06-25 2004-01-07 미래산업 주식회사 전자부품 공급장치용 버퍼
JP2004103670A (ja) * 2002-09-06 2004-04-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実装機における部品供給トレイ交換方法とその装置
KR20100111242A (ko) * 2009-04-06 2010-10-14 소니 주식회사 트레이 공급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703A1 (ko) * 2015-04-02 2016-10-0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트레이 피더 및 이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58341B (zh) 2016-04-06
CN102958341A (zh) 2013-03-06
US20130045066A1 (en) 2013-02-21
US9894818B2 (en) 2018-02-13
KR101690711B1 (ko) 201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0368A (ko) 트레이 피더 및 이를 이용한 부품 공급 방법
JP6300808B2 (ja) 対基板作業システム、およびフィーダ移し替え方法
JP6679375B2 (ja) 部品供給装置、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部品供給方法
KR101184569B1 (ko) 부품 배치 장치, 부품 공급 장치 및 방법
JP5941750B2 (ja) 部品供給装置
JP2013001473A (ja) トレイ積上げ・分離機構、およびトレイ除給材装置
KR20100036349A (ko) 부품이송장치 및 방법
JP6484820B2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供給方法
JP2010098134A (ja) 電子部品供給方法及び装置
KR100845013B1 (ko) 메거진에 적층한 프린트 기판의 공급장치
WO2013031049A1 (ja) 液剤塗布装置及び液剤塗布方法
KR100603029B1 (ko) 논스톱방식의 트레이 공급장치
JPH10233596A (ja) 部品供給装置
JP2004103670A (ja) 実装機における部品供給トレイ交換方法とその装置
JPWO2018193501A1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パレット移動方法
KR101427084B1 (ko) 트레이 피더
JP5990774B2 (ja) トレイフィーダ、電子部品搭載装置及びトレイフィーダにおけるキャリアの移し替え方法
JP2017163004A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供給方法
US10617048B2 (en) Component supplier and component supplying method
JP7069565B2 (ja) ワーク供給装置及びワーク加工システム
JP5627537B2 (ja) 部品供給装置、部品供給方法、および部品検査装置
JP2000307291A (ja) トレイフィーダによる電子部品の供給方法
JP4125450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2023049598A (ja) 部品ストック装置および部品装着システム
JP6505888B2 (ja) 対基板作業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