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8935A - 입술용 화장료 - Google Patents

입술용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8935A
KR20130018935A KR1020127033298A KR20127033298A KR20130018935A KR 20130018935 A KR20130018935 A KR 20130018935A KR 1020127033298 A KR1020127033298 A KR 1020127033298A KR 20127033298 A KR20127033298 A KR 20127033298A KR 20130018935 A KR20130018935 A KR 20130018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component
cosmetics
lip
sepa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3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4712B1 (ko
Inventor
도모코 이케다
도모 오사와
노리코 도미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30018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7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무이차부착 효과를 갖고 광택이 좋고, 안정성이 우수한 입술용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입술용 화장료는 (a)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4.5~35 질량%, (b) (a) 및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과 혼합했을 때 90 ℃에서 분리되지 않고 25 ℃에서 분리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메틸페닐실리콘 20~80 질량%, (c) 왁스 4~10 질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술용 화장료{LIP COSMETIC}
본 발명은 입술용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무(無)이차 부착성을 갖고, 또한 광택의 지속성이 우수한 입술용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입술용 화장료는 립스틱을 입술에 도포한 후, 상기 립스틱이 컵 등 입술에 접촉되는 부위에 전사되는 이차 부착성이 문제가 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이차 부착성을 잘 일으키지 않는, 소위 무(無)이차부착 효과를 갖는 립스틱 조성물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휘발성 탄화수소계 용매, 휘발성 탄화수소계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 가능한 비휘발성 실리콘 화합물, 및 휘발성 용매에 용해되고, 비휘발성 실리콘 화합물과 비융화성의 비휘발성 탄화수소계유를 함유하며, 상기 비휘발성 탄화수소계유가, 소정의 용해 파라미터를 갖는 내(耐)이동성 화장품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내이동성 화장품 조성물은 안정성의 측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고, 왁스량이 많으므로 액상 사용감이 수득되지 않고, 또한 광택도 불충분하다.
특허문헌 2에서는 비융화성인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형의 비휘발성유와 휘발성유를 함유하는 내이동성을 갖는 립스틱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에서는 지지체로의 적용중에 유분이 분리되고, 제 1 조성물상에 유분이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제 1 조성물은 상당한 왁스를 배합하고 있고 고형상이 되므로, 광택이나 촉촉한 느낌이 충분히 수득되지 않는다. 또한, 이 계에서는 비융화성 유상을 양호하게 분산시키기 어렵고, 발한 등의 안정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특허문헌 3에는 휘발성 유분과 조합하여 실리콘 계면활성제를 배합하고, 안료를 양호하게 분산시킨 내이동성을 갖는 스틱 화장품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스틱 화장품은 휘발성 유분의 조성물에서의 비율이 크므로 매트한 마무리가 되고, 입술에 건조감을 발생시키기 쉽다는 결점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휘발성 유분과 실리콘 수지를 배합한 1상형 립스틱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립스틱용 조성물은 내이동성은 개선되지만, 휘발성유가 증발한 후에 시간이 경과하면 건조감이 발생하기 쉽고, 또한 수지의 피막이 입술상에 남아, 피막감이나 당김을 발생시키고, 또한 수득된 부착물은 매트하다는 결점이 있다.
특허문헌 5에는 실리콘계 피막제와 휘발성 실리콘계 유분과 비휘발성 실리콘계 액상 유분과 유화제를 포함하는 연속상 유분과, 에스테르 유분과 색재를 포함하는 분산상 유분으로 이루어지고, 분산상 유분/(분산상 유분+연속상 유분)의 배합량비가 0.05~0.5 인 유중유형 유화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유중유형 유화조성물은 색재가 분산상으로 존재하므로 색 얼룩이 발생하기 쉽고, 또한 이 계에서는 경시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199846호 국제공개 96/40044호 공보 국제공개 97/16157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4870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53530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우수한 무이차부착 효과를 갖고, 또한 도포 후의 광택이 지속되고 안정성도 우수한 입술용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의 계면활성제와 유분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도포 후의 무이차 부착성과 광택을 양립시킬 수 있고, 또한 안정된 입술용 화장료를 수득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입술용 화장료는 다음의 (a)~(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4.5~35 질량%
(b) (a) 및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과 혼합했을 때 90 ℃에서 분리되지 않고 25 ℃에서 분리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메틸페닐실리콘 20~80 질량%
(c) 왁스 4~10 질량%
상기 입술용 화장료에서 (b)성분에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술용 화장료에서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을 (b)성분 전량 중 5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술용 화장료에서 (d) 물 및/또는 글리세린을 추가로 배합하고, (d)성분은 (a)성분에 대하여 5 질량% 이상이고, 화장료 전량 중 24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b) 메틸페닐실리콘의 선택방법은 (a)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4.5~35 질량%와 (c) 왁스 4~10 질량%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에서 배합되는 (b) 메틸페닐실리콘 20~80 질량%의 선택방법으로서
상기 선택방법이 (a)와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의 1:1 (질량비)의 혼합물과 (b)를 1:2(질량비)로 혼합했을 때, (b)는 90 ℃에서 분리되지 않고 25 ℃에서 분리되는 메틸페닐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b) (a) 및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과 혼합했을 때 90 ℃에서 분리되지 않고 25 ℃에서 분리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메틸페닐실리콘, (c) 왁스를 특정량 배합함으로써 우수한 무이차부착 효과를 갖고 무이차부착 효과를 유지한 채, 광택이 우수하고 안정성이 양호한 입술용 화장료가 수득된다.
일반적으로 무이차부착 효과가 높으면 도포시의 광택이 부족한 경향이 있고, 한편 광택이 있는 기제는 잔존 유분이 많으므로 2차 부착되기 쉽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정의 계면활성제와, 이것과 상용(相溶)하지 않는 실리콘유를 배합함으로써 상기 실리콘유가 표층에 분리되어 광택을 부여하고, 계면활성제는 내층에 있어 색제를 끌어 안으므로 이차 부착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이차 부착이 없고 또한 우수한 광택을 갖는 입술용 화장료로 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성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a)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a)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로서는 모노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가 바람직하고, 여러가지 공지의 합성법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페네톨 GE-IS(가오사제, 상품명)으로서 입수할 수도 있다.
(a)성분의 배합량은 화장료 전량 중 4.5~35 질량%인 것이 필요하고, 7~3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a) 성분의 배합량이 많거나 너무 적으면 무이차부착 효과가 떨어지고, 또한 너무 많은 경우에는 도포후에 끈적거림이 나타나는 경향도 있다.
((b) 메틸페닐실리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b)메틸페닐실리콘은 도포후에 (a)성분과 분리하여 표층을 형성하여 무이차부착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또한 광택을 좋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b) 성분은 (a) 및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과 혼합했을 때에 90 ℃에서 분리되지 않고, 25 ℃에서 분리되는 메틸페닐실리콘이고, 메틸페닐실리콘은 1 종이어도 좋고 2 종 이상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여기에서, 「분리」의 유무는 이하의 조건에서 측정되었다.
(측정조건)
(a)와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의 1:1(질량비)의 혼합물을 조제하고, 상기 혼합물을 혼합물:(b)=1:2(질량비)로 사용하여 90 ℃에서 교반 혼합한 경우와, 상기 혼합물을 정치하고 실온(25 ℃)이 된 경우에서, 경계가 균일하게 2층으로 분리되고 있는 것을 「분리됨」으로 하고, 경계가 불균일하게 백탁 또는 반투명한 상태, 또는 경계가 없고 투명한 서로 용해된 상태를 「분리되지 않음」으로 했다.
또한, (b)성분으로서 2 종 이상의 메틸페닐실리콘을 사용하는 경우, 분리의 유무는 그 배합 비율에 따라 다르다. 이 때문에, 분리의 유무는 (b) 성분의 배합비율에 따라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틸페닐실리콘으로서는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 및 디페닐디메티콘이 바람직하고, 특히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들의 메틸페닐실리콘을 (b) 성분 전체로서 상기 분리 조건을 만족하는 비율로 배합한 것이면 좋다.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에서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을 (b) 성분 전량 중 5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의 비율이 너무 적으면, 분리 조건을 만족하지 않고 무이차 부착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으로서는 시판품으로서 메틸페닐실리콘 FZ3156(165 ㎟/s(25 ℃), 도레·다우코닝사제)을 들 수 있다.
디페닐디메티콘으로서는 시판품으로서 실리콘 KF54(400㎟/s(25℃)), 신에츠가가쿠사제), 실리콘 KF50-300CS(신에츠가가쿠사제), 실리콘KF-54HV(신에츠가가쿠사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b) 성분으로서는 상기 이외에,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예를 들어, 실리콘 KF56(14 ㎟/s(25 ℃), 신에츠가가쿠사제)), 페닐트리메티콘(예를 들어, 실리콘 SH556(22 ㎟/s(25 ℃)), 도레·다우코닝사제))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을 사용한 경우에는 도포했을 때의 광택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b) 성분의 배합량은 화장료 전량 중 20~80 질량%인 것이 필요하다. 또한, 30~8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45~70 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b) 성분의 배합량이 20 질량% 미만에서는 이차 부착되기 쉽고, 또한 광택도 적다. 또한, 80 질량%를 초과하면 무이차 부착 효과가 나쁘다.
본 발명에서는 (b) 성분 이외의 유성 성분을 배합할 수도 있다.
임의의 유성 성분으로서는 특히 휘발성 유분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휘발성 유분으로서는 휘발성 탄화수소유, 휘발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을 화장료 전량 중 0.5~25 질량%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을 배합함으로써 안정성이 보다 향상된다.
((c) 왁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c)왁스로서는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카르나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비즈 왁스, 세레신, 미결정질 왁스, 고형 파라핀, 목랍 등을 들 수 있다.
(c) 왁스의 배합량은 화장료 전량 중 4~10 질량% 인 것이 필요하고, 6~9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c) 성분의 배합량이 4 질량% 미만에서는 고화되기 어렵다. 또한, 10 질량%를 초과하면 펴짐이 무겁고 광택도 나빠진다.
((d) 물 및/또는 글리세린)
본 발명에서는 또한 (d) 물 및/또는 글리세린을 배합함으로써, 액정이 형성되기 쉬워지고 무이차부착 효과는 보다 향상된다.
(d) 물 및/또는 글리세린의 배합량은 (a) 성분에 대하여 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화장료 전량 중 24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8 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 통상의 입술용 화장료에 사용되는 상기 이외의 유제, 분체, 고분자 화합물, 보습제, 향료, 산화방지제, 방부제, 미용 성분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 부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콜계 보습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색재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색재로서는 통상 입술용 화장료에 사용되는 색재이면 좋고, 분말 형상이어도 레이크 형상(오일을 섞은 상태)이어도 좋다. 무기 안료이어도 유기 안료이어도 펄제이어도 좋다. 색재는 입술용 화장료 도포시에는 (a) 성분에 끌어안겨져 (b) 성분의 내측에 존재하게 되므로 이차부착되기 어려워진다.
색재의 배합량은 화장료 전량 중 1~13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8 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에는 또한 피막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피막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알킬/디메티콘) 코폴리머 등이 예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KP545(신에츠가가쿠사제)로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피막제의 배합량은 화장료 전량 중 2~1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10 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는 그 제조공정의 전체에서 분리되지 않고, 균일한 1 상의 상태이도록 성분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전 조성물이 90 ℃에서 분리되지 않고 균일한 1상의 상태이도록 성분 구성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는 립스틱, 립글로스, 기초용 립베이스, 립 오버코트, 립 크림 등에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는 립스틱 등의 입술용 고형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본 발명에 대해서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배합량은 특기하지 않는 한 질량%로 나타낸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한 효과시험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평가 (1): (a) 및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과, (b)의 분리상태의 평가시험
(b) 메틸페닐실리콘의 분리 상태에 대해서 이하의 조건에서 측정했을 때에 90 ℃에서는 분리되지 않고 25 ℃에서는 분리되는 것을 「A」, 그 이외의 것을 「C」로 했다.
(측정조건)
(a)와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의 1:1(질량비)의 혼합물을 조제하고, 상기 혼합물을 혼합물: (b)=1:2(질량비)로 사용하여 90 ℃에서 교반 혼합한 경우와, 상기 혼합물을 정치하고 실온(25 ℃)이 된 경우에 경계가 균일하게 2층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분리됨」으로 하고, 경계가 불균일하고 백탁 또는 반투명한 상태, 또는 경계가 없고 투명한 상용된 상태를 「분리되지 않음」으로 했다.
평가 (2): 무이차부착 효과의 평가시험
10 명의 전문 패널에 의한 실사용성 시험을 실시했다. 평가는 시료를 입술에 도포했을 때의 무이차부착 효과에 대해서 하기의 채점 기준에 기초하여 5 단계 관능평가(스코어) 했다. 그 스코어 평균값에 의해 하기 평가 기준으로 판정했다.
(스코어)
5 점: 매우 우수하다
4 점: 우수하다
3 점: 보통
2 점: 떨어진다
1 점: 매우 떨어진다
(평가 기준)
S: 스코어 평균값 4.5 점 이상 5.0 점 이하
A*: 스코어 평균값 4.0 점 이상 4.5 점 미만
A: 스코어 평균값 3.5 점 이상 4.0 점 미만
B: 스코어 평균값 2.5 점 이상 3.5 점 미만
C: 스코어 평균값 1.0 점 이상 2.5 점 미만
또한, 「-」라고 표 중에 기재한 예는 안정성이 나쁘고, 무이차부착 효과를 측정할 수 없는 것이다.
평가 (3): 안정성의 평가시험
스틱 형상으로 한 시료의 절단면에서의 왁스의 균일성에 대해서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기준)
A: 균일
B*: 약간 균일
B: 약간 불균일
C: 불균일
본 발명자들은 하기 표 1~표 5에 나타내는 처방에서 상법에 의해 립스틱을 조제하고, 무이차부착 효과 및 안정성에 대해서, 상기의 평가기준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1~표 5에 나타낸다.
또한, 하기 표 3~표 5의 시험예에서 평가항목 (1)을 측정한 바, 모두 「A」였다.
Figure pct00001
※1: 페네톨GE-IS(가오사제)
※2: 메틸페닐실리콘FZ3156(도레·다우코닝사제)
※3: 실리콘KF54(신에츠가가쿠사제)
※4: 실리콘KF56(신에츠가가쿠사제)
표 1에서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와, 각종 메틸페닐실리콘과, 왁스를 포함하는 시료로서, 평가 (1)의분리조건을 만족하는 시험예 1-1 및 시험예 1-4의 시료는 무이차부착 효과 및 안정성이 우수했다.
이에 대하여 시험예 1-1 및 시험예 1-4와 다른 종류 또는 배합 비율의 메틸페닐실리콘을 포함하고, 평가 (1)의 분리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시험예 1-2 및 시험예 1-3의 시료는 무이차부착 효과가 떨어지거나 안정성이 떨어졌다.
Figure pct00002
표 2에서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메틸페닐실리콘(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 및/또는 디페닐디메티콘), 왁스를 배합한 입술용 화장료에서, 각종 메틸페닐실리콘의 배합 비율에 의해 분리 상태가 변화되고, 무이차부착 효과나 안정성에 영향이 나타나는 것이 명백해졌다. 상기 메틸페닐실리콘의 선택 방법은 본원의 효과를 만족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건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관한 입술용 화장료는 (a)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b) 메틸페닐실리콘, (c) 왁스를 포함하고, (b) 메틸페닐실리콘이, (a)와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의 1:1(질량비)의 혼합물과 (b)를 1:2(질량비)로 혼합했을 때 90 ℃에서 분리되지 않고, 25 ℃에서 분리되는 것이 필요하다.
Figure pct00003
표 3에서 입술용 화장료 중의 (a)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의 배합량에 따라, 무이차부착 효과에 영향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자들에 의한 한층 더한 검토의 결과, (a)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의 배합량은, 화장료 전량 중 4.5~35 질량%일 필요가 있는 것이 명백해졌다.
Figure pct00004
표 4에서 입술용 화장료 중의 (b)메틸페닐실리콘의 배합량에 의해 무이차부착 효과에 영향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b)메틸페닐실리콘의 배합량은 화장료 전량 중 20~80 질량%인 것이 필요하다.
Figure pct00005
표 5에서 (a)~(c) 성분을 적절하게 포함하고 있는 시험예 5-1의 시료의 일부를 물 및/또는 글리세린으로 치환한 시험예 5-2~5-4의 시료는 시험예 5-1과 동일하게 무이차부착 효과 및 안정성이 우수하고, 특히 시험예 5-1의 시료보다 무이차부착 효과가 매우 우수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입술용 화장료는 (d) 물 및/또는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의 처방예를 든다. 본 발명은 상기 처방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특정되는 것임은 말할 것도 없다.
처방예 1
배합 성분 질량%
(1)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14
(2)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 71
(메틸페닐실리콘 FZ3156(도레·다우코닝사제)
(3) 색제 7
(4) 폴리에틸렌 왁스 4
(5) 이온 교환수 3
(6) 글리세린 1
제조방법:
(1)~(4)를 90 ℃에서 혼합하고, 따뜻하게 한 (5), (6)을 첨가 혼합한다. 탈기, 충전을 하여 냉각한다.
처방예 2
배합 성분 질량%
(1)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14
(2)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 48
(메틸페닐실리콘 FZ3156(도레·다우코닝사제))
(3) 아크릴산 알킬/디메티콘)코폴리머 5
(4)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1
(5) 폴리에틸렌왁스 9
(6) 색제 5
(7) 이온 교환수 6
(8) 글리세린 2
제조방법:
(1)~(6)을 90 ℃에서 혼합하고 따뜻하게 한 (7), (8)을 첨가 혼합한다. 탈기, 충전을 하고 냉각한다.
처방예 3
배합 성분 질량%
(1)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14
(2)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 29
(메틸페닐실리콘FZ3156(도레·다우코닝사제)
(3) 디메틸디페닐폴리실록산 20
(실리콘 KF54(신에츠가가쿠사제))
(4) 스테아린산 이눌린 1
(5)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5
(6) 폴리에틸렌왁스 8
(7) 색제 5
(8) 이온 교환수 6
(9) 글리세린 2
제조 방법:
(1)~(7)을 90 ℃에서 혼합하고 따뜻하게 한 (8), (9)를 첨가 혼합한다. 탈기, 충전을 하고 냉각한다.

Claims (5)

  1. 다음의 (a)~(c)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a)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4.5~35 질량%,
    (b) (a) 및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과 혼합했을 때 90 ℃에서 분리되지 않고 25 ℃에서 분리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메틸페닐실리콘 20~80 질량%,
    (c) 왁스 4~10 질량%.
  2. 제 1 항에 있어서,
    (b) 성분에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3. 제 2 항에 있어서,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을 (b)성분 전량 중 50 질량% 이상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 물 및/또는 글리세린을 추가로 배합하고, (d) 성분은 (a) 성분에 대하여 5 질량% 이상이고, 화장료 전량 중 24 질량% 이하인 입술용 화장료.
  5. (a)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4.5~35 질량%와
    (c) 왁스 4~10 질량%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에서 배합되는 (b) 메틸페닐실리콘 20~80 질량%의 선택방법으로서,
    상기 선택방법이 (a)와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의 1:1 (질량비)의 혼합물과 (b)를 1:2(질량비)로 혼합했을 때, (b)는 90 ℃에서 분리되지 않고 25 ℃에서 분리되는 메틸페닐실리콘인 선택방법.
KR1020127033298A 2010-06-29 2011-06-07 입술용 화장료 KR1013047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47387 2010-06-29
JPJP-P-2010-147387 2010-06-29
PCT/JP2011/063077 WO2012002117A1 (ja) 2010-06-29 2011-06-07 唇用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935A true KR20130018935A (ko) 2013-02-25
KR101304712B1 KR101304712B1 (ko) 2013-09-06

Family

ID=45401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3298A KR101304712B1 (ko) 2010-06-29 2011-06-07 입술용 화장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86379B2 (ko)
EP (1) EP2589372B1 (ko)
JP (1) JP4887459B2 (ko)
KR (1) KR101304712B1 (ko)
CN (1) CN103096869B (ko)
ES (1) ES2609675T3 (ko)
TW (1) TWI432224B (ko)
WO (1) WO20120021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9313B2 (en) 2016-03-31 2021-11-23 L'oreal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silicone and hydrocarbon capable of forming a multilayer structure after application to a keratinous material
EP3435970A4 (en) * 2016-03-31 2020-04-22 L'Oréal COSMETIC COMPOSITIONS FOR FORMING A MULTI-LAYERED STRUCTURE AFTER APPLICATION ON KERATINE MATERIAL
US11712412B2 (en) 2016-03-31 2023-08-01 L'oreal Cosmetic compositions capable of forming a multilayer structure after application to a keratinous material
US11464731B2 (en) 2016-03-31 2022-10-11 L'oreal Cosmetic compositions capable of forming a multilayer structure after application to a keratinous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362B2 (ja) * 1981-01-21 1985-01-28 花王株式会社 棒状化粧料
JPH01233206A (ja) 1988-03-14 1989-09-19 Kao Corp 油性化粧料
JP3456021B2 (ja) 1994-07-29 2003-10-1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気調和装置
CA2183448C (en) 1994-12-16 2003-04-15 Yoshikazu Soyama Composition for rouge for lip
JP3221826B2 (ja) 1995-05-31 2001-10-22 株式会社資生堂 口紅用組成物
WO1996040044A1 (en) 1995-06-07 1996-12-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ransfer-resistant lip compositions
JPH0916157A (ja) 1995-06-30 1997-01-17 Taito Corp 境界面の他方に移動する状態を表現する方法
US5725845A (en) 1995-11-03 1998-03-10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Transfer resistant cosmetic stick compositions with semi-matte finish
JP3600450B2 (ja) 1998-08-07 2004-12-15 株式会社資生堂 油中油型乳化組成物
FR2801785B1 (fr) 1999-12-03 2002-09-27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sans transfert comprenant un compose non volatil silicone et une huile hydrocarbonee non volatile incompatible avec ce compose silicone
JP3436745B2 (ja) * 2000-02-08 2003-08-18 株式会社資生堂 メーキャップ化粧料
DE10143960A1 (de) * 2001-09-07 2003-03-27 Basf Ag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in Stiftform, enthaltend ein aminosubstituiertes Hydroxybenzophenon
MXPA05009114A (es) * 2004-03-31 2005-12-05 Schwan Stabilo Cosmetics Gmbh Preparacion libre de agua.
JP2006282592A (ja) 2005-03-31 2006-10-19 Naris Cosmetics Co Ltd 口紅組成物
US8313735B2 (en) * 2006-10-30 2012-11-20 Oreal Long-wearing cosmetic product system for providing extended shine and glo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89372A1 (en) 2013-05-08
TWI432224B (zh) 2014-04-01
ES2609675T3 (es) 2017-04-21
WO2012002117A1 (ja) 2012-01-05
US20130101539A1 (en) 2013-04-25
JP2012031142A (ja) 2012-02-16
KR101304712B1 (ko) 2013-09-06
US8486379B2 (en) 2013-07-16
JP4887459B2 (ja) 2012-02-29
TW201206492A (en) 2012-02-16
CN103096869B (zh) 2014-09-24
CN103096869A (zh) 2013-05-08
EP2589372A4 (en) 2013-12-04
EP2589372B1 (en)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886B1 (ko) 입술용 고형 화장료
KR101211318B1 (ko) 입술용 화장료
EP3192492B1 (en) Solid lip cosmetic
JP5926896B2 (ja) 唇用固形化粧料
KR101664514B1 (ko) 입술용 화장료
KR20120102069A (ko) 입술용 화장료
KR101304712B1 (ko) 입술용 화장료
JP2011121908A (ja) 油中油型化粧料
CN115135297A (zh) 油包油型乳化化妆品
WO2019162333A1 (en) Glossy and well-adhering lipsti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