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7687A -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7687A
KR20130017687A KR1020110080266A KR20110080266A KR20130017687A KR 20130017687 A KR20130017687 A KR 20130017687A KR 1020110080266 A KR1020110080266 A KR 1020110080266A KR 20110080266 A KR20110080266 A KR 20110080266A KR 20130017687 A KR20130017687 A KR 20130017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dive
link
storage space
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9408B1 (ko
Inventor
허재명
김혁
Original Assignee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0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408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63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 B60N2/3065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in a longitudinal-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7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on a lower level of a multi-level vehicle floor
    • B60N2/3075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on a lower level of a multi-level vehicle floor stowed in re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05/00General mechanical or structural details
    • B60N2205/30Seat or seat parts characterised by comprising plural parts or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의 폴드 동작과 연동하여 시트 아래쪽에 형성된 격납 공간에 대하여 시트의 수직 다이브 동작을 완료시킬 수 있는 차량용 후열시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트쿠션의 수직하방에 형성된 격납 공간과 시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격납 공간으로부터 정상 착석 위치인 직립위치의 시트를 고정 지지하고, 시트의 폴드 동작과 동시에 직립위치의 시트 고정력을 해제시켜 격납 공간 내부로 수직 다이브 동작시키는 다이브 링크조립체를 구성하여 폴드 앤 다이브 및 팝업 앤 언폴드 동작을 구현하는 시트의 구조적인 단순화, 신속하고 정확한 작동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Fold and dive seat}
본 발명은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의 폴드(fold) 동작과 동시에 플로어의 격납 공간을 향해 시트를 수직 다이브(dive) 동작시키는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2열 혹은 3열 이상의 시트를 가진 차량의 경우 많은 인원을 탑승시키거나 화물공간을 위하여 시트배열을 적절히 변화시켜 차량 내 플로어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는 기능성 시트가 있다.
그 중 일예로서, 레저용 또는 화물용 승합차량에 설치된 리어시트(최 후열 시트)는 물건을 실을 때 공간 확보를 위하여 시트쿠션의 상면을 향해 시트백을 전방으로 눕히는 폴드(fold) 동작은 물론 절첩된 시트를 다시 플로어 내부로 격납시켜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하는 시트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국내공개특허 2011-0062445호에 개시된 도면이다. 국내공개특허 2004-0062445호에 개시된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fold and dive) 시트(최 후열시트)는, 플로어에 차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지지프레임(10) 상에 시트(1)가 설치되되, 상단은 시트쿠션 프레임(15)의 전방 저면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은 지지 프레임(10)의 전방에서 힌지 결합된 다이브 링크(30)를 구성하여, 플로어를 향해 시트쿠션이 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시트쿠션 프레임(15)의 측면과 시트백 프레임(20)의 측면에는 부메랑 형상의 연결링크(40)를 설치 구성하고, 시트백 프레임(20)은 지지프레임(10)의 후방과 리클라이너(35;recliner)로 연결 설치되어 폴드 동작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시트(1)는 리클라이너(35)와 연결된 릴리즈 핸들을 가동시켜 리클라이너(35)를 잠금 해제시킨 다음 시트쿠션의 상면으로 시트백을 폴드 동작시키게 되면, 연결링크(40)로 연결된 시트쿠션은 지지프레임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단은 시트쿠션 프레임(15)의 전방 저면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은 지지 프레임(10)의 전방에서 힌지 결합된 다이브 링크(30)에 의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시트쿠션이 하 방향으로 다이브 동작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종류의 폴드 앤 다이브 시트는 국내공개특허 제2004-0043037호, 2004-0091221호, 제2006-0119695호, 제2005-0104516호, 제2008-0049293호, 제2009-0060425호, 제2010-0115746호 등에 다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폴드 앤 다이브 시트는 시트백의 폴드 동작 시 시트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는 동시에 다이브 링크에 의하여 전방으로 눕혀지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즉, 폴딩 앤 다이브 동작 반경이 시트의 전방으로 확장된다. 결국 국내공개특허 2011-0062445호 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폴드 앤 다이브 동작 시 전열 시트백에 폴딩되는 시트백의 상단부 즉, 헤드레스트가 부딪히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부가 기능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 종래 폴드 앤 다이브 시트는 하나의 링크 구조를 이루는 다이브 링크(30)의 회전반경에 해당하는 높이로만 하강하게 되어, 전체 다이브 동작된 하강 높이가 미비하다. 결국 종래 폴드 앤 다이브 시트가 설치된 플로어는 시트가 설치된 앞쪽 플로어보다 시트 뒤쪽 플로어를 높게 형성하도록 하여, 최종 폴드 앤 다이브 동작된 시트백의 배면이 뒤쪽 플로어와 수평을 이루도록 높게 설계되어져 있다.
또, 종래 폴드 앤 다이브 시트는 정상 착석을 위한 시트의 직입위치에서나 혹은 폴드 앤 다이브된 절첩위치에서 상기 다이브 링크의 자유로운 회전상태를 구속하기 위한 별도의 록킹 수단을 필요로 한다.
한편, 도 4는 국내공개특허 2007-0116496호에 개시된 도면이다. 국내공개특허 2007-0116496호에 개시된 다이브 시트는 차체에 고정된 채널의 전단 스트라이커부와 후단 스트라이커부에 각각이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프론트 캐치부(2) 및 리어 캐치부(3)에 의해 차체에 고정 지지되는 시트(1)를 구성하고, 시트 뒤쪽 플로어에 형성된 수납공간(5)을 구성하며, 일단이 상기 수납공간(5)의 바닥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시트(1)의 리어 캐치부(3)와 결합되어 전방의 시트(1)를 후방의 수납공간(5)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래그부(4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도 4에 도시된 다이브 시트(1)의 작동은 먼저 리클라이너와 연결된 릴리즈 핸들을 가동시켜 리클라이너를 잠금 해제시킨 다음 시트쿠션의 상면으로 시트백을 폴드 동작시키고, 이후 폴딩된 시트의 프론트 캐치부(2)와 리어 캐치부(3)를 전방 플로어로부터 완전히 분리한 다음 후방 수납공간(5)에 일단이 힌지 결합된 래그부(40)를 회전시키며 시트를 수납공간(5)으로 다이브 동작시키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다이브 시트(1)는 시트쿠션에 대하여 시트백의 폴드 동작이 1차적으로 먼저 이루어지고 이후 시트를 플로어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게 되며 이후에야 비로소 래그부를 이용하여 후방에 위치한 수납공간을 향해 다이브 동작 시키게 되는 것으로, 다이브 동작이 여러 번의 단계를 거치게 됨으로써 작동이 번거롭고 힘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트의 전방 혹은 후방 공간에 격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시트 바로 아래 공간에 형성된 격납 공간에 대하여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동작 중 전후좌우 공간으로 치우지는 시트의 작동 반경을 완전히 배제시킬 수 있는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시트의 폴드 동작과 다이브 동작의 순차적인 작동이 아니라 폴드 동작과 다이브 동작을 동시적으로 연동시켜 보다 신속하고 간결한 폴드 앤 다이브 동작을 구현시킬 수 있는 차량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폴드 앤 다이브 및 팝업 앤 언폴더 동작을 사용자가 아주 손쉽고 편리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클라이닝 장치의 폴딩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트쿠션과 시트백이 일정각도를 유지하는 직립위치와 시트쿠션의 상면으로 시트백이 눕혀진 절접위치 사이를 폴드(fold) 동작하는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의 수직하방에 형성된 격납 공간; 및
상기 격납 공간과 시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격납 공간으로부터 정상 착석 위치인 직립위치의 시트를 고정 지지하고, 시트의 폴드 동작과 동시에 직립위치의 시트 고정력을 해제시켜 격납 공간 내부로 수직 다이브 동작시키는 다이브 링크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다이브 링크조립체는, 상기 격납 공간의 전단부와 시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직립위치의 시트를 고정 지지하고, 릴리즈 핸들의 가동에 의하여 직립위치의 시트에 대한 고정 지지력이 해제되는 중간 링크조립체; 상기 격납 공간의 전단부와 시트쿠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시트의 폴드 동작과 연동하여 다이브 동작하는 시트쿠션의 전단부를 격납 공간 내부로 유도하는 전방 링크조립체; 및 상기 격납 공간의 후단부와 시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시트의 폴드 동작과 연동하여 다이브 동작하는 시트쿠션의 후단부를 격납 공간 내부로 유도하는 후방 링크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링크조립체는, 일단이 상기 시트쿠션의 전방 횡단부재와 제1회전축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플로어와 만나는 격납 공간의 전단부에 형성된 스트라이커에 탈착 결합되는 전방 레그와; 일단이 상기 전방 레그의 중간부와 제2회전축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시트백의 하단부와 제3회전축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는 제1링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링크조립체에는, 일단이 시트백의 측면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폴딩 회전축을 지나치게 연장 형성된 타단에 상기 제3회전축이 연결 설치되는 연장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 링크조립체는, 플로어와 만나는 격납 공간의 전방 상부에 설치된 지지브래킷에 일단이 제4회전축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어 격납 공간의 깊이와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제2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2링크의 타단과 제5회전축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시트쿠션의 전방 횡단부재와 제6회전축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는 제3링크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링크는 토션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제4회전축을 중심으로 격납 공간의 전방 상부로 탄성 가압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제3링크는 토션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제6회전축을 중심으로 시트쿠션의 저면으로부터 전방 하부로 탄성 가압된 상태를 이루고; 상기 제2링크와 제3링크는 토션스프링에 의하여 제5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근접하도록 탄성 가압된 상태를 이루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링크와 제3링크의 길이 합은 상기 전방 레그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으로 한다.
한편, 상기 후방 링크조립체는, 플로어와 만나는 격납 공간의 후단부에 설치된 지지브래킷에 일단이 제7회전축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시트쿠션의 후방 횡단부재와 제8회전축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4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4링크의 중간부와 제9회전축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시트백의 하부 횡단부재와 제10회전축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는 제5링크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링크는 토션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제7회전축을 중심으로 격납 공간의 상부로 탄성 가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 것일 수 있다.
한편, 격납 공간에 다이브 동작 완료된 시트의 격납 상태를 유지하는 다이브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브 잠금수단은, 제2링크의 중간부에 돌출 형성된 걸림로드와; 상기 걸림로드와 대향하게 격납 공간의 전방 벽면부에 설치 구성되어, 시트의 다이브 동작 완료와 동시에 걸림로드가 걸림 지지되며, 릴리즈 핸들의 가동에 의하여 걸림로드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잠금로커부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시트의 폴드 동작과 연동하는 다이브 링크조립체를 구성하여 해당 플로어에 형성된 격납 공간에 대하여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fold and dive) 및 언폴드 앤 팝업(unfold and pop-up) 동작을 간결하고 신속하게 구현하며 사용자의 작동 편의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시트의 바로 아래쪽 하방에 격납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플로어 활용을 극대화 하는 동시에 격납 공간을 향하는 시트의 수직형 다이브 및 팝업 동작으로 인하여 전열시트와의 간섭 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등 차량 실내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다이브 링크조립체를 이용하여 시트의 수직형 다이브 동작을 유도하는 것은 물론 시트의 직립위치(팝업)와 절첩위치(격납)에서 시트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지지할 수 있어 시트의 구조적인 단순화를 함께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격납 상태에서 직립위치로 작용하는 복귀 스프링을 구비하는 다이브 링크조립체를 이용하여, 자연스러운 폴드 앤 다이브 동작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리클라이닝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릴리즈 핸들의 일시적인 가동만으로도 격납 공간으로부터 솟아오르는 팝업(pop-up) 동작과 언폴드(unfold) 동작을 자동 구현할 수 있는 고품질의 차량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국내공개특허 2011-0062445호에 개시된 시트의 직립위치 측면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동작 중 측면 예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트의 절첩위치 측면 예시도
도 4는 국내공개특허 2007-0116496호에 개시된 일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의 전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시트의 측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중간 링크조립체의 구성을 보이는 부분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방 링크조립체의 구성을 보이는 부분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후방 링크조립체의 구성을 보이는 부분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다이브 잠금수단의 구성을 보이는 부분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이브 잠금수단의 작동 단계를 보이는 단계별 작동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작동 단계를 보이는 단계별 작동 상태도
위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히 한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폴드 앤 다이브 시트는, 시트쿠션(2)과 시트백(3)을 포함한다.
흔히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경우 차량의 최 후열에 구성되는 것이 보편적인 바, 도 5에 도시된 시트는 2인 이상이 착석을 할 수 있는 시트쿠션(2)과 시트백(3)을 일체로 하고 있는 최 후열 시트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러한 2인 이상이 착석할 수 있는 차량의 최 후열 시트에만 한정 하는 것은 아니다.
인출번호 '2'로 표시된 상기 시트쿠션(2)은, 시트쿠션 프레임(20)을 포함한다. 시트쿠션 프레임(20)은 시트쿠션(2)의 기본 골격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전방 횡단부재(21)와 후방 횡단부재(22) 그리고 전방 횡당부재(21)와 후방 횡단부재(22)의 양쪽 단을 연결하는 측면부재(23)를 포함한다.
인출번호 '3'으로 표시된 상기 시트백(3)은, 시트백 프레임(30)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백 프레임(30)은 시트백(3)의 기본 골격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상부 횡단부재(31)와 하부 횡단부재(32) 그리고 상부 횡단부재(31)와 하부 횡단부재(32)의 양쪽 단을 연결하는 측면부재(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트쿠션(2)의 후단부와 시트백(3)의 하단부는 회전축(A)에 의하여 연결되어 시트쿠션(2)에 대한 시트백(3)의 폴드(fold) 동작을 구현하게 된다. 정확하게 시트백(3)의 폴드 동작은, 시트쿠션(2)에 대하여 정상 착석할 수 있는 직립위치에서 시트쿠션(2)의 상면을 향해 시트백(3)이 전방으로 눕혀진 절첩위치 사이를 회전하는 동작을 말한다.
이러한 시트백(3)의 폴드 동작은 공지된 리클라이닝(reclining) 장치(4)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공지된 리클라이닝 장치(4)는 정상 착석을 위한 직립위치, 편안한 휴식 자세를 위한 후방으로 눕혀진 위치, 해당 시트의 전열과 후열로 착석자 혹은 화물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전방으로 절첩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공지된 리클라이닝 장치(4)는 시트의 양쪽에 동일한 구성으로 한 쌍을 이루게 되며, 일반적으로 시트쿠션(2)측 측면부재(23)에 각각 결합된 하부 브래킷과 시트백(3)측 측면부재(33에 결합된 상부 브래킷을 연결하며 설치 구성된다. 이러한 리클라이닝 장치(4)는 시트의 일측(일반적으로 착석자의 손이 자연스레 위치하는 시트쿠션의 측면 바로 아래에 장착됨)에 장착된 릴리즈 핸들을 가동함으로써 잠금 상태와 비잠금 상태를 이루게 된다. 잠금 상태에서 리클라이링 장치(4)는 시트백(3)을 직립위치에 유지한다. 비잠금 상태에서 리클라이링 장치(4)는 시트백(3)을 직립위치와 절첩위치 사이에서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때로는 비잠금 상태에서 리클라이닝 장치(4)는 착석자의 안락함을 위해 시트백(3)을 후방으로 눕힐 수 있다. 릴리즈 핸들을 가동하여 리클라이닝 장치(4)의 비잠금 상태에서 시트백(3)을 절첩위치로 최종 회전 완료된 다음에는 리클라이닝 장치(4)는 잠금 상태로 복귀하여 시트백(3)을 절첩위치에 유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리클라이닝 장치(4)는 미국특허 제4770464호, 제4997223호, 제5216936호, 제6003945호, 제6007152호, 제6036400호, 제6102480호, 제6260923호, 제6332649호, 및 국내특허공개 제2007-0032345호, 제2010-0062228호를 참조하도록 하며, 이러한 리클라이닝 장치(4)의 공지된 구성과 잠금 상태 및 비잠금 상태에 따른 작동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하면 폴드 앤 다이브 시트는 전술한 리클라이닝 장치(4)의 폴드 동작 즉, 시트백(3)의 직립위치에서 절첩위치를 사이를 회전하는 폴드 동작과 연동하여 격납 공간(1)을 향하는 다이브 동작을 구현하게 되는 것이고, 또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경우는 차량의 최 후열시트에 적용되는 것을 감안하여 차량 후미에서 시트를 격납시키고자 할 경우에 유용하도록 리클라이닝 장치(4)의 잠금 상태를 비잠금 상태로 가동하기 위한 릴리즈 핸들(6)을 시트백(3)의 배면에 단독으로 설치하거나 혹은 추가 설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릴리즈 핸들(6)은 폴드 동작을 위한 리클라이닝 장치의 잠금 해제뿐만 아니라 폴드 앤 다이브 동작 전 착석위치를 유지하는 시트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고, 폴드 앤 다이브 동작 완료된 시트의 격납 상태를 해제시키는 가동하는 기능을 겸하게 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의한 폴드 앤 다이브 시트는, 격납 공간(1)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격납 공간(1)은 종래와 같이 시트의 전방, 후방, 측방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시트의 바로 아래쪽에 형성되며, 절첩위치를 유지하는 시트가 완전히 격납된 후에는 시트백(3)의 배면이 플로어와 수평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격납 공간(1)을 시트의 수직 하방에 형성하며, 이러한 격납 공간(1)으로부터 위쪽 시트의 고정력을 만족하는 것은 물론 종래 직립위치를 유지하던 시트가 다이브 동작 시 전후 혹은 좌우 측방으로 쏠리게 되었던 다이브 동작을 배제하고 직립위치를 유지하던 시트가 아래쪽 격납 공간(1)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폴드 앤 다이브 동작을 신속 정확하게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폴드 앤 다이브 시트는, 다이브 링크조립체(10,20,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다이브 링크조립체(10,20,30)는 상기 격납 공간(1)과 시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정상 착석 위치인 직립위치의 시트를 격납 공간(1)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는 시트로서의 주 목적을 만족하고, 또 폴드 앤 다이브 완료된 시트를 격납 공간(1)내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며, 또 시트백(3)의 폴드(fold) 동작과 연동하여 격납 공간(1)을 향해 시트를 수직 다이브 동작시키거나 혹은 시트백(3)의 언폴드(unfold) 동작과 연동하여 격납 공간(1)으로부터 시트를 수직 팝업(pop-up) 동작시키게 된다. 무엇보다 직립위치 및 격납 상태에서 전후좌우로 작동 반경이 쏠리는 특성을 배제하고 신속하고 부드러운 다이브 및 팝업 동작을 구현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이브 링크조립체(10,20,30)는, 중간 링크조립체(10)와, 전방 링크조립체(20), 및 후방 링크조립체(30)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조립체를 구분하는 '중간', '전방', '후방'의 의미는 시트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위치적인 면을 고려하여 구분한 것일 뿐 그 외 다른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중간 링크조립체(10)는, 격납 공간(1)의 전단부와 시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직립위치의 시트를 고정 지지하고, 릴리즈 핸들(6)의 가동에 의하여 직립위치의 시트에 대한 고정 지지력을 해제시킨다.
이러한 중간 링크조립체(10)는 시트의 횡 방향의 양쪽 단에 복수 개(한 쌍으로 도시됨)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중간 링크조립체(10)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중간 링크조립체(10)는 전방 레그(11)와, 제1링크(12)를 포함한다.
전방 레그(11)는, 일단은 시트쿠션(2)의 전방 횡단부재(21)와 제1회전축(41)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고, 타단은 플로어와 만나는 격납 공간(1)의 전단부에 형성된 스트라이커(111)에 탈착 결합된다. 상기 스트라이커(111)에 탈착 결합 구조를 이루는 전방 레그(11)의 한쪽 단에는 캐치부(110)가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전방 레그(11)의 캐치부(110)는, 기본적으로 중앙부가 레그 본체에 힌지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스트라이커(111)에 결합되는 걸림훅이 형성되고, 복귀스프링에 의하여 걸림훅이 항상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캐치부를 반대회전시킴으로써 스트라이커로부터 캐치부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구조를 만족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플로어의 스트라이커로부터 레그의 캐치부의 탈 부착 결합구조는 이미 탈착형 시트에 적용된 공지된 기술로써 국내특허공개 제2005-0038149호, 제2006-0006253호, 제2007-0116496호, 제2010-0112071호 등을 참조하도록 하며 관련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전방 레그(11)의 캐치부(110)는 상기 릴리즈 핸들(6)과 작동 케이블(미 도시)로 연결된다. 즉, 폴드 앤 다이브 동작 개시를 위한 릴리즈 핸들(6)의 가동(리클라이닝 장치 잠금 해제)과 동시에 스트라이커(111)에 결합된 전방 레그(11)의 캐치부(11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이러한 전방 레그(11)는 시트의 횡 방향으로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 개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 제1회전축(41)을 중심으로 서로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바(7)를 설치하도록 한다.
제1링크(12)는, 일단이 상기 전방 레그(11)의 중간부와 제2회전축(42)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고, 타단은 시트백(3)의 하단부와 제3회전축(43)에 의하여 연결 설치된다.
이러한 제1링크(12)는 시트의 양쪽 단에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렇게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링크(12)는 시트의 횡 방향에 대하여 최 외곽에 배치된 전방 레그(11)와 각각 제2회전축(42)에 의하여 결합 구성된다.
또한, 중간 링크조립체(10)에는 일단이 시트백(3)의 측면부재(33)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폴딩 회전축(A)을 지나치게 연장 형성된 타단에 상기 제1링크(12)의 제3회전축(43)이 연결 설치되는 연장브래킷(133)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렇게 폴딩 회전축(A)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는 연장브래킷(133)의 끝단에 상기 제1링크(12)의 제3회전축(43)을 배치하게 됨으로써, 시트백(3)의 폴드 작동과 연동하는 연장브래킷(133)에 의하여 제1링크(12)의 제3회전축(43)은 초기 위치에서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제1링크(12)의 구동특성과 연동하여 전방 레그(11)역시 제1회전축(41)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하며 시트쿠션(2)의 저면으로 절첩 작동하게 된다. (도 12참조)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전방 링크조립체(20)는, 격납 공간(1)의 전단부와 시트쿠션(2)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시트의 폴드 동작과 연동하여 다이브 동작하는 시트쿠션(2)의 전단부를 격납 공간(1) 내부로 유도하게 된다.
이러한 전방 링크조립체(20)는 상기 중간 링크조립체(10)의 전방 레그(11)와 서로 간섭이 되지 않는 위치에서 시트쿠션(2)의 횡 방향으로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시트쿠션(2)의 횡 방향으로 복수 개(2개소 도시됨)로 구성될 경우에는 서로 마주하는 각각의 링크들을 연결바(7)로 연결하여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함이 좋다.
이러한 전방 링크조립체(20)는 제2링크(21)와, 제3링크(22)를 포함한다.
제2링크(21)는, 플로어와 만나는 격납 공간(1)의 전단부에 설치된 지지브래킷(211)에 일단이 제4회전축(44)에 의하여 연결 설치된다. 또 제2링크(21)는 격납 공간(1)의 깊이와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다. 즉, 격납 공간(1)의 전방 내벽부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4회전축(44)에는 토션스프링(441)을 포함한다. 상기 토션스프링(441)은 일단이 전방 지지브래킷(211)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2링크(21)에 지지되어 제2링크(21)가 제4회전축(44)을 중심으로 격납 공간(1)의 전방 상부를 향하며 탄성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 구성된다.
제3링크(22)는, 일단이 상기 제2링크(21)의 타단과 제5회전축(45)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시트쿠션(2)의 전방 횡단부재(21)와 제6회전축(46)에 의하여 연결 설치된다.
인출부호 '461'은 시트쿠션(2)측 전방 횡단부재(21)에 고정 결합되는 제6회전축(46) 설치를 위한 '장착브래킷'이다.
그리고 상기 제6회전축(46)에도 토션스프링(461)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토션스프링(461)은 일단이 시트쿠션(2)측 전방 횡단부재(21)의 장착브래킷(460)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3링크(22)에 지지되어 제3링크(22)가 제6회전축(46)을 중심으로 시트쿠션(2)의 저면으로부터 전방 하부로 탄성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5회전축(45)에도 토션스프링(451)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5회전축(45) 상에 설치된 토션스프링(451)은 일단이 상기 제2링크(21)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3링크(22)에 지지되어 제2링크(21)와 제3링크(22)가 제5회전축(45)을 중심으로 서로 근접하도록 탄성 가압된 상태를 이룬다.
다시 말해, 다이브 동작 시 상기 제4회전축(44)과 제6회전축(46)상에 설치된 토션스프링(441)(461)은 압축 작동하고 상대적으로 제5회전축(45)상에 설치된 토션스프링(451)은 반대로 팽창 작동하게 된다. 한편 팝업 동작 시, 상기 제4회전축(44)과 제6회전축(46)상에 설치된 토션스프링(441)(461)은 팽창 작동하고 상대적으로 제5회전축(45)상에 설치된 토션스프링(451)은 반대로 압축 작동하게 된다.
결국, 다이브 동작 시에는 시트의 자중과 약간의 외력을 시트에 가합으로써 상기 제4회전축(44)과 제6회전축(46)상에 설치된 토션스프링(441)(461)의 탄성을 극복시키게 되며, 반대로 팝업 동작 시에는 상기 제4회전축(44)과 제6회전축(46)상에 설치된 토션스프링(441)(461)의 팽창 작동에 의하여 자연스레 격납 공간(1)으로부터 시트가 솟아오르는 작동을 구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링크(21)와 제3링크(22)의 길이의 합은 상기 전방 레그(11)의 길이보다 적어도 긴 길이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시트의 직립위치 즉, 상기 중간 링크조립체(10)의 전방 레그(11)가 스트라이커(1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방 링크조립체(20)의 제2 및 제3링크(21)(22)는 제5회전축(45)을 중심으로 둔각을 유지하며 탄성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세팅한다. 이는 폴드 동작 개시 즉, 중간 링크조립체(10)의 전방 레그(11)가 스트라이커(111)로부터 분리되는 순간 제2 및 제3링크(21)(22)는 제4회전축(44) 및 제6회전축(46)상에 설치된 토션스프링(441)(461)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5회전축(45)상에 설치된 토션스프링(451)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서로 벌어지며 시트쿠션(2)의 전단부를 약간 상승시키도록 하고 있다. 결국 이 시점에서 전방 레그(11)의 캐치부(110)는 스트라이커(111)로부터 완전히 이격된다. (도 12 참조)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후방 링크조립체(30)는, 격납 공간(1)과 시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시트의 폴드 동작과 연동하여 다이브 동작하는 시트쿠션(2)의 후단부를 격납 공간(1) 내부로 유도하게 된다.
이러한 후방 링크조립체(30) 역시 시트의 횡 방향에 대하여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시트의 횡 방향으로 복수 개로 구성될 경우에는 서로 마주하는 링크들을 연결바(7)로 연결하여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함이 좋다.
이러한 후방 링크조립체(30)는 제4링크(31)와 제5링크(32)를 포함한다.
제4링크(31)는, 플로어와 만나는 격납 공간(1)의 후단부에 설치된 지지브래킷(311)에 일단이 제7회전축(47)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시트쿠션(2)의 후방 횡단부재(22)와 제8회전축(48)에 의하여 연결 설치된다. 또 제4링크(31) 역시 격납 공간(1)의 깊이 즉, 후방 내벽부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갈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4링크(31)는 제7회전축(47)에 의하여 결합된 일단으로부터 이어지며 중간부에서 상부(시트의 직립위치에서 상부)로 굴곡 연장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ㄱ'자형의 측면 형상을 이룬다. 결국 이러한 제4링크(31)는 직립위치를 유지하는 시트쿠션(3)의 후단부를 비스듬하게 떠받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인출부호 '480'은 제8회전축(48)의 설치를 위해 시트쿠션(2)측 후방 횡단부재(22)에 고정 결합되는 '장착브래킷'이다.
그리고 상기 제7회전축(47)에는 토션스프링(471)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7회전축(47) 상에 설치된 토션스프링(471)은 일단이 후방 지지브래킷(311)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4링크(31)에 지지되어 제7회전축(47)을 중심으로 제4링크(31)가 격납 공간(1)의 후방 상부를 향하며 탄성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 구성된다.
제5링크(32)는, 일단이 상기 제4링크(31)의 중간부와 제9회전축(49)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시트백(3)의 하부 횡단부재(32)와 제10회전축(50)에 의하여 연결 설치된다. 이러한 제5링크(32) 역시 상기 제4링크(31)와 마찬가지 'ㄱ'자형의 측면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인출부호 '500'은 제10회전축(50)의 설치를 위해 시트백(3)측 하부 횡단부재(32)에 고정 결합되는 '장착브래킷'이다.
이러한 후방 링크조립체(30)는 제4링크(31)의 한쪽 단은 시트쿠션(2)과 연결되고, 제5링크(32)의 한쪽 단은 시트백(3)과 연결되어 각각 연동하도록 설치 구성되어 있어, 직립위치를 유지하는 시트(리클라이닝 장치 잠금 상태)에서는 제4링크(31)와 제5링크(32)는 위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전방 레그(11)와 함께 시트의 위치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시트의 폴드 동작과 동시에 상기 제7회전축(47)상에 설치된 토션스프링(471)을 압축시키며 서서히 다이브 동작하는 시트쿠션(2)의 후단부를 격납 공간(1)으로 안내하게 된다. 반대로 시트의 언폴드 동작과 동시에 상기 제7회전축(47)상에 설치된 토션스프링(471)의 팽창 작동에 의하여 시트를 격납 공간(1) 상부로 솟아오르는 형태의 팝업 동작을 구현하게 된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폴드 앤 다이브 시트에는 격납 공간(1)에 대하여 폴드 앤 다이브 동작 완료된 시트의 격납 상태를 유지하는 다이브 잠금수단(60)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이브 잠금수단(60)은, 상기 제2링크(21)의 중간부에 돌출 형성된 걸림로드(210)와; 상기 걸림로드(210)와 대향하게 격납 공간(1)의 전방 내벽에 설치 구성되어 시트의 다이브 동작 완료와 동시에 상기 걸림로드(210)가 걸림 지지되는 잠금로커부(61)로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로커부(61)는, 격납 공간(1)의 전방 벽면부에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610)과; 이 브래킷(610)에 중앙부가 탄성 힌지(612)결합되며, 외주연부에 상기 걸림로드(210)가 밀착되는 가압턱(613)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턱(613)을 마주하여 걸림훅(614)이 형성되는 잠금편(611)과; 상기 브래킷(610)에 상기 잠금편(611)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힌지(617)결합되어 상기 걸림로드(210)가 잠금편(611)의 걸림훅(614)에 걸림 지지됨과 동시에 잠금편(611)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지지홈(615)에 안착되어 잠금편(611)의 회동을 차단하는 스토퍼(616)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616)는 릴리즈 핸들(6)과 작동케이블(C)로 연결된다.
즉, 시트의 다이브 동작 시 전방 링크조립체(20)의 제2링크(21)는 제4회전축(44)을 중심으로 격납 공간(1) 내부로 하강하며, 다이브 동작 완료 시점에서는 격납 공간(1)의 전방 벽면부와 나란히 위치하게 된다. 이때, 다이브 동작 완료 직전 제2링크(21)에 형성된 걸림로드(210)는 잠금편(611)의 가압턱(613)을 가압하며 잠금편(611)을 회동시킴으로써 걸림훅(614)에 걸림 지지된 상태를 취하게 된다. 이와 동시 스토퍼(616)는 잠금편(611)의 지지홈(615)에 안착되어 잠금편(611)의 회동을 차단시키게 된다. 결국 제2링크(21)는 잠금편(611)의 걸림훅(614)에 구속되어 위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다이브 동작 완료된 시트의 격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시트백(3)의 배면에 설치된 릴리즈 핸들(6)을 가동하여 스토퍼(616)를 반대 회전시켜 잠금편(611)의 지지홈(615)으로부터 이격시키면 잠금편(611)은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걸림훅(614)에 구속되었던 제2링크(21)의 걸림로드(210)를 이격시켜 팝업 동작을 구현하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상 착석위치인 직립위치를 유지하는 폴드(fold) 동작 전>
도 6을 참조하면 시트는 폴딩 회전축(A)을 중심으로 시트쿠션(2)과 시트백(3)이 일정각도를 유지한다. 이때 리클라이닝 장치(4)는 잠금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시트는 다이브 링크조립체(10,20,30)에 의하여 격납 공간(1)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고정 지지된 직립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정확하게는 시트쿠션(2)의 전단부는 전방 레그(11)에 의하여 고정 지지되며, 시트쿠션(2)의 후단부는 직립위치된 시트(리클라이닝 장치 잠금 상태)에 의하여 제4 및 제5링크(31)(32)는 서로 간의 회동을 구속하여 고정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폴드(fold)앤 다이브(dive) 작동>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동작 상태를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폴드 앤 다이브 작동은 시트백(3)의 배면에 설치된 릴리즈 핸들(6)을 가동함으로써 구현된다.
즉, 릴리즈 핸들(6)의 가동에 의하여 리클라이닝 장치(4)는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릴리즈 핸들(6)의 가동에 의하여 스트라이커(111)에 결합된 전방 레그(11)의 캐치부(11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킨다.
이러한 전방 레그(11)의 캐치부(11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순간, 무게중심이 집중된 시트의 후단부에 비하여 비교적 가벼운 시트쿠션(2)의 전단부는 제5회전축(45)을 중심으로 둔각을 유지하는 제2링크(21)와 제3링크(21)(22)가 제4회전축(44) 및 제6회전축(46)상에 설치된 토션스프링(441)(461)의 상대적으로 큰 탄성력에 의하여 제5회전축(45)상에 설치된 토션스프링(451)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서로 벌어지며 시트쿠션(2)의 전단부를 약간 상승시키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전방 레그(11)는 스트라이커(111)로부터 완전히 이격된다.
동시적으로, 폴딩 회전축(A)을 중심으로 폴드 동작하는 시트백(3)의 연장브래킷(133)과 제3회전축(43)으로 연결된 제1링크(12)는 시트의 후방으로 당겨지며 결국 제1회전축(41)을 중심으로 전방 레그(11)를 시트쿠션(2)의 저면으로 절첩시키게 된다.
동시적으로, 무게 중심이 집중되는 시트의 후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후방 링크조립체(30)에 의하여 시트쿠션(2)의 후단부가 격납 공간(1) 내부로 주저 않는 구동 특성을 보이게 된다. 물론 이때 후방 링크조립체(30)의 제7회전축(47)상에 설치된 토션스프링(471)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서서히 다이브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다이브 동작 중 시트의 폴드 동작이 완료되며, 시트는 절접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리클라이닝 장치(4)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절첩위치를 유지하는 시트는 계속해서 다이브 동작을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다이브 동작 중 시트의 무게하중과 전방 링크조립체(20)와 후방 링크조립체(30)에 설치된 토션스프링(441)(451)(461)(471)의 탄성력이 균형을 이루게 되는 시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시트백(3)의 배면을 살짝 가압하여, 전방 링크조립체(20)와 후방 링크조립체(30)에 설치된 토션스프링(441)(451)(461)(471)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격납 공간(1) 내부로 시트를 완전히 다이브 동작 완료하게 된다.
<격납 및 절첩위치를 유지하는 폴드(fold) 앤 다이브 동작 완료>
이상과 같이 격납 공간(1) 내부에 시트가 완전히 다이브 동작되는 시점에서 제2링크(21)는 제4회전축(44)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격납 공간(1)의 전방 벽면부와 나란하게 위치하게 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이러한 다이브 동작 완료 직전 제2링크(21)에 형성된 걸림로드(210)는 격납 공간(1)의 전방 내벽부에 설치된 잠금로커부(61)에 구속되어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세하게 잠금편(611)의 가압턱(613)을 가압하며 잠금편(611)을 회동시킴으로써 걸림훅(614)에 걸림 지지된 상태를 취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스토퍼(616)가 잠금편(611)의 회동을 차단하게 됨으로써, 제2링크(21)는 잠금편(611)의 걸림훅(614)에 구속되어 위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결국 다이브 링크조립체(10,20,30) 및 시트의 격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언폴드(unfold) 앤 팝업(pop-up) 작동>
이렇게 격납 공간(1)에 완전히 격납된 시트의 언폴드(unfold)앤 팝업(pop-up) 작동 역시 시트백(3)의 배면에 설치된 릴리즈 핸들(6)을 가동함으로써 구현된다.
시트백(3)의 배면에 설치된 릴리즈 핸들(6)을 가동하여 잠금로커부(61)로부터 제2링크(21)의 걸림로드(21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상세하게 릴리즈 핸들(6)의 가동으로 스토퍼(616)를 반대 회전시켜 잠금편(611)의 지지홈(615)으로부터 이격시키면, 잠금편(611)은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걸림훅(614)에 구속되었던 제2링크(21)의 걸림로드(210)를 이격시키게 된다.
결국, 릴리즈 핸들(6)을 가동하여 다이브 잠금수단(60)의 잠금을 해제하는 순간 다이브 링크조립체(10,20,30)는 전방 링크조립체(20)과 후방 링크조립체(30)에 설치된 토션스프링(441)(451)(461)(471)의 탄성력에 의하여 격납 공간(1)의 수직 상부로 솟아오르는 팝업 동작을 구현하게 된다.
이후, 전술한 다이브 동작의 역순으로 팝업 동작을 구현하게 되며, 팝업 동작 완료 시점 정상 착석이 가능한 직립위치의 언폴드 동작 완료(리클라이닝 장치 잠금 상태)됨과 동시에 전방 레그(11)의 캐치부(110)는 스트라이커(111)에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격납 공간 (2) : 시트쿠션
(20) : 시트쿠션 프레임 (21) : 전방 횡단부재
(22) : 후방 횡단부재 (23) : 측면부재
(3) : 시트백 (30) : 시트백 프레임
(31) : 상부 횡단부재 (32) : 하부 횡단부재
(33) : 측면부재 (4) : 리클라이닝 장치
(6) : 릴리즈 핸들 (10) : 중간 링크조립체
(11) : 전방 레그 (12) : 제1링크
(20) : 전방 링크조립체 (21) : 제2링크
(22) : 제3링크 (30) : 후방 링크조립체
(31) : 제4링크 (32) : 제5링크
(41) : 제1회전축 (42) : 제2회전축
(43) : 제3회전축 (44) : 제4회전축
(45) : 제5회전축 (46) : 제6회전축
(47) : 제7회전축 (48) : 제8회전축
(49) : 제9회전축 (50) : 제10회전축
(60) : 다이브 잠금수단 (121) : 걸림로드
(110) : 캐치부 (111) :스트라이커
(133) : 연장브래킷

Claims (11)

  1. 리클라이닝 장치의 폴딩 회전축(A)을 중심으로 시트쿠션(2)과 시트백(3)이 일정각도를 유지하는 직립위치와 시트쿠션(2)의 상면으로 시트백(3)이 눕혀진 절접위치 사이를 폴드(fold) 동작하는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의 수직하방에 형성된 격납 공간(1); 및
    상기 격납 공간과 시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격납 공간으로부터 정상 착석 위치인 직립위치의 시트를 고정 지지하고, 시트의 폴드 동작과 동시에 직립위치의 시트 고정력을 해제시켜 격납 공간 내부로 수직 다이브 동작시키는 다이브 링크조립체(10,20,30)를 포함하는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브 링크조립체(10,20,30)는,
    상기 격납 공간의 전단부와 시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직립위치의 시트를 고정 지지하고, 릴리즈 핸들의 가동에 의하여 직립위치의 시트에 대한 고정 지지력이 해제되는 중간 링크조립체(10);
    상기 격납 공간의 전단부와 시트쿠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시트의 폴드 동작과 연동하여 다이브 동작하는 시트쿠션의 전단부를 격납 공간 내부로 유도하는 전방 링크조립체(20); 및
    상기 격납 공간의 후단부와 시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시트의 폴드 동작과 연동하여 다이브 동작하는 시트쿠션의 후단부를 격납 공간 내부로 유도하는 후방 링크조립체(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링크조립체(10)는,
    일단이 상기 시트쿠션(2)의 전방 횡단부재(21)와 제1회전축(41)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플로어와 만나는 격납 공간의 전단부에 형성된 스트라이커(111)에 탈착 결합되는 전방 레그(11)와;
    일단이 상기 전방 레그(11)의 중간부와 제2회전축(42)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시트백(3)의 하단부와 제3회전축(43)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는 제1링크(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링크조립체(10)에는, 일단이 시트백(3)의 측면부재(33)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폴딩 회전축(A)을 지나치게 연장 형성된 타단에 상기 제3회전축(43)이 연결 설치되는 연장브래킷(133)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링크조립체(20)는,
    플로어와 만나는 격납 공간의 전방 상부에 설치된 지지브래킷(211)에 일단이 제4회전축(44)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어 격납 공간의 깊이와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제2링크(21)와;
    일단이 상기 제2링크(21)의 타단과 제5회전축(45)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시트쿠션(2)의 전방 횡단부재(21)와 제6회전축(46)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는 제3링크(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21)는 토션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제4회전축(44)을 중심으로 격납 공간의 전방 상부로 탄성 가압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제3링크(22)는 토션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제6회전축(46)을 중심으로 시트쿠션(2)의 저면으로부터 전방 하부로 탄성 가압된 상태를 이루고,
    상기 제2링크(21)와 제3링크(22)는 토션스프링에 의하여 제5회전축(45)을 중심으로 서로 근접하도록 탄성 가압된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21)와 제3링크(22)의 길이 합은 상기 전방 레그(1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링크조립체(30)는,
    플로어와 만나는 격납 공간의 후단부에 설치된 지지브래킷(311)에 일단이 제7회전축(47)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시트쿠션(2)의 후방 횡단부재(22)와 제8회전축(48)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4링크(31)와;
    일단이 상기 제4링크(31)의 중간부와 제9회전축(49)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시트백(3)의 하부 횡단부재(32)와 제10회전축(50)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는 제5링크(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링크(31)는 토션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제7회전축(47)을 중심으로 격납 공간의 상부로 탄성 가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10. 제5항에 있어서,
    격납 공간에 다이브 동작 완료된 시트의 격납 상태를 유지하는 다이브 잠금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브 잠금수단(60)은,
    제2링크(21)의 중간부에 돌출 형성된 걸림로드(210)와;
    상기 걸림로드(210)와 대향하게 격납 공간(1)의 전방 벽면부에 설치 구성되어, 시트의 다이브 동작 완료와 동시에 걸림로드(210)가 걸림 지지되며, 릴리즈 핸들의 가동에 의하여 걸림로드(210)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잠금로커부(6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KR1020110080266A 2011-08-11 2011-08-11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KR101299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266A KR101299408B1 (ko) 2011-08-11 2011-08-11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266A KR101299408B1 (ko) 2011-08-11 2011-08-11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687A true KR20130017687A (ko) 2013-02-20
KR101299408B1 KR101299408B1 (ko) 2013-08-23

Family

ID=47896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266A KR101299408B1 (ko) 2011-08-11 2011-08-11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40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815B1 (ko) * 2011-12-07 2013-09-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
CN104002706A (zh) * 2013-02-27 2014-08-27 起亚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座椅的存储装置
KR101469438B1 (ko) * 2013-07-09 2014-12-05 대원강업주식회사 시트쿠션 연동식 리클라이닝 시트
KR101601509B1 (ko) * 2014-10-21 2016-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 폴딩 장치
CN108688530A (zh) * 2017-04-11 2018-10-23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四连杆式快速前翻汽车座椅骨架
KR101963148B1 (ko) * 2018-03-19 2019-07-31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용 싱킹시트의 로킹장치
CN111301231A (zh) * 2018-12-11 2020-06-1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折叠及潜降座椅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1410A (ja) * 1998-05-13 1999-11-24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シート格納装置
FR2829441B1 (fr) * 2001-09-13 2004-01-02 Renault Siege pour vehicule automobile
KR100679496B1 (ko) * 2005-09-27 2007-02-06 다이모스(주) 차량의 시트 메커니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815B1 (ko) * 2011-12-07 2013-09-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
CN104002706A (zh) * 2013-02-27 2014-08-27 起亚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座椅的存储装置
KR101534908B1 (ko) * 2013-02-27 2015-07-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격납 장치
US9085251B2 (en) 2013-02-27 2015-07-21 Kia Motors Corporation Storage apparatus for seat of vehicle
KR101469438B1 (ko) * 2013-07-09 2014-12-05 대원강업주식회사 시트쿠션 연동식 리클라이닝 시트
KR101601509B1 (ko) * 2014-10-21 2016-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 폴딩 장치
CN108688530A (zh) * 2017-04-11 2018-10-23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四连杆式快速前翻汽车座椅骨架
KR101963148B1 (ko) * 2018-03-19 2019-07-31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용 싱킹시트의 로킹장치
CN111301231A (zh) * 2018-12-11 2020-06-1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折叠及潜降座椅
CN111301231B (zh) * 2018-12-11 2022-07-2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折叠及潜降座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9408B1 (ko) 201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9408B1 (ko)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KR101845782B1 (ko) 보조시트 수납구조
KR101054755B1 (ko) 시트백 연동형 전후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장치
KR101081213B1 (ko)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CN101821127B (zh) 车用收起座椅
KR101209993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
CN103917406B (zh) 机动车辆的可收装式座椅装置
US8052194B2 (en) Stowable vehicle seat
KR101337935B1 (ko) 차량용 시트 장치
KR101305815B1 (ko)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
JP6315985B2 (ja) 乗物用シート
KR20100062228A (ko)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장치
KR101210155B1 (ko)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
CN106068205B (zh) 车用座椅
CN100460240C (zh) 车辆座椅结构
CN103561611A (zh) 场馆式且可收起的座椅
JP2009018779A (ja) 自動車
KR101315695B1 (ko) 전방형 싱킹 시트
KR101425353B1 (ko) 차량용 다이브 시트
JP6211788B2 (ja) 車両用シート
JP7068591B2 (ja) 乗物用シート
JP6244847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20200406795A1 (en) Auxiliary seat storage apparatus of seat
WO2014104363A1 (ja) 車両用シート
JP2015123948A (ja) 乗物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