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5011A - 하이브리드 로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로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5011A
KR20130015011A KR1020127030866A KR20127030866A KR20130015011A KR 20130015011 A KR20130015011 A KR 20130015011A KR 1020127030866 A KR1020127030866 A KR 1020127030866A KR 20127030866 A KR20127030866 A KR 20127030866A KR 20130015011 A KR20130015011 A KR 20130015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fiber
high strength
strength synthetic
rope
hyb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0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7321B1 (ko
Inventor
?지 하치스카
요이치 슈토
입페이 후루카와
재덕 임
종은 김
Original Assignee
고려제강 주식회사
도쿄 세이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99134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3001501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고려제강 주식회사, 도쿄 세이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려제강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15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2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07B1/0673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having a rope configuration
    • D07B1/068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having a rope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core desig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05Composite ropes, i.e. 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and metal wir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2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 D07B1/04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with a core of fibres or filaments arranged parallel to the centre lin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2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 D07B1/025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comprising high modulus, or high tenacity, polymer filaments or fibres, e.g. liquid-crystal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36Stran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fferent wires or filaments
    • D07B2201/2037Stran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fferent wires or filaments regarding the dimension of the wire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47Cores
    • D07B2201/2052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D07B2201/2055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comprising filaments or fiber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47Cores
    • D07B2201/2052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D07B2201/2065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comprising a coat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47Cores
    • D07B2201/2066Cor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47Cores
    • D07B2201/2067Cores characterised by the elongation or tension behaviour
    • D07B2201/2068Cores characterised by the elongation or tension behaviour having a load bearing functi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5/00Rope or cable materials
    • D07B2205/20Organic high polymers
    • D07B2205/2046Polyamides, e.g. nylons
    • D07B2205/205Aramid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401/0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 D07B2401/2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401/2005Elongation or elasticity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15Construction industri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61Ship moorings

Landscapes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하이브리드 로프의 고강도화 및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이브리드 로프(1)는, 복수개의 고강도 합성 섬유 필라멘트(31)로 이루어지는 고강도 합성 섬유속(30)을 복수개 편조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가 그 중심에 배치되어 있다. 고강도 합성 섬유속(30)의 편조 피치를 L,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직경을 d라고 했을 때에 L/d의 값이 6.7 이상이 되도록 편조 피치(L) 및 직경(d)이 조정되어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로프 및 그 제조 방법{Hybrid rop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크레인용 동삭(動索), 선박용 계류삭(繫留索), 그 밖의 용도로 이용되는 하이브리드 로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삭 및 계류삭으로서 와이어 로프가 이용되고 있다. 도 7은 동삭 및 계류삭으로서 이용되고 있는 종래의 대표적인 스틸제 와이어 로프를 나타내고 있다. 스틸제 와이어 로프(50)는 그 중심에 IWRC(Independent Wire Rope Core)(51)가 배치되고, IWRC(51)의 외측 주위에, 6개의 스틸제 측부 스트랜드(52)를 꼬아 형성되어 있다. IWRC(51)는 7개의 스틸제 스트랜드(53)를 꼬아 형성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4,887,422호 공보에는, IWRC(51) 대신에 섬유 로프를 중심에 배치하고, 그 주위에 복수개의 스틸제 스트랜드를 꼰 하이브리드 로프가 기재되어 있다. 섬유 로프는 IWRC보다도 가볍고, 따라서 하이브리드 로프는 스틸제 와이어 로프보다도 가볍다.
일반적으로 섬유 로프는, 섬유 로프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단섬유, 素線)의 인장 강도에 대한 섬유 로프의 인장 강도의 비율(강도 이용 효율)이 낮다. 즉, 다수개의 섬유 필라멘트를 꼬아 형성되는 섬유 로프는 그 인장 강도가 1개의 섬유 필라멘트의 인장 강도보다도 작아진다. 이 때문에, IWRC 대신에 섬유 로프를 이용하면, IWRC를 갖는 동일 직경의 스틸제 와이어 로프의 인장 강도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은, IWRC를 갖는 스틸제 와이어 로프와 동등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갖는 하이브리드 로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섬유 로프에 손상이 발생하기 어려운 하이브리드 로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로프는, 고강도 합성 섬유심 및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심의 외측 주위에 꼬인, 복수개의 스틸 와이어를 꼬아 이루어진 복수개의 측부 스트랜드를 구비하고,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심이 복수개의 고강도 합성 섬유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고강도 합성 섬유속을 복수개 편조(編組)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속의 편조 피치를 L,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직경을 d라고 했을 때에 L/d의 값이 6.7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는 복수개의 고강도 합성 섬유속을 편조한 것이다. 고강도 합성 섬유속은 다수개의 아라미드 섬유,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아릴레이트 섬유, PBO 섬유, 탄소 섬유 등의 고강도 합성 섬유의 필라멘트를 묶은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는 인장 강도가 20g/d(259kg/㎟) 이상인 합성 섬유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작성된 것을 가리킨다.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는 복수개의 고강도 합성 섬유속을 편조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이브리드 로프에 장력이 가해지면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는 내측(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약간 수축한다. 균일한 힘으로 수축하므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형상, 즉 단면(斷面)으로 보아 원형의 형상을 유지하는 효과가 얻어지고 형상 유지 효과가 높다.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외측 주위에 복수개의 측부 스트랜드가 꼬여 있다. 측부 스트랜드 각각은 복수개의 스틸 와이어를 꼰 것이다. 복수개의 측부 스트랜드는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외측 주위에 보통 꼬임으로 꼬아도 되고 랭 꼬임으로 꼬아도 된다. 고강도 합성 섬유속을 구성하는 고강도 합성 섬유 필라멘트의 개수 및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를 구성하는 고강도 합성 섬유속의 다발수는 하이브리드 로프에 요구되는 직경 등에 따라 정해진다.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는 동일 직경의 스틸제 와이어 로프심(IWRC)보다도 경량이고 탄성 계수가 작으며 피로 강도가 있다. 즉,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는 경량이고 구부리기 쉬우며 반복의 인장 및 구부림에 대해 피로하기 어렵다. 이러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로프는 경량이고 유연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
일반적으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를 포함하는 섬유 로프의 인장 강도는, 섬유 로프를 구성하는 섬유속의 꼬임 각도(로프 축에 대한 경사각)에 따라 변동한다. 섬유속의 꼬임 각도가 작을수록 섬유 로프의 인장 강도는 커지고, 섬유속의 꼬임 각도가 클수록 섬유 로프의 인장 강도는 작아진다. 섬유속의 꼬임 각도는 섬유속의 꼬임 피치 내지 편조 피치에 비례하고 섬유 로프의 직경에 반비례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로프는, 그 중심에 위치하는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를 구성하는 고강도 합성 섬유속의 편조 피치를 L,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직경을 d라고 했을 때에 L/d가 6.7 이상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직경(d)은 최종 제품으로서의 하이브리드 로프의 직경 등에 따라 정해지므로, 상기 L/d는 일반적으로 고강도 합성 섬유속의 편조 피치(L)에 의해 조정된다.
고강도 합성 섬유속의 편조 피치(L)를 길게 하면, 즉 L/d를 크게 하면, 고강도 합성 섬유속의 꼬임 각도가 작아지므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인장 강도는 커진다. 즉, 복수개의 고강도 합성 섬유속을 긴 편조 피치(L)로 편조함으로써 인장 강도가 큰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를 얻을 수 있고, 그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로프의 인장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L/d가 6.7 이상의 값을 갖도록 복수개의 고강도 합성 섬유속을 편조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는, 복수개의 스틸 와이어를 꼰 동일 직경의 스틸제 와이어 로프(IWRC)와 동등 이상의 인장 강도를 발휘하는 것이 인장 시험에 의해 확인되었다. L/d가 6.7 이상의 값을 갖도록 복수개의 고강도 합성 섬유속을 편조하여 형성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를 갖는 본원발명의 하이브리드 로프는, 동일 직경의 종래의 스틸제 와이어 로프(도 7 참조)와 동등 이상의 인장 강도를 발휘하고, 게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경량이고 유연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
L/d를 6.7 이상으로 하면, 고강도 합성 섬유 필라멘트의 인장 강도에 대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인장 강도의 비율(강도 이용 효율)이 50% 이상이 되는 것도 인장 시험에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강도 이용 효율을 높이고, 그 결과로서 하이브리드 로프의 인장 강도를 높이는 것이기도 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L/d를 크게 하면(고강도 합성 섬유속의 편조 피치(L)를 길게 하면),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인장 강도는 커지지만, 반면,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신장(파단에 이르기까지의 신장의 길이)은 짧아진다. 하이브리드 로프의 외주에 배치되는 스틸제의 측부 스트랜드의 신장보다도 하이브리드 로프의 내부의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신장이 작으면, 하이브리드 로프의 사용 중 하이브리드 로프의 내부에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만이 파단될지도 모른다. 이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는 그 신장(신장률)이 측부 스트랜드의 신장과 동등 또는 그것을 넘은 것이 된다.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신장도 상술한 L/d에 의존한다. L/d가 작은(즉, 짧은 편조 피치(L)를 갖는)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는 구조적으로 길이방향의 신장이 길다. L/d가 크면(즉, 편조 피치(L)가 길면),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구조적인 신장은 짧아진다.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신장도 고강도 합성 섬유속의 편조 피치(L)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L/d의 값이 13 이하로 제한된다. L/d를 13 이하로 하면,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신장이 4% 이상이 되는 것이 인장 시험에 의해 확인되었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로프에 이용되는 스틸제의 측부 스트랜드의 신장은 3%~4%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L/d를 13으로 하면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신장이 4%가 되어 측부 스트랜드의 신장과 대략 일치한다. L/d를 13보다도 작게 하면,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신장은 측부 스트랜드의 신장을 넘는다. 하이브리드 로프의 사용 중에 하이브리드 로프의 내부에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만이 파단되어 버릴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무엇보다도 L/d를 더 작은 값, 예를 들면 10 이하로 제한하여 하이브리드 로프의 사용 중에 하이브리드 로프의 내부에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만이 파단될 가능성을 더욱 낮추도록 해도 된다.
일 실시태양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심이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외측 주위를 덮는 편조 슬리브를 덮는, 복수개의 섬유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섬유속을 복수개 편조한 편조 슬리브를 포함한다. 편조 슬리브를 구성하는 섬유속은, 다수개의 합성 섬유(고강도 합성 섬유이어도 되고 일반적인 합성 섬유이어도 됨) 또는 천연 섬유의 필라멘트를 묶은 것이다. 편조 슬리브는,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외측 주위에, 단면으로 본 경우에 원주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하이브리드 로프에 장력이 가해지면, 편조 슬리브는 내측(직경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수축하고,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외측 주위를 균일한 힘으로 조인다.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형상, 즉 단면으로 보아 원형의 형상을 편조 슬리브에 의해서도 유지할 수 있고,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국소적 변형(형상의 붕괴)으로부터 생기는 인장 강도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또한, 편조 슬리브에 의해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에 외상이 가해지는 것도 막을 수 있고,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손상도 방지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는,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심이, 상기 편조 슬리브의 외측 주위를 덮는 수지층을 포함한다. 가소성을 갖는 합성 수지 등을 포위함으로써 편조 슬리브의 외측 주위가 수지층에 의해 피복된다. 수지층에 의해 충격력 등이 흡수 내지 완화되므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손상, 변형 등이 한층 더 억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지층은 0.2mm 이상의 층두께를 갖는다. 수지층이 너무 얇으면, 수지층에 깨짐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0.2mm 이상의 층두께로 함으로써, 하이브리드 로프의 중심에 위치하는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충분히 흡수 내지 완충된다.
최종 제품으로서의 하이브리드 로프의 직경이 정해져 있을 때에, 수지층을 너무 두껍게 하면 상대적으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직경을 작게 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지층은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 편조 슬리브 및 수지층의 3층으로 이루어지는 고강도 합성 섬유심의 단면적의 30% 미만의 단면적 비가 된다. 즉, 상기 수지층의 단면적을 D1,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심의 단면적을 D2라고 할 때, D1/D2의 값이 0.3 미만이 된다. 최종 제품의 하이브리드 로프에 있어서, 고강도 합성 섬유심을 차지하는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비율이 높아져 하이브리드 로프에 소정의 인장 강도를 발휘시킬 수 있다.
하이브리드 로프의 중심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 로프의 외측 주위의 복수의 측부 스트랜드 각각에도, 그들의 중심에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를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일 실시태양에서는 복수의 측부 스트랜드 각각의 중심에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가 배치되어 있다. 한층 더 하이브리드 로프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내피로성도 향상된다. 물론 측부 스트랜드의 중심에 배치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외측 주위도 수지층에 의해 피복해도 된다. 또, 측부 스트랜드의 중심에 배치된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외측 주위와 상기 수지층의 사이에 상술한 편조 슬리브를 형성해도 된다.
복수개의 측부 스트랜드 각각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지층을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 편조 슬리브 및 수지층의 3층의 단면적의 30% 미만의 단면적 비로 하면 좋다. 즉, 복수개의 측부 스트랜드 각각에서, 상기 수지층의 단면적을 D3,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단면적을 D4, 상기 편조 슬리브의 단면적을 D5라고 할 때, D3/(D3+D4+D5)의 값이 0.3 미만이 된다.
상기 측부 스트랜드는 일 실시태양에서는 시일(Seale)형으로 작성된다. 워링턴(Warrington)형에 비해 시일형은 내주 부분이 단면으로 보아 원형에 가깝다. 측부 스트랜드의 중심에 위치하는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유지할 수 있어, 변형(형상의 붕괴)으로부터 생기는 인장 강도의 저하가 방지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하이브리드 로프의 제조 방법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복수개의 고강도 합성 섬유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고강도 합성 섬유속을 복수개 편조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외측 주위에, 복수개의 스틸 와이어를 꼬아 이루어진 측부 스트랜드가 복수개 꼬여 있는 하이브리드 로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인장 강도가 동일 직경의 스틸제 와이어 로프의 인장 강도 이상이 되고, 또한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신장이 상기 측부 스트랜드의 신장 이상이 되도록,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속의 편조 피치(L)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하이브리드 로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하이브리드 로프의 정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제1 실시예의 하이브리드 로프를 구성하는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인장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제1 실시예의 하이브리드 로프를 구성하는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의 다른 인장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제2 실시예의 하이브리드 로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예의 하이브리드 로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 구조의 와이어 로프의 단면도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하이브리드 로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로프의 평면도로서, 하이브리드 로프의 중심에 위치하는 심(코어)을 구성하는 섬유 로프, 편조 슬리브 및 수지층 각각의 일부를 노출시켜 나타낸다. 도시의 편의상 도 1과 도 2의 축척을 다르게 한다.
하이브리드 로프(1)는, 아라미드계의 고강도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슈퍼 섬유심(Super Fiber Core)이라고 불리는 고강도 합성 섬유심(2)(이하, SFC(2)라고 함)의 주위에 6개의 스틸제의 측부 스트랜드(6)를 꼬아 형성되어 있다. 하이브리드 로프(1)의 단면에서 SFC(2)가 중심에 배치되어 있다. 단면으로 보아 하이브리드 로프(1) 및 SFC(2)는 모두 대략 원형의 형상을 가진다.
SFC(2)는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가 중심에 배치되고, 그 외측 주위가 편조 슬리브(4)에 의해 둘러싸이며, 이 편조 슬리브(4)의 외측 주위가 다시 수지층(5)에 의해 덮여 있다.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는 다수개의 아라미드계의 고강도 섬유의 필라멘트(31)를 묶고, 이를 2다발씩 세트로 한 것(이하, 이를 고강도 합성 섬유속(30)이라고 함)을 복수 준비하고, 이 복수의 고강도 합성 섬유속(30)을 편조한 것이다. 고강도 합성 섬유속(30)의 편조 피치(편조된 고강도 합성 섬유속(30)이 한 바퀴 돌 때에 진행되는 길이)를 L,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직경을 d라고 했을 때, L/d의 값은 6.7≤L/d≤13의 범위 내의 값이 된다. 도 2에는 대략 L/d=7.0의 것이 나타나 있다. L/d를 이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기술적 의의의 상세는 후술한다.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는, 동일 직경의 스틸제 와이어 로프심(IWRC)(도 7 참조)보다도 경량이고 탄성 계수가 작으며 피로 강도가 있다. 이러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로프(1)도 경량이고 유연성 및 내구성이 좋다. 또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는 복수의 고강도 합성 섬유속(30)을 편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므로, 길이방향으로 구조적인 신장을 발생시키고, 또한 장력이 가해지면 내측(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균일한 힘으로 수축한다. 이 때문에, 하이브리드 로프(1)의 사용 중에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형상, 즉 단면으로 보아 원형의 형상이 유지되기 쉽다.
편조 슬리브(4)는,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외측 주위에 복수개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속(40)을 편조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섬유속(40)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필라멘트(41)를 수개 묶은 것이다. 단면으로 보면, 편조 슬리브(4)는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외주를 따라 대략 원주 상에 위치한다. 편조 슬리브(4)는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에의 외상을 막고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손상, 파단 등을 방지한다.
편조 슬리브(4)에 의해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외측 주위가 그 전체길이에 걸쳐 둘러싸여 있다. 편조 슬리브(4)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속(40)을 편조한 것이기 때문에, 장력이 가해지면 편조 슬리브(4)는 내측(직경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수축하고,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를 그 외측 주위로부터 균일한 힘으로 조인다. 이 때문에, 하이브리드 로프(1)의 사용 중 편조 슬리브(4)에 의해서도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형상이 유지되기 쉽다.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가 국소적으로 변형되고, 그 변형 개소에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가 파단하기 쉬워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편조 슬리브(4)의 외측 주위에는 그 전체길이에 걸쳐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피복되어 수지층(5)이 형성되어 있다. 수지층(5)은 가소성을 갖고 있으며,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에의 외상을 막고 충격력 등을 흡수 또는 완화하여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손상, 파단, 변형 등을 방지한다. 하이브리드 로프(1)의 사용 중의 수지층(5)의 깨짐을 방지하기 위해, 수지층(5)의 층두께는 0.2mm 이상이 된다. 물론 필요 이상으로 수지층(5)을 두껍게 형성할 필요는 없고, 바람직하게는 SFC(2)의 단면적의 30% 미만의 단면적 비가 된다.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 편조 슬리브(4) 및 수지층(5)의 3층 구조를 가진 SFC(2)의 외측 주위에 6개의 측부 스트랜드(6)가 꼬여 있다. 측부 스트랜드(6) 각각은 41개의 스틸 와이어 소선을 워링턴(Warrington)형으로 꼬아 형성되어 있다(6×WS(41)). 측부 스트랜드(6)는 보통 꼬임으로 꼬아도 되고 랭 꼬임으로 꼬아도 된다.
도 3a는 상술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강도 이용 효율에 관한 인장 시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인장 시험 결과를 종축을 강도 이용 효율(%), 횡축을 L/d로 하는 그래프 상에 나타내는 것이다. 도 3b에는 도 3a에 도시된 인장 시험 결과에 기초하는 복수의 플롯점과, 이 플롯점으로부터 얻어지는 근사 곡선이 나타나 있다.
인장 시험에서는, 직경(d)을 일정(9.8mm)하게 하고 편조 피치(L)를 다르게 한 복수(이 실시예에서는 9개)의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를 작성하고, 그 각각을 소정 길이로 절단한다. 소정 길이로 절단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을 잡아당긴다. 인장 하중을 점차 크게 하고,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가 파단되었을 때의 인장 하중(파단 하중)을 기록한다. 기록된 파단 하중을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데니어 값에 의해 나눗셈한 값을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인장 강도(단위: g/d)로 하고 있다. 1500 데니어, 28g/d의 인장 강도를 갖는 고강도 합성 섬유 필라멘트(31)를 이용하여 인장 시험에서의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는 작성되었다. 고강도 합성 섬유 필라멘트(31)의 인장 강도(28g/d)를 인장 시험에 의해 얻어진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인장 강도에 의해 나눗셈하여 100을 곱셈한 값이 강도 이용 효율(단위: %)이다.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강도 이용 효율은,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가 고강도 합성 섬유 필라멘트(31)의 인장 강도를 어느 정도 이용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도 3a를 참조하여,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인장 강도는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를 구성하는 고강도 합성 섬유 필라멘트(31)의 인장 강도(28g/d)보다도 작아진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L/d가 크면 비교적 큰 강도 이용 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반대로 L/d가 작으면 강도 이용 효율은 작은 것이 되었다. L/d가 작은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직경(d)을 일정하게 하면 편조 피치(L)가 짧은 것을 의미함)는, L/d가 큰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직경(d)을 일정하게 하면 편조 피치(L)가 긴 것을 의미함)에 비해 고강도 합성 섬유속(30)의 꼬임 각도(로프 축에 대한 경사각)가 크고, 꼬임 각도가 크면 인장시에 고강도 합성 섬유 필라멘트(31)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해지는 힘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L/d가 작은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는 그 인장 강도 및 강도 이용 효율이 작아진다고 생각된다. 큰 인장 강도 및 강도 이용 효율을 갖는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를 얻는 데는 L/d를 크게 하면 된다.
L/d가 6.7 이상이 되도록 L/d(편조 피치(L))를 조정하면, 동일 직경의 스틸제 와이어 로프(IWRC)(도 7 참조)의 인장 강도(대략 14.0g/d)와 동등 이상의 인장 강도가 얻어지는 것이 인장 시험에서 확인되었다. 또한, L/d가 6.7 이상일 때,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강도 이용 효율이 50%를 넘는 것도 인장 시험에서 확인되었다.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직경을 다르게 해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도 4a는 다른 인장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신장에 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인장 시험 결과를, 종축을 신장률(%), 횡축을 L/d로 하는 그래프 상에 나타내는 것이다. 도 4b에는 도 4a에 도시된 인장 시험 결과에 기초하는 복수의 플롯점과, 이 플롯점으로부터 얻어지는 근사선이 나타나 있다. 신장에 관한 인장 시험에서도, 직경(d)을 일정(9.8mm)하게 하고 고강도 합성 섬유속(30)의 편조 피치(L)를 다르게 한 복수(이 실시예에서는 5개)의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를 작성하였다. 소정 길이로 절단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을 잡아당겨 인장 하중을 점차 크게 하고,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가 파단되었을 때의 신장을 측정한다. 인장 시험 전의 소정 길이에 대한 파단시의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신장 길이의 비율이 신장(%)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L/d를 크게 하면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인장 강도 및 강도 이용 효율은 커진다. 그러나, 도 4b를 참조하여, L/d를 크게 하면 할수록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신장은 짧아진다. 이는 L/d가 큰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는 고강도 합성 섬유속(30)의 꼬임 각도가 작아 구조적인 신장이 짧아지기 때문이다.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신장이 짧으면, 하이브리드 로프(1)의 사용 중 하이브리드 로프(1)의 내부에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가 측부 스트랜드(6)보다도 먼저 파단될지도 모른다.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신장은, 하이브리드 로프(1)에 이용되는 측부 스트랜드(6)의 신장에 비해 적어도 동등한 것이 필요해진다.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신장은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L/d에 의존한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로프(1)에 이용되는 측부 스트랜드(6)의 신장에 대응하여 그 이상의 신장을 갖도록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L/d는 조정된다. 예를 들면, 하이브리드 로프(1)에 이용되는 측부 스트랜드(6)의 신장이 3%라고 하면,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신장이 3% 이상, 바람직하게는 여유를 갖게 하여 4% 이상이 되도록 L/d는 조정된다. 4% 이상의 신장을 얻는 데는 L/d를 13 이하로 하면 되는 것이 인장 시험에 의해 확인되었다. L/d를 13 이하로 함으로써, 측부 스트랜드(6)의 신장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의 신장이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에 주어지고, 하이브리드 로프(1)의 사용 중에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만이 파단되어 버릴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물론 L/d를 더 작은 값, 예를 들면 10 이하로 제한함으로써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에 큰 신장이 확실히 얻어지도록 해도 된다.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가 측부 스트랜드(6)보다도 먼저 파단될 가능성을 더욱 낮출 수 있다.
도 5는 제2 실시예의 하이브리드 로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의 하이브리드 로프(1A)는, 하이브리드 로프(1A)의 중심뿐만 아니라 6개의 측부 스트랜드(6a)의 중심 각각에도 SFC(2a)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하이브리드 로프(1)와 다르다.
SFC(2)와 마찬가지로, 6개의 측부 스트랜드(6a) 각각의 중심에 위치하는 SFC(2a)도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a), 편조 슬리브(4a) 및 수지층(5a)의 3층 구조를 가진다. 6개의 측부 스트랜드(6a)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하이브리드 로프(1A) 전체의 한층 더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수지층(5a)에 대해서도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형성할 필요는 없고, 바람직하게는 SFC(2a)의 단면적의 30% 미만의 단면적 비가 된다.
도 6은 제3 실시예의 하이브리드 로프(1B)의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의 하이브리드 로프(1A)(도 5)란, 측부 스트랜드(6b)가 워링턴형이 아니라 시일형으로 만들어져 있는 점이 다르다. 시일형을 채용하면, 측부 스트랜드(6b)의 SFC(2a)에의 접촉이 워링턴형에 비해 둥글고 균일하게 되므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a)의 형상을 단면 원형으로 유지하기 쉬워진다.
시일형의 채용에 의해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a)의 형상이 원형으로 유지되기 쉬워지므로, 도 6에 도시된 제3 실시예의 하이브리드 로프(1B)에 있어서, 측부 스트랜드(6b) 중의 SFC(2a)는 편조 슬리브(4a)를 이용하지 않고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a)와 수지층(5a)의 2층 구조로 해도 된다.
상술한 하이브리드 로프(1, 1A, 1B)는 모두 6개의 측부 스트랜드(6, 6a, 6b)를 구비하고 있는데, 측부 스트랜드의 수는 6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7개에서 10개 사이의 개수이어도 된다.

Claims (11)

  1. 고강도 합성 섬유심(2) 및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심(2)의 외측 주위에 꼬인, 복수개의 스틸 와이어를 꼬아 이루어진 복수개의 측부 스트랜드(6, 6a, 6b)를 구비하고,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심(2)은,
    복수개의 고강도 합성 섬유 필라멘트(31)로 이루어지는 고강도 합성 섬유속(30)을 복수개 편조(編組)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를 포함하며,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속(30)의 편조 피치를 L,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직경을 d라고 했을 때에 L/d의 값이 6.7 이상인 하이브리드 로프(1, 1A, 1B).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신장이 상기 측부 스트랜드(6, 6a, 6b)의 신장 이상인 하이브리드 로프(1, 1A, 1B).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L/d의 값이 13 이하인 하이브리드 로프(1, 1A, 1B).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심(2)이,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외측 주위를 덮는, 복수개의 섬유 필라멘트(41)로 이루어지는 섬유속(40)을 복수개 편조한 편조 슬리브(4)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로프(1, 1A, 1B).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심(2)이 상기 편조 슬리브(4)를 덮는 수지층(5)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로프(1, 1A, 1B).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5)의 단면적을 D1,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심(2)의 단면적을 D2라고 할 때, D1/D2의 값이 0.3 미만인 하이브리드 로프(1, 1A, 1B).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측부 스트랜드(6a, 6b) 각각의 중심에, 복수개의 고강도 합성 섬유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고강도 합성 섬유속을 편조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a)가 배치되어 있는 하이브리드 로프(1A, 1B).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측부 스트랜드(6a, 6b) 각각의 중심에 배치된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a)가 수지층(5a)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하이브리드 로프(1A, 1B).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측부 스트랜드(6a, 6b) 각각에서,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a)와 상기 수지층(5a)의 사이에, 복수개의 섬유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섬유속을 복수개 편조한 편조 슬리브(4a)가 설치되어 있는 하이브리드 로프(1A, 1B).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측부 스트랜드(6a, 6b) 각각에서, 상기 수지층(5a)의 단면적을 D3,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a)의 단면적을 D4, 상기 편조 슬리브(4a)의 단면적을 D5라고 할 때, D3/(D3+D4+D5)의 값이 0.3 미만인 하이브리드 로프(1A, 1B).
  11. 복수개의 고강도 합성 섬유 필라멘트(31)로 이루어지는 고강도 합성 섬유속(30)을 복수개 편조한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외측 주위에, 복수개의 스틸 와이어를 꼬아 이루어진 측부 스트랜드(6, 6a, 6b)가 복수개 꼬여 구성되는 하이브리드 로프(1)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인장 강도가 동일 직경의 스틸제 와이어 로프의 인장 강도 이상, 또한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 로프(3)의 신장이 상기 측부 스트랜드(6, 6a, 6b)의 신장 이상이 되도록, 상기 고강도 합성 섬유속(30)의 편조 피치(L)를 조정하는 하이브리드 로프(1, 1A, 1B)의 제조 방법.
KR1020127030866A 2010-05-17 2010-05-17 하이브리드 로프 및 그 제조 방법 KR101437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58685 WO2011145224A1 (ja) 2010-05-17 2010-05-17 ハイブリッドロ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011A true KR20130015011A (ko) 2013-02-12
KR101437321B1 KR101437321B1 (ko) 2014-09-02

Family

ID=44991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0866A KR101437321B1 (ko) 2010-05-17 2010-05-17 하이브리드 로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045856B2 (ko)
EP (1) EP2573257B1 (ko)
JP (1) JP5478718B2 (ko)
KR (1) KR101437321B1 (ko)
CN (1) CN102892946B (ko)
AU (1) AU2010353318B2 (ko)
BR (1) BR112012028039B1 (ko)
ES (1) ES2654791T3 (ko)
MY (1) MY166586A (ko)
SG (1) SG185108A1 (ko)
WO (1) WO20111452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415B1 (ko) * 2023-12-04 2024-04-29 천상동 섬유로프 라운드슬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26Y1 (ko) 2012-07-26 2014-11-12 주식회사평화산업 선박용 계류 로우프
JP6190647B2 (ja) 2012-10-29 2017-08-30 株式会社オルセン 合成繊維ロープ
CN104514162A (zh) * 2013-09-29 2015-04-15 泰安鲁普耐特塑料有限公司 一种加铅夹心绳索及其制作方法
AT14494U1 (de) 2014-04-29 2015-12-15 Teufelberger Seil Ges M B H Hybridseil
USD779440S1 (en) 2014-08-07 2017-02-21 Henkel Ag & Co. Kgaa Overhead transmission conductor cable
DE102015103115A1 (de) * 2015-03-04 2016-09-08 Casar Drahtseilwerk Saar Gmbh Sei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Seils
KR20180048784A (ko) 2015-10-16 2018-05-1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 제조 방법
CN105350363A (zh) * 2015-11-23 2016-02-24 江苏赛福天钢索股份有限公司 一种钢丝绳用绳芯及其制备方法
WO2017138228A1 (ja) 2016-02-10 2017-08-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ロ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70356132A1 (en) * 2016-06-10 2017-12-14 Wirerope Works, Inc. Braided Polyester Fiber Core in Steel Wire Rope
WO2017221318A1 (ja) * 2016-06-21 2017-12-28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ロ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USD852456S1 (en) * 2016-12-19 2019-07-02 Mars, Incorporated Food product
DE102017101646A1 (de) * 2017-01-27 2018-08-02 Fatzer Ag Drahtseilfabrik Längselement, insbesondere für ein Zug- oder Tragmittel
JP7141402B2 (ja) * 2017-08-29 2022-09-22 東京製綱株式会社 ワイヤロープ,シーブおよびドラム
JP6723963B2 (ja) * 2017-09-15 2020-07-15 東京製綱繊維ロープ株式会社 車両固縛システム
WO2019115430A1 (de) * 2017-12-14 2019-06-20 Texlock Gmbh Sicherungsseil zur sicherung von beweglichen gegenständen
EP3597819B1 (de) 2018-07-21 2022-01-26 TROWIS GmbH Textiles zug- und/oder tragmitt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extilen zug- und/oder tragmitteln
DE102018005926A1 (de) * 2018-07-21 2020-01-23 TROWIS GmbH Textiles Zug- und/oder Tragmitt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extilen Zug- und/oder Tragmitteln
KR20230039708A (ko) * 2020-08-27 2023-03-2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벨트, 그 제조 방법, 및 엘리베이터
KR102591744B1 (ko) * 2020-12-25 2023-10-19 주식회사 쿠라레 이중 로프 구조체
CN112761006A (zh) * 2020-12-29 2021-05-07 青岛海丽雅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增强强度和减轻重量的混合绳索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50858A (en) * 1932-11-05 1934-03-13 Columbian Rope Co Rope
US3035476A (en) 1961-02-23 1962-05-22 Samson Cordage Works Braided cord
NL6919060A (ko) * 1966-02-24 1970-07-02
FR2260660B1 (ko) * 1974-02-12 1976-11-26 Michelin & Cie
US4034547A (en) 1975-08-11 1977-07-12 Loos August W Composite cab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S5438963A (en) * 1977-08-29 1979-03-24 Mitsubishi Electric Corp Wire rope
JPS5442445A (en) * 1977-09-07 1979-04-04 Mitsubishi Electric Corp Wire rope
DE2801012A1 (de) 1978-01-11 1979-07-19 Dokoupil Jiri Industriedampfbuegeleisen mit elektrisch beheizter und geregelter sohle
JPS5748291U (ko) * 1980-08-29 1982-03-18
DE3477214D1 (en) * 1983-05-16 1989-04-20 Akzo Gmbh Reinforcement cord made of at least two components
US4640179A (en) * 1984-06-25 1987-02-03 Cameron Robert W Composite metallic core line
JPH0248477Y2 (ko) * 1986-02-07 1990-12-19
JPS6468585A (en) * 1987-09-03 1989-03-14 Toyonen Co Ltd Multilayer rope
US4887422A (en) 1988-09-06 1989-12-19 Amsted Industries Incorporated Rope with fiber core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2765995B2 (ja) * 1989-10-05 1998-06-18 株式会社クラレ ロープ
NL9101006A (nl) 1991-06-11 1993-01-04 Dsm Nv Touwwerk.
FR2707309B1 (fr) * 1993-07-09 1995-08-11 Trefileurope France Sa Câble de levage.
JPH10140490A (ja) * 1996-11-13 1998-05-26 Tokyo Seiko Co Ltd 繊維芯入りワイヤロープ
FR2783585B1 (fr) 1998-09-23 2000-11-17 Trefileurope Cable mixte a ame synthetique pour le levage ou de traction
EP1033435A1 (en) * 1999-03-04 2000-09-06 N.V. Bekaert S.A. Steel cord with polymer core
ES2203293B1 (es) 2001-09-26 2005-07-16 Nork 2, S.L. Cable para aparatos elevadores.
JP4504113B2 (ja) * 2004-06-23 2010-07-14 東京製綱株式会社 被覆ワイヤロープ
JP2007119933A (ja) 2005-10-25 2007-05-17 Tokyo Seiko Seni Rope Kk 長尺繊維ロープの製造法および長尺繊維ロープ
JP2007119961A (ja) * 2005-10-28 2007-05-17 Tesac Wirerope Co Ltd ワイヤロ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7024020A1 (de) 2007-05-18 2008-11-20 Casar Drahtseilwerk Saar Gmbh Seil, kombiniertes Seil aus Kunststofffasern und Stahldrahtlitzen, sowie kombinierte Litze aus Kunststofffasern und Stahldrähten
JP5394388B2 (ja) * 2007-12-04 2014-01-22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タイヤ補強用ハイブリッドコード
JP5281883B2 (ja) * 2008-03-07 2013-09-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用ロープおよびエレベータ用ベルト
US8375692B2 (en) * 2010-07-16 2013-02-1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mposite cord having a metal core and method of making
US8800257B2 (en) * 2010-07-16 2014-08-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mposite cord and method of making and support structure and tire contain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415B1 (ko) * 2023-12-04 2024-04-29 천상동 섬유로프 라운드슬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28039B1 (pt) 2021-01-19
SG185108A1 (en) 2012-12-28
EP2573257A1 (en) 2013-03-27
CN102892946B (zh) 2015-05-13
CN102892946A (zh) 2013-01-23
BR112012028039A2 (pt) 2018-05-22
JP5478718B2 (ja) 2014-04-23
AU2010353318B2 (en) 2014-02-20
US20130055696A1 (en) 2013-03-07
EP2573257B1 (en) 2017-11-08
US9045856B2 (en) 2015-06-02
WO2011145224A1 (ja) 2011-11-24
KR101437321B1 (ko) 2014-09-02
ES2654791T3 (es) 2018-02-15
JPWO2011145224A1 (ja) 2013-07-22
EP2573257A4 (en) 2015-07-01
MY166586A (en) 201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5011A (ko) 하이브리드 로프 및 그 제조 방법
CA2685585C (en) Cable, combined cable made of plastic fibers and steel wire strands, and combined strands made of plastic fibers and steel wires
KR102098417B1 (ko) 하이브리드 로프 또는 하이브리드 스트랜드
US8943789B2 (en) Hybrid core rope
US4947636A (en) Metal wire cord for elastomer reinforcement
EP3443158B1 (en) Hoisting rope
US11352743B2 (en) Synthetic fiber rope
JP4097004B2 (ja) 繊維ロープ
KR200475026Y1 (ko) 선박용 계류 로우프
KR20150025720A (ko) 케이블용 강도 보강층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JP3246495U (ja) 繊維ロープ
JP5465399B2 (ja) ゴム製品補強用スチールコード
CN201835090U (zh) 一种抗磨损绳索
AU2013206251B2 (en) Cable, combined cable made of plastic fibers and steel wire strands, and combined strands made of plastic fibers and steel wires
JP3721228B2 (ja) 高圧ホース
JP2010159527A (ja) ゴム製品補強用スチールコード
EA004558B1 (ru) Металлоорганический кор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