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8784A -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8784A
KR20180048784A KR1020187008473A KR20187008473A KR20180048784A KR 20180048784 A KR20180048784 A KR 20180048784A KR 1020187008473 A KR1020187008473 A KR 1020187008473A KR 20187008473 A KR20187008473 A KR 20187008473A KR 20180048784 A KR20180048784 A KR 20180048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nds
rope
inner layer
strand
outer periph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8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미츠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8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8Cable weight compens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05Composite ropes, i.e. 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and metal wir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2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 D07B1/04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with a core of fibres or filaments arranged parallel to the centre lin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07B1/0673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having a rope configuration
    • D07B1/068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having a rope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core desig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07B1/08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the layers of which are formed of profiled interlocking wires, i.e. the strands forming concentric layers
    • D07B1/10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the layers of which are formed of profiled interlocking wires, i.e. the strands forming concentric layers with a core of wires arranged parallel to the centre lin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07B1/165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characterised by a plastic or rubber inlay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12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ir internal structure
    • D07B2201/1016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ir internal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fferent strand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12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ir internal structure
    • D07B2201/102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ir internal structure including a cor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28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trands
    • D07B2201/1036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trands nine or more strands respectively forming multiple layer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01Wires or filaments
    • D07B2201/2009Wires or fila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38Strand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wire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47Cores
    • D07B2201/2052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D07B2201/2055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comprising filaments or fiber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47Cores
    • D07B2201/2052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D07B2201/2055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comprising filaments or fibers
    • D07B2201/2056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comprising filaments or fibers arranged parallel to the axi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47Cores
    • D07B2201/2052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D07B2201/2065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comprising a coat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47Cores
    • D07B2201/2066Cor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47Cores
    • D07B2201/2067Cores characterised by the elongation or tension behaviour
    • D07B2201/2068Cores characterised by the elongation or tension behaviour having a load bearing functi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83Jackets or coverings
    • D07B2201/2087Jackets or coverings being of the coated typ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5/00Rope or cable materials
    • D07B2205/20Organic high polymers
    • D07B2205/2046Polyamides, e.g. nylons
    • D07B2205/205Aramid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5/00Rope or cable materials
    • D07B2205/20Organic high polymers
    • D07B2205/2096Poly-p-phenylenebenzo-bisoxazole [PBO]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5/00Rope or cable materials
    • D07B2205/30Inorganic materials
    • D07B2205/3007Carb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5/00Rope or cable materials
    • D07B2205/30Inorganic materials
    • D07B2205/3021Metals
    • D07B2205/3025Steel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07Elevator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용 로프에서, 내층 로프(24)는, 섬유의 다발로 구성되어 있는 섬유심(21)과, 각각 복수개의 강제의 소선을 포함하고 섬유심의 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내층 로프 스트랜드(27)와, 섬유심과 내층 로프 스트랜드의 층과의 외주에 피복되어 있는 수지제의 내층 로프 피복체(23)를 가지고 있다. 내층 로프 피복체의 외주에는, 각각 복수개의 강제의 소선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외층 스트랜드(25)가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 등으로서 이용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엘리베이터의 초고속화 및 초고양정화(超高揚程化)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초고속이고 초고양정인 엘리베이터에서는, 사용되는 로프의 직경 및 길이가 커져, 권상기에 작용하는 축하중에서의 로프 질량의 비율이 커진다. 그리고, 작용 하중의 증대에 대응하기 위해서, 기기의 대형화 및 로프의 안전률 확보가 과제로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종래의 하이브리드 로프에서는, 고강도 합성 섬유심의 외주에 복수개의 강제 스트랜드가 서로 꼬여져 있다. 또, 로프의 꼬임 피치(pitch)에 의해, 섬유 부분의 강도 분담이 크게 되어 있다. 게다가, 고강도 합성 섬유심의 외주에 섬유제의 망 구조의 슬리브가 마련되어 있고, 로프 전체에 인장 하중이 작용했을 때에 슬리브가 지름 방향으로 축소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고강도 합성 섬유심에 압축력이 발생하여, 로프의 형상이 안정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 제5478718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하이브리드 로프에서는, 합성 섬유심을 묶는 것에 의해 생기는 구조적인 간극을 충분히 축소할 수 없었다. 또, 질량비(質量比) 강도가 높은 합성 섬유심의 메리트가 충분하게는 발휘되어 있지 않았다. 게다가, 수지제의 슬리브는 제조상 다대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갯수가 많고 장척(長尺)인 엘리베이터용 로프로서는, 코스트의 면(面)에서 적용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섬유심 내의 구조적인 간극을 충분히 축소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 제조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로프는, 섬유의 다발로 구성되어 있는 섬유심(纖維芯)과, 각각 복수개의 강제(鋼製)의 소선(素線)을 포함하고 섬유심의 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내층 로프 스트랜드(strand)와, 섬유심과 내층 로프 스트랜드의 층과의 외주에 피복되어 있는 수지제의 내층 로프 피복체를 가지고 있는 내층 로프, 및 각각 복수개의 강제의 소선을 포함하고 내층 로프 피복체의 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외층 스트랜드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제조 방법은, 섬유의 다발로 구성되어 있는 섬유심의 외주에, 각각 복수개의 강제의 소선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내층 로프 스트랜드를 서로 꼬는 공정, 섬유심과 내층 로프 스트랜드의 층과의 외주에 수지제의 내층 로프 피복체를 피복하는 공정, 및 각각 복수개의 강제의 소선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외층 스트랜드를 내층 로프 피복체의 외주에 서로 꼬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 제조 방법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섬유심 내의 구조적인 간극을 충분히 축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기계실(2)이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2) 내에는, 기계대(機械台)(3)가 설치되어 있다. 기계대(3) 상에는, 권상기(4)가 지지되어 있다. 권상기(4)는, 구동 쉬브(sheave)(5) 및 권상기 본체(6)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 본체(6)는, 구동 쉬브(5)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모터와, 구동 쉬브(5)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가지고 있다.
기계대(3)에는, 디플렉팅 쉬브(deflecting sheave)(7)가 장착되어 있다. 구동 쉬브(5) 및 디플렉팅 쉬브(7)에는, 복수개(도면에서는 1개만 나타냄)의 엘리베이터용 로프(8)가 감아 걸려 있다. 구동 쉬브(5)의 외주에는, 엘리베이터용 로프(8)가 삽입되는 복수의 로프 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용 로프(8)의 제1 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9)이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용 로프(8)의 제2 단부에는, 균형추(10)가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9) 및 균형추(10)는, 엘리베이터용 로프(8)에 의해 매달려져 있고, 구동 쉬브(5)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9)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1)과, 균형추(10)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12)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9)은, 엘리베이터용 로프(8)가 접속된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13)과,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13)에 지지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 실(14)을 가지고 있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용 로프(8)의 단면도이며,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엘리베이터용 로프(8)의 중심에는,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이 배치되어 있다.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은, 아라미드 섬유, PBO(폴리파라페닐렌 벤조비스옥사졸)(Polyparaphenylene benzobisoxazole) 섬유, 또는 탄소 섬유 등의 고강도 합성 섬유 재료의 다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을 구성하는 재료의 인장 강도, 즉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의 단면의 단위면적당 강도는, 강제 로프에 사용되는 강선보다도 높은 3000MPa 이상이다.
게다가,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은, 복수개의 스트랜드를 꼰 로프 형태가 아니라, 섬유를 묶은 스트랜드 상태이다. 스트랜드 상태는, 섬유가 단순히 묶여진 상태, 또는 스트랜드의 구성 단위인 복수의 섬유 다발이 서로 꼬여져 있는 상태이다.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의 외주에는, 복수개(여기에서는 18개)의 내층 로프 스트랜드(22)가 서로 꼬여져 배치되어 있다. 고강도 합성 섬유심(21)과 내층 로프 스트랜드(22)의 층과의 외주는, 수지제의 내층 로프 피복체(23)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내층 로프(24)는, 고강도 합성 섬유심(21), 내층 로프 스트랜드(22) 및 내층 로프 피복체(23)를 가지고 있다.
내층 로프 피복체(23)의 외주에는, 복수개(여기에서는 12개)의 외층 스트랜드(25)가 서로 꼬여져 배치되어 있다. 외층 스트랜드(25)는, 엘리베이터용 로프(8)의 최외층에 위치하고, 외부로 노출하고 있다.
각 내층 로프 스트랜드(22)의 직경은, 각 외층 스트랜드(25)의 직경보다도 작고, 대체로 1/2 이하이다. 또, 내층 로프 스트랜드(22)의 갯수는, 외층 스트랜드(25)의 갯수보다도 많다. 환언하면, 외층 스트랜드(25)의 갯수는, 내층 로프 스트랜드(22)의 갯수보다도 적다.
내층 로프 피복체(23)는, 내층 로프 스트랜드(22)의 층과 외층 스트랜드(25)의 층과의 사이에 개재하고 있다. 또, 내층 로프 피복체(23)는, 서로 이웃하는 내층 로프 스트랜드(22)의 사이, 및 서로 이웃하는 외층 스트랜드(25)의 사이에 들어가 있다. 내층 로프 피복체(23)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수지가 이용되고 있다.
각 내층 로프 스트랜드(22)는, 복수개의 강제의 소선을 서로 꼬아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 내층 로프 스트랜드(22)는, 중심에 배치된 내층 로프 스트랜드 심소선(26)과, 내층 로프 스트랜드 심소선(26)의 외주에 서로 꼬여져 배치된 복수개(여기에서는 6개)의 내층 로프 스트랜드 외층소선(27)을 가지는 2층 구조이다. 내층 로프 스트랜드 심소선(26)의 직경은, 내층 로프 스트랜드 외층소선(27)의 직경과 동일하다.
각 외층 스트랜드(25)는, 복수개의 강제의 소선을 서로 꼬아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 외층 스트랜드(25)는, 중심에 배치된 외층 스트랜드 심소선(28)과, 외층 스트랜드 심소선(28)의 외주에 서로 꼬아져 배치된 복수개의 외층 스트랜드 중간소선(29)과, 외층 스트랜드 중간소선(29)의 층의 외주에 서로 꼬아져 배치된 복수개의 외층 스트랜드 외층소선(30)을 가지는 3층 구조이다.
외층 스트랜드 중간소선(29)의 갯수는, 외층 스트랜드 외층소선(30)의 갯수와 동일하다(여기에서는 9개씩). 외층 스트랜드 심소선(28)의 직경은, 외층 스트랜드 외층소선(30)의 직경보다도 크다. 외층 스트랜드 중간소선(29)의 직경은, 외층 스트랜드 외층소선(30)의 직경보다도 작다.
내층 로프 스트랜드(22)를 구성하는 소선(26, 27)의 직경은, 외층 스트랜드(25)를 구성하는 소선(28, 29, 30) 중 어느 소선의 직경보다도 작다. 또, 내층 로프 스트랜드(22)를 구성하는 소선(26, 27)의 인장 강도는, 외층 스트랜드(25)를 구성하는 소선(28, 29, 30) 중 가장 인장 강도가 높은 소선의 인장 강도 이상이다. 여기서, 소선의 인장 강도는, 소선 1개씩을 인장했을 때의 강도이다.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의 배치 가능한 단면적은, 엘리베이터용 로프(8)에 포함되는 강선 부분, 즉 내층 로프 스트랜드(22) 및 외층 스트랜드(25)의 합계의 단면적에 대해서 40% 이상이다. 또,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의 부분의 엘리베이터용 로프(8) 전체에 대한 강도 기여율은, 20% 이상이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용 로프를 제조하는 경우, 먼저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의 외주에 내층 로프 스트랜드(22)를 서로 꼰다. 다음으로, 고강도 합성 섬유심(21)과 내층 로프 스트랜드(22)의 층과의 외주에 내층 로프 피복체(23)를 피복한다. 그리고, 내층 로프 피복체(23)의 외주에 외층 스트랜드(25)를 서로 꼰다.
여기서, 통상의 고강도 합성 섬유심은, 다수의 섬유를 꼬거나 늘어놓거나 함으로써 다발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섬유 사이 및 각 섬유 스트랜드 사이에 구조상의 간극이 존재하기 때문에, 고강도 합성 섬유심을 단품으로 로프로서 사용하는 경우, 재료가 가지는 고강도의 특성을 발휘시키기 위해서 큰 신장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신장을 부여하고 있지 않은 고강도 합성 섬유심을 강제의 스트랜드와 조합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강도 합성 섬유심이 로프 전체의 강도 부담에 기여하기 어렵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용 로프(8)에서는,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의 외주에 내층 로프 스트랜드(22)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내층 로프(24)의 제조시에 내층 로프 스트랜드(22)에 의해 중심의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을 단단히 조일 수 있어, 고강도 합성 섬유심(21) 내에 존재하는 간극을 축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내층 로프(24)의 외주에 외층 스트랜드(25)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층 스트랜드(25)에 의해서도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을 단단히 조일 수 있어,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에서의 섬유의 실제의 충전 밀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내층 로프 스트랜드(22) 없이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의 외주에 외층 스트랜드(25)를 직접 서로 꼬는 경우도 고려되지만, 1개의 공정으로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의 간극을 충분히 축소시키기 위해서는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의 변형량을 크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큰 조임력(압축력)이 필요하여, 외층 스트랜드(25)가 손상 또는 변형되거나,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의 외주가 손상되거나 하는 것이 염려된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 형태 1에서는, 많은 내층 로프 스트랜드(22)를 이용함으로써,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을 단단히 조이는 공정을, 내층 로프(24)를 서로 꼬는 공정과 외층 스트랜드(25)를 서로 꼬는 공정으로 나누어,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에 대한 조임력을 두 공정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외층 스트랜드(25)가 손상 또는 변형되거나,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의 외주가 손상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용 로프에서는,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을 이용하면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섬유심 내의 구조적인 간극을 충분히 축소시킬 수 있다.
또, 내층 로프(24)의 외주에 내층 로프 피복체(23)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내층 로프(24)로서의 구조적인 간극을 종래의 섬유심 로프에 비해 큰 폭으로 삭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층 로프 스트랜드(22)와 외층 스트랜드(25)와의 직접 접촉을 방지할 수 있어, 경년 사용시의 내층 로프(24)의 변형(처짐) 및 마모에 의한 지름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외층 스트랜드(25)끼리의 접촉 압력 증가에 의한 소선(28, 29, 30)의 마모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구동 쉬브(5)의 로프 홈과 접촉하여 마찰력이 작용하는 부분인 최외주에 강제의 외층 스트랜드(25)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강제 로프와 마찬가지로 내마모성을 유지할 수 있어, 마찰에 의한 극단적인 강도 저하를 염려할 필요가 없다.
게다가 또, 내층 로프 스트랜드(22)의 갯수를 외층 스트랜드(25)의 갯수보다도 많이 하면서, 내층 로프 스트랜드(22)의 직경을 외층 스트랜드(25)의 직경보다도 큰 폭으로 작게 함으로써, 내층 로프(24)에서의 고강도 합성 섬유심(21) 부분의 점유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외층 스트랜드(25)의 갯수를 많이 하면서 외층 스트랜드(25)의 직경도 가능한 한 작게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용 로프(8)로서의 고강도 합성 섬유심(21) 부분의 점유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 도 2와 같이, 외층 스트랜드(25)를 12개의 평행 꼬임 구조로 하고, 내층 로프 스트랜드(22)의 갯수를 18개로 하며, 각 내층 로프 스트랜드(22)의 소선(26, 27)의 갯수를 7개로 함으로써,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을 배치할 수 있는 단면적을, 강선 부분의 유효 단면적에 대해서 40% 이상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내층 로프 스트랜드(22)를 구성하는 소선(26, 27)의 직경을, 외층 스트랜드(25)를 구성하는 소선(28, 29, 30) 중 어느 소선의 직경보다도 작게 했으므로, 굽힘 작용시에 내층 로프 스트랜드(22)의 소선(26, 27)에 발생하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내층 로프 스트랜드(22)를 구성하는 소선(26, 27)의 인장 강도를, 외층 스트랜드(25)를 구성하는 소선(28, 29, 30) 중 가장 인장 강도가 높은 소선의 인장 강도 이상으로 했으므로, 외층 스트랜드(25)의 소선(28, 29, 30)이 내층 로프 스트랜드(22)의 소선(26, 27)에 대해서 우선하여 단선(斷線)하게 된다. 따라서, 점검시에 내층 로프 스트랜드(22)의 단선 상태를 확인할 수 없어도, 확인 용이한 외층 스트랜드(25)의 단선 상태로부터 적정한 교환 판단을 할 수 있다.
또, 일반적인 섬유심 삽입 로프에 사용되는 심강(芯綱)은, 각각 다수의 섬유를 묶은 3개의 심강 스트랜드를 묶은 3개 스트랜드(three-strand)라고 불리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한 구조는, 유연성이 높고, 내부에 적절한 간극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섬유심에 강도를 부담시키지 않는 로프에서는 최적이다. 그러나,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용 로프(8)는,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이 강도를 부담함으로써 그 효과가 커지기 때문에,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으로서는, 편(片) 스트랜드(single strand)라고 불리는 스트랜드만의 구성을 적용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로프(8)의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2에서는,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의 외주가 수지제의 섬유심 피복체(31)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내층 로프 스트랜드(22)는, 섬유심 피복체(31)의 외주에 서로 꼬아져 배치되어 있다. 즉, 섬유심 피복체(31)는, 고강도 합성 섬유심(21)과 내층 로프 스트랜드(22)와의 사이에 개재하고 있다. 또, 섬유심 피복체(31)의 재료는, 내층 로프 피복체(23)의 재료와 동일하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용 로프(8)를 제조하는 경우,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의 외주에 내층 로프 스트랜드(22)를 서로 꼬기 전에,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의 외주에 섬유심 피복체(31)를 피복한다. 다른 구성 및 제조 방법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엘리베이터용 로프(8)에 굽힘이 작용했을 때의 내층 로프 스트랜드(22)와 고강도 합성 섬유심(21)과의 상대적인 미끄러짐에 의한 섬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경년 사용시의 섬유 부분의 수명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에 섬유심 피복체(31)를 피복하는 경우, 고강도 합성 섬유심(21)의 재료로서는, 피복 공정에서 합성 섬유심이 용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면 아라미드 섬유, PBO 섬유, 또는 탄소 섬유 등, 융점이 매우 높은 재료, 또는 명확한 융점이 없는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섬유심 피복체(31)의 재료는, 내층 로프 피복체(23)의 재료와 달라도 괜찮다.
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타입은, 도 1의 타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멀티 카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또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등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는, 엘리베이터 칸(9)을 매달기 위한 로프 이외의 로프, 예를 들면 균형 로프(compensating rope) 또는 거버너 로프(governor rope)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섬유의 다발로 구성되어 있는 섬유심(纖維芯)과, 각각 복수개의 강제(鋼製)의 소선(素線)을 포함하고 상기 섬유심의 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내층 로프 스트랜드(strand)와, 상기 섬유심과 상기 내층 로프 스트랜드의 층과의 외주에 피복되어 있는 수지제의 내층 로프 피복체를 가지고 있는 내층 로프, 및
    각각 복수개의 강제의 소선을 포함하고 상기 내층 로프 피복체의 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외층 스트랜드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층 로프 스트랜드의 갯수는, 상기 외층 스트랜드의 갯수보다도 많은 엘리베이터용 로프.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각 상기 내층 로프 스트랜드의 직경은, 각 상기 외층 스트랜드의 직경보다도 작은 엘리베이터용 로프.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 로프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상기 소선의 직경은, 상기 외층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상기 소선 중 어느 소선의 직경보다도 작은 엘리베이터용 로프.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 로프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상기 소선의 인장 강도는, 상기 외층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상기 소선 중 가장 인장 강도가 높은 소선의 인장 강도 이상인 엘리베이터용 로프.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심을 구성하는 재료의 강도는, 3000MPa 이상인 엘리베이터용 로프.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심의 배치 가능한 단면적이, 강선 부분의 단면적에 대해서 40% 이상인 엘리베이터용 로프.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심의 로프 전체에 대한 강도 기여율이 20% 이상인 엘리베이터용 로프.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심의 외주는, 수지제의 섬유심 피복체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10. 섬유의 다발로 구성되어 있는 섬유심의 외주에, 각각 복수개의 강제의 소선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내층 로프 스트랜드를 서로 꼬는 공정,
    상기 섬유심과 상기 내층 로프 스트랜드의 층과의 외주에 수지제의 내층 로프 피복체를 피복하는 공정, 및
    각각 복수개의 강제의 소선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외층 스트랜드를 상기 내층 로프 피복체의 외주에 서로 꼬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제조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섬유심의 외주에 상기 내층 로프 스트랜드를 서로 꼬기 전에, 상기 섬유심의 외주에 수지제의 섬유심 피복체를 피복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제조 방법.
KR1020187008473A 2015-10-16 2015-10-16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487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79309 WO2017064808A1 (ja) 2015-10-16 2015-10-16 エレベータ用ロ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534A Division KR20200006184A (ko) 2015-10-16 2015-10-16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784A true KR20180048784A (ko) 2018-05-10

Family

ID=585179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534A KR20200006184A (ko) 2015-10-16 2015-10-16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87008473A KR20180048784A (ko) 2015-10-16 2015-10-16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534A KR20200006184A (ko) 2015-10-16 2015-10-16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76320B2 (ko)
JP (1) JP6452839B2 (ko)
KR (2) KR20200006184A (ko)
CN (1) CN108137277A (ko)
DE (1) DE112015007028B4 (ko)
WO (1) WO20170648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14282A4 (en) * 2016-09-13 2020-05-27 Tokyo Rope Manufacturing Co., Ltd. WIRE ROPE FOR USE AS SAWWIRE AND METHOD FOR PRODUCING IT
EP3672871A4 (en) * 2017-08-22 2022-03-30 Breeze-Eastern LLC WINCH SYSTEM MOUNTED ON AN AIRCRAFT HAVING A MULTI-STRAND WIRE ROPE ROPE
WO2019044503A1 (ja) * 2017-08-29 2019-03-07 東京製綱株式会社 ワイヤロープ,シーブおよびドラム
JP6767327B2 (ja) * 2017-09-11 2020-10-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ロープ
KR20230044028A (ko) 2020-10-14 2023-03-3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 제조 방법
WO2022085085A1 (ja) 2020-10-20 2022-04-28 三菱電機株式会社 高強度繊維集合体、ロープ、ロープ構造体
CN117661346B (zh) * 2024-02-01 2024-04-23 沃达救援科技有限公司 一种可视讯深井救援钢丝绳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5404A (en) * 1975-10-09 1978-06-20 Hitco Method of manufacturing a high-strength, polyurethane-impregnated polyamide cable
JPS53122842A (en) 1977-03-30 1978-10-26 Teikoku Sangyo Kk Wire rope
JPS5438963A (en) * 1977-08-29 1979-03-24 Mitsubishi Electric Corp Wire rope
JPS5478718A (en) 1977-12-06 1979-06-23 Shigeharu Kuwayama Clay
US4288977A (en) * 1980-04-10 1981-09-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making integrated racket strings from monofilaments
JPS63126118A (ja) * 1986-11-14 1988-05-30 株式会社 メツクラボラトリ−ズ 電線
JP2524323Y2 (ja) 1990-08-16 1997-01-29 東京製綱株式会社 ワイヤロープ
JPH10140490A (ja) 1996-11-13 1998-05-26 Tokyo Seiko Co Ltd 繊維芯入りワイヤロープ
US7137483B2 (en) * 2000-03-15 2006-11-21 Hitachi, Ltd. Rope and elevator using the same
FI118732B (fi) * 2000-12-08 2008-02-29 Kone Corp Hissi
CA2430325C (en) * 2001-06-21 2010-09-07 Kone Corporation Elevator
CN1902358B (zh) * 2003-12-05 2014-04-23 布鲁格电缆股份公司 挠性牵引构件
JP4202950B2 (ja) * 2004-03-08 2008-1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ワイヤロ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昇降装置
CN102459052B (zh) * 2009-06-08 2014-10-2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用绳索及其制造方法
JP2011046462A (ja) * 2009-08-26 2011-03-1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用ワイヤロープ
FR2953451B1 (fr) * 2009-12-04 2011-12-09 Soc Tech Michelin Pneumatique comportant des cables d'armature de carcasse hybrides
BR112012028039B1 (pt) 2010-05-17 2021-01-19 Kiswire Ltd. cabo híbrido e método para a fabricação do mesmo
WO2012056529A1 (ja) 2010-10-27 2012-05-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ロープ
BR112013010888A8 (pt) * 2010-11-05 2017-07-11 Bekaert Sa Nv Cabo de elevador híbrido compactado
WO2012162556A1 (en) * 2011-05-24 2012-11-29 Samson Rope Technologies Rope structures and methods
EP2808286B1 (en) * 2012-01-23 2016-03-2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rope
US9902594B2 (en) * 2012-08-29 2018-02-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rope and elevator apparatus that uses same
KR102110001B1 (ko) * 2012-10-05 2020-05-13 브리든 인터내셔널 엘티디. 하이브리드 로프
EP3020673B1 (en) * 2013-07-09 2018-09-1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rope and elevator device using same
CN103663057B (zh) * 2013-12-19 2016-08-17 永大电梯设备(中国)有限公司 一种电梯用拉伸绳索
KR101601894B1 (ko) * 2014-06-19 2016-03-09 고려제강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5007028T5 (de) 2018-07-12
DE112015007028B4 (de) 2023-12-14
WO2017064808A1 (ja) 2017-04-20
US20180362300A1 (en) 2018-12-20
KR20200006184A (ko) 2020-01-17
JP6452839B2 (ja) 2019-01-16
CN108137277A (zh) 2018-06-08
JPWO2017064808A1 (ja) 2018-02-15
US10676320B2 (en)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8784A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 제조 방법
KR101665837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US6397574B1 (en) Sheathless synthetic fiber rope
TWI420009B (zh) 合成纖維纜索及其製造方法、具有此合成纖維纜索之升降設備及升降機用支承驅動構件
JP5976116B2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KR101854969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EP3159296B1 (en) Rope for elev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2634130A1 (en) Rope for elevator
JP5859138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ベルト
JP2014507349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ベルト
US10221043B2 (en) Elevator suspension and/or driving arrangement
RU109113U1 (ru) Канат стальной многопрядный малокрутящийся
WO2024013793A1 (ja) エレベーター用ロープ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EP2511219A1 (en) Rope for elevator
JP7195483B1 (ja) ロ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ベルト
KR102168962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 장치
WO2023053192A1 (ja) ロ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061958A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