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708A - 벨트, 그 제조 방법, 및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벨트, 그 제조 방법, 및 엘리베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39708A KR20230039708A KR1020237005402A KR20237005402A KR20230039708A KR 20230039708 A KR20230039708 A KR 20230039708A KR 1020237005402 A KR1020237005402 A KR 1020237005402A KR 20237005402 A KR20237005402 A KR 20237005402A KR 20230039708 A KR20230039708 A KR 202300397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lt
- core
- strand
- rope
- strand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2—Bel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00—Driving-belts
- F16G1/06—Driving-belts made of rubber
- F16G1/08—Driving-belts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 F16G1/10—Driving-belts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with textile reinforc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00—Driving-belts
- F16G1/06—Driving-belts made of rubber
- F16G1/08—Driving-belts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 F16G1/12—Driving-belts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with metal reinforcement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Ropes Or Cabl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Abstract
벨트는, 복수개의 로프체, 및 로프 피복체를 가지고 있다. 복수개의 로프체는, 벨트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을 보았을 때,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로프 피복체는, 복수개의 로프체를 덮고 있다. 복수개의 로프체는, 각각 코어 로프를 가지고 있다. 각 코어 로프는, 1개 또는 복수의 꼬여진 고강도 섬유 다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코어 섬유 다발과, 코어 섬유 다발의 외주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개의 강제의 코어선 부재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벨트, 그 제조 방법, 및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권상기의 로프는, 하중 지지부와, 폴리머층을 가지고 있다. 하중 지지부의 외주에는, 폴리머층이 피복되어 있다. 하중 지지부는, 복합 재료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복합 재료는, 복수의 강화 섬유와, 폴리머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강화 섬유는, 로프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배향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강화 섬유는, 폴리머 매트릭스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벨트는, 복수의 인장 부재를 가지고 있다. 각 인장 부재는, 코어 부재와, 복수의 오버랩 부재와, 재킷 재료를 가지고 있다. 코어 부재는, 복수의 하중 지지 섬유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로프에서는, 하중 지지부의 외주에 폴리머층이 단순히 피복되어 있을 뿐이고, 강화 섬유끼리 구속력이 없다. 이 때문에, 하중 지지부의 지름이 커지게 되면, 하중 지지부의 중심 부근에는 하중이 전해지기 어렵고, 모든 강화 섬유에 하중을 균등하게 분담시키는 것이 어렵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벨트에서는, 코어 부재의 외주에 복수의 오버랩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코어 부재의 제조 방법이 특허 문헌 1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특허 문헌 1의 로프와 마찬가지로, 모든 강화 섬유에 하중을 균등하게 분담시키는 것이 어렵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고강도 섬유 다발에 하중을 보다 균등하게 분담시킬 수 있는 벨트, 그 제조 방법, 및 엘리베이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관한 벨트는,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을 보았을 때,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로프체, 및 복수개의 로프체를 덮고 있는 로프 피복체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로프체는, 각각 코어 로프를 가지고 있고, 각 코어 로프는, 1개 또는 복수의 꼬여진 고강도 섬유 다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코어 섬유 다발과, 코어 섬유 다발의 외주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개의 강제의 코어선 부재를 가지고 있다.
본 개시의 벨트에 의하면, 고강도 섬유 다발에 하중을 보다 균등하게 분담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구동 쉬브와 벨트와의 접촉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산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2에 의한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로프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3에 의한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로프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4에 의한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로프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5에 의한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6에 의한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7에 의한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로프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8에 의한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9에 의한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 10에 의한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 11에 의한 벨트의 로프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실시 형태 12에 의한 벨트의 로프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로프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층을 각각 노출시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얀((yarn)의 제1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얀의 제2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3은, 실시 형태 13에 의한 벨트의 로프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로프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층을 각각 노출시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5는, 실시 형태 14에 의한 벨트의 로프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실시 형태 15에 의한 벨트의 로프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실시 형태 16에 의한 벨트의 로프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실시 형태 17에 의한 벨트의 로프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실시 형태 18에 의한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실시 형태 19에 의한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구동 쉬브와 벨트와의 접촉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산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2에 의한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로프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3에 의한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로프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4에 의한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로프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5에 의한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6에 의한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7에 의한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로프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8에 의한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9에 의한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 10에 의한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 11에 의한 벨트의 로프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실시 형태 12에 의한 벨트의 로프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로프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층을 각각 노출시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얀((yarn)의 제1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얀의 제2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3은, 실시 형태 13에 의한 벨트의 로프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로프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층을 각각 노출시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5는, 실시 형태 14에 의한 벨트의 로프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실시 형태 15에 의한 벨트의 로프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실시 형태 16에 의한 벨트의 로프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실시 형태 17에 의한 벨트의 로프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실시 형태 18에 의한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실시 형태 19에 의한 벨트의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의 상방에는, 기계실(2)이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2)에는, 권상기(3) 및 디플렉팅 쉬브(deflecting sheave)(6)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3)는, 권상기 본체(4)와, 원통 모양의 구동 쉬브(5)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 본체(4)는, 도시하지 않은 권상기 모터와, 도시하지 않은 권상기 브레이크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 모터는, 구동 쉬브(5)를 회전시킨다. 권상기 브레이크는, 구동 쉬브(5)의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권상기 브레이크는, 구동 쉬브(5)의 회전을 제동한다.
구동 쉬브(5)는, 수평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구동 쉬브(5) 및 디플렉팅 쉬브(6)에는, 2개 이상의 벨트(7)가 감아 걸려져 있다. 단, 도 1에는, 1개의 벨트(7)만 나타내어지고 있다. 2개 이상의 벨트(7)는, 구동 쉬브(5)의 축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벨트(7)의 길이 방향의 제1 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8)이 접속되어 있다. 벨트(7)의 길이 방향의 제2 단부에는, 균형추(9)가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 및 균형추(9)는, 벨트(7)에 의해서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즉, 벨트(7)는, 현가체(懸架體)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8) 및 균형추(9)는, 구동 쉬브(5)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승강로(1) 내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a),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b), 도시하지 않는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 및 도시하지 않는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b)은, 엘리베이터 칸(8)의 승강을 안내한다.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은, 균형추(9)의 승강을 안내한다.
엘리베이터 칸(8)의 하부와 균형추(9)의 하부와의 사이에는, 컴펜세이팅체(compensating 體)(11)가 매달려 있다. 컴펜세이팅체(11)는, 엘리베이터 칸(8)의 이동에 의한 벨트(7)의 중량 밸런스의 변화의 영향을 보상한다. 컴펜세이팅체(11)로서는, 가요성을 가지는 끈 모양의 부재, 예를 들면 로프, 또는 쇠사슬이 이용된다.
도 2는, 도 1의 벨트(7)의 단면도이며, 벨트(7)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벨트(7)의 두께 방향의 치수는, 벨트(7)의 폭 방향의 치수보다도 작다. 벨트(7)의 두께 방향은, 도 2의 X축에 평행한 방향이다. 벨트(7)의 폭 방향은, 도 2의 Y축에 평행한 방향이다. 벨트(7)의 길이 방향은, 도 2의 Z축에 평행한 방향이다.
벨트(7)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을 보았을 때, 벨트(7)는, 복수개의 로프체(21)와, 수지제의 로프 피복체(22)를 가지고 있다. 도 2에서는, 10개의 로프체(21)가 이용되어 있다. 복수개의 로프체(21)는, 벨트(7)의 폭 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복수개의 로프체(21)는, 강도 부재로서 기능한다.
로프 피복체(22)는, 모든 로프체(21)로 이루어지는 군의 전체를 덮고 있다. 즉, 복수개의 로프체(21)는, 로프 피복체(22)에 의해서 일체화되어 있다.
로프 피복체(22)의 재료로서는, 엘라스토머가 이용되어 있다. 또한, 엘라스토머로서는, 고마찰성, 내마모성, 및 내가수분해성의 관점으로부터, 에테르계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또한, 로프 피복체(22)는, 난연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로프 피복체(22)를 난연화할 수 있다.
복수개의 로프체(21)는, 각각 벨트(7)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즉, 각 로프체(21)의 길이 방향은, 벨트(7)의 길이 방향이다. 또한, 복수개의 로프체(21)는, 각각 코어 로프(23)를 가지고 있다. 실시 형태 1의 각 로프체(21)는, 코어 로프(23)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코어 로프(23)는, 코어 섬유 다발(24)과, 복수개의 강제의 코어선 부재(25)를 가지고 있다. 각 코어 섬유 다발(24)의 단면으로서, 로프체(21)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의 형상은, 원형이다.
코어 섬유 다발(24)은, 1개 또는 복수의 꼬여진 고강도 섬유 다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고강도 섬유 다발은, 복수개의 고강도 섬유 필라멘트가 꼬여져 구성되어 있다.
고강도 섬유 다발의 재료로서는, 탄소 섬유, 글래스 섬유, PBO(폴리파라페닐렌벤즈옥사졸)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아릴레이트 섬유, 및 바사르트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섬유가 이용되어 있다.
복수개의 코어선 부재(25)는, 코어 섬유 다발(24)의 외주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복수개의 코어선 부재(25)는, 코어 섬유 다발(24)의 외주에 서로 꼬여져 있다. 도 2에서는, 12개의 코어선 부재(25)가 이용되어 있다. 각 코어선 부재(25)로서는, 1개의 강제의 소선, 즉 강선이 이용되어 있다. 각 코어선 부재(25)의 지름은, 코어 섬유 다발(24)의 지름보다도 작다.
도 3은, 도 1의 구동 쉬브(5)와 벨트(7)와의 접촉부의 단면도이다. 구동 쉬브(5)의 외주에는, 2개 이상의 벨트(7)가, 구동 쉬브(5)의 축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감아 걸려져 있다. 구동 쉬브(5)의 축 방향은, 도 3의 좌우 방향이다. 단, 도 3에서는, 1개의 벨트(7)만이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벨트(7)의 내부 구조는 생략되어 있다.
구동 쉬브(5)의 외주에는, 벨트(7)의 개수와 동수의 벨트 홈(5a)이 형성되어 있다. 각 벨트(7)는, 대응하는 벨트 홈(5a)에 삽입되어 있다.
구동 쉬브(5)의 각 벨트(7)가 접하는 부분의 직경은, 벨트(7)의 폭 방향의 중앙부가 벨트(7)의 폭 방향의 양단부보다도, 구동 쉬브(5)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변화하고 있다. 즉, 각 벨트 홈(5a)의 저면에는, 산부(5b), 이른바 크라운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 쉬브(5)의 지름 방향은, 도 3의 상하 방향이다.
도 4는, 도 3의 산부(5b)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서는, 산부(5b)의 표면의 단면은, 완만한 원호 모양의 곡선이다. 이것에 대하여, 도 4에서는, 산부(5b)의 표면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 즉 3개의 직선의 조합이다.
이러한 벨트(7),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에서는, 벨트(7)에 하중이 걸렸을 때에, 복수개의 코어선 부재(25)에 의해서 코어 섬유 다발(24)이 지름 방향으로 구속된다. 이 때문에, 코어 섬유 다발(24)을 구성하는 고강도 섬유 다발에 하중을 보다 균등하게 분담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코어 섬유 다발(24)이 고강도 섬유 다발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벨트(7)의 경량화 및 고강도화를 도모할 수 있어, 질량비 강도가 높은 벨트(7)를 실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1의 벨트(7)는, 엘리베이터 칸(8)의 승강 행정이 75미터 이상의 엘리베이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동일한 강도를 가지는 종래의 와이어 로프와 비교하여, 벨트(7)가 굽히기 쉽기 때문에, 구동 쉬브(5)의 소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 쉬브(5)의 직경은, 복수개의 로프체(21)의 최대 지름의 40배 이하여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복수개의 로프체(21)의 지름은 모두 동일하고, 각 로프체(21)의 지름이 최대 지름이라 말할 수 있다.
또한, 질량비 강도가 높고, 또한 구동 쉬브(5)에 대한 마찰 계수가 높은 벨트(7)가 얻어지기 때문에, 컴펜세이팅체(11)의 질량을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펜세이팅체(11)의 질량을, 모든 벨트(7)의 총 중량의 1/2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8)의 승강 행정에 따라서는, 컴펜세이팅체(11)를 완전하게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코어선 부재(25)가 1개의 소선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벨트(7)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벨트 홈(5a)의 저면에 산부(5b)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구동 쉬브(5)의 축 방향으로의 각 벨트(7)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의 벨트(7)의 제조 방법은, 모든 로프체(21)에 균일한 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모든 로프체(21)에 로프 피복체(22)를 연속적으로 피복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것에 의해, 벨트(7)에 하중이 걸렸을 때, 모든 로프체(21)에 거의 균등하게 하중이 분산되어, 일부의 로프체(21)가 조기에 손상하는 것이 억제된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도 5는, 실시 형태 2에 의한 벨트(7)의 단면도이며, 벨트(7)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 형태 2의 각 코어 로프(23)는, 코어 섬유 다발(24)과, 복수개의 코어선 부재로서의 복수개의 강제의 코어 스트랜드(26)를 가지고 있다.
복수개의 코어 스트랜드(26)는, 코어 섬유 다발(24)의 외주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복수개의 코어 스트랜드(26)는, 코어 섬유 다발(24)의 외주에 서로 꼬여져 있다. 도 5에서는, 12개의 코어 스트랜드(26)가 이용되어 있다. 각 코어 스트랜드(26)의 지름은, 코어 섬유 다발(24)의 지름보다도 작다.
도 6은, 도 5의 로프체(21)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각 코어 스트랜드(26)는, 서로 꼬여져 있는 복수개의 강제의 코어 소선(27)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코어 스트랜드(26)는, 1개의 중심 코어 소선과, 6개의 외주 코어 소선을 가지고 있다.
중심 코어 소선은, 코어 스트랜드(26)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는 코어 소선(27)이다. 각 외주 코어 소선은, 중심 코어 소선의 외주에 서로 꼬여져 있는 코어 소선(27)이다. 모든 코어 소선(27)의 지름은, 서로 동일하다.
복수개의 코어선 부재(25) 대신에 복수개의 코어 스트랜드(26)가 이용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벨트(7)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벨트(7)의 제조 방법, 및 엘리베이터의 구성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벨트(7),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의해서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복수개의 코어선 부재(25) 대신에 복수개의 코어 스트랜드(26)가 이용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7)의 유연성을 추가로 높일 수 있다.
또한, 코어 섬유 다발(24)의 외주에, 실시 형태 1의 코어선 부재(25)와, 실시 형태 2의 코어 스트랜드(26)가 혼재하여 있어도 된다.
실시 형태 3.
다음으로, 도 7은, 실시 형태 3에 의한 벨트(7)의 단면도이며, 벨트(7)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 형태 3의 각 로프체(21)는, 코어 로프(23)와, 제1 외주 섬유층(28)과, 제1 스트랜드층(29)을 가지고 있다.
실시 형태 3의 코어 로프(23)는, 코어 섬유 다발(24)과, 6개의 코어 스트랜드(26)를 가지고 있다. 6개의 코어 스트랜드(26)는, 코어 섬유 다발(24)의 외주에 서로 꼬여져 있다. 각 코어 스트랜드(26)의 지름은, 코어 섬유 다발(24)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또는 거의 동일하다.
제1 외주 섬유층(28)은, 코어 로프(23)의 외주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외주 섬유층(28)은, 코어 섬유 다발(24)과 마찬가지의 고강도 섬유 다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로프체(21)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제1 외주 섬유층(28)의 단면 형상은, 원환(円環) 모양이다.
제1 스트랜드층(29)은, 제1 외주 섬유층(28)의 외주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 스트랜드층(29)은, 복수개의 제1 외층 스트랜드(30)를 가지고 있다. 복수개의 제1 외층 스트랜드(30)는, 제1 외주 섬유층(28)의 외주에 서로 꼬여져 있다. 도 7에서는, 20개의 제1 외층 스트랜드(30)가 이용되어 있다. 즉, 제1 외층 스트랜드(30)의 개수는, 코어 스트랜드(26)의 개수보다도 많다.
도 8은, 도 7의 로프체(21)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각 제1 외층 스트랜드(30)는, 서로 꼬여져 있는 복수개의 강제의 제1 외층 소선(31)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제1 외층 스트랜드(30)는, 1개의 제1 중심 소선과 6개의 제1 외주 소선을 가지고 있다.
제1 중심 소선은, 제1 외층 스트랜드(30)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외층 소선(31)이다. 각 제1 외주 소선은, 제1 중심 소선의 외주에 서로 꼬여져 있는 제1 외층 소선(31)이다. 모든 제1 외층 소선(31)의 지름은, 서로 동일하다.
또한, 각 제1 외층 소선(31)의 지름은, 각 코어 소선(27)의 지름과 동일하다. 또한, 각 제1 외층 스트랜드(30)의 지름은, 각 코어 스트랜드(26)의 지름과 동일하다. 즉, 이 예에서는, 각 제1 외층 스트랜드(30)로서, 각 코어 스트랜드(26)과 동일한 강제 스트랜드가 이용되어 있다.
코어 로프(23)의 외측에 제1 외주 섬유층(28) 및 제1 스트랜드층(29)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벨트(7)의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벨트(7)의 제조 방법, 및 엘리베이터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벨트(7),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의해서도,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벨트(7)에 하중이 걸렸을 때에, 복수개의 코어 스트랜드(26)에 의해서 코어 섬유 다발(24)이 지름 방향으로 구속된다. 또한, 복수개의 제1 외층 스트랜드(30)에 의해서, 제1 외주 섬유층(28)이 지름 방향으로 구속된다. 이 때문에, 각 로프체(21)의 지름을 크게 하여도, 로프체(21)에 포함되어 있는 고강도 섬유 다발에 하중을 보다 균등하게 분담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4.
다음으로, 도 9는, 실시 형태 4에 의한 벨트(7)의 단면도이며, 벨트(7)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 형태 4의 각 로프체(21)는, 코어 로프(23)와, 제1 외주 섬유층(28)과, 제1 스트랜드층(29)과, 제2 외주 섬유층(32)과 제2 스트랜드층(33)을 가지고 있다.
제2 외주 섬유층(32)은, 제1 스트랜드층(29)의 외주에 마련되어 있다. 제2 외주 섬유층(32)은, 코어 섬유 다발(24)과 마찬가지의 고강도 섬유 다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로프체(21)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제2 외주 섬유층(32)의 단면 형상은, 원환 모양이다.
제2 스트랜드층(33)은, 제2 외주 섬유층(32)의 외주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2 스트랜드층(33)은, 복수개의 제2 외층 스트랜드(34)를 가지고 있다. 복수개의 제2 외층 스트랜드(34)는, 제2 외주 섬유층(32)의 외주에 서로 꼬여져 있다. 도 9에서는, 32개의 제2 외층 스트랜드(34)가 이용되어 있다. 즉, 제2 외층 스트랜드(34)의 개수는, 제1 외층 스트랜드(30)의 개수 보다도 많다.
도 10은, 도 9의 로프체(21)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각 제2 외층 스트랜드(34)는, 서로 꼬여져 있는 복수개의 강제의 제2 외층 소선(35)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제2 외층 스트랜드(34)는, 1개의 제2 중심 소선과 6개의 제2 외주 소선을 가지고 있다.
제2 중심 소선은, 제2 외층 스트랜드(34)의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2 외층 소선(35)이다. 각 제2 외주 소선은, 제2 중심 소선의 외주에 서로 꼬여져 있는 제2 외층 소선(35)이다. 모든 제2 외층 소선(35)의 지름은, 서로 동일하다.
또한, 각 제2 외층 소선(35)의 지름은, 각 코어 소선(27)의 지름과 동일하고, 또한 각 제1 외층 소선(31)의 지름과 동일하다. 또한, 각 제2 외층 스트랜드(34)의 지름은, 각 코어 스트랜드(26)의 지름과 동일하고, 또한 각 제1 외층 스트랜드(30)의 지름과 동일하다. 즉, 이 예에서는, 각 제2 외층 스트랜드(34)로서 각 코어 스트랜드(26) 및 각 제1 외층 스트랜드(30)와 동일한 강제 스트랜드가 이용되어 있다.
제1 스트랜드층(29)의 외측에 제2 외주 섬유층(32) 및 제2 스트랜드층(33)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벨트(7)의 구성은,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벨트(7)의 제조 방법, 및 엘리베이터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벨트(7),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의해서도,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벨트(7)에 하중이 걸렸을 때에, 복수개의 제2 외층 스트랜드(34)에 의해서, 제2 외주 섬유층(32)이 지름 방향으로 구속된다. 이 때문에, 각 로프체(21)의 지름을 더 크게 하여도, 로프체(21)에 포함되어 있는 고강도 섬유 다발에 하중을 보다 균등하게 분담시킬 수 있다.
또한, 코어 스트랜드(26), 제1 외층 스트랜드(30), 및 제2 외층 스트랜드(34)로서, 각각 다른 구조 및 지름의 강제 스트랜드가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코어 로프(23)의 외측에, 3층 이상의 고강도 섬유 다발의 층과, 3층 이상의 스트랜드층이 마련되어도 된다.
실시 형태 5.
다음으로, 도 11은, 실시 형태 5에 의한 벨트(7)의 단면도이며, 벨트(7)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각 코어 섬유 다발(24)의 중심에는, 강제의 중심선 부재(36)가 마련되어 있다. 각 중심선 부재(36)로서는, 1개의 강제의 소선, 즉 강선이 이용되어 있다. 각 중심선 부재(36)는, 로프체(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실시 형태 5의 각 코어 로프(23)는, 코어 섬유 다발(24)과, 복수개의 코어선 부재(25)와, 중심선 부재(36)를 가지고 있다. 이 예에서는, 중심선 부재(36)로서, 각 코어선 부재(25)와 동일한 강선이 이용되어 있다.
각 코어 섬유 다발(24)의 중심에 중심선 부재(36)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벨트(7)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벨트(7)의 제조 방법, 및 엘리베이터의 구성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벨트(7),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의해서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각 코어 섬유 다발(24)의 중심에 중심선 부재(36)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코어 섬유 다발(24)을 형성할 때에, 중심선 부재(36)를 중심으로 하여, 중심선 부재(36)의 주위에 코어 섬유 다발(24)을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코어 섬유 다발(24)의 단면 형상을 용이하게 원형으로 할 수 있고, 로프체(21)의 단면 형상을 용이하게 원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중심선 부재(36)는, 각 코어선 부재(25)와는 지름이 다른 강선이어도 된다.
실시 형태 6.
다음으로, 도 12는, 실시 형태 6에 의한 벨트(7)의 단면도이며, 벨트(7)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 형태 6의 벨트(7)는, 각 코어 섬유 다발(24)의 중심에 중심선 부재(36)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 형태 2의 벨트(7)와 마찬가지이다. 각 중심선 부재(36)는, 실시 형태 5의 중심선 부재(36)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벨트(7)의 제조 방법, 및 엘리베이터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벨트(7),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의해서도, 실시 형태 5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복수개의 코어 스트랜드(26)가 이용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7)의 유연성을 더 높일 수 있다.
실시 형태 7.
다음으로, 도 13은, 실시 형태 7에 의한 벨트(7)의 단면도이며, 벨트(7)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 형태 7의 각 코어 섬유 다발(24)의 중심에는, 중심선 부재로서의 강제의 중심 스트랜드(37)가 마련되어 있다. 각 중심 스트랜드(37)는, 로프체(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14는, 도 13의 로프체(21)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각 중심 스트랜드(37)는, 서로 꼬여져 있는 복수개의 강제의 중심 스트랜드 소선(38)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중심 스트랜드(37)는, 1개의 제3 중심 소선과, 6개의 제3 외주 소선을 가지고 있다.
제3 중심 소선은, 중심 스트랜드(37)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는 중심 스트랜드 소선(38)이다. 각 제3 외주 소선은, 제3 중심 소선의 외주에 서로 꼬여져 있는 중심 스트랜드 소선(38)이다. 모든 중심 스트랜드 소선(38)의 지름은, 서로 동일하다.
또한, 각 중심 스트랜드 소선(38)의 지름은, 각 코어 소선(27)의 지름과 동일하다. 또한, 각 중심 스트랜드(37)의 지름은, 각 코어 스트랜드(26)의 지름과 동일하다. 즉, 이 예에서는, 각 중심 스트랜드(37)로서, 각 코어 스트랜드(26)와 동일한 강제 스트랜드가 이용되어 있다.
실시 형태 7의 벨트(7)는, 각 코어 섬유 다발(24)의 중심에 중심 스트랜드(37)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 형태 6의 벨트(7)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벨트(7)의 제조 방법, 및 엘리베이터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벨트(7),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의해서, 실시 형태 6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중심선 부재(36) 대신에, 중심 스트랜드(37)가 이용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7)의 유연성을 더 높일 수 있다.
실시 형태 8.
다음으로, 도 15는, 실시 형태 8에 의한 벨트(7)의 단면도이며, 벨트(7)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 형태 8의 각 로프체(21)에서는, 실시 형태 3의 코어 섬유 다발(24)의 중심에, 실시 형태 7과 마찬가지의 중심 스트랜드(37)가 마련되어 있다. 각 중심 스트랜드(37)는, 로프체(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실시 형태 8의 각 코어 로프(23)에서는, 12개의 코어 스트랜드(26)가 이용되어 있다. 또한, 실시 형태 8의 제1 스트랜드층(29)에서는, 24개의 제1 외층 스트랜드(30)가 이용되어 있다.
각 코어 섬유 다발(24)의 중심에 중심 스트랜드(37)가 마련되어 있는 것, 코어 스트랜드(26)의 개수, 및 제1 외층 스트랜드(30)의 개수를 제외하고, 벨트(7)의 구성은,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벨트(7)의 제조 방법, 및 엘리베이터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벨트(7),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의해서,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코어 섬유 다발(24)을 형성할 때에, 중심 스트랜드(37)를 중심으로 하여, 중심 스트랜드(37)의 주위에 코어 섬유 다발(24)을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코어 섬유 다발(24)의 단면 형상을 용이하게 원형으로 할 수 있고, 로프체(21)의 단면 형상을 용이하게 원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각 중심선 부재로서 중심 스트랜드(37)가 이용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7)의 유연성을 더 높일 수 있다.
실시 형태 9.
다음으로, 도 16은, 실시 형태 9에 의한 벨트(7)의 단면도이며, 벨트(7)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 형태 9의 각 로프체(21)에서는, 실시 형태 4의 코어 섬유 다발(24)의 중심에, 실시 형태 7과 마찬가지의 중심 스트랜드(37)가 마련되어 있다. 각 중심 스트랜드(37)는, 로프체(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실시 형태 9의 각 코어 로프(23)에서는, 8개의 코어 스트랜드(26)가 이용되어 있다. 또한, 실시 형태 9의 제2 스트랜드층(33)에서는, 28개의 제2 외층 스트랜드(34)가 이용되어 있다.
각 코어 섬유 다발(24)의 중심에 중심 스트랜드(37)가 마련되어 있는 것, 코어 스트랜드(26)의 개수, 및 제2 외층 스트랜드(34)의 개수를 제외하고, 벨트(7)의 구성은, 실시 형태 4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벨트(7)의 제조 방법, 및 엘리베이터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벨트(7),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의해서, 실시 형태 4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코어 섬유 다발(24)을 형성할 때에, 중심 스트랜드(37)를 중심으로 하여, 중심 스트랜드(37)의 주위에 코어 섬유 다발(24)을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코어 섬유 다발(24)의 단면 형상을 용이하게 원형으로 할 수 있고, 로프체(21)의 단면 형상을 용이하게 원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각 중심선 부재로서 중심 스트랜드(37)가 이용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7)의 유연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코어 로프(23)의 외측에, 3층 이상의 고강도 섬유 다발의 층과, 3층 이상의 스트랜드층이 마련되어도 된다.
실시 형태 10.
다음으로, 도 17은, 실시 형태 10에 의한 벨트(7)의 단면도이며, 벨트(7)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 형태 10의 각 로프체(21)에서는, 코어 섬유 다발(24)과, 복수개의 코어선 부재(25)의 층과의 사이에, 코어 수지층(39)이 개재되어 있다.
코어 수지층(39)의 재료로서는, 내마모성이 높고, 저마찰성을 가지는 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이 이용되어 있다.
코어 섬유 다발(24)의 외주에 코어 수지층(39)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벨트(7)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벨트(7)의 제조 방법, 및 엘리베이터의 구성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벨트(7),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의해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코어 섬유 다발(24)과 복수개의 코어선 부재(25)의 층과의 경계에, 코어 수지층(39)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복수개의 코어선 부재(25)와의 접촉에 의한 코어 섬유 다발(24)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2~9에서, 코어 섬유 다발(24)의 외주에 코어 수지층(39)을 마련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3, 4, 8, 9에서, 제1 외주 섬유층(28)의 외주에, 코어 수지층(39)과 마찬가지의 제1 외주 수지층을 마련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4, 9에서, 제2 외주 섬유층(32)의 외주에, 코어 수지층(39)과 마찬가지의 제2 외주 수지층을 마련해도 된다.
실시 형태 11.
다음으로, 도 18은, 실시 형태 11에 의한 벨트(7)의 로프체(21)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벨트(7) 전체의 단면은, 도 13과 마찬가지이다.
실시 형태 11의 각 중심 스트랜드(37)의 중심에는, 중심 섬유심(4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각 코어 스트랜드(26)의 중심에는, 스트랜드 섬유심(41)이 마련되어 있다. 각 중심 섬유심(40) 및 각 스트랜드 섬유심(41)은, 각각 코어 섬유 다발(24)과 마찬가지의 고강도 섬유 다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중심 스트랜드(37)는, 중심 섬유심(40)과, 6개의 중심 스트랜드 소선(38)을 가지고 있다. 6개의 중심 스트랜드 소선(38)은, 중심 섬유심(40)의 외주에 서로 꼬여져 있다.
각 코어 스트랜드(26)는, 스트랜드 섬유심(41)과, 6개의 코어 소선(27)을 가지고 있다. 6개의 코어 소선(27)은, 스트랜드 섬유심(41)의 외주에 서로 꼬여져 있다.
각 중심 스트랜드(37)의 구성과 각 코어 스트랜드(26)의 구성을 제외하고, 벨트(7)의 구성은, 실시 형태 7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벨트(7)의 제조 방법, 및 엘리베이터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벨트(7),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의해서, 실시 형태 7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각 중심 스트랜드(37)의 중심에는, 중심 섬유심(4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각 코어 스트랜드(26)의 중심에는, 스트랜드 섬유심(41)이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벨트(7)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질량비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트랜드 섬유심(41)은, 반드시 모든 코어 스트랜드(26)에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즉, 스트랜드 섬유심(41)은, 적어도 1개의 코어 스트랜드(26)에 마련하면 된다.
또한, 실시 형태 2~4, 6, 8, 9에서, 적어도 1개의 코어 스트랜드(26)의 중심에, 스트랜드 섬유심(41)을 마련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3, 4, 8, 9에서, 적어도 1개의 제1 외층 스트랜드(30)의 중심에, 고강도 섬유 다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제1 외층 섬유심을 마련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4, 9에서, 적어도 1개의 제2 외층 스트랜드(34)의 중심에, 고강도 섬유 다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제2 외층 섬유심을 마련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8, 9에서, 중심 스트랜드(37)의 중심에 중심 섬유심(40)을 마련해도 된다.
또한, 스트랜드의 중심에 섬유심을 마련하는 경우, 수지층과, 그 주위의 복수개의 소선의 층과의 사이에, 실시 형태 10의 코어 수지층(39)과 마찬가지의 심수지층을 개재시켜도 된다. 이것에 의해, 섬유심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2.
다음으로, 도 19는, 실시 형태 12에 의한 벨트(7)의 로프체(21)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벨트(7) 전체의 단면은, 도 7과 거의 마찬가지이다.
실시 형태 12의 각 코어 로프(23)에서는, 12개의 코어 스트랜드(26)가 이용되어 있다. 각 제1 스트랜드층(29)에서는, 8개의 제1 외층 스트랜드(30)가 이용되어 있다. 각 코어 스트랜드(26)의 지름은, 각 제1 외층 스트랜드(30)의 지름보다도 작다. 코어 스트랜드(26)의 개수는, 제1 외층 스트랜드(30)의 개수보다도 많다.
각 제1 외층 스트랜드(30)는, 19개의 제1 외층 소선(3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제1 외층 스트랜드(30)는, 1개의 제1 중심 소선과, 9개의 제1 중간 소선과, 9개의 제1 외주 소선을 가지고 있다.
제1 중심 소선은, 제1 외층 스트랜드(30)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외층 소선(31)이다. 각 제1 중간 소선은, 제1 중심 소선의 외주에 서로 꼬여져 있는 제1 외층 소선(31)이다. 각 제1 외주 소선은, 9개의 제1 중간 소선의 층의 외주에 서로 꼬여져 있는 제1 외층 소선(31)이다.
각 제1 중간 소선의 지름은, 제1 중심 소선의 지름보다도 작고, 또한 제1 외주 소선의 지름보다도 작다. 모든 코어 소선(27)의 지름은, 어느 제1 외층 소선(31)의 지름보다도 작다.
코어 섬유 다발(24)을 구성하는 고강도 섬유 다발, 및 제1 외주 섬유층(28)을 구성하는 고강도 섬유 다발은, 각각 복수개의 얀(50)을 묶어서 구성되어 있다. 각 얀(50)의 지름은, 약 1mm이다.
도 20은, 도 19의 로프체(21)를 구성하는 복수의 층을 각각 노출시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복수개의 얀(50)은, 로프체(21)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21은, 도 20의 얀(50)의 제1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얀(50)의 제2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각 얀(50)은, 복수개의 고강도 섬유 필라멘트(51)를 묶어서 구성되어 있다. 고강도 섬유 필라멘트(51)는, 고강도 섬유의 최소 단위의 실이다. 각 고강도 섬유 필라멘트(51)의 지름은, 수μm~수십μm이다.
제1 예에서는, 복수개의 고강도 섬유 필라멘트(51)는, 로프체(21)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2 예에서는, 복수개의 고강도 섬유 필라멘트(51)는, 서로 꼬여져 있다.
도 19에 나타낸 각 로프체(21)의 단면 구성을 제외하고, 벨트(7)의 구성은,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벨트(7)의 제조 방법, 및 엘리베이터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벨트(7),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의해서,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고강도 섬유 다발이 복수개의 얀(50)을 묶어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얀(50)에 묶여 있지 않은 복수개의 고강도 섬유 필라멘트(51)를 취급하는 경우에 비하여, 코어 섬유 다발(24) 및 제1 외주 섬유층(28)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얀(50)은, 로프체(21)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벨트(7) 전체의 길이 방향의 탄성률이 높아져, 벨트(7)의 늘어남을 억제할 수 있다.
단, 벨트(7)를 굽혀지면, 로프체(21)의 단면 중심보다도, 굽힘 방향의 내측의 얀(50)에는 압축 응력이 걸려, 고강도 섬유 다발 전체에 균등하게 하중이 걸리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12의 벨트(7)는, 로프체(21)가 비교적 얇은 경우에 유효하다. 또한, 실시 형태 12의 벨트(7)는, 구동 쉬브(5)의 지름 D와 로프체(21)의 지름 d와의 비, 즉 굽힘 반경 비율 D/d가 큰 엘리베이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예와 같이, 복수개의 고강도 섬유 필라멘트(51)가, 로프체(21)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 고강도 섬유 다발로서의 효과를 보다 크게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제2 예와 같이, 복수개의 고강도 섬유 필라멘트(51)가 서로 꼬여져 있는 경우, 복수개의 고강도 섬유 필라멘트(51)의 길이를 동일하게 할 필요가 없어, 얀(50)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3.
다음으로, 도 23은, 실시 형태 13에 의한 벨트(7)의 로프체(21)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로프체(21)를 구성하는 복수의 층을 각각 노출시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실시 형태 13에서는, 복수개의 얀(50)은, 각각 꼬여져 있다.
또한, 코어 섬유 다발(24) 및 제1 외주 섬유층(28)은, 복수개의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5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52)는, 복수개의 얀(50)을 서로 꼬아서 구성되어 있다.
도 23에서는, 제1 외주 섬유층(28)은, 8개의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5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코어 섬유 다발(24)은, 1개의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5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고강도 섬유 다발이 복수개의 얀(50)을 묶어서 구성되어 있는 것, 및 복수개의 얀(50)이 꼬여 있는 것을 제외하고, 벨트(7)의 구성은,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벨트(7)의 제조 방법, 및 엘리베이터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벨트(7),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의해서,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고강도 섬유 다발이 복수개의 얀(50)을 묶어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코어 섬유 다발(24) 및 제1 외주 섬유층(28)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얀(50)이 꼬여 있기 때문에, 고강도 섬유 다발에 생기는 압축 응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고강도 섬유 다발의 재료로서, 비교적 압축에 약한 재료가 이용되어 있는 경우에도, 각 고강도 섬유 필라멘트(51)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코어 섬유 다발(24) 및 제1 외주 섬유층(28)을 구성하는 고강도 섬유 다발은, 복수개의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5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얀(50)을 서로 꼬는 것에 의해,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52) 전체에 하중을 분담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얀(50)을 서로 꼬는 것에 의해,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52)의 길이 방향의 도중에 얀(50)의 이음매가 있어도, 로프체(21) 전체로서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얀(50)이 로프체(21)의 전체 길이에 걸쳐 끊김 없이 연결되어 있을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얀(50)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즉, 각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52)에는,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52)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얀(50)을 맞붙이는 복수의 이음매가 있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12, 13에서, 각 얀(50)은, 얀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얀(50)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얀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방법으로서는, 복수개의 고강도 섬유 필라멘트(51)의 다발에 얀 수지를 함침시키고, 단면이 원형이 되도록 성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고강도 섬유 필라멘트(51)의 다발의 외주에, 얀 수지를 피복하고, 단면이 원형이 되도록 성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얀 수지로서는, 각 로프체(21)의 유연성, 및 벨트(7) 전체로서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요성 수지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 수지로서는, 에폭시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가요성 수지는, 외력을 받았을 때에, 파괴되지 않고,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
얀 수지로서의 에폭시 수지는, 액상의 주제(主劑)를, 혼합제와 혼합하여 경화된 고체이다. 주제는, 에폭시 화합물, 및 에폭시화 폴리 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에폭시 화합물의 분자에는, 폴리옥시알킬렌 결합, 및 우레탄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과, 2개 이상의 에폭시기가 포함된다. 에폭시화 폴리 부타디엔의 분자에는, 2개 이상의 에폭시기가 포함된다.
얀 수지로서 우레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내가수분해성의 관점에서, 에테르계 우레탄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테르계 우레탄 수지로서는, 에테르계 폴리올을, 각종 폴리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경화시킨 것을 들 수 있다. 에테르계 폴리올로서는, 폴리 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이 이용된다.
이러한 에폭시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얀(50)을 용이하게 원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고강도 섬유 필라멘트(51)와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경화 후의 가요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얀(50) 중 일부의 얀(50)만이, 얀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즉, 적어도 1개의 얀(50)이, 얀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되어 있으면 된다.
실시 형태 14.
다음으로, 도 25는, 실시 형태 14에 의한 벨트(7)의 로프체(21)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14에서는, 각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52)의 외주가, 수지제의 스트랜드 피복체(53)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스트랜드 피복체(53)의 재료로서는, 내마모성이 높고, 저마찰성을 가지는 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이 이용되어 있다.
각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52)의 외주가, 수지제의 스트랜드 피복체(53)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벨트(7)의 구성은, 실시 형태 13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벨트(7)의 제조 방법, 및 엘리베이터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벨트(7),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의해서, 실시 형태 13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각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52)의 외주가, 수지제의 스트랜드 피복체(53)에 의해 피복되어 있으므로, 각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52)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52) 중 일부의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52)에만, 스트랜드 피복체(53)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즉, 적어도 1개의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52)가, 스트랜드 피복체(53)에 의해 피복되어 있으면 된다.
실시 형태 15.
다음으로, 도 26은, 실시 형태 15에 의한 벨트(7)의 로프체(21)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15에서는, 각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52)가, 외주로부터 압축 가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52)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의 형상이, 이형화되어 원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외주 섬유층(28)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개의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52)는, 스트랜드 피복체(53)에 의해서 함께 피복되어 있다. 코어 섬유 다발(24)을 구성하고 있는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52)에는, 스트랜드 피복체(53)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도 26에 나타낸 각 로프체(21)의 단면 구성을 제외하고, 벨트(7)의 구성은, 실시 형태 14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벨트(7)의 제조 방법, 및 엘리베이터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벨트(7),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의해서, 실시 형태 14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각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52)의 단면 형상이 이형화되어 원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강도 섬유의 충전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52) 중 일부의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52)만의 단면 형상이 이형화되어 원형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즉, 적어도 1개의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52)의 단면 형상이 이형화되어 원형으로 되어 있으면 된다.
실시 형태 16.
다음으로, 도 27은, 실시 형태 16에 의한 벨트(7)의 로프체(21)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16에서는, 각 제1 외층 스트랜드(30)가, 외주로부터 압축 가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제1 외층 스트랜드(30)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의 형상이, 이형화되어 원형으로 되어 있다.
실시 형태 16의 각 코어 로프(23)에서는, 12개의 코어 스트랜드(26)가 이용되어 있다. 각 제1 스트랜드층(29)에서는, 20개의 제1 외층 스트랜드(30)가 이용되어 있다. 각 코어 스트랜드(26)의 지름은, 각 제1 외층 스트랜드(30)의 지름보다도 작다.
각 제1 외층 스트랜드(30)는, 실시 형태 12와 마찬가지로, 19개의 제1 외층 소선(3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제1 외층 스트랜드(30)는, 1개의 제1 중심 소선과, 9개의 제1 중간 소선과, 9개의 제1 외주 소선을 가지고 있다.
도 27에 나타낸 각 로프체(21)의 단면 구성을 제외하고, 벨트(7)의 구성은,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벨트(7)의 제조 방법, 및 엘리베이터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벨트(7),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의해서,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각 제1 외층 스트랜드(30)의 단면 형상이 이형화되어 원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외주 섬유층(28)에 대한 각 제1 외층 스트랜드(30)의 접촉면압이 저하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외주 섬유층(28)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1 외층 스트랜드(30) 중 일부의 제1 외층 스트랜드(30)만의 단면 형상이 이형화되어 원형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즉, 적어도 1개의 제1 외층 스트랜드(30)의 단면 형상이 이형화되어 원형으로 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실시 형태 3 이외의 복수개의 제1 외층 스트랜드(30)를 포함하는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1개의 제1 외층 스트랜드(30)의 단면 형상이 이형화되어 원형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 형태 17.
다음으로, 도 28은, 실시 형태 17에 의한 벨트(7)의 로프체(21)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17에서는, 각 코어 스트랜드(26)가, 외주로부터 압축 가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코어 스트랜드(26)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의 형상이, 이형화되어 원형으로 되어 있다.
도 28에 나타낸 각 로프체(21)의 단면 구성을 제외하고, 벨트(7)의 구성은, 실시 형태 16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벨트(7)의 제조 방법, 및 엘리베이터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벨트(7),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의해서, 실시 형태 16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각 코어 스트랜드(26)의 단면 형상이 이형화되어 원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외주 섬유층(28)에 대한 각 코어 스트랜드(26)의 접촉면압이 저하한다. 또한, 코어 섬유 다발(24)에 대한 각 코어 스트랜드(26)의 접촉면압이 저하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외주 섬유층(28) 및 코어 섬유 다발(24)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코어 스트랜드(26) 중 일부의 코어 스트랜드(26)만의 단면 형상이 이형화되어 원형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즉, 적어도 1개의 코어 스트랜드(26)의 단면 형상이 이형화되어 원형으로 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실시 형태 16 이외의 복수개의 코어 스트랜드(26)를 포함하는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1개의 코어 스트랜드(26)의 단면 형상이 이형화되어 원형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복수개의 제2 외층 스트랜드(34)를 포함하는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1개의 제2 외층 스트랜드(34)의 단면 형상이 이형화되어 원형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복수개의 중심 스트랜드(37)를 포함한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1개의 중심 스트랜드(37)의 단면 형상이 이형화되어 원형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 형태 18.
다음으로, 도 29는, 실시 형태 18에 의한 벨트(7)의 단면도이며, 벨트(7)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 형태 18의 벨트(7)에서는, 복수개의 로프체(21)에, 서로 단면이 다른 2 종류 이상의 로프체(21)가 포함되어 있다. 단면이 다르다는 것은, 단면의 지름, 및 단면 구조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이 다르다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복수개의 로프체(21)에, 서로 지름이 다른 2 종류의 로프체(21)가 포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벨트(7)의 폭 방향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는 4개의 로프체(21)의 각각의 지름이, 벨트(7)의 폭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6개의 로프체(21)의 각각의 지름보다도 작다.
서로 지름이 다른 2 종류의 로프체(21)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벨트(7)의 구성은, 실시 형태 1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벨트(7)의 제조 방법, 및 엘리베이터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벨트(7),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의해서, 실시 형태 11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도 3및 도 4와 같이, 산부(5b)가 형성되어 있는 구동 쉬브(5)에 벨트(7)가 감아 걸려진 경우, 벨트(7)의 폭 방향의 위치에 따라서 복수개의 로프체(21)의 각각에 걸리는 장력이 다르다. 이러한 경우, 벨트(7)의 폭 방향의 위치에 따라서, 단면이 다른 로프체(21)를 배치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해, 각 로프체(21)의 하중 분담을 균등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로프체(21)에, 서로 지름이 다른 3 종류 이상의 로프체(21)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1~17으로부터 선택한 복수 종류의 로프체(21)를 조합시켜, 공통의 벨트(7) 내에 배치하여도 된다.
실시 형태 19.
다음으로, 도 30은, 실시 형태 19에 의한 벨트(7)의 단면도이며, 벨트(7)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 형태 19의 벨트(7)는, 8개의 로프체(21)를 가지고 있다.
8개의 로프체(21)를, 벨트(7)의 폭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순서대로, 제1 로프체, 제2 로프체 … 제8 로프체로 한다. 이 때, 제2 로프체와 제3 로프체와의 간격, 및 제6 로프체와 제7 로프체의 간격은, 그 외의 서로 이웃하는 로프체(21)의 간격보다도 크다. 즉, 벨트(7)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로프체(21)의 간격에는, 서로 다른 2개의 간격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벨트(7)에 3개 이상의 로프체(21)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서로 이웃하는 로프체(21)의 간격에는, 서로 다른 복수의 간격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서로 이웃하는 로프체(21)의 간격이 변화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벨트(7)의 구성은, 실시 형태 1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벨트(7)의 제조 방법, 및 엘리베이터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벨트(7),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의해서, 실시 형태 11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로프체(21)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산부(5b)가 형성되어 있는 구동 쉬브(5)에 벨트(7)가 감아 걸려진 경우에도, 각 로프체(21)의 하중 분담을 균등화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로프체(21)의 간격에는, 서로 다른 3개 이상의 간격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서로 단면이 다른 복수 종류의 로프체(21)를 조합시켜, 공통의 벨트(7) 내에 배치하고, 또한 서로 이웃하는 로프체(21)의 간격을 변화시켜도 된다. 즉, 실시 형태 18과 실시 형태 19를 조합시켜 실시하여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1~19에서, 복수개의 로프체(21)에 포함되어 있는 강제의 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도금이 입혀져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코어선 부재(25)에 도금이 입혀져 있어도 된다. 또한, 코어 스트랜드(26), 제1 외층 스트랜드(30), 제2 외층 스트랜드(34), 및 중심 스트랜드(37)를 구성하고 있는 소선에 도금이 입혀져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강제의 부재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2~1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얀(50)을 묶어서 이루어지는 고강도 섬유 다발은, 실시 형태 1~11, 16~19의 고강도 섬유 다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서, 로프체(21)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서, 고강도 섬유의 양, 코어선 부재의 개수, 스트랜드의 개수, 및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소선의 개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벨트(7)에는, 실시 형태 1~19에서 나타낸 로프체(21) 이외의 강도 부재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타입은, 도 1의 타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2:1 로핑 방식이어도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의 엘리베이터 등이어도 된다.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은, 상부 엘리베이터 칸과, 상부 엘리베이터 칸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 하부 엘리베이터 칸이, 각각 독립하여 공통의 승강로를 승강하는 방식이다.
또한, 실시 형태 1~19에서는, 벨트(7)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8)을 매다는 현가체로서 이용되어 있다. 그러나, 벨트(7)의 용도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벨트(7)는, 엘리베이터의 거버너 로프 또는 컴펜세이팅체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벨트(7)는, 엘리베이터 이외의 장치, 예를 들면 크레인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3: 권상기
5: 구동 쉬브
7: 벨트 8: 엘리베이터 칸
9: 균형추 11: 컴펜세이팅체
21: 로프체 22: 로프 피복체
23: 코어 로프 24: 코어 섬유 다발
25: 코어선 부재 26: 코어 스트랜드(코어선 부재)
27: 코어 소선 28: 제1 외주 섬유층
29: 제1 스트랜드층 30: 제1 외층 스트랜드
31: 제1 외층 소선 32: 제2 외주 섬유층
33: 제2 스트랜드층 34: 제2 외층 스트랜드
35: 제2 외층 소선 36: 중심선 부재
37: 중심 스트랜드(중심선 부재) 38: 중심 스트랜드 소선
39: 코어 수지층 40: 중심 섬유심
41: 스트랜드 섬유심 50: 얀
52: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 53: 스트랜드 피복체
7: 벨트 8: 엘리베이터 칸
9: 균형추 11: 컴펜세이팅체
21: 로프체 22: 로프 피복체
23: 코어 로프 24: 코어 섬유 다발
25: 코어선 부재 26: 코어 스트랜드(코어선 부재)
27: 코어 소선 28: 제1 외주 섬유층
29: 제1 스트랜드층 30: 제1 외층 스트랜드
31: 제1 외층 소선 32: 제2 외주 섬유층
33: 제2 스트랜드층 34: 제2 외층 스트랜드
35: 제2 외층 소선 36: 중심선 부재
37: 중심 스트랜드(중심선 부재) 38: 중심 스트랜드 소선
39: 코어 수지층 40: 중심 섬유심
41: 스트랜드 섬유심 50: 얀
52: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 53: 스트랜드 피복체
Claims (36)
-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을 보았을 때,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로프체, 및
상기 복수개의 로프체를 덮고 있는 로프 피복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로프체는, 각각 코어 로프를 가지고 있고,
각 상기 코어 로프는,
1개 또는 복수의 꼬여진 고강도 섬유 다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코어 섬유 다발과,
상기 코어 섬유 다발의 외주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개의 강제(鋼製)의 코어선 부재를 가지고 있는 벨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상기 코어선 부재는, 코어 스트랜드이며,
상기 코어 스트랜드는, 서로 꼬여져 있는 복수개의 강제의 코어 소선을 포함하고 있는 벨트. - 청구항 2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상기 코어 스트랜드의 중심에는, 고강도 섬유 다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스트랜드 섬유심이 마련되어 있는 벨트.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상기 코어 스트랜드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의 형상은, 이형화(異形化)되어 원형으로 되어 있는 벨트.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상기 로프체는,
상기 코어 로프의 외주에 마련되어 있고, 고강도 섬유 다발로 구성되어 있는 제1 외주 섬유층과,
상기 제1 외주 섬유층의 외주에 마련되어 있는 제1 스트랜드층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스트랜드층은, 복수개의 제1 외층 스트랜드를 가지고 있고,
각 상기 제1 외층 스트랜드는, 서로 꼬여져 있는 복수개의 강제의 제1 외층 소선을 포함하고 있는 벨트. - 청구항 5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상기 제1 외층 스트랜드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의 형상은, 이형화되어 원형으로 되어 있는 벨트. -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로프체는,
상기 제1 스트랜드층의 외주에 마련되어 있고, 고강도 섬유 다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제2 외주 섬유층과,
상기 제2 외주 섬유층의 외주에 마련되어 있는 제2 스트랜드층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스트랜드층은, 복수개의 제2 외층 스트랜드를 가지고 있고,
각 상기 제2 외층 스트랜드는, 서로 꼬여져 있는 복수개의 강제의 제2 외층 소선을 포함하고 있는 벨트. - 청구항 7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상기 제2 외층 스트랜드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의 형상은, 이형화되어 원형으로 되어 있는 벨트.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상기 코어 로프는, 상기 코어 섬유 다발의 중심에 마련되어 있는 강제의 중심선 부재를 더 가지고 있는 벨트. - 청구항 9에 있어서,
각 상기 중심선 부재는, 중심 스트랜드이며,
각 중심 스트랜드는, 서로 꼬여져 있는 복수개의 강제의 중심 스트랜드 소선을 포함하고 있는 벨트.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중심 스트랜드의 중심에는, 고강도 섬유 다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중심 섬유심이 마련되어 있는 벨트.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상기 코어 로프는, 상기 코어 섬유 다발과 상기 복수개의 코어선 부재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코어 수지층을 더 가지고 있는 벨트.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섬유 다발은, 복수개의 얀(yarn)을 묶어 구성되어 있는 벨트.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얀은, 각각 상기 로프체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벨트.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얀은, 각각 꼬여져 있는 벨트.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섬유 다발은, 복수개의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각 상기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는, 복수개의 얀을 꼬아서 구성되어 있는 벨트. - 청구항 16에 있어서,
각 상기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는, 상기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얀을 맞붙이는 복수의 이음매가 있는 벨트. -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상기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의 외주는, 수지제(樹脂製)의 스트랜드 피복체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벨트. -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상기 고강도 섬유 스트랜드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단면의 형상은, 이형화되어 원형으로 되어 있는 벨트. -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상기 얀은, 얀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되어 있는 벨트. -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얀 수지로서, 가요성 수지가 이용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 수지로서는, 에폭시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가 이용되어 있는 벨트. -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얀 수지로서, 에폭시 수지가 이용되어 있고,
상기 에폭시 수지는, 액상의 주제(主劑)를, 혼합제와 혼합하여 경화된 고체이며,
상기 주제는, 에폭시 화합물, 및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어 있고,
상기 에폭시 화합물의 분자에는, 폴리옥시알킬렌 결합, 및 우레탄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과, 2개 이상의 에폭시기가 포함되고,
상기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의 분자에는, 2개 이상의 에폭시기가 포함되는 벨트.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섬유 다발의 재료로서, 탄소 섬유, 글래스 섬유, 폴리파라페닐렌벤즈옥사졸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아릴레이트 섬유, 및 바사르트(basalt)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섬유가 이용되어 있는 벨트.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피복체는, 엘라스토머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벨트. -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로프 피복체는, 난연제(難燃劑)를 포함하고 있는 벨트.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로프체에 포함되어 있는 강제의 부재의 적어도 일부에는, 도금이 입혀져 있는 벨트.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로프체에는, 서로 단면이 다른 2종류 이상의 상기 로프체가 포함되어 있는 벨트.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로프체에는, 3개 이상의 상기 로프체가 포함되어 있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로프체의 간격에는, 서로 다른 복수의 간격이 포함되어 있는 벨트.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벨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로프체에 균일한 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로프체에 상기 로프 피복체를 연속적으로 피복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벨트의 제조 공정. - 엘리베이터 칸, 및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벨트를 포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은, 상기 벨트에 의해서 매달려 있는 엘리베이터. - 청구항 31에 있어서,
구동 쉬브를 가지고 있는 권상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 쉬브의 외주에는, 2개 이상의 상기 벨트가, 상기 구동 쉬브의 축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감아 걸려 있는 엘리베이터. -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구동 쉬브의 각 상기 벨트가 접하는 부분의 직경은, 상기 벨트의 폭 방향의 중앙부가 상기 벨트의 폭 방향의 양단부보다도, 상기 구동 쉬브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변화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 청구항 32 또는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구동 쉬브의 직경은, 상기 복수개의 로프체의 최대 지름의 40배 이하인 엘리베이터. - 청구항 32 내지 청구항 3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에 의해서 매달려 있는 균형추,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균형추와의 사이에 매달려 있는 컴펜세이팅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컴펜세이팅체의 총 중량은, 전체의 상기 벨트의 총 중량의 1/2 이하인 엘리베이터. - 청구항 31 내지 청구항 3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행정은, 75미터 이상인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20/032417 WO2022044213A1 (ja) | 2020-08-27 | 2020-08-27 | ベルト、その製造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9708A true KR20230039708A (ko) | 2023-03-21 |
Family
ID=80354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05402A KR20230039708A (ko) | 2020-08-27 | 2020-08-27 | 벨트, 그 제조 방법, 및 엘리베이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7357803B2 (ko) |
KR (1) | KR20230039708A (ko) |
CN (1) | CN115956059A (ko) |
DE (1) | DE112020007544T5 (ko) |
WO (1) | WO202204421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389669A1 (en) * | 2022-12-22 | 2024-06-26 | Wittur Holding GmbH | Suspension means for a traction sheave elevato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13682B2 (ja) | 2008-01-18 | 2015-05-07 | コネ コーポレイションKone Corporation | 巻上げ機のロープ、エレベータおよび用途 |
JP2018177535A (ja) | 2017-04-20 | 2018-11-15 |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Otis Elevator Company | エレベータシステム用のベルト、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1596U (ko) * | 1986-07-08 | 1988-01-26 | ||
JPH0642119Y2 (ja) * | 1988-10-25 | 1994-11-02 |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 平ベルト |
JPH10140490A (ja) * | 1996-11-13 | 1998-05-26 | Tokyo Seiko Co Ltd | 繊維芯入りワイヤロープ |
EP0948453B1 (en) | 1996-12-30 | 2003-03-19 | Kone Corporation | Elevator rope arrangement |
FR2783585B1 (fr) * | 1998-09-23 | 2000-11-17 | Trefileurope | Cable mixte a ame synthetique pour le levage ou de traction |
ITMI20072281A1 (it) * | 2007-12-05 | 2009-06-06 | Redaelli Tecna S P A Div Teci | Fune metallica a caratteristiche migliorate |
EP2573257B1 (en) | 2010-05-17 | 2017-11-08 | Kiswire Ltd. | Hybrid rop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
EP2634130A1 (en) | 2010-10-27 | 2013-09-04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Rope for elevator |
CN104583112B (zh) | 2012-08-29 | 2018-11-20 | 三菱电机株式会社 | 电梯用绳索以及使用该绳索的电梯装置 |
JP6131869B2 (ja) | 2014-01-29 | 2017-05-24 |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主索 |
JP6305659B2 (ja) * | 2016-02-10 | 2018-04-04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ロ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
DE112018007311T5 (de) | 2018-03-19 | 2020-12-10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Aufzugseil |
-
2020
- 2020-08-27 WO PCT/JP2020/032417 patent/WO202204421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08-27 CN CN202080103308.2A patent/CN115956059A/zh active Pending
- 2020-08-27 KR KR1020237005402A patent/KR20230039708A/ko unknown
- 2020-08-27 DE DE112020007544.3T patent/DE112020007544T5/de active Pending
- 2020-08-27 JP JP2022545164A patent/JP7357803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13682B2 (ja) | 2008-01-18 | 2015-05-07 | コネ コーポレイションKone Corporation | 巻上げ機のロープ、エレベータおよび用途 |
JP2018177535A (ja) | 2017-04-20 | 2018-11-15 |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Otis Elevator Company | エレベータシステム用のベルト、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WO2022044213A1 (ko) | 2022-03-03 |
WO2022044213A1 (ja) | 2022-03-03 |
JP7357803B2 (ja) | 2023-10-06 |
CN115956059A (zh) | 2023-04-11 |
DE112020007544T5 (de) | 2023-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610043B2 (en) | Rope with fiber core and method of forming same | |
AU756246B2 (en) | Stranded synthetic fiber rope | |
CA2290130C (en) | Sheathless synthetic fiber rope | |
US6508051B1 (en) | Synthetic fiber rope to be driven by a rope sheave | |
TWI420009B (zh) | 合成纖維纜索及其製造方法、具有此合成纖維纜索之升降設備及升降機用支承驅動構件 | |
KR101088325B1 (ko) | 마찰 결합 동력 전달을 위한 보강재를 갖는 합성 섬유 로프 및 확실한 결합 동력 전달을 위한 보강재를 갖는 합성 섬유 로프 | |
CN100373075C (zh) | 增强的电梯合成缆索和制作方法及具有这种缆索的电梯 | |
CN102459052B (zh) | 电梯用绳索及其制造方法 | |
KR20040068185A (ko) |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 장치 | |
JP6305659B2 (ja) | エレベータロ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 |
US20180362300A1 (en) | Elevator rop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JP2010504264A (ja) | エレベータ装置のための懸垂及び牽引要素、及びエレベータ装置 | |
CN109024018B (zh) | 包括纤维的皮带 | |
JP7357803B2 (ja) | ベルト、その製造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 | |
WO2022085085A1 (ja) | 高強度繊維集合体、ロープ、ロープ構造体 | |
JP7195483B1 (ja) | ロ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ベルト | |
JP7279267B2 (ja) | 複合ストランド、その製造方法、ロープ、ベルト、及びエレベーター | |
JP7551767B2 (ja) | エレベータ用ロ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 |
WO2024154350A1 (ja) | エレベーターロ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ーベルト | |
WO2024089885A1 (ja) | ロ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ベルト | |
KR100830777B1 (ko) |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 장치 | |
KR20200126970A (ko) | 합성 로프 | |
WO2024013793A1 (ja) | エレベーター用ロープ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 |
JP7321390B2 (ja) | エレベータ用ロープ | |
EP2511219A1 (en) | Rope for elevato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