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415B1 - 섬유로프 라운드슬링 - Google Patents

섬유로프 라운드슬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415B1
KR102662415B1 KR1020230173315A KR20230173315A KR102662415B1 KR 102662415 B1 KR102662415 B1 KR 102662415B1 KR 1020230173315 A KR1020230173315 A KR 1020230173315A KR 20230173315 A KR20230173315 A KR 20230173315A KR 102662415 B1 KR102662415 B1 KR 102662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oupled
round sling
outer shell
fiber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3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상동
Original Assignee
천상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상동 filed Critical 천상동
Priority to KR1020230173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4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4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2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12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ir internal structure
    • D07B2201/102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ir internal structure including a cor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4Rope or cable structures twist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24Strands twist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41Stran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47Cores
    • D07B2201/2052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D07B2201/2055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comprising filaments or fibers
    • D07B2201/2057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comprising filaments or fibers resulting in a twisted structur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83Jackets or coverings
    • D07B2201/2089Jackets or coverings comprising wrapped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라운드슬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외피의 내부 수용공간에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트위스트 로프 형태의 코어를 복수 회 감아 설치하여 제조시 길이 및 버팀 하중의 조절이 용이하고, 중량물의 운반, 인양, 하역(이하, '인양'이라 통칭한다.)시 자연스럽게 텐션이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인양이 가능하도록 하며, 외피의 개폐가 가능하여 육안으로 쉽게 자가점검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시 외피를 개방하지 않고 부저음을 발생시키는 진단부재를 통해 자가점검이 가능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는 섬유로프 라운드슬링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섬유로프 라운드슬링{Fiber rope round sling}
본 발명은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라운드슬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외피의 내부 수용공간에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트위스트 로프 형태의 코어를 복수 회 감아 설치하여 제조시 길이 및 버팀 하중의 조절이 용이하고, 중량물의 운반, 인양, 하역(이하, '인양'이라 통칭한다.)시 자연스럽게 텐션이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인양이 가능하도록 하며, 외피의 개폐가 가능하여 육안으로 쉽게 자가점검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시 외피를 개방하지 않고 부저음을 발생시키는 진단부재를 통해 자가점검이 가능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는 섬유로프 라운드슬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운드슬링(Round Sling)이란 고하중체를 견인하는데 사용되는 연결수단을 말하는 것으로, 수 톤에서 수십톤 이상의 고하중체가 사용되는 조선제조, 기계제조, 건설작업현장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금속성 체인으로 이루어진 와이어(wire)가 널리 사용되었지만 그 자체의 하중이 무거워서 자체 하중을 감당하기 위해 더 높은 견인력을 제공하는 재료를 사용해야 하고, 재료가 금속성이기 때문에 운반대상의 표면과 마찰이 발생할 경우 운반대상을 훼손하기 때문에 운반대상을 스크레치 또는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표면작업을 별도로 수행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의 대안으로 고성능 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코어 즉, 심선(core strand)을 반복적으로 권취(winding)시켜 제조된 라운드 슬링이 고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라운드슬링은 물체 즉, 중량물의 하중에 따라 심선을 수십 회 고리 형태로 감은 후 양측 말단을 연결하고 그 외부에 커버를 결합하여 상기 커버가 심선을 감싸 마찰 등에 의한 심선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종래의 라운드슬링은 제작과정 중 심선의 권취과정 시 심선의 회전수가 많아질수록 권취된 심선의 위치와 길이 및 텐션이 일정하지 못함에 따라 편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라운드 슬링을 구성하는 심선이 동일한 길이로 권사되지 않기 때문에 각각의 심선이 담당하는 하중의 크기가 동일하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라운드 슬링의 전체가 담당할 수 있는 최대 하중의 크기 즉, 최대 견인력이 감소하게 되는 등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라운드슬링은 중량물을 취급하는데 사용되므로 커버가 손상되어 심선이 노출되거나 심선이 일부 절단된 경우 중량물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중량물이 추락하는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라운드슬링의 손상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라운드슬링은 손상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심선의 파손여부를 확인해야 하지만, 심선을 통상 개폐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커버가 감싸고 있으므로 육안으로 속심의 손상여부를 확인하기 어렵고, 심선의 유지보수 또한 어려워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7290호(2013.11.04.)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라운드슬링은 권취된 심선의 회전수가 많아질수록 심선의 위치와 길이 및 텐션이 일정하지 못함에 따라 편차가 발생되고, 심선의 손상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워 일부 심선이 절단된 경우 중량물이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외피의 내부 수용공간에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트위스트 로프 형태의 코어를 복수 회 감아 설치하여 심선의 회전수가 종래에 비해 적어 심선의 길이와 텐션이 일정하게 형성되고, 상기 외피에 복수 개의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착탈부가 상기 코어에 구비됨에 따라 코어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한편, 탄소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소선을 통해 코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단부재를 통해 코어의 손상여부를 확인하기 용이하여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섬유로프 라운드슬링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내측(101) 말단과 외측(102) 말단이 결합되어 외측고리를 형성하고, 내부에 수용공간(103)이 형성되며, 내부면(104)에 복수 개의 결합부(110)가 각각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외피(100);와 복수 회 감긴 후 일측 말단과 타측 말단이 연결되어 복수 개의 내측고리(205)를 형성하고, 상기 외피(100)의 수용공간(103)에 설치되되, 상기 복수 개의 결합부(110)에 내측고리(205)가 각각 결합되어 설치되는 코어(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로프 라운드슬링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코어(200)는 내측고리(205)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110)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착탈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결합부(110)는 상기 외피(100)의 원주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일측 말단과 타측 말단이 상기 외피(100)의 내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외피(100)의 원주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 개의 유동가이드(1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착탈부(210)는 상기 유동가이드(112)에 결합되되,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착탈부(210)는 상기 코어(200)의 내측고리(205) 외주연에 결합되는 제1벨크로(212);와 상기 제1벨크로(212)가 상기 내측고리(205) 외주연에 결합된 후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벨크로(212)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동가이드(112)가 관통되는 가이드링(2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코어(200)는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스트랜드(203)를 꼬아서 트위스트 로프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트랜드(203)는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소선(201)을 꼬아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트랜드(203)는 상기 복수 개의 소선(201)의 내측에 위치되는 탄소섬유 재질의 심선(20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외피(100)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단자(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심선(202)은 상기 내측고리(205)의 일측 말단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단자(1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연장부(202a);와 상기 내측고리(205)의 타측 말단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단자(120) 중 다른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2연장부(202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섬유로프 라운드슬링은 상기 한 쌍의 단자(120)에 연결 또는 연결이 해제가능하고, 상기 심선(202)의 단선시 부저가 발생되는 진단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진단부재(300)는 상기 외피(100)의 외부면에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섬유로프 라운드슬링은 외피의 내부면에 복수 개의 결합부를 설치하고, 상기 결합부에 코어의 외주연에 설치된 복수 개의 착탈부가 결합되어 코어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코어가 트위스트 로프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코어의 길이와 텐션이 일정하게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중량물을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가 외피의 원주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상기 착탈부가 상기 결합부를 따라 유동가능하도록 결합됨에 따라 중량물의 인양시 코어가 자연스럽게 당겨지면서 상기 코어가 형성하는 내측고리의 길이가 일정하게 형성되어 텐션의 형성이 용이하여 안정적으로 중량물을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소선을 꼬아서 형성되는 스트랜드와 복수 개의 스트랜드가 꼬아서 트위스트 로프의 형태로 코어가 형성됨에 따라 종래에 비해 상기 코어의 감기는 횟수 즉, 회전수가 적어 중량물의 인양시 코어의 일정한 길이와 텐션의 형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코어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중량물을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트랜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소선의 내부에 탄소섬유 재질의 심선을 설치하고, 외피에 상기 심선과 연결되는 한 쌍의 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심선의 단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어의 손상여부를 확인하기 용이하여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섬유로프 라운드슬링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외피가 개방된 섬유로프 라운드슬링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의한 유동가이드를 나타낸 도 1의 "B" 부분 확대 개략 사시도.
도 5는 도 2의 "D-D"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코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a)(b) 및 사진(c).
도 7은 도 1의 "C" 부분 확대도.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심선과 단자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은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라운드슬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외피(100)의 내부 수용공간(103)에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트위스트 로프 형태의 코어(200)를 복수 회 감아 설치하여 제조시 길이 및 버팀 하중의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종래에 비해 감겨지는 횟수가 적어 중량물의 인양시 코어(200)의 일정한 길이와 텐션의 형성이 용이라고, 코어(200)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인양이 가능하도록 하며, 외피(100)의 개폐가 가능하여 육안으로 쉽게 코어(200)의 자가점검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시 외피(100)를 개방하지 않고 부저음을 발생시키는 진단부재(300)를 단자(120)에 연결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는 섬유로프 라운드슬링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섬유로프 라운드슬링은 내측(101) 말단과 외측(102) 말단이 결합되어 외측고리를 형성하고, 내부에 수용공간(103)이 형성되며, 내부면(104)에 복수 개의 결합부(110)가 각각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외피(100);와 복수 회 감긴 후 일측 말단과 타측 말단이 연결되어 복수 개의 내측고리(205)를 형성하고, 상기 외피(100)의 수용공간(103)에 설치되되, 상기 복수 개의 결합부(110)에 내측고리(205)가 각각 결합되어 설치되는 코어(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코어(200)는 내측고리(205)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110)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착탈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결합부(110)는 상기 외피(100)의 원주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일측 말단과 타측 말단이 상기 외피(100)의 내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외피(100)의 원주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 개의 유동가이드(1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착탈부(210)는 상기 유동가이드(112)에 결합되되,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착탈부(210)는 상기 코어(200)의 내측고리(205) 외주연에 결합되는 제1벨크로(212);와 상기 제1벨크로(212)가 상기 내측고리(205) 외주연에 결합된 후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벨크로(212)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동가이드(112)가 관통되는 가이드링(2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코어(200)는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스트랜드(203)를 꼬아서 트위스트 로프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트랜드(203)는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소선(201)을 꼬아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트랜드(203)는 상기 복수 개의 소선(201)의 내측에 위치되는 탄소섬유 재질의 심선(20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외피(100)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단자(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심선(202)은 상기 내측고리(205)의 일측 말단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단자(1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연장부(202a);와 상기 내측고리(205)의 타측 말단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단자(120) 중 다른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2연장부(202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섬유로프 라운드슬링은 상기 한 쌍의 단자(120)에 연결 또는 연결이 해제가능하고, 상기 심선(202)의 단선시 부저가 발생되는 진단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진단부재(300)는 상기 외피(100)의 외부면에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외피(100)는
내측(101) 말단과 외측(102) 말단이 결합되어 외측고리(도면 미표시)를 형성하고, 내부에 수용공간(103)이 형성되며, 내부면(104)에 복수 개의 결합부(110)가 각각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섬유 재질 또는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코어(200)가 상기 수용공간(103)에 설치되어 중량물을 안정적으로 인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외피(100)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코어(200)가 내부 수용공간(103)에 설치되어 사용될 때, 상기 내측(101) 말단과 외측(102) 말단을 쉽게 분리하여 내부에 설치된 상기 코어(200)의 파손을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내측(101) 말단과 외측(102) 말단은 각각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벨크로 또는 수벨크로 중 어느 하나가 상호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일예로, 상기 내측(101) 말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고리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부면에 암벨크로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102) 말단의 하부면에 수벨크로가 형성되어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외피(100)는 상기 외측(102) 말단에 연장형성되어 외측고리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보조결속부(10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보조결속부(105)는 복수 개가 외측고리의 원주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됨에 따라 본 발명의 외피(100)의 내측(101) 말단과 외측(102) 말단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보조결속부(105)는 말단에 암벨크로 또는 수벨크로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102) 말단은 상기 보조결속부(105)의 벨크로와 대응되는 수벨크로 또는 암벨크로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결속부(105)를 통해 외측고리가 보다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탈부착이 쉬워 내부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일예로, 상기 외측(102) 말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고리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부면에 암벨크로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결속부(105)의 말단 하부면에 수벨크로가 형성되어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110)는 본 발명의 외피(100)의 내부면(104)에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는데,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코어(200)의 착탈부(210)가 결합 또는 분리되어 상기 코어(200)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러한, 상기 결합부(110)는 상기 외피(100)의 원주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일측 말단과 타측 말단이 상기 외피(100)의 내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외피(100)의 원주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 개의 유동가이드(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110) 즉, 상기 유동가이드(112)의 일측 말단 또는 타측 말단은 외측고리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 것이고, 어느 하나가 외피(100)의 내부면(104)에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여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코어(200)의 착탈부(21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유동가이드(112)는 줄의 형태로 형성되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상기 코어(200)의 착탈부(210)가 유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이에 따라 중량물의 인양시 상기 코어(200)가 자연스럽게 유동되어 당겨져 텐션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외피(100)의 내부 수용공간에 설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유동가이드(112)의 일측 말단 또는 타측 말단 중 어느 하나와 외피(100)의 내부면(104)과의 결합 또는 분리는 상기 외피(100)의 내부면에 상기 유동가이드(112)의 일측 말단 또는 타측 말단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고리(도면 미표시)가 형성되어 상기 유동가이드(112)의 일측 말단 또는 타측 말단 중 어느 하나가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설치되어 실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110) 즉, 유동가이드(112)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코어(200)와 마찬가지로 섬유재질로 이루어져 쉽게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외피(100)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단자(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한 쌍의 단자(120)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코어(200)를 이루는 탄소섬유 재질의 심선(202)의 일측 말단과 타측 말단이 각각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진단부재(300)를 통해 파손여부를 쉽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코어(200)는
복수 회 감긴 후 일측 말단과 타측 말단이 연결되어 복수 개의 내측고리(205)를 형성하고, 상기 외피(100)의 수용공간(103)에 설치되되, 상기 복수 개의 결합부(110)에 내측고리(205)가 각각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섬유 재질로 이루어져 인양물의 인양시 자연스럽게 텐션이 형성되고, 파손될 경우 파손된 부분만 절단하여 제거한 후 다시 일측 말단과 타측말단을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코어(200)는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스트랜드(203)를 꼬아서 트위스트 로프의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별도의 기계를 사용하지 않고도 강도가 높은 내측고리(205)를 쉽게 복수 개 형성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한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종래의 라운드슬링은 복수 개의 소선이 복수 회 감겨 수많은 내측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코어를 형성하는데 비해, 본 발명의 코어(200)는 복수 개의 스트랜드(203)를 꼬아서 트위스트 로프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조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어(200)는 종래의 라운드슬링의 코어에 비해 감긴 횟수가 적어 인양물의 인양시 자연스럽게 텐션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예로, 본 발명의 코어(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스트랜드(203) 즉, 8개 또는 12개의 스트랜드(203)를 꼬아서 트위스트 로프의 형태로 형성되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3개 이상의 스트랜드(203)를 꼬아서 트위스트 로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코어(200)는 스트랜드(203)의 갯수가 많을 수록 보다 높은 강도를 형성할 수 있어 중량물의 인양 하중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고, 이는 상기 스트랜드(203)의 갯수가 인양 하중을 결정할 수 있는 하나의 요소로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스트랜드(203)는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소선(201)을 꼬아서 형성되는데, 종래의 일반적인 섬유재질의 실과 같은 형태의 소선(201)이 복수 개 꼬아져 형성됨에 따라 본 발명의 코어(200)의 강도를 보다 안정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코어(200)는 섬유재질의 복수 개의 원사에 의해 제조되는 소선(201)이 복수 개 꼬아져 스트랜드(203)가 형성되고, 상기 스트랜드(203)가 복수 개 꼬아져 형성됨에 따라 보다 안정적인 강도가 형성되며, 종래의 라운드슬링에 비해 적은 횟수로 감겨 내측고리(205)를 형성함으로써, 앞서 설명된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스트랜드(203)는 상기 복수 개의 소선(201)의 내측에 위치되는 탄소섬유 재질의 심선(20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심선(202)은 탄소섬유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스트랜드(203) 즉, 본 발명의 코어(200)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심선(202)은 앞서 설명된 한 쌍의 단자(120)에 각각 일측 말단과 타측 말단이 결합되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진단부재(300)를 통해 전류의 흐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코어(200) 즉, 스트랜드(203)의 파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러한, 상기 심선(202)은 상기 한 쌍의 단자(120)에 일측 말단과 타측 말단이 결합되기 위해 상기 일측 말단과 타측 말단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스트랜드(203) 즉, 상기 코어(200)의 일측 말단과 타측 말단으로 돌출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심선(20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고리(205)의 일측 말단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단자(1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연장부(202a)와, 상기 내측고리(205)의 타측 말단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단자(120) 중 다른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2연장부(202b)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효과를 실현케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코어(200)는 복수 회 감긴 후 일측 말단과 타측 말단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내측고리(205)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앞서 설명된 외피(100)의 결합부(110) 즉, 유동가이드(112)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착탈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착탈부(210)는 상기 유동가이드(112)와 대응되는 갯수와 위치에 형성되어 본 발명의 코어(200)가 외피(100)의 내부 수용공간(103)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착탈부(210)는 상기 코어(200)의 내측고리(205) 외주연에 결합되는 제1벨크로(212)와, 상기 제1벨크로(212)가 상기 내측고리(205) 외주연에 결합된 후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벨크로(212)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동가이드(112)가 관통되는 가이드링(2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착탈부(210)는 상기 유동가이드(112)의 일측 말단 또는 타측 말단이 외피(100)의 내부면(104)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링(214)을 관통하여 상기 코어(200)가 결합부(110) 즉, 상기 유동가이드(112)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착탈부(210)는 상기 유동가이드(112)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코어(200)가 외피(100)의 내부 수용공간(103)에서 유동됨에 따라 중량물의 인양시 자연스럽게 당겨져 텐션이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중량물을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제1벨크로(212)는 상기 내측고리(205) 외주연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일측 말단 외측면에 암벨크로 또는 수벨크로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타측 말단 내측면에 수벨크로 또는 암벨크로 중 어느 하나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코어(200)의 외주연에 결합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제1벨크로(212)는 상기 내측고리(205) 외주연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일측 말단 외측면 외에도 외측면 전체에 걸쳐 암벨크로 또는 수벨크로가 형성되고, 상기 착탈부(210)는 복수 개의 내측고리(205)에 결합된 복수 개의 제1벨크로(212)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2벨크로(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2벨크로(213)는 복수 개의 제1벨크로(212)를 감싸도록 상기 복수 개의 제1벨크로(212)의 외측에 결합됨에 따라 복수 개의 내측고리(205)가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벨크로(213)는 복수 회 감긴 코어(200)를 결합부(110) 즉, 유동가이드(112)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고 있으나, 중량물의 인양시 복수 회 감긴 코어(200) 즉, 복수 개의 내측고리(205)가 당겨짐에 따라 제1벨크로(212)의 위치가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우면 상기 제1벨크로(212)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즉, 상기 제2벨크로(213)는 복수 회 감겨져 형성되는 코어(200)를 상기 결합부(110)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할 뿐 중량물의 인양시 작용하는 코어(200)에 의한 텐션 형성 및 정렬에 크게 관여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섬유로프 라운드슬링은 상기 한 쌍의 단자(120)에 연결 또는 연결이 해제가능하고, 상기 심선(202)의 단선시 부저가 발생되는 진단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진단부재(300)는 전원의 온오프가 가능하여 필요시 전원을 온(On)하여 상기 심선(202)의 단선 여부를 소리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진단부재(300)는 상기 외피(100)의 외부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외피(100)는 외부면에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단자(120)의 근처에 형성되는 암벨크로 또는 수벨크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결합벨크로(도면 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진단부재(300)는 후면에 상기 외피(100)의 외부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벨크로와 대응되는 탈부착벨크로(도면 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진단부재(300)는 상기 외피(100)의 외부면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되거나 분리된 상태에서 필요시 상기 외피(100)의 외부면에 부착 또는 한 쌍의 단자(120)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외피(100)의 외부면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될 때는 중량물의 인양시 파손되지 않도록 주의가 요구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진단부재(300)는 종래에 사용되는 벨테스터 등과 같이 전류가 흐를때 부저가 발생되지 않고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부저가 발생되는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진단부재(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빛이 발생되는 LED와 같은 조명확인등(30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조명확인등(302)은 부저가 작동하지 않거나 상기 부저와 함께 작업자가 위험을 보다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섬유로프 라운드슬링은 복수 개의 스트랜드(203)를 꼬아서 트위스트 로프 형태로 형성되는 코어(200)를 종래에 비해 적은 횟수로 복수 회 감아 외피(100)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하되, 결합부(110)에 착탈부(210)가 유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중량물의 인양시 상기 코어(200)가 안정적으로 당겨져 텐션이 원활하게 형성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중량의 인양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외피(100)를 쉽게 개방하거나 진단부재(300)를 통해 상기 코어(200)의 파손여부를 용이하게 확인가능함으로써, 상기 코어(200)의 파손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코어(200)의 파손 발생시 상기 코어(200)의 파손된 부분을 제거한 후 쉽게 연결하여 사용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외피 101 : 내측
102 : 외측 103 : 수용공간
104 : 내부면 105 : 보조결속부
110 : 결합부 112 : 유동가이드
120 : 단자 200 : 코어
201 : 소선 202 : 심선
202a : 제1연장부 202b : 제2연장부
203 : 스트랜드 205 : 내측고리
210 : 착탈부 212 : 제1벨크로
213 : 제2벨크로 214 : 가이드링
300 : 진단부재

Claims (9)

  1. 내측(101) 말단과 외측(102) 말단이 결합되어 외측고리를 형성하고, 내부에 수용공간(103)이 형성되며, 내부면(104)에 복수 개의 결합부(110)가 각각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외피(100);와
    복수 회 감긴 후 일측 말단과 타측 말단이 연결되어 복수 개의 내측고리(205)를 형성하고, 상기 외피(100)의 수용공간(103)에 설치되되, 상기 복수 개의 결합부(110)에 내측고리(205)가 각각 결합되어 설치되는 코어(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코어(200)는
    내측고리(205)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110)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착탈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110)는
    상기 외피(100)의 원주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일측 말단과 타측 말단이 상기 외피(100)의 내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외피(100)의 원주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 개의 유동가이드(1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착탈부(210)는
    상기 유동가이드(112)에 결합되되,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착탈부(210)는
    상기 코어(200)의 내측고리(205) 외주연에 결합되는 제1벨크로(212);와
    상기 제1벨크로(212)가 상기 내측고리(205) 외주연에 결합된 후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벨크로(212)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동가이드(112)가 관통되는 가이드링(2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로프 라운드슬링.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200)는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스트랜드(203)를 꼬아서 트위스트 로프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트랜드(203)는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소선(201)을 꼬아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로프 라운드슬링.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랜드(203)는
    상기 복수 개의 소선(201)의 내측에 위치되는 탄소섬유 재질의 심선(20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로프 라운드슬링.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100)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단자(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심선(202)은
    상기 내측고리(205)의 일측 말단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단자(1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연장부(202a);와
    상기 내측고리(205)의 타측 말단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단자(120) 중 다른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2연장부(202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로프 라운드슬링.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로프 라운드슬링은
    상기 한 쌍의 단자(120)에 연결 또는 연결이 해제가능하고, 상기 심선(202)의 단선시 부저가 발생되는 진단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로프 라운드슬링.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재(300)는
    상기 외피(100)의 외부면에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로프 라운드슬링.
KR1020230173315A 2023-12-04 2023-12-04 섬유로프 라운드슬링 KR102662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3315A KR102662415B1 (ko) 2023-12-04 2023-12-04 섬유로프 라운드슬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3315A KR102662415B1 (ko) 2023-12-04 2023-12-04 섬유로프 라운드슬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415B1 true KR102662415B1 (ko) 2024-04-29

Family

ID=90883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3315A KR102662415B1 (ko) 2023-12-04 2023-12-04 섬유로프 라운드슬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41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1408A (ja) * 2000-04-28 2001-11-09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ワイヤ支持装置
JP2008515740A (ja) * 2004-11-02 2008-05-15 東レ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繊維スリングとその性能評価方法
KR20130015011A (ko) * 2010-05-17 2013-02-12 고려제강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로프 및 그 제조 방법
KR101327290B1 (ko) 2012-07-11 2013-11-11 (주)고려기업 합성섬유 라운드 슬링
US20170313554A1 (en) * 2016-04-30 2017-11-02 Samson Rope Technologies Rope systems and methods for use as a round sl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1408A (ja) * 2000-04-28 2001-11-09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ワイヤ支持装置
JP2008515740A (ja) * 2004-11-02 2008-05-15 東レ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繊維スリングとその性能評価方法
KR20130015011A (ko) * 2010-05-17 2013-02-12 고려제강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로프 및 그 제조 방법
KR101327290B1 (ko) 2012-07-11 2013-11-11 (주)고려기업 합성섬유 라운드 슬링
US20170313554A1 (en) * 2016-04-30 2017-11-02 Samson Rope Technologies Rope systems and methods for use as a round s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5172A (en) Flexible connection for cable wire rope ends
JP2929431B2 (ja) 環状スリング
US8205922B1 (en) Grommet shackle
US2740178A (en) Cable luffing grips
US8517439B2 (en) Detachable ears rope thimble
US20220307196A1 (en) Coupling device
KR102662415B1 (ko) 섬유로프 라운드슬링
KR101180252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 방법
KR101716813B1 (ko) 케이블레이드 슬링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86539A (ko) 손상 여부 확인 기능을 구비한 라운드 슬링
KR101683001B1 (ko) 그로멧 와이어로프슬링의 제조방법
KR101590383B1 (ko) 와이어로프슬링 제조 방법
CN108867125A (zh) 一种钢丝绳吊具及其制备方法
KR101180183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의 제조 방법
AU2021236536B1 (en) A safety assembly securing a tipping tray in a raised position
CN109748174B (zh) 楔式吊索止动装置
WO2016089215A1 (en) Mooring, lifting and/or towing lin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10994969B2 (en) Remote operated latch assembly and lifting hook with such an assembly
KR101716790B1 (ko) 와이어로프슬링 제조방법 및 와이어로프슬링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와이어로프슬링
US20240017318A1 (en) Manual tool for expanding and manipulating steel cables
CN211444695U (zh) 一种环形双扣吊带
CN210214519U (zh) 一种用于曳引式建筑施工升降机的补偿链装置
KR101782749B1 (ko) 와이어 슬링 벨트 제조방법
CN212503593U (zh) 牵引绳传动保护装置
KR102062346B1 (ko) 안전슬링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안전슬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