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5008A - 염료의 경구 투여를 위한 고체 조성물 및 이의 진단 용도 - Google Patents

염료의 경구 투여를 위한 고체 조성물 및 이의 진단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5008A
KR20130015008A KR1020127026021A KR20127026021A KR20130015008A KR 20130015008 A KR20130015008 A KR 20130015008A KR 1020127026021 A KR1020127026021 A KR 1020127026021A KR 20127026021 A KR20127026021 A KR 20127026021A KR 20130015008 A KR20130015008 A KR 20130015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compositions
tablets
mixture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6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3700B1 (ko
Inventor
루이기 모로
마우로 세베리노 아자니
로베르토 빌라
주세페 세라스코
알레산드로 레피시
Original Assignee
코스모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모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코스모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15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ctum, e.g. proctoscopes, sigmoidoscopes, colon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4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introduction into the body, e.g. by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13Luminescence
    • A61K49/0017Fluorescence in vivo
    • A61K49/0019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fluorescent group, e.g.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tic molecules
    • A61K49/0021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fluorescent group, e.g.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tic molecules the fluorescent group being a small organic molecule
    • A61K49/003Thiazine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6Biological staining of tissues in vivo, e.g. methylene blue or toluidine blue O administered in the buccal area to detect epithelial cancer cells, dyes used for delineating tissues during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63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 A61K49/0069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the agent being in a particular physical galenical form
    • A61K49/0073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the agent being in a particular physical galenical form semi-solid, gel, hydrogel, oin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63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 A61K49/0069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the agent being in a particular physical galenical form
    • A61K49/0089Particulate, powder, adsorbate, bead, sphe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9Starch, including chemically or physically modified derivatives; Amylose; Amylopectin;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3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84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 A61K9/2846Poly(meth)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61M31/005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for contrast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1Capsule endoscopes for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7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upper alimentary canal, e.g. oesophagoscopes, gastr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n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원에는 염료의 경구 투여를 위한 고체 조성물, 및 이의 진단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진단 용도는 위장관의 진단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염료의 경구 투여를 위한 고체 조성물 및 이의 진단 용도 {SOLID COMPOSITION FOR THE ORAL ADMINISTRATION OF DYES AND DIAGNOSTIC USE THEREOF}
본 발명은 염료의 경구 투여를 위한 고체 조성물 및 이의 진단 용도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술은 위장관의 염증, 궤양 및 신생물 병리학의 진단을 위한 특히 중요한 진단 기술이다.
실제로, 내시경술은 내강 내부로부터, 위장강을 덮고 있는 점막, 뿐 아니라 이의 분포 표면의 보존 및 발달 상태, 변형 및/또는 궤양의 존재를 관찰할 수 있게 한다. 점점 더 강력하고 섬세한 내시경 탐침이 상기 기술을 상당히 개선시킬 수 있었으며; 사용되는 물질의 선행은 또한 조명 및 해상도에 있어서 성능 개선을 가능하게 했다.
더욱 최근에, 통상의 기술의 진단 해상도를 증폭시킬 수 있는 대비 색상을 국부적으로 현상하는데 유용한, 이미지 확대 및 바이탈 염료의 사용으로 인해 통상의 진단-치료 양상의 개선이 있었다. 내시경술에서 염료의 사용은 특히, 악화 특성에 대해 의심되는 영역을 확인하는데 유용한, 상기 진단 절차를 기술하기 위한 용어 "색상내시경술" 의 코이닝 (coining) 을 초래한다.
색상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내시경 탐침의 철수 단계 동안 내시경 분석 완료 후, 그리고 시험하고자 하는 점막관의 정확한 세정 후 적용되며; 현재, 내시경 탐침의 강 내로 직접 삽입된 모세관 파이프 또는 카테터를 사용하여, 염료로 평균적으로 농축된 소량 부피의 용액을 분무함으로써 염료를 점막에 적용한다.
염료의 확산 및 바이탈 세포에 의한 이의 흡수는 정상 활력을 가진 세포를 진행된 복제 단계에 있는 세포, 예를 들어 신생물 세포의 특성과 현저하게 구별한다.
통상 사용되는 염료는 주로, 메틸렌 블루, 콩코 레드, 카르민 인디고, 및/또는 톨루이딘 블루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메틸렌 블루 및 톨루이딘 블루는 전체 창자 점막에 의해 균일하게 흡수되는 반면, 염증 과정의 경우, 점막 세포에 의한 이의 흡수는 염증이 악화될 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특성으로 인해, 2 가지 염료는 또한 염증 과정의 차도 단계 및 가폴립과 참 폴립 사이의 구별 진단에 유용하다. 또한 카르민 인디고는 장기간 염증 형태에서의 적용 및 카펫 병변을 강조하려는 목적이 있는 발견이라는 유사한 작용을 갖고, 이것은, 대비 색상의 부재 하에 통상의 내시경술로 검출하기 어려운, 종양 형태를 함유할 수 있다.
염료의 적용을 위한 절차 내에서, 이의 사용이 상당한 적용 어려움으로 인해 해결하기 어려운 여러 실제적인 문제를 밝혀냈음을 관찰해야만 한다. 첫번째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내시경술을 수행하는 기관의 약국이 일반적으로 0.1% 내지 1% 의 염료를 포함하는 농도의 용액을 제조할 수 있어야만 하고 이후, 내시경 탐침이 적용 지점까지 용액을 담는 모세관 카테터를 삽입하기 위한 채널을 제공해야만 하며; 이후 염료가 평가하려는 점막 표면을 덮도록 균일하게 분배되어야만 한다. 상기 정확한 조건의 동시적 존재에 대한 필요성은, 소화기내과가 특화된 병원 및 요양원에 의해 집중적으로 결함을 가지면서, 지금까지 최고의 진단 센터에 의해 독점적으로 실시되어 온 색상내시경술 절차 실행을 어렵게 하였다.
게다가, 점막 벽 상에 국부적으로 분무되는 용액의 사용이, 소화계의 악화 과정 뿐 아니라 검출하기에는 너무 작은 여전히 잠재적인 형태 관련 문제를 전체적으로 해결하지는 못하는 것이 고려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또한 의문의 영역 내 염료의 이상적인 효과에 대한 균일하고 완전한 분포를 보장할 수 있는 적합한 투여 수단을 통해, 진단 내시경에서 염료의 간단하고 안전한 사용을 제공할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이제, 경구 투여용 고체 조성물이 내시경 진단 평가에 필요한 대조 이미지를 제공하는 원하는 부위에 도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이 염료를 제형화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내시경 진단 분석의 준비 및 평가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염료, 및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함유하는 경구 투여용 고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는 바람직하게는 품질 및 정량에 있어서, 독특하게 인식가능한 질량에 도달하는데 유용한 부형제이고, 이것은 구강을 통해 쉽게 투여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내시경 진단 분석에 적용하기 전, 이러한 분석의 준비를 위한 절차 동안 또는 마지막에, 구강 섭취에 대해 의도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장 점막 수준에서 병리학적 형태, 바람직하게는 전암성 형태 또는 높은 염증 비율을 보이는 점막 영역의 초기 국부적 확인을 허용하도록 의도되는, 하나 이상의 염료를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조합으로 함유하는 경구 투여용 고체 조성물에 의해 나타내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석 적용 영역 내로 염료를 선택적으로 가져가서, 분석에 적용되지 않는 영역으로 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즉방출 또는 서방출 유형, 바람직하게는 서방출 유형의 것일 수 있다.
표현 "즉방출" 은 위강 내로 빠르게 붕해 및 용해되고, 그 안에 함유된 전체 염료를 동시에 방출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즉방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위장 강에서 형태의 빠른 붕해 및 용해를 보장하기 위한 기술적으로 필수적인, 하나 이상의 염료를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조합으로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소위 슈퍼 붕해제, 즉 수성 유체와 접촉시 팽창하고 표면/부피 비의 상당한 증가를 확보하는 조각으로 이를 분해하여, 투여 형태에 함유된 염료의 더욱 빠른 용해를 가능하게 하는 약학 형태 내의 수역학적 긴장성을 야기할 수 있는 중합체 성분이 사용된다.
적합한 슈퍼 붕해제는 바람직하게는 변형 전분, 변형 셀룰로오스, 중합체 또는 가교된 공중합체 (예컨대, 예를 들어, 가교된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즉방출 조성물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 알킬 또는 히드록시알킬 셀룰로오스 유도체 또는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외부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코팅의 가능한 존재는 환자에 의한 섭취 및 삼킴 동안 구강 및/또는 목의 점막의 발색을 피하기 위해 유용하다.
본 발명의 표현 "서방출" 은 선택적 부위-시간 방식, 즉 관심의 영역 내에서 점진적으로 염료를 방출할 수 있는 조성물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표현은 "급속한, 지연된 또는 변형된" 방출 정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서방출 조성물의 제형에 적합한 기술은 분야에 공지된 매트릭스 기술 및 저장소 확산 기술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서방출 고체 경구 조성물은 본원에 참조로서 인용된 국제 특허 출원 WO00/76481 및 WO00/76478 에 기재된 상표명 MMX? 로 알려진 멀티매트릭스 기술에 따라 제형화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서방출 고체 경구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염료 및 하기를 함유하는 멀티매트릭스 구조를 포함한다:
a) 하나 이상의 염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입된, 90℃ 미만의 용융점을 갖는 친유성 화합물, 및 임의로 양친매성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
b) 친유성 매트릭스, 및 임의로 양친매성 매트릭스가 분산된, 외부 친수성 매트릭스;
c) 임의로 다른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d) 임의로 위장-저항성 코팅.
추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염료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한다:
a) 하나 이상의 염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입된, 90℃ 미만의 용융점을 갖는 친유성 화합물, 및 양친매성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
b) 친유성/양친매성 매트릭스가 분산된, 외부 친수성 매트릭스;
c) 임의로 다른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d) 임의로 위장-저항성 코팅.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염료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한다:
a) 하나 이상의 염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입된, 90℃ 미만의 용융점을 갖는 친유성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
b) 친유성 매트릭스가 분산된, 친수성 화합물 및 임의로 양친매성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외부 친수성 매트릭스;
c) 임의로 다른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d) 임의로 위장-저항성 코팅.
도 1은 비-병적, 비-발색된 내시경 사진을 나타내는 도.
도 2는 점막의 디테일 및 특히 크립트 (crypt) 의 패턴의 우수한 가시화를 특징으로 하며, 이것은 그러므로 균일하게 침전되어, 맨눈에는 두드러지지 않을 점막의 디테일을 현저히 강조하는 염료의 향상 및 강화 작용으로 인해 명백한 점이 드러나는 내시경 사진을 나타내는 도.
도 3은 2 개 프레임에서, 균일하게 분포된 염료의 작용은 병적 영역 (적색) 및 비-병적 영역 (보다 밝은 색) 사이의 명확한 구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이러한 구별은 그 작용이 점막의 디테일의 정확한 규정, 그러므로 염료가 없는 내시경 화면에 대해 명백한 방식으로 병적 및 비-병적 영역 사이의 정확한 구별을 가능케 하는 색상 대비 없이는 덜 현저하고 명백할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서방출 제형의 전형적인 흡수 프로파일을 제시하는 차트.
본 발명에서 적합한 친유성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포화, 불포화 또는 수소화 장쇄 알코올, 포화, 불포화 또는 수소화 지방산, 이의 염,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 지방산의 모노-, 디-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이의 폴리에톡실화 유도체, 왁스,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유도체 또는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 적합한 양친매성 화합물은 유형 I 또는 II 의 극성 지질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또는 이의 혼합물), 세라마이드, 글리콜 알킬 에테르 (예컨대, 예를 들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알킬 술페이트 또는 술포숙시네이트 염 또는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 적합한 친수성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히드로겔 형성 화합물 (즉, 수성 용매와 접촉시 히드로겔을 형성하는 화합물)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알킬 비닐중합체, 알킬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알킬 셀룰로오스, 카르복시알킬 셀룰로오스, 변형 또는 다치환 셀룰로오스,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린, 펙틴, 전분, 복합 전분 및 전분 유도체, 알긴산, 합성 고무, 천연 고무, 폴리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위장-저항성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중합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셀룰로오스 유도체 (예컨대,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히드록시부티레이트계 중합체, 셸락 또는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위장-저항성 코팅은 또한 가소제, 불투명제, 염료 또는 이의 혼합물과 조합될 수 있다.
즉방출 고체 약학 형태의 경구 투여가 식도 또는 위와 같은 소화관의 첫번째 부분을 발색시킬 수 있는 반면, 본 발명의 서방출 조성물의 투여는 실제로 내시경 평가에 적용하도록 의도된 위장 분절로부터 정확하게 시작하는 조성물에 함유된 염료의 방출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제, 캡슐, 과립, 마이크로과립 또는 펠릿의 형태로 제형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형태는 과립, 마이크로과립 또는 펠릿을 함유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과립, 마이크로과립 또는 위장-저항성 펠릿을 함유하는 캡슐의 형태 또는 위장-저항성 정제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중층 형태, 바람직하게는 이중층 정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더욱 정확하게는, 수성 액체를 사용하는 내시경술 분석을 실시하기 수 분 전에 투여되는 즉방출 조성물이 위내시경에 바람직하다.
수성 액체는 조성물의 용해를 용이하게 하므로, 염료가 소화강을 덮는 점막에 균일하게 도달하도록 하고, 염료가 위를 덮고 있는 점막의 세포에 의해 흡수되도록 또는 흡수되지 않도록 발색 용액을 적소에서 형성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위내시경 분석의 경우, 그러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즉방출 정제 또는 캡슐의 형태이다.
염료의 서방출 또는 표적 방출 경구 투여 형태의 사용으로 인해 소장 또는 대장에서 동일한 표적이 획득될 수 있으며; 특히, 서방출 위장-저항성 중합체의 박막으로 코팅된 조성물이 소장의 경우 약 5 의 환경적 pH 에 대해 바람직하다.
소장에 대한 내시경 분석의 경우에서, 그러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유형 A 의 아크릴 및 메타크릴 공중합체 (예를 들어, Eudragit L, 또는 RL) 의 혼합물 중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선택되는 위장-저항성 코팅의 존재 하에 서방출 캡슐 또는 정제의 형태이다.
심지어 결장 내시경술의 경우, 위장-저항성 성분으로 코팅된 고체 경구 형태의 경구 투여 형태, 바람직하게는 정제 또는 캡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장-저항성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유형 A, 유형 B 의 아크릴 및 메타크릴 공중합체 (예컨대, 예를 들어 상표명 Eudragit S 또는 RS 로 공지된 시판되는 것들), 및/또는 pH 가 중화되어 약 7 의 값을 획득할 때 가용성이 되는 산 환경에서 불용성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계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또한 창자 수송이 말단 회장을 통해 또는 회결장판을 통해 커드 (cud) 를 통과시키는 경우 유사한 사건이 일어난다. 명백하게, 후자 경우에서, 소장에서의 수송을 완료하는데 커드가 적어도 3-5 시간이 걸리고, 위가 비기 위해서는 수 분에서 수 시간까지의 결정되지 않은 시간 기간이 걸린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염료 조성물의 투여는 내시경 탐침이 창자 강 내로 도입되는 시간 기간 동안, 제자리에서 염료의 용해, 내부에 존재하는 창자액으로 인한 결장 내강 내 농축된 용액의 형성, 및 점막 상의 염료의 확산을 가능하게 하도록, 일반적으로 4-24 시간 사이의 기간 동안, 내시경 분석과 관련하여 미리 적합하게 실시되어야만 한다.
회맹부에서 상행, 횡행, 하행, S자 및 직장 결장까지, 모든 결장 영역의 내강 막의 균일한 발색을 허용하도록 하기 위해, 염료의 방출은 즉각적이어서는 안되고 점진적이어야만 하고, 조성물의 선행과 함께 해야만 한다.
결장관의 수송 시간이 다시 한번 매우 가변적이기는 하지만, 적어도 8-16 시간으로 추정하면, 약 6-8 시간 내에 인비트로에서 방출되는 염료를 갖는 서방출 조성물이 내시경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전체 막의 균일한 발색을 허용하게 하는 최고의 시스템을 구성하여, 진단 평가에 있어 최고의 결과를 수득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용한 염료는 바람직하게는 콩코 레드, 카르민 인디고, 메틸렌 블루, 톨루이딘 블루 또는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이의 경구 전신 투여에 대한 방해물을 나타내지 않는 독성 프로파일을 제공한다면, 다른 생체적합성 염료 성분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점막 세포의 구조적 대비를 최대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염료의 양은 하기에 따라 다르다:
- 바이탈 세포의 발색을 유도하는 염료의 고유의 능력,
- 상기 발색이 세포와 접촉 시 유지되어야 하는 시간 기간 및
- 결장내시경 준비 단계 동안 삼켜야 하는 점막 세정용 액체의 거대한 존재.
실제로, 이러한 파라미터는 염료의 양이, 내시경 절차 준비 단계 전 또는 동안, 또는 절차 마지막에 삼키게 되는 하나 이상의 고체 경구 조성물로 나뉜 수 밀리그램 내지 수 그램의 성분으로 다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고체 경구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염료를 단일 조성물 당 10 mg 내지 1500 mg (1.5 g), 단일 조성물 당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mg 내지 1200 mg (1.2 g) 의 양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나 이상의 염료는 또한 단일 조성물 당 2 (0.002 g) 내지 1000 mg (1 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mg (0.01 g) 내지 500 mg (0.5 g) 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나 이상의 염료는 또한 단일 조성물 당 20 (0.02 g) 내지 500 mg (0.5 g),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5 (0.025 g) 내지 400 mg (0.4 g) 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염료는 본 발명의 고체 조성물에 약 25 mg (0.025 g) 에 상응하는 양으로 함유된다.
추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염료는 본 발명의 고체 조성물에 약 50 mg (0.05 g) 에 상응하는 양으로 함유된다.
또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염료는 본 발명의 고체 조성물에 약 200 mg (0.2 g) 에 상응하는 양으로 함유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위내시경의 경우,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즉방출 정제 또는 캡슐의 시행 약 30 분 전 투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소장 내시경술의 경우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내시경 평가에 적용하고자 의도되지 않는 위 영역에서 염료의 초기 분산을 방지하기 위한 위장-저항성 코팅에 의해 보호된 서방출 정제의 투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결장내시경의 경우,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염료가 예를 들어 위, 십이지장 및 공장과 같은 결장내시경에 적용하고자 의도되지 않는 소화관의 영역 내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서방출 정제의 투여가 제공된다.
서방출 조성물의 제조의 경우, 하나 이상의 염료는 바람직하게는 제형에 점진적인 또는 대량의 또는 통제된 또는 연장된 용해를 부여할 수 있는 성분과 함께 제형화되고; 또한, 제형은 창자 내시경 평가의 대상이 되는 섹션에 전형적인 특정 pH, 일반적으로 5 내지 7 에 도달할 때 단독으로 용해될 수 있는 성분으로 코팅된다.
위-보호 코팅이 용해하기 시작하는 특정 pH 값을 특징으로 하는, 관심의 장 섹션에 도달할 시, 창자 수송에 필수적인 시간, 일반적으로 4 내지 24 시간 내에 일어나는 것을 확보하는 속도로 염료의 용해가 조절되는 것이 중요하다. 다양한 제형 기술이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결장 방출을 수득하기 위한 주요하고 공지된 기술, 예컨대 저장소 시스템 또는 확산 또는 친수성 매트릭스 구조의 사용이 본 발명의 서방출 조성물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결과를 수득하기 위한 친수성, 친유성 및 양친매성 매트릭스의 순서를 실행하는 멀티-매트릭스 기술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적용에 사용된다. 상기 멀티매트릭스 기술의 전형적인 적용에서, 염료는 먼저 계면활성제 특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양친매성 성분의 존재 하에 친유성 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는 물질과 혼합되거나 과립화되고, 마지막으로 임의의 응집 정도에서 분말의 상기 매트릭스가, 또한 무수 상태 또는 낮은 잔류 습기 값을 갖는 히드로겔로서 알려진, 친수성 유형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에 의해 형성된 우세한 구조 내로 삽입된다.
대안적으로는, 상기 기술의 전형적인 적용에 따르면, 염료는 먼저 친유성 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는 물질과 혼합되거나 과립화되어야만 하고, 과립화 후 상기 매트릭스 구조가 임의의 응집 정도에서, 계면활성제 특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양친매성 성분의 존재 하에 무수 상태 또는 낮은 수준의 잔류 습도를 갖는 친수성 유형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에 의해 형성된 우세한 구조 내로 삽입되고, 이어서 최종 혼합물을 압축에 적용한다.
강한 산 환경에서 정제의 용해를 방지할 수 있는 위-보호 코팅 필름이 마지막으로 조성물의 표면에 적용된다.
삼킬 때, 이러한 멀티매트릭스 코팅된 조성물은, 위-보호 코팅이 가용화되고 소화강 내로의 선행과 동시에 제형 내에 삽입된 염료를 점진적으로 분포시키는 것을 야기할, 용해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적합한 pH, 바람직하게는 5 또는 7 초과의 환경에 도달할 때까지 위 및 장 산과 접촉하는 것으로부터 보호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목적은 바람직하게는 위장관의 염증, 궤양 형성이상, 전-신생물 및 신생물 병리학의 내시경 진단 평가, 더욱 바람직하게는 위장관의 암성 또는 전암성 형태, 폴립, 가폴립 또는 상이한 염증 병리학에서, 진단 목적을 위한 경구 투여 용의 상기 언급된 고체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2 이상의 투여 기간 내 또는 단일 용액 내에 위장 내시경 분석을 위한 준비 단계 동안 경구 투여에 적용된다. 전형적인 적용된 투여 패턴은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정제의 투여가, 일반적으로 하제 또는 폴리글리콜 완하제 성분의 섭취를 통해, 또는 통상 수 시간 지속되는, 제조 절차 동안 실시되는 창자 점막의 준비 또는 세정 단계 종료시에 일어나는 것을 제공한다.
추가의 투여 패턴은 본 발명의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정제의 투여가, 이전에 언급된 준비 또는 세정 단계 전에 일어나거나 또는 상기 투여가 부분적으로 이러한 준비 또는 세정 단계 전에 그리고 부분적으로 그 동안 일어나는 것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람직하게는 내시경술 하루 전 내에 (즉, 앞서 24 시간 내에: 준비 단계) 실시되어지는 상기 언급된 조성물의, 가능하게는 반복된 투여를 포함하는, 위장관의 내시경 평가의 수행 방법이고, 이러한 평가는 위장관의 염증, 궤양 전-신생물, 형성이상 또는 신생물 병리학, 더욱 바람직하게는 위장관의 암성 또는 전암성 형태, 폴립, 가폴립 또는 상이한 염증 병리학의 진단을 목적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고체 조성물의 투여는 내시경 분석 (예를 들어, Moviprep? 라는 이름으로 시판되는 약물을 사용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 에 선행하여 준비/세정 조성물의 섭취 전에, 동시에 및/또는 후에, 1 회 또는 반복되어 일어난다.
상기 언급된 세정 조성물이라는 표현은 이전 24 시간 내에 준비 단계 동안, 내시경 분석 전에 창자 점막을 세정 및 세척하는데 통상 사용되는 이전에 언급된 식염수, 폴리글리콜 또는 완하제 용액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고체 조성물은 한 번의 투여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세척 조성물 전에 섭취되며 후속 투여가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세정 조성물의 섭취 후 또는 그 동안 이루어지는 2 회 투여로의 결장의 내시경 평가를 실시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대상에 의해 채택된다. 이러한 구현예에 따르면 각각의 투여는 투여되는 전체 투여 분획에 상응하는 단일한 함량을 갖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고체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정제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이와 관련하여 임의의 제한 없이 본 발명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 내시경술을 위한 즉방출 코팅된 정제
설명 측정단위 정제 당 양
성분
메틸렌 블루 mg 50.0
레시틴 mg 3.0
스테아르산 mg 6.0
만니톨 mg 120.0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mg 50.0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mg 13.0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mg 4.0
콜로이드성 수화 실리카 mg 2.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mg 2.0
코팅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유형 A (Eudragit L) mg 12.0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mg 1.2
탈크 mg 5,8
이산화티탄 mg 3.0
제조 공정은 균일 혼합물을 수득할 때까지 염료, 레시틴, 스테아르산 및 만니톨을 혼합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후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콜로이드성 실리카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한번 더 혼합한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첨가한 후, 혼합물을 압착하여 250 mg 정제를 수득하였다. 이후 정제를 정제 믹서에 배열하고, 메타크릴레이트계 위장-저항성 필름으로 코팅하고 이산화티탄 염료 및 탈크, 끈적임 방지 (anti-stick) 성분에 더해 가소제로서 트리에틸 시트레이트를 함유한다. 그렇게 수득된 정제를 산 환경에서 2 시간 동안 용해 시험에 적용하고, 이들은 염료 성분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제는 중성 pH 환경 내에 도입시 수 분 내에 염료를 산출하였다.
실시예 2 : 내시경술을 위한 즉방출 코팅된 정제
설명 측정단위 정제 당 양
성분
메틸렌 블루 mg 600.0
레시틴 mg 5.0
스테아르산 mg 10.0
만니톨 mg 340.0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mg 123.0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mg 30.0
콜로이드성 수화 실리카 mg 20.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mg 12.0
코팅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유형 A (Eudragit L) mg 30.0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mg 3.0
탈크 mg 15.0
이산화티탄 mg 7.0
실시예 1 에 표시된 동일한 절차를 통해 정제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의 정제에 적용된 용해 시험은 pH 1 의 산 환경에서 정제의 실질적인 비-용해 및 6.8 pH 로 옮겨갔을 때 염료의 인 비트로 후속 용해를 성립하게 하였다.
실시예 3: 내시경을 위한 즉방출 코팅된 정제
설명 측정단위 정제 당 양
성분
메틸렌 블루 mg 1200.0
레시틴 mg 10.0
스테아르산 mg 20.0
만니톨 mg 200.0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Mg 50.0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mg 20.0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mg 50.0
콜로이드성 수화 실리카 mg 30.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mg 20.0
코팅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유형 A (Eudragit L) mg 40.0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mg 4.0
탈크 mg 20.0
이산화티탄 mg 9.0
실시예 1 에 표시된 동일한 절차를 통해 정제를 수득하였다.
심지어 본 경우에서, 정제에 적용된 용해 시험은 pH 1 의 산 환경에서 정제의 실질적인 비-용해 및 창자 pH 의 유사 값인 6.8 pH 로 옮겨갔을 때 염료의 인 비트로 후속 용해를 성립하게 하였다.
실시예 4: 내시경술을 위한 장 방출 코팅된 정제
설명 측정단위 정제 당 양
성분
카르민 블루 mg 50.0
레시틴 mg 3.0
스테아르산 mg 6.0
만니톨 mg 120.0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mg 40.0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mg 23.0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mg 4.0
콜로이드성 수화 실리카 mg 2.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mg 2.0
코팅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유형 A (Eudragit L) mg 6.0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유형 B (Eudragit S) mg 6.0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mg 1.2
탈크 mg 5,8
이산화티탄 mg 3.0
적용된 공정은 염료와 레시틴 계면활성제, 스테아르산, 만니톨 및 필요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의 양의 절반을 혼합하기 위해 제공된다. 혼합물을 압착한 후, 과립화, 셀룰로오스,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콜로이드성 실리카 및 나머지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첨가한 이후, 추가 혼합 후, 최종 압착을 실시하여 250 mg 정제를 수득한다. 이후 정제를 유형 A 및 B 의 메타크릴 공중합체의 혼합물로 코팅하여, 회맹부 및 결장 환경의 특징인 pH ≥ 7 까지 인비트로 용해에 대한 저항성이 확장되도록 한다.
실시예 5: 내시경술을 위한 장 방출 코팅된 정제
설명 측정단위 정제 당 양
성분
카르민 블루 mg 500.0
레시틴 mg 3.0
스테아르산 mg 6.0
만니톨 mg 120.0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mg 50.0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mg 13.0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mg 4.0
콜로이드성 수화 실리카 mg 2.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mg 2.0
코팅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유형 A (Eudragit L) mg 15.0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유형 A (Eudragit L) mg 15.0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mg 3.0
탈크 mg 15.0
이산화티탄 mg 7.0
적용된 공정은 염료와 레시틴 계면활성제, 스테아르산 및 만니톨을 혼합하기 위해 제공된다. 혼합물 중에 염료를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셀룰로오스,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콜로이드성 실리카 및 윤활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첨가하고, 추가 혼합 후, 최종 압착을 실시하여 700 mg 정제를 수득한다. 이후 핵을 다른 보조 성분과 함께 유형 A 및 B 의 메타크릴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코팅에 적용한다: 정제는 산 환경에서 인비트로 용해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고, 이들은 회맹부 및 결장 환경의 특징인 pH ≥ 7 에서 용해된다.
실시예 6 : 내시경술을 위한 장 방출 코팅된 정제
설명 측정단위 정제 당 양
성분
메틸렌 블루 mg 50.0
레시틴 mg 3.0
스테아르산 mg 6.0
만니톨 mg 120.0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mg 35.0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Mg 28.0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mg 4.0
콜로이드성 수화 실리카 mg 2.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mg 2.0
코팅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유형 A (Eudragit L) mg 6.0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유형 B (Eudragit S) mg 6.0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mg 1.2
탈크 mg 5,8
이산화티탄 mg 3.0
제조 공정은 염료를 레시틴, 스테아르산 및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와의 혼합, 웨이퍼로의 이의 압착 후 건조 과립화, 핵의 나머지 성분과의 혼합 및 250 mg/tab 의 중량으로의 최종 압착을 위해 제공된다. 코팅은 염기로서 메타크릴 유도체 및 적용 상으로서 알코올 용매를 사용한다.
그렇게 수득된 정제를 인비트로 용해 시험에 적용하고, 산 환경에서 우수한 저항성이 있고, pH 7.2 의 중성 환경에서 염료의 점진적인 이동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7: 결장 서방출 정제
설명 측정단위 정제 당 양
성분
메틸렌 블루 mg 200.0
레시틴 mg 5.0
스테아르산 mg 14.0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mg 180.0
만니톨 mg 140.0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mg 140.0
탈크 mg 10.0
콜로이드성 수화 실리카 mg 5.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mg 6.0
코팅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유형 A (Eudragit L) mg 16.0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유형 A (Eudragit L) mg 16.0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mg 6,4
탈크 mg 15,6
이산화티탄 mg 6.0
염료, 양친매성 성분으로서 레시틴, 친유성 매트릭스의 성분으로서 스테아르산, 만니톨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의 일부의 사전 혼합 및 과립화을 통해 조성물을 수득하고; 미리 수득된 과립을 스크리닝 한 후, 친수성 매트릭스 구조를 생성할 수 있는 나머지 성분 및 특히 셀룰로오스를 첨가하였다. 약 700 mg 중량의, 분말 및 과립의 혼합물을 압착하여 수득된 최종 약학 형태를 유형 A 및 B 의 메타크릴 유도체의 공중합체의 혼합물로의 코팅에 적용하고, 용매로서 에틸 알코올을 사용하고, 가소제, 트리에틸 시트레이트에 의해, 염료 안료, 이산화티탄에 의해, 그리고 끈적임 방지제, 예컨대 탈크에 의해 지지한다.
그렇게 수득된 정제는 산 pH 에서 2 시간 동안 인비트로에서의 실질적인 비-용해 및 7.2 pH 로 시뮬레이션된 배지에서의 약 6 시간 동안 점진적인 용해가 밝혀졌다.
실시예 8: 결장 내시경 실험 시험
극히 양성 결과를 보인 인간에서 일부 결장 내시경을 실시하기 위해 실시예 7 의 동일한 정제를 사용하였다. 창자 준비 단계 동안, 내시경술의 실시 약 12 시간 전에 대상에게 단일 정제를 투여하고, 이후 약 추가 500 ml 의 물을 섭취하였다. 정제의 섭취와 내시경술 실시 사이에 겹치는 시간인 약 12 시간은, 정제가 창자 결장 영역에 도달하고 내부에 존재하는 액체 중의 가용화로 인해, 염료의 점진적이고 느린 수송을 시작하게 하는데 유용하였고, 창자 점막의 균일하고, 강렬하고 지속적인 발색을 가능케 하였다. 실제로, 투여 후 결장 환경은 발색의 현저한 영역을 밝혀내, 병적 영역과 상행, 횡행, 하행, S자 및 직장 결장 영역을 덮고 있는 정상 점막 사이의 상당한 대비를 가능케 하였다.
도 1 내지 3 은 내시경술 24 시간 전 내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섭취한 환자의 내시경술 동안 수득된 4 개의 결장 내시경 이미지를 보여준다. 이미지는 환자의 결장 영역의 오직 일부 구역만이 발색된 반면, 다른 구역은 정상임을 명백하게 보여준다. 이것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 후, 시험된 결장 영역의 병적 구역 만을 강조하고 (도 2, 3, 및 4 참조), 비-병적으로 고려된 구역은 강조하지 않는 (도 1 참조)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이것은 병적 창자 영역의 선택적 발색 및, 반대로, 비-병적 영역은 따라서 발색이 없음을 측정할 때 표시된 조성물의 효능을 나타낸다.
실시예 8-bis: 생체이용능 연구
제 I 상 임상 연구 동안 건강한 지원자에게 투여된 염료의 혈액 흡수 프로파일 및 소변 제거를 시험한 생체이용능 및 약동학 연구에 대해 동일한 정제를 사용하였고; 약동학적 파라미터를 100 mg 투여량의 염료의 정맥 투여 후 수득된 것과 비교하였고 이들은 다음과 같았다:
T최대 C최대 AUC(0-t)
100 mg i.v. 바이알 0.10 시간 2066 ng/ml 11858 ng/ml*h
200 mg 정제 16 시간 1662 ng/ml 32941 ng/ml*h
정제 흡수 프로파일은 바이알의 프로파일과 현저히 상이하고, 이것은 또한 하기 차트 A 에 의해 제시되는 바와 같은 서방출 제형의 전형적인 흡수 프로파일로서 분류될 수 있다.
실시예 9 : 결장 내시경 실험 시험
실시예 7 의 정제를 사용하여, 구체적인 섭취 방법에 따라, 즉, 첫번째 염료 정제는 준비 단계 마지막에, 두번째 정제는 내시경술 평가를 실시하기 약 6 시간 전에 섭취함으로써, 결장내시경을 기다리는 대상에게 2 개의 정제를 투여함으로써 결장의 내시경술 시험을 실시하였다. 정제를 충분한 물과 함께 투여하여, 정제의 제자리 용해를 효과적으로 지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경우에서, 발색은 균일하였고, 매우 뚜렷하여, 진단 목적을 위해 최적 조건에서 시험을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실시예 9-bis: 생체이용능 연구
제 I 상 임상 연구 동안 건강한 지원자에게 투여된 염료의 혈액 흡수 및 소변 제거 프로파일을 시험한 생체이용능 및 약동학 연구에 대해 동일한 정제를 사용하였고; 2 개의 200 mg 정제 투여 후 측정된 약동학적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았다:
T최대 C최대 AUC(0-t)
16 시간 1636 ng/ml 38080 ng/ml*h
정제 흡수 프로파일은 200 mg 정제로 수득된 프로파일과 매우 유사하고, 다시 한번, 이것은 또한 하기 차트 B 에 의해 요약되는 바와 같은 서방출 제형의 전형적인 흡수 프로파일로서 분류될 수 있으며, 도트로 표시된 차트는 200 mg 투여량을 나타내는 반면, 삼각형으로 표시된 차트는 400 mg 투여량을 나타낸다.
실시예 10: 결장 방출 코팅된 정제
설명 측정단위 정제 당 양
성분
톨루이딘 블루 mg 400.0
카르민 인디고 Mg 100.0
레시틴 mg 5.0
스테아르산 mg 10.0
만니톨 mg 30.0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mg 95.0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mg 10.0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mg 25.0
콜로이드성 수화 실리카 mg 15.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mg 10.0
코팅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유형 A (Eudragit L) mg 20.0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유형 A (Eudragit S) mg 20.0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mg 4.0
탈크 mg 20.0
이산화티탄 mg 9.0
제조 공정은 톨루이딘 블루, 레시틴, 스테아르산, 만니톨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의 일부를 함유하는 과립의 형성을 위해 제공되고; 스크리닝을 통한 과립으로의 압착 및 축소 후, 두번째 카르민 인디고 염료, 셀룰로오스,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콜로이드성 실리카 및 나머지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윤활제가 첨가된다. 균일화 후, 혼합물을 700 mg 로 압착하고 이어서, 메타크릴산의 2 개의 공중합체 및 다른 작용 부형제를 사용하는 실시예 7 에 기재된 코팅에 적용하였다.
그렇게 수득된 정제는 pH < 2 의 완충액에서 인비트로 용해 시험에 대해 저항성이 있고, pH > 7 의 완충액 중 염료 성분의 점진적인 방출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11 : 위 즉방출 코팅된 정제
설명 측정단위 정제 당 양
성분
콩고 레드 mg 50.0
레시틴 mg 3.0
스테아르산 mg 6.0
만니톨 mg 120.0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mg 63.0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mg 4.0
콜로이드성 수화 실리카 mg 2.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mg 2.0
코팅
메틸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mg 12.0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0 mg 1.2
탈크 mg 6.0
이산화티탄 mg 3.8
직접 압착 방법을 통해 수득한 후, 수성 용매 중의 코팅을 후속하였다. 정제는 즉방출 정제에 대해 규제 당국에 의해 요구되는 상세사항에 따라, 수 분 내에 인비트로에서 빠르게 용해하였다.
그렇게 수득된 정제는 여전히 초기 단계에서 형성이상 또는 신생물 과정과 관련될 수 있는 국부적 병리 성장을 강조하기 위한 위십이지장 부문의 내시경 평가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12: 이중층 정제
설명 측정단위 정제 당 양
층 1
콩고 레드 mg 100.0
디옥틸 술포숙시네이트 mg 5.0
스테아르산 mg 10.0
만니톨 mg 100.0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mg 100.0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mg 20.0
콜로이드성 수화 실리카 mg 10.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mg 5.0
층 2
메틸렌 블루 mg 100.0
레시틴 mg 7.0
스테아르산 mg 10.0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mg 100.0
만니톨 mg 80.0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mg 40.0
탈크 mg 50.0
콜로이드성 수화 실리카 mg 7.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mg 6.0
코팅
메틸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mg 12.0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0 mg 1.2
탈크 mg 6.0
이산화티탄 mg 3.8
공정은 층 1 의 성분의 혼합 및 이의 압축 후 층 2 의 일부 성분, 정확하게는 염료, 레시틴, 스테아르산,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및 만니톨과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의 절반, 나머지 공동-제형물과의 이전 압착으로부터 수득된 분말 및 과립의 혼합물의 압착이 후속된다.
약 850 mg 중량의 정제는 위 부문 및 후속 창자 부문 모두에서 염료를 상이하게 방출하기 위해 제형화된, 2 가지 상이하게 발색된 구별되는 층을 갖는다.

Claims (21)

  1. 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염료를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조합으로 함유하는 경구 투여용 고체 조성물:
    a) 상기 하나 이상의 염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입된, 90℃ 미만의 용융점을 갖는 친유성 화합물, 및 임의로 양친매성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
    b) 친유성 매트릭스, 및 임의로 양친매성 매트릭스가 분산된, 친수성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외부 매트릭스;
    c) 임의로 다른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d) 임의로 위장-저항성 코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염료가 메틸렌 블루, 콩코 레드, 카르민 인디고, 톨루이딘 블루 또는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염료가 2 mg 내지 1000 mg 범위의 양으로 포함되는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염료가 10 mg 내지 1500 mg 범위의 양으로 포함되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염료가 50 mg 내지 1200 mg 범위의 양으로 포함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염료가 20 mg 내지 500 mg 범위의 양으로 포함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염료가 약 25 mg 에 동등한 양으로 포함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염료가 약 50 mg 에 동등한 양으로 포함되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제 또는 캡슐 형태의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유성 화합물이 포화, 불포화 또는 수소화 장쇄 알코올, 포화, 불포화 또는 수소화 지방산, 이의 염,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 지방산의 모노-, 디-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이의 폴리에톡실화 유도체, 왁스,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유도체 또는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친매성 화합물이 유형 I 또는 II 의 극성 지질, 세라마이드, 글리콜 알킬 에테르, 알킬 술페이트 또는 술포숙시네이트 염 또는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형 I 또는 II 의 극성 지질이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또는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글리콜 알킬 에테르가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인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화합물이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알킬 비닐 중합체, 알킬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알킬 셀룰로오스, 카르복시알킬 셀룰로오스, 변형 셀룰로오스, 다치환 셀룰로오스,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린, 펙틴, 전분, 복합 전분, 전분 유도체, 알긴산, 합성 고무, 천연 고무, 폴리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히드로겔 형성 화합물인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저항성 코팅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중합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셀룰로오스 유도체, 히드록시부티레이트계 중합체, 셸락 또는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진단 목적을 위한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위장관의 내시경 진단 평가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17. 제15항에 있어서,
    위장관의 염증, 궤양, 형성이상, 전-신생물 및 신생물 병리학의 내시경 진단 평가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18. 제15항에 있어서,
    위장관의 암성 형태, 전암성 형태, 폴립, 가폴립, 또는 상이한 염증 병리학의 내시경 진단 평가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19. 내시경 진단 평가 진행 24 시간 내에,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고체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창자의 염증, 궤양, 형성이상, 전-신생물 및 신생물 병리학의 내시경 진단 평가를 위한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가 진단 평가 진행 24 시간 내에 한번에 또는 반복적으로, 바람직하게는 2 회 이상의 섭취로 투여하고자 하는 투여량으로 분획화되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위장관의 암성 또는 전암성 형태, 폴립, 가폴립 또는 상이한 염증 병리학의 내시경 진단 평가를 위한 방법.
KR1020127026021A 2010-03-04 2011-03-02 염료의 경구 투여를 위한 고체 조성물 및 이의 진단 용도 KR101763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2010A000345 2010-03-04
ITMI2010A000345A IT1398643B1 (it) 2010-03-04 2010-03-04 Composizione solida per la somministrazione orale di coloranti, e utilizzo diagnostico della stessa
US32755710P 2010-04-23 2010-04-23
US61/327,557 2010-04-23
PCT/IB2011/050881 WO2011107945A1 (en) 2010-03-04 2011-03-02 Solid composition for the oral administration of dyes and diagnostic us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008A true KR20130015008A (ko) 2013-02-12
KR101763700B1 KR101763700B1 (ko) 2017-08-01

Family

ID=42647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6021A KR101763700B1 (ko) 2010-03-04 2011-03-02 염료의 경구 투여를 위한 고체 조성물 및 이의 진단 용도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6) US8545811B2 (ko)
EP (2) EP3011975B1 (ko)
JP (1) JP5770752B2 (ko)
KR (1) KR101763700B1 (ko)
CN (1) CN102811747B (ko)
AU (1) AU2011222496B2 (ko)
BR (1) BR112012022373B1 (ko)
CA (1) CA2790143C (ko)
CY (1) CY1123967T1 (ko)
DK (2) DK2542268T3 (ko)
ES (2) ES2602157T3 (ko)
FR (1) FR21C1009I1 (ko)
HR (2) HRP20161366T1 (ko)
HU (3) HUE030246T2 (ko)
IL (1) IL221541A (ko)
IT (1) IT1398643B1 (ko)
LT (2) LT3011975T (ko)
MX (1) MX342323B (ko)
NZ (1) NZ602130A (ko)
PL (2) PL3011975T3 (ko)
PT (2) PT3011975T (ko)
RS (2) RS55414B1 (ko)
RU (1) RU2561034C2 (ko)
SI (1) SI3011975T1 (ko)
WO (1) WO2011107945A1 (ko)
ZA (1) ZA2012063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51449T1 (de) 1999-06-14 2003-10-15 Cosmo Spa Geschmacksmaskierte orale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en mit kontrollierter abgabe
US8895064B2 (en) 1999-06-14 2014-11-25 Cosmo Technologies Limited Controlled release and taste masking o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10154964B2 (en) 2011-09-07 2018-12-18 Cosmo Technologies Limited Controlled release and taste masking o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EP2722058A1 (en) * 2012-10-19 2014-04-23 Cosmo Technologies Ltd Solid oral composition containing dyes for use in endoscopic diagnosis
EP3099336B1 (en) * 2014-01-29 2023-04-26 Cosmo Technologies Ltd. Liquid composition in the form of emulsion or microemulsion for rectal administration containing at least one dye, and its use in a diagnostic endoscopic procedure of sigmoid colon and/or rectum
US10124074B2 (en) 2014-02-26 2018-11-13 Toufic Kachaamy Indirect chromoendoscopy with an oral indigo carmine base preparation
EP3888702A1 (en) 2014-12-08 2021-10-06 Kinnos Inc. Additive compositions for pigmented disinfection and methods thereof
EP3285701B1 (en) * 2015-04-23 2020-12-23 Obalon Therapeut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failure of intragastric devices
US10344251B2 (en) * 2016-02-12 2019-07-09 Kinno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e in surface decontamination
US20190105278A1 (en) 2016-04-19 2019-04-11 Conaris Research Institute Ag Shellac microcapsule formulations and compositions
CA3031522A1 (en) 2016-07-25 2018-02-01 Kinnos Inc. Device and rela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e in surface decontamination
JP2019535794A (ja) 2016-11-28 2019-12-12 コスモ・テクノロジーズ・リミテツド 色素を含有する固体経口組成物
FR3059664B1 (fr) 2016-12-01 2019-01-25 Provepharm Life Solutions Procede de preparation du carmin d’indigo
US11464371B2 (en) 2018-07-12 2022-10-11 Kinnos Inc. Device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e in surface decontamination
CN108888765B (zh) * 2018-07-16 2021-02-26 山东理工大学 一种释放亚甲基蓝聚集体的含亚甲基蓝的二氧化硅/虫胶复合颗粒的制备方法
CN111184876B (zh) * 2020-02-20 2022-03-04 沈伟 一种消化道黏膜染色剂、制备方法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1632A (en) * 1964-05-08 1968-01-02 Hoechst Ag Medicinal preparations having a protracted activity and method of making them
KR100242727B1 (ko) * 1991-10-31 2000-03-02 에드윈 포머란츠 상피암의 현장윤곽묘사를위한생물학적염색조성물,이들의제조방법및사용방법
US6405070B1 (en) * 1998-06-16 2002-06-11 Bhaskar Banerjee Detection of cancer using cellular autofluorescence
ATE251449T1 (de) 1999-06-14 2003-10-15 Cosmo Spa Geschmacksmaskierte orale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en mit kontrollierter abgabe
ITMI991316A1 (it) 1999-06-14 2000-12-14 Cip Ninety Two 92 S A Composizioni farmaceutiche orali a rilascio modificato di mesalazina
US8895064B2 (en) 1999-06-14 2014-11-25 Cosmo Technologies Limited Controlled release and taste masking o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6584630B1 (en) 2000-04-06 2003-07-01 Ohio Medical Instrument Company, Inc. Radiolucent surgical table extension assembly and method
WO2001076478A1 (en) 2000-04-10 2001-10-18 Nordisk Terapi As System for testing and exercising sensorimotoric control of the neck
FR2829933B3 (fr) * 2001-09-21 2004-03-12 Ellipse Pharmaceuticals Procede de fabrication d'un produit pharmaceutique administrable par voie orale avec des agents detrompeurs notamment de gout et produit obtenu
US7217410B2 (en) 2003-06-17 2007-05-15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tiy Of Illinois Surface modified protein microparticles
US20070077202A1 (en) * 2005-06-12 2007-04-05 Pentax Corporation Histostain composition for endoscope
US20070116757A1 (en) * 2005-11-08 2007-05-24 Collegium Pharmaceutical, Inc. Methylene Blue Deriv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S55414B1 (sr) 2017-04-28
LT3011975T (lt) 2021-04-26
IT1398643B1 (it) 2013-03-08
CY1123967T1 (el) 2022-05-27
ES2602157T3 (es) 2017-02-17
MX342323B (es) 2016-09-23
WO2011107945A1 (en) 2011-09-09
ES2863986T3 (es) 2021-10-13
AU2011222496A1 (en) 2012-09-20
JP5770752B2 (ja) 2015-08-26
EP2542268A1 (en) 2013-01-09
IL221541A (en) 2016-03-31
HRP20161366T1 (hr) 2017-02-24
PT3011975T (pt) 2021-03-19
JP2013521271A (ja) 2013-06-10
EP3011975A1 (en) 2016-04-27
CA2790143C (en) 2019-01-22
AU2011222496A2 (en) 2012-09-20
ITMI20100345A1 (it) 2011-09-05
HUE053977T2 (hu) 2021-07-28
US20200268909A1 (en) 2020-08-27
HUE030246T2 (en) 2017-04-28
RS61641B1 (sr) 2021-04-29
HUS2100005I1 (hu) 2021-03-29
US20130287690A1 (en) 2013-10-31
US8545811B2 (en) 2013-10-01
PL3011975T3 (pl) 2021-06-28
CN102811747B (zh) 2016-02-24
PT2542268T (pt) 2016-11-14
CN102811747A (zh) 2012-12-05
KR101763700B1 (ko) 2017-08-01
BR112012022373A2 (pt) 2019-11-26
BR112012022373B1 (pt) 2021-12-14
CA2790143A1 (en) 2011-09-09
DK3011975T3 (da) 2021-03-29
US20180214580A1 (en) 2018-08-02
US20130295013A1 (en) 2013-11-07
PL2542268T3 (pl) 2017-05-31
LT2542268T (lt) 2016-12-12
NZ602130A (en) 2014-07-25
EP2542268B1 (en) 2016-08-10
US9402923B2 (en) 2016-08-02
US20160184460A1 (en) 2016-06-30
DK2542268T3 (en) 2016-11-28
SI3011975T1 (sl) 2021-05-31
AU2011222496B2 (en) 2016-08-18
RU2561034C2 (ru) 2015-08-20
HRP20210493T1 (hr) 2021-05-14
US20130058867A1 (en) 2013-03-07
US9402922B2 (en) 2016-08-02
RU2012142192A (ru) 2014-04-10
US10265420B2 (en) 2019-04-23
MX2012010125A (es) 2013-02-26
ZA201206360B (en) 2013-10-30
FR21C1009I1 (fr) 2021-05-07
EP3011975B1 (en)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700B1 (ko) 염료의 경구 투여를 위한 고체 조성물 및 이의 진단 용도
US20230130628A1 (en) Solid oral composition containing dyes for use in endoscopic diagn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