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4355A - 디스크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디스크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4355A
KR20130014355A KR1020120074486A KR20120074486A KR20130014355A KR 20130014355 A KR20130014355 A KR 20130014355A KR 1020120074486 A KR1020120074486 A KR 1020120074486A KR 20120074486 A KR20120074486 A KR 20120074486A KR 20130014355 A KR20130014355 A KR 20130014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ontact
disk
shim
frictio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2258B1 (ko
Inventor
신지 스즈키
사토루 츠루미
노부히로 와카바야시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4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3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 F16D65/0979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acting on the rear side of the pad or an element affixed thereto, e.g. spring clips securing the pad to the brake piston or cali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6/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 F16D66/02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 노이즈, 마찰 패드의 편마모, 저더 등을 저감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크 브레이크를 제공한다.
이 디스크 브레이크에서는, 마찰 패드(7)의 이면측에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와 접촉하는 심 플레이트(11)를 설치한다. 이 심 플레이트(11)에는, 예컨대 디스크 회전 입구측의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심 플레이트(11)와 환형 접촉부(6A)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디스크 회전 입구측보다 디스크 회전 출구측에서 크도록, 제1, 제2 회전 입구측 절취부(13, 14)를 마련한다. 이들 제1, 제2 회전 입구측 절취부(13, 14)는, 상기 각 절취부(13, 14)의 주위와 환형 접촉부(6A)가 교차하는 4개소의 접촉 단부(15)를 갖는다. 그리고, 이들 4개소의 접촉 단부(15) 중, 적어도 2개소의 접촉 단부(15)는, 피스톤(6)의 직경 방향 중심(O1)보다 디스크 회전 입구측에 설치한다.

Description

디스크 브레이크{DISC BRAKE}
본 발명은 예컨대 자동차 등의 차량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 설치되는 디스크 브레이크는,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의 외주측에 축방향으로 걸치도록 설치한 캘리퍼 본체와, 상기 캘리퍼 본체로부터 디스크의 축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돌출 단부에 환형 접촉부를 갖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의해 디스크에 압박되는 마찰 패드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차량의 운전자 등이 브레이크 조작을 행하였을 때는, 예컨대 피스톤을 외부로부터의 액압 공급에 의해 디스크측으로 슬라이딩 변위시키고, 상기 피스톤에 의해 마찰 패드를 디스크를 향하여 압박함으로써, 상기 디스크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브레이크의 작동 시에, 마찰 패드로부터 디스크에 가해지는 하중(면압)은, 디스크의 회전 방향 입구측(회전 입구측) 쪽이 회전 방향 출구측(회전 출구측)보다 커지기 쉽다. 특허문헌 1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는, 마찰 패드의 이면과 피스톤의 사이에 금속판 등에 의해 형성된 심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심 플레이트 중 피스톤의 환형 접촉부가 접촉하는 부위에 가늘고 긴 절취부를 마련하고, 이 절취부에 의해 디스크에 대한 마찰 패드의 면압을 조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절취부는, 심 플레이트 중 차량 전진 시에 디스크 회전 방향 입구측에 배치되고, 이 부위에서 하중을 저하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피스톤의 환형 접촉부로부터 마찰 패드에 가해지는 디스크 회전 방향 입구측의 하중을 저감할 수 있고, 마찰 패드(의 라이닝)가 편마모되거나, 브레이크 노이즈나 저더(judder)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10-122277호 공보
그러나, 예컨대 피스톤(환형 접촉부)의 외경(직경)이, 심 플레이트의 직경 방향 길이 및 둘레 방향 길이보다 작은 구성의 경우, 단순히 심 플레이트에 가늘고 긴 절취부를 마련하는 것만으로는, 절취부의 둘레 가장자리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피스톤이 기울 우려가 있다.
이 경우, 피스톤으로부터의 하중이 지점이 되는 부분에 집중하여, 피스톤으로부터 마찰 패드에 가해지는 하중이 불균일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 결과, 마찰 패드가 편마모되기 쉬워지거나, 경시적으로 저더가 발생하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레이크 노이즈, 마찰 패드의 편마모, 저더 등을 저감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크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의 외주에 걸치도록 설치한 캘리퍼 본체와, 상기 캘리퍼 본체로부터 상기 디스크의 축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돌출 단부에 환형 접촉부를 갖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의해 상기 디스크에 압박되는 마찰 패드와, 상기 마찰 패드의 이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환형 접촉부와 접촉하는 심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 접촉부의 직경을 상기 심 플레이트의 직경 방향 길이 및 둘레 방향 길이보다 작게 한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심 플레이트에, 상기 심 플레이트와 상기 환형 접촉부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차량 전진 시의 디스크 회전 입구측보다 디스크 회전 출구측에서 크도록 절취부를 마련하며, 상기 절취부는, 상기 절취부의 주위와 상기 환형 접촉부가 교차하는 적어도 4개소의 접촉 단부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4개소의 접촉 단부 중 적어도 2개소는, 상기 피스톤의 직경 방향 중심보다 디스크 회전 입구측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레이크 노이즈, 마찰 패드의 편마모, 저더 등을 저감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를 상방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도 1 중의 화살표 Ⅱ-Ⅱ 방향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내측의 마찰 패드와 심 플레이트를 내측(도 2의 우측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4는 심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 3과 같은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5는 심 플레이트를 도 4의 이면측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6은 심 플레이트를 도 5 중의 화살표 Ⅵ-Ⅵ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7은 심 플레이트를 도 5 중의 화살표 Ⅶ-Ⅶ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내측의 마찰 패드와 심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 3과 같은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내측의 마찰 패드와 심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 3과 같은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내측의 마찰 패드와 심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 3과 같은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내측의 마찰 패드와 심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 3과 같은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내측의 마찰 패드와 심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 3과 같은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13은 내측의 마찰 패드와 심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형태로서,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되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예로 들어,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7은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 도면 부호 1은 디스크 브레이크의 베이스 부분을 구성하는 부착 부재(캐리어)이며, 상기 부착 부재(1)는,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2)의 내측에서 차량의 비회전 부분(도시하지 않음)에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디스크(2)는, 예컨대 차량의 전진 시에 도 1 및 도 3 중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며, 도 1 중의 상측 및 도 3 중의 우측은, 디스크(2)의 회전 방향 입구측(회전 입구측)이 되고, 도 1 중의 하측 및 도 3 중의 좌측은, 회전 방향 출구측(회전 출구측)으로 되어 있다.
부착 부재(1)는, 한쌍의 아암부(1A, 1A)와, 지지부(1B)와, 보강 빔(1C)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아암부(1A, 1A)는, 디스크(2)의 회전 방향(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그 외주측에 걸치도록 디스크(2)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B)는, 상기 각 아암부(1A)의 기단측을 일체화하도록 연결하여 두껍게 형성되고, 디스크(2)의 내측이 되는 위치에서 차량의 비회전 부분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보강 빔(1C)은, 디스크(2)의 외측에서 각 아암부(1A)의 선단측을 서로 연결하고, 디스크(2)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아암부(1A)에는, 디스크(2)의 내측 및 외측에 위치하고 오목 형상으로 움푹 들어간 패드 가이드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고, 이들 패드 가이드부는, 후술하는 패드 스프링(25)과 협동하여 마찰 패드(7, 21)를 디스크(2)의 축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 부호 3은 부착 부재(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캘리퍼 본체이며, 상기 캘리퍼 본체(3)는, 디스크(2)의 외주에 걸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캘리퍼 본체(3)는, 내측 레그부(3A)와, 브릿지부(3B)와, 외측 레그부(3C)와, 2개의 부착부(3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내측 레그부(3A)는, 디스크(2)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브릿지부(3B)는, 상기 내측 레그부(3A)로부터 디스크(2)의 외주측에 걸치도록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외측 레그부(3C)는, 상기 브릿지부(3B)의 선단측으로부터 직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어 디스크(2)의 외측에 배치되고, 선단측이 두 갈래형의 클로부로 되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부착부(3D)는, 내측 레그부(3A)로부터 디스크 회전 방향 양측으로 돌출하여(도 1 참조) 형성되어 있다.
내측 레그부(3A) 내에는, 예컨대 2개의 실린더(4)(도 2에 한쪽만 도시)가 디스크(2)의 회전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실린더(4) 내에는, 후술하는 피스톤(6)이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각 부착부(3D)는, 슬라이딩 핀(5)(도 1 참조)을 이용하여 부착 부재(1)의 각 아암부(1A)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캘리퍼 본체(3)는, 디스크(2)의 축방향에 대하여 미끄럼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면 부호 6은 캘리퍼 본체(3)의 내측 레그부(3A)로부터 디스크(2)의 축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된 예컨대 2개의 피스톤이며, 상기 각 피스톤(6)은, 캘리퍼 본체(3)의 각 실린더(4) 내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각 피스톤(6)은, 각각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돌출 단측이 되는 돌출 단부에는 후술하는 심 플레이트(11)와 접촉하는 원환형의 환형 접촉부(6A)를 갖고 있다. 그리고, 각 피스톤(6)은, 도 3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2)의 회전 방향으로 나란히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형 접촉부(6A)의 직경(외형 치수)(D)은, 후술하는 심 플레이트(11)의 직경 방향 길이(W) 및 둘레 방향 길이(L)보다 작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는, 후술하는 내측의 마찰 패드(7)의 뒷판(9)의 외측 가장자리(둘레 가장자리) 내에 수용되는(비어져 나오지 않는) 크기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피스톤(6)은, 각 실린더(4) 내에 브레이크 액압이 공급됨으로써, 내측의 마찰 패드(7)를 디스크(2)에 압박하는 것이다.
즉, 브레이크의 작동 시에, 캘리퍼 본체(3)의 각 실린더(4) 내에 브레이크 액압이 공급되면, 각 피스톤(6)이 이동하여, 각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에 의해 내측의 마찰 패드(7)가 디스크(2)에 압박된다. 이때, 캘리퍼 본체(3)는, 각 피스톤(6)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내측으로 변위된다. 이에 의해, 외측 레그부(3C)가 외측의 마찰 패드(21)를 디스크(2)에 압박한다. 이에 의해, 디스크(2)의 양면에 마찰 패드(7, 21)가 압박되어 차량에 제동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 부호 7은 캘리퍼 본체(3)의 내측 레그부(3A)[각 피스톤(6)]와 디스크(2)의 사이에 설치된 내측의 마찰 패드이며, 상기 마찰 패드(7)는, 브레이크 작동 시(조작 시)에 각 피스톤(6)에 의해 디스크(2)에 압박되어, 외측의 마찰 패드(21)와 함께 차량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여기서, 마찰 패드(7)는, 디스크(2)에 마찰 접촉하는 라이닝(8)과, 이 라이닝(8)의 이면측에 고착된 뒷판(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뒷판(9)은, 디스크(2)의 회전 방향(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로 긴 대략 부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뒷판(9)의 내주측에는, 디스크(2)의 축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 대략 원호형(원통형)의 내주면(9A)이 마련되며, 뒷판(9)의 외주측에도 동일한 외주면(9B)이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각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의 직경(외경)(D)은, 뒷판(9)의 내주면(9A)과 외주면(9B)의 사이에 수용되는 크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내주면(9A)에는, 디스크(2)의 회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예컨대 2개의 부착 홈(9C)이 형성되고, 상기 각 부착 홈(9C)에는 후술하는 심 플레이트(11)의 내측 클로부(19)가 걸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뒷판(9)의 둘레 방향 양단측에는, 볼록 형상의 이어부(9D)가 각각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마찰 패드(7)는, 뒷판(9)의 각 이어부(9D)가 후술하는 패드 스프링(25)을 개재하여 부착 부재(1)의 각 패드 가이드부 내에 각각 삽입되고, 이들 패드 가이드부에 의해 각 아암부(1A)의 사이에서 디스크(2)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뒷판(9)의 이면에는, 후술하는 심 플레이트(11)를 개재하여 각 피스톤(6)이 접촉하고 있다.
다음에, 뒷판(9)의 이면측에 설치된 내측의 심 플레이트(1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 부호 11은 마찰 패드(7)의 뒷판(9)과 각 피스톤(6)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마찰 패드(7)의 이면측에 설치된 내측의 심 플레이트이고, 상기 심 플레이트(11)는, 각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와 접촉하는 것이다. 그리고, 심 플레이트(11)는, 브레이크의 작동 시에 피스톤(6)으로부터의 분포 하중을 조정하여 마찰 패드(7)의 디스크(2)의 면압을 적정화하여 마찰 패드(7)의 편마모나 브레이크 노이즈 등을 억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심 플레이트(11)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심 플레이트 부재로서의 금속 심(11A)과, 내측 심 플레이트 부재로서의 탄성 심(11B)을 서로 접착(고착)함으로써 형성된 적층 심 플레이트로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금속 심(11A)은, 예컨대 강판(스테인리스 강판) 등의 금속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탄성 심(11B)은, 예컨대 강판(스테인리스 강판) 등의 금속판(11B1)의 양측면을 경질 고무, 수지 등의 탄성재(11B2)에 의해 피복(코팅)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심 플레이트(11)에서의 상기 심(11A, 11B)의 재질이나 배치는, 일례를 보여주는 것이며, 심 플레이트(11)는, 후술하는 절취부를 갖는 심이 피스톤(6) 혹은 외측 레그부(3C)에 접촉하는 측(외측)으로 되어 있으면, 금속 심과 탄성 심의 내외 배치를 바꾸어 이용하거나, 동일한 재질의 심을 복수 이용하거나, 3개 이상의 심을 이용하여 구성하여도 좋은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는 금속 심(11A)과 탄성 심(11B)을 접착하여 심 플레이트(11)를 구성하고 있지만, 금속 심(11A)과 탄성 심(11B)을 접착하지 않고, 중합시켜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금속 심(11A) 및 탄성 심(11B)의 각각에 뒷판(9)에 걸기 위한 후술하는 바와 같은 클로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심 플레이트(11)는, 이면측(외측)이 되는 금속 심(11A)이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에 대면하고, 표면측(내측)이 되는 탄성 심(11B)이 마찰 패드(7)의 뒷판(9)에 대면하도록, 각 피스톤(6)과 마찰 패드(7)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금속 심(11A)과 탄성 심(11B)을 고착함으로써 형성된 심 플레이트(11)는, 후술하는 접촉판부(12)와, 내측 클로부(19)와, 외측 클로부(20)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도면 부호 12는 심 플레이트(11)의 본체 부분을 구성하는 접촉판부이며, 이 접촉판부(12)는, 예컨대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디스크(2)의 회전 방향(화살표 A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였을 때에, 가로로 긴 대략 부채 형상을 이루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접촉판부(12)의 표면[탄성 심(11B)측의 내측면]은, 뒷판(9)의 이면에 중합되도록 접촉되고, 접촉판부(12)의 이면[금속 심(11A)측의 외측면]은, 각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가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접촉판부(12)는, 각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와 대응하는 위치에, 후술하는 제1, 제2 일측 절취부(13, 14)와 제1, 제2 타측 절취부(17, 18)가 마련되어 있다.
도면 부호 13, 14는 접촉판부(12) 중 디스크(2)의 회전 방향 입구측인 회전 입구측(도 3에서 우측)의 피스톤(6)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1, 제2 일측 절취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제1, 제2 일측 절취부(13, 14)는, 접촉판부(12) 중 회전 입구측의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와 대응하는 부위의 회전 입구측,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입구측의 피스톤(6)의 직경 방향 중심(O1)을 지나 디스크(2)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분 X1-X1보다 회전 입구측(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제2 일측 절취부(13, 14)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 플레이트(11)를 구성하는 금속 심(11A)에 관통 구멍 또는 노치를 형성함으로써 마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일측 절취부(13)는, 환형 접촉부(6A)의 둘레 방향에 관하여 70도 내지 85도의 둘레 방향 치수를 갖는 대략 원호형의 관통 구멍으로서 금속 심(11A)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일측 절취부(14)는, 환형 접촉부(6A)의 둘레 방향에 관하여 70도 내지 85도의 둘레 방향 치수를 갖는 대략 원호형의 노치로서 금속 심(11A)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제1, 제2 일측 절취부(13, 14)는,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와 심 플레이트(11)의 접촉판부(12)의 사이[환형 접촉부(6A)와 탄성 심(11B)의 사이]에 부분적인 간극을 개재시킴으로써, 마찰 패드(7)에 대한 피스톤(6)의 면압을 조정하여, 브레이크 작동 시에 마찰 패드(7)가 편마모되는 것 등을 방지한다.
이 경우, 제1, 제2 일측 절취부(13, 14)는, 심 플레이트(11)의 접촉판부(12)와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금속 심(11A)과 환형 접촉부(6A)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차량 전진 시의 디스크 회전 입구측(도 3에서 선분 X1-X1보다 우측)보다 디스크 회전 출구측(도 3에서 선분 X1-X1보다 좌측)에서 크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제2 일측 절취부(13, 14)는 모두, 접촉판부(12)[금속 심(11A)] 중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와 대응하는 부위의 회전 입구측(도 3에서 선분 X1-X1보다 우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 일측 절취부(13, 14)는, 각각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를 따라 대략 원호형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제2 일측 절취부(13, 14)는, 이들 제1, 제2 일측 절취부(13, 14)의 주위(둘레 가장자리)와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가 교차하는 4개소의 접촉 단부(15)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이들 4개소의 접촉 단부(15)는 모두, 심 플레이트(11)의 접촉판부(12) 중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와 대응하는 부위의 회전 입구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1 일측 절취부(13)와 제2 일측 절취부(14)는, 접촉판부(12)[금속 심(11A)] 중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와 대응하는 부위의 회전 입구측(도 3에서 선분 X1-X1 보다 우측)에, 디스크(2)의 직경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일측 절취부(13)는, 디스크(2)의 직경 방향 외측, 즉 도 3의 선분 X1-X1과 직교하는 선분 X2-X2보다 디스크(2)의 직경 방향의 외측(도 3의 상측)이 되는 부위에 마련되어 있다. 한편, 제2 일측 절취부(14)는, 디스크(2)의 직경 방향 내측, 즉 도 3의 선분 X2-X2보다 직경 방향 내측(도 3의 하측)이 되는 부위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접촉판부(12)[금속 심(11A)] 중 제1 일측 절취부(13)의 내단측(도 3 내지 도 5의 하단측)과 제2 일측 절취부(14)의 외단측(도 3 내지 도 5의 상단측)의 사이는, 제1 일측 절취부(13)와 제2 일측 절취부(14)의 사이를 구획하는 칸막이부(16)로 되어 있다. 이 칸막이부(16)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 회전 입구측의 피스톤(6)의 직경 방향 중심(O1)을 지나 디스크(2)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분 X1-X1과 직교하는 선분 X2-X2를 따라, 바꾸어 말하면 마찰 패드(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4개소의 접촉 단부(15) 중 칸막이부(16)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소의 접촉 단부(15)는, 선분 X2-X2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일측 절취부(13)와 제2 일측 절취부(14)는,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의 회전 입구측 단부측(도 3에서 선분 X1-X1보다 우측)에서, 상기 환형 접촉부(6A)와 접촉하는 부분이 되는 칸막이부(16)의 양측에 마련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의 작동 시에,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의 회전 입구측은, 심 플레이트(11)의 접촉판부(12) 중 2개소의 접촉 단부(15) 사이에 놓인 부위인 칸막이부(16)와 접촉한다. 이 때문에, 접촉판부(12)에 절취부(13, 14)가 마련되어 있어도, 피스톤(6)이 절취부(13, 14)의 둘레 가장자리를 지점으로 하여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면 부호 17, 18은 심 플레이트(11)의 접촉판부(12) 중 디스크(2)의 회전 방향 출구측인 회전 출구측(도 3에서 좌측)의 피스톤(6)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1, 제2 타측 절취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제1, 제2 타측 절취부(17, 18)는, 심 플레이트(11)의 접촉판부(12) 중 회전 출구측의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와 대응하는 부위의 회전 입구측,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출구측의 피스톤(6)의 직경 방향 중심(O1)을 지나 디스크(2)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분 X1-X1보다 회전 입구측(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 타측 절취부(17, 18)와 제1, 제2 일측 절취부(13, 14)는, 회전 출구측의 피스톤(6)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는지 회전 입구측의 피스톤(6)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는지가 다르다는 점 이외에, 동일한 구성, 작용 효과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제2 타측 절취부(17, 18)에 관해서는, 제1, 제2 일측 절취부(13, 14)와 동일한 구성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 부호 19는 디스크(2)의 직경 방향 내측에서 심 플레이트(11)의 접촉판부(12)에 일체 형성된 2개의 내측 클로부이며, 상기 각 내측 클로부(19)는, 접촉판부(12)로부터 디스크(2)의 직경 방향 안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뒷판(9)의 부착 홈(9C)을 향하여 대략 L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다. 여기서, 각 내측 클로부(19) 중 디스크(2)의 회전 입구측(도 3 및 도 4에서 우측)의 내측 클로부(19)는, 탄성 심(11B)에 마련되고, 회전 출구측(도 3 및 도 4에서 좌측)의 내측 클로부(19)는, 금속 심(11A)과 탄성 심(11B)의 양방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각 내측 클로부(19)는, 뒷판(9)의 부착 홈(9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부착 홈(9C)에 적절한 체결 여유를 가지고 걸려 있다.
도면 부호 20은 디스크(2)의 직경 방향 외측에서 심 플레이트(11)의 접촉판부(12)에 일체 형성된 2개의 외측 클로부이며, 상기 각 외측 클로부(20)는, 접촉판부(12)로부터 디스크(2)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뒷판(9)의 외주면(9B)을 향하여 대략 L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다. 여기서, 각 외측 클로부(20)는, 금속 심(11A)과 탄성 심(11B)의 양방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각 외측 클로부(20)는, 뒷판(9)의 외주면(9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외주면(9B)에 적절한 체결 여유를 가지고 걸려 있다.
도면 부호 21은 캘리퍼 본체(3)의 외측 레그부(3C)와 디스크(2)의 사이에 설치된 외측의 마찰 패드(도 1 및 도 2 참조)이며, 상기 마찰 패드(21)는, 내측의 마찰 패드(7)와 거의 마찬가지로, 라이닝(22)과 뒷판(23)에 의해 구성되고, 브레이크 작동 시에 외측 레그부(3C)에 의해 디스크(2)에 압박된다. 그리고, 뒷판(23)의 이면에는 외측의 심 플레이트(24)(도 2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 부호 25는 부착 부재(1)의 각 패드 가이드부에 설치된 한쌍의 패드 스프링이며, 이들 패드 스프링(25)은, 마찰 패드(7, 21)[뒷판(9)의 이어부(9D)]를 패드 가이드부 내에서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이며, 다음에, 그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차량의 운전자 등이 브레이크를 조작하였을 때에는, 캘리퍼 본체(3)의 각 실린더(4) 내에 브레이크 액압이 공급되고, 각 피스톤(6)이 내측의 마찰 패드(7)를 향하여 변위한다. 이에 의해, 각 피스톤(6)은, 심 플레이트(11)를 개재하여 마찰 패드(7)를 디스크(2)에 압박하고, 이때의 반력에 의해 캘리퍼 본체(3)가 내측으로 변위한다. 그 결과, 캘리퍼 본체(3)의 외측 레그부(3C)는, 외측의 심 플레이트(24)를 개재하여 마찰 패드(21)를 디스크(2)에 압박하게 되기 때문에, 마찰 패드(7, 21)에 의해 디스크(2)에 양측으로부터 압박력을 가하여, 차량에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브레이크의 작동 시(조작 시)에는, 각 피스톤(6)의 압박력이 심 플레이트(11)를 통해 마찰 패드(7)에 전해진다. 이때, 심 플레이트(11)는, 절취부(13, 14, 17, 18)가 마련되어 있어도, 각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의 회전 입구측(도 3에서 선분 X1-X1보다 우측)이 칸막이부(16)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피스톤(6)이 절취부(13, 14, 17, 18)의 둘레 가장자리를 지점으로 하여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심 플레이트(11)를 통하여 각 피스톤(6)으로부터의 하중을 마찰 패드(7)의 디스크 회전 입구측에 저감하여 전달할 수 있어, 브레이크 노이즈, 마찰 패드의 편마모, 저더 등을 저감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제2 절취부(13, 14, 17, 18)의 접촉 단부(15) 중, 적어도 2개소의 접촉 단부(15)[칸막이부(16)의 양측에 위치하는 접촉 단부(15)]를, 디스크(2)의 차량 전진 시의 디스크 회전 입구측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의 작동 시에, 심 플레이트(11) 중 상기 2개소의 접촉 단부(15) 사이에 놓인 부위인 칸막이부(16)와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피스톤(6)이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캘리퍼 본체(3)에 2개의 피스톤(6)을 설치하며, 각각의 피스톤(6)마다[각각의 피스톤(6)에 대응하여] 제1, 제2 절취부(13, 14, 17, 18)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2개의 피스톤(6)을 캘리퍼 본체(3)에 설치하는 구성이라도, 각 절취부(13, 14, 17, 18)에 의해 2개의 피스톤(6) 모두가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제2 절취부(13, 14, 17, 18)를 각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의 회전 입구측 단부측에서 상기 환형 접촉부(6A)와 접촉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칸막이부(16)의 양측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의 작동 시에, 각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와 칸막이부(16)가 확실하게 접촉한다.
그리고, 제1, 제2 절취부(13, 14, 17, 18)의 크기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칸막이부(16)의 둘레 방향 치수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마찰 패드(7)로부터 디스크(2)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포(면압 분포)를 폭 넓게 조정(튜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러한 면에서도, 각 피스톤(6)이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 피스톤(6)이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각 피스톤(6)으로부터의 디스크 회전 입구측의 하중을 마찰 패드(7)에 저감하여 가할 수 있다. 그 결과, 브레이크 노이즈, 마찰 패드(7)의 편마모, 저더 등을 저감할 수 있어,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성능, 내구성,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도 8은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절취부의 일부가 디스크의 회전 출구측이 되는 부위에까지 연장되도록 마련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 부호 31은 디스크(2)의 회전 입구측(도 8에서 우측)의 피스톤(6)에 대응하는 위치이며, 디스크(2)의 직경 방향 내측, 즉 도 8의 선분 X2-X2보다 디스크(2)의 직경 방향의 내측(도 8의 하측)이 되는 부위에 마련된 제2 일측 절취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2 일측 절취부(31)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제2 일측 절취부(14)와 비교하여, 각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의 둘레 방향에 관한 치수가 길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일측 절취부(31)는, 환형 접촉부(6A)의 둘레 방향에 관하여 95도 내지 120도의 둘레 방향 치수를 갖는 대략 원호형의 노치로서 심 플레이트(11)[금속 심(11A)]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일측 절취부(31)는, 그 일부가, 디스크(2)의 회전 출구측(도 8의 선분 X1-X1보다 좌측)이 되는 부위에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일측 절취부(31)의 접촉 단부(15, 32) 중 디스크(2)의 직경 방향에 관하여 내측에 위치하는 접촉 단부(32)는, 디스크(2)의 회전 출구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제2 일측 절취부(13, 31)의 4개소의 접촉 단부(15, 32) 중 3개소의 접촉 단부(15)가, 디스크(2)의 회전 출구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단, 본 실시형태의 경우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제2 일측 절취부(13, 31)는, 심 플레이트(11)의 접촉판부(12)와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금속 심(11A)과 환형 접촉부(6A)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회전 입구측보다 회전 출구측에서 크도록 심 플레이트(11)에 마련되어 있다.
도면 부호 33은, 디스크(2)의 회전 출구측(도 8에서 좌측)의 피스톤(6)에 대응하는 위치이며, 디스크(2)의 직경 방향 내측, 즉 도 8의 선분 X2-X2보다 디스크(2)의 직경 방향의 내측(도 8의 하측)이 되는 부위에 마련된 제2 타측 절취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2 타측 절취부(33)와 전술한 제2 일측 절취부(31)는, 회전 출구측의 피스톤(6)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는지 회전 입구측의 피스톤(6)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는지가 다르다는 점 이외에, 동일한 구성, 작용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이렇게 하여,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2 절취부(31, 33)의 치수를,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제2 절취부(14, 18)보다 길게 함으로써, 마찰 패드(7)로부터 디스크(2)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포(면압 분포)를 조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한층 더 브레이크 성능, 내구성,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에, 도 9는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칸막이부의 위치를 회전 입구측의 피스톤의 직경 방향 중심을 지나 디스크(2)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분과 직교하는 선분, 즉 마찰 패드(7)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디스크 직경 방향 안쪽으로 비켜 놓은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 부호 41, 42는 디스크(2)의 회전 입구측(도 9에서 우측)의 피스톤(6)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1, 제2 일측 절취부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43, 44는 디스크(2)의 회전 출구측(도 9에서 좌측)의 피스톤(6)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1, 제2 타측 절취부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디스크(2)의 직경 방향 외측(도 9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절취부(41, 43)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제1 절취부(13, 17)와 비교하여, 각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의 둘레 방향에 관한 치수가 길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절취부(41, 43)의 둘레 방향 치수를, 환형 접촉부(6A)의 둘레 방향에 관하여 90도 내지 120도로 설정하고 있다.
한편, 디스크(2)의 직경 방향 내측(도 9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절취부(42, 44)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제2 절취부(14, 18)와 비교하여, 각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의 둘레 방향에 관한 치수가 짧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절취부(42, 44)의 둘레 방향 치수는, 환형 접촉부(6A)의 둘레 방향에 관하여 10도 내지 60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절취부(41, 43)와 제2 절취부(42, 44)의 사이를 구획하는 칸막이부(45)의 위치는, 피스톤(6)의 직경 방향 중심(O1)을 지나 디스크(2)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분 X1-X1과 직교하는 선분 X2-X2으로부터 비켜 놓이는, 바꾸어 말하면, 마찰 패드(7)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디스크 직경 방향 안쪽을 비켜 놓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절취부(41, 43)의 둘레 방향 치수와 제2 절취부(42, 44)의 둘레 방향 치수를 조정함으로써, 마찰 패드(7)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포를 조정하고 있다. 즉, 캘리퍼 본체(3)의 실린더(4) 내에 높은 브레이크 액압이 공급되면, 캘리퍼 본체(3)는 내측 레그부(3A)와 브릿지부(3B)의 접합 부분을 중심으로 디스크(2)에 대하여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가 경사지도록, 즉 디스크 직경 방향 안쪽이 보다 확장되도록 변형한다. 이 때문에,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로부터 마찰 패드(7)에 가해지는 하중은, 환형 접촉부(6A)의 디스크 직경 방향 안쪽보다 디스크 직경 방향 바깥쪽에서 크다. 이러한 경우에, 본 실시형태와 같이, 칸막이부(45)가 마찰 패드(7)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디스크 직경 방향 안쪽으로 비켜 놓이게 마련됨으로써, 환형 접촉부(6A)의 디스크 직경 방향 외방으로부터 마찰 패드(7)에 가해지는 하중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마찰 패드(7)의 디스크 직경 방향에서의 편마모를 억제할 수 있어, 한층 더 브레이크 성능, 내구성,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다음에, 도 10은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피스톤의 회전 입구측에 3개의 절취부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 부호 51, 52, 53은 디스크(2)의 회전 방향 입구측인 회전 입구측(도 10에서 우측)의 피스톤(6)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1, 제2, 제3 일측 절취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제1, 제2, 제3 일측 절취부(51, 52, 53)는, 심 플레이트(11)의 접촉판부(12) 중 회전 입구측의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와 대응하는 부위의 회전 입구측, 즉 회전 입구측의 피스톤(6)의 직경 방향 중심(O1)을 지나 디스크(2)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분 X1-X1보다 회전 입구측(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제2, 제3 일측 절취부(51, 52, 53)는, 이들 절취부(51, 52, 53)의 주위(둘레 가장자리)와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가 교차하는 6개소의 접촉 단부(54)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이들 6개소의 접촉 단부(54)는, 접촉판부(12) 중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와 대응하는 부위의 회전 입구측(선분 X1-X1보다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심 플레이트(11)의 접촉판부(12) 중 제1 일측 절취부(51)의 내단측(하단측)과 제2 일측 절취부(52)의 외단측(상단측)의 사이는, 이들 제1 일측 절취부(51)와 제2 일측 절취부(52)의 사이를 구획하는 제1 칸막이부(55)로 되어 있다. 또한, 심 플레이트(11)의 접촉판부(12) 중 제2 일측 절취부(52)의 내단측(하단측)과 제3 일측 절취부(53)의 외단측(상단측)의 사이는, 이들 제2 일측 절취부(52)와 제3 일측 절취부(53)의 사이를 구획하는 제2 칸막이부(56)로 되어 있다.
도면 부호 57, 58, 59는 디스크(2)의 회전 방향 출구측인 회전 출구측(도 10에서 좌측)의 피스톤(6)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1, 제2, 제3 타측 절취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들 제1, 제2, 제3 타측 절취부(57, 58, 59)와 전술한 제1, 제2, 제3 일측 절취부(51, 52, 53)는, 회전 출구측의 피스톤(6)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는지 회전 입구측의 피스톤(6)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는지가 다르다는 점 이외에, 동일한 구성, 작용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제2, 제3 타측 절취부(57, 58, 59)에 관해서는, 제1, 제2, 제3 일측 절취부(51, 52, 53)와 동일한 구성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절취부(51, 52, 53, 57, 58, 59)가 마련된 심 플레이트(11)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노이즈, 마찰 패드의 편마모, 저더 등을 저감하는 것으로, 그 기본적 작용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것과 각별한 차이는 없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심 플레이트(11)의 접촉판부(12) 중 회전 입구측의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와 대응하는 부위의 회전 입구측에 2개의 칸막이부(55, 56)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의 회전 입구측이 2개의 칸막이부(55, 56)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각 피스톤(6)이 절취부(51, 52, 53, 57, 58, 59)의 둘레 가장자리를 지점으로 하여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 노이즈, 마찰 패드의 편마모, 저더 등의 추가적인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다음에, 도 11은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피스톤의 회전 입구측에 2개의 절취부를 마련하며 회전 출구측에 1개의 절취부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 부호 61은 디스크(2)의 회전 방향 입구측인 회전 입구측(도 11에서 우측)의 피스톤(6)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3 일측 절취부이며, 상기 제3 일측 절취부(61)는, 심 플레이트(11)의 접촉판부(12) 중 회전 입구측의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와 대응하는 부위의 회전 출구측, 즉 회전 입구측의 피스톤(6)의 직경 방향 중심(O1)을 지나 디스크(2)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분 X1-X1보다 회전 출구측(좌측)에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제3 일측 절취부(61)는, 환형 접촉부(6A)의 둘레 방향에 관하여 20도 내지 40도의 둘레 방향 치수를 갖는 대략 원호형의 관통 구멍으로서 금속 심(11A)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 일측 절취부(61)는, 피스톤(6)의 직경 방향 중심(O1)을 지나 디스크(2)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분 X1-X1과 직교하는 선분 X2-X2가 중첩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제2, 제3 일측 절취부(13, 14, 61)는, 심 플레이트(11)의 접촉판부(12)와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금속 심(11A)과 환형 접촉부(6A)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회전 입구측보다 회전 출구측에서 크도록 심 플레이트(11)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 제3 일측 절취부(13, 14, 61)는, 이들 절취부(13, 14, 61)의 주위(둘레 가장자리)와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가 교차하는 6개소의 접촉 단부(62)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이들 6개소의 접촉 단부(62) 중 4개소의 접촉 단부(62)는, 접촉판부(12) 중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와 대응하는 부위의 회전 입구측(선분 X1-X1보다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6개소의 접촉 단부(62) 중 2개소의 접촉 단부(62)는, 접촉판부(12) 중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와 대응하는 부위의 회전 출구측(선분 X1-X1보다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면 부호 63은 디스크(2)의 회전 방향 출구측인 회전 출구측(도 11에서 좌측)의 피스톤(6)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3 타측 절취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3 타측 절취부(63)와 전술한 제3 일측 절취부(61)는, 회전 출구측의 피스톤(6)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는지 회전 입구측의 피스톤(6)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는지가 다르다는 점 이외에, 동일한 구성, 작용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이렇게 하여,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3 절취부(61, 63)를 마련함으로써, 마찰 패드(7)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포(면압 분포)를 조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한층 더 브레이크 성능, 내구성,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다음에, 도 12 및 도 13은 제6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심 플레이트를 분리 가능한 2장의 심 플레이트 부재에 의해 구성한 것에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 부호 71은 내측의 마찰 패드(7)와 각 피스톤(6)의 사이에 위치하며 그 마찰 패드(7)의 이면측에 설치된 내측의 심 플레이트이고, 상기 심 플레이트(71)는, 각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와 접촉하는 것이다. 여기서, 심 플레이트(71)는, 상호 분리 가능한 외측 심 플레이트 부재(72)와 내측 심 플레이트 부재(73)의 2장의 심 플레이트 부재(72, 73)에 의해 구성되고, 이들 외측 심 플레이트 부재(72)와 내측 심 플레이트 부재(73)는, 예컨대 강판(스테인리스 강판) 등의 금속판에 의해, 혹은 그 금속판의 양측면을 경질 고무, 수지 등의 탄성재에 의해 피복(코팅)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외측, 내측 심 플레이트 부재(72, 73) 중 각 피스톤(6)측에 배치되는 외측 심 플레이트 부재(72)는, 디스크(2)의 회전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측 심 플레이트 부재(72)의 본체 부분을 구성하는 접촉판부(72A)와, 디스크(2)의 직경 방향 내측에서 접촉판부(72A)에 일체 형성되어 뒷판(9)의 부착 홈(9C)에 걸리는 2개의 내측 클로부(72B)와, 디스크(2)의 직경 방향 외측에서 접촉판부(72A)에 일체 형성되어 뒷판(9)의 외주면(9B)에 걸리는 1개의 외측 클로부(72C)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촉판부(72A)에는, 각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와 대응하는 위치에, 후술하는 제1 일측 절취부(74)와 제1 타측 절취부(78)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마찰 패드(7)[뒷판(9)]측에 배치되는 내측 심 플레이트 부재(73)는, 디스크(2)의 회전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 심 플레이트 부재(73)의 본체 부분을 구성하는 접촉판부(73A)와, 디스크(2)의 직경 방향 내측에서 접촉판부(73A)에 일체 형성되어 뒷판(9)의 내주면(9A)에 걸리는 1개의 내측 클로부(73B)와, 디스크(2)의 직경 방향 외측에서 접촉판부(73A)에 일체 형성되어 뒷판(9)의 외주면(9B)에 걸리는 2개의 외측 클로부(73C)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촉판부(73A)에는, 각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와 대응하는 위치에, 후술하는 제2 일측 절취부(75)와 제2 타측 절취부(79)가 마련되어 있다.
도면 부호 74, 75는 심 플레이트(71) 중 디스크(2)의 회전 방향 입구측인 회전 입구측(도 12에서 우측)의 피스톤(6)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1, 제2 일측 절취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제1, 제2 일측 절취부(74, 75)는, 심 플레이트(71) 중 회전 입구측의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와 대응하는 부위의 회전 입구측, 즉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입구측의 피스톤(6)의 직경 방향 중심(O1)을 지나 디스크(2)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분 X1-X1보다 회전 입구측(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제2 일측 절취부(74, 75) 중 제1 일측 절취부(74)는, 외측 심 플레이트 부재(72)의 접촉판부(75A) 중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에 대응하는 부위의 회전 입구측(선분 X1-X1보다 우측)에서, 선분 X1-X1과 직교하는 선분 X2-X2보다 디스크(2)의 직경 방향 외측이 되는 부위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일측 절취부(74)는,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의 회전 입구측에서 선분 X2-X2보다 디스크(2)의 직경 방향 외측이 되는 부위와, 내측 심 플레이트 부재(73)의 접촉판부(73A)의 사이에 부분적인 간극을 개재(형성)시키는 것이다.
한편, 제2 일측 절취부(75)는, 내측 심 플레이트 부재(73)의 접촉판부(73A) 중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에 대응하는 부위의 회전 입구측(선분 X1-X1보다 우측)에서 선분 X2-X2보다 디스크(2)의 직경 방향 내측이 되는 부위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일측 절취부(75)는, 외측 심 플레이트 부재(72)의 접촉판부(75A) 중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의 회전 입구측에서 선분 X2-X2보다 디스크(2)의 직경 방향 하측과 대응하는 부위와, 마찰 패드(7)의 뒷판(9)의 사이에 부분적인 간극을 개재(형성)시키는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경우, 마찰 패드(7)의 뒷판(9)과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의 사이에는, 제1, 제2 일측 절취부(74, 75)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부분적인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심 플레이트(71) 중, 마찰 패드(7)의 뒷판(9)과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가 외측 심 플레이트 부재(72)와 내측 심 플레이트 부재(73) 모두를 개재하여 접촉하는 부분, 즉 제1, 제2 일측 절취부(74, 75)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간극을 개재하지 않고서 접촉하는 부분의 면적이, 회전 입구측(도 12에서 선분 X1-X1보다 우측)보다 회전 출구측(도 12에서 선분 X1-X1보다 좌측)에서 크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1, 제2 일측 절취부(74, 75)는, 이들 제1, 제2 일측 절취부(74, 75)의 주위(둘레 가장자리)와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가 교차하는 4개소의 접촉 단부(76)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이들 4개소의 접촉 단부(76)는, 심 플레이트(71) 중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와 대응하는 부위의 회전 입구측(도 12에서 선분 X1-X1보다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심 플레이트(71) 중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1 일측 절취부(74)의 내단측(도 12의 하단측)과 제2 일측 절취부(75)의 외단측(도 12의 상단측)의 사이는, 마찰 패드(7)의 뒷판(9)과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가, 외측 심 플레이트 부재(72)의 접촉판부(75A)와 내측 심 플레이트 부재(73)의 접촉판부(73A) 모두를 개재하여 접촉하는 회전 입구측 접촉부(77)로 되어 있다.
이 회전 입구측 접촉부(77)는, 회전 입구측의 피스톤(6)의 직경 방향 중심(O1)을 지나 디스크(2)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분 X1-X1과 직교하는 선분 X2-X2를 따라 연장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4개소의 접촉 단부(76) 중 회전 입구측 접촉부(77)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소의 접촉 단부(76)는, 선분 X2-X2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의 작동 시에,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의 회전 입구측(도 12에서 선분 X1-X1보다 우측)은, 심 플레이트(71) 중 2개소의 접촉 단부(76) 사이에 놓인 부위인 회전 입구측 접촉부(77)와 접촉한다. 이 때문에, 심 플레이트(71)를 구성하는 외측, 내측 심 플레이트 부재(72, 73)에 각각 절취부(74, 75)가 마련되어 있어도, 피스톤(6)이 회전 입구측 접촉부(77)와 접촉함으로써, 절취부(74, 75)의 둘레 가장자리를 지점으로 하여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면 부호 78, 79는 심 플레이트(71) 중 디스크(2)의 회전 방향 출구측인 회전 출구측(도 12에서 좌측)의 피스톤(6)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1, 제2 타측 절취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제1, 제2 타측 절취부(78, 79)는, 심 플레이트(71) 중 회전 출구측의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와 대응하는 부위의 회전 입구측, 즉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출구측의 피스톤(6)의 직경 방향 중심(O1)을 지나 디스크(2)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분 X1-X1 보다 회전 입구측(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 타측 절취부(78, 79)와 제1, 제2 일측 절취부(74, 75)는, 회전 출구측의 피스톤(6)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는지 회전 입구측의 피스톤(6)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는지가 다르다는 점 이외에, 동일한 구성, 작용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제2 타측 절취부(78, 79)에 관해서는, 제1, 제2 일측 절취부(74, 75)와 동일한 구성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절취부(74, 75, 78, 79)가 마련된 심 플레이트(71)[외측 심 플레이트 부재(72)와 내측 심 플레이트 부재(73)]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노이즈, 마찰 패드의 편마모, 저더 등을 저감하는 것이며, 그 기본적 작용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것과 각별한 차이는 없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심 플레이트(71)를 구성하는 외측 심 플레이트 부재(72)에 제1 일측 절취부(74)와 제1 타측 절취부(78)를 마련하며, 심 플레이트(71)를 구성하는 내측 심 플레이트 부재(73)에 제2 일측 절취부(75)와 제2 타측 절취부(79)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의 작동 시에, 각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의 회전 입구측(도 12에서 선분 X1-X1보다 우측)은, 심 플레이트(71) 중 2개소의 접촉 단부(76) 사이에 놓인 부위인 회전 입구측 접촉부(77)와 접촉한다. 이 회전 입구측 접촉부(77)는, 마찰 패드(7)의 뒷판(9)과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가 외측 심 플레이트 부재(72)의 접촉판부(75A)와 내측 심 플레이트 부재(73)의 접촉판부(73A) 양자 모두를 개재하여 접촉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심 플레이트(71)에 절취부(74, 75, 78, 79)가 마련되어 있어도, 회전 입구측 접촉부(77)에 의해, 각 피스톤(6)이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마찰 패드(7)의 디스크 회전 입구측에의 각 피스톤(6)으로부터의 하중을 저감하여 전달할 수 있어, 브레이크 노이즈, 마찰 패드(7)의 편마모, 저더 등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성능, 내구성,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제2 절취부(74, 75, 78, 79)를 각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의 회전 입구측 단부측에서 심 플레이트(11)와 접촉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회전 입구측 접촉부(77)의 양측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의 작동 시에 각 피스톤(6)의 환형 접촉부(6A)가 회전 입구측 접촉부(77)와 확실하게 접촉하고, 이에 의해, 각 피스톤(6)이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내지 제5 실시형태에서는, 심 플레이트(11)를 금속 심(11A)과 탄성 심(11B)을 서로 접착함으로써 형성된 적층 심 플레이트로서 구성하며, 금속 심(11A)에 관통 구멍 내지 노치를 형성함으로써 심 플레이트(11)에 절취부(13, 14, 17, 18, 31, 33, 41, 42, 43, 44, 51, 52, 53, 57, 58, 59, 61, 63)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금속 심에 관통 구멍 내지 노치를 형성하지 않고, 탄성 심에 관통 구멍 내지 노치를 형성함으로써 심 플레이트에 절취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금속 심과 탄성 심 모두에 관통 구멍 내지 노치를 형성함으로써 심 플레이트에 절취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금속 심과 탄성 심 중 적어도 한쪽에 관통 구멍 내지 노치를 형성함으로써 심 플레이트에 절취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심 플레이트를 1장의 금속 심 또는 탄성 심에 의해 형성한 (단일의) 심 플레이트로서 구성하여도 좋고, 3장 이상의 심(심 플레이트 부재)을 접착함으로써 형성되는 적층 심 플레이트로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2장 이상의 심(심 플레이트 부재)을 단순히 중합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전술한 제6 실시형태에서는, 심 플레이트(71)를 분리 가능한 2장의 심 플레이트 부재(72, 73)에 의해 구성하며, 이들 심 플레이트 부재(72, 73)의 양방에 각각 절취부(74, 75, 78, 79)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2장의 심 플레이트 부재를 분리할 수 없도록 접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2장의 심 플레이트 부재의 한쪽에만 절취부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심 플레이트를 1장의 심 플레이트 부재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고, 3장 이상의 심 플레이트 부재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4개소의 접촉 단부(15)의 전부를 피스톤(6)의 직경 방향 중심(O1)보다 회전 입구측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고, 전술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4개소의 접촉 단부(15, 32) 중 3개소의 접촉 단부(15)를 피스톤(6)의 직경 방향 중심(O1)보다 회전 입구측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2개소의 접촉 단부를 회전 입구측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적어도 2개소의 접촉 단부는, 피스톤의 직경 방향 중심보다 회전 입구측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4개소 내지 6개소의 접촉 단부(15, 32, 54, 62, 76)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절취부를 4개 이상 마련함으로써, 8개소 이상의 접촉 단부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접촉 단부는, 적어도 4개소 마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단면 형상이 원형인 피스톤(6)을 이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단면 형상이 타원형 등인 비원형의 피스톤을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캘리퍼 본체(3)의 내측 레그부(3A)에 2개의 피스톤(6)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캘리퍼 본체의 내측 레그부에 1개의 피스톤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캘리퍼 본체의 내측 레그부에 3개 이상의 피스톤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캘리퍼 본체(3)의 내측 레그부(3A)에 실린더(4)를 개재하여 피스톤(6)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고, 캘리퍼 본체(3)의 외측 레그부(3C)를 외측의 마찰 패드(21)에 접촉시키는 구성으로 한 소위 플로우팅 캘리퍼형의 디스크 브레이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캘리퍼 본체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피스톤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소위 대향 피스톤형의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하여도 좋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절취부의 접촉 단부 중 적어도 2개소의 접촉 단부를 차량 전진 시의 디스크 회전 입구측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의 작동 시에, 심 플레이트 중 상기 2개소의 접촉 단부 사이에 놓인 부위와 피스톤의 환형 접촉부가 접촉하고, 이에 의해 이 피스톤이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피스톤으로부터의 하중을 마찰 패드의 디스크 회전 입구측에 저감하여 전달할 수 있어, 브레이크 노이즈, 마찰 패드의 편마모, 저더 등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성능, 내구성,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실시형태에 따르면, 피스톤을 캘리퍼 본체에 적어도 2개 설치하며, 각각의 피스톤마다 절취부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절취부에 의해 복수의 피스톤 모두가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피스톤을 캘리퍼 본체에 적어도 2개 설치하는 구성이라도, 피스톤으로부터의 하중을 마찰 패드의 디스크 회전 입구측에 저감하여 전달할 수 있어, 브레이크 노이즈, 마찰 패드의 편마모, 저더 등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성능, 내구성,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절취부를, 피스톤의 환형 접촉부의 회전 입구측 단부측에서 그 환형 접촉부와 심 플레이트가 접촉하는 부분의 양측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절취부 사이에 놓인 부위가 피스톤의 환형 접촉부와 접촉한다. 그리고, 절취부의 크기(접촉하는 부분의 크기)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마찰 패드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포(면압 분포)를 폭 넓게 조정(튜닝)할 수 있다. 그 결과, 피스톤이 경사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 브레이크 성능, 내구성, 안정성의 향상을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2 : 디스크 3 : 캘리퍼 본체
6 : 피스톤 6A : 환형 접촉부
7 : (내측의) 마찰 패드 11, 71 : (내측의)심 플레이트
13, 41, 51, 74 : 제1 일측 절취부
14, 31, 42, 52, 75 : 제2 일측 절취부
15, 32, 54, 62, 76 : 접촉 단부
17, 43, 57, 78 : 제1 타측 절취부
18, 33, 44, 58, 79 : 제2 타측 절취부
53, 61 : 제3 일측 절취부 59, 63 제3 타측 절취부

Claims (7)

  1. 차량의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의 외주에 걸치도록 설치한 캘리퍼 본체와,
    상기 캘리퍼 본체로부터 상기 디스크의 축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돌출 단부에 환형 접촉부를 갖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의해 상기 디스크에 압박되는 마찰 패드와,
    상기 마찰 패드의 이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환형 접촉부와 접촉하는 심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 접촉부의 직경을 상기 심 플레이트의 직경 방향 길이 및 둘레 방향 길이보다 작게 한 디스크 브레이크로서,
    상기 심 플레이트에, 상기 심 플레이트와 상기 환형 접촉부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차량 전진 시의 디스크 회전 입구측보다 디스크 회전 출구측에서 크도록 절취부를 마련하며,
    상기 절취부는, 상기 절취부의 주위와 상기 환형 접촉부가 교차하는 적어도 4개소의 접촉 단부를 갖고,
    상기 적어도 4개소의 접촉 단부 중 적어도 2개소는, 상기 피스톤의 직경 방향 중심보다 디스크 회전 입구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캘리퍼 본체에 적어도 2개 설치되고,
    상기 절취부는, 각각의 피스톤마다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4개소의 접촉 단부 중 적어도 2개소의 사이에는, 상기 환형 접촉부가 접촉하는 칸막이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는, 상기 마찰 패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는, 상기 마찰 패드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디스크 직경 방향 안쪽으로 비켜 놓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 플레이트는, 복수의 심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절취부는, 상기 환형 접촉부에 접촉하는 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상기 환형 접촉부의 디스크 회전 입구측 단부측에서 상기 심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부분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KR1020120074486A 2011-07-28 2012-07-09 디스크 브레이크 KR1019222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65538 2011-07-28
JP2011165538A JP5806872B2 (ja) 2011-07-28 2011-07-28 ディスクブレー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355A true KR20130014355A (ko) 2013-02-07
KR101922258B1 KR101922258B1 (ko) 2018-11-26

Family

ID=47503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486A KR101922258B1 (ko) 2011-07-28 2012-07-09 디스크 브레이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14319B2 (ko)
JP (1) JP5806872B2 (ko)
KR (1) KR101922258B1 (ko)
CN (1) CN102900790B (ko)
DE (1) DE1020122132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16143A (ja) * 2011-06-09 2014-07-07 ベイジンウェスト・インダストリ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揺動パッド式ブレーキキャリパー
US9874255B2 (en) 2014-03-17 2018-01-23 Akebono Brake Industry Co., Ltd. Decoupling brake component
JP6304879B2 (ja) * 2014-06-09 2018-04-0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パッドおよび一対のシム
IT201700013292A1 (it) * 2017-02-07 2018-08-07 Campagnolo Srl Pastiglia per freno a disco di bicicletta
KR20200105148A (ko) * 2019-02-28 202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마찰요소 래치장치
KR20220053371A (ko) * 2020-10-22 2022-04-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3643A (en) * 1959-07-03 1963-12-10 Girling Ltd Actuator for a sport type disc brake acting over a partial area of a disc brake friction pad, said area spaced circum-ferentially from the axis of the actuator
GB1275306A (en) 1969-06-27 1972-05-24 Bba Group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isc brake assemblies and a method of making a brake pad for such assemblies
US3918555A (en) * 1974-01-22 1975-11-11 Girling Ltd Apparatus for locating a friction pad assembly to a support member
JPS5326547Y2 (ko) * 1974-02-26 1978-07-06
GB1504601A (en) * 1975-01-23 1978-03-22 Girling Ltd Disc brakes for vehicles
US4155430A (en) * 1976-05-19 1979-05-22 Toyota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Noise preventing means for disc brakes
JPS52154588U (ko) * 1976-05-19 1977-11-24
JPS6024993Y2 (ja) * 1979-12-22 1985-07-2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デイスクブレ−キ用シム
JPS61104838U (ko) * 1984-12-17 1986-07-03
JP3792805B2 (ja) * 1996-10-18 2006-07-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スクブレーキ
JPH10122271A (ja) * 1996-10-23 1998-05-12 Aisin Seiki Co Ltd ディスクブレーキ
DE19756553C2 (de) * 1997-12-18 2002-06-13 Eagle Picher Wolverine Gmbh Dämpfungsblech
FR2840965B1 (fr) * 2002-06-13 2005-01-14 Fed Mogul Friction Products Sa Frein a dis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patin pour un frein et clinquant anti-bruit pour un tel patin
JP4277711B2 (ja) * 2004-03-05 2009-06-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6097867A (ja) 2004-09-30 2006-04-13 Hitachi Ltd ディスクブレーキ
JP4554416B2 (ja) * 2005-03-30 2010-09-2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JP4723421B2 (ja) * 2006-05-31 2011-07-1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CA2645460C (en) * 2008-11-28 2015-12-29 Ray Arbesman Piston-side brake shim
JP5471553B2 (ja) 2010-02-12 2014-04-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29157A (ja) 2013-02-07
JP5806872B2 (ja) 2015-11-10
CN102900790A (zh) 2013-01-30
US8714319B2 (en) 2014-05-06
DE102012213274A1 (de) 2013-01-31
US20130025982A1 (en) 2013-01-31
KR101922258B1 (ko) 2018-11-26
CN102900790B (zh) 2017-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4355A (ko) 디스크 브레이크
JPS6056930B2 (ja) スポツトタイプデイスクブレ−キ用ブレ−キシユ−支持装置
US5947234A (en) Disc brake
US9062726B2 (en) Disc brake device and caliper
JP4284676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RU2728201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колодки с оптимизированным износом
JP2006057718A (ja) フローティングキャリパ型ディスクブレーキ
JP7075848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US20230341014A1 (en) Brake assembly
US20180106310A1 (en) Disc brake device
JPS6336175Y2 (ko)
JP3939304B2 (ja) フローティングキャリパ型ディスクブレーキ
JPH11108087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0196875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955136B1 (ko) 브레이크 장치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JP4843576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CN110741175B (zh) 盘式制动器
JP7012161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8138737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6689702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1041268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US10995807B2 (en) Brake assembly
WO2022260004A1 (ja) ディスクブレーキ及びパッドスプリング
JP7292415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H012929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